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944B1 - 전기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944B1
KR100970944B1 KR1020030007834A KR20030007834A KR100970944B1 KR 100970944 B1 KR100970944 B1 KR 100970944B1 KR 1020030007834 A KR1020030007834 A KR 1020030007834A KR 20030007834 A KR20030007834 A KR 20030007834A KR 100970944 B1 KR100970944 B1 KR 100970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ceptacle
housing
latch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7585A (ko
Inventor
아론재프 슈맨
슈이존레이몬드
스치니나
윌엠스가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6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6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keying element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커넥터 조립체는 결합 경계면을 포함하는 전방단부(18)를 갖는 플러그와 플러그의 결합경계면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개구를 갖는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가요성 래치는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단부에 고정된 전방단부와,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플러그를 향하여 편향될 수 있는 자유단인 후방단부를 갖는 빔을 포함한다. 래치는 빔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래칭돌기 및 제2래칭돌기를 포함한다. 제1래치결합요소 및 제2래치결합요소는 플러그와 리셉터클 하우징이 서로 완전하게 결합될 때 제1 및 제2래칭돌기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리셉터클 개구의 내부에 위치된다. 플러그와 리셉터클은 결합하는 제1키잉구조 및 제2키잉구조를 포함한다. 하나의 키잉구조는 같은 크기의 결합경계면을 갖는 다른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다른 키잉구조는 소형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플러그 결합경계면의 전체 외형은 래치의 측벽에 대향하여 플러그 측벽에서 하나의 키잉구조를 한정하는 반면에, 결합경계면의 상부벽 및 하부벽 중 하나에 다른 키잉구조를 한정함으로써 감소된다.
Figure R1020030007834
키잉구조, 리셉터클, 플러그, 커넥터

Description

전기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특징에 따른 전기커넥터 조립체의 상방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기커넥터 조립체의 하방투시도;
도 3은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 1의 전기커넥터 조립체의 정면도;
도 4는 플러그가 리셉터클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 3의 선 Z-Z를 따라 취한 하단면도;
도 5는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 4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투시된 단면도;
도 6은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완전히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 4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투시된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로부터 플러그 하우징의 상부전방투시도;
도 8은 도 7의 플러그 하우징의 하부후방 투시도;
도 9는 도 7의 플러그 하우징의 정면도;
도 10은 도 7의 플러그 하우징의 배면도;
도 11은 도 9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3은 도 1의 플러그의 정면도;
도 14는 예비조립상태에 있는 TPA를 나타내는, 도 13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는 플러그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된 TPA를 예시하는, 도 13과 유사한 단면도;
도 16은 도 1의 플러그로부터 터미널 위치확보 장치(TPA)의 상부전방 투시도;
도 17은 도 16의 TPA의 상부후방 투시도;
도 18은 도 16의 TPA의 측면도;
도 19는 도 16의 TPA의 하단면도;
도 20a-20d는 도 1의 전기커넥터 조립체로부터 플러그의 조립을 예시하는 단계별 분해도;
도 21-24는 전기 커넥터의 특정 키잉구조를 예시하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결합단부도;
도 25는 1×6 리셉터클에 결합된 1×6 플러그의 단면도;
도 26은 전기커넥터의 특정 키잉구조가 작용하는 방식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커넥터 12 : 플러그
14 : 리셉터클 16 : 플러그 하우징
18 : 전방단부 20 : 후방단부
30 : 결합경계면 40 : 개구
48 : 래칭부재 80 : 터미널 위치보장장치
본 발명은 터미널 위치확보, 래칭 및 키잉구조(keying feature)를 갖는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낮은 수직형상을 허용하는 래칭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종래에 와이어와 와이어접속용 플러그- 리셉터클 조립체, (보드분야에서와 같이)와이어와 인쇄회로기판 접속용 플러그-리셉터클 조립체, (센서등과 같은)플러그-장치 조립체와 같은 많은 커넥터 구조들이 제안되었다. 이후에 플러그와 리셉터클 용어는 와이어와 와이어,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와이어, 플러그와 장치 등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을 포함하는 모든 커넥터의 분야에 통칭적으로 적용되도록 사용된다. 많은 분야에서, 플러그 및 관련된 리셉터클로 구성되어 있는 몇몇 전기커넥터는 전달매체(vehicle)와 같은 공통영역으로 전환될 수 있다. 모든 커넥터는 전달매체가 조립라인을 따라서 지정된 포인트에 도달할 때 연결된다. 유사한 크기와 모양으로 이루어진 몇몇 커넥터들이 제공되는 경우에, 각 플러그가 정확한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커넥터 사이에서 구별할 수 있는 조립라인의 실무자를 필요로 한다. 과거에, 조립라인 실무자들은 각각의 플러그 및 관련된 리셉터클을 다른 플러그 및 리셉터클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과거에, 잘못 결합된 커넥터 반쪽의 문제는 전형적으로 커넥터 위치확보 장치(CP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를 통해서 처리되었다. CPA는 결합가능한 커넥터 반쪽들이 정확하면서 완전하게 결합되는 것을 작업자에게 보증하도록 작용한다. 종래의 CPA 시스템은 래치가 위에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한다. 래치는 활주가능하게 CPA를 수용하고, 플러그 하우징에 설치되고, CPA가 그의 결합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다른 결합가능한 접속부가 하우징에 완전하게 결합되는 것을 보증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CPA와 래치 조립체는 래치 조립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CPA캐리지 구조체 또는 이와 반대로 캐리지 구조체 상부에 형성되는 래치조립체를 사용한다. CPA와 래치를 서로 적재하면 커넥터의 전체외형은 과도하게 증가한다. 커넥터의 소형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 장치의 외측 외형을 더욱 감소시키는 반면에, 조립라인 실무자들이 정확한 커넥터조립체 부품을 함께 결합시키도록 보증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개선된 커넥터조립체의 필요가 존재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항으로부터 쉽게 명백해지는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래 커넥터장치의 상술된 필요성과 다른 단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는 결합경계면을 포함하는 전방단부와 후방단부를 갖는 플러그를 포함한다. 리셉터클은 플러그의 결합경계면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개구를 갖는다. 가요성 래치는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단부에 고정되는 전방단부와,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플러그를 향하여 편향가능한 자유단인 후방단부를 갖는 빔을 포함한다. 래치는 빔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래칭돌기 및 제2래칭돌기를 포함한다. 제1래치결합요소 및 제2래치결합요소는 플러그와 리셉터클 하우징이 서로 완전하게 결합될 때 제1래칭돌기와 제2래칭돌기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리셉터클 개구의 내부에 위치된다.
플러그는 플러그에 대한 래치빔의 내측방향 휘어짐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래치빔 후방단부의 아래에 놓이는 절취부를 포함한다. 래치빔의 후방단부는 플러그에 대한 래치빔의 내측방향 휘어짐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모따기형 내측면(beveled inner 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래칭돌기 및 제2래칭돌기는 래치빔의 길이를 따라 서로 종축방향으로 정렬되거나, 그들은 서로로부터 종축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는 결합경계면을 갖는 제1플러그를 포함한다. 리셉터클은 제1플러그의 결합경계면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개구를 갖는다. 제2플러그는 리셉터클 개구에 결합되는 크기의 결합경계면을 갖는다. 제3플러그는 리셉터클 개구보다 작아서 리셉터클 개구에 정상적으로 삽입가능한 결합경계면을 갖는다. 제1플러그의 제1키잉구조와 제2키잉구조는 제1플러그가 정확하게 리셉터클에 결합될 때 리셉터클의 대응하는 키잉구조와 결합한다. 리셉터클 키잉구조 중 하나는 제2플러그의 결합경계면이 리셉터클 개구에 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다른 리셉터클 키잉구조는 제3플러그의 결합경계면이 리셉터클 개구에 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기커넥터 시스템에서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부정확한 상호결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결합경계면을 갖는 제1플러그와 제1플러그의 결합경계면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개구를 갖는 리셉터클과, 리셉터클 개구에 결합하는 크기의 결합경계면을 갖는 제2플러그와, 리셉터클 개구보다 작아서 리셉터클 개구에 정상적으로 삽입가능한 결합경계면을 갖는 제3플러그를 포함한다. 제2플러그 및 제3플러그가 리셉터클과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리셉터클 상의 제1리셉터클 키잉구조 및 제2리셉터클 키잉구조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플러그 상의 제1플러그 키잉구조 및 제2플러그 키잉구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에 따르면, 리셉터클 키잉구조 중 하나는 제2플러그의 결합경계면이 리셉터클 개구에 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다른 리셉터클 키잉구조는 제3플러그의 결합경계면이 리셉터클 개구에 완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 상세한 설명 뿐만 아니라, 상술한 요약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파악할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할 목적으로,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에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첨부도면의 나타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제작된 전기커넥터(10)는 플러그(12)와 리셉터클(14)을 포함한다. 플러그(12)는 결합단부 또는 전방단부(18)와 후방단부(20)를 갖는 하우징(16)(부가적으로 도 7-12 참조)을 포함한다. 하우징(16)은 하우징(16)의 전방단부(18)에 결합경계면(30)을 한정하는 상부벽(22), 하부벽(24), 제1측벽 및 제2측벽(26, 28)을 포함한다.
리셉터클(14)은 결합단부 또는 전방단부(31)와 후방단부(32)를 포함한다. 리셉터클(14)의 전방단부(31)에는 플러그(12)의 결합경계면(30)을 수용하는 크기의 개구(33)가 제공된다. 개구는 상부벽(34), 하부벽(35), 제1측벽(36) 및 제2측벽(37)을 포함한다. 리셉터클(14)은 리셉터클 개구(33)내에 위치된 접촉핀(38)의 형태인 다수의 전기터미널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핀(38)은 플러그(12)가 리셉터클(14)과 결합될 때 플러그(12)의 전방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터미널 개구(40)를 통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위치된다. 리셉터클 핀(38)은 개구(40)를 관통하고, 플러그 하우징(16)의 내부에 포함된 대응하는 전기접촉 터미널(42)에 결합한다. 플러그 터미널(42)의 후방단부는 와이어링 하니스(wiring harness) 또는 다른 장치(미도시)로부터의 와이어와 같은 전기 전도체(44)에 연결된다. 터미널(38, 42)은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것처럼, 미리 정해진 패턴의 행과 열로 배열된다. 기술분야에서, 이러한 커넥터는 전형적으로 A×B 커넥터로 칭해지고, 여기에서 A는 터미널의 행의 수를 나타내고, B는 각 행에서 터미널의 수를 나타낸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플러그(12)와 리셉터클(14)은 한 행에 4개의 터미널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예시된 전기커넥터는 1×4 커넥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커넥터 크기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플러그(12)는 일측에 형성된 래칭부재(48)를 포함한다. 래칭부재(48)는 플러그 하우징(16)의 상부벽, 하부벽 또는 하나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으나, 측벽(26, 28)들 중의 하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래칭부재(48)는 플러그 하우징(16)의 제1측벽(26)에 형성된다. 래칭부재(48)는 플러그 하우징(16)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래칭부재(48)는 접착제, 아교, 스냅, 나사 또는 다른 고정수단과 같은 여러 방식에 의해서 플러그 하우징(16)에 고정된 분리형 단일구조체로서 플러그 하우징(16)에 설치될 수 있다.
래칭부재(48)는 플러그 하우징(16)의 제1측벽(26)을 따라 종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빔(50)을 포함한다. 빔(50)은 플러그 하우징(16)의 전방단부(18)에 고정되는 전방단부(52)를 갖는다. 빔(50)은 플러그 하우징(16)으로부터 수직의 측방으로 이격된 자유단인 후방단부를 갖는다. 빔(50)의 후방단부(54)는 플러그(12)와 리셉터클(14)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플러그 하우징(16)을 향하여 내측으로 편향될 수 있다. 래치빔(50)은 래치빔(50)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대향된 제1래칭돌기(56) 및 제2래칭돌기(58)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래칭돌기(56, 58)는 빔(50)의 길이를 따라 종축방향으로 서로 정렬된다. 그러나, 래칭돌기(56, 58)가 서로로부터 종축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제1래치결합요소(60) 및 제2래치결합요소(62)는 리셉터클 개구(36) 내에 형성된다. 제1래치결합요소(60) 및 제2래치결합요소(62)는 플러그(13)가 리셉터클 개구(36)에 삽입될 때 제1래칭돌기(56) 및 제2래칭돌기(58)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위치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래치결합요소(60, 62)는 리셉터클 개구(33)의 제1측벽(36)에서 내측으로 연장하는 돌기 형태이다. 그러나, 래치결합요소(60, 62)는 리셉터클 개구(33)의 측벽에 형성된 만입부와 같은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의 래칭부재(48)는 여러 장점을 제공한다. 상부 또는 하부와는 대조적으로 플러그(12) 측면에 래칭부재(48)를 위치시킴으로써, 플러그의 전체높이, 그리고 커넥터는 감소된다. 이점에서, 래칭돌기(56, 58)의 외측엣지 사이에서 측정된 것과 마찬가지로 래칭부재(48)의 전체 높이는 플러그(16)의 결합경계면(3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부가적으로, 대향 래칭돌기(56, 58)를 구비한 단순빔의 설계는 래치 맞물림 영역이 주어진 높이 제한에 최대로 될 수 있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도 3-6을 참조하면, 래칭 메커니즘의 작동은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플러그(12)의 결합경계면이 리셉터클 개구(33)에 삽입될 때, 빔(50)의 전방단부(52)는 래치결합요소(60, 62)사이에 형성된 간극(68)(도 1에 도시됨)으로 미끄러져 삽입된다. 플러그(12)는 래칭돌기(56, 58)의 전방면이 래치결합요소(60, 62)에 맞물릴 때까지 리셉터클 개구(33)에 내측으로 밀린다. 래칭돌기(56, 58)의 전면과 리셉터클의 대응하는 돌기는 리셉터클(14)에 대한 플러그(1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될 수 있다. 플러그(12)가 리셉터클(14) 내측으로의 이동을 지속할 때, 래치결합요소(60, 62)는 래칭돌기(56, 58)에 대하여 힘을 부여하여, 플러그 하우징(16)의 측벽(26)을 향하는 내측으로 빔(50)의 후방단부(54)를 편향시킨다. 플러그의 결합경계면(30)은 래칭돌기(56, 58)의 후방단부가 래치 대응부재(60, 62) 후방단부를 넘어서 이동할 때까지 내측으로의 이동을 지속한다. 일단 래칭돌기(56, 58)가 래치결합요소(60, 62)를 넘어서 내측으로 이동하면, 래치빔(50)의 후방단부(54)는 그의 제1위치를 향해서 외측으로 탄성반발하고 이에 의해서 플러그(12)를 리셉터클(14)에 체결시킨다(도 6 참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6)의 제1측벽(26)은 래치빔(50)의 후방단부(54)의 아래에 위치하는 절취부(72)를 포함한다. 절취부(72)는 플러그 하우징(16)에 대하여 래치빔(50)의 내측 휘어짐이 증가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작용한다. 부가적으로, 래치빔(50)의 후방단부(54)는 플러그 하우징(16)에 대하여 래치빔(50)의 내측 휘어짐이 증가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작용하는 모따기된 내측면(74)을 포함한다. 래치빔(50)의 후방단부는 래칭부재(48)를 작동하기 위한 핸들(76)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76)은 플러그(12)가 리셉터클에 결합되었을 때 리셉터클(14)의 외측에 위치된다. 핸들(76)은 플러그(12)가 리셉터클(1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래치빔(50)을 내측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압될 수 있다. 슈라우드(77)는 래치빔(50)의 후방단부(54) 주위에 형성된다. 슈라우드(77)는 빔(50)의 후방단부 위에 위치하는 상부벽(78)과 하부벽(79)을 포함한다. 슈라우드는 플러그(12)와 리셉터클(14)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래칭 메커니즘(48)의 노출되는 부분을 보호하도록 작용한다. 슈라우드(77)는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휘어질 경우 래치의 과도한 응력부과를 방지하기 위한 과도응력 특성을 가지도록 제공된다.
플러그(12)는 하우징(도 7-15 참조) 및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도 20a-20d 참조)하도록 형성된 터미널 위치확보 장치(TPA)(80)(도 17-19 참조)를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6)은 상부벽(22)과, 하부벽(24)과, 대향하는 제1및 제2측벽(26, 28)를 포함한다. 터미널 수용 통로(82)는 하우징(16)의 전방단부(18)와 후방단부(20)사이에 연장된다(도 11 과 12에 도시됨). 각 통로(82)는 하우징(16) 내에 하나의 플러그터미널(42)을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통로(12)는 플러그(12)가 리셉터클(14)에 삽입될 때 플러그터미널(42)이 리셉터클 핀(38)과 결합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유형으로 배열되는 개구(84)를 하우징(16)의 전방단부(18)에 제공한다. 통로(82)는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12)의 조립동안 터미널이 플러그 하우징(161)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후방개구(85)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통로(82)는 통로의 내부에 플러그터미널(42)을 고정시키기 위한 래칭부재(86)를 포함한다. 래칭부재(86)는 각각의 통로(82)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암 또는 빔(88)을 포함한다. 빔(88)은 통로(82)의 후방단부에서 하우징(16)에 연결되는 후방단부(90)와, 플러그 터미널(42)이 통로(82)에 삽입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통로(82)의 상부벽을 향해서 피봇될 수 있는 자유단인 전방단부(92)를 갖는다.
도 12-15를 참조하면, 터미널(42)이 하우징에 장착되는 방식이 설명될 것이다. 조립동안, 전도체(44)에 미리 고정된 플러그 터미널(42)은 후방 개구(85)를 통하여 통로(82)에 삽입된다. 도 17에 의해서 알 수 있듯이, 플러그 터미널(42)의 각각은 리셉터클 핀(38)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전방부(94)와 전도체(44) 중의 하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후방부(96)를 포함한다. 플러그 터미널(42)이 하나의 통로(82)에 삽입될 때, 터미널(42)의 전방부(94)는 래치빔(88)의 하부에 대하여 결합한다. 래치빔(88)의 하부면은 터미널(42)이 통로(82)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될 수 있다. 지속된 플러그 터미널(42)의 내측 이동은 래치빔(88)을 상방으로 편향시킨다. 플러그 터미널(42)은 플러그 터미널의 전방부(94)가 래치빔(88)의 전방 단부(92)에 형성된 체결 핑거(98)의 내측으로 이동될 때까지 통로(82)의 내측으로 이동을 지속한다. 일단 터미널(42)의 전방부(94)가 래치 핑거(98)를 넘어서 이동하면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빔(88)은 통로(82)의 내부에서 터미널(42)을 고정시키도록 하방으로 탄성반발한다. 터미널(42)은 체결 핑거(98)와 통로(82)의 전방단부에 형성된 돌기(100)사이의 통로(82)에 구속된다.
도 16-19를 참조하면, TPA(80)는 전방벽(102)과 전방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대향된 상부래칭부재(104) 및 하부래칭부재(106)를 갖는다. 상부래칭부재(104)와 하부래칭부재(106)는 제1상태 또는 예비조립상태(도 20c 참조)와 제2상태 또는 완전결합상태(도 20d 참조)간의 이동을 위하여 TPA(80)를 플러그 하우징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전방벽(102)은 터미널 개구(40)를 수반한다. TPA(80)가 완전결합상태에 있을 때, 터미널 개구(40)는 통로(82)의 전방 개구(84)에 전체적으로 정렬된다.
하부래칭부재(106)는 횡단부재(110)에 의해 그들의 선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하부레그(108)를 포함한다. 하부래칭부재(106)는 도 20a-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6)의 하부벽에 형성된 대응하는 요부(112)에 미끄러지도록 형성된다. 종축방향 슬롯(114)은 하부레그(108)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종축방향 슬롯(114)은 예비조립상태와 완전결합상태에서 TPA(80)를 하우징(16)에 고정시키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요부(112)에 형성되며, 종축방향으로 이격된 제1 돌출부(116) 및 제2 돌출부(118)에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TPA(80)의 상부래칭부재(104)는 다수(예시된 실시예에는 세 개)의 상부레그(120)를 포함한다. 상부레그(120)는 플러그 하우징(16)의 상부통로(1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통로(121)는 위에 위치하고 터미널 통로(82)에 개방한다. 상부레그(120)는 하방으로 연장하는 돌기(122)를 제공한다. 각 돌기(122)는 TPA(80)가 완전결합상태로 이동될 때 하나의 터미널 통로에 정렬하여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위치된다.(예를 들어, 도 15 참조)
이제, 플러그의 조립은 도 14와 도 15 및 도 20a-20d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TPA(80)는 하부래칭부재(106)의 선단부(123)를 요부(112)로 먼저 활주시킴으로써 플러그 하우징(16)에 고정된다. TPA(80)가 플러그 하우징(16)으로 더 깊이 미끄러짐에 따라, 상부래칭부재(104), 예를 들어 레그(120)의 선단부는 상부개구(121)로 이동한다. 하부레그(108)의 기단은 그 외부엣지에 모따기형 플랜지(126)를 포함한다. 모따기형 플랜지(126)는 요부(112)의 측벽에 형성된 대응하는 요홈(128)에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TPA(80)가 하우징(16)으로 미끄러짐에 따라, 모따기형 플랜지(126)는 요홈(128)에 결합한다. TPA(80)는 선단의 횡단부재(110)가 제1 돌출부(116)에 결합(도 20b 참조)될 때까지 하우징(16)으로 계속하여 미끄러진다. TPA(80)의 지속되는 내측이동은 횡단부재(110)를 제1 돌출부(116)의 상부로 편향시킨다. 제1 돌출부(116)의 외면은 횡단부재(110)가 돌출부(116)의 상부로 상승되는 것을 도와주도록 모따기된다. 모따기형 플랜지(126)와 요홈(128)사이의 경계면은 횡단부재(110)가 제1 돌출부(116)를 지나서 이동할 때 하부레그(108)용 피봇점을 형성한다.
일단 선단의 횡단부재(110)가 제1 돌출부(116)를 지나서 이동하면, 하부레그(108)의 선단은 요부(112)로 스냅(snap)한다(도 20c 참조). 이 상태는 TPA(80)의 예비조립상태와 일치한다. TPA가 예비조립상태에 있을 때, 제1 돌출부(116)는 종축방향 슬롯(114)에 포획되고, 횡단부재(110)는 제1 돌출부(116)와 제2 돌출부(118)사이에서 종축방향으로 위치된다. 플러그 하우징(16)에 대한 TPA(80)의 외측 이동은 횡단부재(110)와 제1 돌출부(116) 사이의 경계면에 의해서 제한되는 반면에, 플러그 하우징(16)에 대한 TPA(80)의 내측 이동은 횡단부재(110)와 제2 돌출부(118) 사이의 경계면에 의해서 제한된다.
도 14에 의해서 알 수 있듯이, TPA(80)가 그의 예비조립상태에 있을 때, 상부레그(120)는 래치암(88)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TPA(80)가 예비조립상태에 있을 때 플러그 터미널(42)은 통로(82)에 삽입될 수 있다.
일단 터미널(42)이 하우징(16)에 장착되면, TPA(80)는 터미널(42)을 하우징(16)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완전결합상태로 이동된다(도 15 및 20d 참조). TPA(80)가 예비조립상태(도 14와 20c 참조)로부터 완전조립상태(도 15 및 20d)로 이동할 때, 돌기(122)는 통로(82)로 이동하고 터미널(42)의 상부에 결합된다. 돌기(122)는 터미널(42)에 하방으로 힘을 부과하여, 돌기를 터미널을 통로측 하방으로 가압한다.
TPA(80)가 완전결합상태를 향하여 내측으로 미끄러질 때, 선단의 횡단부재(110)는 제2 돌출부(118)에 결합한다. 횡단부재(110)는 제2 돌출부(118)의 상부에서 미끄러진다. 일단 선단의 횡단부재(110)가 제2 돌출부(118)를 지나서 이동하면, 하부레그(108)는 완전결합상태에서 TPA(80)를 하우징(16)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요부로 스냅한다(도 15 및 20d 참조). TPA(80)가 완전결합상태에 있을 때, 제2 돌출부(118)는 종축방향의 슬롯(114)에 포획된다. 플러그 하우징(16)에 대한 TPA(80)의 외측이동은 선단의 횡단부재(110)와 제2 돌출부(118) 사이의 경계면에 의해서 제한되는 반면에, 플러그 하우징(16)에 대한 TPA(80)의 내측 이동은 TPA의 전방벽(102)과 하우징(16) 전방사이의 경계면에 의해서 제한된다.
TPA(80)가 예비조립상태로부터 완전결합상태로 이동될 때, 상부레그(120)의 선단부(124)는 래치빔(88)과 하우징(16)의 상부벽(22) 사이의 공간(130)으로 이동한다(도 14 및 15 참조). TPA가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레그의 선단부는 공간(130)으로 연장하여 터미널(42)이 통로(80)로부터 회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래치빔(88)의 상방이동을 제한한다.
플러그(14)와 리셉터클(14)은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정확하게 삽입되었을 때 서로 결합하도록 채택된 제1 및 제2일체형 키잉구조(integral keying feature)를 포함한다. 키잉구조는 플러그(12)와 리셉터클(14)사이에서 완전 결합을 허용하기 전에 그들 사이에서 적절한 배향을 확보하도록 작용한다. 부가적으로, 하나의 키잉구조는 플러그(12)와 같은 동일한 크기의 결합경계면을 갖는 다른 플러그가 리셉터클(14)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다른 키잉구조는 플러그(12)보다 작은 결합경계면을 갖는 플러그가 리셉터클(14)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제1키잉구조 및 제2키잉구조의 조합은 적절한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함께 결합되는 것을 확보하므로 유익하고, 특히 다중전기 커넥터가 시스템의 공통영역에 위치되는 분야에서 유리하다.
하나의 키잉구조는 래칭 메커니즘의 반대편에 있는 플러그와 리셉터클 개구의 제2측벽에 형성된다. 다른 키잉구조는 플러그와 리셉터클 개구의 상부벽과 하부벽 중의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키잉구조는 플러그(12)와 리셉터클 개구(33)의 제2측벽(28, 37)에 형성된 결합리브(140, 142)와 슬롯(144, 146)으로 이루어진다(도 1과 21 참조). 유사하게, 제2키잉구조는 플러그(12)와 리셉터클 개구(33)의 하부벽(24, 38)에 형성된 결합리브(148)와 슬롯(150)으로 이루어진다.
같은 크기의 다양한 플러그와 리셉터클, 예를 들어 다수의 1×4 커넥터 조립체를 갖는 시스템에서, 유일한 제1키잉구조는 각 플러그-리셉터클 조합에 제공된다. 이것을 4개의 상이한 1×4 커넥터 조립체(10A-10D)의 결합단부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 21-24에 예시된다. 각 커넥터 조립체는 플러그(12A-12D)와 리셉터클(14A-14D)을 각각 포함한다. 플러그-리셉터클 커넥터 조립체(10A-10D)는 주어진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제1키잉구조의 특정 구조를 제외하고는 서로에 대해 [그리고 상술된 커넥터조립체(10)의 구조에 대해] 동일한 통상의 구조를 갖는다. 특히, 각 플러그-리셉터클 커넥터 조립체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제2측벽(28, 37)에 형성된 유일한 제1키잉구조를 갖는다. 이 제1키잉구조는 주어진 커넥터 조립체용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정확한 방향에서 서로 결합하는 것을 확보하도록 작용한다. 부가적으로, 제1키잉구조는 같은 크기의 플러그, 예를 들어 플러그(12B-D)가 부정확한 리셉터클, 예를 들어 리셉터클(12A)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도 21은 제1플러그(12A)와 제1리셉터클(14A)을 갖는 제1의 1×4 커넥터 조립체(10A)를 나타낸다. 제1플러그는 제2측벽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두개의 키잉리브(140; keying rib))와 키잉리브(140)사이에 형성된 간극 또는 슬롯(144)을 갖는다. 제1 리셉터클(14A)은 제2측벽(37)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키잉슬롯(146)을 갖는다. 제1플러그(12A)가 적당한 방향에서 제1리셉터클(14A)에 삽입될 때, 플러그 상의 키잉리브(140)는 리셉터클의 키잉슬롯(146)에 끼워진다. 반대로, 잘못된 방향, 예를 들어 상부측방에서 하방으로 제1플러그(12A)를 삽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면, 제1플러그(12)상의 키잉리브(140)는 제1리셉터클(14B)의 래칭돌기(60, 62)에 인접하고, 래칭 메커니즘(48)은 리셉터클(14A)의 제2측벽(37) 상의 키잉리브(142)에 인접하여, 리셉터클(14B)로의 플러그(12A) 삽입이 방지된다.
도 22는 제2플러그(12B)와 제2리셉터클(14B)을 갖는 제2의 1×4 커넥터 조립체(10B)를 예시한다. 제2플러그(12B)는 제2측벽의 하부에 형성된 하나의 키잉리브(140)를 갖는 반면에, 제2리셉터클(14B)은 제2측벽의 하부에 형성된 대응하는 키잉슬롯(146)을 갖는다. 제2플러그(12B)가 적당한 방향으로 제2리셉터클(14B)에 삽입될 때, 플러그(12B)상의 키잉리브(140)는 리셉터클의 키잉슬롯(146)에 끼워진다. 반대로, 잘못된 방향, 예를 들어, 상부측방에서 하방으로 제2플러그(12B)를 삽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면, 제2플러그(12B)상의 키잉리브(140)는 리셉터클(14B)의 래칭돌기(60, 62)에 인접하고, 래칭 메커니즘(48)은 리셉터클(14A)의 제2측벽 상의 리브에 인접하여, 리셉터클(14B)로의 플러그(12A) 삽입이 방지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제2플러그(12B)의 하부 키잉리브(140)는 제1플러그(12A)상의 하부 키잉리브(140)[그리고 제1리셉터클(14A)상의 하부 키잉슬롯(146)]보다 크다.
도 23은 제3플러그(12C)와 제3리셉터클(14C)를 갖는 제3의 1×4 커넥터 조립체(10B)를 나타낸다. 제3플러그(12C)는 제2측벽의 하부와 중간에 형성된 두개의 키잉리브(140)를 포함한다. 제3리셉터클(14C)은 제2측벽의 하부와 중간에 형성된 대응하는 키잉슬롯(146)을 갖는다. 제3플러그(12C)가 적절한 방향에서 제3리셉터클(14C)에 삽입될 때, 플러그상의 키잉리브(140)는 리셉터클의 키잉슬롯(146)에 끼워진다. 반대로, 잘못된 방향, 특히 상부측방에서 하방으로 제3플러그를 삽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면, 제3플러그(12C)상의 키잉리브(140)는 제3리셉터클(14C)의 래칭돌기(60, 62)에 인접하고, 래칭 메커니즘(48)은 리셉터클(14A)의 제2측벽(28)에 인접한다.
도 24는 제4플러그(12D)와 제4리셉터클(14D)을 갖는 제4의 1×4 커넥터 조립체(10D)를 나타낸다. 제4플러그(12D)의 제1키잉구조는 플러그 제2측벽의 하부와 상부 중간, 예를 들어 상부와 중심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키잉리브(140)를 포함한다. 제4리셉터클(14D)은 제2측벽의 하부와 상부 중간에 형성된 대응하는 키잉리브(140)를 갖는다. 제4플러그(12D)가 적절한 방향에서 제4리셉터클(14D)에 삽입될 때, 제4플러그(12D)상의 키잉리브(140)는 제4리셉터클(14D)의 키잉슬롯(146)에 미끄러진다. 반대로, 잘못된 방향, 예를 들어 상부측방에서 하방으로 제4플러그(12D)를 삽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면, 제4플러그(12C)상의 키잉리브(14)는 제4리셉터클(14D)의 래칭돌기(60, 62)에 인접하고, 래칭 메커니즘(48)은 제4리셉터클(14D)의 제2측벽에 인접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플러그(12A-12D)와 리셉터클(14A-14D)이 정확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확보하는 데 부가하여, 또한 제1키잉구조는 같은 크기의 플러그가 부정확한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제2리셉터클(14B)에 제1플러그(12A)를 결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면, 제1플러그(12A)상의 상부 키잉리브(140)는 제2리셉터클(14B)의 리브(142)에 인접할 것이다.
도 4-6 과 21-24에서 알 수 있듯이, 제2키잉구조는 플러그(12)와 리셉터클(14)의 바닥벽에 형성된 대응하는 키잉리브(148)와 슬롯(150)으로 이루어진다. 제2키잉구조는 주어진 크기의 모든 플러그와 리셉터클에 동일하다. 예를 들면, 도 21-24에서 각 1×4 플러그는 TPA(80)에서 종축방향 슬롯(114)에 의해 한정되는 하부 키잉슬롯(148)을 포함한다. 키잉슬롯(148)은 리셉터클의 하부벽에 형성된 대응하는 키잉리브(148)과 정렬하여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제1 돌출부(116)와 TPA(80)의 레그(108) 사이의 가로방향 공간(152)은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완전히 결합(도 6 참조)될 때 키잉리브(148)의 전방단부를 수용하는 폭이 감소된 키잉슬롯을 한정한다. 키잉리브(148)는 종축방향 슬롯(114)과 대체적으로 같은 폭으로 이루어진 후방부(미도시)는 증가된 폭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리셉터클(14)은 리셉터클의 제1측벽을 따라 형성된 리브(156)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156)는 래칭돌기(60, 62)의 내측으로 위치되고, 플러그(12)가 리셉터클(14)에 삽입될 때 래치빔의 위와 아래의 간극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리브(156)는 플러그(12)를 리셉터클(14)로 안내하고 리셉터클 핀(38)이 플러그의 터미널(40)에 정확하게 결합하는 것을 돕는다.
다른 크기의 커넥터 조립체를 갖는 분야에 있어서, 제2키잉구조는 소형플러그, 예를 들어 1×4 플러그가 대형플러그, 예를 들어 1×6 플러그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된다. 이것은 도 25와 26에 예시된다. 도 25는 1×6 리셉터클(214)과 정확하게 결합되는 1×6 플러그(212)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1×6 플러그(212)에서 제2키잉구조는 플러그의 하부에 형성된 제1키잉슬롯(150A)와 제2키잉슬롯(150B)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키잉슬롯(150A)은 상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종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114)에 의해 한정된다. 다른 키잉슬롯(150B)은 플러그 하우징의 하부벽에서 직접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슬롯의 일부는 TPA의 전방벽에 의해서 한정된다. 1×6 리셉터클(214)은 하부벽에 대응하는 제1키잉슬롯(150A)과 제2키잉슬롯(150B)을 포함한다. 키잉리브(148A, 148B)는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될 때 플러그(212)에서 제1키잉슬롯(150A) 및 제2키잉슬롯(150B)과 결합하도록 치수화되고 위치된다. 그러나,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소형플러그, 예를 들어 1×4 플러그(12B)가 1×6 리셉터클에 삽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질 때 리셉터클 상의 제2리브(148B)는 플러그 제2측벽 상의 하부 키잉리브(140)에 인접하고, 이에 의해서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6에서, 리브(140, 148B) 사이의 간섭은 이중 교차선(225)에 의해 나타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재되었지만,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서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동등한 것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부가하여, 특정 상황 또는 물질을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교시에 채택할 수 있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요지와 일치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16)

  1. 결합경계면(mating interface)을 포함하는 전방단부(18)와 후방단부(20)를 가지며, 상부벽, 긴 하부벽 및 짧은 측벽들(26, 28)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의 결합경계면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갖는 리셉터클;
    상기 측벽들(26, 28) 중 하나를 따라서 위치되는 빔으로서, 상기 빔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단부(18)로부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후방단부(20)를 향하여 후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단부(18) 근방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고정되는 전방단부(52)와,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플러그를 향하여 편향 가능한(biasable) 자유단인 후방단부(54)를 갖는 빔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를 향하여 편향 가능하고 빔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래칭돌기(56) 및 제2래칭돌기(58)를 더 포함하는 가요성 래치;
    상기 리셉터클 개구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 하우징이 서로 완전하게 결합될 때 제1래칭돌기(56)와 제2래칭돌기(58)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위치되는 제1래치결합요소 및 제2래치결합요소;
    상기 래치 반대측의 플러그 하우징(16)의 측벽(28)을 따라서 형성된 플러그 키잉구조(plug keying feature : 140, 144); 및
    상기 플러그 키잉구조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리셉터클 개구의 내부에 형성되는 리셉터클 키잉구조(receptacle keying feature : 142, 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플러그에 대한 상기 래치의 빔의 내측 휘어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는 상기 래치의 빔의 후방단부(54)의 아래에 놓여있는 절취부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빔의 후방단부(54)는 플러그에 대한 상기 래치의 빔의 내측 휘어짐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모따기형 내측면(beveled inner face)을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칭돌기(56) 및 제2래칭돌기(58)는 상기 래치의 빔의 길이를 따라서 서로 종축방향으로 정렬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의 폭은 상기 측벽(26, 28)의 높이보다 큰 전기커넥터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의 전체 높이는 상기 측벽들(26, 28)의 높이와 동일한 전기커넥터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칭돌기(56)와 제2래칭돌기(58)의 외측 엣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측벽들(26, 28)의 높이와 동일한 전기커넥터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결합경계면 근방에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터미널 위치확보장치(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TPA)를 더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9. 결합경계면(mating interface)을 포함하는 전방단부(18)와 후방단부(20)를 가지며, 상부벽, 긴 하부벽 및 짧은 측벽들(26, 28)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의 결합경계면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갖는 리셉터클;
    상기 측벽들(26, 28) 중 하나를 따라서 위치되는 빔으로서, 상기 빔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단부(18)로부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후방단부(20)를 향하여 후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단부(18) 근방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고정되는 전방단부(52)와,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플러그를 향하여 편향 가능한(biasable) 자유단인 후방단부(54)를 갖는 빔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를 향하여 편향 가능하고 빔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래칭돌기(56) 및 제2래칭돌기(58)를 더 포함하는 가요성 래치 ― 상기 제1래칭돌기(56)와 제2래칭돌기(58)의 외측 엣지 사이에서 측정한 상기 래치의 전체 높이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들(26, 28)의 높이와 동일함 ―;
    상기 리셉터클 개구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 하우징이 서로 완전하게 결합될 때 제1래칭돌기(56)와 제2래칭돌기(58)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위치되는 제1래치결합요소 및 제2래치결합요소;
    상기 래치 반대측의 플러그 하우징(16)의 측벽(28)을 따라서 형성된 플러그 키잉구조(plug keying feature : 140, 144); 및
    상기 플러그 키잉구조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리셉터클 개구의 내부에 형성되는 리셉터클 키잉구조(receptacle keying feature : 142, 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10. 결합경계면(mating interface)을 포함하는 전방단부(18)와 후방단부(20)를 가지며, 상부벽, 긴 하부벽 및 짧은 측벽들(26, 28)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의 결합경계면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갖는 리셉터클;
    상기 측벽들(26, 28) 중 하나를 따라서 위치되는 빔으로서, 상기 빔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단부(18)로부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후방단부(20)를 향하여 후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방단부(18) 근방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고정되는 전방단부(52)와,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플러그를 향하여 편향 가능한(biasable) 자유단인 후방단부(54)를 갖는 빔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를 향하여 편향 가능하고 빔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래칭돌기(56) 및 제2래칭돌기(58)를 더 포함하는 가요성 래치;
    상기 리셉터클 개구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와 리셉터클 하우징이 서로 완전하게 결합될 때 제1래칭돌기(56)와 제2래칭돌기(58)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위치되는 제1래치결합요소 및 제2래치결합요소;
    상기 래치 반대측의 플러그 하우징(16)의 측벽(28)을 따라서 형성된 플러그 키잉구조(plug keying feature : 140, 144); 및
    상기 플러그 키잉구조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리셉터클 개구의 내부에 형성되는 리셉터클 키잉구조(receptacle keying feature : 142, 146);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터미널 위치확보장치(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TPA)를 포함하고,
    상기 TPA는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결합 경계면에 상기 TPA를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 경계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래칭부재를 갖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래칭부재 중 하나는 상기 리셉터클 개구에 형성된 제2의 리셉터클 키잉구조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의 플러그 키잉구조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러그 키잉구조는 상기 TPA의 상부 및 하부 래칭부재 중 하나에 형성된 종축방향 슬롯을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돌출부(116) 및 제2 돌출부(1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종축방향 슬롯과 결합하여 상기 TPA를 예비조립상태에 유지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종축방향 슬롯과 결합하여 상기 TPA를 완전결합상태에 유지하도록 위치하는 전기커넥터 조립체.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30007834A 2002-02-07 2003-02-07 전기커넥터 조립체 KR100970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72,038 US6884106B2 (en) 2002-02-07 2002-02-07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0/072,038 2002-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585A KR20030067585A (ko) 2003-08-14
KR100970944B1 true KR100970944B1 (ko) 2010-07-20

Family

ID=2761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834A KR100970944B1 (ko) 2002-02-07 2003-02-07 전기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84106B2 (ko)
EP (1) EP1335456B1 (ko)
JP (1) JP4162214B2 (ko)
KR (1) KR100970944B1 (ko)
BR (1) BR0300446A (ko)
CA (1) CA2418417C (ko)
DE (1) DE60333050D1 (ko)
ES (1) ES234641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3170B1 (en) * 2006-07-31 2006-12-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t least two keying arrangements
JP4567645B2 (ja) * 2006-09-15 2010-10-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US7794267B2 (en) * 2008-08-06 2010-09-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rd edge connector with IDC wire termination
RU2559816C2 (ru) * 2009-07-01 2015-08-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Недорогой компактный разъем для комплекта выводов
CN201774077U (zh) * 2010-07-15 2011-03-23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US9136652B2 (en) 2012-02-07 2015-09-15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202712607U (zh) * 2012-08-03 2013-01-30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插头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DE102012025106A1 (de) * 2012-12-21 2014-06-26 Erni Production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TWM458000U (zh) * 2013-01-11 2013-07-21 Molex Taiwan Ltd 電連接裝置
TWM462985U (zh) * 2013-04-09 2013-10-01 Molex Taiwan Ltd 電連接裝置
US9281619B2 (en) * 2014-04-11 2016-03-08 Delphi Technologies, Inc. Vibration resistant connector system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DE102015201089A1 (de) 2015-01-22 2016-07-2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Zwischengehäuse mit einer CPA-Aufnahme und Steckverbindersysteme umfassend ein solches
US9705228B2 (en) 2015-08-20 2017-07-11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system with disconnection evident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feature
US9935389B1 (en) 2017-02-23 2018-04-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Inline connector housing assemblies with removable TPA
JP2022106340A (ja) * 2021-01-07 2022-07-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76828A2 (en) * 1994-04-08 1995-10-1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US6179643B1 (en) * 1999-06-16 2001-01-30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lock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6155B1 (fr) * 1985-01-14 1987-07-31 Labinal Perfectionnements au verrouillage de deux elements d'un boitier de connexions electriques
US4634204A (en) * 1985-12-24 1987-01-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assist device
JPH0433666Y2 (ko) * 1988-05-13 1992-08-12
US5120255A (en) * 1990-03-01 1992-06-09 Yazaki Corporation Complete locking confirming device for confirming the complete locking of an electric connector
GB2244181B (en) 1990-04-13 1994-12-21 Oki Electric Cable Double lock male/female type connector
US5344335A (en) * 1992-03-03 1994-09-06 The Whitaker Corporation Latch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JP2918081B2 (ja) 1992-09-22 1999-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現像装置及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2574781Y2 (ja) 1992-12-02 1998-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5562486A (en) * 1993-04-21 1996-10-0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ock detection connector
JP2597042Y2 (ja) * 1993-12-21 1999-06-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5507666A (en) * 1993-12-28 1996-04-16 Yazaki Corporation Lock securing mechanism for connectors
WO1995033291A1 (de) * 1994-05-31 1995-12-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Oberflächenmontierter steckverbinder
JP2907377B2 (ja) * 1994-06-03 1999-06-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2921645B2 (ja) * 1994-07-12 1999-07-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検知構造
US5628648A (en) * 1995-03-17 1997-05-1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US5591041A (en) * 1995-03-20 1997-01-0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US5651689A (en) * 1995-05-15 1997-07-2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mploying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5685729A (en) * 1995-06-02 1997-11-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vent tube assembly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US5643003A (en) * 1995-06-02 1997-07-01 The Whitaker Corporation Housing latch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H09147979A (ja) 1995-11-20 1997-06-06 Sumitomo Wiring Syst Ltd ロックアーム付きコネクタ
US5651697A (en) 1995-12-11 1997-07-29 Molex Incorporated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6093045A (en) * 1996-03-13 2000-07-25 Osram Sylvania Inc. Electrical connector module and kit having tamper proof latch mechanism
US6004153A (en) * 1996-03-27 1999-12-2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5823814A (en) * 1996-05-23 1998-10-20 Osram Sylvania Inc. Connector module having connector positive assurance member and internally latching connector housings
US5722849A (en) * 1996-09-25 1998-03-03 Osram Sylvania Inc. Connector
US5910027A (en) * 1997-10-08 1999-06-08 Ut Automotive Dearborn,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JP3467202B2 (ja) * 1998-04-17 2003-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6017153A (en) 1998-05-29 2000-01-25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auxiliary spring
US6045388A (en) * 1998-09-02 2000-04-04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JP3362014B2 (ja) * 1999-06-29 2003-01-07 エヌイーシートーキン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のロック、アンロック構造及びロック、アンロック方法
US6319023B2 (en) * 1999-12-02 2001-11-20 Tyco Electronics Canada Ltd Press-fit electrical connector
JP3648432B2 (ja) * 2000-05-25 2005-05-18 矢崎総業株式会社 慣性ロック式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76828A2 (en) * 1994-04-08 1995-10-1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US6179643B1 (en) * 1999-06-16 2001-01-30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lock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62214B2 (ja) 2008-10-08
EP1335456A2 (en) 2003-08-13
CA2418417C (en) 2010-08-03
ES2346418T3 (es) 2010-10-15
EP1335456B1 (en) 2010-06-23
US6884106B2 (en) 2005-04-26
KR20030067585A (ko) 2003-08-14
EP1335456A3 (en) 2005-03-09
JP2003243098A (ja) 2003-08-29
BR0300446A (pt) 2004-08-17
US20030148651A1 (en) 2003-08-07
DE60333050D1 (de) 2010-08-05
CA2418417A1 (en) 200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0102B2 (en) Receptacle connector with contact assembly
KR100970944B1 (ko) 전기커넥터 조립체
US7690946B2 (en) Contact organiz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5161996A (en) Header assembly and alignment assist shroud therefor
US777123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303438B2 (en) Plug connector with mating protection and alignment means
US7252549B2 (en) Connector, receptacle for connector and plug for connector
US4647136A (en) Modular plug and printed circuit connector
US7833024B2 (en) Board-to-board connector for mounting on a circuit board
EP2282378B1 (en) Shield case,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EP0658951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in coupling two printed boards
US6709298B2 (en) Insulator coring and contact configuration to prevent pin stubbing in the throat of tuning fork socket connector contacts
US7438601B2 (en) Connector
EP0487866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board
CN110556645A (zh) 卡缘连接器组件
CN113078510A (zh) 连接器组件
US20050112943A1 (en) Electrical connector
EP1548894B1 (en) A connector
US5037323A (en) Header assembly and alignment assist shroud therefor
US6179652B1 (en) IC card connector assembly
US4957448A (en) Low insertion force, low board stress electrical connector
US20070087629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371127B2 (en) Modular jack
US20060134947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protective device
CN116615842A (zh) 带公母同体接触元件的印刷电路板插接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