KR101401974B1 - 녹화된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 Google Patents

녹화된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974B1
KR101401974B1 KR1020080040823A KR20080040823A KR101401974B1 KR 101401974 B1 KR101401974 B1 KR 101401974B1 KR 1020080040823 A KR1020080040823 A KR 1020080040823A KR 20080040823 A KR20080040823 A KR 20080040823A KR 101401974 B1 KR101401974 B1 KR 101401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s
video
article
moving pictur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4937A (ko
Inventor
최윤희
현동준
박희선
김용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0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974B1/ko
Priority to US12/336,967 priority patent/US8732759B2/en
Publication of KR20090114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7Scene chan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화된 뉴스 프로그램을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뉴스 프로그램들에 포함된 동영상 기사들을 기사별로 그룹화하고, 각 그룹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에 따라 하나씩의 동영상 기사를 선택하여 동영상 기사 내용 중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재생하므로, 뉴스 프로그램들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브라우징 할 수 있다.

Description

녹화된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recorded news programs}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녹화된 뉴스 프로그램을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용량의 스토리지를 구비한 디지털 TV나 PVR(Personal Video Recorder) 등의 가전 기기들이 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손쉽게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한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고, 추후 원하는 때에 재생하여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뉴스 프로그램의 경우 하나의 뉴스 프로그램에 복수 개의 기사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하루에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뉴스 프로그램의 종류와 수가 많아졌을 뿐더러, 서로 다른 뉴스 프로그램(방송사 또는 방송 시간이 다른 경우)에서 방송되는 기사 중 일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는 특정 기간(예를 들면, 하루) 동안의 뉴스를 브라우징하기 위해 중복되는 동영상 기사들을 일일이 스캔해야 하며, 하나의 동영상 기사에서도 자신이 관심 있는 부분을 찾기 위해 빨리 감기 기능을 이용 하여 다른 부분을 수동적으로 스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1은 뉴스 프로그램 동영상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뉴스 프로그램 동영상은 요약(summary), 광고(commercial break), 동영상 기사(article), 교통 정보(traffic information), 날씨 정보(weather information)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 동영상 기사는 앵커가 간략하게 기사를 소개하는 앵커 샷(anchor shot) 부분과 기자가 본격적으로 기사의 내용을 설명하는 에피소드 샷(episode shot)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기사를 검색하기 위해 요약, 광고 등을 직접 빨리 감기 기능을 이용하여 스킵해야 하며, 에피소드 샷 만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앵커 샷 부분만을 정확하게 스킵해야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하나의 뉴스 프로그램에는 복수 개의 동영상 기사들이 포함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있는 기사를 시청하기 위해서 다른 기사들을 스킵해야 하며, 나아가 브라우징하려는 뉴스 프로그램들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중복되는 기사의 개수가 많아져서, 이러한 불편함이 가중되며 브라우징에 소요되는 시간도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녹화된 뉴스 프로그램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브라우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뉴스 프로그램들에 포함된 동영상 기사들을 동일한 내용의 동영상 기사들끼리 그룹화하는 단계;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그룹화 결과 생성된 각 그룹에서 하나 씩의 동영상 기사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마다 하나씩 핵심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 중 상기 추출된 핵심 부분들만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뉴스 프로그램 브라우징 방법은, 상기 재생된 동영상 기사 또는 해당 그룹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이전에 재생된 적이 있는 동영상 기사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동영상 기사는 재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룹화하는 단계는, 상기 뉴스 프로그램들의 EPG, 상기 뉴스 프로그램들과 관련된 웹 기사들 및 상기 뉴스 프로그램들의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 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기사들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메타 데이터와 상기 동영상 기사들 중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선호도 정보는 앵커 이름, 뉴스 프로그램의 제목, 방송사, 방송 시간 및 기사 쟝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기사들과 관련된 웹 기사, 자막,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기사들 중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에 부합하는 동영상 기사가 없는 경우, 해당 그룹의 동영상 기사들 중 최근에 방송된 동영상 기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핵심 부분은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의 앵커 샷 부분 또는 에피소드 샷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핵심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에 사용된 단어들 중 동일 그룹에 속한 다른 동영상 기사들과 중복되는 단어들의 중복 빈도를 산출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라우징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뉴스 프로그램들에 포함된 동영상 기사들을 동일한 내용의 동영상 기사들끼리 그룹화하는 그룹화부;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그룹화 결과 생성된 각 그룹에서 하나 씩의 동영상 기사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을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뉴스 프로그램에 포함된 많은 동영상 기사들 중 동일한 내용을 다루는 동영상 기사들은 그 중 사용자의 선호도에 부합하는 동영상 기사 하나만을 선택하여 재생하는 한편, 하나의 동영상 기사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재생하므로 뉴스 프로그램들의 브라우징을 효율적으로 빠르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기사들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소정 기간 동안 방송된 복수 개의 뉴스 프로그램들에 포함된 동영상 기사들을 기사 내용에 따라 그룹화한다. 즉, 동일한 내용을 다루는 동영상 기사는 방송사나 방송 시간에 관계 없이 동일한 그룹에 속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하나의 뉴스 프로그램을 기사별로 분할하는 작업이 선행되어 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화면 분석을 통한 앵커 구분, 음성 분석, 자막 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화면 분석을 통해 앵커를 구분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으며, [Unsupervised Video-Shot Segmentation and Model-Free Anchorperson Detection for News Video Story Parsing, IEEE Transactio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vol. 12, no. 9, September 2002] 등의 문헌을 통해 공개되었다.
또는, 방송사 또는 뉴스 제공자가 뉴스 프로그램을 기사 별로 포스팅한 웹 게시물인 웹 기사를 이용하여 뉴스 프로그램을 기사 별로 분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웹 기사는 사람이 수동적으로 기사를 분할한 것이어서 기사 별 구분이 매우 정확하므로, 뉴스 프로그램의 음성이나 자막을 웹 기사의 텍스트와 비교하여 뉴스 프로그램을 동영상 기사 별로 분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웹 기사에 포함된 텍스트는 뉴스 프로그램에서 앵커 또는 기자가 읽는 대본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뉴스 프로그램이 기사 별로 분할되었을 때, 분할된 동영상 기사들을 효율적으로 브라우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뉴스 프로그램을 기사 별로 분할하는 방법은 어느 특정한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뉴스 프로그램들을 기사 별로 분할한 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는 동영상 기사들이 방송사나 방송 시간에 관계 없이 동일한 그룹에 속하도록 동영상 기사들의 그룹화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동영상 기사들의 음성이나 자막, 웹 기사 등을 분석하여 공통되는 단어들이 많은 동영상 기사들을 동일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동영상 기사들의 그룹화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브라우징 요청에 따라 각 그룹에서 하나 씩의 동영상 기사를 선택하여 재생한다. 이 때, 사용자의 브라우징 요청에는 선호도 정보가 포함되며,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선호도 정보와 동영상 기사의 메타 데이터를 비교하여 각 그룹의 동영상 기사들 중 선호도 정보에 부합하는 동영상 기사들을 선택한다. 각 그룹마다 하나 씩의 동영상 기사들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소정 기간 동안 방송되니 동영상 기사들을 중복이나 누락됨이 없이 브라우징 할 수 있다.
한편, 메타 데이터 및 선호도 정보는 앵커 이름, 뉴스 프로그램의 제목, 방송사, 방송 시간 및 기사 쟝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타 데이터는 동영상 기사들과 관련된 웹 기사, 자막,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한 후에는 소정의 메모리에 해당 동영상 기사 또는 해당 그룹의 식별자를 기록하고, 이후에 동영상 기사를 재생할 때에는 메모리를 참조하여 이전에 시청한 적이 있는 동영상 기사는 재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일한 내용의 동영상 기사를 중복하여 시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을 재생할 때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영상 기사들 중 핵심 부분만을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핵심 부분은 앵커 샷이 될 수도 있고, 에피소드 샷이 될 수도 있으며, 동일 그룹의 기사들에서 추출된 단어들을 비교하여 중복되는 빈도가 높은 단어 또는 미리 정의된 중요도에 따라 분류된 단어들 을 포함하는 부분을 핵심 부분으로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동영상 기사들의 핵심 부분만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는 빠르고 효율적으로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기간 동안 녹화된 뉴스 프로그램들은 뉴스1, 뉴스2, 뉴스3, 뉴스4이고, 뉴스 프로그램들은 각각 8개의 동영상 기사들을 포함하고 있다.
기사의 내용에 따라 A, B, C, D 등의 알파벳으로 구분하였으며, 하나의 기사에 대하여 앵커샷은 A, 에피소드 샷은 A'로 구분하였다. 이하에서는 앵커샷 A와 에피소드 샷 A'를 포함하는 기사를 A 기사라고 칭하기로 한다. 앵커 샷 중 점선으로 구분된 일부는 핵심 문장 부분이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A 기사는 뉴스1, 뉴스2, 뉴스3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A 기사와 관련된 그룹에는 세 개의 동영상 기사들이 포함될 것이다. 한편, B 기사와 관련된 그룹에는 세 개, C 기사와 관련된 그룹에는 네 개의 동영상 기사들이 포함될 것이며, 다른 그룹들의 동영상 기사들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결정된다.
C 기사와 관련된 그룹(이하 C 그룹이라고 칭함)을 예로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징 장치는 C 그룹에 포함된 네 개의 동영상 기사들 중 하나를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자신이 좋아하는 방송사, 앵커, 기사 장르를 특정하여 뉴스 브라우징 명령을 입력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징 장치는 C 그룹의 동영상 기사들 중 이러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에 가장 잘 부합하는 동영상 기사를 선택한다. 이를 위해, 선호도 정보를 C 그룹에 속한 동영상 기사들의 메타 데이터와 비교해야 하는데, 이러한 메타 데이터는 C 그룹의 동영상 기사들과 관련된 웹 기사, 자막,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선호도 정보에 가장 잘 부합하는 하나의 동영상 기사를 결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선호도 정보를 구성하는 항목들에 대하여 차등적으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 그룹의 동영상 기사들 중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에 부합하는 동영상이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여자 앵커가 진행하는 동영상 기사를 보려고 했으나, C 그룹의 네 개의 동영상 기사들은 모두 남자 앵커가 진행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C 그룹의 동영상 기사들 중 최근에 방송된 동영상 기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그룹에서 하나 씩의 동영상 기사가 선택되면,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재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영상 기사들의 핵심 부분들만을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핵심 부분은 앵커 샷이 될 수도 있고, 에피소드 샷이 될 수도 있으며, 핵심 문장 부분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핵심 문장 부분은 앵커 샷 부분의 일부로서, 앵커의 인사말이나 기사 내용과 관련 없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말하며, 이러한 핵심 문장 부분은 동영상 기사에 포함된 단어 분석을 통해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C 그룹에 속한 네 개의 동영상 기사들의 앵커 샷들로부터 추출된 단어들을 분석하여, 중복되는 빈도가 많을수록 핵심 단어로 분류하고, 이러한 핵심 단어들을 가장 많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핵심 문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앵커 샷들로부터 단어를 추출하는 작업은 자막 또는 음성의 분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b에는 각 그룹에서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을 재생하는 다양한 방식을 도시하였다. 즉, 도 3b의 첫 번째 그림과 같이,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의 핵심 문장 부분만을 재생할 수도 있고, 두 번째 그림과 같이 앵커 샷 만을 재생할 수도 있으며, 세 번째 그림과 같이 동영상 기사 전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3b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에피소드 샷 만을 재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재생 모드들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차례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소정 기간 동안 방송된 뉴스 프로그램들은 기사 별로 분할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뉴스 프로그램을 기사 별로 분할하는 작업을 위해 웹 기사가 참조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복수 개의 뉴스 프로그램들에 포함되어 있던 동영상 기사들은 동일한 내용의 뉴스 프로그램들끼리 그룹화된다.
단계 430에서, 각 그룹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의 동영상 기사를 선택한다. 이를 위해, 각 그룹에 속한 동영상 기사들의 메타 데이터와 선호도 정보가 비교되며, 메타 데이터는 동영상 기사들과 관련된 웹 기사, 자 막, EPG 등을 통해 수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선호도 정보 및 메타 데이터에는 앵커 이름, 뉴스 프로그램의 제목, 방송사, 방송 시간 및 기사 쟝르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단계 440에서,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을 재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의 핵심 문장 부분 만을 재생할 수도 있고, 앵커 샷만을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징 장치는 소정의 메모리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이전에 시청한 적이 있는 것이라고 판단되는 동영상 기사, 즉 이전에 재생된 동영상 기사와 동일한 그룹에 속한 동영상 기사는 재생하지 않는다. 즉, 이러한 메모리에는 사용자의 시청 정보가 기록되며, 이러한 시청 정보로서 이전에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재생된 동영상 기사 또는 그 동영상 기사가 속한 그룹의 식별자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450에서, 시청 정보가 기록되는 메모리에 단계 440에서 재생한 동영상 기사 또는 그 동영상 기사가 속한 그룹의 식별자를 기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브라우징 장치(500)는 셋탑 박스, 디지털 TV 등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VOD(Video On Demand) 서버에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징 장치(500)는 녹화부(501), 스토리지(502), 그룹화부(50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04), 선택부(505) 및 재생부(506)를 포함한다.
녹화부(501)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해 소정 기간 동안에 방송된 뉴스 프로 그램들을 녹화하여 스토리지(502)에 저장한다. 이러한 소정 기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룹화부(503)는 소정 기간 동안 녹화되어 스토리지(502)에 저장된 뉴스 프로그램을 기사 별로 분할하고, 동영상 기사들을 내용에 따라 그룹화한다. 즉, 이러한 그룹화에 의해 동일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동영상 기사들은 동일한 그룹에 속하게 된다. 이러한 그룹화 작업을 위해 뉴스 프로그램들의 EPG, 웹 기사들, 자막 등의 다양한 정보가 참조된다. 이러한 정보의 일부는 인터넷(550)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으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504)는 인터넷(550)에의 액세스를 제공한다.
선택부(505)는 그룹화된 동영상 기사들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메타 데이터와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를 비교하여 그룹화된 동영상 기사들 중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에 부합하는 동영상 기사를 선택한다.
즉, 각 그룹마다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에 가장 잘 부합하는 동영상 기사를 선택하는데, 선호도 정보에 부합하는 동영상 기사가 없는 그룹의 경우에는 최근에 방송된 동영상 기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 데이터 및 선호도 정보에는 앵커 이름, 뉴스 프로그램의 제목, 방송사, 방송 시간 및 기사 쟝르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동영상 기사의 메타 데이터는 동영상 기사들과 관련된 웹 기사, 자막, EPG 등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재생부(506)는 선택부(505)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을 재생한다. 다만, 사용자의 시청 정보가 기록되는 소정의 메모리(도시되지 않음)를 참조하여,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한 적이 있는 동영상 기사는 재생하지 않는다.
한편, 재생부(506)는 선택부(505)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을 사용자가 입력한 재생 모드 정보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재생할 수 있다. 즉, 동영상 기사들 전체를 재생할 수도 있고, 핵심 부분을 추출하여 핵심 부분만을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핵심 부분은 앵커 샷이 될 수도 있고, 에피소드 샷이 될 수도 있으며, 핵심 문장 부분이 될 수도 있다. 이 때의 핵심 문장 부분은, 동일 그룹에 속한 동영상 기사들에 사용된 단어들을 비교하여 중복 빈도가 높은 단어들을 추출하고, 그 그룹에서 선택부(505)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 기사의 앵커 샷 중 추출된 단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해당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재생 모드들은 사용자가 입력한 재생 모드 정보에 따라 서로 간에 전환될 수 있다. 각 재생 모드에 따른 화면의 실시예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하였다.
도 6a에는 각 그룹에서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의 핵심 문장 부분만을 재생하는 경우의 화면이 도시되었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방송사에 대하여는 MBC를 선호도 정보로서 설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앵커 및 기자에 대한 선호도 정보는 도 6a에는 도시되지 않음). 도 6a의 하단에는 각 그룹에서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의 썸네일이 도시되어 있으며, 각 썸네일의 하단에 표시된 스크롤 바 전체는 앵커 샷을 나타내고, 어두운 부분은 핵심 문장 부분을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현재 화면 하단에 표시된 5개의 동영상 기사들 중 두 번째 동영상 기사의 핵심 문장 부분이 재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b에는 각 그룹에서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의 앵커 샷 부분만을 재생하는 경우의 화면이 도시되었다. 도 6b에서도 도 6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썸네일의 하단에 표시된 스크롤 바 전체는 앵커 샷을 나타내고, 어두운 부분은 핵심 문장 부분을 나타낸다. 도 6b를 참조하면, 현재 5개의 썸네일 중 세 번째 썸네일에 해당하는 동영상 기사의 앵커 샷 부분이 재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c에는 각 그룹에서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 전체를 재생하는 경우의 화면이 도시되었다.
각 썸네일의 하단에 표시된 스크롤 바는 앵커 샷 부분과 에피소드 샷 부분을 구분하여 표시하고, 앵커 샷 부분 중 어두운 부분은 핵심 문장 부분을 나타낸다. 도 6c를 참조하면, 현재 5개의 썸네일 중 세 번째 썸네일에 해당하는 동영상 기사의 에피소드 샷 부분이 재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뉴스 프로그램 동영상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기사들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뉴스 프로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9)

  1. 복수 개의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뉴스 프로그램들에 포함된 동영상 기사들을 동일한 내용의 동영상 기사들끼리 그룹화하는 단계;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그룹화 결과 생성된 각 그룹에서 하나 씩의 동영상 기사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마다 하나씩 핵심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 중 상기 추출된 핵심 부분들만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동영상 기사 또는 해당 그룹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이전에 재생된 적이 있는 동 영상 기사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동영상 기사는 재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하는 단계는,
    상기 뉴스 프로그램들의 EPG, 상기 뉴스 프로그램들과 관련된 웹 기사들 및 상기 뉴스 프로그램들의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기사들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메타 데이터와 상기 동영상 기사들 중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선호도 정보는 앵커 이름, 뉴스 프로그램의 제목, 방송사, 방송 시간 및 기사 쟝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기사들과 관련된 웹 기사, 자막,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기사들 중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에 부합하는 동영상 기사가 없는 경우, 해당 그룹의 동영상 기사들 중 최근에 방송된 동영상 기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 부분은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의 앵커 샷 부분 또는 에피소드 샷 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에 사용된 단어들 중 동일 그룹에 속한 다른 동영상 기사들과 중복되는 단어들의 중복 빈도에 기초하여 핵심 부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을 기록한 기록 매체.
  11. 복수 개의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뉴스 프로그램들에 포함된 동영상 기사들을 동일한 내용의 동영상 기사들끼리 그룹화하는 그룹화부;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그룹화 결과 생성된 각 그룹에서 하나 씩의 동영상 기사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을 재생하는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마다 하나씩 핵심 부분을 추출하여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들 중 상기 추출된 핵심 부분들만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재생된 동영상 기사 또는 해당 그룹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에 기록하며, 동영상 기사의 재생 시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이전에 재생된 적이 있는 동영상 기사와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동영상 기사는 재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부는,
    상기 뉴스 프로그램들의 EPG, 상기 뉴스 프로그램들과 관련된 웹 기사들 및 상기 뉴스 프로그램들의 자막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동영상 기사들을 그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동영상 기사들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메타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동영상 기사들 중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에 부합하는 동영상 기사를 선택하며,
    상기 메타 데이터 및 상기 선호도 정보는 앵커 이름, 뉴스 프로그램의 제목, 방송사, 방송 시간 및 기사 쟝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동영상 기사들과 관련된 웹 기사, 자막,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 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동영상 기사들 중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선호도 정보에 부합하는 동영상 기사가 없는 경우, 해당 그룹의 동영상 기사들 중 최근에 방송된 동영상 기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 부분은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의 앵커 샷 부분 또는 에피소드 샷 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상기 선택된 동영상 기사에 사용된 단어들 중 동일 그룹에 속한 다른 동영상 기사들과 중복되는 단어들의 중복 빈도에 기초하여 핵심 부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80040823A 2008-04-30 2008-04-30 녹화된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KR101401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823A KR101401974B1 (ko) 2008-04-30 2008-04-30 녹화된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US12/336,967 US8732759B2 (en) 2008-04-30 2008-12-17 Method of browsing recorded news program and brow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823A KR101401974B1 (ko) 2008-04-30 2008-04-30 녹화된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937A KR20090114937A (ko) 2009-11-04
KR101401974B1 true KR101401974B1 (ko) 2014-06-02

Family

ID=4125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823A KR101401974B1 (ko) 2008-04-30 2008-04-30 녹화된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32759B2 (ko)
KR (1) KR1014019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589B1 (ko) * 2009-07-23 2011-11-10 한국과학기술원 매체의 편향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단면수준 뉴스브라우징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101763642B1 (ko) * 2010-12-09 2017-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선호도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90232A1 (en) * 2012-04-30 2013-10-31 Mikalai Tsytsarau Identifying news events that cause a shift in senti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081A (ko) * 2001-03-23 2002-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뉴스 비디오 브라우징 시스템에서 앵커 샷 자동 검출 방법
KR20030056782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뉴스 비디오 브라우징 시스템
US6609097B2 (en) 2000-08-01 2003-08-19 Command Audio Corporation Broadcast program capture and playback enhancement signal structure, receiver, and method
US20050089224A1 (en) 2003-09-30 2005-04-28 Kabushiki Kaisha Toshiba Moving picture processor, moving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2842B2 (ja) 2005-07-06 2011-10-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90100470A1 (en) * 2007-10-16 2009-04-16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9097B2 (en) 2000-08-01 2003-08-19 Command Audio Corporation Broadcast program capture and playback enhancement signal structure, receiver, and method
KR20020075081A (ko) * 2001-03-23 2002-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뉴스 비디오 브라우징 시스템에서 앵커 샷 자동 검출 방법
KR20030056782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뉴스 비디오 브라우징 시스템
US20050089224A1 (en) 2003-09-30 2005-04-28 Kabushiki Kaisha Toshiba Moving picture processor, moving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32759B2 (en) 2014-05-20
KR20090114937A (ko) 2009-11-04
US20090276809A1 (en)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21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notating video content with metadata generated using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JP6335145B2 (ja) メディアメタデータを相関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US7080392B1 (en) Process and device for multi-level television program abstraction
KR100965457B1 (ko) 퍼스널 프로파일에 기초한 콘텐츠의 증가
US8214368B2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notifying content scene appearance
KR10065988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녹화 장치 및 방송 검색 장치
US200200834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multimedia summary of a video program
US20090164460A1 (en) Digital television video program providing system, digital televis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0865042B1 (ko) 비디오 프로그램의 멀티미디어 설명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080109415A1 (en) Preference extracting apparatus, preference extracting method and preference extracting program
US20080065693A1 (en) Presenting and linking segments of tagged media files in a media services network
WO2002102079A1 (en) Audio and video program recording, editing and playback systems using metadata
US20090196569A1 (en) Video trailer
CN101431645B (zh) 节目录像再现装置以及节目录像再现方法
US201803323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ist of video-on-demand programs
KR20090089878A (ko) 개요 및 리포트를 이미 포함하는 시청각 도큐먼트의 새로운 개요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수신기
KR101401974B1 (ko) 녹화된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JPH1139343A (ja) 映像検索装置
KR101317079B1 (ko) 유사 컨텐츠의 채널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294020A (ja) 記録再生方法、記録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装置
KR20060102639A (ko) 동영상 재생 시스템 및 방법
JP4162459B2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再生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情報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370249B1 (ko) 샷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이용한 비디오 스키밍 시스템
JP5266981B2 (ja)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Barbieri et al. A personal TV receiver with storage and retrieval cap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