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632B1 -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632B1
KR100969632B1 KR1020080004416A KR20080004416A KR100969632B1 KR 100969632 B1 KR100969632 B1 KR 100969632B1 KR 1020080004416 A KR1020080004416 A KR 1020080004416A KR 20080004416 A KR20080004416 A KR 20080004416A KR 100969632 B1 KR100969632 B1 KR 100969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stallation
hinge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8537A (ko
Inventor
문춘만
Original Assignee
(주)한양판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양판금 filed Critical (주)한양판금
Priority to KR1020080004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6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05Y2800/266Form or shape cur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분리 가능한 경첩 구조에 관한 것으로 개구부(145)가 형성되며 도어(110)가 설치되는 설치부(143)와, 상기 설치부(143)에 설치되는 도어(110)와, 상기 도어(1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경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110)는 패널부(111)와, 상기 패널부(111)로부터 개구부 형성 방향으로 연장되며 안내공(136)이 형성된 안내부재(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첩부(130)는 상기 안내공(136)의 일측으로 상기 도어(110)에 고정 설치되며 가이드부(138)가 형성된 가이드부재(137)와, 일측은 상기 안내공(136)과 설치부(143)에 형성된 제1 설치공(15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부(138)에 의하여 안내되며 절곡부(133)를 구비하는 힌지축(132)와, 상기 힌지축(132)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37)와 힌지축(1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체(135)와, 상기 안내공(136)의 타측으로 도어(110)로부터 돌출되도록 도어(110)에 고정되며 설치부(143)의 제2 설치공(15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돌기(131)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143)는 상기 힌지축(132)이 삽입하는 제1 설치공(151)이 형성된 제1 설치부재(147)와, 상기 삽입돌기(131)가 삽입되는 제2 설치공(152)이 형성된 제2 설치부재(1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부품의 수가 적고 부품의 구조가 단순해 지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간단하게 제조하여, 오류 발생 가능성 없게 설치할 수 있으며, 절곡부(133)를 "U"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절곡부(133)가 손잡이 역할을 하므로 도어(110)의 분리와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어, 경첩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Detachable Door Hinge Structur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함 및 배전함에 설치되는 배전설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전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배전함에 사용되는 경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경첩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경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 경첩 구조를 가지는 배전함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경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탄성체가 최대로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도어 111 : 패널부
113 : 안내부재 130 : 경첩부
131 : 삽입돌기 132 : 힌지축
133 : 절곡부 135 : 탄성체
137 : 가이드부재 143 : 설치부
147 : 제1 설치부재 148 : 제2 설치부재
151 : 제1 설치공 152 : 제2 설치공
본 발명은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경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곡부를 가지는 힌지축을 구비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해지고, 부품 수가 감소하여, 간단하게 제조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어를 용이하게 분리 조립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에 관한 것이다.
경첩은 일반적으로 주택의 대문, 현관, 창문 등에 사용되어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하며, 그외에도 각종 상자, 판넬, 통신용 케이스, 배전함 등의 도어에 사용되기도 한다.
경첩이 사용되는 분야는 상기에서와 같이 다양할 수 있으나, 도 1에서와 같이 배전함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경첩을 설명하기 위한 배전함 및 배전함에 구비되는 배전 설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전함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전함에서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함(1)은 내측으로 배전설비(7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부(40)와, 상기 본체부(40)의 개구부 일측으로 경첩(3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10)로 구성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배전설비(70)가 내부 공간으로 수납되어 설치된다. 상용 시에는 도어(10)를 닫은 상태로 사용하나, 배전설비(70)를 보수하거나 업그레이드 등을 하는 경우에는 도어(10)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어 놓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본체부(40)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된 함체(41)와, 상기 함체(41)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개구부가 형성되며 도어(10)가 설치되는 설치부(43)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10)에는 도시하지 않은 잠금 장치가 설치되며, 잠금장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의 내측으로 설치부(43)에 걸리도록 작용하는 회전 가능한 걸림고리(23)가 설치된다.
상기 경첩(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부(43)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으로 힌지공(35)이 형성된 원통부(33)를 구비하는 제1 본체(31)와, 도어(10)에 고정되며 일측으로 힌지공(36)이 형성된 원통부(34)를 구비하는 제2 본체(32)와, 상기 제1 본체(31)와 제2 본체(32)의 힌지공(35, 36)에 삽입되는 힌지축(39)으로 구성된다. 도 3에서 31a와 32a는 상기 제1 본체(31)와 제2 본체(32)를 각각 설치 부(43)와 도어(10)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을 도시한 것이며, 38은 상기 힌지축(39)에 구비되는 머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경첩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경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다른 기술에 의한 경첩(30)은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힌지공(35)이 형성된 원통부(33)를 구비하며 설치부(43)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본체(31)와, 힌지공(36)이 형성된 원통부(34)를 구비하여 도어(10)에 고정 설치되는 제2 본체(32)와, 상기 제1 본체(31)와 제2 본체(32)에 형성된 힌지공(35, 36)에 삽입 결합되는 힌지축(39)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본체(31)의 힌지공(35)이 형성된 원통부(33)는 길이 방향의 중앙에 소정 간격만큼 절개되어 형성된 체결부(33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33a)에는 탄성편(50)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편(50)은 상기 힌지축(38)을 힌지공(35) 중심 측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얇은 탄성부재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상기 탄성편(50)의 일단에 체결공(5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51)이 상기 제1 본체(31)에 고정됨과 동시에 선단이 상기 제1 본체(31)에 형성된 체결부(33a)로 삽입되어 상기 힌지축(39)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39)은 힌지공(35, 36)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 하부에 각각 오목부(39a, 39b)를 구비하며, 하부에 형성된 오목부(39b)의 일단에 상기 힌지축(39)의 중심과 직각을 이루게 단턱(39c)을 형성시키고, 말단에는 테이퍼진 경사 부(39d)를 구비한다.
도 4 및 도 5에서 31a, 32a는 상기 제1 본체(31)와 제2 본체(32)를 각각 설치부(43)와 도어(1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나사공을 도시한 것이며, B는 설치 나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경첩(30)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하는 것이 어렵고, 재료가 많이 소요되며,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우므로 간단한 도어 구조에 사용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 개수가 감소하여, 제조하기 용이하고 제조에 소요되는 원재료의 투입량이 감소하여,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전체적으로 경량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간단한 도어 구조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도어가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경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로부터 개구부 형성 방향으로 연장되며 안내공이 형성된 안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첩부는 상기 안내공의 일측으로 상기 도어에 고정 설치되며 가이드부가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일측은 상기 안내공과 설치부에 형성된 제1 설치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안내되며 절곡부를 구비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와 힌지축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체와, 상기 안내공의 타측으로 도어로부터 돌출되도록 도어에 고정되며 설치부의 제2 설치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하는 제1 설치공이 형성된 제1 설치부재와,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제2 설치공이 형성된 제2 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절곡부는 "U"자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대경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면에 접촉하는 원추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 경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배전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배전함의 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한 배전함의 도어와 경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경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어를 분리 또는 설치하기 위하여 탄성체를 압축 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도어 경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배전함(100)은 본체부(140)와, 상기 본체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구부(145)를 개폐하는 도어(110)와, 상기 도어(110)를 본체부(140)에 회전 가능하고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경첩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4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141)와, 상기 함체(141)에 구비되며 일측으로 개구부(145)가 형성되며 도어(110)가 설치되는 설치부(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부(143)는 함체(141)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설치부(143)는 개구부(145) 형성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설치공(151)이 형성된 제1 설치부재(147)와, 제2 설치공(152)이 형성된 제2 설치부재(148)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설치부재(147)와 제2 설치부재(148)로부터 개구부(145) 형성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1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49)는 도어(110)가 닫히는 경우 도어(110)의 일측과 접촉하면서 도어(110)를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149)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10)는 판 형상의 패널부(111)와, 상기 패널부(111)로부터 설치부(143)의 개구부(145) 형성 방향으로 연장되며 안내공(136)이 형성된 안내부재(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부(111)에는 도어(110)를 잠그기 위한 잠금장치(121)와, 상기 잠금장치(121)에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부(153)에 걸리는 걸림부재(1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첩부(130)는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공(136)의 일측으로 안내부재(113)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도어(110)에 고정 설치되며 가이드부(138)가 형성된 가이드부재(137)와, 일측은 상기 안내공(136)과 설치부(143)에 형성된 제1 설치공(15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부(138)에 의하여 안내되며 "U"자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내부재(113)와 가이드부재(137)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부(133)를 구비하는 힌지축(132)과, 상기 힌지축(132)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37)와 힌지축(1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체(135)와, 상기 안내공(136)의 타측으로 도어(110)로부터 돌출되도록 도어(110)에 고정되며 설치부(143)의 제2 설치공(15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돌기(1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133)를 "U"자 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힌지축(132)이 탄성체(135)에 의하여 가압되어 절곡부(133)의 일측이 안내부재(113)에 접하게 되는 경우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33)의 타측은 안내부재(113)과 간격을 가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절곡부(133)는 항상 파지 가능한 상태로 되므로, 절곡부(133)를 파지하고 힌지축(132)을 조정하여 도어(110)를 분리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133)가 힌지축(132)의 측방을 향하여 "U"자형으로 절곡되어야 상기에서와 같이 절곡부(133)의 일측이 안내부재(113)에 접할 때 절곡부(133)의 타측은 안내부재(113)와 간격을 가지며 항상 파지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37)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38)는 원통형의 가이드부재(137) 내측으로 형성되는 원형 통공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135)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추형 스프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추형 스프링의 대경부 지름을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37)의 지름과 유사하게 함으로써, 대경부가 가이드부재(137)의 상면(139)에 접촉하도록 한다. 원추형 스프링의 타측이 접하는 구성으로 상기 힌지축(132)에 걸림돌기(134)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걸림돌기(134)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도 스프링의 타측은 도 10의 "A"부에 접촉하면서 축 방향으로 걸리게 된다. 스프링의 타측은 절곡부(133)에 걸리게 된다.
도 8에서 도면 부호 117은 상기 패널부(111)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보강부재를 도시한 것이며, 119는 덮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어(110)를 분리 장치하기 위하여 힌지축(132)를 하향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힌지축(132)를 최대로 가압하였을 때, 힌지축(132)의 끝단은 안내부재(113)의 안내공(136)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힌지축(132)이 도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110)는 안내공(136)이 형성되는 안내부재(113)에 더하여, 삽입돌기(131)가 설치되는 쪽으로 또 하나의 안내부재(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131)가 설치되는 쪽으로 구비되는 안내부재(113)에 도시하지 않은 통공을 형성하고, 삽입돌기(131)의 일부를 상기 통공에 삽입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경,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는 부품의 수가 적고 부품의 구조가 단순해 지므로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설치에 있어서 오류 발생 가능성에 감소하고, 절곡부(133)를 "U"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절곡부(133)가 손잡이 역할을 하므로 도어(110)의 분리와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개구부(145)가 형성되며 도어(110)가 설치되는 설치부(143)와, 상기 설치부(143)에 설치되는 도어(110)와, 상기 도어(1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경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110)는 패널부(111)와, 상기 패널부(111)로부터 설치부(143)의 개구부 형성 방향으로 연장되며 안내공(136)이 형성된 안내부재(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첩부(130)는 상기 안내공(136)의 일측으로 안내부재(113)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도어(110)에 고정 설치되며 가이드부(138)가 형성된 가이드부재(137)와, 일측은 상기 안내공(136)과 설치부(143)에 형성된 제1 설치공(15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부(138)에 의하여 안내되며 절곡부(133)를 가지는 힌지축(132)과, 상기 힌지축(132)이 삽입되며 일측이 절곡부(133)에 걸리고 타측은 가이드부재(137)에 걸리어 힌지축(132)을 안내부재(113)로 가압하는 탄성체(135)와, 상기 안내공(136)의 타측으로 도어(110)로부터 돌출되도록 도어(110)에 고정되며 설치부(143)의 제2 설치공(15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돌기(131)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143)는 상기 힌지축(132)이 삽입하는 제1 설치공(151)이 형성된 제1 설치부재(147)와, 상기 삽입돌기(131)가 삽입되는 제2 설치공(152)이 형성된 제2 설치부재(148)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부(133)는 가이드부재(137)와 안내부재(113) 사이에 위치하며, 힌지축(132)이 탄성체(135)에 의하여 가압되어 절곡부(133)의 일측이 안내부재(113)에 접하게 되는 경우 절곡부(133)의 타측은 안내부재(113)과 간격을 가지도록 "U"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37)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135)는 대경부가 상기 가이드부재(137)의 상면(139)에 접촉하는 원추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
KR1020080004416A 2008-01-15 2008-01-15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 KR100969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416A KR100969632B1 (ko) 2008-01-15 2008-01-15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416A KR100969632B1 (ko) 2008-01-15 2008-01-15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537A KR20090078537A (ko) 2009-07-20
KR100969632B1 true KR100969632B1 (ko) 2010-07-14

Family

ID=4133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416A KR100969632B1 (ko) 2008-01-15 2008-01-15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6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638Y1 (ko) 2011-02-08 2013-06-25 주식회사 화신 도어 힌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캐비닛
WO2023074932A1 (ko) * 2021-10-27 2023-05-04 김종판 전기 골프 카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6564U (ja) * 1982-03-10 1983-09-13 株式会社明電舎 扉用蝶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6564U (ja) * 1982-03-10 1983-09-13 株式会社明電舎 扉用蝶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638Y1 (ko) 2011-02-08 2013-06-25 주식회사 화신 도어 힌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캐비닛
WO2023074932A1 (ko) * 2021-10-27 2023-05-04 김종판 전기 골프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537A (ko) 2009-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5680Y1 (ko) 미닫이 도어의 착탈구조
KR100969632B1 (ko) 분리 가능한 도어 경첩 구조
US20070234515A1 (en) Hinge
KR20200001565U (ko) 도어락의 핸들 조립구조체
KR20160042722A (ko) 도어용 힌지 장치
KR20020075192A (ko) 케이블 내장 고정구
JP2005195125A (ja) 部材取付構造
CN111622607B (zh) 具有防尘盖的锁具组件
KR100983804B1 (ko) 철재함용 경첩
KR101033072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KR100520057B1 (ko) 김치냉장고
CN219281511U (zh) 插销控制盒及插销装置
KR102331895B1 (ko) 가구용 경첩구조
US20020100220A1 (en) Assembly
KR101810219B1 (ko) 멀티탭 내장형 덕트
KR200202532Y1 (ko) 탈부착이 용이한 냉장고 도어 힌지
US6638102B1 (en) Device arrangement with a structural component mounted in a housing
KR100776652B1 (ko) 탈 장착 힌지를 구비한 커버
WO2017141783A1 (ja) 車両用ボードのハンドル装置
KR101791331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손잡이
JP3129663U (ja) 取手の取付構造
JP2523866B2 (ja) 開閉ドア構造
KR200364231Y1 (ko)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KR200256739Y1 (ko) 문짝설치용 경첩의 힌지축 인출장치_
JPH07612Y2 (ja) ドアのヒンジ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