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099B1 - 멀티스크러버 - Google Patents

멀티스크러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099B1
KR100975099B1 KR1020090051427A KR20090051427A KR100975099B1 KR 100975099 B1 KR100975099 B1 KR 100975099B1 KR 1020090051427 A KR1020090051427 A KR 1020090051427A KR 20090051427 A KR20090051427 A KR 20090051427A KR 100975099 B1 KR100975099 B1 KR 100975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water
main body
gas
sc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봉술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레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레코
Priority to KR1020090051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러버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부에 세정수를 저장하는 제1, 2저장부(11,12)가 마련되고 이 제1(세정수)저장부(11) 상방 벽면에 가스유입구(13)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가스배출구(14)가 마련된 본체(10); 상기 가스유입구(13) 상방에 밀접 배치되는 제1처리부(20); 상기 제1처리부(20) 상방에 배치되어 이 제1처리부(20)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30); 상기 제1분사부(30) 상방에 배치되고 상방으로 가스가 통하도록 하는 가스통로(41) 및 이 가스통로(41)로의 낙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커버(42)가 마련된 차단판(40); 상기 차단판(40)의 상방인 본체(10) 내부에 밀접 배치되는 제2처리부(50); 상기 제2처리부(50) 상방에 배치되어 이 제2처리부(50)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60); 상기 차단판(40)에서 본체(10)의 내벽면을 따라 하단부의 제2저장부(12)로 연장되는 낙수통로(70); 및 상기 낙수통로(70) 하단부에서 본체(10)의 바닥면으로 연장되어 제1, 2저장부(11,12)(하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제2저장부(12)와 그렇지 않은 제1저장부(11))를 구획하는 구획벽(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공간이 대폭 축소되어 공간 확보에 유리한 동시에 비용면에서도 저비용으로 시설을 마련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공간적인 면과 경제적인 면을 모두 해결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스크러버, 본체, 제1처리부, 차단판, 구획벽

Description

멀티스크러버{Multi Scrubber}
본 발명은 스크러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본체 내에 복수의 가스 처리부를 구획 설치하여 오염된 가스를 다단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이 대폭 축소되어 공간 확보에 유리한 동시에 비용면에서도 저비용으로 시설을 마련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공간적인 면과 경제적인 면을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러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러버(scrubber)는 여러 산업시설이나 대기오염 등으로부터 발생된 유해가스 등을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장치의 하나로서, 밀폐된 공간 내에 오염된 가스를 투입한 후 세정수를 분사하여 오염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말한다.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각종 오폐수처리장 및 음식물의 퇴비화, 사료화의 시설, 도금공장, 피막 및 염색공장 등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황화메칠 등의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탈취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탈취의 효율저하 및 관리 부주의로 인하여 민원이 발생하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해가스인 악취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토양 탈취법, 흡착법, 미생물처리법, 바이오 필터법, 일반 세정법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설치비와 유지관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관리상의 어려움과 설치후 탈취효율이 저하됨으로 인하여 많은 민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고, 특히 일반 세정방식에는 분사노즐과 충진물의 관리상 문제와 세정후의 세정수 미립자가 대기권으로 배출됨으로 인하여 악취제거효율에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었다.
또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러버의 기능은 주로 가스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가스입구관으로 유입되는 가스나 분진 등에 물이나 약품을 분사식으로 주사함으로서 약품 등에 용해되는 가스나 분진 등 입자상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며, 따라서 제거되고 남은 슬러지 처리를 위하여는 별도의 작업으로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일례로, 종래 기술의 스크러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하측에 세정수를 수용하는 저수조와, 상기 스크러버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조공정시 배출되는 분진이나 입자성물질, 유해가스 등이 덕트를 통해 흡입되는 흡입관과, 공급펌프의 작동으로 송출파이프를 통해 스크러버 내로 흡입된 상기 유해가스 등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저수조 내로 새로운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저수조 내에 세정수가 오버플로우 될 경우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관과, 저수조 하면에 침전되어있는 이물질과 오염도가 심한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해 내는 배수관과, 상기 스크러버내에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스크러버는 분진, 입자성 물질 등의 유해가스가 덕트를 통해 스크러버 내로 이송되면 상기 저수조 하측의 세정수를 공급펌프에 의해 분사노즐을 통하여 상기 유해가스에 분사하여 유해가스 및 오염물질들을 스크러버 하측으로 걸러내고, 저수조 하부에 집수된 세정수는 공급펌프에 의해 재순환되며 세정수의 pH가 산성으로 떨어지거나 일정시간이 지나 세정수의 오염도가 높아지면 주기적으로 새로운 용수를 급수하여 오염된 세정수는 배수관으로 배수시켜 폐수 처리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스크러버는 오염된 가스를 처리하는데 있어 보통 2 ~ 3개의 스크러버를 직렬로 연결하여 작업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복수의 스크러버를 설치하기 위해 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복수의 스크러버를 마련하기 위해 고비용이 소요되는 등 근본적으로 공간적인 문제와 경제적인 문제가 많이 가중되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본체 내에 복수의 가스 처리부를 구획 설치하여 오염된 가스를 다단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이 대폭 축소되어 공간 확보에 유리한 동시에 비용면에서도 저비용으로 시설을 마련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공간적인 면과 경제적인 면을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러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크러버는 하단부에 세정수를 저장하는 제1, 2저장부가 마련되고 이 제1저장부 상방 벽면에 가스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가스배출구가 마련된 본체; 상기 가스유입구 상방인 본체 내부에 밀접 배치되는 제1처리부; 상기 제1처리부 상방에 배치되어 이 제1처리부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 상기 제1분사부 상방에 배치되고 상방으로 가스가 통하도록 하는 가스통로 및 이 가스통로로의 낙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커버가 마련된 차단판; 상기 차단판의 상방인 본체 내부에 밀접 배치되는 제2처리부; 상기 제2 처리부 상방에 배치되어 이 제2처리부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 상기 차단판에서 본체의 내벽면을 따라 하단부의 제2저장부로 연장되는 낙수통로; 및 상기 낙수통로 하단부에서 본체의 바닥면으로 연장되어 제1, 2저장부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부는 제1저장부의 세정수가 순환되어 분사되도록 하는 제1순환라인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부는 제2저장부의 세정수가 순환되어 분사되도록 하는 제2순환라인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에 있어서, 상기 제1,2저장부의 일측부에 이 제1,2저장부와 연통되어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보조탱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보조탱크는 증발되는 수분량만큼 일정량의 새로운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보조탱크는 외부의 약품탱크와 연결되어 세정수가 항상 중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약품을 일정량씩 공급하여 주도록 하는 농도조절기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러버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 상에 제1, 2저장부를 서로 연통시켜 이들의 수위가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깨끗한 제2저장부의 세정수가 제1저장부로 유입되게 하여 제1저장부에는 별도의 용수를 공급하 지 아니하게 하는 수위조절통로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러버는 하나의 본체 내에 복수의 가스 처리부를 구획 설치하여 오염된 가스를 다단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이 대폭 축소되어 공간 확보에 유리한 동시에 비용면에서도 저비용으로 시설을 마련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공간적인 면과 경제적인 면을 모두 해결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러버는 하단부에 세정수를 저장하는 제1, 2저장부(11,12)가 마련되고 이 제1저장부(11) 상방 벽면에 가스유입구(13)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가스배출구(14)가 마련된 본체(10)와, 상기 가스유입구(13) 상방인 본체(10) 내부에 밀접 배치되는 제1처리부(20)와, 이 제1처리부(20) 상방에 배치되어 이 제1처리부(20)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30)와, 이 제1분사부(30) 상방에 배치되고 상방으로 가스가 통하도록 하는 가스통로(41) 및 이 가스통로(41)로의 낙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커버(42)가 마련된 차단판(40)과, 이 차단판(40)의 상방인 본체(10) 내부에 밀접 배치되는 제2처리부(50)와, 이 제2처리부(50) 상방에 배치되어 이 제2처리부(50)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60)와, 상기 차단판(40)에서 본체(10)의 내벽면을 따라 하단부의 제2저장부(12)로 연장되는 낙수통로(70) 및 이 낙수통로(70) 하단부에서 본체(10)의 바닥면으로 연장되어 제1, 2저장부(11,12)를 구획하는 구획벽(8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분사부(30)는 제1저장부(11)의 세정수가 순환되어 분사되도록 하는 제1순환라인(90)이 마련되고, 상기 제2분사부(60)는 제2저장부(12)의 세정수가 순환되어 분사되도록 하는 제2순환라인(100)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저장부(12)의 일측부에는 이 제2저장부(12)와 연통되어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보조탱크(11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수보조탱크(110)는 증발되는 수분량만큼 일정량의 새로운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111) 및 외부의 약품탱크(120)와 연결되어 세정수의 수소이온농도(ph)가 항상 중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약품을 일정량씩 공급하여 주도록 하는 농도조절기(11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80) 상에는 제1, 2저장부(11,12)를 서로 연통시켜 이들의 수위가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하는 수위조절통로(8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스크러버는 가스유입구(13)를 통해 가스가 본체(10) 내로 유입되면 그 상부의 제1처리부(20)에서 가스와 제1분사부(30)의 세정수가 접촉하여 1차 세정이 이루어지면, 이 제1처리부(20)를 거친 가스는 계속해서 상승하여 상방의 차단판(40)의 가스통로(41)를 거쳐 제2처리부(50)로 이동된다.
이때, 제1처리부(20)에서 세정이 완료된 세정수는 하방의 제2저장부(12)로 낙수되어 저장되었다가 다시 제1순환라인(90)을 통해 제1분사부(30)로 순환 재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제2처리부(50)로 이동된 가스는 다시 제2분사부(60)의 세정수에 의해 2차 세정이 이루어진 후 최종적으로 본체(10) 상단부의 가스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도, 제2처리부(50)에서 세정이 완료된 세정수는 차단판(40)의 차단커버(42)를 타고 흘러 본체(10)의 일측 내벽면에 마련된 낙수통로(70)를 거쳐 하단부의 제1저장부(11)에 저장되었다가 다시 제2순환라인(100)을 통해 제2분사부(60)로 순환 재사용되는 것이다.
이렇게 가스가 세정되는 동안, 세정수보조탱크(110)를 통해서는 제2저장부(12)로 시수(수돗물)을 지속적으로 필요한 만큼 공급하여 주고, 상기 세정수보조탱크(110)의 수위감지부(111)는 증발되는 수분량만큼 일정량의 새로운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수위를 감지하는 동시에 농도조절기(112)를 통해서는 세정수의 수소이온농도(ph)가 항상 중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의 약품탱크(120)로부터 약품을 일정량씩 공급하여 주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러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제1저장부
12 : 제2저장부 13 : 가스유입구
14 : 가스배출구 20 : 제1처리부
30 : 제1분사부 40 : 차단판
41 : 가스통로 42 : 차단커버
50 : 제2처리부 60 : 제2분사부
70 : 낙수통로 80 : 구획벽
81 : 수위조절통로 90 : 제1순환라인
100 : 제2순환라인 110 : 세정수보조탱크
111 : 수위감지부 112 : 농도조절기
120 : 약품탱크

Claims (7)

  1. 하단부에 세정수를 저장하는 제1, 2저장부(11,12)가 마련되고 이 제1저장부(11) 상방 벽면에 가스유입구(13)가 형성되며 상단부에 가스배출구(14)가 마련된 본체(10);
    상기 가스유입구(13) 상방인 본체(10) 내부에 밀접 배치되는 제1처리부(20);
    상기 제1처리부(20) 상방에 배치되어 이 제1처리부(20)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30);
    상기 제1분사부(30) 상방에 배치되고 상방으로 가스가 통하도록 하는 가스통로(41) 및 이 가스통로(41)로의 낙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커버(42)가 마련된 차단판(40);
    상기 차단판(40)의 상방인 본체(10) 내부에 밀접 배치되는 제2처리부(50);
    상기 제2처리부(50) 상방에 배치되어 이 제2처리부(50)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60);
    상기 차단판(40)에서 본체(10)의 내벽면을 따라 하단부의 제2저장부(12)로 연장되는 낙수통로(70); 및
    상기 낙수통로(70) 하단부에서 본체(10)의 바닥면으로 연장되어 제1, 2저장부(11,12)를 구획하는 구획벽(8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크러버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12)의 일측부에 이 제2저장부(12)와 연통되어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보조탱크(1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80) 상에 제1, 2저장부(11,12)를 서로 연통시켜 이들의 수위가 항상 일정하게 되도록 하는 수위조절통로(8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부(30)는 제1저장부(11)의 세정수가 순환되어 분사되도록 하는 제1순환라인(9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부(60)는 제2저장부(12)의 세정수가 순환되어 분사되도록 하는 제2순환라인(10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보조탱크(110)는 증발되는 수분량만큼 일정량의 새로운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11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보조탱크(110)는 외부의 약품탱크(120)와 연결되어 세정수가 항상 중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약품을 일정량씩 공급하여 주도록 하는 농도조절기(11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러버.
  7. 삭제
KR1020090051427A 2009-06-10 2009-06-10 멀티스크러버 KR100975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427A KR100975099B1 (ko) 2009-06-10 2009-06-10 멀티스크러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427A KR100975099B1 (ko) 2009-06-10 2009-06-10 멀티스크러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099B1 true KR100975099B1 (ko) 2010-08-11

Family

ID=4275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427A KR100975099B1 (ko) 2009-06-10 2009-06-10 멀티스크러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09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831B1 (ko) * 2010-12-31 2012-05-15 박준호 다단 적층 구조형 멀티 팩타워
KR101774172B1 (ko) 2016-10-27 2017-09-01 조병일 미생물과 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CN108870991A (zh) * 2018-05-21 2018-11-23 苏州洋紫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水淋净化技术的工业窑炉废气环保治理装置
CN109224725A (zh) * 2018-11-08 2019-01-18 江苏恒辉安防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废气过滤系统
KR102013755B1 (ko) 2018-06-27 2019-10-21 서울샤프중공업 주식회사 산가스 처리를 위한 스크러버
CN111036010A (zh) * 2020-01-02 2020-04-21 北京天朗致达节能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含尘蒸汽的除尘设备
KR102157572B1 (ko) * 2020-04-29 2020-09-18 (주)하나엔텍 집진 탈취기용 스컴 및 침전물 제거장치
KR102163198B1 (ko) * 2019-10-08 2020-10-12 주식회사 부강테크 충진물 및 그를 포함하는 충진부재를 사용한 기체 용해장치
KR102345774B1 (ko) * 2021-07-26 2021-12-31 (주)에스에스에코텍 세정액 재이용 다단 탈취기
KR20220005764A (ko) * 2020-07-07 2022-01-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습식 스크러버를 이용한 탈취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111A (ko) * 2001-07-11 2003-01-23 주식회사 유젠바이오 황금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 및 재생용 조성물
KR200307111Y1 (ko) * 2002-11-22 2003-03-15 주식회사 대흥엔지니어링 분뇨처리장용 분뇨기체의 탈취장치
KR20040025371A (ko) * 2002-09-19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휘도조절방법
KR100605021B1 (ko) * 2006-02-06 2006-07-28 (주) 바이오에너지개발 악취 특성에 따른 상분리 스크라버
KR200425371Y1 (ko) * 2006-06-12 2006-09-01 진성언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111A (ko) * 2001-07-11 2003-01-23 주식회사 유젠바이오 황금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 및 재생용 조성물
KR20040025371A (ko) * 2002-09-19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휘도조절방법
KR200307111Y1 (ko) * 2002-11-22 2003-03-15 주식회사 대흥엔지니어링 분뇨처리장용 분뇨기체의 탈취장치
KR100605021B1 (ko) * 2006-02-06 2006-07-28 (주) 바이오에너지개발 악취 특성에 따른 상분리 스크라버
KR200425371Y1 (ko) * 2006-06-12 2006-09-01 진성언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831B1 (ko) * 2010-12-31 2012-05-15 박준호 다단 적층 구조형 멀티 팩타워
KR101774172B1 (ko) 2016-10-27 2017-09-01 조병일 미생물과 미세기포를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CN108870991A (zh) * 2018-05-21 2018-11-23 苏州洋紫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水淋净化技术的工业窑炉废气环保治理装置
KR102013755B1 (ko) 2018-06-27 2019-10-21 서울샤프중공업 주식회사 산가스 처리를 위한 스크러버
CN109224725A (zh) * 2018-11-08 2019-01-18 江苏恒辉安防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废气过滤系统
CN109224725B (zh) * 2018-11-08 2024-05-03 江苏恒辉安防股份有限公司 一种废气过滤系统
KR102163198B1 (ko) * 2019-10-08 2020-10-12 주식회사 부강테크 충진물 및 그를 포함하는 충진부재를 사용한 기체 용해장치
CN111036010A (zh) * 2020-01-02 2020-04-21 北京天朗致达节能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含尘蒸汽的除尘设备
KR102157572B1 (ko) * 2020-04-29 2020-09-18 (주)하나엔텍 집진 탈취기용 스컴 및 침전물 제거장치
KR20220005764A (ko) * 2020-07-07 2022-01-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습식 스크러버를 이용한 탈취 장치
KR102473760B1 (ko) * 2020-07-07 2022-12-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습식 스크러버를 이용한 탈취 장치
KR102345774B1 (ko) * 2021-07-26 2021-12-31 (주)에스에스에코텍 세정액 재이용 다단 탈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099B1 (ko) 멀티스크러버
KR101653368B1 (ko)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396537B1 (ko)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0717430B1 (ko)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KR100820845B1 (ko) 2액 동시세정 탈취탑
KR102096122B1 (ko) 가축 축사의 배기 정화를 위한 배기 정화 장치 및 방법
KR20140073279A (ko) 선박용 배기 가스 정화장치
KR102117920B1 (ko) 다단 습식 스크러버
JP2007152223A (ja) 水の浄化装置、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装置並びに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システム
KR102308434B1 (ko) 고효율 세정식 탈취장치
KR101874952B1 (ko) 선회식 유로 접촉을 이용한 다단 세정 탈취장치
KR102047210B1 (ko) 복합탈취장치
KR101913197B1 (ko) 스크러버 장치
KR101823139B1 (ko) 터널식 오존 세정 악취 제거 장치
CN204891567U (zh) 一种难降解恶臭废气芬顿氧化深度处理装置
KR20100062695A (ko) 나노 펄스 코로나 발생장치와 바이오필터 하이브리드 복합 여과장치
KR101445907B1 (ko) 탈취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309268Y1 (ko) 물세척 공기정화기
JP4915564B2 (ja) 湿式空気清浄装置
KR101012725B1 (ko) 벤튜리효과를 이용한 탈취수분무식 탈취시스템
KR102295025B1 (ko) 더블 약품탱크를 구비하는 포그 스프레이 약액세정 탈취기
KR200425371Y1 (ko)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KR101692317B1 (ko) 복합처리 방식의 탈취장치 및 방법
KR101848790B1 (ko) 자가 세정 폐가스 처리 장치
JP2005013789A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105

Effective date: 201005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