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216B1 -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216B1
KR100972216B1 KR1020090095930A KR20090095930A KR100972216B1 KR 100972216 B1 KR100972216 B1 KR 100972216B1 KR 1020090095930 A KR1020090095930 A KR 1020090095930A KR 20090095930 A KR20090095930 A KR 20090095930A KR 100972216 B1 KR100972216 B1 KR 100972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piston
bolt
brake
adj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진
장진호
명 황보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정밀 filed Critical (주)엠에스정밀
Priority to KR102009009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16D65/183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with force-transmitting members arranged side by side acting on a spot type force-apply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87Brake housing guide members, e.g. caliper pins; Accessories therefor, e.g. dust bo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02Fluid-pressure mechanisms
    • F16D2125/08Seals, e.g. piston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40Screw-and-nut
    • F16D2125/405Screw-and-nut with differential thread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이 차량의 구동바퀴에 연결되는 아웃풋샤프트와, 일단이 디퍼렌셜에 연결되고 타단이 아웃풋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는 드라이브축과, 상기 아웃풋샤프트의 둘레에 설치되는 케리어하우징과, 상기 디퍼렌셜 및 드라이브 축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케리어하우징의 대응 단부에 결합되는 액슬하우징과, 상기 케리어하우징 및 액슬하우징의 내경면에 다웰핀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들과, 상기 플레이트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브축의 스플라인에 결합되는 마찰판들과, 마찰판들 및 플레이트들을 유압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액슬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건설장비의 제동장치에 설치되는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액슬하우징(24)의 암나사부(24a)에 체결되도록 제1수나사부(30a)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제2수나사부(30b)가 형성되어 있는 볼트(30); 상기 볼트(30)의 제2수나사부(30b)가 중심축 상에 위치되도록 외주면이 피스톤(28)의 결합구멍(28a)에 압입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플레이트(26) 및 마찰판(27) 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부시(31); 상기 제2수나사부(30b)에 체결되도록 내주면 둘레에 암나사부(3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시(31)의 개방 단부에 대향되도록 일측 단부 둘레에 플랜지(32b)가 돌출되어 있는 어드져스트부시(32); 일단이 상기 부시(31)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어드져스트부시(32)의 플랜지(32b)에 지지되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의해 이송된 상기 부시(31) 및 피스톤(28)을 복원시키는 리턴스프링(33); 상기 볼트(30)의 제2수나사부(30b)에 체결되어서 상기 어드져스트부시(32)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너트(34); 및 상기 부시(31)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상기 피스톤(28)의 마찰판을 향하는 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피스톤(28)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톱링(35)을 포함하는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이다.
지게차, 건설장비, 브레이크 피스톤, 피스톤 운동범위 조절

Description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Brake piston apparatus for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볼트머리와 부시 단부 사이의 갭 관리와, 피스톤의 운동량 제어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상용차, 지게차 및 휠 로더 등과 같은 산업차량 및 건설장비의 제동장치는 습식 다판식 구조의 제동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습식 다판식 구조의 제동장치는 제동력 및 조작력 그리고 내구성에 있어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상기한 습식 다판식 제동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위 도면에 따르면, 습식 다판식 제동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에 답력이 전달되면 그 유압으로 인해 피스톤(8)이 밀리면서 플레이트(6)와 마찰판(7)이 압착된다.
이때 케리어하우징(3)과 액슬하우징(4)에 의해 지지되는 다웰핀(5)에 고정된 플레이트(6)와 마찰판(7)의 상호간에 발생된 마찰력으로 인해 브레이크 토크가 발생되어 드라이브축(2)이 회전되지 못하게 되며, 이 드라이브축(2)에 연결된 아웃풋 샤프트(1)도 함께 회전되지 못하게 되므로 서비스 제동의 기능이 발휘된다.
이때 피스톤(8)의 제동이 시작되는 지점까지의 스트로크(a)가 중요한 관리요소가 되는데, 그 이유는 마찰판(7)의 작동 성능 및 내구수명 보증을 위해 발열을 최소화해야 하고 또 차량의 입장에서는 브레이크 작동시 브레이크 페달의 작용 거리가 피스톤(8)의 스트로크(a)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피스톤(8)의 스트로크(a)를 적절한 값으로 조정하였다 하더라도 브레이크 작동에 따른 플레이트(6) 및 마찰판(7) 사이의 상대운동으로 인해 마찰에 의한 마모로 스트로크(a)가 증가하게 된다.
종래의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8)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이송되는 부시(9)와, 볼트머리(10a) 부분이 부시(9)의 단부에 대향되고 수나사부(10b) 부분이 액슬하우징(4)의 암나사부(4a)에 나사결합되는 볼트(10)와, 부시(9)의 내부 및 볼트(10)의 둘레에 구비되는 리턴스프링(11)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조절장치는 피스톤(8)의 운동범위 조절이 어렵다.
부연하면, 종래의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조절장치의 구조를 볼 때, 피스톤(8)의 운동범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볼트(10)를 조임하거나 또는 느슨하게 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이렇게 되면, 리턴스프링(11)이 압축 또는 인장되어 탄성력이 조절되므로 이 조절된 탄성력 범위 내에서 피스톤(8)의 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볼트(10)의 조작에 의해 피스톤(8)의 운동범위를 조절할 경우, 볼트머리(10a)와 부시(9)의 단부 사이의 갭(b) 조절이 불가하므로, 어느 하나의 조절은 포기해야만 한다. 다시 말하면, 피스톤(8)의 운동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이라면 상기 갭(b)조절은 포기해야 하고, 반대로 갭(b) 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피스톤(8)의 운동범위 조절은 포기해야만 한다.
하여, 종래의 구조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피스톤(8)의 운동량 제어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으나, 갭(b)은 피스톤(8)의 스트로크 관리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갭(b) 조절이 피스톤의 운동량 제어에 비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볼 때 종래에는 피스톤의 운동량 제어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간주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볼트머리와 부시 단부 사이의 갭 관리와, 피스톤의 운동량 제어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관점에 따르면,
일단이 차량의 구동바퀴에 연결되는 아웃풋샤프트와, 일단이 디퍼렌셜에 연 결되고 타단이 아웃풋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는 드라이브축과, 상기 아웃풋샤프트의 둘레에 설치되는 케리어하우징과, 상기 디퍼렌셜 및 드라이브 축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케리어하우징의 대응 단부에 결합되는 액슬하우징과, 상기 케리어하우징 및 액슬하우징의 내경면에 다웰핀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들과, 상기 플레이트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브축의 스플라인에 결합되는 마찰판들과, 마찰판들 및 플레이트들을 유압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액슬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건설장비의 제동장치에 설치되는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액슬하우징(24)의 암나사부(24a)에 체결되도록 제1수나사부(30a)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제2수나사부(30b)가 형성되어 있는 볼트(30); 상기 볼트(30)의 제2수나사부(30b)가 중심축 상에 위치되도록 외주면이 피스톤(28)의 결합구멍(28a)에 압입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플레이트(26) 및 마찰판(27) 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부시(31); 상기 제2수나사부(30b)에 체결되도록 내주면 둘레에 암나사부(3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시(31)의 개방 단부에 대향되도록 일측 단부 둘레에 플랜지(32b)가 돌출되어 있는 어드져스트부시(32); 일단이 상기 부시(31)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어드져스트부시(32)의 플랜지(32b)에 지지되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의해 이송된 상기 부시(31) 및 피스톤(28)을 복원시키는 리턴스프링(33); 상기 볼트(30)의 제2수나사부(30b)에 체결되어서 상기 어드져스트부시(32)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너트(34); 및 상기 부시(31)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상기 피스톤(28)의 마찰판을 향하는 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피스톤(28)의 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톱링(35)을 포함하는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부수적 관점에 따르면,
상기 부시(31)의 외주면에는 숫탭(31a)을 형성하고, 스톱링(35)의 내주면에는 암탭(35a)을 형성하여, 상기 숫탭(31a)과 암탭(35a)이 서로 체결되게 하여 결합된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수적 관점에 따르면,
상기 부시(31)의 외주면에 스톱링(35)의 내주면이 압입된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볼트머리와 부시 단부 사이의 갭 관리와, 피스톤의 운동량 제어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어서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자동조절장치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a는 도 3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b는 플레이트와 마찰판에 마모가 발생되어서 피스톤의 스트로크가 증가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c는 피스톤이 전진되어서 부시의 단부와 어드져스트부시의 플랜지가 맞닿은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d는 도 4c의 상태에서 피스톤이 더 전진되어서 피스톤과 부시 사이에 미끄럼이 발 생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e는 피스톤 및 부시가 복원되어서 피스톤의 증가된 스트로크와 어드져스트부시 및 부시의 간격이 같아진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a의 부분 분리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는 일단이 차량의 구동바퀴에 연결되는 아웃풋샤프트(20)가 구비된다. 이 아웃풋샤프트(20)와 디퍼렌셜(21)에는 드라이브축(22)이 연결된다. 아웃풋샤프트(20)의 둘레에는 케리어하우징(23)이 설치된다. 디퍼렌셜(21) 및 드라이브축(22)의 둘레에는 액슬하우징(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액슬하우징(24)의 일단과 캐리어하우징(23)의 대응 단부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하우징(23) 및 액슬하우징(24)의 내경면에는 다웰핀(25)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26)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26)들의 사이에는 마찰판(27)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 마찰판(27)들은 드라이브축(22)의 스플라인에 결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된다. 마찰판(27)들 및 플레이트(26)들을 유압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액슬하우징(24)의 내측에는 브레이크 피스톤(28)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건설장비의 제동장치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피스톤(28)의 스트로크(A) 변화에 맞게 부시(31)의 단부와 어드져스트부시(32)의 플랜지(32b) 사이의 간격(G)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자동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자동조절장치 는, 볼트(30), 부시(31), 어드져스트 부시(32), 리턴스프링(33), 고정너트(34)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30)는 일측에 액슬하우징(24)의 암나사부(24a)에 체결되도록 제1수나사부(30a)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제2수나사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30)의 제1수나사부(30a)를 액슬하우징(24)의 암나사부(24a)에 체결시킬시 제1수나사부(30a)가 암나사부(24a)에 일정 깊이만큼 삽입되면 고정너트(34)의 일면이 어드져스트부시(32)의 대응면에 접촉되면서 더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상기 부시(31)는, 볼트(30)의 제2수나사부(30b)가 중심축 상에 위치되도록 외주면이 피스톤(28)의 결합구멍(28a)에 압입되어 있고, 내부가 플레이트(26) 및 마찰판(27) 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어드져스트부시(32)는, 제2수나사부(30b)에 체결되도록 내주면 둘레에 암나사부(32a)가 형성되어 있고, 부시(31)의 개방 단부에 대향되도록 일측 단부 둘레에 플랜지(32b)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리턴스프링(33)은, 일단이 부시(31)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어드져스트부시(32)의 플랜지(32b)에 지지되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의해 이송된 부시(31) 및 피스톤(28)을 복원시킨다.
상기 고정너트(34)는 볼트(30)의 제2수나사부(30b)에 체결되어서 어드져스트부시(32)의 유동을 방지한다. 여기서 간격조절장치의 각 부품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① 볼트(30)의 인장하중 > ② 피스톤(28) 및 부시(31)의 압입력 > ③ 리턴스프링(33)의 복원력 > ④ 피스톤(28) 및 액슬하우징(24) 사이에 결합되는 피스톤시일(29)의 마찰저항 순이다.
부연하면, 먼저, 볼트(30)의 인장하중이 가장 크다. 액슬하우징(24)에 결합된 볼트(30)는 피스톤(28)의 브레이크 압력을 견뎌야 하므로 피스톤(28)에 가해지는 브레이크압보다 볼트(30)의 인장하중이 더 커야 한다. 따라서 피스톤(28)에 브레이크압이 작용하거나 부시(31)에 리턴스프링(33)의 복원력이 작용하여도 볼트(30)는 액슬하우징(24)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 볼트(30)에 체결된 어드져시트부시(31), 고정너트(34)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피스톤(28)의 결합구멍 및 부시(31)의 외주면 사이의 압입력은 볼트(30)의 인장하중보다 더 작고 피스톤(28)의 브레이크압보다 작다. 따라서 피스톤(28)에 브레이크압이 작용하여서 부시(31) 및 어드져스트부시(32) 사이의 간격(G)보다 피스톤(28)의 스트로크(A)가 더 커서 피스톤(28)이 간격(G)보다 더 이송된 경우, 피스톤(28)의 결합구멍(28a)과 부시(31)의 외주면 사이에는 미끄럼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브레이크압에 의해 피스톤(28)과 부시(31)가 함께 이송되다가 부시(31)는 어드져스트부시(32)의 플랜지(32b)에 의해 정지된 상태에서 피스톤(28)이 더 이송되면 그 거리만큼 부시(31)와 피스톤(28)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된다.
상기 리턴스프링(33)의 복원력는 상술한 피스톤(28)의 결합구멍(28a)과 부시(31)의 외경 사이의 압입력보다 작다. 따라서 피스톤(28)이 브레이크압에 의해 마찰판(27)들 측으로 이송될 시 부시(31)는 피스톤(28)과 함께 이송되면서 리턴스프링(33)을 압축시키게 된다. 피스톤(28)에 브레이크압이 제거되면 압축된 리턴스프링(33)이 복원되면서 부시(31)를 마찰판(27)들의 반대측으로 밀게 되는데, 이때 부시(31) 및 피스톤(28)이 동시에 복귀된다.
한편, 피스톤(28) 및 액슬하우징(24) 사이에 결합되는 피스톤시일(29)의 마찰저항은, 리턴스프링(33)의 복원력보다 작다. 따라서 압축된 리턴스프링(33)이 복원되면서 부시(31)를 밀때에 피스톤(28)이 부시(31)와 함께 복귀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자동조절장치는, 피스톤(28)의 스트로크(A)와 부시(31) 및 어드져스트부시(32)의 플랜지(32b) 사이의 간격(G)을 맞춘다.
피스톤(28)의 스트로크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마찰판(27)의 수량이 5매이고, 마찰판(27)의 1면당 틈새를 0.2mm로 설정하면 피스톤(28)의 전체 스트로크(A)는, 마찰판(27) 양면의 틈새 x 마찰판(27)의 수량 = 0.2mm x 2 x 5 = 2mm이다. 따라서 피스톤(28)의 전체 스트로크(A)는 2mm이다.
그러므로 어드져스트부시(32)의 일단부터 플랜지(32b) 전까지의 길이가 33.7mm, 부시(31)의 전체 길이를 31.7mm로 제작하여서 이들 사이의 간격(G)이 2mm가 되도록 한다.
도 4a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자동조절장치는, 반복적으로 제동됨에 따라 플레이트(26) 및 마찰판(27)이 반복적으로 접촉되면서 마모된다. 따라서 이송되는 피스톤(28)의 스트로크(A)가 점차 증 가하게 된다.
도 4b 내지 도 4e는 마찰판(27)들이 마모되어서 피스톤(28)의 스트로크(A)가 증가될 때에 부시(31) 및 어드져스트부시(32)의 간격(G)이 증가되는 피스톤(28)의 스트로크(A)에 맞게 자동으로 증가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들이다.
도 4b와 같이 피스톤(28)의 스트로크(A)가 0.2mm 증가된 상태에서 피스톤(28)에 브레이크압이 작동되면 피스톤(28) 및 부시(31)가 이송되면서 도 4c와 같이 부시(31)의 단부가 어드져스트부시(32)의 플랜지(32b)에 접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피스톤(28)에 브레이크압이 계속 작용하면 피스톤(28)은 증가된 스트로크(A)만큼 더 이송되는 반면에, 부시(31)는 피스톤(28)과 함께 세팅된 간격(G)만큼만 이송된 후 어드져스트부시(32)의 플랜지(32b)에 막혀서 증가된 스트로크(A)만큼 이송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28)의 결합구멍(28a)과 부시(31)의 외주면 사이에는 도 4d와 같이 피스톤(28)의 가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미끄럼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증가된 스트로크(A)가 2.2mm일 경우, 부시(31)는 세팅된 간격(G)인 2mm만큼 이동된 후 0.2mm만큼은 피스톤(28)의 가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미끄럼이 발생된다.
피스톤(28)에 브레이크 유압이 해제되면 리턴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부시(31)가 복귀되고, 이때 부시(31) 및 피스톤(28) 사이의 압입력이 리턴스프링(33)의 복원력보다 크므로 부시(31)가 복원될 때 피스톤(28)도 함께 이송되면서 복귀된다. 부시(31)가 리턴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계속 가압되어도 피스톤(28) 및 부시(31) 사이에는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으며, 부시(31)가 피스톤(28)에 대해 별도 로 밀리지 않는다.
이와 같이 피스톤(28) 및 부시(31)가 복원되면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8) 및 부시(31)가 동일하게 2.2mm만큼 밀리면서 부시(31) 및 어드져스트부시(32) 사이의 간격(G)과 피스톤(28)의 스트로크(A)가 서로 동일 하게 유지된다.
즉, 브레이크압이 작용될 시 부시(31)가 피스톤(28)에 대해 0.2.mm만큼 밀리게 되므로 복귀된 상태에서 부시(31)와 어드져스트부시(32) 사이의 간격(G)은 2.2mm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자동조절장치는, 플레이트(26) 및 마찰판(27)이 마모되면서 피스톤(28)의 스트로크(A)가 증가됨에 따라 어드져스트부시(32)는 피스톤(28)으로부터 증가된 스트로크(A)만큼 밀리게 되므로 스트로크(A)와 어드져스트부시(32)의 플랜지(32b) 및 부시(31) 단부 사이의 간격(G)과 피스톤(28)의 스트로크(A)는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피스톤(8)의 스트로크(a)가 증가될 때마다 별도의 정비를 통해서 볼트(10)와 부시(9) 사이의 간격을 조절했던 종래와는 달리, 어드져스트부시(32) 및 부시(31) 사이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건설장비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자동조절장치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부시(31)와 어드져스트부시(32)와의 간격(G) 조절이 필요하더라도 부품을 교체할 필요가 없다.
즉, 고정너트(34)를 풀고, 어드져스트부시(32)를 볼트(30)의 제2수나사 부(30b) 상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2수나사부(30b)를 따라 이송시킨다. 따라서 어드져스트부시(32)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어드져스트부시(32)의 플랜지(32b)와 부시(31) 단부 사이의 간격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볼트(10)와 부시(9) 사이의 갭(b)을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볼트(10) 또는 별도의 부시(9)로 교체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작업이 매우 간편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부시(3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톱링(35)을 포함한다.
상기 스톱링(35)은 피스톤(28)의 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스톤(28)의 마찰판(27)을 향하는 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있어서 스톱링(35)의 위치제어에 따라 피스톤(28)의 도면상 좌우방향으로의 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시(31)의 외주면에는 숫탭(31a)을 형성하고, 스톱링(35)의 내주면에는 암탭(35a)을 형성하여, 상기 숫탭(31a)과 암탭(35a)이 서로 체결되게 하여 부시(31)와 스톱링(35)을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상기 스톱링(35)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스톱링을 피스톤(28) 쪽으로 이동시킬 경우 피스톤(28)의 좌우 운동범위를 협소하게 조정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스톱링(35)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스톱링을 피스톤(28)의 반 대쪽으로 이동시킬 경우 피스톤(28)의 좌우 운동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피스톤(28)의 운동범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 상기 부시(31)와 스톱링(35)의 결합은 압입방법에 의할 수 있고, 이외에도 스톱링(35)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결합구조라면 여타 구조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스톱링(35)에 의한 피스톤(28)의 위치제어와, 어드져스트부시(32)의 플랜지(32b)와 부시(31)의 단부 사이의 간격(G) 조절은 상호 관련성이 없이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피스톤의 위치제어와 간격(G) 조절을 사용자의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서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조절장치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자동조절장치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a는 도 3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b는 플레이트와 마찰판에 마모가 발생되어서 피스톤의 스트로크가 증가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c는 피스톤이 전진되어서 부시의 단부와 어드져스트부시의 플랜지가 맞닿은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d는 도 4c의 상태에서 피스톤이 더 전진되어서 피스톤과 부시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e는 피스톤 및 부시가 복원되어서 피스톤의 증가된 스트로크와 어드져스트부시 및 부시의 간격이 같아진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a의 부분 분리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아웃풋샤프트 21 : 디퍼렌셜
22 : 드라이브축 23 : 케리어하우징
24 : 액슬하우징 24a : 암나사부
25 : 다웰핀 26 : 플레이트
27 : 마찰판 28 : 피스톤
28a : 결합구멍 29 : 피스톤시일
30 : 볼트 30a : 제1수나사부
30b : 제2수나사부 31 : 부시
32 : 어드져스트부시 32a : 암나사부
32b : 플랜지 33 : 리턴스프링
34 : 고정너트 35 : 스톱링

Claims (3)

  1. 일단이 차량의 구동바퀴에 연결되는 아웃풋샤프트와, 일단이 디퍼렌셜에 연결되고 타단이 아웃풋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는 드라이브축과, 상기 아웃풋샤프트의 둘레에 설치되는 케리어하우징과, 상기 디퍼렌셜 및 드라이브 축의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케리어하우징의 대응 단부에 결합되는 액슬하우징과, 상기 케리어하우징 및 액슬하우징의 내경면에 다웰핀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들과, 상기 플레이트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브축의 스플라인에 결합되는 마찰판들과, 마찰판들 및 플레이트들을 유압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액슬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건설장비의 제동장치에 설치되는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액슬하우징(24)의 암나사부(24a)에 체결되도록 제1수나사부(30a)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제2수나사부(30b)가 형성되어 있는 볼트(30);
    상기 볼트(30)의 제2수나사부(30b)가 중심축 상에 위치되도록 외주면이 피스톤(28)의 결합구멍(28a)에 압입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플레이트(26) 및 마찰판(27) 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부시(31);
    상기 제2수나사부(30b)에 체결되도록 내주면 둘레에 암나사부(3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시(31)의 개방 단부에 대향되도록 일측 단부 둘레에 플랜지(32b)가 돌출되어 있는 어드져스트부시(32);
    일단이 상기 부시(31)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어드져스트부시(32)의 플랜지(32b)에 지지되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의해 이송된 상기 부시(31) 및 피스톤(28)을 복원시키는 리턴스프링(33);
    상기 볼트(30)의 제2수나사부(30b)에 체결되어서 상기 어드져스트부시(32)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너트(34); 및
    상기 부시(31)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상기 피스톤(28)의 마찰판을 향하는 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피스톤(28)의 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톱링(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부시(31)의 외주면에는 숫탭(31a)을 형성하고, 스톱링(35)의 내주면에는 암탭(35a)을 형성하여, 상기 숫탭(31a)과 암탭(35a)이 서로 체결되게 하여 결합된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90095930A 2009-10-09 2009-10-09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 KR10097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930A KR100972216B1 (ko) 2009-10-09 2009-10-09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930A KR100972216B1 (ko) 2009-10-09 2009-10-09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216B1 true KR100972216B1 (ko) 2010-07-26

Family

ID=4264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930A KR100972216B1 (ko) 2009-10-09 2009-10-09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1245A2 (fr) 2013-07-03 2015-01-08 Gkn Stromag France Dispositif de freinage par piston à fonction de recul tot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455A (ko) * 2005-11-21 2007-05-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브레이크 디스크 간극 조절 장치
KR100913427B1 (ko) * 2009-01-30 2009-08-21 (주)엠에스정밀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자동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3455A (ko) * 2005-11-21 2007-05-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브레이크 디스크 간극 조절 장치
KR100913427B1 (ko) * 2009-01-30 2009-08-21 (주)엠에스정밀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자동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1245A2 (fr) 2013-07-03 2015-01-08 Gkn Stromag France Dispositif de freinage par piston à fonction de recul tot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0159B2 (en) Electromagnetic dog clutch
JP7291237B2 (ja) 噛み合い電磁クラッチ
US20210079969A1 (en) Parking brake apparatus
CN101837938B (zh) 一种单向载荷自制螺旋式制动器
CN209212829U (zh) 小扭矩过载保护摩擦片离合器
KR101985512B1 (ko) 건설장비 및 산업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장치
KR100913427B1 (ko) 지게차 및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 간격자동조절장치
KR100972216B1 (ko) 건설장비용 브레이크 피스톤장치
CN101813146B (zh) 联轴制动限载器
US20070261932A1 (en) Friction clutch with multiple belleville springs
KR100901161B1 (ko) 지게차 및 건설장비 차축용 습식 주차제동장치
CN101839293B (zh) 一种盘式制动器的驻车机构
CN212290025U (zh) 履带车辆转向装置
CN105782285A (zh) 一种安全式离合器装置
JP5646075B2 (ja) スマート加圧式無段変速機
CN110966320B (zh) 用于车辆的制动器及车辆
CN210565906U (zh) 双蹄叠合平面叠合运动制动器
KR20120123166A (ko) 마찰요소
CN218063170U (zh) Emb制动器
KR100969561B1 (ko) 건설장비 및 산업차량의 브레이크 간격 조정장치
KR100930117B1 (ko) 건설장비 차량의 차축 주차브레이크 장치
KR101122510B1 (ko) 지게차 및 건설장비 차량용 브레이크 피스톤의 간극조절장치
CN117553077A (zh) 一种离合装置
CN201634366U (zh) 一种单向载荷自制螺旋式制动器
CN108253034B (zh) 一种用于连接动力输入和输出的湿式离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