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787B1 - 덕트들을 통해 유동하거나 또는 탱크에 있는 유체의 압력을검사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덕트들을 통해 유동하거나 또는 탱크에 있는 유체의 압력을검사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787B1
KR100973787B1 KR1020067012478A KR20067012478A KR100973787B1 KR 100973787 B1 KR100973787 B1 KR 100973787B1 KR 1020067012478 A KR1020067012478 A KR 1020067012478A KR 20067012478 A KR20067012478 A KR 20067012478A KR 100973787 B1 KR100973787 B1 KR 100973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luid
slider
pressur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562A (ko
Inventor
마르첼로 펠리치아리
Original Assignee
시스텍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텍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시스텍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060118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91Constructional details of means for attaching the control device
    • B60C23/0496Valve stem attachments positioned outside of the tyre chamb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4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in the form of flexible, deformable tubes, e.g. Bourdon gau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덕트들을 통해 유동하거나 또는 탱크에 있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는 장치(100), 및 이 장치(100)의 외측 커버를 형성하는 축방향 대칭의 덮개(1)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카운터 스프링(3)에 의해 연결 본체(2)에 대한 원위 위치에 유지되며, 또한 본체(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장치(100)를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환시키며, 상기 장치(100)의 변환은 외부 힘(F)에 의해 실행된다.

Description

덕트들을 통해 유동하거나 또는 탱크에 있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SURVEYING THE PRESSURE OF FLUIDS HOUSED IN TANKS OR FLOWING THROUGH DUCTS}
본 발명은 탱크에 내장되었거나 또는 도관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는 능력이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산업, 위생업, 수송업 및 이러한 모든 분야의 민간용 또는 군용 시스템으로서, 탱크 및 도관을 포함하는 그러한 시스템의 노후화나 동작 멈춤을 피하기 위해 압력을 사전 설정치 또는 임계치 내로 유지시켜야 하는,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장치를 사용하는 몇몇의 예는 다음과 같다.
a)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공기 압력 브레이킹 시스템,
b) 동력 작동식 기계와 로봇용 정적 밸런싱 회로,
c) 일반적으로 동력 작동식 기계, 자동 공작 기계 등의 용도의 공압 회로,
d)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 또는 항공기용 타이어,
e) 공정을 위한 기술적 기체를 위한 운반 회로 또는 저류 회로 및 시스템,
f) 심장과 폐의 문제를 가진 환자에 의해 사용되는 호흡기나, 호흡 장치용으로 공기 또는 기체 혼합물을 공급하는 회로 내의 탱크에, 산소와 같은 중요한 용도의 가스를 운반 및/또는 저류하는 회로 및 시스템,
g) 산업 또는 공공 용도의 압축 공기용 회로 및 회로망,
h) 가정용 또는 산업용 가연성 가스의 회로 및 공급 회로망,
i) 폭발성 물질의 군사용 또는 민간용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분위기 중의 불활성 기체의 공급 시스템.
유럽특허출원 0839284호는 폐쇄될 때의 밸브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밸브 코어를 나타내는 팽창밸브의 연결튜브 위에서 고정된 타이어의 팽창 컨디션을 신호하는 능력을 가진 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이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1. 외부 덮개를 가진다.
2.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개 내부 및 덮개와 함께 회전하며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연결튜브 위에 고정되도록 개조된 나사형 본체를 가진다.
3. 제1 소정 임계치보다 큰 압력에 응답하여 기하학적 형상이 휴지 상태의 형상으로부터 가압된 형상으로 변동하는, 이 변동에 의해 이중 강성 부재가 장착된 쌍안정 밸브의 로드 안에서의 움직임이 영향을 받음, 박판을 내장하고 밸브 코어와 맞물리도록 위치한 로드가 장착된 플런저를 가진다.
4. 플런저에 연결된 가동 밀봉 부재를 갖는데, 상기 밀봉 부재는 덮개와 관련하여 플런저 밑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쳄버와 플런저 위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쳄버를 구획하고, 상기 플런저는 밸브코어를 닫힌 위치로부터 열리도록 하기에 충분한 규모의 운동 범위에서 제1 쳄버와 제2 쳄버 사이를 움직일 수 있게 위치되고, 상기 운동 범위는 다음과 같은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제한된다.
5. 플런저가 밸브코어의 개방의 원인이 되지않고, 압력화가 없는 가동 밀봉 부재에 의해 자극되는 플런저 안에서의 제1 정지부와
6. 플런저가 가스켓을 밀봉하듯 접촉함에 의해 제1 쳄버로부터 제3 쳄버를 분리하고 밸브 코어의 개방을 일으키며, 제2 정지부는 그 사이의 차에서만 연속으로 유지된다.
7. 장치의 로딩 단계 중 타이어의 값이 제2 쳄버 내에서의 압력의 값에 도달되는 압력, 그리고
8. 플런저에 작용하는 결과 추력이 밸브스프링과 가동 밀봉 부재의 힘보다 높을 수 있도록, 대기압에 연결되는 제1 쳄버 내에서의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보다 높게 유지되며, 그리고
9. 박판의 배치 또는 플런저의 위치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수단이며 장치는 타이어의 압력이 상기 제1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않는지를 표기한다.
본 발명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계 센서를 장착한 장치를 설명한다. 또한, 장치는 타이어의 내부압력의 검사를 위해 사용될 매우 작은 치수와 중량을 가진다.
하지만, 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몇몇의 단점을 나타낸다.
장치는 자동 폐쇄부를 구비한 타이어를 위한 종래의 팽창밸브에 설치된다. 그럼으로써, 만약 타이어의 압력이 소정 임계치보다 낮다면, 밸브코어는 팽창밸브를 닫는다.
압력이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에 팽창밸브의 닫힘을 허용하기 위해서 적절한 플런저가 수 밀리미터 이동하게 되는 장치가 불안정한 시일을 구비한다면, 타이어는 그것이 완전히 수축될 때까지 계속 누출된다. 이 수축은 밸브의 가스켓 또는 시트가 어떤 결점이 있다 할지라도 발생한다.
장치는 오직 하나의 임계치 하에서 타이어가 수축할 때 경고 표시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축은 플런저의 변형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과대한 손상, 마찰, 또는 외부의 덮개와 관련된 변동 때문에 만약 플런저가 충분히 움직이지 않으면, 표시는 전달되지 않는다.
이 장치는 두개의 기하학적 형태에서만 안정적인 아치형 라미나를 포함한다. 이 라미나는 정밀한 기하학과 작동 오차를 필요로 하는 장치의 대량 생산을 실현하기에 특히 어렵다.
기준 압력(예컨대, 대기압) 룸의 밀봉은 아치형 라미나가 위치하는 가스켓에 의해 얻어진다. 따라서, 이 라미나는 가스켓 상에서, 미리 고정된 형태로 더 높은 정밀도로써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특히 장치의 오랜 사용 후에, 가스켓의 적은 변형으로도 그의 기하학의 정밀도를 손상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덕트들을 통해 유동하거나 또는 탱크에 있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특히, 덕트들을 통해 유동하거나 또는 탱크에 있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하나 이상의 소정 공칭 값보다 높거나 낮은 다수의 임계치들을 초과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주된 장점은, 상대 압력의 임계치의 초과가, 검사될 유체의 상대 압력의 순간적인 값에 따라 달라지는 신호를 동시에 변환하여 배출하는 다수의 기계적 센서들에 의해, 검출된다는 것이다. 이 유체는 장치 내의 적절한 측정 쳄버에 저장된다. 따라서, 신호의 배출은 장치의 다른 부분의 기하학적 형태의 변화 또는 이동에 독립적으로 발생된다. 이 센서들은, 외부 힘에 의해 가압되는 센서들에 의해 흡수되는 탄성 에너지, 또는 적절한 표면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의 인가에 의해 변환이 보장되므로, 전기 공급 없이 작동할 수 있다.
장치에 제1 비기동 상태일 때, 장치의 내부에서 그리고 외부 환경에서 덕트 또는 탱크를 분리할 수 있는 밀봉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부재는, 장치들이 자동 폐쇄 밸브 상에 장착될 때, 덕트 또는 탱크의 폐쇄를 보장하고 외부 환경을 향한 유체의 통과를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는 압력 및 탄성 대항력의 평형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측정 기구가 제공된다. 따라서, 가변 기하학적 형태이고, 비싸며 불안정하고 대량 생산이 어려운 라미나의 사용이 회피된다. 상기 힘들의 평형 시에, 중요한 탄성 작용은 작용하지 않고, 상기 반응은 엘라스토머로 된 가스켓 또는 밀봉 링의 압축에 기인한다. 상기 반응은 가스켓의 영구 변형 때문에 시간적으로 불규칙한 변화 및 장치의 조립 중에 불확실하다. 반대로, 상기 장치의 스프링은 시간적인 탄성 작용의 반복을 보장하는 탄성 작용을 용이하게 결정하는 경질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최종으로, 상기 압력으로 인한 힘은 장치의 조립 중에 사전 결정 가능하고 조정 가능하며 제조 중에 효과적인 보정이 허용된다.
부하 걸린 타이어의 내압을 검사하도록 사용되는 장치는 타이어 내부의 절대압과 대기압 사이의 차에 비례하는 반경 방향 변형 상태의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
- 축방향 대칭으로 된 연결 본체;
- 본체에 유체를 보내도록 용기 또는 파이프에서의 관들의 단부들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수단;
- 축방향 대칭으로 되어, 연결 본체를 수용하며, 외부 힘(F)의 작용에 따라 본체에 대한 원위의 제1 위치에서 인접한 제2 위치로 본체 상에서 이동하는 외측 덮개;
- 상기 연결 수단과 측정 쳄버 사이에 배치된 입구 룸을 밀봉할 수 있는 자동 폐쇄 수단;
- 상기 외측 덮개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외측 덮개가 상기 원위의 제1 위치에서 제2 인접 위치로 이동할 때 자동 폐쇄 수단이 입구 룸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외측 덮개가 원위 위치에 있을 때 자동 폐쇄 수단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여, 측정 쳄버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보다 낮게 되도록 하는 조작 부재;
- 조작 부재에 의해 개방될 때 입구 룸으로부터, 통로를 통해, 용기 또는 파이프의 유체를 수용하는 측정 쳄버로서; 적어도 유체의 상대 압력이 측정 쳄버 내에 작용하며; 상기 조작 부재가 측정 쳄버, 단부들 및 외부 환경 사이의 연결을 폐쇄하는 측정 쳄버;
- 측정 쳄버에서 작용하는 힘에 대해 민감하게 작용되는 변형 요소로서, 상기 변형 요소를 안내하는 경질 부재와 함께 조작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변형 요소;
- 외부 환경에 연결되고 스프링을 내장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스프링이 적어도 변형 요소 상의 측정 쳄버의 압력에 반대하여 변형 요소를 작용시키도록 측정 쳄버에 대해 반대의 위치에 제공되며; 따라서 조작 부재가 지지부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있고 측정 쳄버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보다 낮을 때, 상기 스프링의 힘이 변형 요소 상에 작용하는 반대의 힘을 초과하게 되어, 자동 폐쇄 수단이 입구 룸을 밀봉하도록 허용하는 원위 위치를 향해 상기 변형 요소가 조작 부재를 이동시키게 되는 공간;
- 자동 폐쇄 수단이 입구 룸을 폐쇄할 때, 측정 쳄버를 외부 환경으로 연결하도록 제공된 통로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측정 쳄버에 의해 내장되는 스프링을 가진다. 상기 스프링은 단부(4)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해 상기 외측 덮개를 밀도록 외측 덮개와 일체인 지지 기부와 연결 본체 사이에 배치된다.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외측 덮개의 정지부는 본체와 접촉된다.
상기 측정 쳄버는 제1 가동 다이어프램, 경질 부재, 연결 본체, 외측 덮개 및 제2 가동 다이어프램에 의해 한정된다.
측정 기구는 상기 압력에 반대하는 탄성 요소 및 측정 쳄버의 상대 압력의 힘들의 평형에 따라 작용한다. 탄성 요소의 힘들은 용이하게 결정 가능하고 시간적 탄성 작용에서 반복성을 얻을 수 있도록, 경질 지지부와의 접촉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경질 지지부는 외측 덮개와 일체의 벽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로 구성된다.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를 구비하는, 입구 룸, 및 외부 환경에 연결된 공간은 항상 분리된다. 상기 입구 룸은 단부의 말단에 배치된 공동에 연결되는 반면에, 상기 공간은 외부 환경과 소통된다.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는 제1 지지부와 연결 본체 사이에 배치된, 시트에 의해 고정된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는 입구 룸을 밀봉하는 표면을 가진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은 표면이 연결 본체와 일체의 핀의 말단에 배치된, 헤드의 에지와 접촉할 때 형성된다. 상기 핀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에 배치된 구멍을 가로지르게 된다.
상기 조작 부재는, 입구 룸이 측정 쳄버에서 분리되어 있고 측정 쳄버가 외부 환경에 소통하고 있는 폐쇄 상태로부터, 입구 룸이 측정 쳄버와 소통하고 있고 측정 쳄버가 외부 환경에서 분리되어 있는 개방 상태로 이동하는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에 대해서 작용한다.
유체의 상대 압력의 순간적인 값에 따라 신호들을 배출하도록 제1 평형 상태에서 제2 평형 상태로 변환되는 센서들이 제공되며, 이 센서들은 측정 쳄버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의 여러 값들의 임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들은 제2 가동 다이어프램을 통해 센서들에 전달된 측정 쳄버의 상대 압력을 검출한다.
상기 센서들은 슬라이더에 의해 지지된 콘택트 및 베이스에 고정된 콘택트의 탄성 부재의 제2 가동 다이어프램 상에 위치하는 슬라이더들로 구성된다. 측정 쳄버의 상대 압력의 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슬라이더에 의해 지지된 콘택트는 제1 전기적 상태를 형성하도록 베이스에 고정된 콘택트와 접촉되며; 반대로, 측정 쳄버의 상대 압력의 값이 임계치보다 낮으면, 슬라이더에 의해 지지된 콘택트는 제2 전기적 상태를 형성하도록 베이스에 고정된 콘택트에서 분리된다.
상기 전기적 상태들은 전달될 신호들을 얻도록 콘택트 및 콘택트의 전기적 상태들을 처리하는 장치 및 전기 회로들이 구비된 베이스에 전달된다.
상기 센서들은 측정 쳄버의 압력의 값에 외부의 값이 참조될 수 있도록 외부 환경에 연결된 공동에 내장된다.
경질 부재와 일체의 부시는,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를,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에서 부시를 분리함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상태에서 부시의 에지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의 표면 사이의 접촉으로 부시의 공동과 공간 사이의 소통을 밀봉하는 제2 상태로 변환시키도록,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을 개방시킨다.
다이어프램의 표면과 접촉되는 부시가 상기 다이어프램의 표면을 공동과 소통하는 입구 룸을 향해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미는 힘을 다이어프램 상에 작용시킬 때에, 제2 상태의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변환이 발생된다.
측정 쳄버에 작용하는 힘들이 스프링의 힘을 초과할 때 입구 룸을 공동을 통해 측정 쳄버에 연결하도록 경질 부재에 내부 덕트들이 장비된다.
장치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는 장점의 제공을 유지하고 외측 덮개와 일체의 지지 베이스와 연결 본체 사이에 배치된, 카운터 스프링을 유지하도록 외측 덮개의 반경 방향 치수를 증가시킴에 의해 얻어지는 내측 공간이 제공된다.
적어도 경질 부재 상의 측정 쳄버의 압력 및 제1 가동 다이어프램의 힘의 작용에 반대하는 경질 부재 상에서 작용하는 제1 벨레빌 와셔가 제공된다.
제1 슬라이더 상에 제2 벨레빌 와셔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 본체는 두개의 부분들, 즉 단부 상에 장치를 체결하도록 고정되는 제1 부분과, 고정부 및 외측 덮개 모두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움직일 수 있는 제2 위치로 나누어진다.
본체의 가동 부분과 일체인 돌출부의 단부에 플랜지가 제공되며; 본체의 고정부와 일체인 단부와 플랜지 사이에 가스켓이 배치되며; 가스켓은 플랜지와 단부를 밀봉한다.
상기 본체는, 돌출부가 안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 공동을 내장하고 있다.
중공 슬리브는 본체의 가동 부분과 일체이고; 중공 슬리브의 내벽은 고정부의 외주벽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내벽은 외주벽에 충분한 정확도로 결합되어, 중공 슬리브가 가동 부분에 대한 안내부를 형성한다.
카운터 스프링은 중공 슬리브에 내장되고; 공간은 제1 지지부에 제공된 덕트, 가동 부분에 제공된 덕트, 카메라, 고정부에 제공된 덕트, 카운터 스프링을 내장하도록 가동 부분에 반경방향으로 제공되는 사이 공간, 고정부에 제공된 덕트 및 외측 덮개에 제공된 덕트를 통해 외부 환경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제2 슬라이더는 베이스에 대한 원위 위치와 인접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는, 제4 슬라이더를 형성하는 제3 슬라이더와 일체이다.
제4 슬라이더는 베이스에 대한 원위 위치인 제1 원위 위치에 있고, 상기 원위 위치는 측정 쳄버에서 외부 압력이 작용할 때 제4 슬라이더에 의해 실현되는 평형의 위치이며, 제4 슬라이더의 제1 원위 위치는 제2 가동 다이어프램에 의해 제공된 변형에 대한 강도에 반대하는 제1 탄성 부재의 작용 때문에 도달된다.
제4 슬라이더와 베이스 사이에 배치된 제1 탄성 부재는 제2 가동 다이어프램에 대해 압축된 제4 슬라이더를 유지한다.
제2 탄성 부재는 제4 슬라이더와 콘택트 사이에 배치된다.
제4 슬라이더는 결합된 제2 및 제3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제1 탄성 부재는 제1 슬라이더에 연결된 벽과 제4 슬라이더 사이에 제공되며; 제1 탄성 부재의 작용은 제1 슬라이더를 해제하는 것이며, 제4 슬라이더는 베이스에 대한 원위 위치와 인접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한다.
경질 부재 및 제1 벨레빌 와셔 사이에 판이 배치되며; 상기 판은 제1 지지부에 대한 원위 위치와 인접 위치 사이에서 경질 부재에 대해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한다.
상기 경질 부재 및 판은 쳄버에서 쳄버를 분리하는 가스켓의 시일에 관한 작용을 해제시키도록 분리된다.
도1a, 1b는 검사될 유체의 공칭 값의 과정을 나타낸 다이어그램들,
도2a, 2b, 2c는 장치의 이용 타입들을 나타낸 도면,
도3은 시판용 포장으로 패킹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4는 유체가 있는 환경에 연결되는 적절한 지관의 단부도,
도5는 연결 본체에 단부의 결합의 완성을 나타낸 도면,
도6a, 6b는 통상 폐쇄되어 있는, 팽창 밸브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7은 도6a, 6b 중 하나의 팽창 밸브가 장비된 단부 상으로의 장치의 장착을 나타낸 도면,
도8a, 8b, 8c는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제1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9a, 9b, 9c는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제2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0은 비기동 상태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11은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의 변환이 어떻게 발생되는지를 나타낸 도면,
도12는 유체에 의해 장치의 측정 쳄버를 충전하는 초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3은 유체에 의해 완전 충전된 장치의 측정 쳄버를 나타낸 도면,
도14는 유체에 의해 충전된 측정 쳄버를 가진 장치의 제1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5는 장치의 제2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6은 장치의 제3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7은 장치의 제4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8은 측정 쳄버에서 외부 환경으로의 유체의 유동 후에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9는 비기동 상태의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 도면,
도20은 기동 상태의 장치의 도19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21은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 도면,
도22는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 도면,
도23은 비기동 상태의 장치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 도면,
도24는 기동 상태의 장치의 도23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25는 변환 상태의 말기에 도23 및 24의 장치를 나타내 도면,
도26은 측정 쳄버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소정 임계치보다 작을 때 도23, 24 및 25의 장치를 나타내 도면,
도27은 비기동 상태의 장치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 도면,
도28은 가동 부분의 변환 말기에 도27의 장치를 나타내 도면,
도29는 팽창 밸브의 단부에 비기동 상태의 장치를 적용하기에 적합한 실시예를 나타내 도면,
도30은 기동 상태의 장치를 가진 도29의 실시예를 나타내 도면,
도31은 장치가 단부에 장착되어 비기동 상태일 때, 돌출부의 단부가 팽창 밸브의 로드의 단부와 접촉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32는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도29 및 30의 장치의 변환이 발생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33은 장치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내 도면,
도34a, 34b는 비기동 상태 및 기동 상태 각각에서의 장치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내 도면,
도35a, 35b는 두개의 다른 상대 압력 상태에서 도34a, 34b의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 도면,
도36a, 36b는 비기동 상태 및 기동 상태 각각에서의 장치의 제9 실시예를 나타내 도면,
도37a, 37b는 두개의 다른 상대 압력 상태에서 도36a, 36b의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 도면,
도38a, 38b는 비기동 상태 및 기동 상태 각각에서의 장치를 나타내 도면, 및
도3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a 및 2b는 상단 및 하단에 의해 한정된 미리 고정된 공칭 값 Pn의 범위를 나타낸다. 상단치는 (Psup-Pn)=△P+amm에서 Psup≥Pn이고 하단치는 (Pn-Pinf)=△P-amm에서 Pinf≤Pn이다. 이들 수식은 기능적 필드의 전체 진폭이 (Psup-Pinf)=△Pamm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다음 관계가 성립된다.
- (Psup-Pn)=△P+amm에서 상단의 압력 Psup≥Pn이고
- (Pn-Pinf)=△P-amm에서 하단의 압력 Pinf≤Pn이다.
기능적 필드의 전체 진폭은 (Psup-Pn)=△Pamm이다.
상기 필드 진폭은 일반적인 규칙에 따라 제조업자 또는 시스템 사용 관리자에 의해 미리 고정된다. 상기 필드는 다소 넓지만, 물론 상기한 부등식들 중 하나에서 과도한 경우가 우세하게 되면(sign=), 다른 식에서는, 실제로 △Pamm을 갖는 필드의 진폭이 유한하고 0으로 될 수 없으므로 동일한 경우로는 될 수 없다.
덕트 및/또는 압력 탱크 또는 많은 다른 응용들을 포함하는 시스템들에서, 압력이 필드 허용 압력 △Pamm을 초과할 때 작용될 필요가 있다. 즉, 압력이 상한 Psup 또는 하한 Pinf를 초과할 때, 일부 문제를 회피하도록 작용될 필요가 있다. 이 문제들은 시스템의 성능의 감쇠, 그의 기능적 파괴, 과도한 경우, 시스템 및/또는 부품들의 파손 등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작용은 시스템의 올바른 기능상의 조건들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시스템, 특히 덕트 및/또는 압력 탱크에서, 하나 이상의 검사 장치들을 장비하여, 적절한 정밀도 및 신속성으로 임계 압력치 초과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로써, 적절한 방식으로 시스템의 외형을 초과하는 신호를 전송하여 작동기 수단 및/또는 자동의 기계 공구에 의해 적절한 작용을 실행하도록 한다.
일부 시스템 및 응용들에서, 자체적인 압력 증가를 야기하지 않고 시스템 내 의 유체 압력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종종 압력 탱크에 의해 제공되는 회로들의 경우(디스펜서를 가진 가스 용기 공급 회로들)가 있다. 이 경우, 회로의 최대 압력은 탱크의 충전 압력에 대응한다. 그러나,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은 그의 사용 때문에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이 압력 감소는 종종 시스템의 부정확한 제어, 우연한 누출 등과 같은 다른 이유에 의존한다. 이들은 또한 동시에 발생되기도 한다.
더욱 중요한 경우는 차량의 타이어들 중 하나의 경우이다. 팽창 후의 공칭 압력에서, 타이어는 펑크 또는 다른 손상, 및 카커스를 통한 가스의 이동으로 점진적으로 공기가 빠지게 된다.
임계 하한치(Pci)를 초과하는 지를 검사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필요 조건들이 있다. 이러한 조건은 또한 임계 하한치(Padvi)를 검사하여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일부 경우에, 고임계 압력(Pcs)를 초과할때 신호를 전송할 필요도 있다. 또한, 종종 임계 하한치(Padvi)는 고려하지 않고, 임계 하한치(Pci) 및 고임계 압력(Pcs)를 초과할 때만 신호를 전송할 필요도 있다(도1b).
도2a,2b,2c에서, 검사될 유체를 수용하는 룸을 나타내는 용기(101)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의 일부 사용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2a는 지관(102)을 차단할 수 있는 자체 폐쇄 밸브(131) 또는 탭(8)을 통해 장치(100)에 연결된 용기(101)를 나타내며, 지관(102)은 용기(101)에 직접 또는 용기(101)에 접합된 덕트에 연결된다.
도2b는 나사 연결부에 의해 장치(100)에 결합된 내부 자동 폐쇄 장치에 장비된 팽창 밸브를 가진 타이어(101)를 나타낸다.
도2c는 덕트에 연결된 장치(100)를 나타낸다. 탭(8)은 상기 덕트에 연결된 지관(102)을 차단한다.
탭(8)은 장치(100)가 연결되지 않을 때 지관(102)을 폐쇄하도록 이용된다.
장치(100)의 장착은 다음 상태를 제공한다:
먼저, 장치(100)가 아직 장착되지 않았을 때, 탭(8)이 폐쇄된다.
다음, 장치(100)가 지관(102)에 부착된다.
장착된 장치(100)는 탭(8)의 개방을 허용한다.
이로써 상기 장치(100)는 제2 기동 상태 또는 측정 상태으로 변환되므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장치(100)의 기능은 도3에 도시된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다른 실시예들은 후술된다.
도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는 판매 포장 상태로 도시된다. 축방향 대칭 덮개(1)가 장치(100)의 외측 코팅을 형성한다. 이 덮개(1)는 카운터 스프링(3)에 의해 연결 본체(2)에 대해 원위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덮개(1)는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장치(100)를 변환시키도록 본체(2)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장치(100)의 변환은 외부 힘(F)의 작용하에 이루어진다.
상기 장치(100)는 유체의 상대 압력이 미리 고정된 제1 임계치(Pci)보다 높은 경우 기동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덮개(1)는 프리즘 커플링(도3에 도시 안됨)에 의해 본체(2)에 연결되어, 덮개(1)가 본체(2)에 토크를 전달하게 된다.
도4에서, 용기(101)에 연결된 적절한 지관(102)의 단부(4)가 도시되며, 유체는 용기(101) 내에 내장된다. 탭(8)은 폐쇄될 때, 단부(4)의 쳄버(9)를 용기(101)에서 분리한다.
잘 알려진 고정 부재(5)가 본체(2)를 단부(4)에 연결하며 웅형 나사(5b)가 자형 나사(5a)를 가진 연결 본체(2)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본체(2)를 단부(4)에 고정하도록 통상의 나사가 이용되는 경우, 장치(100)의 설치는 본체(2)를 조이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덮개(1)는 커플링을 밀봉하도록 사용된 가스켓(7)상에 단부(4)의 상단부(6)를 가압 접촉시키도록 회전된다.
도5에서, 본체(2)에 대한 단부(4)의 결합은 단부(4)의 상단부(6)에 의해 가스켓(7)이 완전하게 눌려질 때 완료된다. 이제 장치(100)는 단부(4)상에 장착된다. 이 장치(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환되어 기동 상태로 될 때 유체를 조사할 수 있다.
도6a 및 6b에서, 통상의 자동 팽창 밸브를, 보통과 같이 폐쇄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6a는 폐쇄된 자동 팽창 밸브를 나타낸다. 이 밸브는, 밸브가 설치될 때, 유체가 발견되는 용기(101)와 소통하는 지관(102)에 연결된 본체(103)를 포함한다. 지관(102)에 대해 말단인, 본체(103)의 단부는 쳄버(9)를 형성하는 단부(4)를 지지 하며, 인접 단부는 지관(102)에 연결된 쳄버(109)를 나타낸다. 본체(103)의 내부는 로드(10)의 안내부를 나타낸다.
가스켓(106)은 쳄버(109)에서 쳄버(9)로의 유체의 통과를 방지하도록 본체(103)에 대해 로드(10)를 밀봉한다. 상기 로드(10)는 그 로드(10)와 함께 이동하는 가스켓(106)을 보유하게 된다. 또는 시트(105)가 가스켓(106)을 보유하게 되며, 상기 시트(105)는 도6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3)에 체결된다.
로드(10)의 상부 헤드(10a)와 본체(103)의 접촉부(107)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11)은 로드(10)를 용기(101)에 대해 원위인 제1 위치에 유지한다. 상기 원위 위치는 본체(103)의 정지부(108)와 로드(10)의 하부 헤드(10b)의 접촉에 의해 한정된다. 로드(10)가 용기(101)에 대해 원위 위치에 있을 때(도6a), 가스켓(106)은 로드(10)를 본체(103)에 대해 밀봉한다. 따라서, 지관(102)에 연결된 쳄버(109)에서 쳄버(9)로의 유체의 통과가 방지된다.
도6b는 자동 폐쇄 밸브(131)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자동 폐쇄 밸브(131)의 개방 상태는 상기 로드(10)가 상기 원위 위치에서부터 움직임에 따라 이루어진다.
로드(10)에 가해지는 외부 힘은 카운터 스프링(11)의 작용에 거스르는, 용기(101)에 대한 원위의 제2 위치로의 로드(10)의 이동을 야기한다. 로드(10)의 제2 원위 위치는 가스켓(106)의 밀봉을 해제시키기에 충분하게 로드(10)를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로드(10)가 용기(101)에 대해 원위 위치에 있을 때, 가스켓(106)은 쳄버(109)가 쳄버(9)에 연결되도록 허용한다.
본체(103)에 제공된 시트(105)가 가스켓(106)을 보유하게 되면, 가스켓(106)의 위치에 대해 밀봉 영역(112)의 하류의 로드(10)에 형성되는 다수의 축방향 홈들이 가스켓(106)의 밀봉을 해제하고 쳄버(109)를 쳄버(9)에 연결한다. 로드(10)가 가스켓(106)을 보유하게 되면(예컨대, 로드(10)가 제1 원위 위치에 있을 때, 가스켓(106)이 헤드(10b)의 벽(111)에 놓여서 정지부(108)를 밀봉하는 경우), 로드(10)의 이동으로 인한 정지부(108)에서의 헤드(10b)의 제거에 의해 가스켓(106)의 밀봉이 해제되고 쳄버(109)를 쳄버(9)에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유체가 쳄버(109)에서 쳄버(9)로 유동하게 된다. 외력(F)의 작용이 차단되자마자, 헤드(10a)상에 스프링(11)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이 로드(10)를 원위 위치를 향해 이동시켜서 쳄버(109)에서 쳄버(9)로의 연결이 자동 차단된다.
도7은 도6a, 6b에 나타낸 자동 폐쇄 밸브가 장비된 지관 단부(4)상에 조립된 장치(100)를 나타낸다.
로드(10)의 축에 대응하게 융기된, 본체(2)와 일체인 돌출부(12)가 지관 단부(4) 상으로의 장치(100)의 조립 중에 자동 폐쇄 밸브(131)를 개방한다. 따라서, 장치(100)의 부재 시에, 분위기 압력은 자동 폐쇄 밸브(131)의 밀봉 시트의 하류측의 쳄버(9)에 작용하며, 상기 쳄버(9)는 자동 폐쇄 밸브(131)의 밀봉 시트의 상류에서, 유체로부터 분리된다. 반대로, 장치(100)가 장착될 때, 쳄버(9)는 용기(101)의 압력에서 유체로 충전된다.
이 상태는 단부(4)의 상류의 지관(102)상에 탭(8)이 제공되도록 요구하지 않는다.
상기 장치(100)가 설치되고 가스켓(7)이 완전 고정된 때, 유체는 단부(4)의 내측 쳄버(9), 덕트(13a,13b) 및 본체(2)에 제공되는,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를 장비한 쳄버(14)로 유동한다. 상기 밸브는 통상 폐쇄된다.
도8a,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는 제1 지지부(17)와 본체(2) 사이에 위치된 시트(17a)에 의해 고정된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17a)는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을 직립 위치로 보유하며 액체 누출을 방지하도록 제1 지지부와, 본체(2)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 사이에 제공된 접촉면을 밀봉한다.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은 본체(2)와 일체의 핀(20)의 최외측의 단부(19)의 에지(18)와의 접촉에 의해 작용하는 밀봉면(16)을 제공한다. 이 핀(20)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구멍(15a)과 교차한다.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환된다. 변형되는 요소를 안내하는 경질 부재(22)와 일체의 중공 로드(21)가 밸브를 변환시킨다. 중공 로드(21)의 내측 부분은 덕트(24)에 연결되는 공동(23)을 제공한다.
상기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는 로드(21)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 사이의 거리에 의해 한정되는 제1 상태(도8a, 8b, 8c)이다. 상기 공동(23)은 각각 지지부(17), 본체(2) 및 덮개(1)에 제공되는, 덕트들(25a,26b,26c)을 통해 외부 환경에 연결되는 쳄버(25)와 소통한다.
도8a는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개요 ISO를 나타낸다.
따라서, 비기동 상태에서, 상기 공동(23)은 쳄버(25)에 연결된다. 외부 환경의 압력은 공동(23) 및 쳄버(25)에 작용하며,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은 핀(20)의 단부에서 단부(19)의 에지(18)와 접촉한다.
이들 상태에서, 검사될 유체가 쳄버(14)에서 발견되면, 공동(23) 및 쳄버(25)로 침입하지 않는다.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과 핀(20)의 단부에서 단부(19)의 에지(18) 사이의 밀봉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일(14)의 효율은 쳄버(14)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의 증가에 따라 증가된다.
중공 로드(21)가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과 접촉되어 다이어프램(15)을 밀어서 표면(16)이 쳄버(14)를 향해 이동한 때에,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제2 상태으로의 변환이 이루어진다.
제2 상태에서, 로드(21)의 에지(21a)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 사이의 접촉은 쳄버(25)에서 공동(23)을 분리하는 자동 폐쇄 시일을 제공한다. 반대로, 표면(16)이 쳄버(14)를 향하는 이동은 단부(19)의 에지(18)로부터 표면을 제거하여 시일을 차단하고 쳄버(14)를 공동(23)에 연결한다. 유체는 쳄버(14)에서 공동(23)으로 유동하고 공동(23)에서 덕트(24)로 유동한다.
상기 변환 후의, 도8b의 제1 상태 및 도9b의 제2 상태로 나타내진 밸브의 ISO 개요는, 상기한 설명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쳄버(25)는 제1 지지부(17)와 일체의 정지부(56)에 대해 외측의 용적(25a), 정지부(56)에 대해 내측의 용적(25b) 및 외측 용적(25a)을 내측 용적 (25b)에 영구적으로 연결하는 덕트(25c)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현되는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제1 장점은, 변환을 야기하는 요소의 매우 느린 작용에 거슬러 밀봉 부재의 반작용 응력이 적절한 형태 및 크기의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제2 장점은, 상기 변환이 도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로드(21)에서 변환을 실현하는 부재의 매우 짧은 행정들에 의해 도달되는 것이다.
제3 장점은, 제1 상태(도8b)에서 제2 상태(도9b)으로의 밸브의 변환 중에, 중공 로드(21)의 에지(21a)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 사이의 접촉에 의해 자동 폐쇄 시일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시일은 쳄버(14)를 향한 표면(16)의 이동이, 쳄버(14)를 공동(23)에 연결함에 의해, 표면(16)과 단부(19)의 에지(18) 사이의 접촉을 차단하기 전에, 쳄버(25)에서 공동(23)을 분리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기동 상태(도9b)에서 제1 비기동 상태(도8b)로의 밸브의 이동 중에, 중공 로드(21)의 에지(21a)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 사이의 접촉에 의해 공동(23)을 쳄버(25)에서 분리하는 자동 폐쇄 시일이 형성된다. 상기 시일은 표면(16)과 단부(19)의 에지(18) 사이의 새로운 접촉 후에만 차단된다. 이로써, (쳄버(9)에 결합된) 쳄버(14)에서 외부 환경에 연결된 쳄버(25)로의 직접적인 연결은, 밸브의 변환 이동 중에, 즉 장치(100)가 제2 기동 상태에서 제1 비기동 상태로 변환 이동하는 중에,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단부(4)의 쳄버(9)에서, 덕트(13a,13b) 및 쳄버(14)를 통해, 외부 환경에 소통하는 쳄버(25)의 공동(23)을 향해 유동하는 유체의 통과는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가 폐쇄되면 방지된다.
이로써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탭(8)(또는 동등의 자동 폐쇄 밸브)을 폐쇄할 필요가 없다.
상기 장치(100)가 자동 폐쇄 밸브 없이 단부(4)에 장착되는 경우, 돌출부(12)는 더욱 완전한 휴대 가능성에 의해 특징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실현한다. 실제로, 상기 장치(100)가 자동 팽창 밸브 없이 단부(4)에 장착되면, 상기 돌출부(12)는 어떤 불편도 야기하지 않고 상기 장치(100)는 돌출부(12)가 없는 바와 같이 적절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은 상기 장치(100)가 다른 응용을 위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동 팽창 밸브를 가진 채로 단부(4)에 장착되게 할 수도 있다.
탭(8), 또는 자동 폐쇄 밸브(131)가, 개방될 때, 유체는 단부(4)의 내측 쳄버(9), 덕트(13a,13b) 및 본체(2)에 통상 폐쇄된 채 제공되는,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를 장비한 쳄버(14)로 유동한다.
도10은 제1 비기동 상태에 있지만, 사용을 위해 설치되어 준비된 장치(100)를 나타낸다. 비기동 상태는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가 폐쇄된 사실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공동(23)은 쳄버(25)에 연결되고 공동(23)과 쳄버(25)는 외부 환경에 연결된다. 따라서,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은 핀(20)의 단부에서 단부(19)의 에지(18)와 접촉된다.
제1 비기동 상태에서, 상기 유체가 쳄버(14)내에 있으면, 유체는 공동(23)과 쳄버(25)로 침입할 수 없다.
상기 장치(100)가 제1 비기동 상태일 때, 중공 로드(21)가 연결된, 경질 부재(22)는 제1 지지부(17)와 경질 부재(22) 사이에 삽입된 제1 스프링(27)에 의한 푸시 부재에 의해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의 제1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공동(23)은 덕트(26a,26b,26c)를 통해 외부 환경에 연결된 쳄버(25)에 확고하게 연결된다.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에는, 경질 부재(22)에 구속된 중앙 부분과, 밀봉부가 확보될 수 있도록 본체(2)의 단부(33)와 중앙 부재(29) 사이에 고정된 외주 영역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중앙 부재(29)는 스페이서(29a)를 통해 제1 지지부(17) 상에 놓인다.
따라서, 쳄버(25)는 제1 지지부(17),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 단부(19), 중앙 부재(29),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 및 경질 부재(22)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쳄버(25)는 제1 지지부(17)에 위치된 덕트(26a), 본체(2)에 위치된 덕트(26b) 및 덮개(1)에 위치된 덕트(26c)를 통해 외부 환경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 경질 부재(22), 본체(2), 덮개(1) 및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은 측정 쳄버(30)를 한정한다. 상기 쳄버(30)는 쳄버(25)에 대해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의 대향 측에 위치된다.
본체(2)와 덮개(1) 사이에 삽입된 가스켓(32)은 측정 쳄버(30)의 밀봉을 보장한다. 본체(2)의 단부(33)와 덮개(1)와 일체인 유지부(35)와의 사이에 배치된 카운터 스프링(3)은 단부(4)에 대한 원위의 제1 위치에, 즉 덮개(1)의 정지부(34)가 본체(2)와 접촉된 위치에 덮개(1)를 유지하려고 하게 된다.
경질 부재(22)의 일부는 쳄버(25) 및 측정 쳄버(30)의 일부에 내장된다. 덕트(24a,24b)에 의해 형성된 경질 부재(22)의 덕트(24)는 공동(23)과 측정 쳄버(30) 사이의 연결을 어떠한 상태에서도 보장한다.
덮개(1)와 일체인 유지부(35)와 스페이서(36) 사이에 고정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은 측정 쳄버(30)를 밀봉한다.
스페이서(36)는 베이스(38)에 의해 고정된 제2 지지부(37) 상에 배치된다. 스페이서(36), 제2 지지부(37), 및 베이스(38)는 덮개(1)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위치한다.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스페이서(36), 제2 지지부(37) 및 베이스(38)는 공동(40)을 한정한다. 베이스(38)는 덮개(1)와 일체의 벽(39)에 고정된다.
베이스(38)는 전기 또는 전자 회로들 및 상대적 시스템 공급 에너지를 통해 종래 기술과 같이 전자 신호들을 처리하여 외측으로 전송하고 적절한 스위치 수단에 의해 개폐 회로용 전기 콘택트들을, 공동(40)을 한정하는 표면상에, 배치시킬 수 있게 하는 장치들을 내장 또는 지지할 수 있는 부재이다.
상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이스(38)는 스위치를 통해 회로를 개폐하는 전기 콘택트들을 내장하는, 공동(40)을 한정하는, 제1 측면, 및 전기 및/또는 전자 부품 및 회로들을 내장하는 제2 대향 측면을 가진 인쇄 회로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37)의 덕트(41)를 통해 공동(40a)에 영구적으로 연결된 공동(40)은 스페이서(36)의 덕트(42a) 및 덮개(1)의 덕트(42b)를 통해 외부 환경과 소통한 다.
공동(40)에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이 내장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자유로이 이동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더는 축방향 대칭이고 동축을 가진다.
제1 슬라이더(43)와 제2 지지부(37) 사이에 제2 스프링(46)이 삽입된다. 장치(100)의 제1 비기동 상태에서, 외부 환경의 압력이 공동(23), 덕트(24,24a,24b) 및 측정 쳄버(30)에 작용할 때, 제2 스프링(46)은 제1 슬라이더(43)를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대해 압축된 채로 제2 지지부(37)에 대한 원위의 제1 위치에 유지한다.
제1 탄성 수단(47)은 제2 슬라이더(44)와 제2 지지부(37) 사이에 삽입되거나 또는 베이스(38)와 같이, 제2 지지부(37)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제1 탄성 수단(47)은 제2 슬라이더(44)를 베이스(38)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대해 가압되게 유지한다.
제2 탄성 수단(48)은 제3 슬라이더(45)와 제2 지지부(37) 사이에 삽입되거나 또는 베이스(38)와 같이, 제2 지지부(37)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제2 탄성 수단(48)은 제3 슬라이더(45)를 베이스(38)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대해 가압되게 유지한다.
슬라이더(43,44,45)의 이동은 각각 스프링(46) 및 탄성 수단(47,48)에 의한 미는 작용에 거슬러 발생된다. 슬라이더(43,44,45)의 이동을 야기하는 거스르는 반작용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의해 전송된다.
3개의 절연 전기 콘택트들(49,50,51)이 베이스(38)와 일체로 되어 있다.
제1 슬라이더(43)의 이동에 연결된 콘택트(52)는 제1 전기 콘택트(49)의 스위치로서 작용하고 제1 슬라이더(43)의 변환 때문에 제1 전기 콘택트(49) 상에 위치할 때 그의 변환(개방에서 폐쇄로 및 그 반대로)을 야기한다.
제2 슬라이더(44)의 이동에 연결된 콘택트(53)는 제2 전기 콘택트(50)의 스위치로서 작용하고 제2 슬라이더(44)의 변환 때문에 제2 전기 콘택트(50) 상에 위치할 때, 그의 변환(개방에서 폐쇄로 및 그 반대로)을 야기한다.
제3 슬라이더(45)의 이동에 연결된 콘택트(54)는 제3 전기 콘택트(51)의 스위치로서 작용하고 제3 슬라이더(45)의 변환 때문에 제3 전기 콘택트(51) 상에 위치할 때 그의 변환(개방에서 폐쇄로 및 그 반대로)을 야기한다.
상기 장치(100)가 제1 비기동 상태일 때, 3개의 콘택트 커플,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3개의 스위치들 각각이 개방 또는 폐쇄의 2개의 상태들 중 하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스위치들 각각은 상기 상태를 개조하여 일부 기능들을 작용하도록 베이스(38)에 연결된 전자 부품들을 갖는 전기 회로에서 동작한다. 바람직하게 3개의 스위치들은 장치(100)가 제1 비기동 상태일 때 개방된다.
도11은 장치(100)의 제1 비기동 상태에서 제2 기동 상태으로 변환 작동이 발생할 때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변환은 제1 원위 위치에서 단부(4)에 대한 원위의 제2 위치로 덮개(1)의 축방향 변환에 의한 것이다. 이 변환은 카운터 스프링(3), 제1 스프링(27) 및 제2 스프링(46)의 탄성 반작용을 얻기에 충분하게 덮개(1) 상에 힘(F)를 가하여 얻어진다.
힘(F)에 의한 덮개(1)의 이동은 카운터 스프링(3)의 작용만을 반대함에 의해,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을 경질 부재(22)의 단부(55)로 접근시키게 된다.
경질 부재(22)의 단부(55)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접촉될 때, 힘(F)의 연속적인 작용은 제1 스프링(27)과 제2 스프링(46)의 작용에 대해 반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a) 제1 스프링(27)의 작용에 반대하여, 경질 부재(22)를 제1 지지부(17)에 대한 제1 원위 위치(distal position)에서 제2 인접 위치로 변위시키고, 상기 제2 위치는 제1 지지부(17)에 배치된 정지부(56)와 경질 부재(22)의 접촉에 의해 한정되고,
b) 제2 스프링(46)의 작용에 반대하여, 제1 슬라이더(43)를 제2 지지부(37)에 대한 제1 원위 위치에서 제2 인접 위치로 변위시키고, 상기 제2 위치는 제2 지지부(37)에 배치된 정지부(57)와 제1 슬라이더(43)의 접촉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인접 위치에서 제1 슬라이더(43)의 이동에 연결된 요소(52)는 제1 전기 콘택트(49)에 위치하여 제1 스위치를 변환시키고,
c) 제1 탄성 수단(47)의 작용에 반대하여, 제2 슬라이더(44)를 베이스(38)에 대한 제1 원위 위치에서 제2 인접 위치로 변위시키고, 상기 제2 위치는 제2 슬라이더(44)의 이동에 연결된 콘택트(53)와, 제2 스위치의 변환을 야기하는 제2 전기 콘택트(50)의 접촉에 의해 한정되며,
d) 제2 탄성 수단(48)의 작용에 반대하여, 제3 슬라이더(45)를 베이스(38)에 대한 제1 원위 위치에서 제2 인접 위치로 변위시키고, 상기 제2 위치는 제3 슬라이더(45)의 이동에 연결된 콘택트(54)와, 제3 스위치의 변환을 야기하는 제3 전기 콘택트(51)의 접촉에 의해 한정되게 한다.
경질 부재(22)가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제공될 때, 중공 로드(21)의 에지(21a)는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에서 작용하여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변환을 야기한다. 중공 로드(21)의 에지(21a)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 사이의 밀봉은 쳄버(25)에서 공동(23)을 분리하며, 그 동안에 쳄버(14)를 향하는 표면(16)의 이동은, 쳄버(14)를 공동(23)에 연결하는 밀봉을 정지시킴으로써, 그 표면(16)을 단부(19)의 에지(18)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는 쳄버(14)에서 공동(23)으로, 그리고 덕트(24)로, 그리고 덕트들(24a,24b)을 통해 역으로 유동하여, 측정 쳄버(30)를 충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가 장비된 쳄버(14)는 중공부(20), 덕트들(24,24a,24b) 및 쳄버(30)와 소통하며, 모두를 검사될 유체로 충전하게 된다.
도13에서, 힘(F)의 최종적 기능이 나타내진다. 힘(F)의 외부 작용이 종료된 때, 덮개(1)는 단부(4)에 대한 원위 위치,즉 덮개(1)의 정지부(34)가 본체(2)와 접촉하는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이 이동은,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 이동 축에 수직한 측정 쳄버(30)의 부분의 표면과의 적(積)에 기인한 스러스트와 카운터 스프링(3)의 응력에 기인하는데, 상기 이동 축에 수직한 측정 쳄버(30)의 부분은 가스켓(32)의 밀봉 부분에 대응한다.
단부(4)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한 덮개(1)의 이동 중에, 측정 쳄버(30)의 용적은 본체(2)가 단부(4)와 일체로 고정되어 유지됨으로써 증가하게 된다.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가 경질 부재(22)에 의해 개방되어 유지될 때까지,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압력을 보장하는, 공동(23) 및 덕트(24)를 통해 쳄버(14)로부터 밸브를 통과하는 유체의 적절한 유속은 전체 이동 상태 중에 바르게 유지된다.
동시에,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은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 및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상에 작용한다.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은 제1 스프링(27)의 탄성 작용에 거슬러,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유지하려는 미는 힘을 경질 부재(22)에 전달한다. 이 미는 힘은, 쳄버(25) 내의 외부 환경의 압력이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의 대향 측에 작용하므로,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의 작용면과의 적(積)에 의해 주어진다.
경질 부재(22)의 이동 축에 수직한 부분은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의 작용면을 형성하고, 중앙 부재(29)의 축에 수직한 대응하는 부분에 의해 외측으로 한정되어 있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미리 설정된 상대 압력의 제1 임계치 (Pci)보다 높은 경우, 경질 부재(22)에 대해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에 의해 전달되는 힘은 제1 스프링(27)의 작용에 반대하고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경질 부재(22)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상기 장치(100)는 제2 기동 상태를 유지한다.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가 개방되고 측정 쳄버(30)로의 체임버 (14)의 연결이 공동(23) 및 덕트들(24,24a,24b)을 통해 유지되고, 쳄버(25)는 덕트들(24,24a,24b)을 통해 외부 환경과 소통하게 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미리 설정된 상대 압력의 제3 임계치(Padvi)보다 높은 경우,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은 제2 스프링(46)의 탄성 작용에 반대하는, 제2 지지부(37)에 대해 인접한 제2 위치에 슬라이더(43)를 유지하도록 제1 슬라이더(43)에 미는 힘을 전달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 제1 슬라이더(43)에 대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작용면과의 적(積)은, 공동(40) 내의 외부 환경의 압력이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대향 측에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미는 힘을 야기시킨다.
이동 축에 수직한 제1 슬라이더(43)의 부분은 제1 슬라이더(43)에 대해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작용면을 한정한다. 이는 제1 슬라이더(43)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사이의 접촉면에 상당하는 부분이다. 스페이서(36)의 축에 수직한 대응하는 부분은 내부 이동을 한정하며, 제2 슬라이더(44)의 축에 수직한 부분은 외부 이동을 한정한다.
제1 슬라이더(43)에 대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작용면은 이동 축에 수직한 제1 슬라이더(43)의 부분(제1 슬라이더(43)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사이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스페이서(36)의 축에 수직한 대응하는 부분은 외부 이동을 한정하며, 제2 슬라이더(44)의 축에 수직한 부분은 내부 이동을 한정한다.
또한, 제2 가동 다이어프램은 제1 탄성 수단(47)의 작용에 반대하는, 베이스(38)에 대해 인접한 제2 위치에 유지하려는 미는 힘을 제2 슬라이더(44)에 전달한다. 공동(40) 내의 외부 환경의 압력이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대향 측에 작용하기 때문에,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 제2 슬라이더(44)에 대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작용면과의 적(積)에 의해 상기 미는 힘이 발생된다.
제2 슬라이더(44)에 대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작용면은 이동 축에 수직한 제2 슬라이더(44)의 부분(제2 슬라이더(44)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사이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제1 슬라이더(43)의 축에 수직한 대응하는 부분은 외부 이동을 한정하며, 제3 슬라이더(45)의 축에 수직한 부분은 내부 이동을 한정한다.
최종으로,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미리 설정된 상대 압력의 제2 임계치(Pcs)보다 높은 경우,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은 제2 탄성 수단(48)의 탄성 작용에 반대하는, 베이스(48)에 대해 인접한 제2 위치에 제3 슬라이더(45)를 유지하도록 제3 슬라이더(45)에 미는 힘을 전달한다.
공동(40) 내의 외부 환경의 압력이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대향 측에 작용하기 때문에,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 제3 슬라이더(45)에 대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작용면과의 적(積)에 의해, 상기 미는 힘이 발생된다.
제3 슬라이더(45)에 대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작용면은 이동 축에 수직한 제3 슬라이더(45)의 부분(제3 슬라이더(45)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사이의 접촉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부분은 제2 슬라이더(44)의 동일 축에 대해 수직한 대응하는 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미는 힘은 제1 슬라이더(43) 상의 제2 스프링(46), 제2 슬라이더(44) 상의 제1 탄성 수단(47) 및 제3 슬라이더(45) 상의 제2 탄성 수단에 의해 작용되며 제1 슬라이더(43), 제2 슬라이더(44) 및 제3 슬라이더(45)에 대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작용면들의 상대 면적들은, 제2 지지부(37) 또는 베이스(38)에 대한 원위의 제1 위치들에 대해 상대적인 제2 인접 위치들을 형성하는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로의 통과가, 미리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미리 설정된 상대 압력과 다르게 발생되도록 선택된다.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 모두가, 각각 스프링들(46,47,48)에 반대하는,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미는 힘 때문에 제2 지지부(37) 및 베이시스(38)에 대해 인접한 위치(이 위치에서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에 연결된 트리 요소들(52,53,54)이 제1 비기동 상태에서 제2 기동 상태로 변환하기 전의 상태에 대해 변환된 상태에 있게 된다)에 있도록 상대 압력치를 결정하여,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의 점진적 감소가 다음 결과를 야기하게 된다 :
a) 측정 쳄버(30)의 상대 압력이 제2 임계치(Pcs)에 도달한 때,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환되기 전의 상태에서, 제2 탄성 수단(54)에 연결된 콘택트의 복귀 결과에 따라, 제2 탄성 수단의 미는 힘에 의해 베이스(38)에 대한 원위 위치로의 제3 슬라이더(45)의 변환이 발생되고;
b) 그 후, 제3의 절대 압력 임계치에 동등한 미리 정해진 상대 압력치(Padvi)에서,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환되기 전의 상태에서, 제2 지지부(37)에 연결된, 콘택트(52)의 복귀 결과에 따라, 제2 스프링(46)의 미는 힘에 의해, 제2 지지부(37)에 대한 원위의 제1 위치로의 제1 슬라이더(43)의 변환이 발생되며;
c) 최종으로, 미리 정해진 제1 상대 압력 임계치(Pci)보다 매우 낮은 상대 압력치에서(즉, 미리 정해진 제1 상대 압력 임계치(Pci)와 외부 환경의 압력 사이에 포함되지만, 상기 제1 상대 압력 임계치(Pci)보다 낮은 상대 압력치에서),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환되기 전의 상태에서, 제1 탄성 수단(47)에 연결된 콘택트(53)의 복귀 결과에 따라, 제1 탄성 수단(47)의 작용에 의해, 베이스(38)에 대한 원위의 제1 위치로의 제2 슬라이더(44)의 변환이 발생된다.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의 변환의 외부 작용이 실행된 직후에, 즉 덮개(1) 상으로의 외부 힘(F)의 작용이 종료된 직후에,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미리 정해진 상대 압력 임계치(Pcs)보다 높은 값을 가진 경우에,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에 작용하는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미는 힘 때문에,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 모두가 제2 지지부(37)에 대해 인접한 상대 위치에 배치되고,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에 연결된 3개의 요소들(52,53,54)은 장치(100)의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의 변환 전의 상태에 대해 모두 변환된다.
또한,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에 연결된 3개의 요소들(52,53,54) 및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의 동일 형태에 의해,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초기에 미리 정해진 제2 상대 압력 임계치(Pcs)보다 낮은 값으로 될 때, 미리 정해진 제2 상대 압력 임계치(Pcs)에 도달하여 궁극적으로 그 값을 초과할 때까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콘택트(51)- 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취하는 것과 반대되는 상태로의 스위치의 변환을 얻게 됨으로써), 증가한다.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에 연결된 3개의 요소들(52,53,54) 및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의 동일 형태에 의해,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초기에 미리 정해진 제3 상대 압력 임계치(Padvi)보다 낮지만, 제1 임계치(Pci)보다 높은 값으로 될 때(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취하는 것과 반대되는 상태로의 스위치의 변환을 얻게 됨으로써), 미리 정해진 제2 상대 압력 임계치(Pcs)에 도달하여 궁극적으로 그 값을 초과할 때까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콘택트(51)- 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취하는 것과 반대되는 상태로의 스위치의 변환을 얻게 됨으로써), 증가한다.
측정 쳄버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임계치(Pci)보다 높은 값으로 될 때까지,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 및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의 형태는 측정 쳄버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의 값에 의존한다. 상기 스위치들은 장치(100)가 측정 쳄버(30)의 상대 압력의 값의 함수의 반대 상태로 제1 비기동 상태에 있을 때에 취하는 상태로부터 변환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미리 정해진 제1 상대 압력 임계치(Pci)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할 때, 기동 상태에서 비기동 상태로의 장치(100)의 변환이(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콘택트(50)-콘택트(53)으로 구성된 스위치가 가지는 것에 반대의 상태로의 스위치의 변환을 얻게 됨에 의해) 발생하고, 유체 압력이 새로이 미리 정해진 제1 상대 압력 임계치(Pci)보다 높게 되면 제2 기동 상태의 회복이 힘(F)의 외부 작용의 결과 만으로 얻어진다.
도14는,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의 변환의 외부 작용 완료 직후에, 즉 덮개(1)상으로의 외부 힘(F)의 작용 종료 직후에, 유체의 상대 압력이 미리 정해진 제3 상대 압력치(Padvi)보다 높지만, 미리 정해진 제2 상대 압력 임계치(Pcs)보다 낮은 값을 가진 경우에, 제3 슬라이더(45)에 작용하는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미는 힘으로 제2 탄성 수단(48)의 작용을 극복할 수 있어서 베이스(38)에 대한 원위 위치에 제2 슬라이더(45)가 위치하는 반면에, 각각 제2 스프링(37) 및 제1 탄성 수단(47)의 탄성 작용을 극복하는 슬라이더들(43,44)에 작용하는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미는 힘 때문에, 다른 슬라이더들(43,44)은 각각 제2 지지부(37) 및 베이스(38)에 대해 인접한 위치를 유지한다.
제3 슬라이더(45)에 연결된 요소는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통상 취하는 상태인 반면에, 슬라이더들(43,44)에 연결된 2개의 요소들(52,53)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그 슬라이더들이 취하는 상태에 대해 변환된 상태에 놓인다.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에 연결된 3개의 요소들(52,53,54) 및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의 동일 형태는, 측정 쳄버(30)에 수용된 유체의 상대 압력이,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환되는 외부 작용 직후인 초기에, 미리 정해진 제2 상대 압력 임계치(Pcs)보다 높은 값을 갖는 경우 발생되며, 계속되는 시간에 미리 정해진 제2 상대 압력 임계치(Pcs)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측정 쳄버(30)의 상대 압력이 제2 상대 압력 임계치(Pcs)에 도달될 때, 제2 탄성 수단(48)의 작용은, 제3 슬라이더(45)에 연결된 콘택트(54)의 복귀와 동시에 베이스(38)에 대해 인접한 위치로부터, 장치(100)가 제1 비기동 상태일 때 통상적으로 취하는 상태로 변환시키는 제3 슬라이더(45) 상의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미는 힘을 극복하게 된다.
도15에서,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화되는 외부 작용 직후, 즉 덮개(1)에 힘(F)의 외부 작용 종료 직후에, 측정 쳄버(30)에 수용된 검사될 유체의 상대 압력은 제1 상대 압력 임계치(Padvi)보다 높고, 제1 슬라이더(43)는 그의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미는 힘에 대해 제2 스프링(46)의 탄성 작용이 우세하기 때문에, 제2 지지부(37)에 대한 원위의 제1 위치에 위치되고, 제1 슬라이더(43)에 연결된 콘택트(52)는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에 있을 때 통상 취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3 슬라이더(45)는 그의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미는 힘에 대해 제2 탄성 수단(48)의 작용이 우세하기 때문에, 베이스(38)에 대한 원위의 제1 위치에 위치한다. 제3 슬라이더(45)에 연결된 콘택트(54)는 장치(100)가 제1 비기동 상태에 있을 때 통상 취하는 위치에 있게 되며, 제2 슬라이더(44)는 제1 탄성 수단(47) 상에 작용하는 그의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미는 힘이 우세하기 때문에, 베이스(38)에 대해 인접한 제2 위치에 위치한다. 제2 슬라이더(44)에 연결된 콘택트(53)는 장치(100)가 제1 비기동 상태에 있을 때 통상 취하는 위치에 대해 변환된 위치에 있게 된다.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에 연결된 3개의 요소들(52,53,54) 및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의 동일 형태는, 측정 쳄버(30)에 수용된 유체의 상대 압력이,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환되는 외부 작용의 실행 직후인 초기에, 미리 정해진 제3 상대 압력 임계치(Padvi)보다 높은 값을 갖는 경우 발생되며, 계속되는 시간에 미리 정해진 제3 상대 압력 임계치(Padvi)에 도달할 때까지 상대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측정 쳄버(30)의 상대 압력이 제3 상대 압력 임계치(Padvi)에 도달될 때, 제2 스프링(46)의 작용은, 제1 슬라이더(43)에 연결된 콘택트(52)의 복귀와 동시에 베이스(38)에 대해 인접한 제2 위치로부터 원위의 제1 위치로, 장치(100)가 제1 비기동 상태일 때 통상적으로 취하는 상태로 변환시키는 제1 슬라이더(43) 상의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미는 힘을 극복하게 된다.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에 연결된 3개의 요소들(52,53,54) 및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의 동일 형태는, 측정 쳄버(30)에 수용된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비기동 상태에서 제2 기동 상태로 변환되는 외부 작용의 실행 직후인 초기에, 미리 정해진 제2 상대 압력 임계치(Pcs)보다 높은 값을 갖는 경우 발생되며, 계속되는 시간에 미리 정해진 제2 상대 압력 임계치(Pcs)에 도달할 때까지 상대 압력이 감소하게 되며(제3 슬라이더(37)에 대한 원위의 제1 위치를 향해 제2 슬라이더(45)가 변환된 결과), 그 후 상대 압력이 제3 상대 압력 임계치(Padvi)에 도달한다.
도16은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환되는 외부 작용 직후, 즉 덮개(1)에 힘(F)의 외부 작용 종료 직후에,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은 제1 임계치(Pcs)보다 낮고, 경질 부재(22)에 대해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에 의해 전달되는 미는 힘은 제1 스프링(27)의 작용을 극복하기에 불충분하다. 이 경우, 경질 부재(22)는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에 있을 때까지 제1 스프링(27)의 작용에 의해 밀려지고,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가 폐쇄 위치로 변환된다. 측정 쳄버(30)로의 쳄버(14)의 연결은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쳄버(14)의 공동(23)으로의 연결이 종료되고, 측정 쳄버(30)는 덕트(24,24a,24b), 공동(23), 쳄버(25) 및 덕트(26a,26b,26c)를 통해 외부 환경과 연결된다.
이 방식으로,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는 외부로 유동하며 측정 쳄버(30)의 압력은 외부 환경의 값까지 감소된다.
도17은 측정 쳄버(30)에 수용된 유체의 상대 압력이 미리 정해진 제1 임계치(Pci)보다 낮은 값에 도달할 때(즉, 상대 압력의 값이 외부 환경의 압력과 미리 정해진 제1 임계치(Pci) 사이에 포함되지만, 상기 제1 임계치(Pci)보다 낮을 때), 제2 슬라이더(45) 상의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의해 작용되는 미는 힘이 제1 탄성 수단(47)의 작용보다 낮고, 제2 슬라이더(44)는 장치(100)의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의 변환 작동 상태에서 제1 탄성 수단(47)에 연결된 콘택트(53)의 복귀 결과에 따라, 제1 탄성 수단(47)에 의해, 베이스(38)에 대한 원위의 제1 위치까지 이동된다.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에 연결된 3개의 요소들(52,53,54) 및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의 동일 형태는, 측정 쳄버(30)에 수용된 유체의 상대 압력이,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환되는 외부 작용의 실행 직후인 초기에, 미리 정해진 제1 상대 압력 임계치(Pci)보다 높은 값을 갖는 경우 발생되며, 계속되는 시간에 미리 정해진 제1 상대 압력 임계치(Pci)에 도달할 때까지 상대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 경우, 측정 쳄버(30)의 상대 압력이 제1 상대 압력 임계치(Pci)에 도달될 때, 경질 부재(22)는 제1 스프링(27)의 작용에 의해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까지 밀려지고,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는 그의 폐쇄 위치에 있게 된다. 쳄버(14)의 측정 쳄버(30)로의 연결은 차단되고, 상기 쳄버(30)는 덕트(24,24a,24b), 공동(23), 쳄버(25) 및 덕트(26a,26b,26c)를 통해 외부 환경과 연결된다.
이 방식으로,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는 외부로 유동하며 측정 쳄버(30)의 압력은 제1 탄성 수단(47)의 작용이 제2 슬라이더(44) 상의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미는 힘을 극복할 때까지 감소된다. 상기 슬라이더(44)는 베이스(38)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서 원위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로써 제2 슬라이더(44)에 연결된 콘택트(53)의 통상의 위치로의 복귀가 이루어진다. 이 통상의 위치는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발생한다.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에 연결된 3개의 요소들(52,53,54) 및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의 동일 형태는, 측정 쳄버(30)에 수용된 유체의 상대 압력이,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환되는 외부 작용의 실행 직후인 초기에, 미리 정해진 제3 상대 압력 임계치(Padvi)보다 높은 값을 갖는 경우 발생되며, 계속되는 시간에 미리 정해진 제3 상대 압력 임계치(Padvi)에 도달할 때까지 상대 압력이 감소하게 되며(제1 슬라이더(43)의 제2 지지부(37)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한 이동의 결과), 그 후 상대 압력이 제1 상대 압력 임계치(Pci)에 도달한다.
이 경우, 측정 쳄버(30)의 상대 압력이 제1 상대 압력 임계치(Pci)에 도달될 때, 경질 부재(22)는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의 작용에 의해 경질 부재(22)에 대해 전달되는 미는 힘은 제1 스프링(27)의 작용을 극복하기에 불충분하다. 경질 부재(22)는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의 제1 위치까지 제1 스프링(27)의 작용에 의해 밀려진다.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는 그의 폐쇄 위치에 있게 되고, 쳄버(14)의 측정 쳄버(30)로의 연결은 차단되고, 상기 쳄버(14)에서 측정 쳄버(30) 또는 공동(23)으로의 모든 유체 누출은 정지된다.
측정 쳄버(30)는 덕트(24,24a,24b), 공동(23), 쳄버(25) 및 덕트(26a,26b,26c)를 통해 외부 환경과 연결된다. 측정 쳄버(30)에 수용된 유체는 외부로 유동하며 측정 쳄버의 압력은 외부 환경의 값까지 감소된다.
측정 쳄버(30)에서 유출하는 유체의 상대 압력은 제2 슬라이더(44) 상의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의해 작용되는 미는 힘이 제1 탄성 수단(47)의 작용보다 낮을 때, 제2 슬라이더는,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의 변환 전의 상태에서 제1 탄성 수단(47)에 연결된 콘택트(53)의 복귀 결과에 따라, 제1 탄성 수단(47)의 작용에 의해, 베이스(38)에 대한 원위의 제1 위치까지 이동된다.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에 연결된 3개의 요소들(52,53,54) 및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의 동일 형태는, 측정 쳄버(30)에 수용된 유체의 상대 압력이,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환되는 외부 작용의 실행 직후인 초기에, 미리 정해진 제2 상대 압력 임계치(Pcs)보다 높은 값을 갖는 경우 발생되며, 계속되는 시간에 미리 정해진 제3 상대 압력 임계치(Padvi)에 도달할 때까지 상대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제1 슬라이더(43)의 제2 지지부(37)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한 이동의 결과), 그 후 상대 압력이 제1 상대 압력 임계치(Pci)에 도달한다.
도18은 측정 쳄버(30)에서 외부 환경을 향한 유체 유동의 말기에, 장치(100)의 형태가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의 변환 전의 장치(100)의 형태와 동일하다(도10 참조).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덕트(13) 및 쳄버(15)를 통해 외부 환경에 연결된 쳄버(25) 및 공동(23)을 향한 단부(4)의 쳄버(9) 내의 유체의 누출은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폐쇄에 의해 방지된다.
이로써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탭(8)(또는 자동 팽창 밸브)을 폐쇄할 필요가 없다.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변환 중에, 즉 장치(100)의 기동 상태에서 비기동 상태로의 변환(또는 그 반대로의 변환) 중에 쳄버(14)에서 쳄버(25)(외부로의 쳄버(9))로의 연결을 항상 방지하는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이미 개시된 특성은, 장치(100)의 기동 상태에서 비기동 상태로의 변환(또는 그 반대로의 변환) 시에 외부 환경으로 방출되는 유체 용적이 측정 쳄버(30), 덕트(24) 및 공동(23)의 용적의 합보다 높게 될 수 없다.
3개의 미리 정해진 상대 압력 임계치(Pci ,Pcs, Padvi)를 초과한다는 신호들은 각각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에 연결된 3개의 요소들(52,53,54)의 상태에 따라 베이스(38)와 일체의 전자 장치에 의해 처리되어 전달된다.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되는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스위치가 취하는 것과 반대인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에, 제2 상대 압력 임계치(Pcs)를 초과한다는 신호가 장치(100)에 의해 방출된다.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되는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스위치가 갖는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 제2 상대 압력 임계치(Pcs)를 초과한다는 신호의 방출은 정지된다.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로 구성되는 스위치가, 장치(100)가 제1 비기동 상태일 때 스위치가 갖는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에, 제3 상대 압력 임계치(Padvi)를 초과한다는 신호가 방출된다.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로 구성되는 스위치가, 장치(100)가 제1 비기동 상태일 때 스위치가 취하는 것과 반대인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 제3 상대 압력 임계치(Padvi)를 초과한다는 신호의 방출은 정지된다.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로 구성되는 스위치가, 장치(100)가 제1 비기동 상태일 때 스위치가 갖는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 제1 상대 압력 임계치(Pci)를 초과한다는 신호가 방출된다.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로 구성되는 스위치가, 장치(100)가 제1 비기동 상태일 때 스위치가 갖는 것과 반대의 상태로 변환되는 경우, 제1 상대 압력 임계치(Pci)를 초과한다는 신호의 방출은, 정지된다.
각각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에 연결된 3개의 요소들(52,53,54)의 상태는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의 순간적인 값,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과 접촉된 3개의 슬라이더(43,44,45)의 작용면들 및 스프링(46)과 탄성 수단(47,48)의 작용에 의존하며, 장치(100)의 다른 내부 부품들의 위치 또는 이동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미리 정해진 3개의 상대 압력 임계치를 초과한다는 신호의 방출은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의 순간적인 값에 의존한다.
도19는 장치(100)의 축방향 전체 치수를 감소시키도록, 덮개(1)와 일체의 지지 베이스(35)와 본체(2) 사이에 삽입된 카운터 스프링(3)을 제거한 장치(100)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장치(100)의 비기동 상태에서, 경질 부재(22)의 중공 로드(21)의 에지(21a)는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과 접촉하지 않는다. 측정 쳄버(30)는 덕트들(24,24a,24b), 공동(23), 쳄버(25) 및 덕트들(26a,26b,26c)을 통해 외부에 연결된다.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은 핀(20)의 단부에서 단부(19)의 에지(18)와 접촉한다.
장치(100)의 비기동 상태에서, 또한 유체가 쳄버(14) 내에 있는 경우,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과 단부(19)의 에지(18) 사이의 밀봉 시일 때문에 공동(23)과 쳄버(25)로 침입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비기동 상태에서 덮개(1)는 본체(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은 유체 이외에서 발생하거나, 쳄버(14), 덕트들(13,13a,13b) 및 쳄버(9) 안이 아닌 곳에서 발생한다.
도20에서, 장치(100)의 기동 상태는 경질 부재(22)가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한정되며, 따라서 중공 로드(21)의 에지(21a)는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변환을 야기하는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 상에 작용하게 된다.
중공 로드(21)의 에지(21a)와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 사이의 시일은 공동(23)을 쳄버(25)에서 분리하고, 표면(16)이 쳄버(14)를 향하는 이동은 표면(16)과 단부(19)의 에지(18) 사이의 접촉의 차단을 야기하여, 시일이 해제되고 쳄버(14)가 공동(23)과 소통하며 유체가 덕트들(24, 24a, 24b)을 통해 측정 쳄버(30)로 침입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2)와 덮개(1)에 일체로 된 지지 베이스(35)와의 사이에 삽입된 카운터 스프링(3)이 없는 실시예에서, 장치(100)가 기동 상태일 때, 덮개(1)는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의 미는 힘에 의해, 덮개(1)의 정지부(34)가 본체(2)와 접촉되는 위치인, 단부(4)에 대한 원위 위치에 유지된다.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즉 측정 쳄버(30) 내에 어떤 압축된 유체가 존재할 때, 덮개(1)는 단부(4)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덮개(1)를 유지할 수 있는 미는 힘이 없기 때문에 단부(4)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21은 장치(100)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는 장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덮개(1)와 일체의 지지 기부(35)와 본체(2) 사이에 삽입된 카운터 스프링(3)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100)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변형 다이어프램의 동일한 반경방향 치수를 유지하도록, 카운터 스프링을 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은 덮개(1)의 반경방향 치수를 증가시킴에 의해 얻어지는 사이 공간(58)에서 발견된다.
장치(100)는 제1 실시예의 특징을 나타내지만 짧은 전체 길이 및 더 긴 반경방향 치수를 가진다.
도 22에 장치(100)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는 경질 부재(22) 및 제1 슬라이더(43) 상에 각각 요구되는 작용을 행하도록 제1 스프링(27) 및 제2 스프링(46) 대신에 벨레빌(Belleville) 와셔(59,60)를 이용한다. 이러한 종류의 스프링들은 사용되는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요구되는 치수에 대해, 축방향 치수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제안된 위치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도23에 장치(100)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 실시예의 목적은 축방향 및 반경방향 치수의 최대 감소이다. 이 실시예는 장치(100)의 전체 길이의 최소화의 장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장치(100)가 상기한 제3 실시예에서 기대되는 바와 같이, 장치(100)의 반경방향 치수 증가없이,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즉, 측정 쳄버(30)에 압축 유체가 없을 때)일 때 단부(4)에 대해 원위에 덮개(1)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덮개(1)의 카운터 스프링(3)의 작용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5 실시예는 축방향 치수를 최대로 감소시키도록, 제1 스프링(27) 및 제2 스프링(46) 대신에 벨레빌(Belleville) 와셔(59,60)를 이용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도록, 상기 실시예는 2개의 부분들에서 본체(2)의 분리를 제공한다. 제1 부분(2a)은 장치(100)를 단부(4)에 고정시키도록 사용되고, 제2 부분(2b)은 제1 고정부(2a) 및 덮개(1)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시키도록 이동 가능하다.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서, 이하의 부재들이 내장된다 :
a) 단부(4)에 연결되는 장치(5b);
b) 본체(2)의 제1 고정부(2a)와 단부(4)의 상단부(6) 사이의 시일용 가스켓(7);
c) 단부(62);
d) 덮개(1)와의 프리즘 연결부.
본체(2)의 제1 고정부(2b)에서, 이하의 부재들이 내장된다 :
e) 제1 지지부(17);
f) 제1 지지부(17)의 적절한 시트(17a)에 내장된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을 포함하는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를 갖는 밸브. 상기 시트(17a)는 본체(2)의 제1 고정부(2b)에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을 유지하며, 또한 제1 지지부(17), 본체(2)의 제1 고정부(2b)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 사이의 접촉면을 따른 유체 누출에 대한 시일에 도달된다;
g)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을 갖는 시일에 도달되는 단부(19) 및 상대 에지(18)를 갖는 핀(19);
h) 중앙 부재(29);
i) 경질 부재와 일체의 중앙 영역, 및 제1 지지부(17) 상에 위치하는, 중앙 부재(29)와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 사이의 시일에 도달하도록 고정된 외주 영역을 갖는,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
j) 제1 지지부(17),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 제1 중앙 부재(29),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 및 경질 부재(22)에 의해 한정되는 쳄버(25);
k) 제1 지지 부재(17)와 경질 부재(22) 사이에 삽입된 제1 스프링(59);
i) 측정 쳄버(30)의 시일을 작용시키는 가스켓(32).
쳄버(25)는 항상 제1 지지부(17)의 덕트(26a), 본체(2)의 제2 가동부(2b)에 있는 덕트(26b1), 제2 가동부(2b)에서 본체(2)의 제1 고정부(2a)를 분리하고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있는 덕트(26b2)를 통해 외부에 연결된 쳄버(63), 카운터 스프링(3)을 내장하도록 본체(2)의 제2 가동부(2b)에 반경방향으로 제공된 인터페이스(61),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있는 덕트(26b3)를 통해 외부에 연결된다.
본체(2)의 제2 가동부(2b)와 덮개(1) 사이에 삽입된 가스켓(32)은 측정 쳄버(30)의 밀봉을 보장한다. 본체(2)의 제2 가동부(2b)는 본체(2)의 제1 고정부(2a) 및 덮개(1)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환한다. 덮개(1)는 본체(2)의 제1 고정부(2a)나 본체(2)의 제2 가동부(2b)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쳄버(9)의 밀봉을 보장하고 유체 누출을 방지하도록, 쳄버(9)와 쳄버(63) 사이에 시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체(2)의 제1 고정부(2a)와 본체(2)의 제2 가동부(2b) 사이의 시일은 제1 고정부(2a)에 대한 이동 시에 본체(2)의 제2 가동부(2b)의 축방향 위치에서 작용되어야 한다.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있는 공동(65)은 본체(2)의 제2 가동부(2b)와 일체의 돌기부(66)를 제공한다. 공동(65)과 돌기부(66) 사이에 가스켓(64)이 제공되어 본체(2)의 제1 고정부(2a)와 본체(2)의 제2 가동부(2b) 사이의 관을 통해 쳄버(9)와 쳄버(63) 사이의 유체 누출에 대한 시일을 보장한다. 가스켓(64)은 본체(2)의 제1 고정부(2a) 및 본체(2)의 제2 가동부(2b) 모두에 내장된다.
제5 실시예에서, 본체(2)의 제2 가동부(2b)에 있는 가스켓(32)의 하우징 및 본체(2)의 제1 고정부(2a)와 일체의 본체(2)의 단부(62) 사이에 제공된 인터페이스(61)에 카운터 스프링(2)이 내장된다.
이 방식으로, 인터페이스(61)는 가스켓(32)의 하우징에 의해 이미 부분적으로 점유된 반경방향 치수에 관여되거나, 또는 사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최소 반경방향 치수를 유지하는 장치(100)의 치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본체(2)의 제1 고정부(2a)와 본체(2)의 제2 가동부(2b) 사이에 삽입된 카운터 스프링은 제1 고정부(2a)에 대해 말단의 위치를 향해 미는 탄성 작용을 갖는 제2 가동부(2b) 상에 작용한다.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대한 제2 가동부(2b)의 말단의 위치는,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경질 부재(22)의 단부(55)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사이의 접촉 및 연속의 평형에 의해 한정된다. 덮개가 단부(4)에 대해 말단의 위치(즉, 덮개(1)의 정지부(34)가 본체(2)의 제1 고정부(2a)와 접촉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평형이 발생된다. 이 경우, 경질 부재(22) 상에 작용하는, 카운터 스프링(3)의 미는 힘과 제1 스프링(59)의 작용이 평형으로 된다. 제1 스프링(59)은 제1 슬라이더(43)에서 작용하는 제2 스프링(60), 제2 슬라이더(44) 상에서 작용하는 제1 탄성 수단(47) 및 제3 슬라이더(45) 상에서 작용하는 제2 탄성 수단(48)에 대해 작용한다.
덮개(1) 상의 카운터 스프링(3)의 작용은 본체(2)의 제2 가동부(2b) 상의 카운터 스프링(3)의 미는 힘이 경질 부재(22)의 단부(55)와의 접촉을 통해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전달됨으로써 발생한다.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은 3개의 슬라이더들(43,44,45) 및 연관된 카운터 스프링과 탄성 수단(60,47,48)을 통해 상기 미는 힘을, 덮개(1)에 전달하는, 제2 지지부(37)와 베이스(38)에 전달한다.
이 방식으로, 스프링(3)은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에 주어지는 축방향 이동의 가능성을 이용하여 덮개(1)에 직접 작용하여, 덮개(1)를 측정 쳄버(30) 내측의 압축 유체의 존재 시에 단부(4)에 대해 말단의 위치에 유지시킨다.
경질 부재(22)의 단부(55)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사이의 접촉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이 제1 고정부(2a)에 대한 원위 위치에 있을 때 카운터 스프링(3)의 미는 힘에 의해 접촉력이 조정될 수 있다.
도24는 제1 고정부(2a)에 대한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의 인접 위치가 제2 가동 부분(2b)과 일체의 벽(68) 및 제1 고정부(2a)와 일체의 벽(69) 사이의 접촉에 의해 한정됨을 나타낸다. 제2 가동 부분(2b)은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환 중에 제1 고정부(2a)에 대해 인접한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외력(F)는 축방향으로 작용하여 말단에서 단부(4)에 대해 인접한 위치로의 덮개(1)의 이동을 야기한다. 덮개(1)의 이동은 베이스(38), 제2 지지부(37), 스페이서(36), 및 슬라이더(43,44,45), 스프링 및 탄력 수단(60,47,48),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및 덮개(1)와 일체인 지지 기부(35)로 이루어진 그룹을 이동시키게 된다.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은 스프링 및 탄력 수단(60,47,48)의 작용을 경질 부재(22)의 단부(55)에 전달하고, 스프링 및 탄력 수단(60,47,48)은 외력(F)의 작용에 의해 압축된다. 상기 탄성 작용은 제1 스프링(59)의 작용에 의해 즉각적으로 평형으로 되고, 제1 지지부(17)에 의해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에 전달되어, 카운터 스프링(3)의 작용에 의해 평형으로 된다.
이러한 이유로, 외력(F)의 작용은 경질 부재(22)와 제2 지지부(37)에 배치된 정지부(56) 사이의 접촉을 야기한다(이는 외력(F)가 경질 부재(22) 상의 제1 스프링(59)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 작용 또는 값에 도달되고, 상기 경질 부재(22)가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발생된다). 또한, 외력(F)는 제1 슬라이더(43)와 제2 지지부(37)에 배치된 정지부(57) 사이의 접촉을 야기한다(이는 외력(F)가 제1 슬라이더(43) 상의 제2 스프링(60)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 작용 또는 값에 도달되고, 상기 슬라이더(43)가 제2 지지부(3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발생된다). 최종으로, 외력(F)는, 제2 가동 부분(2b)이 제1 고정부(2a)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도달할 때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과 일체인 벽(68) 사이의 접촉을 야기한다. 이 위치에서, 카운터 스프링(3)의 최대 압축에 도달한다.
측정 쳄버(30)의 축에 수직한 부분의 표면[덮개(1)에 대해 가스켓(32)에 의해 행해지는 밀봉에 대응하는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의 축에 수직한 부분에 상당함]과 쳄버(30) 내에 수용된 유체의 상대 압력과의 적(積)에 기인한 미는 힘은, 상기 상대 압력이 제2 소정 임계치(Pcs) 이상으로 될 때까지는, 카운터 스프링(3)의 작용을 이기기에 충분하므로,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로 될 때까지 제1 고정부(2a)에 대해 인접한 위치를 유지한다.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이 제1 고정부(2a), 즉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과 일체의 벽(68)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장치(100)의 작동 상태들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 피스로 된 장치(100)의 경우와 유사하게 된다.
비기동 상태에서 제2 기동 상태로의 변환, 즉 외력(F)가 기동 상태인 중에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로의 경질 부재(22)의 작용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과 접촉되는, 경질 부재(22)와 일체인 중공 로드(21)를 지지한다.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를 가진 밸브를 변환시키도록 쳄버(14)를 향한 표면(16)의 변환을 얻기에 상기 미는 작용이 충분하다.
중공 로드(21)의 에지(21a)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 사이의 접촉에 의해 공동(23)을 쳄버(25)에서 분리하는 밀봉이 형성되고, 쳄버(14)를 향한 표면(16)의 이동은 표면(16)과 단부(19)의 에지(18) 사이의 접촉 차단을 야기하게 된다. 이 방식으로, 밀봉이 회피되고 쳄버(14)가 공동(23)에 연결된다.
따라서, 유체는 쳄버(14)에서 공동(23)으로 유동하여, 덕트(24)로 유동한다. 최종으로, 유체는 분기부(24a,24b)를 통과하여, 측정 쳄버(30)를 충전하게 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를 가진 밸브가 구비된, 쳄버(14)는, 모두 유체로 충전된, 공동(23), 덕트(24,24a,24b), 및 측정 쳄버(30)에 연결된다.
도25는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환의 종료시에, 힘(F)의 작용이 정지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동시에, 덮개(1)는 단부(4)에 대해 말단의 위치, 즉 덮개(1)의 정지부(34)가 본체(2)의 제1 고정부(2a)의 단부(62)와 접촉되는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이 이동은 측정 쳄버(30)의 이동 축에 대해 수직한 부분의 표면과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의 적(積)에 기인한 스러스트에 의한 것이다. 상기 수직한 부분은 덮개(1)에 대해 가스켓(32)에 의해 실현되는 밀봉에 대응하여 본체(2)의 가동 부분(2b)의 축에 수직한 부분에 상당한다.
도25는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의 변환 종료시에 덮개(1)가 단부(4)에 대해 말단의 위치에 있을 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은 제2 소정 임계치(Pcs)보다 낮고, 제3 소정 임계치(Padvi)보다 높은 값을 가진다.
덮개(1)의 단부(4)에 대한 말단의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측정 쳄버(30)의 용적은 가동 부분(2b)이 단부(4)와 일체의 본체(2) 고정부(2a)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증가하게 된다.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를 유지함에 따른 압력 상태가 유지될 때까지, 즉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보다 높거나 같을 때까지,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를 가진 밸브는 경질 부재(22)에 의해 개방되어 유지된다. 쳄버(14)에서 공동(23)과 채널(24)을 통해,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를 가진 밸브를 통과하는 적절한 유체 유속은 이동의 모든 단계 도중에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의 유지를 보장한다.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 및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의 효과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남아있다. 장치(100)는 소정 임계치(Pcs, Pci, Padvi)를 초과함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26은 장치(100)의 기동 상태에서 비기동 상태로의 통과 시에, 제1 스프링(59)의 작용 하에서,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서 원위의 위치로의 경질 부재(22)의 자유 스트로크, 및 제2 스프링(60), 제1 탄성 수단(47) 및 제2 탄성 수단(48) 각각의 작용 하에, 제2 지지부(37) 및 베이스(38)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서 말단의 위치로의 슬라이더들(43,44,45)의 자유로운 축방향 스트로크를 보장하도록, 측정 쳄버(30) 내의 장치(100)의 기동 상태에서 비기동 상태로의 변환을 위한 상대 압력의 상태들이 발생될 때, 즉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 아래로 감소되고, 또한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대한 인접한 위치에 제2 가동 부분(2b)이 있을 때까지, 경질 부재(22)의 단부(55)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과 접촉하지 않게 될, 즉 단부(55)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사이의 포트의 존재가 확인될 필요가 있다.
이 상태는 제1 지지부(17)에 대한 말단의 위치를 향한 경질 부재(22)의 자유 이동과,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를 가진 밸브의 결과적인 폐쇄를 보장한다.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에서 중공 로드(21)의 에지(21a)의 분리 및 덕트(24,24a,24b) 및 공동(23)을 통해 측정 쳄버(30)로, 외부와 소통하는, 쳄버(25)의 연결의 결과적인 개방은,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이 단부(19)의 에지(18)와 접촉하여, 쳄버(14)와 공동(23) 사이의 소통이 차단된 후에 발생된다. 이로써 쳄버(14)는 쳄버(25), 즉 외부와 결코 연결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의 발생을 보장하도록, 제1 고정부(2a)에 대한 본체(2)의 제2 가동부(2b)로의 충분한 이동 스트로크를 할당할 필요가 있다. 도26에서, 상기 스트로크는 경질 부재(22)의 단부(55)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게 된다.
장치(100)의 기동 상태에서 비기동 상태로의 변환 조건들, 즉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적인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 아래로 감소될 때, 세방향 및 두개의 위치를 가진 밸브의 폐쇄로의 변환 때문에, 특히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에서 중공 로드(21)의 에지(21a)의 분리 및 덕트(24,24a,24b) 및 공동(23)을 통해 측정 쳄버(30)로, 외부와 소통하는, 쳄버(25)의 연결의 결과적인 개방으로 인해, 유체는 외부로 유동한다. 측정 쳄버(30)에서의 유동 때문에, 상기 쳄버(30)의 압력은 외기 압력의 값으로 될 때까지 감소한다. 덮개(1)에 대해 가스켓(32)에 의해 실현되는 밀봉에 대응하는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의 축에 수직한 부분에 작용하는, 압력 이하의 값으로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적인 압력이 도달될 때, 카운터 스프링(3)의 탄성 작용에 반대하여 동일의 미는 힘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2 가동 부분(2b)은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대해 말단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된다.
이러한 이유로, 장치(100)는 도23에 도시된 형태로 복귀된다. 단부(4)에 대해 말단의 위치(즉 본체(2)의 제1 고정부(2a)와 덮개(1)의 정지부(34)가 접촉되는 위치)에 덮개(1)가 배치되고, 제1 슬라이더(43) 상에 작용하는 제2 스프링(60), 제2 슬라이더(44) 상에 작용하는 제1 탄성 수단(47), 및 제3 슬라이더(45) 상에 작용하는 제2 탄성 수단(48)과 대조적으로 경질 부재(22) 상에 작용하는 제1 스프링(29)과 카운터 스프링(3)의 미는 힘의 작용 사이의 평형 상태에서, 경질 부재(22)의 단부(55)와 제2 다이어프램(31) 사이의 접촉 상태에서, 제2 가동 부분(2b)이 말단의 위치에 도달될 때, 카운터 스프링(3)의 미는 힘으로 인한,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의 이동이 종료된다.
제1 스프링(59), 제2 스프링(60) 및 제2 탄성 수단(48)은 그들의 특성 및 탄성 작용 때문에, 각각 상대 압력의 제1 소정 임계치(Pci), 제2 소정 임계치(Pcs), 및 제3 소정 임계치(Padvi)를 초과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세개의 임계치들 중 어느 하나의 초과는 각각 경질 부재(22), 제1 슬라이더(43), 및 제3 슬라이더(45) 상에 작용하는 힘들의 평형에 의해 식별된다.
정치(100)가 기동 상태이고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보다 높을 때, 경질 부재(22)의 평형 상태는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에 대응한다. 경질 부재(22)는,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보다 높을 때에,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에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는 경질 부재(22)와 제1 지지부(17)에 배치된 정지부(56) 사이의 접촉에 의해 한정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보다 높을 때, 경질 부재(22)의 제1 지지부(17)에 대한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상기 제1 소정 임계치(Pci)보다 높을 때에, 제1 스프링(59)의 압축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의 작용면과의 적(積)의 작용에 기인한 경질 부재(22)로의 미는 작용에 대해 균형을 이루는 작용은, 제1 지지부(17)에 배치된 정지부(56)의 억제 작용과 제1 스프링(59)의 작용의 합으로 주어진다.
정지부(56)의 억제 작용은,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의 작용면의 적(積)의 작용에 기인한 경질 부재(22)에 대한 미는 작용과, 제1 지지부(17)에 대한 인접 위치에 의해 한정된 일정 위치에서 경질 부재(22)에 의해 압축되는 제1 스프링(59)의 작용과의 사이의, 양의 차분을 균형 유지시키는 데 필요한 임의의 값을 취하게 된다.
따라서, 경질 부재(22)는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보다 높을 때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서 정적인 평형을 유지한다.
경질 부재(22)의 정적인 평형은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보다 낮게 될 때까지 감소되면 차단된다. 제1 스프링(59)의 탄성 작용은 측정 쳄버(30)의 압력 때문에 경질 부재(22) 상에 작용하는 미는 힘에 대해 우세하게 된다. 이로써 경질 부재(22)는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제1 스프링(59)이 예컨대 바이메탈 재료에 대한 절대 온도 Ta의 함수로 탄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재료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경질 부재(22)가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경질 부재(22) 상의 제1 스프링(59)의 탄성 작용은 절대 온도 Ta의 함수로 변화된다.
온도에 있어서의 탄성 작용의 변화는 제1 스프링(59)에 대해 사용된 재료의 종류에 의존하게 된다.
경질 부재(22) 상의 제1 스프링(59)의 탄성 작용의 변화는 절대 온도 Ta의 함수로 제1 소정 임계치(Pci)의 값의 변화를 야기한다. 정상 상태에서, 즉 외부 환경에 대해 장치(100)의 열적 평형 상태에서, 제1 스프링(59)의 재료의 절대 온도 Ta는 외부 환경의 절대 온도 Ta의 값과 동일한 값을 가진다.
상기 장치가 기동 상태이고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3 소정 임계치(Padvi)보다 높을 때, 제1 슬라이더(43)의 평형 상태는 제2 지지부(37)에 대해 인접한 그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1 슬라이더(43)는 상기 장치가 기동 상태이고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3 소정 임계치(Padvi)보다 높을 때 제2 지지부(37)에 대해 인접한 제2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제2 지지부(37)에 대해 인접한 제1 슬라이더(43)의 제2 위치는 제2 지지부(37) 상에 배치된 정지부(57) 와 제1 슬라이더(43) 사이의 접촉에 의해 한정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3 소정 임계치(Padvi)보다 높을 때, 제2 지지부(37)에 대한 제1 슬라이더(43)의 위치는 일정하다. 따라서,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3 소정 임계치(Padvi)보다 높을 때, 제2 스프링(60)의 압축은 일정으로 유지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 제1 슬라이더(43)에 대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작용면과의 적(積)에 기인한 제1 슬라이더(43) 상으로의 미는 작용과 균형을 이루는 작용은 제2 스프링(60)의 탄성 작용과 제2 지지부(37)에 배치된 정지부(57)의 작용의 합으로 주어진다.
정지부(57)의 억제 작용은 제1 슬라이더(43) 상의 미는 작용들 사이의 양의 차분을 균형 유지시키기는 데 필요한 임의의 값을 취한다. 이 차분은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 제1 슬라이더(43)에 대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작용면과의 적(積)의 작용에 기인하며, 그리고 제2 스프링(60)의 탄성 작용에 기인한다. 제1 슬라이더(43)는 제2 지지부(3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의해 한정된 일정 위치에서 스프링(60)을 압축한다.
따라서, 제1 슬라이더(43)는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3 소정 임계치(Padvi)보다 높을 때 제2 지지부(3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서 정적 평형 상태에 있다. 제2 스프링(60)의 탄성 작용은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 때문에 제1 슬라이더(43) 상에 작용하는 미는 힘에 대해 우세하다. 이러한 이유로, 제1 슬라이더(43)는 제2 지지부(37)에 대해 인접한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제2 스프링(60)이 예컨대 바이메탈 재료에 대한 절대 온도 Ta의 함수로 탄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재료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제1 슬라이더(43)가 제2 지지부(3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제1 슬라이더(43) 상의 제2 스프링(60)의 탄성 작용은 절대 온도 Ta의 함수로 변화된다. 온도에 있어서의 탄성 작용의 변화는 제2 스프링(60)에 대해 사용된 재료의 종류에 의존하게 된다.
제1 슬라이더(43) 상의 제2 스프링(60)의 탄성 작용의 변화는 절대 온도 Ta의 함수로 제3 상대 압력의 소정 임계치(Padvi)의 값의 변화를 야기한다. 정상 상태에서, 즉 외부 환경에 대해 장치(100)의 열적 평형 상태에서, 제2 스프링(60)의 재료의 절대 온도 Ta는 외부 환경의 절대 온도 Ta의 값과 동일한 값을 가진다.
상기 장치(100)가 기동 상태이고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2 소정 임계치(Pcs)보다 높을 때, 제3 슬라이더(45)의 평형 상태는 베이스(38)에 대해 인접한 그의 위치에 대응한다. 제3 슬라이더(45)는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2 소정 임계치(Pcs)보다 높을 때 베이스(38)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제3 슬라이더(45)의 베이스(38)에 대한 인접 위치는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제3 스위치의 변환을 위해, 제3 전기 콘택트(51)에 대한 제3 슬라이더(45)의 이동에 연결된, 콘택트(54) 사이의 접촉에 의해 한정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2 소정 임계치(Pcs)보다 높을 때, 베이스(38)에 대한 제3 슬라이더(45)의 위치는 일정하다. 따라서,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2 소정 임계치(Pcs)보다 높을 때, 제2 탄성 수단(48)의 압축은 일정으로 유지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 제3 슬라이더(45)에 대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작용면과의 적(積)에 기인한 제3 슬라이더(45) 상으로의 미는 작용과 균형을 유지하는 작용은, 베이스(38)의 이동에 연계된 제3 전기 콘택트(51)에 대한 제3 슬라이더(45)의 이동에 연계된 콘택트(54) 사이의 접촉의 구속 작용과 제2 탄성 수단(48)의 탄성 작용의 합으로 주어진다.
베이스(38)의 이동에 연계된 제3 전기 콘택트(51)에 대한 제3 슬라이더(45)의 이동에 연계된 콘택트(54) 사이의 접촉의 구속 작용은 제3 슬라이더(45) 상의 미는 작용들 사이의 양의 차분을 균형 유지시키는 데에 필요한 임의의 값을 취하며, 그 차분은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 제3 슬라이더(45)에 대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작용면과의 적(積)의 작용에 기인하며, 그리고 베이스(38)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의해 한정된 일정 위치에서 제3 슬라이더(45)에 의해 압축되는 제2 탄성 수단(48)의 탄성 작용에 기인한다.
따라서, 제3 슬라이더(45)는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2 소정 임계치(Pcs)보다 높을 때 베이스(38)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서 정적 평형 상태에 있다.
제3 슬라이더(45)의 정적 평형은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2 소정 임계치(Pcs)보다 높을 때 차단된다. 제2 탄성 수단(48)의 탄성 작용은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 때문에 제3 슬라이더(45) 상에 작용하는 미는 힘에 대해 우세하며, 제3 슬라이더(45)는 베이스(38)에 대한 원위 위치인 제1 원위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제2 탄성 수단(48)이 예컨대 바이메탈 재료에 대한 절대 온도 Ta의 함수로 탄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재료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슬라이더(45)가 베이스(38)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제3 슬라이더(45) 상의 제2 탄성 수단(48)의 탄성 작용은 절대 온도 Ta의 함수로 변화된다. 온도에 있어서의 탄성 작용의 변화는 제2 탄성 수단(48)에 대해 사용된 재료의 종류에 의존하게 된다.
제3 슬라이더(45) 상의 제2 탄성 수단(48)의 탄성 작용의 변화는 절대 온도 Ta의 함수로 제2 상대 압력의 소정 임계치(Pcs)의 값의 변화를 야기한다. 정상 상태에서, 즉 외부 환경에 대해 장치(100)의 열적 평형 상태에서, 제2 탄성 수단(48)의 재료의 절대 온도 Ta는 외부 환경의 절대 온도 Ta의 값과 동일한 값을 가진다.
장치(100)가 기동 상태에서 비기동 상태로 변환되는 도23의 형태에서, 경질 부재(22)의 단부(55)는 항상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과 접촉되고, 콘택트 상에 작용하는 힘은 제2 부분(2b)이 제1 고정부(2a)에 대한 원위 위치에 있을 때, 본체(2)의 제2 가동부(2b) 상의 카운터 스프링(3)의 탄성 작용과 동일하다.
이 상태에서, 카운터 스프링(3)의 탄성 작용은 압축된 제1 스프링(59)의 탄성 작용과도 평형으로 된다. 그 결과, 경질 부재(22)는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와 인접 위치 사이의 중간의 위치에 배치된다.
스프링들(3,59)의 탄성 작용에 따르면, 경질 부재(22)에 의해 도달되는 중간 위치는 중공 로드(21)의 에지(21a)가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를 가진 밸브를 개방함에 의해, 비기동 상태에서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과 접촉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이유, 즉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를 가진 밸브의 제1 상태(도8b)에서 제2 상태(도9b)로의 변환 중에 중공 로드(21)의 에지(21a)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 사이의 접촉이 쳄버(25)에 대해 공동(23)을 분리하는 밀봉에 도달되기 때문에, 쳄버(14)를 향한 표면(16)의 이동이 쳄버(14)를 공동(23)에 연결하는 단부(19)의 에지(18)와 표면(16) 사이의 접촉을 차단하기 전에, 그리고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상태(도9b)에서 단부(19)의 에지(18)와 표면(16) 사이의 접촉 및 밀봉을 회복한 후에만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 정지부들의 표면(16)과 중공 로드(21)의 에지(21a)를 접촉시킴에 의해 얻어지는 쳄버(25)에 대한 공동(23)의 밀봉을 분리하는 제1 상태(도8b)로의 밸브의 변환 중에, 쳄버(14)(쳄버(9)와 소통)의 쳄버(25)(외기와 소통)로의 직접적인 연결은 불가능하다.
이로써 쳄버(9)의 독립적인 폐쇄의 장치(100)의 특성이 보장되고 따라서 두개의 부분들로 본체(2)를 분할함에 의해 축방향 및 반경방향 치수를 최소화하기에 적합한 장치(100)의 제5 실시예에서도 유체를 수용하는 룸(101)의 외부 환경에 대한 특성도 보장된다.
제6 실시예에서는, 도27에 도시된 제5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과 일체인 돌출부(66)의 단부에 플랜지(73)가 제공된다. 돌출부(66)가 안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 공동(65)의 하우징으로서 사용되는 본체(2)의 고정부(2a)와 일체인 단부(75)와 플랜지(73) 사이에 가스켓(74)이 삽입된다. 가스켓(74)은 단부(75)와 플랜지(73) 사이에 시일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대한 제2 가동 부분(2b)의 원위 위치는 단부(75)에 대해, 가스켓(74)을 통한 플랜지(73)의 정지부에 의해 한정된다.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대한 제2 가동 부분(2b)의 축방향 이동 스트로크는 제2 가동 부분(2b)에 일체로 된 벽(68)과 제1 고정부(2a)에 일체로 된 벽(69) 사이에 배치된 수단의 축방향 연장에 의해 제한된다. 스트로크의 단부들은 벽(68)과 벽(69)을 가진 플랜지(73) 사이의 접촉에 의해 원위 위치에 한정된다.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카운터 스프링(3)의 작용은 플랜지(73)에 의해 밀려진 가스켓(74)과 단부(75) 사이의 접촉을 부분적으로 실행한다. 또한, 카운터 스프링(3)의 다른 작용은 스프링(59), 경질 부재(22),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슬라이더(43,44,45), 스프링들 및 탄성 수단(60,47,48), 제2 지지부(37) 및 단부(4)에 대한 원위 위치에 덮개(1)를 유지하려는 덮개(1) 상의 베이스(38)를 통해 작용된다.
가스켓(74)과 단부(75) 사이의 접촉을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카운터 스프링(3)의 작용은 쳄버(9)의 밀봉을 야기하게 된다. 이 상태는 덕트들(67a,67b)이 플랜지(73)에 대해 가스켓(74)의 반대측에 배치되므로,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갖는 밸브를 장비한 쳄버(14) 및 쳄버(9)의 연결을 중지시킨다.
따라서,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이고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이 제1 가동 부분(2a)에 대한 원위 위치에 도달될 때, 단부(75)와 플랜지(73) 사이의 가스켓(74)에 의해 외부를 향한 쳄버(9)로부터의 임의의 유체 누출이 방지된다. 가스켓(74)은 자동 폐쇄 시일이다.
쳄버(9)(검사될 유체를 수용하는 룸(101)에 연결됨)와 외부 사이에 새로운 밀봉 시일을 제공하는 이 방법은 두개의 부분들로 본체(2)를 분할함에 의해 축방향 및 반경방향 치수를 최소화하도록 사용되는, 제5 실시예의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독립적인 폐쇄 특성의 안전 레벨을 향상시킨다.
도28에서, 장치(100)는 도7에 도시된 하나의 부분만으로 된 본체(2)를 갖는 장치(100)에서와 같이, 자동 폐쇄 밸브가 장비된 단부(4)에 장착된다. 자동 폐쇄 밸브(131)의 스프링(11)은 유체를 수용하는 룸(101)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해 로드(10)를 이동시킨다.
장치(100)를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 변환시키도록, 쳄버(9)는 유체를 수용하는 룸(101)에 연결된다. 따라서, 자동 폐쇄 밸브(131)는 개방되어야 한다.
자동 폐쇄 밸브(131)를 개방시키기 위해, 로드(10)를 유체를 수용하는 룸(101)에 대한 원위 위치까지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힘(F)를 로드(10)에 작용시켜야 하고, 이 위치에서 자동 폐쇄 밸브(131)는 개방되어 쳄버(9)를 유체를 수용하는 룸(101)에 연결한다.
자동 폐쇄 밸브(131)는 적어도 단부(4) 상에 설치된 장치(100)가 기동 상태(도7에서 돌출부(12)에 대해 도시된 상태)인 모든 기간 동안 개방되어 유지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이 조건이 아니면, 쳄버(9) 내의 유체를 수용하는 룸(101)으로의 연결 및 결과적으로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유체를 수용하는 룸(101)에 존재하는 것과 동일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두개의 부분들(단부(4) 상에 장치(100)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2a) 및 덮개(1)와 제1 고정부(2a)에 대해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변화되는 제2 가동 부분(2b))로 본체(2)를 분할하여 제공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7의 돌출부(12)에 대해 독립적인 장치를 제공함이 필요하다. 이 장치는, 장치(100)가 단부(4) 상에 설치될 때 또는 적어도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의 변환 과정의 초기로부터 장치(100)가 기동 상태일 때의 기간 모두에서, 스프링(11)의 작용을 억제함에 의해, 유체를 수용하는 룸(101)에 대해 인접한 단부를 향한 로드(10)의 이동을 야기한다.
장치(100)가 기동 상태일 때, 제2 가동 부분(2b)은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되고, 제2 가동 부분(2b)과 일체의 벽(68)이 본체(2)의 제1 고정부(2a)와 일체의 벽(69)에 접촉하여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장치(100)의 작동은 본체(2)가 하나로 구성된 경우에 발생되는 것과 동일하게 된다.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과 일체의 돌출부(66)는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의 제1 고정부(2a)에 대한 그의 상대 이동 중의 임의의 축방향 위치에서, 가스켓(64)에 의한 공동(65)의 밀봉을 실현하여, 적어도 쳄버(63)에 대한 쳄버(9)의 폐쇄를 보장하기에 충분한 축방향 길이를 가진다.
돌출부(66)의 축방향 길이는 돌출부(66)의 단부(76)가 로드(10)의 단부(77) 상에서 작용하여, 적어도 장치(100)가 기동 상태일 때, 유체를 수용하는 룸(101)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유체를 수용하는 룸(101)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로드(10)의 단부(77)의 축방향 위치에 따른, 돌출부(66)의 축방향 길이가, 장치(100)가 단부(4) 상에 장착되어 비기동 상태일 때, 돌출부(66)의 단부(76)가 로드(10)의 단부(77)와 접촉하여 로드(10)를 룸(101)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유지하게 되도록 된 경우, 쳄버(9)는 장치(4)가 단부(4)에 장착된 모든 기간에 대해, 룸(101)에 연결되며, 즉 자동 폐쇄 밸브(131)가 개방된다.
또한, 도29의 실시예에서, 자동 폐쇄 밸브(131)가 장비된 단부(4)에 장치(100)를 장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한 양태들에 따라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의 변환 및 기동 상태에서 비기동 상태로의 변환이 발생된다.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의 변환은 덮개(1)에 외부 힘(F)를 인가함에 의해 실현된다. 이 힘(F)는 덮개(1)가 단부(4)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인접 위치로 이동하는 것과, 제2 가동 부분(2b)의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인접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또한, 힘(F)는 경질 부재(22)가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인접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이로써 중공 로드(21)의 에지(21a)와 자동 폐쇄 밸브(15)의 표면(16) 사이의 접촉에 의한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개방으로의 변환을 야기한다. 쳄버(24)는 공동(23)으로 연결되고, 덕트들(24,24a,24b)을 통해 측정 쳄버(30)에 연결된다.
장치(100)가 팽창 밸브가 장비된 단부(4) 상에 설치될 때(따라서,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의 변환을 실현하도록 덮개(1)로의 외부 힘(F)의 인가 전에), 룸(101)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로드(10)의 단부(77)의 축방향 위치에 따른, 돌출부(66)의 축방향 길이가, 돌출부(66)의 단부(76)가 로드(10)의 단부(77)와 접촉하여 로드(10)를 룸(101)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유지하게 되도록 된 경우, 자동 폐쇄 밸브(131)는 항상 개방되고, 쳄버(9)는 장치(4)가 단부(4)에 장착된 때, 룸(101)에 연결된다.
외부 힘(F)의 인가에 의해서 제2 가동 부분(2b)이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인접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로드(10)가 룸(101)에 대한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자동 폐쇄 밸브(131)는 항상 개방되어 쳄버(9)와 룸(101) 사이의 연결을 유지한다. 유체는 돌출부(66)에 배치된 덕트들(67a,67b)을 통해 쳄버(9)에서 쳄버(14)에 도달하고, 쳄버(14)에서 측정 쳄버(30)에 도달한다.
측정 쳄버(30)로의 유체의 충전 종료 시에 외부 힘(F)가 해제되면, 덮개(1)는,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 이동 축에 수직한 측정 쳄버(30) 부분의 표면과의 적(積)에 기인한 스러스트의 작용 하에서, 단부(4)에 대한 원위 위치(즉, 덮개(1)의 정지부(34)가 본체(2)의 제1 고정부(2a)의 단부(62)와 접촉되는 위치)를 향해 이동다.
도30은, 덮개(1)가 단부(4)에 대한 원위 위치에 도달되고,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2 소정 임계치(Pcs)보다 낮고 제3 소정 임계치(Padvi)보다 높은 값을 가질 때, 이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 및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상의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의 효과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고, 장치(100)는 상기한 양태에 따른 세 개의 소정 임계치(Pcs, Pci, Padvi)의 초과를 검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 이상으로 될 때까지, 즉 장치(100)가 기동 상태로 될 때까지, 제2 가동 부분(2b)은,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 이동 축에 수직한 측정 쳄버(30) 부분의 표면과의 적(積)에 기인한 힘의 작용 하에서,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 표면은 가스켓(32)의 밀봉부에 대응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으로 인한 상기 힘은 카운터 스프링(3) 및 스프링(11)의 작용의 합으로 주어진 전체 작용에 대해 우세하다.
따라서, 장치(100)가 기동 상태로 될 때까지, 자동 폐쇄 밸브(131)의 로드(10)는 룸(101)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있고 자동 폐쇄 밸브(131)는 개방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보다 낮을 때, 즉 장치(100)가 기동 상태에서 비기동 상태로 변환될 때,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가 폐쇄 상태로 변환되고 측정 쳄버(30)가 상기함 바와 같이 외부 환경에 연결된다. 외부 환경을 향한 측정 쳄버(30)에서의 유체의 유동에 의해,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 이동 축에 수직한 측정 쳄버(30) 부분의 표면과의 적(積)에 기인한 힘이 카운터 스프링(3) 및 스프링(11)의 전체 작용을 억제할 수 없을 때까지, 측정 쳄버(30)의 상대 압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은 카운터 스프링(3) 및 스프링(11)의 작용 때문에 제1 고정부(2a)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의 이동이 종료한 때에 장치(100)에 의해 취해지는 형태를 도28에 나타낸다. 플랜지(73)와 단부(75) 사이의 가스켓(74)의 폐쇄에 의해 하우징에서 어떠한 유체의 누출도 발생되지 않는다. 팽창 밸브의 여러 형태 및 돌출부(66)의 단부(76)에 대해 로드(10)의 단부(77)의 우측으로의 상대적 위치를 방지하는 형상 공차 때문에, 장치(100)가 단부(4) 상에 설치되어 비기동 상태일 때, 돌출부(66)의 단부(76)는 로드(10)의 단부(77)에 접촉하지 않는다(도31).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이고 제2 가동 부분(2b)이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대한 원위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66)의 단부(76)는 로드(10)의 단부(77)와 접촉되지 않고, 로드(10)는 룸(101)에 대한 원위 위치에 있게 되며, 자동 폐쇄 밸브(131)는 폐쇄되고 쳄버의 룸(101)으로의 연결은 차단된다.
로드(10)의 상기 형태는 폐쇄 위치에서 탭(8)의 동일한 효과를 야기하며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 상의, 결과적으로 경질 부재(22), 세개의 슬라이더들(43,44,45)의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작용을 통한 제1 스프링(59), 탄성 수단(60,47,48), 제2 지지부(37), 베이스(38) 및 덮개(1) 상으로의 카운터 스프링(3)의 미는 힘 때문에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상태들에서 독립적으로(특히, 중공 로드(21)의 에지(21a)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 사이의 접촉에서 독립적으로) 유체가 누출함을 방지한다.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의 장치(100)의 변환을 위해, 쳄버(9)가 룸(101)에 연결되고 자동 폐쇄 밸브(131)가 개방되어야 한다. 자동 폐쇄 밸브(131)는 적어도 장치(100)가 기동 상태일 때, 개방되어 유지되어야 하며, 만약 이 상황이 존재하지 않으면, 쳄버(9)와 룸(101) 사이의 연결, 결과적으로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룸(101)과 동일하지 않게 된다.
자동 폐쇄 밸브(131)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로드(10)를 룸(101)에 대한 인접 위치까지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미는 힘(F)을 로드(10)에 작용시킬 필요가 있다.
도32는 비기동 상태에서 기동 상태로의 장치(100)의 변환을 나타낸다. 상기 변환은 덮개(1) 상에 작용하는 외부 힘(F)에 의해 발생된다. 상기 힘(F)은 덮개(1)의 단부(4)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인접 위치로의 이동 및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의 제1 고정부(2a)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인접 위치로의 이동을 야기한다.
또한, 외부 힘(F)의 인가에 의해 경질 부재(22)의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인접 위치로의 이동이 야기된다. 이 결과 중공 로드(21)의 에지(21a)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 사이의 접촉에 의해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구멍에서의 변환이 발생된다. 쳄버(14)는 중공부(9)에 연결되고, 덕트들(24,24a,24b)을 통해 측정 쳄버(30)에 연결된다.
외부 힘(F)의 인가에 의헤서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이 제1 고정부(2a)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인접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돌출부(66)의 단부(76)와 로드(10)의 단부(77) 사이의 접촉, 결과적으로 로드(10)의 룸(101)에 대해 인접함 위치로의 이동이 야기된다. 이 방식으로 자동 폐쇄 밸브(131)가 개방되고 쳄버(9)가 룸(101)에 연결된다.
유체는 쳄버(9)에서 돌출부(66)의 덕트들(67a,67b)을 통해 쳄버(14)에 도달된다. 경질 부재(22)는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된다.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중공 로드(21)의 에지(21a) 사이의 접촉에 의해 쳄버(25)에서 공동(23)이 분리되고, 표면(16)과 단부(19)의 에지(18) 사이의 접촉을 차단함에 의해 표면(16)의 쳄버(14)를 향한 이동이 야기되고 쳄버(14)가 공동(23)에 연결된다. 유체는 쳄버(14)에서 공동(23)으로 역으로 유동하고 공동(23)에서 측정 쳄버(30)에 도달할 때까지 덕트들(24,24a,24b)로 유동한다.
이 상태는 장치(100)가 기동 상태일 때까지 유지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임계치(Pci)보다 아래의 값에 도달될 때, 즉 장치(100)가 기동 상태에서 비기동 상태로 변환될 때,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는 폐쇄 위치로 변환된다. 측정 쳄버(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 환경에 연결된다. 외부 환경을 향한 측정 쳄버(30)에서의 유체의 유동에 의해, 상기 상대 압력과 이동 축에 수직한 측정 쳄버(30) 부분의 표면과의 적(積)에 기인한 힘이 카운터 스프링(3) 및 스프링(11)의 전체 작용을 억제할 수 없을 때까지, 측정 쳄버(30)의 상대 압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제2 가동 부분(2b)은 카운터 스프링(3)의 작용 하에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스프링(11)의 작용은 카운터 스프링(3)의 작용에 더해져서, 돌출부(66)의 단부(76)가 대해 로드(10)의 단부(77)와 접촉할 때까지, 제2 가동 부분(2b)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돌출부(66)의 단부(76)와 로드(10)의 단부(77) 사이의 접촉이 종료될 때, 자동 폐쇄 밸브(131)는 폐쇄된다.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의 이동이 종료한 때에 장치(100)에 의해 취해지는 형태가 도31에 도시된다.
경질 부재(22)는 항상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과 접촉되고, 접촉에 의한 힘은 제2 가동 부분이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대한 원위 위치에 있을 때 제2 가동 부분(2b) 상의 카운터 스프링(3)의 작용과 동일하다.
이 상태에서, 카운터 스프링(3)의 작용은, 압축되는 제1 스프링(59)의 작용과 함께, 다른 것들 중에서, 평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경질 부재(22)는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와 인접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게 된다.
스프링(3,59)의 탄성에 따라, 경질 부재(22)에 의해 도달되는 중간 위치는,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구멍에서의 변환을 야기함에 의해, 비기동 상태의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과 중공 로드(21)의 에지(21a)가 접촉하게 되도록 선택된다.
그러나, 이미 설명된 사실들에 의해,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제1 위치(도8b)에서 제2 위치(도9b)로의 변환 중에,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과 중공 로드(21)의 에지(21a)의 접촉에 의해, 쳄버(14)를 향한 표면(16)의 이동은, 쳄버(14)를 공동(23)에 연결하는 단부(19)의 에지(18)와 표면(16) 사이의 접촉의 차단을 야기하기 전에, 쳄버(25)에서 공동(23)을 분리하는 밀봉 시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밸브의 제2 위치(도9b)에서 제1 위치(도8b)로의 변환 중에, 단부(19)의 에지(18)와 표면(16) 사이의 새로운 접촉 및 밀봉 후에만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과 중공 로드(21)의 에지(21a) 사이의 접촉에 의해 공동(23)을 쳄버(25)에 대해 분리하는 상기 밀봉 시일은 쳄버(14)(쳄버(9)에 연결됨)와 쳄버(25)(외부 환경에 연결됨)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 가능성을 나타낸다.
장치(100)의 특성에 의해 쳄버(9)의 독립적인 폐쇄가 행해지고 따라서 두개의 부분들로 본체(2)를 구성하여 축방향 및 반경 방향 치수를 최소화시킨, 장치(100)의 제5 실시예에서도, 외부 환경에 대해 룸(101)의 독립적인 폐쇄가 행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에 있을 때, 자동 폐쇄 밸브(131)가 폐쇄 위치에 있으므로, 돌출부(66)의 단부에 플랜지(73) 및 가스켓(74)이 없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된다.
도33은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과 일체의 중공 슬리브(70)를 제공하고 있다. 중공 슬리브(70)의 내벽(71)은 본체(2)의 제1 고정부(2a)의 외주 벽(7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내벽(71)과 외주 벽(72) 사이의 충분하게 정확한 연결에 의해, 중공 슬리브(70)는 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대해 이동하는 제2 가동 부분(2b)의 안내부를 제공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카운터 스프링(3)은 중공 슬리브(70)의 사이 공간(61)에 내장되고, 쳄버(25)는 덕트(26a)(제1 지지부(17)에 제공됨), 덕트(26b1)(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에 제공됨), 쳄버(63), 덕트(26b2)(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제공됨), 덕트(26b4)(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에 제공됨), 사이 공간(61)(카운터 스프링(3)의 하우징의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에 반경 방향으로 제공됨), 덕트(26b3)(본체(2)의 제1 고정부(2a)에 제공됨) 및 덕트(26c)(덮개(1)에 제공됨)를 통해 외부 환경에 영구적으로 소통된다.
도34a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슬라이더(44)는 제3 슬라이더(45)와 일체이다. 상기 슬라이더들(44,45)은 베이스(38)에 대한 원위 위치와 인접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는 제4 슬라이더(80)를 형성한다.
베이스(38)에 대한 제4 슬라이더(80)의 제1 말단부는 장치(100)가 제1 비기동 상태일 때, 제4 슬라이더(80)에 의해 평형 위치에 도달되고, 외부 환경의 압력이 측정 쳄버(30)에 작용하며; 제4 슬라이더(80)의 제1 원위 위치는,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의해 제공되는 변형에 대한 강도에 대항하여, 제1 탄성 수단(47)의 작용에 의해 도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스프링(60)은 제2 지지부(37)에 대한 원위 위치인 제1 원위 위치에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대해 압축된 제1 슬라이더(43)를 유지시킨다.
제4 슬라이더(80)와 베이스(38) 사이에 삽입된 제1 탄성 수단(47)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대해 압축된 제4 슬라이더(80)를 유지시킨다. 제2 탄성 수단(48)은 제4 슬라이더(80)와 콘택트(54) 사이에 배치된다.
도34a에서, 세개의 콘택트 커플인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세개의 스위치들은 장치(100)가 제1 비기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 상태 하에 제공된다. 콘택트(52)는 제1 슬라이더(43)의 이동에 연결되고, 콘택트(53)는 제4 슬라이더(80)의 이동에 연결된다. 콘택트(54)는 슬라이더에 연결되지 않지만, 제2 탄성 수단(48)에서 직접 밀려진다.
도34b는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상에 작용하는 유체가 측정 쳄버(30)에 있을 때, 장치의 기동 상태를 나타낸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는 제2 임계치(Pcs)보다 높은 상대 압력을 가진다.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은 제4 슬라이더(80)의 기동 상태 표면 상으로의 미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표면은 이동 축에 수직한 제4 슬라이더(80)의 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제4 슬라이더(80)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사이의 접촉면에 동등한 부분이, 제1 탄성 수단(47) 및 제2 탄성 수단(48)의 작용에 반대하여, 제4 슬라이더(80)를 베이스(38)에 대한 원위 위치에 유지시킨다. 제4 슬라이더(80)의 베이스(38)에 대해 인접한 위치는 제2 전기 콘택트(50) 상의 콘택트(53)에 의해 한정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전기 콘택트(51) 상의 콘택트(54)에 의해 제4 슬라이더(80) 상에서 작용하는 제2 탄성 수단(48)의 압축을 야기하게 된다.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은 또한 제2 스프링(60)의 작용에 반대하여, 제1 슬라이더(43)를 제2 지지부(3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유지하도록 제1 슬라이더(43)의 작용면에 미는 힘을 인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세개의 콘택트 커플인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세개의 스위치들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 상태 하에서 변환된다.
이 상태에서,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는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취해진는 상태에 대해 반대의 상태로 변환될 때 제2 소정 임계치(Pcs)를 초과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장치(100)에 의해 배출된다.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의 비기동 상태인 경우에 취하게 되는 상태로 변환될 때에는, 상기 신호의 배출은 저지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가 제2 소정 임계치(Pcs)보다 낮지만 제3 소정 임계치(Padvi)(도 35a)보다 높은 상대 압력을 가질 때, 제4 슬라이더(80)의 작용면 위로의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미는 힘은 제1 및 제2 탄성 수단(47,48)의 작용을 극복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제4 슬라이더(80)는, 콘택트(50)-콘택트(53)의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취하게 되는 상태로 변환되도록 하여, 원위 위치와 인접 위치 사이에 위치되는 베이스(38)에 대한 제3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제1 및 제2 탄성 수단(47,48)의 탄성의 적절한 균형에 의해,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가 제2 소정 임계치(Pcs)보다 낮지만, 제3 소정 임계치(Padvi)보다 높은 상대 압력을 가질 때 얻어지는 형태는,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의 상태으로 되도록 하고, 콘택트(51)-콘택트 (54)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 및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는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상기 스위치들에 의해 취해지는 상태에 대해 변환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가 제3 소정 임계치(Padvi)보다 낮지만, 제1 소정 임계치(Pci)(도35b)보다 높은 경우, 제4 슬라이더(80)는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의 상태으로 되도록 하고,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는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의 상태들에 대해 변환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형태로 베이스(38)에 대해 중간의 제3 위치에 유지된다.
제3 슬라이더(43)는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의 상태들로 변환된 상태로 되게 하도록, 제2 지지부(37)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해 변환된다.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의 변환은 제3 소정 임계치(Padvi)의 초과를 나타내는 신호의 배출을 야기한다. 제3 소정 임계치(Padvi)의 초과를 나타내는 신호의 배출은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의 상태로, 변환될 때 정지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가 제1 소정 임계치(Pci)(도35b)보다 낮은 경우, 장치(100)는 도34a의 형태로 복귀된다. 제4 슬라이더(80)는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의 상태으로 되도록 하고,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는 제2 탄성 수단(48)의 특징 때문에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의 상태로 변환되게 하는 형태로 베이스(38)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해 변환된다.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의 변환은 제1 소정 임계치(Pci)의 초과를 나타내는 신호의 배출을 야기한다.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의 상태와 반대로 변환될 때에, 상기 신호의 배출은 방지된다.
도36a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슬라이더(44)는 제3 슬라이더(45)와 일체이다. 상기 슬라이더들(44,45)은 제4 슬라이더(80)를 형성한다. 제1 탄성 수단(47)은 제1 슬라이더(43)의 이동에 연결된, 벽(81)과 제4 슬라이더(8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탄성 수단(47)의 작용은 제1 슬라이더(43) 상으로 작용된다. 제4 슬라이더(80)는 베이스(38)에 대한 인접 위치와 원위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한다.
베이스(38)에 대한 원위의 제4 슬라이더(80)의 위치는, 장치(100)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의해 제공된 변형에 대한 강도에 반대하는 제1 탄성 수단(47)의 작용 때문에, 외부 환경의 압력이 측정 쳄버(30)에 작용할 때, 제4 슬라이더(80)에 의해 도달되는 평형의 위치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제2 스프링(60)은 제1 슬라이더(43)를 제2 지지부(37)에 대한 원위 위치에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대해 압축된 채로 유지시킨다.
제2 탄성 수단(48)은 제3 전기 콘택트(51) 상에서 작용하도록 구멍(82)을 통해 벽(81)에 교차하는, 콘택트(54)와 제4 슬라이더(80)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콘택트(53)는 제2 전기 콘택트(50) 상에서 작용하도록 구멍(83)을 통해 벽(81)과 교차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세개의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세개의 스위치들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의 상태로 된다.
도36b는, 유체가 측정 쳄버(30) 내에 있고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상에서 작용할 때, 기동 상태의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유체는 제2 소정 임계치(Pcs)보다 높은 상대 압력을 가진다.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은 제4 슬라이더(80)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사이의 접촉면에 상당하는 부분의, 이동 축에 수직한 제4 슬라이더(80)의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제4 슬라이더(80)의 작용면 상에 작용하여, 제1 및 제2 탄성 수단(47,48)의 작용에 반대하여, 베이스(38)에 대한 원위 위치에 제4 슬라이더(80)를 유지시킨다. 제4 슬라이더(80)의 베이스(38)에 대한 원위 위치는 제2 전기 콘택트(50) 상의 콘택트(54)에 의해 한정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기 콘택트(51) 상의 콘택트(54)에 의해 제4 슬라이더(80) 상에 작용하는 제2 탄성 수단(48)의 압축을 야기한다.
또한,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은, 제2 스프링(60)의 작용에 반대하여, 제2 지지부(3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상기 슬라이더(43)를 유지시키려는 미는 힘을 제1 슬라이더(43)의 작용면 상에 작용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세개의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세개의 스위치들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의 취하는 상태에 대해 변환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의 상태에 대한 반대의 상태로 변환될 때에, 장치(100)에 의해 제2 소정 임계치(Pcs)를 초과하는 신호가 배출된다.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에 취하게 되는 상태로, 변환될 때에, 상기 신호의 배출은 정지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가 제2 소정 임계치(Pcs)보다 낮지만 제3 소정 임계치(Padvi)(도37a)보다 높은 상대 압력을 가질 때, 제4 슬라이더(80)의 작용면 위로의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미는 힘은 제1 및 제2 탄성 수단(47,48)의 작용을 극복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제4 슬라이더(80)는, 콘택트(50)-콘택트(53)의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취하게 되는 상태로 변환되도록 하여, 원위 위치와 인접 위치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38)에 대한 제3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제1 및 제2 탄성 수단(47,48)의 탄성의 적절한 균형에 의해,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가 제2 소정 임계치(Pcs)보다 낮지만, 제3 소정 임계치(Padvi)보다 높은 상대 압력을 가질 때 얻어지는 형태는,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 취해지는 상태로 되도록 하고,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 및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는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에 취해지는 상태에 대해서 변환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가 제3 소정 임계치(Padvi)보다 낮지만, 제1 소정 임계치(Pci)(도37b)보다 높은 경우, 제4 슬라이더(80)는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의 상태으로 되도록 하고,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는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에 취해지는 상태들에 대해서 변환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형태로 베이스(38)에 대해 중간의 제3 위치에 유지된다.
제1 슬라이더(43)는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에 취해지는 상태들로 변환되게 하도록, 제2 지지부(37)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의 변환은 제3 소정 임계치(Padvi)의 초과를 나타내는 신호의 배출을 야기한다. 제3 소정 임계치(Padvi)의 초과를 나타내는 신호의 배출은 콘택트(49)-콘택트(52)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의 상태에 대해 반대로 변환될 때 정지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가 제1 소정 임계치(Pci)보다 낮은 상대 압력을 갖는 경우, 장치(100)는 도36a의 형태로 복귀된다. 제4 슬라이더(80)는 콘택트(50)-콘택트(53)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의 상태으로 되도록 하고,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는 제2 탄성 수단(48)의 특징 때문에,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에 취해지는 상태로 변환되게 하는 형태로 베이스(38)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의 변환은 제1 소정 임계치(Pci)의 초과를 나타내는 신호의 배출을 야기한다. 콘택트(51)-콘택트(54) 커플로 구성된 스위치가,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에 취해지는 상태와 반대로 변환될 때, 상기 신호의 배출은 저지된다.
도38a 및 38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도10(또는 도22)에서 설명된 장치를 참고하면, 경질 부재(22)와 제1 스프링(59) 사이에 판(85)이 배치된다. 상기 판(85)은 제1 지지부(17)에 대한 인접 위치와 원위 위치 사이에서 경질 부재(22)에 대해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게 된다.
제1 지지부(17)에 대해 말단의 판(85)의 위치는 판(85)의 측면(88)과 경질 부재(22)의 측면(89) 사이의 접촉에 의해 한정된다. 판(85)의 측면(88)과 경질 부재(22)의 측면(89) 사이의 접촉은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의 변형에 대한 강도에 반대하는 제1 스프링(59)의 탄성 작용 때문이다.
제1 지지부(17)에 대한 판(85)의 원위 위치는 판(86)의 이동에 연결된, 중공 돌출부(86)와 제1 지지부(17)의 벽(90) 사이의 접촉에 의해 한정된다. 판(85)이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에 있을 때, 제1 스프링(59)의 더 높은 압축 값이 얻어진다.
경질 부재(22)와 일체의 돌출부(22a)는 덕트들(24b,24c)을 내장한다.
제1 지지부(17)와 본체(2) 사이에 배치된 시트(92)에 가스켓(91)이 내장된다. 시트(92)는 가스켓(91)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쳄버(25)는 시트(92) 외측에 배치되고 덕트들(26a,26b)을 통해 외부 환경과 소통한다. 쳄버(93)는 덕트(94)를 통해 쳄버(9)와 소통한다. 쳄버(9)가 검사될 유체를 수용하는 환경에 연결될 때, 상기 유체는 쳄버(93)로 유동한다. 본체(2)와 일체의 정지부(98)와 경질 부재(97) 사이에 가스켓(96)이 배치된다.
경질 부재(97)는, 가스켓(96)을 통해 정지부(98)와 경질 부재(97) 사이에서 시일과 접촉함에 의해 한정되는 정지부(98)에 대해 인접한 위치와, 정지부(98)와 돌출부(22a) 사이에 배치된 도관 내에 있는 덕트(99a)를 통해서 가스켓(91)에 대해 내측의, 쳄버(93)와 쳄버(99) 사이의 접속부 및 가스켓(96)의 시일의 차단에 의해 한정되는 정지부(98)에 대한 원위 위치와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본체(2)와 일체인 돌출부(12)에 배치된 정지부(12a)와 경질 부재(97)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95)은, 경질 부재(97)를 밀어서 가스켓(96)과 접촉하게 하여, 정지부(98)와 경질 부재(97) 사이에서 압축된다.
도38a는 장치(100)가 비기동 상태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경질 부재(22) 및 판(85)은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에 있다.
돌출부(22a)의 단부(22b)는 경질 부재(97)의 단부(97a)와 접촉되지 않으며, 따라서 가스켓(96)은 스프링(94)의 미는 힘에 의해 정지부(98)에 대해 압축된다. 유체가 쳄버(9) 내에 있으면, 덕트(94)를 통해 쳄버(93)에 있게 된다. 따라서, 유체의 상대 압력에 의한 미는 힘은 스프링(95)의 작용에 더해진 가스켓(96)의 시트 부분에 의해 곱해져, 경질 부재(97) 상에 작용한다. 경질 부재(97)의 시일은 밀봉 형태이다.
제1 비기동 상태에서 제2 기동 상태(도38b)로의 장치(100)의 변환은 단부(4)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인접 위치로의 덮개(1)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얻어지고, 이 이동은 덮개(1)에 작용하는 외부 힘(F)에 의한 것이다. 이 힘(F)은 카운터 스프링(3), 제1 스프링(59) 및 제2 스프링(60)의 작용을 극복하기에 충분하다.
힘(F)으로 인한 덮개(1)의 축방향 이동은, 먼저, 카운터 스프링(3)의 작용만을 억제함으로써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의 경질 부재(22)의 단부(55)로의 접근을 야기한다.
경질 부재(22)의 단부(55)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과 접촉될 때, 계속되는 힘(F)의 작용은 제1 및 제2 스프링(59,60)의 작용을 억제하며, 경질 부재(22) 및 판(85)의, 제1 스프링(59)의 작용에 반대하는, 각각의 인접한 위치들에서의 이동을 야기한다.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경질 부재(22)의 위치는, 이 실시예에서, 경질 부재(22)와 가스켓(91) 사이의 밀봉 접촉에 의해 한정된다.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인접 위치로의 경질 부재의 이동은, 돌출부(22a)의 단부(22b)와 경질 부재(97)의 단부(97a) 사이의 접촉과, 정지부(98)에 대한 원위 위치로의 경질 부재(97)의 후속한 이동을 야기해서, 덕트(99a)를 통해 쳄버(93)를 쳄버(99)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실현된 시일이 쳄버(25)에서 쳄버(99)를 분리한다. 쳄버(99)는 덕트들(24c,24b,24a)을 통해 일측에서 측정 쳄버(30)에 연결되고, 타측에서, 유체가 있는, 쳄버(93), 덕트(94) 및 쳄버(9)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는 쳄버(99) 및 측정 쳄버(30)로 유동할 수 있다.
판(85)은 경질 부재(22)의 이동에 의해 구속되어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도달되지 않을 때까지 경질 부재(22)와 접촉되어 유지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은 두가지 기능을 야기함에 의해,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 상에 작용한다.
제1 기능은 시일을 형성하여 쳄버(99)에서 쳄버(25)를 분리하기 위해 가스켓(91)을 압축하려는, 경질 부재(22) 상에 작용하는 힘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힘은, 경질 부재(22)의 유효 부분과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의 적(積)에 의해 주어지며, 경질 부재(22)를 가스켓(91)과 접촉되게 유지한다.
제2 기능은 제1 스프링(59)을 압축하려는, 판(85) 위에 작용하는 힘으로 구성된다. 상기 힘은 판(85)의 유효 부분과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과의 적(積)에 의해 주어진다.
판(85)의 유효부 및 제1 스프링(59)의 특징은,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 이상이면, 판(85)이 안정적으로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제2 위치에 도달되어 유지되도록 선택된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으로 인한 힘과 가스켓(91)의 작용 사이의 평형의 결과로,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서의 경질 부재(22)의 축방향 위치는, 가스켓(91)의 형성 공차 및 가스켓(91)을 형성하는 재료(통상 엘라스토머)의 탄성의 연속적인 변화에 의존하여, 일정하지 않게 되고 시간에 따라 연속으로 변화한다.
경질 부재(22)가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있고 판(85)이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판(85)의 측면(88), 제1 지지부(17)에 대해 고정된 위치, 및 경질 부재(22)의 측면(89)이 경질 부재(22)의 축방향 위치의 변화를 위해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됨을 보장하도록, 판(85)의 측면(88) 및 경질 부재(22)의 측면(89)이 도관(88a)에 의해 분리된다.
경질 부재(22)의 축방향 위치의 변화 때문에, 제1 스프링(59) 상에 직접 작용하는 경질 부재(22)에 의해,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고 확정적으로, 제1 소정 임계치(Pci)를 초과함을 검출할 수 있는 장치를 실현할 수 없다. 이 예는 도10에 나타내지며, 상기한 이유로 변화하는 경질 부재(22)의 평형의 위치에 의해 미리 정해지지 않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제1 스프링(59)의 작용이 야기되고, 시일의 완전하게 불명확한 위치를 야기하게 된다.
도38a 및 38b에 도시된 실시예는 이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실제로, 경질 부재(22)의 판(85)에서의 분리는 가스켓(91)의 밀봉 관련 작용(쳄버(99)에서 쳄버(25)를 분리하기 위한) 및 제1 스프링(59)의 평형에 포함된 작용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제1 스프링(59)의 작용은 판(85)의 유효 부분이 곱해지는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에 의한 미는 힘을 억제시킨다.
제1 스프링(59)의 강한 작용은, (판(85)과 일체의 중공 돌출부(86)의 단부 와 제1 지지부(17)의 벽(90) 사이의 접촉에 의해 한정되므로) 확정적이고 불변인, 제1 지지부(17)에 대해 판(85)에 의해 도달되는 인접한 위치에 의존하며, 가스켓(91)의 압축에 대해 경질 부재(22)에 의해 도달되는 평형의 위치에 완전하게 독립적이다.
경질 부재(22)의 유효부는,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 이상으로 될 때, 및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 미만의 값으로 될 때도, 가스켓(91)의 시일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힘을 발생시키도록 계획되어 있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보다 높게 될 때, 판(85)에 작용하는 힘은 제1 스프링(59)의 힘을 극복하고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판(85)을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 이하로 될 때, 판(85)에 작용하는 힘은 제1 스프링(59)의 힘을 극복하고 제1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판(85)을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판(85)의 이동이 시작될 때, 경질 부재(22)는, 경질 부재(22)의 유효부의 적절한 설계에 의해, 여전히 가스켓(91)과 접촉되고 쳄버(99)를 쳄버(25)에서 분리하는 시일을 유지한다. 이동의 제1 부분에서, 판(85)은 경질 부재(22)의 측면(89)에서 판(85)의 측면(88)을 분리하는 도관(88a)을 커버한다. 상기 이동의 제1 부분에서, 판(85)은 경질 부재(22)상의 미는 힘과 작용하지 않는다. 판(85)의 측면(88)이 경질 부재(22)의 측면(89)과 접촉될 때, 판(85)은 경질 부재(22)의 제1 스프링(59)의 작용을 변환시킨다. 따라서, 경질 부재(22) 상에 작용하는 힘의 평형이 차단되고 제1 스프링(59)의 작용 때문에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한 그의 이동을 계속하는 판(85)은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해 경질 부재(22)를 당기게 된다.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를 향한 경질 부재(22)의 이동은 외부 환경에 연결되는, 쳄버(25)에 쳄버(99)를 연결하는, 가스켓(91)과 경질 부재(22) 사이의 시일의 단부, 및 가스켓(96)의 시일을 복원하여 쳄버(93)에서 쳄버(99)로의 연결을 차단하는, 정지부(98)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 인접 위치로의 경질 부재(97)의 이동을 야기한다.
가스켓(91,96)의 탄성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경질 부재(22) 상의 가스켓(91)의 시일의 단부 이전에 정지부(98) 및 경질 부재(97)에 대한 가스켓(96)의 밀봉이 작동하여, 쳄버(93,95)를 쳄버(25)에 직접적으로 연결함을 방지하도록 하게 된다.
유사한 실시예가 축방향 및 반경방향 치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장치(100)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23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체(2)를 두 개의 부분들, 즉 단부(4) 상에 장치(100)를 고정하도록 사용되는 제1 고정부(2a)와, 제1 고정부(2a) 및 덮개(1)에 대해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는 제2 가동 부분(2b)을 제공한다.
상기한 장치들은 본체(2)가 아닌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에 내장된다. 쳄버(93)와 덕트(94), 스프링(95), 가스켓(96) 및 경질 부재(97)는 본체(2)의 제2 가동 부분(2b)과 일체의 돌출부(66)에 내장된다.
도39에 도시된 공지된 장치는 중공 본체(203) 내의 유체의 압력 또는 다른 물리적 특성을 검출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들(205)을 내장하고 있는 중공 본체(203)로 구성된다. 센서들(205)은 주둥이(201)의 제어 유닛(200)에 신호들을 전송한다. 이 주둥이(201)는 용기(202)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유속을 조절하여 중공 본체(203)의 입구(204)로 전송한다.
각 센서는 중공 본체(203)의 상대 압력의 소정 임계치에 대해 적절하게 작용한다. 특히, 센서들 중 하나는 상대 압력이 임계치(Pci)보다 낮을 때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환될 때, 제어 유닛(200)은 임계치(Pci)보다 낮은 상대 압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제어 유닛(200)은 용기(202)에서 중공 본체(203)의 입구(204)로의 유체의 통과를 방지하도록 주둥이(201)를 폐쇄하는 전기 신호를 처리한다.
이 장치는 도2a 및 2c의 장치들을 제어하지만, 도2b에 도시된 팽창 밸브를 제어할 수는 없다.

Claims (33)

  1. 덕트들을 통해 유동하거나 또는 탱크에 수용된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대칭인 연결 본체(2);
    상기 연결 본체(2)에 유체를 보내도록, 용기 또는 파이프(101)에서 나온 관들의 단부들(4,9)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수단(5b);
    축방향으로 대칭이며, 상기 연결 본체(2)를 수용하며, 외부 힘(F)의 작용을 받게 되면 본체(2) 상에서 그 본체(2)에 대한 제1 원위 위치로부터 제2 인접 위치로 이동하는 외측 덮개(1);
    상기 연결 수단(5b)과 측정 쳄버(30) 사이에 배치된 입구 룸(14)을 밀봉할 수 있는 자동 폐쇄 수단(15);
    경질 부재(22)와 일체이고, 상기 외측 덮개(1)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외측 덮개(1)가 상기 제1 원위 위치에서 제2 인접 위치로 슬라이드하고 있을 때에 자동 폐쇄 수단(15)이 입구 룸(14)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외측 덮개(1)가 상기 제1 원위 위치에 있고 측정 쳄버(30)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보다 낮을 때에 자동 폐쇄 수단(15)을 폐쇄하는, 조작 부재(21);
    유체의 상대 압력이 미리 정해진 소정 임계치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경우에만외부 힘(F)의 작용이 종료하게 된 그 때에는 상기 조작 부재(21)가 인접 위치에 유지되는 반면에, 유체의 상대 압력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조작 부재(21)가 원위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대 압력의 임계치 센서를 형성하는 상기 경질 부재(22);
    상기 경질 부재(22)가 원위 위치 또는 인접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 신호 수단(31, 44, 47, 52);
    조작 부재(21)에 의해 개방될 때에 입구 룸(14)으로부터 통로(23,24)를 통해 서 나오는 용기 또는 파이프(101)의 유체를 수용하며, 적어도 그 수용하는 유체의 압력을 받으며, 단부(4,9)들 및 외부 환경과의 연결이 상기 조작 부재(21)에 의해서 폐쇄되는, 측정 쳄버(30);
    상기 측정 쳄버(30) 내부의 압력에 따라서 변형되는 변형 요소(28)로서, 이 변형 요소(28)를 안내하는 경질 부재(22)와 함께 조작 부재(21)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변형 요소(28);
    외부 환경에 연결되고 스프링(27)을 내장하는 공간(25)으로서, 상기 조작 부재(21)가 지지부(17)에 대해 인접한 위치에 있고 측정 쳄버(30)의 상대 압력이 제1 소정 임계치(Pci)보다 낮을 때에, 상기 스프링(27)의 힘이 변형 요소(28) 상에 작용하는 반대의 힘을 초과하게 되어, 상기 변형 요소(28)가 조작 부재(21)를 윈위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자동 폐쇄 수단(15)이 입구 룸(14)을 밀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27)이 변형 요소(28) 상의 측정 쳄버(30) 내의 압력에 반대하여 변형 요소(28)를 작용시키도록 측정 쳄버(30)에 대해 반대의 위치에 제공된, 공간(25); 및
    자동 폐쇄 수단(15)이 입구 룸(14)을 폐쇄할 때 측정 쳄버(30)를 외부 환경으로 연결시키도록 제공된 통로들(23,24,26a,26b,26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측정 쳄버(30)에 스프링(3)이 내장되고,
    상기 스프링(3)은 상기 외부 덮개(1)와 일체인 지지 기부(35)와 연결 본체(2)의 단부(33)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외측 덮개(1)를 단부(4)에 대한 제1 원위 위치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제1 원위 위치에서는 상기 외측 덮개(1)의 정지부(34)가 상기 연결 본체(2)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쳄버(30)는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 경질 부재(22), 연결 본체(2), 외측 덮개(1) 및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측정 쳄버(30)의 상대 압력과 이 상대 압력에 반대되는 탄성 요소(27, 46, 47, 48)의 탄성력과의 평형에 따라서 작용하는 측정 기구들도 또한 제공되며,
    상기 탄성 요소(27,46,47,48)의 상기 탄성력은, 용이하게 결정 가능하고 시간적 반복성을 갖는 탄성 작용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질 지지부(38,56,57)와의 접촉에 의해 미리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경질 지지부(38)가 외측 덮개(1)와 일체인 벽(39)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3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를 구비하는 입구 룸(14)과, 외부 환경에 연결된 공간(25)이 항상 분리되어 있고,
    상기 입구 룸(14)은 단부(4)의 말단에 배치된 공동(9)에 연결되고, 상기 공간(25)은 외부 환경과 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는, 제1 지지부(17)와 연결 본체(2) 사이에 배치된 시트(17a)에 의해 고정된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는, 입구 룸을 밀봉하는 표면(16)을 가진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도 또한 포함하고,
    상기 밀봉은 연결 본체(2)와 일체인 핀(20)의 말단에 배치된 헤드(19)의 에지(18)에 상기 표면(16)이 접촉할 때에 형성되고, 상기 핀(20)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에 배치된 구멍(15a)을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21)는, 입구 룸(14)이 측정 쳄버(30)에서 분리되어 있고 측정 쳄버(30)가 외부 환경과 소통하고 있는 폐쇄 상태로부터, 입구 룸(14)이 측정 쳄버(30)와 소통하고 있고 측정 쳄버(30)가 외부 환경에서 분리되어 있는 개방 상태로 변환시키는 세개의 방향 및 두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 상에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검사할 유체의 상대 압력의 순간적인 값에 따라 신호들을 배출하도록, 제1 평형 상태로부터 제2 평형 상태로 변환되는 센서들도 또한 제공되고,
    상기 센서들은 측정 쳄버(30) 내의 유체의 상대 압력의 여러 값들의 임계치(Padvi, Pci, Pcs)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을 통해 그 센서들에 전달된 측정 쳄버(30)의 상대 압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슬라이더(43,44,45)에 의해 지지된 콘택트(52,53,54) 및 베이스(38)에 고정된 콘택트(49,50,51)의 탄성 부재(46,47,48)의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 상에 위치하는 슬라이더들(43,44,45)로 구성되고,
    상기 측정 쳄버(30)의 상대 압력의 값이 임계치(Padvi,Pci,Pcs)를 초과하면, 슬라이더(43,44,45)에 의해 지지된 콘택트(52,53,54)는 제1 전기적 상태를 형성하도록 베이스(38)에 고정된 콘택트(49,50,51)와 접촉하고,
    상기 측정 쳄버(30)의 상대 압력의 값이 임계치(Padvi,Pci,Pcs)보다 낮으면, 슬라이더(43,44,45)에 의해 지지된 콘택트(52,53,54)는 제2 전기적 상태를 형성하도록 베이스(38)에 고정된 콘택트(49,50,51)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상태들은, 외부로 전달될 신호들이 얻어질 수 있도록, 전기 회로들이 구비된 베이스(38)에 전달되며 그리고 콘택트(49,50,51) 및 콘택트(52,53,54)의 전기적 상태들을 처리하는 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은, 측정 쳄버(30)의 압력의 값에 외부 환경의 값이 참작될 수 있도록, 외부 환경에 연결된 공동(40)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21)는 경질 부재(22)와 일체인 중공 로드(21)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로드(21)는, 세 개의 방향 및 두 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를, 상기 중공 로드(21)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형성되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중공 로드(21)의 에지(21a)와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 사이의 접촉에 의해 중공 로드(21)의 공동(23)과 공간(25) 사이의 소통이 밀봉되는 제2 상태로 변환시키도록,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16.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폐쇄 다이어프램(15)의 표면(16)과 접촉하게 되는 중공 로드(21)가, 상기 표면(16)을 공동(23)과 소통하는 입구 룸(14) 쪽으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미는 힘을, 다이어프램(15) 상에 작용시킬 때에, 제2 상태에 있는 세 개의 방향 및 두 개의 위치들을 가진 밸브의 변환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측정 쳄버(30)에 작용하는 힘들이 스프링(27)의 힘을 초과할 때 입구 룸(14)이 공동(23)을 통해 측정 쳄버(30)에 연결될 수 있도록, 경질 부재(22)에 내부 덕트들(24,24a,24b)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장치(100)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는 장점을 유지하면서 외측 덮개(1)와 일체인 지지 베이스(35)와 연결 본체(2) 사이에 카운터 스프링(3)이 배치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측 덮개(1)의 반경 방향 치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내측 공간(58)도 또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경질 부재(22) 상의 측정 쳄버(30) 내의 압력의 작용에 반작용하여 경질 부재(22) 상에 작용하며 그리고 상기 제1 가동 다이어프램(28) 상에 작용하는, 제1 벨레빌 와셔(59)도 또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슬라이더(43)에 작용하는 제2 벨레빌 와셔(60)도 또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본체(2)는, 장치(100)를 단부(4) 상에 체결시키기 위해 고정된 제1 부분(2a)과, 고정부(2a) 및 외측 덮개(1) 모두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2 부분(2b)인 두 개의 부분들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본체(2)의 가동 부분(2b)과 일체인 돌출부(66)의 단부에 플랜지(73)가 제공되고, 본체(2)의 고정부(2a)와 일체인 단부(75)와 플랜지(73) 사이에 가스켓(74)이 배치되며, 상기 가스켓(74)은 상기 플랜지(73)와 상기 단부(75)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는, 돌출부(66)가 안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 공동(65)을 하우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본체(2)의 가동 부분(2b)에 중공 슬리브(7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 슬리브(70)의 내벽(71)은 고정부(2a)의 외주벽(72)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71)은 외주벽(72)에 꼭 맞게 결합되어, 상기 중공 슬리브(70)가 가동 부분(2b)을 위한 안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슬리브(70) 외부의 사이 공간(61)에 카운터 스프링(3)이 내장되고,
    상기 공간(25)은, 제1 지지부(17)에 제공된 덕트(26a), 가동 부분(2b)에 제공된 덕트(26b1), 쳄버(63), 고정부(2a)에 제공된 덕트(26b2), 가동 부분(2b)에 제공된 덕트(26b4), 카운터 스프링(3)을 내장하도록 가동 부분(2b)에 반경 방향으로 제공되는 사이 공간(61), 고정부(2a)에 제공된 덕트(26b3), 및 외측 덮개(1)에 제공된 덕트(26c)를 통해, 외부 환경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27. 제12항에 있어서,
    제2 슬라이더(44)는, 베이스(38)에 대한 원위 위치와 인접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는 하나의 제4 슬라이더(80)를 형성하는 제3 슬라이더(45)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슬라이더(80)는 베이스(38)에 대한 원위 위치인 제1 원위 위치에 있고,
    상기 원위 위치는 측정 쳄버(30)에 외부 압력이 작용할 때 제4 슬라이더(80)에 의해 실현되는 평형의 위치이고,
    제4 슬라이더(80)의 상기 제1 원위 위치로의 도달은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의해 제공되는 변형력에 반대되는 제1 탄성 부재(47)의 반작용에 의해 이루어지고,
    제2 스프링(60)은 제2 지지부(37)에 대한 제1 원위 위치에서 제1 슬라이더(43)를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대해 가압하여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제4 슬라이더(80)와 베이스(38) 사이에 배치된 제1 탄성 부재(47)가 제4 슬라이더(80)를 제2 가동 다이어프램(31)에 대해 가압하여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제2 탄성 부재(48)는 제4 슬라이더(80)와 콘택트(5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제4 슬라이더(80)가, 서로 결합된 제2 및 제3 슬라이더(44,45)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47)는 제1 슬라이더(43)에 연결된 벽(81)과 제4 슬라이더(80)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47)의 반작용은 제1 슬라이더(43)를 해제하는 것이고,
    상기 제4 슬라이더(80)는 베이스(38)에 대한 원위 위치와 인접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32. 제19항에 있어서,
    경질 부재(22)와 제1 벨레빌 와셔(59) 사이에 배치된 판(85)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판(85)은 제1 지지부(17)에 대한 원위 위치와 인접 위치 사이에서 경질 부재(22)에 대해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부재(22) 및 판(85)은 쳄버(25)로부터 쳄버(99)를 분리하는 가스켓(91)의 시일에 관한 작용을 해제시키도록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압력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
KR1020067012478A 2003-12-09 2004-12-02 덕트들을 통해 유동하거나 또는 탱크에 있는 유체의 압력을검사하기 위한 장치 KR100973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737A ITBO20030737A1 (it) 2003-12-09 2003-12-09 Dispositivo per la sorveglianza della pressione dei fluidi
ITBO2003000737 2003-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562A KR20060118562A (ko) 2006-11-23
KR100973787B1 true KR100973787B1 (ko) 2010-08-04

Family

ID=3467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478A KR100973787B1 (ko) 2003-12-09 2004-12-02 덕트들을 통해 유동하거나 또는 탱크에 있는 유체의 압력을검사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343871B2 (ko)
EP (1) EP1692481A1 (ko)
JP (1) JP2007514159A (ko)
KR (1) KR100973787B1 (ko)
CN (1) CN100494940C (ko)
AU (1) AU2004297423A1 (ko)
BR (1) BRPI0417466A (ko)
CA (1) CA2549178A1 (ko)
IT (1) ITBO20030737A1 (ko)
MX (1) MXPA06006514A (ko)
RU (1) RU2354945C2 (ko)
WO (1) WO2005057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02744T1 (de) * 1998-05-28 2001-07-15 Giovanni Barbanti Vorrichtung zum signalisieren des reifendruckzustandes
US7240560B2 (en) * 2004-10-18 2007-07-1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essure sensor with remote power source
CN101071087B (zh) * 2007-04-29 2011-09-07 茹长渠 汽车轮胎预警系统
TW201033032A (en) * 2009-03-06 2010-09-16 Sung Jung Minute Industry Co Ltd Tire pressure detection device
FR2979853B1 (fr) * 2011-09-13 2013-09-20 Stephane Fazekas Dispositif pneumatique pilote de gonflage-degonflage automatique d'un pneumatique notamment
DE102015109450A1 (de) * 2015-06-12 2016-12-15 Abb Schweiz Ag Vorrichtung zur Messung des Drucks eines durch eine Rohrleitung strömendes Fluid
CH712471A1 (de) * 2016-05-18 2017-11-30 Joulia Ag Vorrichtung zur Detektion und Signalisierung eines Lecks und Wärmetauscher.
JP6426764B2 (ja) * 2017-01-16 2018-11-21 横河電機株式会社 圧力測定器
CN110307929B (zh) * 2019-07-08 2020-08-25 上海交通大学 一种基于压力敏感薄膜的流体压力测量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2201A (en) * 1958-09-24 1962-03-21 Angelo Ricchini An acoustic warning device for attachment to the valve of a pneumatic tyre to indicate loss of pressure
US3910223A (en) 1973-03-12 1975-10-07 Eaton Corp Inflation and pressure change indication device
US4072048A (en) 1976-04-01 1978-02-07 John Arvan Indicating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a fluid within a container
EP0893284A1 (en) * 1998-05-28 1999-01-27 Giovanni Barbanti Device capable of signalling the inflating condition in the tir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1418A (en) * 1966-07-27 1969-06-24 Shunshi Nakagawa Device for indicating the interior pressure of a pneumatic tire
USRE29116E (en) * 1969-07-31 1977-01-18 Kalinco, Inc. Pressure gauge
JP2802051B2 (ja) * 1995-10-20 1998-09-21 株式会社フジユニバンス タイヤバルブキャップ
US6832573B2 (en) * 2001-03-30 2004-12-21 Harold A. Evans Wheel-mounted tire pressure gauge
EP1526006A1 (en) * 2002-12-12 2005-04-27 Giovanni Barbanti System for predetermining the operating threshold of a device surveying the radial deformation state of a ti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2201A (en) * 1958-09-24 1962-03-21 Angelo Ricchini An acoustic warning device for attachment to the valve of a pneumatic tyre to indicate loss of pressure
US3910223A (en) 1973-03-12 1975-10-07 Eaton Corp Inflation and pressure change indication device
US4072048A (en) 1976-04-01 1978-02-07 John Arvan Indicating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a fluid within a container
EP0893284A1 (en) * 1998-05-28 1999-01-27 Giovanni Barbanti Device capable of signalling the inflating condition in the ti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14159A (ja) 2007-05-31
CN1890545A (zh) 2007-01-03
ITBO20030737A1 (it) 2005-06-10
EP1692481A1 (en) 2006-08-23
BRPI0417466A (pt) 2007-05-08
RU2006123363A (ru) 2008-01-20
AU2004297423A1 (en) 2005-06-23
US20070079747A1 (en) 2007-04-12
CA2549178A1 (en) 2005-06-23
MXPA06006514A (es) 2007-01-26
US7343871B2 (en) 2008-03-18
RU2354945C2 (ru) 2009-05-10
KR20060118562A (ko) 2006-11-23
CN100494940C (zh) 2009-06-03
WO2005057155A1 (en)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787B1 (ko) 덕트들을 통해 유동하거나 또는 탱크에 있는 유체의 압력을검사하기 위한 장치
US6478051B1 (en) Pressure means storage device
US6644354B2 (en) Hydraulic fluid accumulator
RU223758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гнализирования о давлении в шинах
US20160272309A1 (en) Shock absorber
EP1213034B1 (en) Device for measuring negative pressures in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KR940021980A (ko) 가스 또는 액화가스 컨테이너로 부터의 가스 누설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3862646A (en) Combined filling tube and pressure indicator
EP0038824B1 (en) Method for testing the fluid tightness of a test object
CN105031870B (zh) 波纹管致动的温度补偿压力开关装置和系统
KR100663768B1 (ko) 용기를 충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1322518A (zh) 高压罐装置和流体排出方法
RU2110779C1 (ru)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TW202134619A (zh) 以密封的方式使兩種介質隔離的系統的密封性測試設備
JP2005077097A (ja) 気密容器の流体漏れ検出装置
JP2001349500A (ja) 蛇腹型伸縮管継手の漏洩検知装置
JP2004069647A (ja) アキュムレータのガス漏れ検知方法及びその装置
JP4092945B2 (ja) 漏れ防止部材
KR100663767B1 (ko) 용기를 충전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3712321B2 (ja) アキュムレータ
CN112067206B (zh) 一种密封方法
JPH1072093A (ja) 圧力タンク
US20040206396A1 (en) Valve, use of said valve, system comprising said valv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said system
RU28142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верки герметичности системы для герметичного изолирования двух сред
JP7161852B2 (ja) 電車線用ガス圧式張力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