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990B1 - 물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온수조절기를 적용한 온수매트 - Google Patents

물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온수조절기를 적용한 온수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990B1
KR101347990B1 KR1020120078177A KR20120078177A KR101347990B1 KR 101347990 B1 KR101347990 B1 KR 101347990B1 KR 1020120078177 A KR1020120078177 A KR 1020120078177A KR 20120078177 A KR20120078177 A KR 20120078177A KR 101347990 B1 KR101347990 B1 KR 101347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mat
regulato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민
Original Assignee
전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동민 filed Critical 전동민
Priority to KR1020120078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6Casings, cover lids or ornamental panels, fo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온수매트의 온수조절기에서 물이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물역류방지장치는 3 가지형태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는 온수조절기 및 매트 내부의 모든 물을 충분히 저장할 수 있는 역류수조를 두어 온수조절기에 결합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일정분의 물을 저장하는 역류수조와 역류수조 상부에 하부압력조절구를 통과한 물의 부력에 의해 역류수조 상부에 위치한 부유구가 상승하여 압착판에 밀착, 상부압력조절구를 막음으로써 외부와 내부를 차단하는 형태이며, 세 번째는 일정 분의 물을 저장하는 역류수조를 두고 그 상부에 압력밸브를 설치하여 물이 순환될 때는 압력 차이에 의하여 압력밸브가 열리면서 내부와 외부 간 공기나 증기의 왕래가 가능하나 물의 순환이 중단되면 압력밸브가 닫힘으로써 밀폐된 역류수조 내부 공간의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온수조절기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형태이다.

Description

물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온수조절기를 적용한 온수매트 {Heating mat equipped with hot-water regulator installed backward flowing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온수매트에 사용되는 온수조절기의 물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매트용 온수조절기의 순환펌프가 가동을 중지하는 등 온수의 순환이 중지될 경우 외부의 압력이나 지구 중력에 의하여 물이 역류하여 온수조절기를 넘쳐흘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온수매트의 온수조절기용 물역류방지장치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수매트의 온수조절기 내 온수가 외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역류방지장치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매트는 전기매트와 온수매트로 구분된다. 그러나 전기매트는 화재 또는 감전사고의 위험과 더불어 전자파가 발생하여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어 온수매트가 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대중적으로 쓰이고 있는 온수매트의 형태는 온수조절기, 온수관과 매트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는데, 온수조절기에서 가열된 온수를 온수관을 통해 순환시켜 매트가 발열 되도록 한다.
그 중 매트의 형태와 제작방법은 매우 다양하게 제안돼 있다.(출원번호 10-2006-0078274, 10-2007-0005306, 10-2008-0040108, 10-2008-0089955, 10-2008-0081143, 10-2009-0093731)
그러나 일반적으로 열 압착된 2~5Cm 두께의 견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홈을 파서 원통 형태를 유지한 PVC로 제작된 순환관(8~9mm)을 심은 후 상부에 합성수지나 섬유를 보강재로 하여 덮고, 하부에는 미끄럼 방지 역할을 하는 섬유나 재질을 결합하여 제작되어 지고 있다.
각 부분의 재질이나 매트의 제작방법은 여러 가지로 제안돼 있으나 기본적인 형태는 크게 차이가 없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온수관을 내부에 심은 매트는 온수관 및 수차례에 걸친 다양한 소재의 보강재 결합으로 부피가 커지고 무게가 무거워져 운반과 보관 시 불편함이 많으며 열이 매트의 표면까지 전달되는 데 있어 여러 소재를 발열시켜야 하기 때문에 열 손실이 많아져 열효율이 떨어지며 매트 내부에 온수관을 심기 위한 복잡한 제작과정을 거쳐야 한다.
최근 제안된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온수매트(출원번호 10-2011-0095692)는 온수관을 심는 일반적인 매트와 차별화된 방법으로 상기 언급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두 개의 매트 소재를 융착하되, 삽입부가 형성되도록 일부가 융착되지 않는 매트;에 삽입부로 유입관을 통하여 온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배출관을 통하여 온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분리되도록 융착하여 유입부에서 배출부로 온수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를 만들어 매트 내부에 온수관이 없이 직접 온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의 온수매트이다.
온수조절기 역시 여러 가지의 형태와 제작방법이 제안돼 있으나(출원번호 10-2006-0078274, 10-2007-0025881, 10-2007-0020396, 10-2008-0033577, 10-2008-0001549, 10-2008-0002113, 10-2008-0053824, 10-2010-0060926)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먼저 ① 온수조절기 케이스 내부에 물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체를 구비한 물탱크실;과 물탱크실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압력조절장치; 및 물탱크실에 연결되어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순환펌프; 온수 가열과 순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전원 인가 시 물탱크실의 발열체에 의해 물이 가열되고 순환펌프에 의하여 온수관을 통하여 매트로 온수가 순환되게 하는 형태이다.
또 다른 형태는 ② 상기 언급한 ①과는 달리 순환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물탱크실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형성된 온수를 증기압력을 이용하여 매트 내부로 순환 공급하는 형태(출원번호 10-2008-0001549);와
물탱크실에서 유입되는 물을 발열체를 포함한 원뿔 형상을 갖는 발열부 내로 공급하여 가열하여 대류현상과 베르누이법칙에 의해 매트 내부로 순환 공급하는 형태(출원번호 10-2008-002113); 및
물탱크실 내부에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적당 크기의 압력탱크를 두고 압력탱크와 발열체가 부착된 금속 파이프를 연결하여 발열체에 의해 금속 파이프 속의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물은 부피가 확장되는 특성으로 그 압력에 의해 매트로 유입되며 이로 인하여 압력탱크 속의 압력이 낮아져 체크밸브가 열리고 물탱크실의 물이 압력탱크로 유입되는 순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출원번호 10-2010-0019997);이다.
즉, 모터를 포함한 순환펌프로 온수를 순환시키는 구조와 압력 차이와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온수를 순환시키는 구조 두 가지 방법으로 분류된다.
이상과 같이 매트와 온수조절기에 대한 제안돼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온수관을 심는 일반적 형태를 갖는 매트의 단점과 문제점들을 해결한 온수매트(출원번호 10-2011-0095692)는 이동성, 열효율성 및 경제성 면에 있어서 진보된 형태의 매트이다.
그러나 이 매트는 온수관을 심고 압착에 의해 내부 보강재를 포함한 매트와는 달리, 소재와 형태로 인하여 전원이 차단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 도달 시 온수조절기의 온수 순환 기능이 중지되면 매트 상부의 하중, 즉 사용자나 이불과 같은 물체의 무게 등에 의한 외부의 압력이나 지구 중력에 의한 자체 압력을 지탱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매트 내부로 유입된 온수는 매트의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밀착되면서 온수조절기 내의 물탱크실로 역류되고; 물탱크실 내부에 있던 물과 합쳐져 물탱크실 외부로 흘러넘치게 되며; 종래에는 온수조절기 외부로 물이 역류한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언급한 ①과 ② 모든 형태의 온수조절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단순히 물 역류만의 문제점이 아니라 온수조절기 절연에 중대한 문제를 초래하며 더 나아가 감전사고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상기 언급한 온수매트(출원번호 10-2011-0095692)는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장점에도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여러 형태의 온수조절기(①과 ②)에 물역류방지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융착하여 그 내부에 온수이동통로를 만들어 매트 내부에 직접 온수를 순환시키는 특징이 있는 온수매트에 있어 물의 역류로 인한 온수조절기 외부로의 물 역류, 온수조절기 폭발, 온수조절기 절연파괴, 사용자의 감전사고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온수조절기용 물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목적물인 물역류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개념의 형태로 제안된다.
㉮ 온수조절기(①과 ②)에 물을 보충하는 물 주입구와 연결되는 하부연결부;와
온수조절기에서 역류한 물을 충분히 저장하는 공간을 가지는 역류수조;와
상부에 온수조절기 내부 및 역류수조에서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상부압력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역류방지장치A
㉯ 온수조절기(①과 ②)에 물을 보충하는 물 주입구와 연결되는 하부연결부;와
온수조절기에서 역류한 물의 일정분을 저장하는 공간을 가지는 역류수조;와
역류수조 상부에 온수조절기 내부 및 역류수조에서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고 역류된 물이 역류수조를 채운 후 역류수조를 빠져나가는 하부압력조절구;와
하부압력조절구에서 흘러나온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PVC 재질로 제작된 부유구;와
부유구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부유구이동통로;와
역류된 물로 인하여 부유구이동통로를 따라 부유구가 위로 상승할 경우 부유구가 부유구이동통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차단하는 내열성 고무 재질로 제작된 압착판; 및
덮개와 연결되는 상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부;에
상부연결부로 수조부와 연결되어 중앙에 부유구이동통로를 통과한 증기가 배출되는 상부압력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역류방지장치B
㉰ 온수조절기(①과 ②)에 물을 보충하는 물 주입구와 연결되는 하부연결부;와
온수조절기에서 역류한 물의 일정분을 저장하는 공간을 가지는 역류수조;와
덮개와 연결되는 상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부;에
상부연결부로 수조부와 연결되어 최상부 중앙에 증기를 배출하는 상부압력조절구;와
상부압력조절구 하부에 수직으로 호 형상을 지닌 곡면을 두어 곡면 가장자리에 하부압력조절구;를 구비하고,
곡면 중앙에 압력밸브지지구;를 형성시키고,
곡면 하부에서 압력밸브지지구를 통과하여 압력에 민감한 내열성 고무 재질의 압력밸브;를 삽입시켜,
곡면 하부에 완전 밀착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역류방지장치C
이상의 세 가지 형태의 물역류방지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온수조절기와 연결되는 하부연결부의 지름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종류의 온수조절기(①과 ②)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역류방지장치의 제작방법은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되어지는데, 세 가지 형태 모두 온수매트의 온수조절기의 물 주입구와 연결되어져, 매트 내부에 있던 온수가 역류되어 온수조절기의 물탱크실을 거쳐 역류한 물을 충분히 저장할 수 있는 역류수조를 갖춘 형태;와 역류한 물 일정분을 저장할 수 있는 역류수조 내에 역류한 물이 차올라 상부에 위치한 부유구를 상승시켜 덮개에 위치한 상부압조절구를 밀폐시킴으로써 외부로의 물 역류를 방지하는 형태; 및 물의 순환 시에는 압력 차이로 인하여 열린 압력밸브가 전원 공급의 중단 등으로 순환이 중단될 경우 하부압력조절구를 막음으로써 수조부를 밀폐시켜 수조부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온수조절기에서 하부연결부로 역류되는 물이 수조부 내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여 외부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이다.
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역류방지장치는 보관의 편이성, 이동의 용이성, 열효율성, 제작의 간편성 및 제작비용의 경제성 등 기존 온수관을 심은 매트에 비해 진보된 형태를 가진 온수매트(출원번호 10-2011-0095692)의 문제점인 물의 역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문제점의 해결은 단순히 외부로의 물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넘어서 역류로 인한 온수조절기의 절연과 관련된 문제와 감전사고 등을 방지함으로써 편리하고 간편하며 안전한 온수매트를 제작하여 공급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어 지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역류방지장치A가 온수조절기와 매트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역류방지장치A
도 4는 본 발명의 물역류방지장치B가 온수조절기와 매트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역류방지장치B
도 6은 본 발명의 물역류방지장치C가 온수조절기와 매트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역류방지장치C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실시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기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어 지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온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0)과 배출관(120)을 포함하고 있는 삽입부를 제외하고 융착되며, 두 부재 사이의 내부는 물이 유입되지 않는 수압상승띠(150)와 온수이동통로(140) 및 유입된 온수가 바로 배출되지 않고 매트(105) 내부를 충분히 순환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분리막(13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서 매트(105) 상부에 실선 원으로 표시된 부분을 수직으로 절단한 매트수직단면도(ⓐ)를 보면 좀 더 쉽게 내부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매트후면도(16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수관을 심지 않았기 때문에 그 두께와 부피가 온수관을 심은 매트에 비하여 훨씬 작다.
온수조절기에서 나온 온수는 유입관(110)을 통하여 매트(105) 내부로 직접 주입되어 온수이동통로(140)를 따라 순환하며, 이때 온수의 순환 압력과 온도에 의해 수압상승띠(150)가 부풀어 오르면서 열을 전달받게 되어 매트(105) 상부의 온도가 상승한다.
분리막(130)으로 인하여 매트(105) 내부를 충분히 순환한 온수는 배출관(120)을 통하여 다시 온수조절기로 흘러들어간다.
도 2는 본 발명 목적물의 한 가지 형태인 물역류방지장치A(200)가 온수조절기(100)와 결합하고, 도 1에서 설명한 매트(105)에 적용시켜 나타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온수조절기(100) 상부에 물역류방지장치A(200)를 결합시키고 온수조절기(100)에 매트(105)의 물 유입관(110)과 배출관(120)을 연결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물역류방지장치A(200)를 좀 더 상세하게 각각 물역류방지장치A 평면도(ⓑ), 물역류방지장치A 수직단면도(ⓒ), 물역류방지장치A 하면도(ⓓ)와 물역류방지장치A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물역류방지장치A(200)는 온수조절기(100) 내부 및 역류수조a(220)에서 발생된 증기를 배출하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상부압력조절구a(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역류방지장치A(200)의 작동원리는 앞서 상술한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온수조절기(100)에서 물이 역류하면, 그 역류한 물을 충분히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역류수조a(220)에 모두 저장됨으로써 외부로 물이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매트(10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두께와 부피가 작으므로 적은 양의 물로도 온수 순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기 때문에 온수매트 전체에 필요한 물의 양도 상대적으로 온수관을 심은 매트보다 훨씬 적다.
따라서 역류수조a(220)로 역류하는 물을 충분히 저장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물역류방지장치A(200)를 온수조절기(100)에 결합하기 쉽도록 물역류방지장치A(200) 표면에 반구음각(270)을 음각하는 것도 이 물역류방지장치A(200)의 또 다른 특징이다. 아울러 물역류방지장치A(200)의 궁극적 발명 사유는 기존 PVC 순환관을 내부에 심은 매트에 사용되는 온수조절기(①과 ②)를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의 활용의 극대화와 사용자 입장에서의 비용의 최소화에 있다.
도 4는 본 발명 목적물의 한 가지 형태인 물역류방지장치B(300)가 온수조절기(100)와 결합하여, 도 1에서 설명한 매트(105)에 적용시켜 나타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온수조절기(100) 상부에 물역류방지장치B(300)를 결합시키고 온수조절기(100)에 매트(105)의 물 유입관(110)과 배출관(120)을 연결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물역류방지장치B(300)를 좀 더 상세하게 각각 물역류방지장치B 평면도(ⓕ), 물역류방지장치B 수직단면도 확대도(ⓖ), 물역류방지장치B 하면도(ⓗ), 물역류방지장치B 수직단면도(ⓘ)와 물역류방지장치B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물역류방지장치B(300)는 수조부b(305)와 덮개b(370)로 나누어진다.
수조부b(305)는 하부연결부b(310)에 의하여 온수조절기(100)에 물을 보충하는 물 주입구와 결합하고 그 내부에 온수조절기(100)에서 역류한 물 일정분을 저장하는 공간을 가지는 역류수조b(320)와 역류수조b(320) 상부에 온수조절기(100) 내부 및 역류수조b(320)에서 발생한 증기를 배출하여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고 역류한 물이 역류수조b(320)를 채운 후 역류수조b(320)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8 개의 하부압력조절구b(340)를 두고 하부압력조절구b(340)에서 흘러나온 물의 부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PVC 재질로 제작된 부유구(350)와 부유구(350)가 좌우로 움직이고 않고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부유구이동통로(390)를 갖으며 역류된 물로 인하여 부유구이동통로(390)를 따라 부유구(350)가 위로 올라갈 경우 부유구(350)가 부유구이동통로(390)를 벗어나지 않도록 차단하는 내열성 고무 재질로 제작된 압착판(380)과, 덮개b(370)와 결합하기 위한 상부연결부b(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b(370)는 수조부b(305)의 상부연결부b(360)로 수조부b(305)와 결합되어 부유구이동통로(390)를 통과한 증기가 배출되는 상부압력조절구b(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역류방지장치B(300)의 작동원리는 앞서 상술한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온수조절기(100)에서 물이 역류하면, 그 역류한 물은 역류수조b(320)를 채우게 되고 이후 하부압력조절구b(340)를 통과하여 역류한 물의 부력에 의해 부유구(350)는 상승하여 압착판(380)과 밀착하여 상부압력조절구b(330)를 완벽히 막음으로써 역류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아울러 압착판(380)은 내열성 고무 재질로 제작돼 덮개b(370)와 완벽히 밀착함으로써 역류한 물을 차단하는 또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특징이다.
도 6은 본 발명 목적물의 한 가지 형태인 물역류방지장치C(400)가 온수조절기(100)와 결합하여, 도 1에서 설명한 매트(105)에 적용시켜 나타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온수조절기(100) 상부에 물역류방지장치C(400)를 결합시키고 온수조절기(100)에 매트(105)의 물 유입관(110)과 배출관(120)을 연결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물역류방지장치C(400)를 좀 더 상세하게 각각 물역류방지장치C 평면도(ⓛ), 물역류방지장치C 수직단면도(ⓜ), 물역류방지장치C 하면도(ⓚ)와 물역류방지장치C 수직단면도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물역류방지장치C(400)는 수조부c(405)와 덮개c(470)로 나누어진다.
수조부c(405)는 하부연결부c(410)에 의하여 온수조절기(100)에 물을 보충하는 물 주입구와 결합하고 그 내부에 온수조절기(100)에서 역류한 물 일정분을 저장하는 공간을 가지는 역류수조c(420)와 역류수조c(420)가 덮개c(470)와 결합하기 위한 상부연결부c(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c(470)는 수조부c(405)의 상부연결부c(460)로 수조부c(405)와 결합되며 최상부 중앙에 상부압력조절구c(430)를 두고 그 하부에 수직으로 호 형상을 지닌 곡면을 두어, 가장자리에 4 개의 하부압력조절구c(440)와 곡면 중심에 압력밸브지지구(480)를 가지며 압력밸브지지구(480)에는 압력에 민감한 내열성 고무 재질의 압력밸브(450)를 삽입하여 압력밸브(450)가 완벽히 곡면 하부에 밀착되어 수조부c(405)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역류방지장치C(400)의 작동원리는 온수조절기(1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순환펌프 또는 증기압, 대류현상 등에 의하여 온수가 유입관(110)을 통하여 매트(105)로 순환될 때 매트(105) 쪽으로 빠져나가는 물의 압력에 의해 온수조절기(100) 내부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때 하부연결부c(410)로 결합한 물역류방지장치C(400)의 수조부c(405) 내부 압력이 낮아지게 되며 낮아진 압력으로 인하여 수조부c(405) 상부에 위치한 압력밸브(450)의 가장자리가 압력에 의하여 미세하게 열리게 됨으로써 하부압력조절구c(440)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압력밸브(450)가 열려있는 동안 온수조절기(100) 내부와 수조부c(405)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는 하부압력조절구c(440)를 거쳐 상부압력조절구c(430)를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된다.
앞서 상술한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온수조절기(100)에서 매트(105) 쪽으로 온수 공급이 중단될 경우 매트(105)로부터 물이 유입관(110)과 배출관(120) 양쪽을 통하여 온수조절기(100)로 나오고 온수조절기(100) 내부의 물탱크실로 들어온다.
이와 동시에 온수의 순환이 중단됨으로써 온수조절기(100) 내부와 수조부c(405) 내부 및 외부의 압력 차이가 더 이상 존재 않으므로 인하여 역류수조c(420) 상부에 위치한 압력밸브(450)는 더 이상 열리지 않고 덮개c(470) 중앙 하부면에 원래의 모습으로 밀착하여 수조부c(405)와 외부를 완벽하게 차단한다.
따라서 온수조절기(100) 내부의 물탱크실을 채운 물이 물역류방지장치C(400)의 하부연결부c(410)를 통하여 역류수조c(420)에 진입하려고 하나 역류수조c(420)는 압력밸브(450)가 닫힘으로 인하여 완전 밀폐돼 있어 역류수조c(420) 내부의 잔존 공기의 압력으로 일정 부분 이상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온수조절기(100)의 물탱크실에서 역류한 물은 물역류방지장치C(400)에 의하여 외부로 나가지 못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물역류방지장치의 세 가지 형태 모두의 구조와 작동원리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 범위의 의미와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온수조절기 105: 매트 110: 유입관 120: 배출관
130: 분리막 140: 온수이동통로 150: 수압상승띠
160: 매트후면도 200: 물역류방지장치A 210: 하부연결부a
220: 역류수조a 230: 상부압력조절구a 270: 반구음각
300 물역류방지장치B 305: 수조부b 310: 하부연결부b
320: 역류수조b 330: 상부압력조절구b 340: 하부압력조절구b
350: 부유구 360: 상부연결부b 370: 덮개b
380: 압착판 390: 부유구이동통로 400 물역류방지장치C
405: 수조부c 410: 하부연결부c 420: 역류수조c
430: 상부압력조절구c 440: 하부압력조절구c 450: 압력밸브
460: 상부연결부c 470: 덮개c 480: 압력밸브지지구
ⓐ: 매트수직단면도 ⓑ: 물역류방지장치A 평면도
ⓒ: 물역류방지장치A 수직단면도 ⓓ: 물역류방지장치A 하면도
ⓔ: 물역류방지장치A 측면도 ⓕ: 물역류방지장치B 평면도
ⓖ: 물역류방지장치B 수직단면도 확대도 ⓗ: 물역류방지장치B 하면도
ⓘ: 물역류방지장치B 수직단면도 ⓙ: 물역류방지장치B 측면도
ⓚ: 물역류방지장치C 하면도 ⓛ: 물역류방지장치C 평면도
ⓜ: 물역류방지장치C 수직단면도 ⓝ: 물역류방지장치C 수직단면도 확대도

Claims (3)

  1.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유입관과 배출관을 포함하고 있는 삽입부를 제외하고 융착되며,
    상기 두 부재 사이에 수압상승띠;와
    온수이동통로; 및 분리막;을 포함하고 있는 매트;에
    상기 매트에 유입관과 배출관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발열체를 구비한 물탱크실;과
    물탱크실에 연결되어 모터를 포함하는 순환펌프;와
    순환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조절기;를
    갖는 온수매트에 있어서;

    온수조절기에 연결되는 하부연결부;와
    온수조절기에서 역류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역류수조;와
    증기와 압력을 조절하는 상부압력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역류방지장치;를 갖는 온수매트
  2.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유입관과 배출관을 포함하고 있는 삽입부를 제외하고 융착되며,
    상기 두 부재 사이에 수압상승띠;와
    온수이동통로; 및 분리막;을 포함하고 있는 매트;에
    상기 매트에 유입관과 배출관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발열체를 구비한 물탱크실;과
    물탱크실에 연결되어 모터를 포함하는 순환펌프;와
    순환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조절기;를
    갖는 온수매트에 있어서;

    온수조절기에 연결되는 하부연결부;와
    온수조절기에서 역류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역류수조;와
    증기와 물이 통과하고 압력을 조절하는 하부압력조절구;와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부력구;와
    부력구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부력이동통로;와
    부력구가 부력구이동통로를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압착판;과
    덮개와 결합되어지는 상부연결부;를 포함하는 수조부;
    수조부의 상부연결부에 결합되어 압력을 조절하는 상부압력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상기 수조부와 덮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역류방지장치;를 갖는 온수매트
  3.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유입관과 배출관을 포함하고 있는 삽입부를 제외하고 융착되며,
    상기 두 부재 사이에 수압상승띠;와
    온수이동통로; 및 분리막;을 포함하고 있는 매트;에
    상기 매트에 유입관과 배출관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발열체를 구비한 물탱크실;과
    물탱크실에 연결되어 모터를 포함하는 순환펌프;와
    순환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조절기;를
    갖는 온수매트에 있어서;

    온수조절기에 연결되는 하부연결부;와
    온수조절기에서 역류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역류수조;와
    덮개와 결합되어지는 상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부;
    수조부의 상부연결부에 결합되어 최상부 중앙에 상부압력조절구;를 두고
    그 하부에 수직으로 호 형상을 지닌 곡면 가장자리에 하부압력조절구;와
    곡면 중심에 압력밸브지지구;를 가지며
    수직으로 호 형상을 지닌 곡면 하부에서 압력밸브지지구에 결합시킨 압력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상기 수조부와 덮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역류방지장치를 갖는 온수매트
KR1020120078177A 2012-07-18 2012-07-18 물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온수조절기를 적용한 온수매트 KR101347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177A KR101347990B1 (ko) 2012-07-18 2012-07-18 물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온수조절기를 적용한 온수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177A KR101347990B1 (ko) 2012-07-18 2012-07-18 물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온수조절기를 적용한 온수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990B1 true KR101347990B1 (ko) 2014-01-07

Family

ID=5014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177A KR101347990B1 (ko) 2012-07-18 2012-07-18 물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온수조절기를 적용한 온수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9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436B1 (ko) 2015-09-24 2016-08-10 상쾌한아침 주식회사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
WO2016208936A1 (ko) * 2015-06-24 2016-12-29 엠아이엠 세라믹스 주식회사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유체 순환식 난방장치
KR20170016723A (ko) 2015-08-04 2017-02-14 (주)메덱스힐링 슬림 매트용 역류 방지캡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KR101760041B1 (ko) * 2015-10-30 2017-07-31 김봉석 캠핑용 텐트의 온수난방매트
KR101794923B1 (ko) * 2016-03-14 2017-11-07 (주)메덱스힐링 냉온수 슬림 매트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
KR101854782B1 (ko) * 2016-08-26 2018-05-04 (주)메덱스힐링 슬림 매트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479Y1 (ko) * 2006-05-27 2006-08-10 김경수 밀폐식 소형 전기 보일러
KR20090082986A (ko) * 2008-01-29 2009-08-03 나노제트(주) 온수매트장치
KR101078241B1 (ko) * 2011-09-22 2011-10-31 배희임 온수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79738B1 (ko) 2008-07-10 2011-11-03 주식회사 한지백전자 온수보일러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479Y1 (ko) * 2006-05-27 2006-08-10 김경수 밀폐식 소형 전기 보일러
KR20090082986A (ko) * 2008-01-29 2009-08-03 나노제트(주) 온수매트장치
KR101079738B1 (ko) 2008-07-10 2011-11-03 주식회사 한지백전자 온수보일러 구조
KR101078241B1 (ko) * 2011-09-22 2011-10-31 배희임 온수매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936A1 (ko) * 2015-06-24 2016-12-29 엠아이엠 세라믹스 주식회사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유체 순환식 난방장치
US10330327B2 (en) 2015-06-24 2019-06-25 Mim Ceramics Co., Ltd. Fluid circulation type heating device provided with overpressure protection element
KR20170016723A (ko) 2015-08-04 2017-02-14 (주)메덱스힐링 슬림 매트용 역류 방지캡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KR101708425B1 (ko) * 2015-08-04 2017-02-21 (주)메덱스힐링 슬림 매트용 역류 방지캡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KR101647436B1 (ko) 2015-09-24 2016-08-10 상쾌한아침 주식회사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
KR101760041B1 (ko) * 2015-10-30 2017-07-31 김봉석 캠핑용 텐트의 온수난방매트
KR101794923B1 (ko) * 2016-03-14 2017-11-07 (주)메덱스힐링 냉온수 슬림 매트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
KR101854782B1 (ko) * 2016-08-26 2018-05-04 (주)메덱스힐링 슬림 매트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990B1 (ko) 물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온수조절기를 적용한 온수매트
KR101096168B1 (ko) 난방용 자연순환식 보일러
WO2011040728A2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CN108122622B (zh) 一种非能动安全壳冷却系统的冷却水箱
CN203443070U (zh) 一种循环水加热装置
CN102705887A (zh) 瞬时热水供给器
KR101230543B1 (ko)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동력 간이 난방용 보일러
CN108870730A (zh) 有可控冷热水隔板的储水式电热水器
KR100969815B1 (ko) 소음저감형 온수공급장치
CN103328905A (zh) 兼具氮气箱和热交换器为一体的锅炉
KR101794923B1 (ko) 냉온수 슬림 매트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
KR101432194B1 (ko) 온수보일러를 이용한 온열매트
CN208620589U (zh) 有可控冷热水隔板的储水式电热水器
KR101854782B1 (ko) 슬림 매트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
KR101708425B1 (ko) 슬림 매트용 역류 방지캡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CN206944459U (zh) 一种速热式开水器
KR101790451B1 (ko) 냉각수 충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건물 피동 냉각시스템
KR102595806B1 (ko) 지열용 상부 보호 열교환 유닛 및 상기 지열용 상부 보호 열교환 유닛을 포함하는 지열 교환수 유동 구조
CN211628710U (zh) 安注水保护装置及具有其的反应堆
CN209857209U (zh) 空调的水箱组件和具有其的加湿器组件、空调器
KR101617678B1 (ko) 온수보일러가 내장된 온수매트
CN107741094B (zh) 安全节能加热水箱
CN110176652B (zh) 一种用于新能源电池上的冷却单元及冷却装置
KR100604405B1 (ko) 이동식 보일러장치
KR101337926B1 (ko) 공기 배출 배기관을 구비한 유체 순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