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014B1 -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014B1
KR100971014B1 KR1020090040466A KR20090040466A KR100971014B1 KR 100971014 B1 KR100971014 B1 KR 100971014B1 KR 1020090040466 A KR1020090040466 A KR 1020090040466A KR 20090040466 A KR20090040466 A KR 20090040466A KR 100971014 B1 KR100971014 B1 KR 100971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means
agricultural products
speed
conveying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0397A (ko
Inventor
류동수
이수희
김명환
김채주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생명과기술
Priority to KR1020090040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0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6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65Apparatus for grading or sorting using divergent conveyor bel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선별 배출된 농산물들이 적체를 일으키지 않고 포장 상자에 담기 위한 작업 공간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들이 편리하고 수월하게 일을 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복수 개의 선별 주 라인들로부터 각각 낙하 배출된 선별 농산물들을 배출구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제1 속도로 이송하는 제1 이송수단, 및 (ii) 상기 배출 이송수단의 상기 제1 방향 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이송수단을 통하여 이송된 농산물들이 제1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제2 이송수단;을 포함하며, 지면과 평행한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이송수단의 폭이 상기 제1 이송수단의 폭보다 큰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0040466
농산물, 수확후 가공, 선별, 배출 장치

Description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Apparatus for Ejecting and Loading of Sorted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등급 선별된 농산물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이후부터 포장 상자로 적재되기까지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 분야에서 생력화 및 고부가가치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확 이후의 농산물의 투입, 가공, 선별, 배출 및 포장 작업이 자동화되고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어느 한 작업이라도 효율성이 떨어지면 전체 작업 속도를 느리게 하는 요인이 되고, 그럼으로써 전체 효율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 중 배출 작업은 포장을 위한 전 단계 작업으로서, 일반적으로 작업자들이 선별 배출된 농산물을 포장용 상자에 효율적으로 옮겨 담아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들이 편리하고 수월하게 일을 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배출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설계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는 복수의 선별 주(main) 라인에서 선별 배출된 농산물들이 적체를 일으키지 않고 포장 상자에 담기 위한 작업 공간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들이 편리하고 수월하게 일을 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i) 복수 개의 선별 주 라인들로부터 각각 낙하 배출된 선별 농산물들을 배출구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제1 속도로 이송하는 제1 이송수단, 및 (ii) 상기 배출 이송수단의 상기 제1 방향 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이송수단을 통하여 이송된 농산물들이 제1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제2 이송수단;을 포함하며, 지면과 평행한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이송수단의 폭이 상기 제1 이송수단의 폭보다 큰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제1 이송수단은 벨트 컨베이어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의 외측면에는 완충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이송수단은 벨트 컨베이어이며, 상기 제1 속도보다 낮은 속도는 상기 적재용 컨베이어에 의해 적재 및 이송되는 농산물이 포장 상자로 옮겨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이송수단은 제1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각각 회전 가능한 프리 롤러들을 구비한 무동력 프리 롤러 컨베이어일 수 있다.
지면과 평행한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 기 제2 이송수단의 폭이 상기 제2 이송수단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과 평행한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이송수단의 적어도 일 측에는 포장 상자가 안착되도록 적합화 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판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작업판은 상기 제2 이송수단의 제1 방향 측 단부보다 제1 방향으로 더 멀리 위치되도록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이송수단의 제1 방향 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배출된 농산물이 담겨지는 포장 상자가 놓여져 담겨진 농산물의 무게가 일정 이상이 되면 상기 제2 이송수단의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벌크형 적재 제어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가 적용된 선별 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등급 판별된 농산물이 선별 이송부(10)를 통하여 제2 방향으로 이송되고, 이송 도중에 해당 등급 배출구(20)로 농산물이 투입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농산물의 투입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이송 중인 농산물을 배출구(20)로 투입하는 방식, 회전 봉 등을 이용하여 이송 중인 농산물을 배출구(20)로 타격하여 투입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각 배출구(20)로 투입된 농산물은 선별이 완료된 것으로서, 배출구(20)를 통하여 포장을 위한 포장 상자(5)가 있는 곳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이송수단(30) 및 제2 이송수단(40)을 포함한다. 제1 이송수단(30)은 배출구를 통하여 낙하된 농산물(1)을 제2 방향으로 이송하여 선별 이송부(10)로부터 배출한다. 농산물의 종류 및 선별 시스템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선별 및 배출 기술이 발달할수록 배출되는 농산물의 양이 증가되게 된다. 특히, 복수의 선별 주 라인(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라인)을 동시에 운영할 경우, 각 라인마다 각 해당 등급 배출구(20)로 선별 농산물(1)들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적체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배출 농산물(1)들이 적체되지 않고 이송되게 하도록 제1 이송수단(30)은 비교적 빠른 속도(V1)로 농산물(1)을 제2 방향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제1 이송수단(30)은 다양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일 예로 벨트 컨베이어일 수 있다. 제1 이송수단(30)은 각 등급 배출구(20)마다 설치된다. 하나의 제1 이송수단(30)은 복수 라인에 있는 동일 등급 배출구(20)를 통하여 배출되는 농산물(1)들을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로 복수 라인에서 배출되는 농산물(1)들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성이 증대된다. 제1 이송수단(30)은 W1의 폭을 가지며, V1의 속도로 이송한다. 제1 이송수단(30)의 이송 속도(V1)는 농산물의 종류, 투입 농산물의 양, 선별 시스템의 종류, 및 작업자의 인원수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이송수단(30)은 선별된 농산물(1)이 낙하하면서 충격으로 품질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 부재(32, 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이송수단(30)은 벨트 컨베이어이되, 바퀴(35)에 감겨 회전되는 이송부, 즉 벨트(31)의 표면에 완충 부재(32, 33)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완충 부재의 예로는 벨트(31)의 외표면에 배치되는 박형 스펀지(32) 및 상기 스펀지(32)의 외표면에 감싸지는 인조 가죽(33)의 조합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벨트(31)의 표면에 결합되어 낙하되는 농산물(1)에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제2 이송수단(40)은 제1 이송수단(30)의 제1 방향측 단부에 위치되어, 제1 이송수단(30)을 통해 이송된 농산물(1)들을 받는다. 제2 이송수단(40)에 놓여진 농산물(1)들은 포장 상자(5)로 옮겨 담아진다. 농산물(1)을 포장 상자로 옮겨 담는 작업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작업자가 제1 이송수단(30)의 위에 놓여진 농산물(1)들을 집어 포장 상자(5)로 옮겨 담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수단(40)은 벨트 컨베이어이다. 벨트 컨베이어는 제1 이송수단(30)의 이송 속도(V1)보다 상당히 느린 속도(V2)로 제2 방향으로 움직인다. 만약, 제1 이송수단(30)이 농산물(1)을 이송시키지 않는다면, 제1 이송수 단(30)으로부터 옮겨진 농산물(1)들이 제2 이송수단(40)의 일 측에 적재되어 정체를 일으킬 수 있다. 한편, 만약 제2 이송수단(40)의 속도(V2)가 너무 빠르면 작업자들이 미처 포장 상자로 농산물(1)을 옮겨 담는 작업을 마치기 전에 농산물(1)들이 제2 이송수단(40)의 제1 방향 측 단부로 도달해 버릴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송수단(40)의 이송 속도(V2)는 제1 이송수단(30)의 이송 속도(V1)보다 느리도록 설정되되, 이송된 농산물(1)들이 정체를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작업자에게 옮겨 담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줄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된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수단(40)은 자력으로 구동되지는 않지만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프리 롤러들(145)을 구비하는 프리 롤러 컨베이어(140)일 수도 있다. 이때 프리 롤러 컨베이어(140)는 제2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것이다. 그럼으로써 제2 이송수단(40)에 있던 농산물(1)들은 자중 및 제1 이송수단(30)으로부터 이송된 농산물(1)들의 진행 방향으로의 관성력에 의하여 제2 방향으로 조금씩 진행 이송될 것이다.
농산물(1)을 포장 상자로 옮겨 담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송수단(40)을 거쳐 벌크형 포장 상자(15)로 농산물(1)들이 자동 적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벌크형 적재 제어수단(70)은 벌크형 포장 상자(15)에 담겨진 농산물(1)들이 소정 이상의 무게가 되면, 제2 이송수단(40)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그럼으로써, 일정량이 벌크형 포장 상자(15)에 담겨지면, 제2 이송수단(40)은 작동을 멈추고 작업자가 포장 상자(15)를 봉함하거나 포장 상자(15)를 봉함하기 위해 이송하고, 빈 포장 상 자(15)를 벌크형 적재 제어수단(70)에 위치시키면 다시 제2 이송수단(40)을 작동을 시작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처럼 제2 이송수단(40)의 이송 속도는 작업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제2 이송수단(40)의 폭(W2)은 제1 이송수단(30)의 폭(W1)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제1 이송수단(30)의 속도가 제2 이송수단(40)의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제2 이송수단(40)에서의 적체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물론이다.
한편, 제2 이송수단(40)의 이송 속도(V2)는 투입 농산물의 양, 투입 농산물의 종류, 작업자의 수, 작업 처리 속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 이송수단(40)의 이송 속도는 초기에 작업자에 의하여 달리 세팅될 수 있다.
제2 이송수단(40)의 측면에는 작업판(46, 47)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작업판(46, 47)은 제2 이송수단(40)의 제1 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작업판(46, 47)은 제2 이송수단(40)의 양 측면에 모두 설치된다. 그러나 반드시 양측면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일 측면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작업판(46, 47)은 포장 상자를 올려놓는 곳으로 작업자의 수에 맞추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양 측면에 모두 설치된 경우 동시에 많은 작업자가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작업판(46, 47)은 일 측면에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일 측면에 두 명의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작업판(46, 47)은 서로 분리 가능하며, 바깥쪽에 배치된 작업판(47)은 제2 이송수단(40)의 제1 방향 측 단부보다 제1 방향으로 더 멀리 이동가능하다. 그럼으로써 일 측면에 두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작업 편리성 및 효율성이 증대된다.
포장 상자(5)에 수확 선별된 농산물(1)이 일정량씩 담기면 수확 상자 이송 수단(50)에 올려 보냄으로써 봉함 및 포장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나. 빈 포장 상자(5)들은 빈 상자 이송수단(60)에 올려져 작업자의 근처로 이송되고, 작업자는 빈 포장 상자(5)들을 작업판위에 올려놓게 된다. 빈 상자 이송수단(60)의 후단부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포장 상자(5)들이 미끄러질 수 있는 가이드가 제공되며, 전단부에는 빈 포장 상자(5)들을 후단부로 이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 또는 무동력 자유 회전할 수 있는 프리 롤러 컨베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가 제공되는 경우,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빈 포장 상자의 관성력으로 후단부에 있는 빈 포장 상자들이 이송력을 제공받으며, 프리 롤러 컨베이어가 제공되는 경우, 작업자가 프리 롤러 컨베이어위로 빈 포장 상자를 밀어 내면 그 관성력으로 후단부에 있는 빈 포장 상자들이 이송력을 제공받는다. 변형된 실시예로서, 빈 상자 이송수단의 전단부와 후단부 모두 프리 롤러 컨베이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는 다양한 농산물, 예를 들면, 파프리카, 당근, 감자, 피망, 양파, 단호박, 오이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 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농산물의 수확 후 처리에 관련된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가 적용된 선별 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중 제1 이송수단 및 제2 이송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중 제1 이송수단 및 제2 이송수단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의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농산물 10: 선별 이송부
15: 벌크형 포장 상자 20: 배출구
30: 제1 이송수단 31, 41: 벨트
32, 33: 완충 부재 40: 제2 이송수단
46, 47: 작업판 50: 적재 상자 이송수단
60: 빈 상자 이송수단 70: 벌크형 적재 제어수단

Claims (7)

  1. 복수 개의 선별 주 라인들로부터 각각 낙하 배출된 선별 농산물들을 배출구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제1 속도로 이송하는 제1 이송수단; 및
    상기 배출 이송수단의 상기 제1 방향 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이송수단을 통하여 이송된 농산물들이 제1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이송되도록 구성된 제2 이송수단;을 포함하며,
    지면과 평행한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이송수단의 폭이 상기 제1 이송수단의 폭보다 큰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수단은 벨트 컨베이어이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의 외측면에는 완충 부재가 더 구비되는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수단은 벨트 컨베이어이며, 상기 제1 속도보다 낮은 속도는 적재용 컨베이어에 의해 적재 및 이송되는 농산물이 포장 상자로 옮겨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수단은 제1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각각 회전 가능한 프리 롤러들을 구비한 무동력 프리 롤러 컨베이어인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지면과 평행한 수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이송수단의 적어도 일 측에는 포장 상자가 안착되도록 적합화 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판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작업판은 상기 제2 이송수단의 제1 방향 측 단부보다 제1 방향으로 더 멀리 위치되도록 이동 가능한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수단의 제1 방향 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배출된 농산물이 담겨지는 포장 상자가 놓여져 담겨진 농산물의 무게가 일정 이상이 되면 상기 제2 이송수단의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벌크형 적재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KR1020090040466A 2009-05-08 2009-05-08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KR100971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466A KR100971014B1 (ko) 2009-05-08 2009-05-08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466A KR100971014B1 (ko) 2009-05-08 2009-05-08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397A KR20090060397A (ko) 2009-06-12
KR100971014B1 true KR100971014B1 (ko) 2010-07-20

Family

ID=4099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466A KR100971014B1 (ko) 2009-05-08 2009-05-08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0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65422C (en) * 2014-10-29 2018-07-10 Cambi Technology As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biomass and organic waste
KR101985728B1 (ko) 2016-12-09 2019-06-04 (주)에스엔피시스템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KR102022534B1 (ko) * 2018-01-31 2019-09-1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재활용을 위한 폐디스플레이 해체 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선별 방법
KR20190038520A (ko) 2019-03-28 2019-04-08 (주)에스엔피시스템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914A (ja) * 1993-09-24 1995-04-11 Izumi Tekko Kk 先細り根菜類の箱詰め装置
KR19980076447A (ko) * 1997-04-10 1998-11-16 김영귀 프레스가공에 의한 브랭크시트의 자동 적재장치
JP2001130513A (ja) * 1999-11-02 2001-05-15 Nagasaki Kiki Mfg Co Ltd 搬送物の整列搬送システム
JP2005298199A (ja) 2004-04-15 2005-10-27 Yanmar Co Ltd 農産物選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914A (ja) * 1993-09-24 1995-04-11 Izumi Tekko Kk 先細り根菜類の箱詰め装置
KR19980076447A (ko) * 1997-04-10 1998-11-16 김영귀 프레스가공에 의한 브랭크시트의 자동 적재장치
JP2001130513A (ja) * 1999-11-02 2001-05-15 Nagasaki Kiki Mfg Co Ltd 搬送物の整列搬送システム
JP2005298199A (ja) 2004-04-15 2005-10-27 Yanmar Co Ltd 農産物選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397A (ko) 200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1768B2 (en) Apparatus for conveying of articles and product slicing and packaging line using the conveying apparatus
US9517492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s
DK2791017T3 (en) Apparatus for emptying load carriers loaded with cargo
KR100971014B1 (ko) 선별 농산물 배출 및 적재 장치
KR102156426B1 (ko) 구형 농작물용 선별포장기
US3097460A (en) Bulk bin filler
US97583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the aggregate production of food packaging operations
KR101991293B1 (ko) 과일 선별용 과일 자동 적재 장치
JP2016172638A (ja) 仕分け箱詰め装置
US3254764A (en) Green lumber sorter
US20180222612A1 (en) Food conveyor and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US5092452A (en) Cheese stocker
EP19374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orting objects, such as packages
CN115196227A (zh) 一种二次分拨机构及双向分拣方法
CN209776904U (zh) 一种物料上料理料设备
RU2554403C1 (ru) Способ уборки кочанной капус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1151338A (ja) 青果物整列搬送装置
JP3340940B2 (ja) 果物類の選別装置
JP2000062914A (ja) 荷役設備の物品搬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0025939A (ja) 長物農産物の供給装置
JPS6111318A (ja) 果実類の自動パツク詰め方法
CN113998173B (zh) 一种自动化的水果包装机
JP4582756B2 (ja) 農産物選別装置の供給装置
JP2023028584A (ja) 箱詰め装置、箱詰め方法
KR101918105B1 (ko) 식재료 분리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