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328B1 - 퓨즈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퓨즈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328B1
KR100974328B1 KR1020080033753A KR20080033753A KR100974328B1 KR 100974328 B1 KR100974328 B1 KR 100974328B1 KR 1020080033753 A KR1020080033753 A KR 1020080033753A KR 20080033753 A KR20080033753 A KR 20080033753A KR 100974328 B1 KR100974328 B1 KR 100974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onnector
low
pi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8367A (ko
Inventor
진상현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328B1/ko
Publication of KR2009010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6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42Application rejection, i.e. preventing improper installation 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우파일퓨즈의 결합이 가능하여 중량이 감소되며,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 및 로우파일퓨즈를 캐비티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어 차체 진동 또는 충격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 수송 중 로우파일퓨즈와 터미널 연결되지 않은 회로 차단 상태에서 수송하여 커넥터가 자중 또는 차체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캐비티에 완전히 삽입되어 회로가 연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회로 연결에 따른 배터리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퓨즈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커넥터, 퓨즈, 캐비티

Description

퓨즈 결합 장치 {Fuse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퓨즈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우파일퓨즈와 터미널 연결되지 않은 회로 차단 상태에서 커넥터가 자중,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캐비티에 완전히 삽입되어 회로가 연결되는 것을 차단하는 퓨즈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퓨즈박스에는 대략 20여개의 퓨즈를 삽입하게 되는데, 차량의 제작시에는 퓨즈 삽입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퓨즈를 삽입하고 있다.
최근에는, 협소한 공간에 퓨즈박스 설치시 상측부가 돌출되는 퓨즈와는 달리 상측부가 돌출되지 않는 로우파일퓨즈를 사용한다.
상기 로우파일퓨즈는 퓨즈와 형상이 상이하여 결합되는 부위가 퓨즈의 결합부위와는 이형으로 형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퓨즈를 결합하는 퓨즈 결합 장치는 퓨즈가 로우파일퓨즈에 비해 형상의 크기가 크고, 커넥터에서 돌출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으로의 설치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차체 진동시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는 커넥터 조립시 오삽입으로 인해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는 차량 수송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장치의 회로를 차단시켜 놓는데, 커넥터의 자중 또는 차제 진동에 의해 수송 중 회로가 연결되어 배터리가 방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로우파일퓨즈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중량을 감소시키고,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를 가능하게 하며, 커넥터 및 로우파일퓨즈를 캐비티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차체 진동 또는 충격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오삽입으로 인한 불량률을 현저히 낮추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 수송 중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로우파일퓨즈와 터미널이 연결되지 않은 회로 차단 상태에서 수송 가능하게 하여 커넥터가 자중 또는 차체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캐비티에 완전히 삽입되어 회로가 연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회로 연결에 따른 배터리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하는 퓨즈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로우파일퓨즈가 결합되는 커넥터, 상기 로우파일퓨즈를 상기 커넥터의 측면으로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의 결합부위에 형성되는 퓨즈결합부,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어 상기 로우파일퓨즈가 터미널에 연결되는 캐비티 및 상기 커넥터를 상기 캐비티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티의 결합부위에 형성되는 연결결합부를 포함하는 퓨즈 결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퓨즈결합부는 상기 로우파일퓨즈가 상기 커넥터의 측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에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양측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로우파일퓨즈의 슬라이딩 삽입을 안내하는 레일홈 및 상기 로우파일퓨즈가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부에 마주하게 돌출 형성되는 퓨즈고정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퓨즈결합부의 결합 상태 확인을 위해 상기 커넥터의 상측부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확인부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로우파일퓨즈가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로우파일퓨즈의 삽입을 멈추어 상기 로우파일퓨즈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멈춤편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퓨즈고정편은 상기 로우파일퓨즈의 삽입을 원활하게 하고, 삽입 후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은 완만한 경사면을 갖고, 타측은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결합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로우파일퓨즈를 수용하여 상기 로우파일퓨즈와 상기 터미널이 연결되도록 상기 캐비티에 형성되는 하우징수용부, 상기 하우징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로우파일퓨즈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홈, 상기 커넥터의 하측면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편, 상기 삽입편이 삽입되도록 상기 캐비티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로우파일퓨즈가 걸려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내홈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결합부는 상기 삽입편을 지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삽입편 내측면에 직각되게 형성되는 리브 및 상기 리브가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결합부는 상기 로우파일퓨즈의 일측이 걸려 진동, 충격 또는 자중에 의한 삽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안내홈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방지편을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편 및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넥터가 설정된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일측의 상기 삽입편 및 상기 연결부가 타측의 상기 삽입편 및 상기 연결부와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는 로우파일퓨즈의 결합이 가능하여 중량이 감소되며,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 및 로우파일퓨즈를 캐비티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어 차체 진동 또는 충격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며, 오삽입으로 인한 불량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 수송 중 로우파일퓨즈와 터미널 연결되지 않은 회로 차단 상태에서 수송하여 커넥터가 자중 또는 차체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캐비티에 완전히 삽입되어 회로가 연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회로 연결에 따른 배터리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에서 커넥터와 로 우파일 퓨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에서 커넥터에 로우파일퓨즈가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에서 캐비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에서 캐비티에 커넥터가 결합되어 가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에서 캐비티에 커넥터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는 커넥터(20), 퓨즈결합부(30), 캐비티(40), 연결결합부(50)로 크게 구성된다.
커넥터(20)는 로우파일퓨즈(10)가 결합되며, 로우파일퓨즈(10)를 차체의 배터리에 연결된 전기장치에 연결하여 퓨즈로서의 역할을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로우파일퓨즈(10)는 전선에 규정 값 이상의 과도한 전류가 계속 흐르지 못하게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로 자동차의 터미널(42)에 연결되어 각 종 전기장치를 보호한다.
또한, 로우파일퓨즈(10)는 종래의 퓨즈에 비해 소형일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벼우며, 커넥터(20)에 결합시 돌출되는 부위가 없어 타 부품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로우파일퓨즈(10)는 커넥터(20)로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양측에 각각 하우징턱(12)이 형성된다.
그리고, 퓨즈결합부(30)는 로우파일퓨즈(10)와 커넥터(20)의 결합부위에 형성되어 로우파일퓨즈(10)를 커넥터(20)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퓨즈결합부(30)는 삽입부(31), 레일홈(32), 퓨즈고정편(33)으로 구성된다.
삽입부(31)는 로우파일퓨즈(10)가 커넥터(20)의 측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커넥터(20)에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삽입부(31)는 로우파일퓨즈(10)를 커넥터(20)의 양 측면에 각각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커넥터(20)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레일홈(32)은 삽입부(31) 내측 양 벽면에 함몰 형성되어 로우파일퓨즈(10)의 하우징턱(12)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안내한다.
레일홈(32)은 로우파일퓨즈(10)의 하우징턱(12)이 커넥터(20)의 삽입부(31) 양측면을 따라 각각 삽입되도록 커넥터(20)의 삽입부(31) 양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레일홈(32)은 커넥터(20)의 삽입부(31) 양측면에 각각 대칭되게 형성되어 로우파일퓨즈(10)의 양측을 지지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로우파일퓨즈(1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퓨즈고정편(33)은 로우파일퓨즈(10)의 하우징턱(12)이 걸려 고정되도록 삽입부(31)에 마주하게 돌출 형성된다.
퓨즈고정편(33)은 로우파일퓨즈(10)의 하우징턱(12) 삽입을 원활하게 하고, 삽입 후 하우징턱(12)이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은 완만한 경사면을 갖고, 타측 은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부(31)는 로우파일퓨즈(10) 삽입을 멈추어 로우파일퓨즈(10)가 커넥터(20)의 반대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멈춤편(35)을 더 구비한다.
멈춤편(35)은 삽입부(31)로 삽입되는 로우파일퓨즈(10)의 하우징턱(12) 끝단을 지지하여 더 이상의 삽입을 차단함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삽입부(31)는 로우파일퓨즈(10)가 정확하게 결합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커넥터(20)의 상측부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확인부(34)를 구비하는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확인부(34)를 통해 로우파일퓨즈(10)의 삽입을 관찰하여 삽입부(31)의 정위치에 결합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캐비티(40)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 박스에 다수개 형성되어 로우파일퓨즈(10)가 결합된 커넥터(20)가 조립되도록 구비된다.
캐비티는 내부에 터미널(42)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20) 결합시 로우파일퓨즈(10)가 연결 접지된다.
그리고, 연결결합부(50)는 커넥터(20)와 캐비티(40)의 결합부위에 형성되어 커넥터(20)를 캐비티(40)에 결합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연결결합부(50)는 하우징수용부(51), 안내홈(52), 삽입편(54), 연결부(56), 이탈방지편(58)으로 구성된다.
하우징수용부(51)는 커넥터(20)와 로우파일퓨즈(10)를 수용하여 로우파일퓨즈(10)와 터미널(42)이 연결되도록 캐비티(40)에 함몰 형성된다.
안내홈(52)은 하우징수용부(51)의 내측 벽면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함몰 형성되어 커넥터(20) 삽입시 로우파일퓨즈(10)의 삽입을 안내한다.
삽입편(54)은 커넥터(20)의 하측면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연결부(56)는 커넥터(20) 삽입시 삽입편(54)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캐비티(40)의 양측에 형성된다.
이때, 삽입편(54) 및 연결부(56)는 커넥터(20)가 설정된 방향으로만 캐비티(40)에 삽입되도록 일측의 삽입편(54) 및 연결부(56)가 타측의 삽입편(54) 및 연결부(56)와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결합부(50)의 삽입편(54)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삽입편(54) 내측면에 직각되게 형성되는 리브(55)를 구비한다.
그리고, 연결결합부(50)의 연결부(56)는 리브(55)가 삽입되어 커넥터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연결부(56)에 직각되게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57)를 구비한다.
리브(55)는 삽입편(54)의 연결부(56) 삽입시 지지부(57)에 삽입되어 커넥터(20)의 고정을 견고히 하고, 삽입편(54)을 보강하여 강도를 높이다.
그리고, 이탈방지편(58)은 커넥터(20) 삽입시 로우파일퓨즈(10)의 하우징턱이 걸려 고정되어 삽입 반대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내홈(52)에 돌출 형성된다.
이탈방지편(58)은 커넥터(20) 삽입시 로우파일퓨즈(10)의 하우징턱(12)이 타고 넘어간 후 하우징턱(12)의 상면이 걸리도록 형성되어 커넥터(20)의 이탈을 방지 하는 것이다.
또한, 연결결합부(50)는 커넥터(20) 삽입시 로우파일퓨즈(10)와 터미널(42)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로우파일퓨즈(10)의 일측이 걸려 자중에 의한 삽입이 방지되도록 안내홈(52)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방지편(53)을 구비한다.
연결방지편(53)은 로우파일퓨즈(10)의 하우징턱(12) 저면이 걸려 차량 수송 중 로우파일퓨즈(10)가 불필요하게 삽입되어 터미널(42)에 연결됨으로써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로우파일퓨즈(10)는 연결결합부(50)의 이탈방지편(58)과 연결방지편(53) 사이에 하우징턱(12)이 걸려 고정됨으로써 삽입 방향 및 삽입 반대 방향 이탈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파일퓨즈(10)는 퓨즈결합부(30)에 의해 커넥터(20)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로우파일퓨즈(10)는 커넥터(20)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부(31)에 각각 커넥터(20)의 측면으로부터 삽입된다.
그리고, 로우파일퓨즈(10)는 하우징턱(12)이 퓨즈결합부(30)의 레일홈(32)에 안내되어 삽입부(31) 내로 삽입된다.
로우파일퓨즈(10)는 삽입부(31)에 삽입된 후 하우징턱(12)이 퓨즈고정편(33)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 퓨즈고정편(33)은 일측이 완만하게 형성되어 로우파일퓨즈(10)의 하우징턱(12)이 용이하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여 삽입을 원활하게 하고, 타측은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로우파일퓨즈(10)가 삽입 후 하우징턱(12)이 걸려 고정되게 함으로써 삽입 반대 방향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로우파일퓨즈(10)는 삽입부(31)에 삽입되다가 하우징턱(12) 끝단이 멈춤편(35)에 접하면서 삽입이 차단되어 커넥터(20) 반대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삽입부(31)에서 커넥터(20)의 상측부로 개방된 확인부(34)를 통해 퓨즈결합부(30)의 결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로우파일퓨즈(10)를 커넥터(20)의 삽입부(31) 정위치에 정확히 삽입하고, 오삽입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20)에 로우파일퓨즈(10) 삽입이 완료되면 커넥터(20)를 캐비티(40)에 결합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0)는 연결결합부(50)에 의해 캐비티(40)에 결합된다.
먼저, 커넥터(20)의 하측부 및 로우파일퓨즈(10)가 캐비티(40)의 하우징수용부(51)에 삽입된다.
로우파일퓨즈(10)는 하우징수용부(51)에 형성된 안내홈(52)을 따라 삽입된다.
이때, 로우파일퓨즈(10)는 하우징턱(12)이 안내홈(52)에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편(58)을 타고 넘어가서 상면이 이탈방지편(58)에 걸려 삽입 반대 방향으로 이탈 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와 동시에, 로우파일퓨즈(10)의 하우징턱(12) 저면이 안내홈(52)에 형성된 연결방지편(53)에 걸려 삽입이 중지된다.
즉, 로우파일퓨즈(10)는 하우징턱(12)이 이탈방지편(58)과 연결방지편(53)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진동, 충격 또는 커넥터(20)와 로우파일퓨즈(10)의 자중에 의해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로우파일퓨즈(10)가 캐비티(40)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 로우파일퓨즈(10)와 터미널(42)이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어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커넥터(20)는 로우파일퓨즈(10)가 캐비티(40)에 고정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 수송시에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차단하여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20)가 캐비티(40)에 완전히 결합되지 않도록 하여 로우파일퓨즈(10)와 터미널(42)이 접지되지 않게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수송이 완료되면 차량을 사용하기 위해 커넥터(20)를 캐비티(40)에 완전히 결합하여 각 전기장치에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먼저, 커넥터(20)는 삽입편(54)과 리브(55)가 캐비티(40)에 형성된 연결부(56) 및 지지부(57)에 각각 삽입된다.
삽입편(54)과 리브(55)는 연결부(56)와 지지부(57)에 삽입됨으로써 전후좌우 유동이 방지된다.
리브(55)는 삽입편(54)을 지지하여 강도를 보강하고, 지지부(57)에 삽입됨으로써 삽입편(54)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이때, 커넥터(20)의 일측 삽입편(54)과 타측 삽입편(54)의 크기가 상이하며, 캐비티(40) 역시 일측 연결부(56)와 타측 연결부(56)의 크기가 커넥터(20)의 삽입편(54)에 대응되도록 상이한 크기로 각각 형성된다.
이는, 커넥터(20)의 조립 방향을 지정하기 위함이고, 작업자가 커넥터(20)의 조립 방향을 인지하지 못하고 조립할 경우 오삽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와 동시에, 로우파일퓨즈(10)가 캐비티(20)의 하우징수용부(51) 내측으로 더 밀려 들어가면서 하우징턱(12)이 연결방지편(53)을 타고 넘어가 상면이 걸림으로써 삽입 반대 방향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로우파일퓨즈(10)는 캐비티(40)의 터미널(42)에 접지되어 회로를 열어 통전시키게 된다.
이로써, 로우파일퓨즈(10)가 터미널(42)에 연결되어 통전됨으로써 배터리에서 각 전기 장치로 전원이 공급되어 차량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는 로우파일퓨즈(10)의 결합이 가능하여 중량이 감소되며,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20) 및 로우파일퓨즈(10)를 캐비티(4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어 차체 진동 또는 충격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20)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며, 오삽입으로 인한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 수송 중 로우파일퓨즈(10)와 터미널(42) 연결되지 않은 회로 차단 상태에서 커넥터(20)가 자중 또는 차체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캐비티(40)에 완전히 삽입되어 회로가 연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회로 연결에 따른 배터리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에서 커넥터와 로우파일 퓨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에서 커넥터에 로우파일퓨즈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에서 캐비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에서 캐비티에 커넥터가 결합되어 가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결합 장치에서 캐비티에 커넥터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우파일퓨즈 20 : 커넥터
30 : 퓨즈결합부 40 : 커넥터
50 : 연결결합부

Claims (10)

  1. 로우파일퓨즈가 결합되는 커넥터;
    상기 로우파일퓨즈를 상기 커넥터의 측면으로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의 결합부위에 형성되는 퓨즈결합부;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어 상기 로우파일퓨즈가 터미널에 연결되는 캐비티; 및
    상기 커넥터를 상기 캐비티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티의 결합부위에 형성되는 연결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결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결합부는 상기 로우파일퓨즈가 상기 커넥터의 측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에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양측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로우파일퓨즈의 슬라이딩 삽입을 안내하는 레일홈; 및
    상기 로우파일퓨즈가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부에 마주하게 돌출 형성되는 퓨즈고정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결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퓨즈결합부의 결합 상태 확인을 위해 상기 커넥터의 상측부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확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결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로우파일퓨즈가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결합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로우파일퓨즈의 삽입을 멈추어 상기 로우파일퓨즈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멈춤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결합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고정편은 상기 로우파일퓨즈의 삽입을 원활하게 하고, 삽입 후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은 완만한 경사면을 갖고, 타측은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결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결합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로우파일퓨즈를 수용하여 상기 로우파일퓨즈와 상기 터미널이 연결되도록 상기 캐비티에 형성되는 하우징수용부;
    상기 하우징수용부에 형성되어 상기 로우파일퓨즈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홈;
    상기 커넥터의 하측면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편;
    상기 삽입편이 삽입되도록 상기 캐비티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로우파일퓨즈가 걸려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내홈에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결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결합부는 상기 삽입편을 지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삽입편 내측면에 직각되게 형성되는 리브; 및
    상기 리브가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결합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결합부는 상기 로우파일퓨즈의 일측이 걸려 진동, 충격 또는 자중에 의한 삽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안내홈에 돌출 형성되는 연결방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결합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 및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넥터가 설정된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일측의 상기 삽입편 및 상기 연결부가 타측의 상기 삽입편 및 상기 연결부와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결합 장치.
KR1020080033753A 2008-04-11 2008-04-11 퓨즈 결합 장치 KR100974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753A KR100974328B1 (ko) 2008-04-11 2008-04-11 퓨즈 결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753A KR100974328B1 (ko) 2008-04-11 2008-04-11 퓨즈 결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367A KR20090108367A (ko) 2009-10-15
KR100974328B1 true KR100974328B1 (ko) 2010-08-06

Family

ID=4155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753A KR100974328B1 (ko) 2008-04-11 2008-04-11 퓨즈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3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9693A (ja) * 1991-12-06 1993-06-25 Yazaki Corp 暗電流ヒューズの断続機構
JPH05342979A (ja) * 1992-06-08 1993-12-24 Yazaki Corp 暗電流用ヒューズ機構
JPH07192600A (ja) * 1993-12-27 1995-07-28 Yazaki Corp ヒューズホルダの係止構造
JPH07245489A (ja) * 1994-03-04 1995-09-19 Yazaki Corp 箱型電装部品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9693A (ja) * 1991-12-06 1993-06-25 Yazaki Corp 暗電流ヒューズの断続機構
JPH05342979A (ja) * 1992-06-08 1993-12-24 Yazaki Corp 暗電流用ヒューズ機構
JPH07192600A (ja) * 1993-12-27 1995-07-28 Yazaki Corp ヒューズホルダの係止構造
JPH07245489A (ja) * 1994-03-04 1995-09-19 Yazaki Corp 箱型電装部品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367A (ko)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621B2 (en) Connector apparatus
US7438576B2 (en) Connector for use in substrate
US7988493B2 (en) Electrical component holder
EP2581946B1 (en) Solar cell module terminal box
JP2005237196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及びその組立方法
JPH09306618A (ja) コネクタ構造
CN109314337A (zh) 连接器
JP2014054005A (ja) 電気接続箱
KR100974328B1 (ko) 퓨즈 결합 장치
US8507809B2 (en) Component-equipped-holder mounting structure
US11417982B2 (en) Connector
JP2004015958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と付設電気接続箱との連結構造
KR101725929B1 (ko) Usb 커넥팅 케이블 조립체
KR100731253B1 (ko) 암커넥터 조립체
CN110311261B (zh)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合
KR102023204B1 (ko) 커넥터 조립체
CN217114302U (zh) 方便熔断器插拔定位的隔离开关结构、熔断器和隔离开关
JP5404640B2 (ja) 差込接続器を収容するための収容装置
CN107634379B (zh) 连接器
JP6530976B2 (ja) コネクタ用のキャップ
JP4792205B2 (ja) コネクタ
CN219086286U (zh) 母端子及插接结构
CN209747673U (zh) 一种继电器快速固定卡扣
KR20090010054U (ko) 퓨즈 결합 장치
JP5537239B2 (ja) 暗電流ヒューズの断続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