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436B1 -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 - Google Patents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436B1
KR101647436B1 KR1020150135853A KR20150135853A KR101647436B1 KR 101647436 B1 KR101647436 B1 KR 101647436B1 KR 1020150135853 A KR1020150135853 A KR 1020150135853A KR 20150135853 A KR20150135853 A KR 20150135853A KR 101647436 B1 KR101647436 B1 KR 101647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upler
water pipe
ma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석
Original Assignee
상쾌한아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쾌한아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쾌한아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입체적으로 열기를 제공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탈부착하면서 온열덮개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탈부착과정에서 온수의 누출이 방지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는 온수매트에 있어서, 온수보일러; 및 상기 온수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순환되는 온수배관이 내장된 매트부를 구비하되, 상기 온수배관에 접속되는 보조온수배관; 상기 보조온수배관이 배열, 설치되는 온열덮개; 상기 온수배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1 밸브장치가 내장된 제1 커플러; 및 상기 보조온수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커플러에 탈착되고 내부에 제2 밸브장치가 내장된 제2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에 의하면, 온수보일러로부터 온수를 제공받는 온열덮개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매트부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난방장치로 사용하면서 필요에 따라 특정 신체부위를 가온하거나 찜질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별도로 찜질팩을 구매하고 이를 가열하여 사용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고,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에 의하면, 원터치 방식으로 탈착되는 커플러에 의해 온열덮개가 접속되는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온열덮개의 분리시에도 온수가 유출되지않으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HOT WATER MAT WITH HEATING COVER}
본 발명은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입체적으로 열기를 제공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탈부착하면서 온열덮개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탈부착과정에서 온수의 누출이 방지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사무실 등의 난방은 건축물의 바닥에 시공된 온수배관으로 보일러로부터 생성된 온수를 순환시키는 온수난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온수난방은 건축물에 온수배관을 시공하여야 하고, 가스, 기름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보일러를 가동시켜야 하므로 시공비와 난방비용이 높고, 이동성이 결여되어 보조난방장치로는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보조 난방장치로서 전기장판과 같은 전열기기를 이용하고 있으나 화재의 위험성이 높고 안전성이 낮으며,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가 발생 되므로 근래에는 온수매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온수매트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76590호(등록일자:2015.03.05)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호수인출부를 형성한 매트커버가 구성된 온수매트'가 제안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 온수매트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보일러(100), 온수공급관 및 온수회수관이 내장된 매트부(200), 및 매트부를 보호하는 매트커버(400)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 온수매트는 매트부(200)에 내장된 온수공급관 및 온수회수관으로부터 발산되는 열기에 의해 난방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는 한계점이 있다.
먼저, 종래 온수매트는 매트부(200)에 사용자가 눕게 되면 인체의 등 부분에 열기가 발산되어 난방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인체의 배 부분에는 열기가 전달되지 않으므로 인체에 골고루 열기를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특정 신체부위를 찜질하고자 하거나, 특정 신체부위의 가온할 필요가 있는 노약자나 환자의 경우 별도로 찜질팩을 구매하여야 하는 등 소비자의 비용부담이 상승되고, 찜질팩의 사용시에 반복적으로 가열작업을 반복 수행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위험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76590호 "호수인출부를 형성한 매트커버가 구성된 온수매트"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347990호 "물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온수조절기를 적용한 온수매트"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64801호 "온수매트"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인체의 다양한 부위에 입체적으로 열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탈부착하면서 온열덮개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탈부착과정에서 온수의 누출이 방지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는 온수매트에 있어서, 온수보일러; 및 상기 온수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순환되는 온수배관이 내장된 매트부를 구비하되, 상기 온수배관에 접속되는 보조온수배관; 및 상기 보조온수배관이 배열, 설치되는 온열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는 온수매트에 있어서, 온수보일러; 및 상기 온수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순환되는 온수배관이 내장된 매트부를 구비하되, 상기 온수배관에 접속되는 보조온수배관; 상기 보조온수배관이 배열, 설치되는 온열덮개; 및 상기 보조온수배관에 설치되어 온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온수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는 온수매트에 있어서, 온수보일러; 및 상기 온수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순환되는 온수배관이 내장된 매트부를 구비하되, 상기 온수배관에 접속되는 보조온수배관; 상기 보조온수배관이 배열, 설치되는 온열덮개; 상기 온수배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1 밸브장치가 내장된 제1 커플러; 및 상기 보조온수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커플러에 탈착되고 내부에 제2 밸브장치가 내장된 제2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커플러는 내부에 제1 유동공이 형성된 제1 커플러하우징에 상기 제1 밸브장치가 내장되되, 상기 제1 밸브장치는 상기 제1 유동공에 설치되는 제1 압축코일스프링, 및 상기 제1 압축코일스프링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유동공의 배출 부분을 밀폐시키는 제1 밀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커플러는 내부에 제2 유동공이 형성되고 선단 부분이 상기 제1 커플러하우징의 선단 부분에 삽입 결속되는 제2 커플러하우징에 상기 제2 밸브장치가 내장되되, 상기 제2 밸브장치는 상기 제2 유동공에 설치되는 제2 압축코일스프링, 상기 제2 압축코일스프링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유동공의 배출 부분을 밀폐시키는 제2 밀폐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커플러와 상기 제2 커플러가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밀폐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압축코일스프링을 수축시키도록 상기 제1 커플러하우징 또는 상기 제2 커플러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커플러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커플러에 탈착되고 내부에 제3 밸브장치가 내장된 제3 커플러; 상기 제3 커플러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보조온수배관; 제2 보조온수배관이 배치되고 베개 형태로 형성된 온열베개, 또는 상기 제2 보조온수배관이 배치되고 인체의 발 부분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족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배관은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공급관과, 온수가 회수되는 온수회수관이 폐회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매트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온수배관은 온수가 유입되는 보조온수공급관과, 온수가 회수되는 보조온수회수관이 폐회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온열덮개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온수공급관과 상기 보조온수회수관은 상기 매트부와 접한 상기 온수공급관 및 상기 온수회수관에 부위에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온열덮개는, 상기 보조온수배관이 배열되어 발열작용을 수행하는 발열부와; 상기 보조온수배관에 덧씌워지도록 상기 발열부에 연장, 형성되는 보조온수배관커버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수배관 및 상기 보조온수배관은 중공부의 단면형상이 반원 형상이 되도록 평면부와 이 평면부의 양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곡면부를 갖는 반원형 호스로 구성되고, 상기 매트부와 상기 온열덮개는 상기 반원형 호스의 평면부가 밀착되는 상부시트, 상기 반원형 호스의 곡면부가 수용되는 하부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에 의하면, 온수보일러로부터 온수를 제공받는 온열덮개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매트부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난방장치로 사용하면서 필요에 따라 특정 신체부위를 가온하거나 찜질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별도로 찜질팩을 구매하고 이를 가열하여 사용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고,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에 의하면, 원터치 방식으로 탈착되는 커플러에 의해 온열덮개가 접속되는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온열덮개의 분리시에도 온수가 유출되지않으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는 온수배관 및 보조온수배관이 반원형 호스로 형성되어 원형 호스로 형성된 것에 비해 매트부나 온열덮개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간결, 단순화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트부나 온열덮개의 두께가 얇아 보관, 취급,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온수배관 및 보조온수배관이 반원형 호스로 형성되면 접혀진 상태로 장시간 보관하더라도 손상이나 변형이 적고 쉽게 복원되므로 제품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온수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 커플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의 매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4의 A부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는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보일러(1), 온수보일러(1)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순환되는 온수배관(3)이 내장된 매트부(2), 온수배관(3)에 접속되는 보조온수배관(4), 및 이 보조온수배관(4)이 배열, 설치되는 온열덮개(5)를 구비한다.
온수보일러(1)는 용수의 저장을 위한 저수조, 이 저수조에 수용된 용수를 가열하여 온수로 만드는 온수 가열장치, 및 온수를 사용처인 매트부 등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상기 저수조, 온수 가열장치 등이 내장되는 케이스가 구비된 통상적인 구조로서 온수매트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구조이므로 구체적인 도시나 설명을 생략한다.
매트부(2)는 사용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도록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부시트(미도시)와 하부시트(미도시)의 사이에 온수배관(3)이 내장되고 열기의 보온을 위한 보온시트(미도시)가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온수배관(3)은 온수의 유동을 위한 중공부가 형성된 호스로 형성된 것으로,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공급관(31)과 온수가 회수되는 온수회수관(32)이 폐회로를 형성하도록 매트부(2)에 배치되어 있다.
보조온수배관(4)은 온수배관(3)에 접속되어 온수보일러(1)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온열덮개(5)의 내부로 순환시켜 온열작용을 수행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온수배관과 유사한 호스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온수배관(4)은 온수배관(3)과 마찬가지로 온수가 유입되는 보조온수공급관(41)과 온수가 회수되는 보조온수회수관(42)이 폐회로를 형성하도록 온열덮개(5)에 배치되고, 보조온수공급관(41) 및 보조온수회수관(42)의 단부가 매트부(2)와 접한 온수공급관(31) 및 온수회수관(32)에 부위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온열덮개(5)는 배 부분, 어께 부분, 발 부분 등 인체의 특정 부위를 부분적으로 덮거나 감쌀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다양한 부위를 호환성 있게 덮을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보조온수배관(4)이 발열작용을 수행하도록 배열되는 발열부(51)와, 보조온수배관(4)에 덧씌워지도록 발열부(51)에 연장, 형성되는 보조온수배관커버부(52)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매트부(2)의 표면에 누운 상태에서 통상적인 온수매트와 마찬가지로 온수배관(2)으로부터 인가되는 열기에 의해 인체의 등 부분을 가온하여 난방장치로 사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체의 배 부분이나 가슴 부분 등에 온열 찜질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온열덮개(5)를 들어올려 해당 신체 부위에 올려놓게 되면 온열덮개(5)에 내장된 보조온수배관(4)으로부터 열기가 발산되면서 찜질 기능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매트부(2)에 온열덮개(5)가 구비되면 노약자나 환자가 특정 신체부위를 가온하거나 찜질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별도로 찜질팩을 구매하고 이를 가열하여 사용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고,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는 온열덮개(5)로 유동되는 온수의 흐름을 필요에 따라 단속할 수 있도록 온수개폐수단(미도시)이 구성될 수 있다.
온수개폐수단(미도시)은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다양한 밸브 중에서 보조온수배관(4)과 구경이 일치하는 것을 선택하여 온수배관(3)에 연결되는 부위와 접한 보조온수배관(4)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온열덮개(5)로 온수를 공급하는 보조온수배관(4)에 온수개폐수단이 구비되면 선택적인 개폐동작을 통해 필요에 따라 온열덮개로 이동되는 온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어서 사용상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온열덮개(5)의 교체 및 유지보수작업시 온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 커플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므로 세부 구성요소의 형상이나 사이즈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의 매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4의 A부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는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보일러(1), 온수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순환되는 온수배관(3)이 내장된 매트부(2), 온수배관(3)에 접속되는 보조온수배관(4), 및 이 보조온수배관(4)이 배열, 설치되는 온열덮개(5)를 구비하되, 상기 온열덮개(5)를 필요에 따라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착탈식으로 구성하는 한편 온열덮개(5)의 분리시에도 온수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점에 주요한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는 온수배관(3,온수공급관 및 온수회수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1 밸브장치(61)가 내장된 제1 커플러(6)와, 보조온수배관(4,보조온수공급관 및 보조온수회수관)에 설치되어 제1 커플러(6)에 탈착되고 내부에 제2 밸브장치(71)가 내장된 제2 커플러(7)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제1 및 제2 커플러(6,7)는 서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온수배관(3) 및 보조온수배관(4) 내부에 수용된 온수의 유출이 방지되는 구조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커플러(6)는 내부에 제1 유동공(621)이 형성된 제1 커플러하우징(62)에 제1 밸브장치(61)가 내장되되, 제1 밸브장치(61)는 제1 유동공(621)에 내장되는 제1 압축코일스프링(611), 및 제1 압축코일스프링(611)의 선단에 설치되고 제1 유동공(621)의 배출 부분을 밀폐시키는 제1 밀폐부재(612)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2 커플러(7)는 내부에 제2 유동공(721)이 형성되고 선단 부분이 제1 커플러하우징(62)의 선단 부분에 삽입, 결속되는 제2 커플러하우징(72)에 제2 밸브장치(71)가 내장되되, 제2 밸브장치(71)는 제2 유동공(721)에 내장되는 제2 압축코일스프링(711), 제2 압축코일스프링(711)의 선단에 설치되고 제2 유동공(721)의 배출 부분을 밀폐시키는 제2 밀폐부재(712)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커플러(6)와 제2 커플러(7)는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밀폐부재(612,712)를 가압하여 제1 및 제2 압축코일스프링(611,711)을 수축시키도록 제1 커플러하우징(62,또는 제2 커플러하우징에 구성될 수도 있음)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63)가 구비되어 있다.
가압부재(63)는 제1 커플러하우징(62)의 내부에 삽입되고 관통공(631a)이 형성된 슬라이딩몸체(631), 이 슬라이딩몸체(631)의 일측에 돌출되어 제1 밀폐부재(612)를 가압하여 제1 압축코일스프링(611)을 수축시킴으로써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1 가압로드(632), 및 이 슬라이딩몸체(631)의 타측에 돌출되어 제2 밀폐부재(712)를 가압하여 제2 압축코일스프링(711)을 수축시킴으로써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가압로드(6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1 및 제2 커플러(6,7)의 작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제1 및 제2 커플러하우징(62,72)이 서로 결속되면 제1 및 제2 가압로드(632,633)가 제1 및 제2 밀폐부재(612,712)를 밀어내는 작용을 수행하게 되면서 제1 및 제2 커플러하우징(62,72)의 제1 및 제2 유동공(621,721)이 서로 연통 되어 개방되므로 온수가 흐르게 된다. 반대로, 제1 및 제2 커플러하우징(62,72)이 서로 분리되면 가압부재(63)가 무부하 상태가 되어 제1 압축코일스프링(611)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밀폐부재(612)가 전진되면서 제1 유동공(621)의 배출 부분을 밀폐하게 되므로 제1 커플러(6)와 접속된 온수배관(3)내의 온수 유출을 차단하게 되고, 제2 압축코일스프링(711)의 탄성력에 의해 제2 밀폐부재(712)가 전진되면서 제2 유동공(721)의 배출 부분을 밀폐하게 되므로 제2 커플러(7)와 접속된 보조온수배관(4)내의 온수 유출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커플러하우징(62,72)은 후부에 온수배관(3) 및 보조온수배관(4)으로 적용되는 호스가 끼워지도록 복수의 쐐기형 돌부가 돌출된 접속부(64,74)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커플러하우징(62)의 앞쪽 외주면에는 복수의 걸림돌기(623)가 돌출되고, 제2 커플러하우징(72)의 앞쪽 외주면에는 제1 및 제2 커플러(6,7)의 결합시에 상기한 걸림돌기(623)가 삽입, 고정되는 걸림홀(723)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5의 미설명부호 65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오-링(O-ring)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매트부(2)는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을 독립적으로 난방할 수 있도록 온수공급관(31) 및 온수회수관(32)이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2개 쌍으로 병렬 배치된 온수공급관(31) 및 온수회수관(32) 중에서 일측 온수공급관(31) 및 온수회수관(32)에 제2 커플러(7)가 탈착되는 제1 커플러(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배관(3) 및 보조온수배관(4)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31,41)의 단면형상이 반원 형상이 되도록 평면부(32,42)와 이 평면부(32,42)의 양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곡면부(33,43)를 갖는 반원형 호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매트부(2)와 온열덮개(5)는 반원형 호스의 평면부(32,42)가 밀착되는 상부시트(22), 반원형 호스의 곡면부(33,43)가 수용되는 수용홈(231)이 형성된 하부시트(23), 및 하부시트(23)의 저부에 설치되는 보온시트(24), 및 보온시트(24)의 저면에 결합되는 방수시트(25)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시트(22)는 내열특성을 직물지로 구성되고, 하부시트(23) 및 보온시트(24)는 보온특성이 우수한 소재로서 통상 토이론(toilon)으로 호칭되는 폴리에틸렌 폼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와 마찬가지로 매트부(2)를 난방장치로 사용하면서 온열덮개(5)를 이용하여 특정 신체부위를 가온하거나 찜질하는 용도로 사용하되,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커플러(6,7) 부분을 탈착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커플러(6,7)는 분리시에 내부에 구비된 제1 및 제2 밸브장치(61,72)의 작동으로 온수의 유출이 방지되므로 화상의 염려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는 온수보일러(1), 온수보일러(1)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순환되는 온수배관(3)이 내장된 매트부(2), 온수배관(3)에 접속되는 보조온수배관(4), 보조온수배관(4)이 배열, 설치되는 온열덮개(5), 온수배관(3)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1 밸브장치(61)가 내장된 제1 커플러(6), 보조온수배관(4)에 설치되어 제1 커플러(6)에 탈착되고 내부에 제2 밸브장치(71)가 내장된 제2 커플러(7)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커플러(6)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제1 커플러(6)에 탈착되고 내부에 제3 밸브장치(미도시)가 내장된 제3 커플러(8), 제3 커플러(8)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보조온수배관(4'), 및 제2 보조온수배관(4')이 배치되는 온열베개(91)가 더 구성되어 있다.
제3 커플러(8)는 제1 커플러(6)에 탈착될 수 있도록 전술한 제2 커플러(7)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온열베개(91)는 통상의 베개 형태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필요에 따라 매트부(2)에 고정할 수 있도록 외면에 벨크로 화스너와 같은 결속수단(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서와 같이 온열베개(91)가 추가로 구비되면, 취침이나 휴식시에 매트부(2)를 난방장치로 사용하고 온열덮개(5)를 이용하여 특정 신체부위를 가온하거나 찜질하는 용도로 사용하면서 온열베개(91)를 인체의 목 부분 등에 안착시켜 온열 찜질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락감과 편의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는 온수보일러(1), 온수보일러(1)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순환되는 온수배관(3)이 내장된 매트부(2), 온수배관(3)에 접속되는 보조온수배관(4), 보조온수배관(4)이 배열, 설치되는 온열덮개(5), 온수배관(3)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1 밸브장치(61)가 내장된 제1 커플러(6), 보조온수배관(4)에 설치되어 제1 커플러(6)에 탈착되고 내부에 제2 밸브장치(71)가 내장된 제2 커플러(7)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커플러(6)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제1 커플러(6)에 탈착되고 내부에 제3 밸브장치(미도시)가 내장된 제3 커플러(8), 제3 커플러(8)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보조온수배관(4'), 및 제2 보조온수배관(4')이 배치되는 족열기(92)가 더 구성되어 있다.
제3 커플러(8)는 제1 커플러(6)에 탈착될 수 있도록 전술한 제2 커플러(7)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족열기(92)는 인체의 발 부분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내부에 제2 보조온수공급관 및 제2 보조온수회수관이 배치되고 장화 형상으로 형성된 족열기몸체(921)의 중앙에 개폐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퍼(922)가 설치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족열기(92)는 좌측 발을 삽입할 수 있는 제1 족열기(92a)와, 우측 발을 삽입할 수 있는 제2 족열기(92b)로 구성되고, 제1 족열기(92a)의 족열기몸체(921) 상측 부분에 제2 보조온수공급관 및 제2 보조온수회수관이 인입되는 제1 연결부(923), 제1 족열기(92a)의 족열기몸체(921)를 순환한 온수가 배출되도록 제2 보조온수공급관 및 제2 보조온수회수관이 인입되고 제1 족열기(92a)의 족열기몸체(921) 상측 부분에 형성된 제2 연결부(924), 제2 연결부(924)로부터 인출되는 제2 보조온수공급관 및 제2 보조온수회수관이 인입되고 제2 족열기(92b)의 족열기몸체(921) 상측 부분에 형성된 제3 연결부(925)가 구비되어 있다.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서와 같이 족열기(92)가 추가로 구비되면, 취침이나 휴식시에 매트부(2)를 난방장치로 사용하고 온열덮개(5)를 이용하여 특정 신체부위를 가온하거나 찜질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 부분의 온열 찜질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지퍼(922)를 개방한 후 발을 삽입하여 착용하게 되면 특별한 준비 없이 간편하게 족열기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온수보일러 2:매트부
22:상부시트 23:하부시트
24:보온시트 25:방수시트
3:온수배관 31:온수공급관
32:온수회수관 4:보조온수배관
41:보조온수공급관 42:보조온수회수관
5:온열덮개 51:발열부
52:보조온수배관커버부 6:제1 커플러
61:제1 밸브장치 611:제1 압축코일스프링
612:제1 밀폐부재 62:제1 커플러하우징
63:가압부재 7:제2 커플러
71:제2 밸브장치 711:제2 압축코일스프링
712:제2 밀폐부재 72:제2 커플러하우징
8:제3 커플러 91:온열베개
92:족열기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온수매트에 있어서,
    온수보일러; 및 상기 온수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순환되는 온수배관이 내장된 매트부를 구비하되, 상기 온수배관에 접속되는 보조온수배관; 상기 보조온수배관이 배열, 설치되는 온열덮개; 상기 온수배관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1 밸브장치가 내장되는 복수의 제1 커플러; 및 상기 보조온수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커플러에 탈착되고 내부에 제2 밸브장치가 내장된 제2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온열덮개는, 상기 보조온수배관이 배열되어 발열작용을 수행하는 발열부와; 상기 보조온수배관에 덧씌워지도록 상기 발열부에 연장, 형성되는 보조온수배관커버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커플러에 탈착되고 내부에 제3 밸브장치가 내장된 제3 커플러; 상기 제3 커플러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2 보조온수배관; 및 상기 제2 보조온수배관이 배치되고 베개 형태로 형성된 온열베개, 또는 상기 제2 보조온수배관이 배치되고 인체의 발 부분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족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플러는 내부에 제1 유동공이 형성된 제1 커플러하우징에 상기 제1 밸브장치가 내장되되, 상기 제1 밸브장치는 상기 제1 유동공에 설치되는 제1 압축코일스프링, 및 상기 제1 압축코일스프링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유동공의 배출 부분을 밀폐시키는 제1 밀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커플러는 내부에 제2 유동공이 형성되고 선단 부분이 상기 제1 커플러하우징의 선단 부분에 삽입 결속되는 제2 커플러하우징에 상기 제2 밸브장치가 내장되되, 상기 제2 밸브장치는 상기 제2 유동공에 설치되는 제2 압축코일스프링, 상기 제2 압축코일스프링의 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유동공의 배출 부분을 밀폐시키는 제2 밀폐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커플러와 상기 제2 커플러가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밀폐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압축코일스프링을 수축시키도록 상기 제1 커플러하우징 또는 상기 제2 커플러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관 및 상기 보조온수배관은 중공부의 단면형상이 반원 형상이 되도록 평면부와 이 평면부의 양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곡면부를 갖는 반원형 호스로 구성되고,
    상기 매트부와 상기 온열덮개는 상기 반원형 호스의 평면부가 밀착되는 상부시트, 상기 반원형 호스의 곡면부가 수용되는 하부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
KR1020150135853A 2015-09-24 2015-09-24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 KR101647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853A KR101647436B1 (ko) 2015-09-24 2015-09-24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853A KR101647436B1 (ko) 2015-09-24 2015-09-24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436B1 true KR101647436B1 (ko) 2016-08-10

Family

ID=5671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853A KR101647436B1 (ko) 2015-09-24 2015-09-24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754A (ko) * 2016-12-08 2018-06-18 주식회사 아임삭 냉수 매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033Y1 (ko) * 2007-01-15 2009-01-07 하종석 온수 매트용 온수 커넥터
KR100983402B1 (ko) * 2008-04-25 2010-09-20 이정열 온열매트
KR101164801B1 (ko) 2009-10-01 2012-07-11 (주)대도실업 온수매트
KR101347990B1 (ko) 2012-07-18 2014-01-07 전동민 물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온수조절기를 적용한 온수매트
KR101388656B1 (ko) * 2012-08-03 2014-04-24 (주)제이앤씨트레이딩 온수를 이용한 온열 족욕기
KR20140125267A (ko) * 2013-04-18 2014-10-28 신윤민 난방 배관용 파이프 및 그 설치 구조
KR200476590Y1 (ko) 2013-09-25 2015-03-12 이성광 호수인출부를 형성한 매트커버가 구성된 온수매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033Y1 (ko) * 2007-01-15 2009-01-07 하종석 온수 매트용 온수 커넥터
KR100983402B1 (ko) * 2008-04-25 2010-09-20 이정열 온열매트
KR101164801B1 (ko) 2009-10-01 2012-07-11 (주)대도실업 온수매트
KR101347990B1 (ko) 2012-07-18 2014-01-07 전동민 물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온수조절기를 적용한 온수매트
KR101388656B1 (ko) * 2012-08-03 2014-04-24 (주)제이앤씨트레이딩 온수를 이용한 온열 족욕기
KR20140125267A (ko) * 2013-04-18 2014-10-28 신윤민 난방 배관용 파이프 및 그 설치 구조
KR200476590Y1 (ko) 2013-09-25 2015-03-12 이성광 호수인출부를 형성한 매트커버가 구성된 온수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754A (ko) * 2016-12-08 2018-06-18 주식회사 아임삭 냉수 매트
KR101945693B1 (ko) 2016-12-08 2019-02-08 주식회사 아임삭 냉수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6249B2 (ja) 熱交換モジュール、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470280B2 (en) Clinical garment for comfort warming and prewarming
KR102233447B1 (ko) 미세발열체 및 온수관을 이용한 모듈형 냉, 온열 매트리스
KR20110031539A (ko) 난방용 에어 매트 및 이를 갖는 에어 매트 히팅시스템
JP4663817B1 (ja) 保温可能な湿タオル保持具
KR101647436B1 (ko) 온열덮개를 구비한 온수매트
KR20150134615A (ko) 에어가 충진된 온열 매트리스
KR101161642B1 (ko) 침대 매트리스 및 이를 갖는 침대 매트리스 히팅 시스템
KR100861425B1 (ko) 히팅부가 별도 마련된 온수순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
JP5057814B2 (ja) 折畳み式の足温器
KR101159200B1 (ko) 라텍스 쿠션부재와 온수호스에 의한 발열수단이 내장된 침대용 스프링 매트리스
KR101279413B1 (ko) 온열매트
KR101851340B1 (ko) 축열식 유기액상 찜질기
KR101584278B1 (ko) 휴대용 온열방석
KR100700313B1 (ko) 휴대용스팀난방장치
KR200485608Y1 (ko) 3웨이 밸브의 분리가 가능한 온수매트
KR101441342B1 (ko) 탈부착식 냉온수 매트가 구비된 침대 매트리스
KR102074904B1 (ko) 다용도 냉,온수 쿠션
KR101522599B1 (ko) 온수 찜질 매트
KR100983402B1 (ko) 온열매트
KR20140148085A (ko) 다수의 착탈식 냉온수단을 구비한 냉온 장치
KR102249907B1 (ko) 멀티 기능을 갖는 백
KR20130103975A (ko) 자바라식 휴대용 온수 공급장치
KR20130080921A (ko) 침대 탈부착용 온열패드
KR101089940B1 (ko) 야외용 온열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