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695B1 -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695B1
KR100970695B1 KR1020080047194A KR20080047194A KR100970695B1 KR 100970695 B1 KR100970695 B1 KR 100970695B1 KR 1020080047194 A KR1020080047194 A KR 1020080047194A KR 20080047194 A KR20080047194 A KR 20080047194A KR 100970695 B1 KR100970695 B1 KR 100970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airbag
ignition
deploymen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082A (ko
Inventor
박두연
김진국
천정현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080047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69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13Means for detecting collision, impending collision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60R2021/01225Expansion of air bags control of expansion volu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속도 및 탑승자의 탑승상태 등 전개환경에 따라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의 제1단과 제2단간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도록 하기 위한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충돌신호 입력부; 차량 센서로부터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신호를 받아 전개환경 변수값들로 변환하는 전개환경 입력부; 전개환경 변수값들에 따른 제2단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는 지연시간 입력부; 입력된 지연시간을 저장하는 지연시간 저장부; 상기 지연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제1단 또는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전개신호 출력부;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1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고 전개환경 변수값들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카운트 시키고, 카운트가 종료되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속도 및 탑승자의 탑승상태 등 전개환경 변수들의 조합에 따른 지연시간을 사전에 정하여 충돌이 감지되면 정해진 지연시간 후에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함으로써,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를 보다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센서의 측정 오차에 의한 점화제어의 오류를 최소화하여 보다 안정적인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2단 전개식, 듀얼 스테이지(dual stage), 인플레이터, 에어백, 제어

Description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 { A firing control system for an inflator of dual-stage type airbag system an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속도 및 탑승자의 탑승상태 등 전개환경에 따라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의 제1단과 제2단간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도록 하기 위한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분야에 속한다.
또, 본 발명은 속도 및 탑승자의 탑승상태 등 전개환경 변수값들의 조합에 따른 지연시간을 사전에 정하여 충돌이 감지되면 정해진 지연시간 후에 무조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분야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백은 심각한 차량충돌에서 인명을 구하거나 탑승자의 상해를 줄이는 효과적인 보호장치로서, 충돌시 팽창하여 쿠션역할을 함으로써, 탑승자를 서서히 감속시키면서 승객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여 보호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에어백은 충돌시 승객의 정면으로 최대한 빨리 팽창되어 제 위치에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빠른 팽창은 가끔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등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탑승자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힌다. 예를 들면, 충돌 직전에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탑승자는 앞으로 쏠리어 에어백에 근접하게 되고, 에어백이 빠른 속도로 팽창하면, 탑승자는 상해를 입거나 혹은 사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탑승자의 착석상태 등에 따라 에어백의 팽창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또는 듀얼 스테이지 인플레이터)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의 구성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는 종래의 인플레이터(1)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중앙의 칸막이(4)와 양단의 격벽(5)을 중심으로 가스발생제(6)가 내장된 주챔버(2) 및 부챔버(3)가 소정의 비율(가령, 6:4 또는 7:3)로 구획되어 있으며, 양단의 격벽(5)의 외측에는 전자제어유닛(ECU)으로부터 전달되는 점화신호에 따라 폭발하는 폭약(7)과, 이들 폭약(7)에 의해 폭발되면서 상기 주챔버(2)와 부챔버(3)내로 공급되는 점화제(8)가 구비되어 있다. 유입된 점화제(8)는 주챔버(2)와 부챔버(3)에 각각 내장되어 있는 가스발생제(6)를 연소시켜 팽창가스가 발생되고, 발생된 팽창가스는 홀(9)을 통해 에어백 쿠션 내부로 공급한다.
이러한 구성의 인플레이터에서는 3가지 형태의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승객이 주챔버와 부챔버를 동시에 전개시키는 경우(A+B)와, 주챔버만 전개시키는 경우(A)와, 시간지연을 두고 주챔버를 먼저 전개시킨 후에 부챔버를 전개시키는 경우(C)로 나누어 출력을 생성한다. 도 2는 종래의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시간에 따른 출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의 실선(A+B)은 양쪽 챔버가 동시에 전개될 때의 최대출력을 나타내고, 중간의 실선은 주챔버만의 전개시(A)에, 하부의 점선은 부챔버만의 전개시(B)를 나타내며, 시간지연을 두고 양챔버가 순차 전개되는 경우에는 중간 실선에서 상부 실선으로 상승되는 곡선형태(C)로 나타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나타낸 부챔버만의 전개시에 출력은 상당히 저하되므로 적용하지 않으며 각 출력형태간의 출력편차가 크다.
즉,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주챔버와 부챔버의 점화시간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착석상태나 체중 등 탑승환경에 따라 적절히 에어백의 팽창을 조절하는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로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과제는 동시 점화신호(A+B), 주챔버만의 점화신호(A), 지연 점화신호(C)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지, 지연 점화신호(C)를 줄 때는 그 지연시간을 얼마로 할 것인지를 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승객이 정상위치에 착석해 있거나 몸집이 큰 승객을 보호하기 위 해서 주챔버와 부챔버를 동시에 점화시키고, 승객이 에어백에 가까이 위치해 있거나 몸집이 작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서 주챔버만 점화시키거나, 정상 또는 몸집이 큰 승객이 에어백에 가까이 있을 때에 시간지연을 두고 주챔버를 먼저 점화시킨 후에 부챔버를 점화시키는 경우로 나누어 출력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 차량의 충돌이 심각한 상태이면 주챔버와 부챔버를 동시에 점화시켜서 신속하게 에어백을 팽창시키도록 인플레이터를 제어하며, 충돌이 비교적 약한 상태이면 주챔버만 점화시켜서 에어백의 팽창에 의하여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또, 차량의 충돌 크기를 확실히 판단하기 위해 충돌의 기준을 높이면 판단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오히려 큰 충돌이 있는 경우 인플레이터가 늦게 점화되어 탑승자에게 더 큰 상해를 입히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낮은 충돌의 기준에서 일단 주챔버와 부챔버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점화시키고, 그 이후의 충돌의 정도를 판단하여 적절한 시기에 나머지 챔버를 점화시키는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충돌의 크기와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따라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대하여 복잡한 점화제어 방식 기술들은 에어백 시스템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그러한 복잡한 점화제어 방식이 실제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 제대로 동작하지 않거나 예상치 못한 상황에 의해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오히려 더 큰 상해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특히, 점화제어 방식이 복잡할수록 더 많은 측정치를 이용하여 많은 계산을 하므로 오차의 범위가 커지게 되 고, 점화제어 방식은 이미 확인된 차량사고의 상해원인으로 논리를 구성한 것이나 실제 사고에서 고려되지 않은 더 다양한 상해원인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실제 사고에서 복잡한 점화제어방식이 실효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속도 및 탑승자의 탑승상태 등 전개환경 변수값들의 조합에 따른 지연시간을 사전에 정하여 충돌이 감지되면 정해진 지연시간 후에 무조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속도 및 탑승자의 탑승상태 등 전개환경에 대하여 단순히 2가지의 경우로만 구분하여 이진벡터(binary vector)를 구성하여, 이진벡터로 비교하거나 지연시간 검색할 수 있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은 충돌감지센서와 차량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고, 메모리를 구비하고,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점화신호를 보내는 점화제어장치에 있어서,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충돌신호 입력부; 차량 센서로부터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신호를 받아 전개 환경 변수값들로 변환하는 전개환경 입력부; 전개환경 변수값들에 따른 제2단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는 지연시간 입력부; 입력된 지연시간을 저장하는 지연시간 저장부; 상기 지연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제1단 또는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전개신호 출력부;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1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고 전개환경 변수값들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카운트 시키고, 카운트가 종료되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특징은 충돌감지센서와 차량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고, 메모리를 구비하고,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점화신호를 보내는 점화제어장치에 있어서,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충돌신호 입력부; 차량 센서로부터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신호를 받아 전개환경 이진벡터로 변환하는 전개환경 입력부; 전개환경 이진벡터에 대한 제2단의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지연시간 입력부; 상기 지연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제1단 또는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점화신호 출력부;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1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된 전개환경 이진벡터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카운트 시키고, 카운트가 종료되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의 특징은 제 1의 특징 또는 제 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 입력부는 에어백 종류별 제2단의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에어백 종류별로 해당 지연시간으로 각 종류별로 카운트 시키고, 각 에어백 종류에 해당하는 카운트가 종료되면 해당 종류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의 특징은 제 1의 특징 또는 제 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충돌신호 입력부는,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를 위한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받는 경우, 첫 번째 스테이지의 충돌감지신호만 충돌감지신호로 입력받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의 특징은 제 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전개환경 변수값은, 차량의 속도 및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값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의 특징은 제 5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전개환경 변수값은, 안전벨트 착용상태, 몸무게(POD), 착석이탈여부(OOP)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값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의 특징은 제 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전개환경 이진벡터는, 이진벡터의 요소는 차량의 속도 및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0 또는 1의 값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의 특징은 제 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 입력부는 지연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의 주소로 이진벡터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지연환경 이진벡터를 이용한 주소로 메모리에 저장된 지연시간을 검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9의 특징은 제 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종류는, 운전자 에어백(DAB) 또는 보조석 에어백(PAB)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0의 특징은 충돌감지센서와 차량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고, 2 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점화신호를 보내는 점화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전개환경 변수값의 조합에 따른 제2단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b)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c) 제1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d) 차량 센서로부터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신호를 받아 전개환경 변수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e) 상기 변환된 전개환경 변수값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읽어오는 단계; (f) 상기 지연시간으로 카운트다운을 시작하는 단계; (g) 카운트다운이 종료되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1의 특징은 충돌감지센서와 차량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고,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점화신호를 보내는 점화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전개환경 이진벡터들에 따른 제2단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b)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c) 제1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d) 차량 센서로부터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신호를 받아 전개환경 이진벡터로 변환하는 단계; (e) 상기 변환된 전개환경 이진벡터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읽어오는 단계; (f) 상기 지연시간으로 카운트다운을 시작하는 단계; (g) 카운트다운이 종료되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2의 특징은 제 10의 특징 또는 제 1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에어백 종류별 제2단의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고, 상기 (f)단계는 에어백 종류별로 해당 지연시간으로 각 종류별로 카운트다운하고, 각 에어백 종류에 해 당하는 카운트다운이 종료되면 해당 종류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3의 특징은 제 10의 특징 또는 제 1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를 위한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받는 경우, 첫 번째 스테이지의 충돌감지신호만 충돌감지신호로 입력받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4의 특징은 제 10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전개환경 변수값은, 차량의 속도 및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값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5의 특징은 제 1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전개환경 변수값은, 안전벨트 착용상태, 몸무게(POD), 착석이탈여부(OOP)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값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6의 특징은 제 1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전개환경 이진벡터는, 이진벡터의 요소는 차량의 속도 및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0 또는 1의 값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7의 특징은 제 1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입력된 지연시간을 저장하고, 저장하는 메모리의 주소로 이진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e)단계는 입력된 지연환경 이진벡터를 이용한 주소로 메모리에 저장된 지연시간을 검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8의 특징은 제 12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종류는, 운전자 에어백(DAB) 또는 보조석 에어백(PAB)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9의 특징은 상기 제 10의 특징 또는 제 11의 특징 중 어느 한 특징의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전개환경 변수값들의 조합에 따른 지연시간을 사전에 정하여 충돌이 감지되면 정해진 지연시간 후에 무조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점화 지연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복잡한 계산을 회피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저렴한 에어백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전개환경 변수값들의 조합에 따른 지연시간을 입력하여 변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량 종류의 특성 또는 향후 실험의 결과들을 반영하여 쉽게 점화제어를 변경할 수 있는 범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를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전개환경에 대하여 단순히 2가지의 경우로만 구분하여 이진벡터(binary vector)를 구성함으로써, 이진벡터로 비교하거나 지연시간 검색할 수 있는 간단한 회로를 구성할 수 있어 보다 저렴한 범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를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실시되는 전체 구조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실시되는 전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30)는 충돌감지센서(21,22)에서 차량충돌에 대한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41,42)에 점화신호를 발생시켜준다. 또, 점화제어장치(30)는 충돌감지센서(21,22) 이외에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차량 센서(51,52)에 의해 운전자 또는 탑승자(이하에서는 탑승자는 운전자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한다.)의 탑승상태에 대한 신호도 입력받는다.
충돌감지센서(21,22)는 가속도 센서(single point sensor)와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장착되어 차량의 전면부에 설치된다. 충돌사고 시 가속도 센서는 감가속도를 측정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충돌 판별 알고리즘에 의해 이 감가속도 신호를 바탕으로 속도의 변화, 일률의 변화, 감가속도의 제곱 혹은 감가속도의 제곱 의 합 등의 변수(metric)의 값을 계산하여 이 값이 설정된 임계치(threshold) 이상이 되면 충돌감지신호를 보낸다.
전개관련 차량센서(51,52)는 차량 속도, 탑승자의 착석상태, 탑승자의 체중 등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변수들을 측정하는 센서들이다. 탑승자의 착석상태는 안전벨트의 착용유무, 승객이 정상위치에 착석하고 있는가, 탑승객이 에어백에서부터의 거리 등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들이다. 이러한 모든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변수들을 모두 측정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종류마다 옵션의 선택에 따라 일부 센서들만이 갖추어져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차량속도나 안전벨트의 착용유무에 대한 센서는 기본적인 센서들이므로, 대부분 차량에 장착되나, 에어백에서부터 탑승자의 착석거리나 탑승자의 체중 등은 그러하지 않다. 따라서 점화제어장치(30)는 차량의 특성에 따라 장착된 차량센서(51,52)들의 신호를 신축적으로 입력받는다.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41,42)은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가 장착된 에이백 시스템이다. 즉, 점화제어장치(30)는 1단의 점화신호가 상기 인플레이터의 주챔버(또는 첫 번째 챔버)에 연결되고, 2단의 점화신호가 상기 인플레이터의 부챔버(또는 두 번째 챔버)에 연결된다. 점화제어장치(30)가 1단의 점화신호를 보내면 상기 주챔버가 터져 에어백이 1단의 전개가 되고, 2단의 점화신호를 보내면 상기 부챔버가 터져 에어백이 2단의 전개가 된다. 점화제어장치(30)는 1단의 점화신호를 보내고, 지연시간이 지난후 2단의 점화신호를 보낸다. 지연시간이 0ms인 경우에는 1단과 2단의 점화신호가 동시에 보내져 상기 인플레이터의 주챔버와 부챔버가 동시에 터져, 에어백이 최대 출력으로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의 지연시간이라 함은 1단 의 점화신호를 보낸 후 2단의 점화신호를 보낼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가 장착된 에이백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은 운전석 에어백(DAB)과 조수석 에어백(52)이 있다. 통상의 운전석 에어백(DAB)과 조수석 에어백(52) 이외에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로 전개하는 에어백이라면 이 에어백도 본 발명에 충분히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41,42)도 차량별로 설치된 에어백에 대해서만 점화를 제어한다. 즉, 운전석 에어백(DAB)만 설치되어 있다면, 운전석 에어백(DAB)에 대해서만 점화신호를 보낸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30)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3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30)는 메모리(34)를 구비하고, 충돌신호 입력부(31), 전개환경 입력부(32), 지연시간 입력부(33), 타이머(35), 점화신호 출력부(36), 제어부(37)로 구성된다.
충돌신호 입력부(31)는 충돌감지센서(20)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는다. 특히,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를 위한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받는 경우, 첫 번째 스테이지의 충돌감지신호만 충돌감지신호로 입력받는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충돌감지센서(20)는 충돌판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임계치(threshold)가 넘 으면 충돌로 판명하여 충돌감지신호를 보낸다. 일반적으로 2단 전개식 에어백 시스템에 사용되는 충돌감지센서는 임계치(threshold)를 1단과 2단으로 2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즉, 에어백의 2단 전개를 위해 보다 임계치를 높이면, 큰 충돌시 늦게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일단 낮은 임계치에서 1단의 에어백을 전개하고, 2단의 임계치를 넘어 충돌감지신호가 들어오면, 2단의 에어백을 전개하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에는 충돌신호 입력부(31)는 최초 1단의 임계치를 넘어 감지신호가 들어오는 것을 기준으로 충돌을 감지한다.
전개환경 입력부(32)는 차량 센서로부터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신호를 받아 전개환경 변수값들로 변환하고, 지연시간 입력부(33)는 전개환경 변수값의 조합에 따른 제2단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아 메모리(34)에 저장한다. 전개환경 변수는 차량속도, 벨트착용여부 등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변수이다. 이외에도 탑승상태에 대해서, 탑승자의 체중, 정상적인 착석위치에서의 이탈여부, 탑승자의 에어백과의 착석거리 등에 대한 변수들이 있을 수 있다. 즉, 전개환경 변수는 에어백 전개에 따른 탑승자의 상해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다.
즉, 상기 전개환경 변수값들의 조합에 따라 지연시간을 정한 테이블을 지연시간 입력부(33)를 통해 입력받아 저장하고, 차량이 실제 충돌할 때, 전개환경 입력부(32)에서 입력된 차량의 전개환경 변수값들에 의해 실제 환경의 변수값 조합이 구성되면, 상기 변수값 조합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저장된 상기 테이블에서 찾아 그 지연시간에 의해 2단의 점화신호를 내보낸다.
전개환경 변수값들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개환경 변수값에 따른 지연시간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개환경 변수는 벨트착용여부와 차량속도의 2가지만을 변수로 사용하고 있다. 벨트착용여부의 변수값은 "착용", "미착용"의 2가지이고, 차량속도의 변수값도 "고속", "저속"의 2가지이다. 따라서 변수값의 조합은 2 × 2 = 4 개의 변수값 조합이 있다. 즉, 도 5와 같은 지연시간을 4개의 조합에 대한 테이블로 지연시간 입력부(33)를 통해 입력받아 메모리(34)에 저장한다. 만약 실제 충돌시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미착용하고 차량속도가 저속이었다면, 전개환경 입력부(33)는 벨트착용여부는 "미착용", 차량속도는 "저속"인 변수값의 조합으로 입력된다. 이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은 도 5의 표에서 4번째 조합이고, 지연시간은 35ms이다.
T1을 에어백 1st 점화 시간으로 하고 각 전개환경 변수에 따라 지연시간을 벨트 착용 여부에 따라 Tp (착용), Tq (미착용)로 가정하고 차량 속도에 따라 벨트 착용 시 지연 시간을 고속, 저속의 경우 각각 Tp1, Tp2로 사용할 수 있고, 벨트 미착용 시 지연 시간은 고속, 저속의 경우 각각 Tq1, Tq2로 사용할 수 있다. 단, 벨트 착용 시 주요 구속장치는 벨트이므로 에어백의 인플레이터 지연 시간을 속도에 관계없이 저속=고속= Tp 로 일정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의 운전석을 예로 들면, 결국, Tp1 = 15ms, Tp2 = 35ms, Tq1 = 5ms, Tq2 = 35ms 이다.
한편, 상기 전개환경 변수의 변수값들은 아날로그 값들 보다 디지털화된 값 들이 더 바람직하다. 즉, 차량속도의 경우 35Km/h, 46Km/h 등 아날로그 값보다는 저속, 고속 등 디지털화된 값들로 정한다. 따라서 전개환경 입력부(32)에서 차량 센서로부터 차량속도에 대하여 54Km/h 등 아날로그 신호가 들어오면 이를 "고속"이라는 디지털화된 변수값으로 변환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아예 차량 센서가 디지털화된 변수값들로 변환된 값을 신호로 보내주고 전개환경 입력부(32)는 변수값들만 받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개환경 변수의 변수값들을 몇 가지 경우로만 한정하여 정하는 이유는 전개환경 변수에서 의미가 있는 몇 가지의 경우에만 한정하여 지연시간 계산에 반영함으로써, 간단하고 저렴한 제어장치를 개발하고, 그러면서도 실질적으로 효과가 있고, 전체적으로 센서 오차에 의한 지연시간 계산의 오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전개환경 변수에 따라 복잡한 수식을 계산하거나 복잡한 플로우차트에 의해 최종적인 지연시간 계산을 하지 않고, 전개환경 변수들의 변수값 조합이 어느 테이블 위치에 있는지만 찾으면 바로 지연시간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연시간을 지연시간 입력부(33)를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유는 지연시간이 차량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또, 향후 실험을 통해 현재 설정된 지연시간보다 더 나은 조건의 지연시간을 발견하는 경우, 단순히 지연시간 테이블만 변경함으로써, 쉽게 지연시간을 갱신시키기 위함이다.
타이머(35)는 상기 지연시간을 카운트한다. 즉, 실제로 충돌이 발생하면, 제 1단의 점화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전개환경 입력부(32)에서 입력된 전개환경 변수값들의 조합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전개환경 변수값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지연시간을 가져온다. 상기 지연시간만큼 2단의 점화신호는 출력이 지연된다. 따라서 상기 지연시간만큼 늦추기 위하여 타이머(35)가 작동된다. 타이머(35)의 작동이 완료되면 2단의 점화신호가 출력된다.
점화신호 출력부(36)는 제1단 또는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한다. 점화신호 출력부(36)는 점화신호를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폭약(7)에 직접 연결하여 점화신호를 출력하고, 점화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인플레이터의 주챔버 또는 부챔버가 폭발하면서 에어백이 팽창된다.
제어부(37)는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1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고 전개환경 변수값들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카운트 시키고, 카운트가 종료되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37)는 충돌감지신호를 충돌신호 입력부(31)를 통해 입력받으면 점화신호 출력부(36)를 통해 제1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한다. 또, 제어부(37)는 동시에 전개환경 입력부(32)를 통해 충돌감지신호 입력시의 전개환경 변수값들의 조합을 알아내, 그 조합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메모리(34)에 저장된 지연시간 테이블로부터 찾아낸다. 찾아낸 지연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을 타이머(35)에 셋팅하여 타이머(35)를 동작시킨다. 제어부(37)는 타이머(35)가 완료되어 종료신호를 보내면, 점 화신호 출력부(36)를 통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30)를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개환경 이진벡터에 따른 지연시간을 나타낸 테이블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전개환경 변수의 변수값들을 2가지의 경우로만 한정하여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앞선 본 예제로 본다면, 벨트착용여부나 차량속도 등 전개환경 변수의 변수값들이 0과 1의 2가지 경우만 갖고 전개환경 변수값들의 조합을 이진벡터로 구성한다. 앞서 본 예제인 도 5의 전개환경 변수를 0과 1의 변수값들로 바꾸고, 변수값들의 조합을 이진벡터로 바꾸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벨트착용여부에 대한 변수는 "착용"일 때 "1", "미착용"일 때 "0"이고, 차량속도에 대한 변수는 "고속"일 때 "1", "저속"일 때 "0"이라 정한다. 그러면 도 5의 4가지 조합은 각각, "11", "10", "01", "00"의 이진수(또는 이진벡터)로 표시되고, 각각은 십진수로 3, 2, 1, 0의 일련의 숫자가 된다.
만약 전개환경 변수가 N개이면, 조합의 수는 2N이고, 각 조합은 십진수로는 0 ~ 2N - 1 의 연속적인 숫자가 된다. 따라서 각 조합의 이진벡터를 메모리(34)의 상대주소(address)로 정하면 각 조합을 보다 빨리 찾을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 와 같이, 메모리(70)를 전개환경 변수의 조합에 따른 이진벡터를 어드레스 버스(72)로 입력하고, 출력 버스(71)를 지연시간으로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전개환경 변수를 이진벡터를 이용하여 구성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점화신호를 보내는 점화제어장치(30)는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각 구성요소가 다음과 같이 약간 다르게 작동한다. 즉, 전개환경 입력부(32)는 차량 센서로부터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신호를 받아 전개환경 이진벡터로 변환하고, 지연시간 입력부(33)는 전개환경 이진벡터에 대한 제2단의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제어부(37)는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1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된 전개환경 이진벡터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카운트 시키고, 카운트가 종료되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지연시간 입력부(33)는 지연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의 주소로 이진벡터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제어부(37)는 입력된 지연환경 이진벡터를 이용한 주소로 메모리에 저장된 지연시간을 검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30)는 앞서 본 두 번째 실시예에서 전개환경 입력부(32)가 차량 센서로부터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신호를 받아 전개환경 이진벡터로 변환하지 않고 직접 0과 1을 입력받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구성한다. 예를 들면, 차량 센서로부터 직접 0과 1의 입력을 받거나 중간에 차량센서의 신호를 0과 1로 변환하는 변환장치를 두 면, 전개환경 입력부(32)는 직접 0과 1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30)는 범용 점화제어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전개환경 변수에 대한 입력을 단지 2진수로 받고, 지연시간 테이블도 2진수로 받고, 충돌신호 입력은 on/off로 입력받으므로, 전개환경 변수에 대한 이진벡터에서 각 변수가 무엇이든 관계가 없기 때문에 어느 경우에도 적용되는 범용 제어장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의 예제를 보면, 전개환경 변수가 벨트착용여부와 차량속도로 예시하였으나, 차량속도와 탑승자의 체중으로 변수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즉, 전개환경 입력부(32)에서 받아들이는 차량 센서를 벨트착용여부 센서와 차량속도 센서였는데, 이를 차량속도 센서와 탑승자의 체중 센서로 대체하여 연결하면 된다. 이때 연결순서도 중요하다. 즉, < 벨트착용여부, 차량속도 > --> < 차량속도, 탑승자의 체중 > 으로 변경한다. 단, 탑승자의 체중은 센서에 의해 고체중이 "1", 저체중이 "0"으로 변환하여 입력되면 된다.
따라서 범용 점화제어장치(30)는 전개환경 변수의 비트(bit)의 수(또는 이진벡터의 길이)를 M개로 정하면, M개까지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M개 미만인 경우는 상위 비트(bit)를 모두 "0"으로 처리하면 된다. 즉, 전개환경 입력부(32)의 상위 비트(bit)는 접지를 시키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은 (a) 전개환경 변수값들에 따른 제2단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11); (b)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12); (c) 제1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3); (d) 차량 센서로부터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신호를 받아 전개환경 변수값으로 변환하는 단계(S14); (e) 상기 변환된 전개환경 변수값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읽어오는 단계(S15); (f) 상기 지연시간으로 카운트다운을 시작하는 단계(S16); (g) 카운트다운이 종료되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7)로 구성된다.
상기 (a)단계는 에어백 종류별 제2단의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고, 상기 (f)단계는 에어백 종류별로 해당 지연시간으로 각 종류별로 카운트다운하고, 각 에어백 종류에 해당하는 카운트다운이 종료되면 해당 종류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는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를 위한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받는 경우, 첫 번째 스테이지의 충돌감지신호만 충돌감지신호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개환경 변수값은, 차량의 속도 및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개환경 변수값은, 안전벨트 착용상태, 몸무게(POD), 착석이탈여부(OOP)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의 종류는, 운전자 에어백(DAB) 또는 보조석 에어백(PAB)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다.
상기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을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은 (a) 전개환경 이진벡터들에 따른 제2단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21); (b)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22); (c) 제1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23); (d) 차량 센서로부터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신호를 받아 전개환경 이진벡터로 변환하는 단계(S24); (e) 상기 변환된 전개환경 이진벡터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읽어오는 단계(S25); (f) 상기 지연시간으로 카운트다운을 시작하는 단계(S26); (g) 카운트다운이 종료되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27)로 구성된다.
상기 (a)단계는 에어백 종류별 제2단의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고, 상기 (f) 단계는 에어백 종류별로 해당 지연시간으로 각 종류별로 카운트다운하고, 각 에어백 종류에 해당하는 카운트다운이 종료되면 해당 종류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는,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를 위한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받는 경우, 첫 번째 스테이지의 충돌감지신호만 충돌감지신호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개환경 이진벡터는, 이진벡터의 요소는 차량의 속도 및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0 또는 1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는 입력된 지연시간을 저장하고, 저장하는 메모리의 주소로 이진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e)단계는 입력된 지연환경 이진벡터를 이용한 주소로 메모리에 저장된 지연시간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의 종류는, 운전자 에어백(DAB) 또는 보조석 에어백(PAB)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 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를 제어하는 장치를 만드는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안전벨트 착용여부, 탑승자의 체중, 정상적인 착석위치의 이탈여부 등을 고려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저위험 전개식 에어백 시스템에서의 인플레이터 점화제어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를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속도, 안전벨트 착용여부, 탑승자의 체중, 정상적인 착석위치의 이탈여부 등 다양한 영향요인을 고려하는 1단 점화신호와 2단의 점화신호간의 지연시간을 결정하는 점화제어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의 구성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시간에 따른 출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실시되는 전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개환경 변수값에 따른 지연시간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개환경 이진벡터에 따른 지연시간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 2, 3 : 주챔버, 부챔버
4 : 칸막이 5 : 격벽
6 : 가스발생제 7 : 폭약
8 : 점화제 9 : 홀
10 : 차량전면부 20,21,22 : 충돌감지센서
30 : 점화제어장치 31 : 충돌신호 입력부
32 : 전개환경 입력부 33 : 지연시간 입력부
34,70 : 메모리 35 : 타이머
36 : 점화신호 출력부 37 : 제어부
41 : 운전석 에어백(DAB) 42 : 조수석 에어백(PAB)
50,51,52 : 전개환경 센서 71 : 출력 버스
72 : 어드레스 버스

Claims (19)

  1. 충돌감지센서와 차량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고, 메모리를 구비하고,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점화신호를 보내는 점화제어장치에 있어서,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충돌신호 입력부;
    차량 센서로부터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신호를 받아 전개환경 변수값들로 변환하는 전개환경 입력부;
    전개환경 변수값의 조합에 따른 제2단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 리에 저장하는 지연시간 입력부;
    상기 지연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제1단 또는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점화신호 출력부;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1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고 전개환경 변수값들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카운트 시키고, 카운트가 종료되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
  2. 충돌감지센서와 차량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고, 메모리를 구비하고,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점화신호를 보내는 점화제어장치에 있어서,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충돌신호 입력부;
    차량 센서로부터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신호를 받아 전개환경 이진벡터로 변환하는 전개환경 입력부;
    전개환경 이진벡터에 대한 제2단의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지연시간 입력부;
    상기 지연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제1단 또는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점화신호 출력부;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1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고 입력된 전개환경 이진벡터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카운트 시키고, 카운트가 종료되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 입력부는 에어백 종류별 제2단의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에어백 종류별로 해당 지연시간으로 각 종류별로 카운트 시키고, 각 에어백 종류에 해당하는 카운트가 종료되면 해당 종류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신호 입력부는,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를 위한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받는 경우, 첫 번째 스테이지의 충돌감지신호만 충돌감지신호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환경 변수값은,
    차량의 속도 및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환경 변수값은,
    안전벨트 착용상태, 몸무게(POD), 착석이탈여부(OOP)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환경 이진벡터는,
    이진벡터의 요소는 차량의 속도 및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0 또는 1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 입력부는 지연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의 주소로 이진벡터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지연환경 이진벡터를 이용한 주소로 메모리에 저장된 지연시간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종류는,
    운전자 에어백(DAB) 또는 보조석 에어백(PAB)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장치.
  10. 충돌감지센서와 차량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고,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점화신호를 보내는 점화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전개환경 변수값의 조합에 따른 제2단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b)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c) 제1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d) 차량 센서로부터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신호를 받아 전개환경 변수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e) 상기 변환된 전개환경 변수값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읽어오는 단계;
    (f) 상기 지연시간으로 카운트다운을 시작하는 단계;
    (g) 카운트다운이 종료되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
  11. 충돌감지센서와 차량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고,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점화신호를 보내는 점화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전개환경 이진벡터들에 따른 제2단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b)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c) 제1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d) 차량 센서로부터 에어백 전개와 관련된 신호를 받아 전개환경 이진벡터로 변환하는 단계;
    (e) 상기 변환된 전개환경 이진벡터에 해당하는 지연시간을 읽어오는 단계;
    (f) 상기 지연시간으로 카운트다운을 시작하는 단계;
    (g) 카운트다운이 종료되면,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에어백 종류별 제2단의 점화 지연시간을 입력받고,
    상기 (f)단계는 에어백 종류별로 해당 지연시간으로 각 종류별로 카운트다운하고, 각 에어백 종류에 해당하는 카운트다운이 종료되면 해당 종류의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에 제2단의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2단 전개식 인플레이터를 위한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충돌감지신호를 받는 경우, 첫 번째 스테이지의 충돌감지신호만 충돌감지신호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환경 변수값은,
    차량의 속도 및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환경 변수값은,
    안전벨트 착용상태, 몸무게(POD), 착석이탈여부(OOP)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환경 이진벡터는,
    이진벡터의 요소는 차량의 속도 및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탑승상태에 대한 0 또는 1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입력된 지연시간을 저장하고, 저장하는 메모리의 주소로 이진벡터를 이용하고,
    상기 (e)단계는 입력된 지연환경 이진벡터를 이용한 주소로 메모리에 저장된 지연시간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종류는,
    운전자 에어백(DAB) 또는 보조석 에어백(PAB)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방법.
  19.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의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047194A 2008-05-21 2008-05-21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70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194A KR100970695B1 (ko) 2008-05-21 2008-05-21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194A KR100970695B1 (ko) 2008-05-21 2008-05-21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082A KR20090121082A (ko) 2009-11-25
KR100970695B1 true KR100970695B1 (ko) 2010-07-16

Family

ID=4160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194A KR100970695B1 (ko) 2008-05-21 2008-05-21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6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3356A1 (en) 1996-08-05 1998-02-11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trol method for variable level airbag inflation
JP2000052917A (ja) 1998-08-03 2000-02-22 Denso Corp エアバッグ点火装置
JP2002234414A (ja) 2001-01-20 2002-08-2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23356A1 (en) 1996-08-05 1998-02-11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trol method for variable level airbag inflation
JP2000052917A (ja) 1998-08-03 2000-02-22 Denso Corp エアバッグ点火装置
JP2002234414A (ja) 2001-01-20 2002-08-2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082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9903B1 (en) Method for triggering a two-stage air bag gas generator
US93760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ployment of an air bag
US63412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EP0531989B2 (en) Side collision sensor system for side airbag apparatus
US7684914B2 (en) Collision determining apparatus for a vehicle
US6168197B1 (en) Airbag deployment device and control
US6047985A (en) Occupant protective device
KR20160058486A (ko) 에어백 전개 방법
CN105682982A (zh) 用于控制设于车辆座椅中的至少一个保护件的方法
JP2002234414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970695B1 (ko) 2단 전개식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점화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00171295A1 (en) Driver&#39;s air bag
JP2019073088A (ja) エアバッグ展開制御システム及びエアバッグ展開制御方法
JP3452014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JPH0747915A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622124B1 (ko) 에어백 제어방법
WO2012126608A1 (en) Knee airbag module with a two-stage inflating unit
JP7340402B2 (ja) 乗員保護システム
EP0829398A1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US20240140343A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20030085558A1 (en) Micro airbag safety system
JP3319185B2 (ja) 衝突安全装置
JPH07257315A (ja) 乗員保護システム
KR0137240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에 설치된 에어백
KR200269514Y1 (ko) 평면 전개형 에어백을 구비한 전면 유리용 탑승자 구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