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815B1 -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815B1
KR100969815B1 KR1020100019997A KR20100019997A KR100969815B1 KR 100969815 B1 KR100969815 B1 KR 100969815B1 KR 1020100019997 A KR1020100019997 A KR 1020100019997A KR 20100019997 A KR20100019997 A KR 20100019997A KR 100969815 B1 KR100969815 B1 KR 100969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reservoir
circulating water
in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호
Original Assignee
송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진호 filed Critical 송진호
Priority to KR1020100019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5Check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매트나 찜질팩 등에 온수를 순환공급시키기 위해 온수공급장치에 구비된 체크밸브의 개폐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체크밸브 개폐시 물과 부딪침 내지 내부 구조와의 부딪침 등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순환수가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순환수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순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체크밸브와,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저수조, 히터, 체크밸브 및 컨트롤러를 내장하여 보호하는 케이스와,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체크밸브 개폐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체크밸브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저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HOT WATER SUPPLY}
본 발명은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매트나 찜질팩 등에 온수를 순환공급시키기 위해 온수공급장치에 구비된 체크밸브의 개폐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체크밸브 개폐시 물과 부딪침 내지 내부 구조와의 부딪침 등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전에는 매트나 방석 등과 같이 따듯한 열기(온기)를 필요로 하는 제품이 원하는 시간에 즉시로 가열될 수 있도록 전기매트나 전기방석 등과 같이 전열선을 이용한 제품이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열선이 갖는 유해 전자파 및 발열이나 합선 등에 의한 화재나 감전 등의 위험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기를 이용한 발열 대신에 순환파이프를 통해 순환되는 온수를 발열시키는 온수매트, 찜질팩 등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이처럼 순환파이프를 통해 매트나 찜질팩 등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히터로 가열시키고 저수조의 물(순환수)을 순환파이프를 통해 순환시키는 펌프를 갖는 온수공급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의 온수공급장치는 작동되면 펌프가 저수조의 순환수를 지속적으로 순환파이프에 공급한다. 이 때 순환수를 순환파이프측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통상적으로는 소형의 원심소형펌프가 주로 사용이 되었는데, 이 경우 펌프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이 심하여 특히 잠자리에 사용되는 온수매트에서는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순환수를 순환파이프측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에 있어 원심소형펌프를 대체하여 순환수의 압력을 이용하여 배출시키는 체크밸브를 사용한 온수공급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데, 대표적으로 등록특허 제10-876939호(2008.12.24) 『온수 순환장치』를 들 수 있다.
그런데 등록특허 제10-876939호는 일면이 고정된 체크밸브의 개폐시 순환수와의 부딪힘 내지 내부 구조와의 부딪힘을 제어해 줄 수 있는 구조가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아,
기존 원심소형펌프를 사용한 온수매트보다는 소음 감쇄 효과를 가지고는 있으나, 역시 체크밸브가 작동함에 따라 소음이 발생되어 상품성을 떨어뜨린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소음발생만이 아니라, 순환수가 체크밸브를 통과할 때 체크밸브의 개폐 정도가 커짐에 따라 이에 대한 반발작용이 심화되어 순환수의 출력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결국 이는 히팅 성능에도 영향을 주고, 체크밸브와의 다른 부품간의 부닺힘에 의해 부품에 대한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체크밸브를 저수조(등록특허 제10-876939호에서는 "물탱크"로 표현되어 있음)에 체결시킴에 있어 사용되는 볼트가 저수조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순환수에 노출되는 구조여서 순환수 접촉에 의해 볼트 주변부로는 녹이 생겨 장시간 사용시 내구성 면에 있어서도 떨어진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전기매트의 대용으로 안내되고 있는 온수매트의 상품화 성공 여부는 온수공급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특히, 소음은 숙면을 방해하게 되어 소비자의 제품 구매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내구성 등의 성능을 얼마나 향상시킬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닌데,
기존 개시되어 있는 온수공급장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체크밸브 작동시 체크밸브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구조를 체크밸브 내에 구비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저감수단을 갖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음저감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체크밸브 내에는 미세 조직의 다공을 갖는 필터부재를 함께 구비하도록 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이물질 제거 및 기포분쇄효과를 함께 누릴 수 있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음저감효과뿐만 아니라 순환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함께 구비된 소음저감수단을 갖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볼트를 이용해 체크밸브를 저수조에 부착시킴에 있어 볼트와 순환수의 접촉이 차단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볼트 결합 주변으로 녹이 생겨 부식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는,
순환수가 저장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순환수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순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체크밸브와,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저수조, 히터, 체크밸브 및 컨트롤러를 내장하여 보호하는 케이스와,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체크밸브 개폐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체크밸브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저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온수공급장치에 구비된 체크밸브는,
저수조에 접하여 체결되기 위한 플렌지부와, 상기 플렌지부에서 연결형성되어 순환수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저수조에 내장된 순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순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 일면에 고정되어 순환수의 압력에 따라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소음저감수단은,
상기 유입구 개폐에 따른 밸브체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판과, 상기 밸브체와 제한판 사이에 구비되어 밸브체의 이동거리 확보를 위한 이격체와, 기 제한판 다음에 위치하여 순환수에 대한 필터링을 위한 필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음저감수단에 있어 제한판은, 유입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림부와, 유입부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된 관통부와, 원통체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로 이루어져 순환수의 역류 방지가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온수공급장치에서는
저수저와 체크밸브의 플렌지부 사이에는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실리콘 패킹이 더 구비되고, 상기 플렌지부에는 볼트가 삽입되어 체크밸브를 저수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되, 체결부는 삽입 체결되는 볼트와 순환수의 접촉이 차단되는 형상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체크밸브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체크밸브 내에서 간단히 차단시킬 수 있는 소음저감수단을 구비하여 소음이 저감된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소음저감수단은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체크밸브 개폐 정도를 제한함으로 인해 순환수의 출력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게되고, 기존 온수공급장치에 비해 히팅 성능 및 각 부품의 수명 또한 늘릴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미세 조직의 다공을 갖는 필터부재를 함께 구비하여 소음저감효과를 배가시키고 이물질 제거 및 기포분쇄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구비된 소음저감수단은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일방향으로 배출된 순환수의 역류 현상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온수공급장치의 안정된 작동을 보장하게 되었고, 또한 녹이 스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게 되었는바,
종국적으로는 온수공급장치로써의 상품성을 향상시켰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 공급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 공급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주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주변 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구성부품을 모두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도 2는 도 1을 기준하여 온수공급장치를 뒤집은 상태에서의 분해 사시도임), 본 발명의 온수 공급 장치는 저수조(40), 히터(30), 제1노즐(51), 제2노즐(56), 체크밸브(60), 컨트롤러(C), 그리고 이들을 내장하여 보호하는 케이스(1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온수매트(2)와 찜질팩(1) 등에 온수를 공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0)는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가 맞물려 조립결합되고, 상부케이스(11) 상부면에는 캡(20)과, 상기 컨트롤러(70)와 연결되는 조작부(80)가 구비된다.
상기 저수조(40)는 순환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순환수의 양을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된 상기 저수조(40)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에는 투시홀(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수조(40)의 측면에는 상기 투시홀(13)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투시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40)의 상부 개구부를 밀폐하여 순환수의 자연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케이스(11) 내면이 상기 저수조(40)의 개구부를 덮고, 상기 상부케이스(11) 내면에는 상기 저수조(40)의 개구부 테두리 전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5)에는 패킹(91)이 구비되어 저수조(40)와 상부케이스(11)의 접촉면 틈새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1) 상부면에는 상기 저수조(40)의 개구부와 연통되어 순환수 보충을 위한 순환수 투입구(1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입구(19)에는 상기 캡(20)이 결합된다.
상기 캡(20)이 결합되는 투입구(19)는 저수조(40) 내의 순환수가 자연증발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통로가 되므로, 투입구(19)를 통한 자연증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투입구(19) 주변에는 상기 캡(20)의 내외면이 삽입 접촉되는 환형홈(16)을 형성시키고, 상기 환형홈(16)의 내측에는 삽입부(17)와, 상기 삽입부(17)와 연결되어 있는 걸림부(18)를 형성시켰다.
그리고 상기 캡(20)의 내면에는 상기 삽입부(17)에 삽입된 후에 회전하여 상기 걸림부(18)에 걸리는 걸림턱(21)을 돌출 형성시켰다. 그리하여 환형홈(16)이 캡(20)의 내외면을 감싸고, 걸림턱(21)에 의해 환형홈(16)과 캡의 내외면에 보다 긴밀히 접촉되어 순환수가 자연증발하여 방출될 수 있는 통로를 최소화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40)는 격리판(41)에 의해 둘로 분리되어, 일측은 온수매트(2)에 순환수를 순환공급하고, 타측은 찜질팩(1)에 순환수를 순환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격리판(41)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각각의 저수조(40)에는 채워져 있는 순환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C)로 전송하는 수위감지센서(97)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저수조(40)의 내부가 아닌 외주면에 설치하여 기존 내부 설치시 문제되었던 사용기간이 흐름에 따라 물때가 생겨 감지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하였다.
그리고 또한 상기 저수조(40)에는 순환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C)로 전송하는 온도감지센서(미도시)가 장착되는데,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저수조(40)와 노즐을 연결하는 관로(93)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30)는 순환수를 가열시키고, 부식이나 물 때 등에 의해 순환수를 오염시키는 것을 최소화하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저수조(40)와 상기 제1, 2 노즐(51, 56)을 연결하는 관로(93) 상에 설치된다.
상기 히터(30)는 상기 관로(93) 상에 설치되어 순환수가 유입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에 부착되고 상기 컨트롤러(C)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몸체(31)를 가열시키는 열전소자(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30)의 몸체(31)는 열전도율이 뛰어난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표면처리를 통해 표면에 양극산화피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극산화피막에는 초산염 또는 황산염의 금속이 석출되어 있다.
표면처리를 통해 몸체(31) 표면의 양극산화피막에 은 또는 동, 또는 은 및 동이 석출하고 있으므로, 항균성, 탈취성, 열전도성이 높아져, 순환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빨리 가열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몸체(31)의 표면처리는 황산욕, 수산용 또는 이들의 혼합욕에 금속의 초산염(초산은 또는 초산동) 또는 금속의 황산염(황산은 또는 황산동)을 첨가한 전해액에 몸체(31)를 넣고 펄스파 전류를 전해액에 인가하여 전해처리하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31)에는 상기 열전소자(36)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32)이 형성되어 있고, 순환수가 흐르는 몸체(31)의 내면에는 순환수와의 접촉면적을 늘려 순환수의 가열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수의 스트립(3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노즐(51) 및 제2노즐(56)에서, 연결부(52, 57)의 일측은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되고, 연결부(52, 57)의 타측은 케이스(10)에 노출되도록 케이스(10)에 장착되는데, 상기 연결부(52, 57)의 일측은 상기 관로(93)와 연결되고, 연결부(52,57)의 타측은 상기 순환파이프(95)와 연결되어, 각각 온수매트(2)와 찜질팩(1)에 순환수를 순환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1노즐(51) 및 제2노즐(56)의 양측 연결부(52, 57)에는 외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단턱부(53, 58)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관로(93)와 상기 순환파이프(95)는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52, 57)는 상기 관로(93) 또는 순환파이프(95)에 쉽게 삽입되어 결합되되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체크밸브(6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체크밸브(60)는 압력차에 의해 상기 저수조(40) 내의 순환수를 펌핑하여 순환수가 순환파이프(95)를 통해 저수조(40)와 온수매트(2) 또는 찜질팩(1) 사이를 순환하도록 한다. 상기 체크밸브(60)는 도면과 같이 저수조(40) 내에 장착될 수 있고, 저수조(40) 밖의 관로(93)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60)는 저수조(40)에 접하여 체결되기 위한 플렌지부(62)와, 상기 플렌지부에서 연결형성되어 순환수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원통체(61)와, 그리고 원통체 일면에 고정되어 순환수의 압력에 따라 순환수를 배출시키는 밸브체(6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통체(61)는 저수조(40)에 내장된 순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61a)과 유입된 순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6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61b)는 저수조(40)의 유출부(O)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61) 내부 일면에는 돌출핀(61c)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밸브체(63)가 끼워지고 이후 물림링(64)이 삽입됨으로써, 밸브체(63) 일면을 원통체(61)에 고정시키게 된다.
특히, 물림링(64)의 내측으로는 물림링이 돌출핀(61c)을 향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된 걸림편(64a)이 형성되어 있어 일단 삽입된 물림링(64)은 빠져나오지 않고 긴밀히 고정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체크밸브(60)의 원통체에는 은나노로 된 캡을 씌울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체크밸브(60) 내부에는 밸브체(63)의 개폐 정도를 제한하여 소음발생을 방지하는 소음저감수단이 구비되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체(61) 내부에는
유입구(61a) 개폐에 따른 밸브체(63)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판(71)과, 밸브체(63)와 제한판(71) 사이에 구비되어 밸브체(63) 이동거리 확보를 위한 이격체(72)와, 그리고 제한판(71) 다음에 위치하는 필터부재(7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체(63)가 수압에 의해 유입구(61a)를 개방시킨다 하더라도 그 이동거리가 제한판(71)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순환수와의 부딪힘 및 그리고 다시 유입구(61a)를 폐쇄시킬 때 원통체와 부딪힘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소음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73)는 미세 조직의 다공이 형성된 구조로 원통체(61) 내부에서 이격체(72)와 제한판(71) 다음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필터부재(73)가 구비됨으로 인해 순환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과를 비롯하여 기포 분쇄 및 이로 인해 상기 제한판(71)과 함께 소음을 감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73)는 이격체(72)와 제한판(71)이 위치하고 남은 원통체(61)의 내부 공간을 모두 채울 수 있는 크기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한판(7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한판은
유입구(61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림부(71a)와, 상기 유입구(61a)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된 관통부(71b)와, 그리고 상기 원통체(61)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71c)로 이루어진다.
즉, 유입구(61a)와 엇갈린 위치에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순환수를 유출부(O) 및 순환파이프(93) 측으로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일단 내보내진 순환수가 다시 유입구(61a)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71c)에는 결합공(71d)이 형성되어 있어 원통체에 형성된 돌출핀(61c)에 삽입된다. 다만, 상기 제한판(71)은 돌출핀(61c)에 삽입되는 정도면 족하고 밸브체(63)와 같이 물림링을 통해 이를 고정시킬 필요는 없다. 이는 이후 위치하는 필터부재(73)가 원통체의 나머지 공간을 채우게 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소음저감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체(72)의 구조를 달리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이격체는 띠 모양으로 원통체에서 분리되는 구조였으나, 도 7에 도시된 이격체(72)는 원통체에 일체되어 형성되는 구조로 단턱과 같은 구조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이격체(72)는 일면이 원통체에 고정된 밸브체(63)의 이동거리 확보를 위해 필요한 구성인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위한 구조라면 여러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소음저감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저감수단이 구비되기 위한 체크밸브의 구조는 앞서 설명된 구조와 동일하고, 상기 돌출핀(61c)에 루프 형성의 탄성체인 제한핀(75)을 밸브체(63)와 함께 고정시켰는데,
이로 인해 밸브체(63)가 들어올려져 유입구(61a)를 개방시킨다 하더라도 제한핀(75)의 복원력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정도가 제한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여러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 소음저감수단이 구비된 체크밸브(60)에는 역순환밸브(120)가 구비된다.
상기 역순환밸브(120)는 저수조에서 체크밸브로 유입되는 순환수나 순환파이프에서 체크밸브로 역순환되어 유입되는 순환수로 인해 체크밸브 내의 수압이 일정 이상 상승되면 체크밸브 내의 순환수를 저수조로 강제 배출시킴으로서 체크밸브 내의 수압과 순환파이프 내의 수압이 일정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순환파이프의 파열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데,
즉 도 5를 참조하면(도 5에서 별도 도시된 A는 역순환밸브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B는 결합 단면도임),
체크밸브(60)에는 역순환밸브(120)가 구비되기 위한 배출홀(65)이 형성된다.
그리고 역순환밸브는, 삽입부(121), 덮개부(124), 소음저감부재(1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삽입부(121)는 상기 체크밸브(6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홀(65)에 삽입되고, 그 길이는 체크밸브(60)의 벽체 두께 보다 길어 일정범위에서 승하강이 가능하고, 최대 직경은 배출홀(65)의 내경보다 작으며 양측에는 절개부(123)가 형성되어 체크밸브(60) 내의 순환수가 배출홀(65)과 삽입부(121)의 틈새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삽입부(121)의 하부에는 체크밸브의 벽체 내면에 걸리는 걸림부(122)가 형성되어 있어 순환수의 수압에 의해 승강시에 배출홀(6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덮개부(124)는 상기 삽입부(121) 상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출홀(65)을 포함하여 체크밸브의 외면을 덮는다. 그리고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순환수가 원활하게 순환되는 때에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배출홀(65)을 폐쇄하고, 순환수가 원활하게 순환되지 못하여 체크밸브(60) 내의 수압이 상승하는 때에는 승강하여 배출홀(65)을 개방시켜 순환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특히, 덮개부(124)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의 일정 두께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는 이후 설명되는 소음저감부재(127)와의 긴밀한 접촉을 위해 돌출형성된 노름부(12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음저감부재(127)는 상기 삽입부(121)에 끼워져 배출홀(65)에서 배출되는 순환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데, 부직포나 스펀지 등이 사용되는 것인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체크밸브(60)는 저수조(40)에 부착되는데, 상기 체크밸브(60)가 저수조(40)에 바로 체결될 수도 있으나, 기밀성을 위해 체크밸브(60)와 저수조(40) 사이에 실리콘 패킹(P)을 구비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실리콘 패킹(P)은 체크밸브(60)의 플렌지부(6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체크밸브(60)의 배출구(61b)의 형상에 맞추어 내부가 통공되어 있다.
그리고 체크밸브(60)의 플렌지부(62)에는 볼트(B)가 체결되어 체크밸브를 저수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62a)가 사각형상의 플렌지부(62)의 네 모서리에 형성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가 삽입되는 부분(체결부의 상면)을 제외한 부분(체결부의 측면과 저면)은 순환수에 대한 볼트의 접촉이 차단되는 형상임을 알 수 있다(도 4의 확대 C부분 참조).
이는 볼트와 순환수의 접촉을 차단시켜 금속 소재인 볼트에 녹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저수조에 체크밸브를 고정시킴에 있어서도 저수조(40)에 체크밸브(60)를 위치시킨 후 저수조(40) 외부에서 볼트(B)를 삽입하여 체크밸브(6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40)에 있어 온수매트 내지 찜질팩 등을 순환하고 들어오는 순환수가 유입되는 유입부(I)에는 유입부용 필터(F)를 더 구비하여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C)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수위감지세서(97)와 온도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받고, 상기 조작부(80)로부터 명령신호를 받아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60) 및 히터(30)의 구동을 제어하고, 구동에 관련된 각종 사항을 상기 조작부(80)를 통해 표시한다.
상기 조작부(80)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10)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C)와 연결되고 각종 신호를 주고받는다.
상기 조작부(80)는 외부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되, 온수매트와 찜질팩 중 어디로 온수를 순환공급하고 조작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누르도록 되어 있는 구동스위치(81)와,
상기 구동스위치 양 옆으로 순환되는 순환수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온도스위치(82, 83)와,
순환되는 순환수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스위치(84)와, 상기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컨트롤러(C)로 전송한 순환수의 수온을 표시하는 제1 및 제2 온도표시부(84, 85)와,
상기 수위감지센서(97)가 감지하여 컨트롤러(C)로 전송한 저수조(40) 내의 순환수의 수위가 부족한지여부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부(86)와,
상기 히터(30)의 구동여부를 표시하는 히터(30) 구동표시부(8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맞물려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로 구성되고, 내측의 습기, 물기를 외부로 방출시켜 자연건조를 위한 건조홀(14)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상기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의 접촉면에는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암단턱(11a)과 수단턱(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소음저감형 온수 공급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20 : 캡 30 : 히터 40; 저수조
31 : 몸체 36 : 열전소자
51 : 제1노즐 56 : 제2노즐 60 : 체크밸브
61: 원통체 62; 플렌지부 63; 밸브체
64: 물림링 65; 배출홀
71: 제한판 72: 이격체 73: 필터부재 74: 제한핀
C: 컨트롤러 80: 조작부 120: 역순환밸브
121: 삽입부 124: 덮개부 127: 소음저감부재
P: 실리콘패킹 F: 유입부용 필터

Claims (5)

  1. 삭제
  2. 순환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순환수를 가열시키는 히터;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순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체크밸브;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저수조, 히터, 체크밸브 및 컨트롤러를 내장하여 보호하는 케이스; 및
    상기 체크밸브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체크밸브 개폐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체크밸브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저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크밸브는
    저수조에 접하여 체결되기 위한 플렌지부와,
    상기 플렌지부에서 연결형성되어 순환수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저수조에 내장된 순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순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 일면에 고정되어 순환수의 압력에 따라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음저감수단은
    상기 유입구 개폐에 따른 밸브체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판과,
    상기 밸브체와 제한판 사이에 구비되어 밸브체의 이동거리 확보를 위한 이격체와,
    상기 제한판 다음에 위치하여 순환수에 대한 필터링을 위한 필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판은
    상기 유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가림부와,
    상기 유입구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된 관통부와,
    상기 원통체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로 이루어져 순환수의 역류 방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
  4. 순환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순환수를 가열시키는 히터;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순환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체크밸브;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저수조, 히터, 체크밸브 및 컨트롤러를 내장하여 보호하는 케이스; 및
    상기 체크밸브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체크밸브 개폐정도를 제한함으로써 체크밸브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저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크밸브는
    저수조에 접하여 체결되기 위한 플렌지부와,
    상기 플렌지부에서 연결형성되어 순환수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저수조에 내장된 순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순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 일면에 고정되어 순환수의 압력에 따라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음저감수단은
    상기 밸브체에 일면이 고정되는 루프 형상의 탄성체인 것으로,
    복원력에 의해 유입구 개폐에 따른 밸브체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저와 상기 체크밸브의 플렌지부 사이에는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실리콘 패킹이 더 구비되고,
    상기 플렌지부에는 볼트가 삽입되어 체크밸브를 저수조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는 삽입 체결되는 볼트와 순환수의 접촉이 차단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
KR1020100019997A 2010-03-05 2010-03-05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 KR100969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997A KR100969815B1 (ko) 2010-03-05 2010-03-05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997A KR100969815B1 (ko) 2010-03-05 2010-03-05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815B1 true KR100969815B1 (ko) 2010-07-20

Family

ID=4264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997A KR100969815B1 (ko) 2010-03-05 2010-03-05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8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236A1 (ko) * 2012-07-20 2014-01-23 Shin Yoon Min 온수 보일러와 난방 배관용 파이프 및 그 설치구조
KR101408439B1 (ko) 2012-07-20 2014-06-17 신윤민 온수 보일러
KR101408614B1 (ko) 2012-07-20 2014-06-17 신윤민 온수 보일러의 히터 설치 구조
KR101449832B1 (ko) 2013-02-18 2014-10-13 채현기 무동력 난방 장치의 체크밸브
KR101494358B1 (ko) 2014-06-05 2015-02-23 김덕찬 중량부 밸브판을 구비하는 소음저감형 소형 보일러용 이중 체크 밸브
WO2015099360A1 (ko) * 2013-12-23 2015-07-02 김영정 유체 순환식 난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231A (ja) * 1996-11-08 1998-05-26 Samsung Electron Co Ltd 圧縮機用バルブアセンブリー
KR100763585B1 (ko) * 2007-06-01 2007-10-04 박연홍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231A (ja) * 1996-11-08 1998-05-26 Samsung Electron Co Ltd 圧縮機用バルブアセンブリー
KR100763585B1 (ko) * 2007-06-01 2007-10-04 박연홍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6685A (ja) * 2012-07-20 2015-09-10 ミン シン,ユーン 温水ボイラーと暖房配管用パイプ及びその設置構造
KR101408439B1 (ko) 2012-07-20 2014-06-17 신윤민 온수 보일러
KR101408614B1 (ko) 2012-07-20 2014-06-17 신윤민 온수 보일러의 히터 설치 구조
EP2894416A4 (en) * 2012-07-20 2016-10-12 Yoon Min Shin HOT WATER BOILERS, HEATING TUBES AND INSTALLATION STRUCTURE FOR THIS
CN104471324A (zh) * 2012-07-20 2015-03-25 申允珉 热水锅炉和制热管用管道及其设置结构
WO2014014236A1 (ko) * 2012-07-20 2014-01-23 Shin Yoon Min 온수 보일러와 난방 배관용 파이프 및 그 설치구조
KR101449832B1 (ko) 2013-02-18 2014-10-13 채현기 무동력 난방 장치의 체크밸브
WO2015099360A1 (ko) * 2013-12-23 2015-07-02 김영정 유체 순환식 난방장치
KR101592536B1 (ko) 2013-12-23 2016-02-05 김영정 유체 순환식 난방장치
CN105934639A (zh) * 2013-12-23 2016-09-07 金永净 流体循环式供暖装置
JP2017505891A (ja) * 2013-12-23 2017-02-23 ヤン ジョン キム 流体循環式の暖房装置
CN105934639B (zh) * 2013-12-23 2019-03-08 金永净 流体循环式供暖装置
US10488076B2 (en) 2013-12-23 2019-11-26 Young Jung Kim Fluid circulation type heating apparatus
KR101494358B1 (ko) 2014-06-05 2015-02-23 김덕찬 중량부 밸브판을 구비하는 소음저감형 소형 보일러용 이중 체크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815B1 (ko)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
CN106882758B (zh) 饮用水供应装置
KR20100114151A (ko) 이동식 라디에이터
CN108451480B (zh) 清洗装置
KR20090094896A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의 역 지변 밸브판
KR101347990B1 (ko) 물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온수조절기를 적용한 온수매트
KR100874993B1 (ko)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CN102679558A (zh) 一种有序排出承压缸体内液体的装置
KR101195436B1 (ko) 온수보일러
KR101177499B1 (ko) 냉온수기
KR101006860B1 (ko) 냉온 정수기
KR20160145706A (ko)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KR20100116731A (ko) 역순환밸브를 구비한 온수 공급장치
KR101160796B1 (ko) 온수 매트용 배관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 매트 어셈블리
KR101153122B1 (ko) 온수 자연 순환 난방장치
KR200474239Y1 (ko) 콤팩트형 체결 구조를 갖는 온수공급장치
KR101549549B1 (ko) 냉온수 공급장치
CN212117861U (zh) 一种家用小型化蒸饭柜
KR101274498B1 (ko) 온수매트용 체크 밸브
CN209669540U (zh) 用于清洗设备的循环泵及洗衣机
KR20140049671A (ko) 온수보일러를 이용한 온열매트
KR20130015778A (ko) 체크밸브 및 이 체크밸브가 이용되는 무동력 난방장치
JP2003139413A (ja) 太陽光利用温水システム、太陽光温水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86245B2 (ja) 温水供給装置
KR200472263Y1 (ko)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