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110B1 - 수납효율과 신뢰도를 높인 입출금기 - Google Patents

수납효율과 신뢰도를 높인 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110B1
KR100975110B1 KR1020100046727A KR20100046727A KR100975110B1 KR 100975110 B1 KR100975110 B1 KR 100975110B1 KR 1020100046727 A KR1020100046727 A KR 1020100046727A KR 20100046727 A KR20100046727 A KR 20100046727A KR 100975110 B1 KR100975110 B1 KR 100975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ey
abnormal
cassette
identification means
depos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준
Original Assignee
(주)일우아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우아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일우아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100046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18Constructional details, e.g. of drawer, printing means, input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009Depositing devices
    • G07D11/0093Drop bo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48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non-monetary media of fixed value, e.g. casino chips of fixed valu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금 및 각종 수표 등에 관한 수납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면서도 수납자의 수납 업무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01)의 입출금구(102)로 삽입된 금전을 계수하는 카운터(120); 계수되는 금전의 정상 여부를 확인해서 이를 분류하는 식별수단(130); 식별수단(130)에서 분류된 정상 금전을 보관하는 임시보관함(150); 임시보관함(150)과 연통하며, 정상 금전이 수납되는 금전카세트(161); 입출금구(102)와 카운터(120)와 식별수단(130)과 임시보관함(150)과 금전카세트(161)를 금전이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이송로(111)와, 금전의 이동을 강제하도록 이송로(111)를 따라 설치되어서 식별수단(130)에서 분류된 비정상 금전은 입출금구(102)로 반환하고 입출력수단(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임시보관함(150)의 금전을 입출금구(102)로 반환하거나 금전카세트(161)로 이송하도록 동작하는 이송활차(112)를 구비한 입출금수단(110); 카운터(120) 및 식별수단(130)에서 확인된 입금정보를 출력하고, 입력 조작에 따른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비정상 금전 정보를 입력시키는 입출력수단(140); 상기 비정상 금전을 스캔하는 스캐너(170); 상기 비정상 금전이 수납되는 드롭카세트(162); 및 금전카세트(161) 및 드롭카세트(162)에 수납된 정상 및 비정상 금전 정보와, 스캐너(170)의 스캔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수단(180);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납효율과 신뢰도를 높인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현금 및 각종 수표 등에 관한 수납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면서도 수납자의 수납 업무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수납은 타인의 현금과 각종 수표 등을 받아 입금하는 작업으로서, 상기 수납 업무를 수행하는 수납자는 수납 업무의 주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자는 수납업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정산 업무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
그런데, 현금 또는 수표 등의 수납 및 처리에 대한 직접적인 관리가 사람인 상기 수납자에게 있으므로, 의도적으로나 비의도적으로 정산처리에 오차를 일으킬 수 있고, 심지어 수납한 현금 또는 수표를 불법적으로 횡령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사고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특히 현금을 실시간으로 수납 및 환전해야하는 특수한 업무인 카지노 등과 게임 사업장에서는 상기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도 1은 종래 게임 사업장에서 처리되고 있는 현금 및 수표의 수납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해서 종래 수납 시스템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게임 사업장은 현금 및 수표(이하 '금전')를 가진 게임자에게 게임을 할 수 있는 장소와, 게임자가 배팅을 통해 일정액의 금전을 획득하거나 상실하는 게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게임 사업장에는 각종 게임 도구를 수용하는 게임 테이블(10)이 비치되고, 상기 게임자와의 게임 진행을 위한 딜러가 투입된다.
그런데, 이러한 게임 사업장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게임의 승패에 따라 금전이 왕래하는데, 지폐 형태의 금전은 게임자와 딜러 간의 정확하면서도 신속한 왕래를 곤란하게 하므로, 통상적으로 게임 사업장에서는 금전을 대신해 동전 형태의 칩이 이용된다. 따라서, 게임자는 게임 사업장에서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자신이 소지한 금전을 칩으로 환전한다.
한편, 금전을 칩으로 환전하기 위해 딜러는 게임자로부터 받은 금전을 정확히 개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게임자가 제시하는 금전은 지폐이므로, 상기 지폐의 개수를 위해 게임 테이블(10)에는 카운터(20)가 장착될 수 있고, 카운터가 개수한 지폐의 개수가 옳은지를 게임자에게도 확인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어(30)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계속해서 환전은 실제 현금인 금전을 칩으로 바꾸는 것이므로, 정확한 환전을 위해 오차율을 최소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게임 테이블(10) 별로 검수자(Pitboss)가 더 투입되었다.
검수자는 개수된 금전을 확인하고, 문제가 있는 금전을 확인해 분리하며, 딜러의 환전업무 및 각종 게임 진행 등을 총괄하는 관리자로서, 딜러가 게임자의 확인을 받은 상기 금전을 카운터(20)로부터 꺼내어 게임 테이블(10)에 펼치면 이를 확인해서 문제가 있는 금전을 확인하고, 딜러의 게임진행을 감독한다.
한편, 금전 확인이 완료되면, 딜러는 해당 금전을 정리해서 이를 드롭박스(40)에 투입하고, 상기 금전에 상응하는 칩을 게임자에게 제공한다. 이후, 드롭박스(40)가 수용 한계치를 초과하면, 별도의 운반자는 해당 드롭박스(40)를 수거하고 새로운 드롭박스로 교체한다.
그런데, 이러한 이중 삼중의 확인 절차에 불구하고, 환전의 오차발생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는 게임 사업장이라는 특성상 신속한 환전이 진행되어야 하고, 딜러 또한 환전 업무에만 집중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정확한 금전 처리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검수자는 딜러가 제시한 금전에 한해 확인이 이루어지고, 확인된 금전을 딜러가 의도적으로 드롭박스(40)에 넣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금전은 검수자에 의해 확인되지 못한 채 누락될 수도 있으므로, 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컸다.
참고로, 앞서 제시한 상황은 딜러가 게임 및 환전 업무를 모두 수행하는 경우이지만, 현실적으로 환전은 별도의 환전창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딜러는 환전업무만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환전작업을 신속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더불어 환전 오차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납에 대한 신뢰도와 효율을 높인 입출금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101)의 입출금구(102)로 삽입된 금전을 계수하는 카운터(120);
계수되는 금전의 정상 여부를 확인해서 이를 분류하는 식별수단(130);
식별수단(130)에서 분류된 정상 금전을 보관하는 임시보관함(150);
임시보관함(150)과 연통하며, 정상 금전이 수납되는 금전카세트(161);
입출금구(102)와 카운터(120)와 식별수단(130)과 임시보관함(150)과 금전카세트(161)를 금전이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이송로(111)와, 금전의 이동을 강제하도록 이송로(111)를 따라 설치되어서 식별수단(130)에서 분류된 비정상 금전은 입출금구(102)로 반환하고 입출력수단(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임시보관함(150)의 금전을 입출금구(102)로 반환하거나 금전카세트(161)로 이송하도록 동작하는 이송활차(112)를 구비한 입출금수단(110);
카운터(120) 및 식별수단(130)에서 확인된 입금정보를 출력하고, 입력 조작에 따른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비정상 금전 정보를 입력시키는 입출력수단(140);
상기 비정상 금전을 스캔하는 스캐너(170);
상기 비정상 금전이 수납되는 드롭카세트(162); 및
금전카세트(161) 및 드롭카세트(162)에 수납된 정상 및 비정상 금전 정보와, 스캐너(170)의 스캔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록수단(180);
을 포함하는 수납효율과 신뢰도를 높인 입출금기이다.
상기 본 발명은, 딜러가 게임자로부터 받은 금전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아도 전달받은 금전을 확인해서 해당하는 칩을 곧바로 제공할 수 있고, 금전의 계수 이후에는 게임자의 반환 요청 외에 딜러가 해당 금전을 누락 또는 횡령할 수 없으므로, 금전 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게임 사업장에서 처리되고 있는 현금 및 수표의 수납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금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금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금기 내부의 제1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금기 내부의 제2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입출금기에 설치된 스캐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금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금기를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출금기(100)는 종래 카운터(20; 도 1 참조), 디스플레이어(30), 드롭박스(40) 및 검수자를 대신해서, 상기 구성들의 작업을 일괄처리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금전의 이송을 강제하는 입출금수단(110)과, 입금된 금전을 계수하는 카운터(120)와, 금전의 종류와 위폐 및 훼손 여부 등을 확인하는 식별수단(130)과, 입출금되는 금전의 정보를 게임자 및 딜러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이를 출력하고 관련정보를 딜러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력수단(140)과, 입금된 금전을 임시 보관하는 임시보관함(150)과, 금전을 보관하는 금전카세트(161) 및 드롭카세트(162)와, 입금이 거부된 금전을 스캔하는 스캐너(170)와, 입금된 내용을 기록하는 기록수단(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을 도 4(본 발명에 따른 입출금기 내부의 제1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를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입출금수단(110)은 입출금기(100)에서 금전의 이송을 강제하기 위해 케이스(101)에 내설되는 것으로, 이송로(111)와 이송활차(112)를 포함한다. 이송로(111)는 입출금구(102)의 입금구(102a)로 입금되는 금전을 상기 구성(120, 130, 150, 161, 162)으로 안내하기 위해 내설되는데, 입금구(102a)로 유입돼 카운터(120)를 경유한 금전을 식별수단(130)으로 안내하고, 식별수단(130)에서 확인된 금전을 임시보관함(150)으로 안내하며, 식별수단(130)에서 확인되지 않은 금전을 입출금구(102)의 출금구(102b)로 안내하는 한편, 입금이 확정되면 임시보관함(150)의 금전을 금전카세트(161)로 안내하고, 반환이 요청되면 임시보관함(150)의 금전을 출금구(102b)로 안내하도록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이송로(111)는 지폐 형태의 금전을 낱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얇은 이격 공간의 레일 형태로 구성되고, 금전의 이송 목적지가 결정되면 해당 목적지 이외에는 폐구되어서 금전이 상기 목적지에 정확히 이송될 수 있도록 입출금수단(110)의 제어로 처리된다.
계속해서, 이송활차(112)는 이송로(111)에 위치한 금전을 강제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의 활차가 이송로(111)에 안착된 금전과 맞물린 후 회전하면서 상기 금전의 이동성을 제공한다. 물론 입출금수단(110)의 제어로, 금전이 이송되어야 할 이송로(111)의 이송활차(112) 만이 회전할 것이고, 그 외 이송활차(112)는 정지되도록 설계될 것이다.
참고로, 금전의 이송을 위한 이송로(111)의 구조는 현금을 수납하는 자판기 또는 기타 ATM 등에서 널리 응용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카운터(120)는 입금구(102a)에 삽입된 금전을 계수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지폐계수기가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120)는 입금구(102a)로 삽입된 금전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어야 하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금구(102a)와 곧바로 연통해서 금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카운터(120)는 통상적인 계수기가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카운터(120)에서 금전의 계수가 완료되면, 계수 결과가 입출력수단(14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입출력수단(140)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식별수단(130)은 입금구(102a)에 삽입된 금전의 위폐 여부 및 훼손 여부 등을 식별하는 것으로, 카운터(120)에서 계수된 후 임시보관함(150)으로 이송되는 과정 중에 상기 식별 작업이 진행된다. 물론, 정상 금전은 임시보관함(150)으로 전달되고, 위폐 또는 훼손이 의심되는 비정상 금전은 출금구(102b)로 반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입출금구(102)가 입금구(102a)와 출금구(102b)로 구성된 것으로 했지만, 입금구(102a)와 출금구(102b)를 하나로 통합해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입출력수단(140)은 입금된 금전의 내용과 반환된 금전의 내용을 참고해서 딜러가 특정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입금된 내용을 딜러는 물론 게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모니터(141) 또는 인쇄기(142) 등이 응용될 수 있다.
모니터(141)는 카운터(120)가 계수한 금전의 총액을 출력해서 딜러 및 게임자 모두가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비정상 금전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반환시에는 반환 내역을 딜러 및 게임자 모두가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모니터(141)는 둘 이상의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인쇄기(142)는 수납증, 환전증 또는 기록을 남기기 위한 기타 영수증 등을 출력해서, 게임자 및 딜러가 이를 정리해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모니터(141)와 마찬가지로 환전에 관한 정보를 확인해서 게임자와 딜러 간의 정확한 환전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입출력수단(140)은 입력을 위한 입력기(미도시함)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기는 키보드 형태의 자판방식일 수도 있고, 모니터(141)의 기능을 겸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일 수도 있다. 상기 입력기는 게임자가 환전을 위해 제공한 금전의 반환을 요청하면, 딜러가 입출금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딜러가 입력기의 반환버튼을 조작하면, 입출금기(100)는 입금된 금전을 입출금구(102)로 이송시켜서 출금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력기는 식별수단(130)이 거부한 비정상 금전을 강제로 입금시켜서 이를 기록에 남길 수도 있도록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입금된 금전은 식별수단(130)을 통해 정상 금전 여부를 확인받고, 정상 금전으로 확인된 금전은 임시보관함(150)에 이송되며, 비정상 금전으로 확인된 금전은 입출금구(102)로 이송돼 반환된다. 즉, 일만원 지폐 열 장 중 한 장의 만원 지폐가 비정상 금전으로 확인되면, 모니터(141)에 출력되는 수납 금액은 구만원으로 출력되고, 일만원 지폐는 입출금구(102)로 반환되는 것이다. 하지만, 딜러는 상기 일만원 지폐를 확인한 후 상기 입력기를 이용해 일만원이 정상 입금되었음을 수정 입력하고, 최종적으로 모니터(141)에는 십만원이 정상 입금되었음이 출력된다. 이후, 게임자가 입금 내역에 동의하면 딜러는 상기 입력기를 조작해 확정처리하고, 관련 기록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수단(180)에 저장된다.
임시보관함(150)은 일명 '에스크로'라고도 불리는 구성이다. 게임자는 환전을 위해 딜러에게 제공한 금전의 반환을 요청할 수도 있고, 카운터(120)가 오작동해서 금전 계수가 잘못되면 해당 금전을 출금해 이를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확인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해당 금전을 금전카세트(161) 또는 드롭카세트(162)에 삽입하지 않고, 임시보관함(150)에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게임자가 환전에 관한 내용을 확인하면, 딜러는 상기 입력기를 조작하고, 상기 입력기는 임시보관함(150) 및 입출금수단(110)에 제어신호를 전송해서 임시보관함(150)에 보관된 금전이 금전카세트(161)로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출금기(100)는 다양한 종류의 금전을 입금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은 오만원 권, 일만원 권, 오천원 권, 일천원 권의 지폐가 통용되고 있고, 게임자는 칩으로의 환전을 위해 상기 4종류의 지폐를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입출금기(100)는 다양한 지폐를 수납할 수 있어야하므로, 카운터(120)는 지폐의 종류에 상관없이 금전을 계수하고, 식별수단(130)은 지폐의 종류를 확인하며, 임시보관함(150)은 금전의 권 별로 임시보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입금된 금전이 오만원 권일 경우, 식별수단(130)에서 이를 확인한 후 임시보관함(150)에 신호해서 입출금수단(110)을 통해 이송되는 금전이 임시보관함(150)의 해당 위치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임시보관함(150)은 금전의 권 별 종류에 상관없이 입금된 금전을 일괄적으로 보관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임시보관함(150)과 금전카세트(161)를 연통하는 입출금수단(110)의 구조가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금전카세트(161)는 확인된 금전을 수납해 이를 보관하는 것으로, 오만원 권, 일만원 권, 오천원 권, 일천원 권을 각각 별도로 수용하는 다수의 금전카세트(161)를 배치하고, 입출금수단(110)은 식별수단(130)에서 확인한 금전의 종류에 따라 임시보관함(150)과 해당 금전카세트(161)가 곧바로 연결되도록 이송로(111) 및 이송활차(112)를 제어한다.
결국, 다수 개의 금전카세트(161)는 입출금기(100)에 입금되는 금전을 그 종류에 따라 분류 저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딜러 및 기타 관리자는 금전 관리에 대한 정확한 회계와 감리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금전카세트(16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출금기(100)의 케이스(101)의 고정구(103)로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서, 금전이 금전카세트(161)의 용량을 초과하면 이를 케이스(101)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드롭카세트(162)는 수표나 훼손된 금전 또는 기타 쿠폰 등과 같은 비정상 금전을 수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스캐너(170)는 입출금구(102)의 출금구(102b)로 출금된 비정상 금전을 스캔해서 이미지화하는 장치로, 딜러는 스캐너(170)를 이용해 상기 비정상 금전을 수작업으로 스캔한다. 스캐너(170)는 비정상 금전의 이미지를 기록수단(180)으로 전송해 저장시키도록 하고, 입출력수단(140)의 모니터(141)는 비정상 금전의 이미지를 출력해서 스캔 상태를 딜러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기록수단(180)는 통상적인 기록매체로, 하드디스크일 수도 있고, CD WRITER일 수도 있으며, USB 단말기일 수도 있다.
한편, 딜러는 비정상 금전에 대한 스캔 이미지와 해당 비정상 금전의 내역을 확인해서 입출력수단(140)의 입력기를 이용해 관련 정보를 입력하고, 이렇게 입력된 데이터가 기록수단(180)에 저장되면, 상기 비정상 금전을 드롭카세트(162)의 삽입구(162a)에 삽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금기 내부의 제2실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입출금기에 설치된 스캐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출금기(100')는 비정상 금전의 스캔을 위한 스캐너(170')가 케이스(101)에 내설되어서, 딜러가 비정상 금전을 일일이 스캔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도록 된다.
이를 위한 스캐너(170')는 중공을 형성한 본체(171)와, 이송로(111)를 타고 본체(171)로 삽입되는 비정상 금전을 이송하는 이송롤러(172)와, 겹쳐진 비정상 금전을 분리시켜서 1장씩 삽입되도록 저지하는 저항롤러(173)와, 스캐너(170')의 본체(171)로 유입된 비정상 금전들 간의 간격 여부를 확인하는 간격감지센서(174)와, 유입된 비정상 금전이 이송되는 투명판(175)과, 투명판(175)을 따라 이송하는 비정상 금전의 전후면을 각각 스캔하는 한 쌍의 스캔수단(176)을 포함하고, 투명판(175)에서 비정상 금전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수평력을 가하는 활차(1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71)는 정밀한 스캔을 위해 암실 처리된다.
이송롤러(172)는 다수 개가 일렬로 배치되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비정상 금전을 투명판(175)까지 안내하는데, 이때 이송롤러(172)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서 비정상 금전이 이송롤러(172)의 회전력은 물론 자중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저항롤러(173)는 이송롤러(172)를 따라 다수 개가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송롤러(172) 상에 위치하면서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이송롤러(172)와 저항롤러(173) 사이로 유입된 비정상 금전 중 우선 유입되면서 하층에 위치한 비정상 금전은 이송롤러(172)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하는 반면, 상층에 위치한 다른 비정상 금전은 저항롤러(173)에 의해 그 이동이 저지되면서 결국에는 이송롤러(172)와 직접 접하는 하층의 비정상 금전만이 투명판(175)까지 안내된다.
간격감지센서(174)는 스캔수단(176)의 작동 시점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롤러(172) 및 저항롤러(173)에 의해 일렬로 이동하는 비정상 금전의 간격을 확인해서, 이를 스캔수단(176)에 신호한다. 이를 위해 간격감지센서(174)는 빛을 발수광하고, 비정상 금전이 안착되는 투명판(175)의 위치 중 간격감지센서(174)가 빛을 조사하는 위치에 반사판(174a)을 배치해서, 간격감지센서(174)의 조사 광이 비정상 금전에 의해 흡수되다가 해당 비정상 금전의 이동으로 반사판(174a)이 노출되면 이를 수광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감격감지센서(174)는 반사판(174a)으로부터의 수광이 새로운 비정상 금전의 유입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스캔수단(176)에 신호해서 이동중인 비정상 금전의 스캔을 지시한다.
투명판(175)은 스캔의 대상인 비정상 금전의 전후면을 스캔수단(176)이 모두 스캔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된다. 참고로, 투명판(175)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비정상 금전은 정확한 스캔을 위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해야 할 것이므로, 이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175a)가 투명판(175)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국, 투명판(175)과 가이드(175a) 사이로 삽입되는 비정상 금전은 평평한 상태로 스캔수단(176)을 통과하면서 평평한 모습으로 정확히 스캔된다.
스캔수단(176)은 지면이미지 등을 스캔하는 통상적인 기구로, 본체(171)에 내설되어 동작할 수 있는 장치라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제품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170')는 활차(177)를 더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투명판(175)에 안착된 비정상 금전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해야 전후면이 정확히 스캔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판(175)으로 진입한 비정상 금전은 일정 거리까지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정 거리까지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이송롤러(172)의 이동력 보완이 요구된다. 즉, 이동력을 보완하기 위한 추가 수단이 투명판(175)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비정상 금전은 낱장의 종이이고, 투명판(175)에 밀착돼 이동하므로, 서로 마주하는 롤러에 의한 이동이 아닌 이상 한면은 투명판(175)에 닿고, 다른 한면은 롤러에 닿는 구조는, 투명판(175)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서 비정상 금전의 이동을 오히려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활차(177)를 더 포함시켰다. 활차(177)는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면에 다수 개의 돌기(177a)가 형성되고, 간격감지센서(174)의 신호에 따라 일정각도로 회전한다. 이때, 돌기(177a)는 투명판(175)의 길이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관통홈(175b)을 관통하도록 되어서, 해당 지점에 위치한 비정상 금전의 후단을 수평하게 밀어 선단이 이송롤러(172')와 닿을 때까지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비정상 금전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정밀한 스캔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

  1. 케이스(101)의 입출금구(102)로 삽입된 금전을 계수하는 카운터(120);
    계수되는 금전의 정상 여부를 확인해서 이를 분류하는 식별수단(130);
    식별수단(130)에서 분류된 정상 금전을 보관하는 임시보관함(150);
    임시보관함(150)과 연통하며, 정상 금전이 수납되는 금전카세트(161);
    상기 금전이 입출금구(102)와 카운터(120)와 식별수단(130)과 임시보관함(150)과 금전카세트(161)로 이동가능하도록 케이스(101)에 설치되는 이송로(111)와, 금전의 이동을 강제하도록 이송로(111)를 따라 설치되어서 식별수단(130)에서 분류된 비정상 금전은 입출금구(102)로 반환하고 입출력수단(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임시보관함(150)의 금전을 입출금구(102)로 반환하거나 금전카세트(161)로 이송하도록 동작하는 이송활차(112)를 구비한 입출금수단(110);
    카운터(120) 및 식별수단(130)에서 확인된 입금정보를 출력하고, 입력 조작에 따른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비정상 금전 정보를 입력시키는 입출력수단(140);
    식별수단(130)과 입출금구(102)를 연결하는 이송로(111)에 배치되어서 식별수단(130)으로부터 순차로 이송되는 비정상 금전을 스캔하고 입출금구(102)로 출금시키도록 구성되되, 본체(171)와, 다수 개가 일렬로 배치돼 회전하면서 식별수단(130)과 연결된 이송로로부터 이송돼 본체(171)로 삽입되는 비정상 금전을 이송하는 이송롤러(172)와, 겹쳐진 비정상 금전을 분리시켜서 1장씩 삽입되도록 이송롤러(172)와 이격돼 나란히 배치되고 이송롤러(172)와 동방향으로 회전하는 저항롤러(173)와, 비정상 금전이 이동하는 투명판(175)에 배치된 반사판(174a)으로 빛을 조사해서 상기 빛의 반사 여부를 확인해 비정상 금전 간의 간격을 확인하는 간격감지센서(174)와, 이송된 비정상 금전이 이동가능하게 안착되며 비정상 금전의 이동방향으로 절개된 관통홈(175b)을 형성한 투명판(175)과, 투명판(175)을 따라 이송하는 비정상 금전을 스캔하는 스캔수단(176)과, 관통홈(175b)을 관통해서 투명판(175)에 안착된 비정상 금전의 후단을 수평하게 미는 돌기(177a)를 둘레면에 형성하고 간격감지센서(174)의 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활차(177)와, 활차(177)에 의해 밀려온 비정상 금전의 선단과 닿으면서 비정상 금전을 입출금구(102)를 향해 이송시키는 이송롤러(172')로 구성된 스캐너(170);
    상기 비정상 금전이 수납되고, 케이스(101)에 설치되는 드롭카세트(162); 및
    금전카세트(161) 및 드롭카세트(162)에 수납된 금전 정보와, 스캐너(170)의 스캔 정보 데이터를, 입출력수단(140)을 통해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록수단(1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효율과 신뢰도를 높인 입출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전카세트(161) 또는 드롭카세트(162)는 케이스(101)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효율과 신뢰도를 높인 입출금기.
  3. 삭제
  4. 삭제
KR1020100046727A 2010-05-19 2010-05-19 수납효율과 신뢰도를 높인 입출금기 KR100975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727A KR100975110B1 (ko) 2010-05-19 2010-05-19 수납효율과 신뢰도를 높인 입출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727A KR100975110B1 (ko) 2010-05-19 2010-05-19 수납효율과 신뢰도를 높인 입출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110B1 true KR100975110B1 (ko) 2010-08-11

Family

ID=4275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727A KR100975110B1 (ko) 2010-05-19 2010-05-19 수납효율과 신뢰도를 높인 입출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971B1 (ko) 2015-06-11 2017-08-1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보관기능을 구비한 감별계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3130A (ja) * 1993-05-24 1994-12-02 Omron Corp 現金入出金装置
JPH07239980A (ja) * 1994-02-28 1995-09-12 Laurel Bank Mach Co Ltd Pos用貨幣処理装置
KR100726321B1 (ko) 2005-02-03 2007-06-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수납고
JP2008226131A (ja) 2007-03-15 2008-09-25 Oki Electric Ind Co Ltd 現金入出金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3130A (ja) * 1993-05-24 1994-12-02 Omron Corp 現金入出金装置
JPH07239980A (ja) * 1994-02-28 1995-09-12 Laurel Bank Mach Co Ltd Pos用貨幣処理装置
KR100726321B1 (ko) 2005-02-03 2007-06-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지엽류 처리 장치 및 지엽류 수납고
JP2008226131A (ja) 2007-03-15 2008-09-25 Oki Electric Ind Co Ltd 現金入出金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971B1 (ko) 2015-06-11 2017-08-1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보관기능을 구비한 감별계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893B1 (ko) 지폐 입출금기
US20150379797A1 (en) Medium Recognizing and Counting Apparatus, Financial Device and Financial Management System
US7395965B2 (en) Mobile bulk depositor
KR100975110B1 (ko) 수납효율과 신뢰도를 높인 입출금기
KR20130094391A (ko) 매체 인식 장치 및 금융기기
KR100979961B1 (ko) 다수 입출금기를 통한 환전업무의 통합 관리시스템
JP2718808B2 (ja) 自動取引装置
JPH0430291A (ja) 現金管理システム
JP2575381B2 (ja) 自動取引装置
JP5618620B2 (ja) 硬貨処理装置
JPS59143832A (ja) 紙葉類検知機構
JPH0927060A (ja) 自動取引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取り忘れ紙幣の保管方法
JPS60123991A (ja) 硬貨処理装置
US10685525B2 (en) Money handling apparatus for commercial facilities
JP2742538B2 (ja) 自動取引装置並びに該装置に組込まれる金庫カセット
JP6861467B2 (ja) 貨幣管理システム、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管理方法
JP2019169041A (ja) 有価媒体処理システム、有価媒体処理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有価媒体処理方法
JPS60123990A (ja) 貨幣処理装置
JP2908545B2 (ja) 自動取引装置
JPH06131527A (ja) 貨幣両替装置
JPS60122637A (ja) 紙葉類取込送出装置
JP2022503298A (ja) チップ処理セルフサービスキオスク
WO2017042964A1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紙幣処理方法
JP2908544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入出金装置に対する補充紙幣の金額確定方法
JP2013013626A (ja) メダル預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