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231Y1 -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231Y1
KR200364231Y1 KR20-2004-0020192U KR20040020192U KR200364231Y1 KR 200364231 Y1 KR200364231 Y1 KR 200364231Y1 KR 20040020192 U KR20040020192 U KR 20040020192U KR 200364231 Y1 KR200364231 Y1 KR 2003642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rive
screw
fixing
release latc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Priority to KR20-2004-0020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2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2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2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6Securing of expansion boards in correspondence to slots provided at the computer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컴퓨터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에 스크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릴리즈 랫치와;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아랫면에 체결되는 스크류의 머리의 직경보다 작고 나사부의 직경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통로부를 가지는 가이드홀과, 상기 릴리즈 랫치의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고정홀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디스크 드라이브를 컴퓨터의 드라이브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시킬 때, 종래와 같이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스크류를 조립하지 않고, 최초 한 번만 스크류를 조립시킨 후 추가적으로 도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Disk drive fixing structure}
본 고안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는 컴퓨터 케이스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에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하고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스크류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었다. 종래 방식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컴퓨터 본체에 위치한 디스크 드라이브 브라켓에 디스크 드라이브를 넣고, 디스크 드라이브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홀과 디스크 드라이브 브라켓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홀을 일치시킨 후,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스크류를 체결한다. 디스크 드라이브를 분해할 때에는 이와 역순으로 진행하며, 이 때도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다.
즉,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는 분해, 조립시마다 도구를 이용하여 스크류를 체결하거나 풀어야 하며,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를 분해, 조립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반드시 디스크 드라이브를 먼저 장착시킨 후 브라켓과 디스크 드라이브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홀에 스크류를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기 어려운 공간에는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하기 곤란하여 공간활용이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컴퓨터 본체에 디스크 드라이브를 고정시킬 때, 최초 한 번만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스크류를 체결한 후 추가적으로 도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기 어려운 공간에도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 및 고정된 릴리즈 랫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가 고정된 상태를 밑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릴리즈 랫치 104 : 회전조정홀 106 : 고정돌기
108 : 회전손잡이 200 : 브라켓 202 : 가이드홀 통로부
204 : 가이드홀 진입부 206 : 고정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태양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10) 고정장치는 디스크 드라이브(10)를 컴퓨터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측면에 스크류(1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측면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된 고정돌기(106)를 포함하는 릴리즈 랫치(100)와;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아랫면에 체결되는 스크류(14)의 머리의 직경보다 작고 나사부의 직경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통로부(202)를 가지는 가이드홀과, 상기 릴리즈 랫치(100)의 고정돌기(106)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돌기(106)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고정홀(206)을 포함하는 브라켓(200)을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10)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홀은 그 통로부(202)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아랫면에 체결되는 스크류(14)의 머리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가이드홀 진입부(2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릴리즈 랫치(100)는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측면에 체결되는 스크류(12)의 머리의 직경보다 작고 나사부의 직경보다 큰 폭과, 상기 고정돌기(106)의 연장된 길이보다 긴 높이를 가지는 회전조정홀(1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릴리즈 랫치(100)는 얇은 판을 가공하여 형성되며, 판의 면외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회전손잡이(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10)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크 드라이브(10), 릴리즈 랫치(100), 릴리즈 랫치 고정용 스크류(12), 릴리즈 랫치 고정용 스크류홀(102), 회전조정홀(104), 고정돌기(106), 회전손잡이(108), 브라켓(200), 브라켓 고정용 스크류(14), 가이드홀 통로부(202), 가이드홀 진입부(204), 고정홀(206)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 디스크 드라이브(10) 고정장치는 릴리즈 랫치(100)를 이용한 방식으로서 최초 한번만 디스크 드라이브(10)에 릴리즈 랫치(100)를 고정하면 추후 분해 조립시 더 이상 드라이버 등 도구의 사용이 불필요하다. 브라켓(200)은 컴퓨터 케이스 내부에 하나의 부품으로 조립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는 디스크 드라이브(10) 아랫면에 있는 스크류홀에 브라켓 고정용 스크류(14)를 조립한다. 이때 스크류(14)는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아랫면과 완전히 밀착되지는 않도록 하여 상기 스크류(14)가 브라켓(20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홀(20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조여도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아랫면과 약간의 틈이 형성되도록 스크류(14)의 머리부분에 일정 부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크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릴리즈 랫치(100)를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측면에 고정시킨다.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릴리즈 랫치 고정용 스크류홀(102)과 회전조정홀(104)에 릴리즈 랫치 고정용 스크류(12)를 조립한다. 이때 스크류(12)는 완전히 고정되지는 않고, 릴리즈 랫치(100)가 회전조정홀(104)에 의해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적당히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완전히 조여도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측면과 약간의 틈이 형성되도록 스크류(12)의 머리부분에 일정 부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크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스크류(12)와 릴리즈 랫치(100)가 조립된 디스크 드라이브(10)를 브라켓(200)에 형성된 가이드홀 통로부(20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켜 장착한다. 이 때 브라켓(200)의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홀의 경우 스크류(14)의 나사부가 직접 통로부(202)에 삽입될 수 있으나, 브라켓(200)의 면내에 형성된 가이드홀의 경우 가이드홀 진입부(204)에 스크류(14)의 머리를 삽입시킨 후 통로부(202)를 따라 나사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크 드라이브(10)를 브라켓(200)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아랫면에 체결된 스크류(14)의 머리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진입부(20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디스크 드라이브(10)를 브라켓(200)에 장착시킨 후, 릴리즈 랫치(100)의 일부에 형성된 고정돌기(106)가 그에 대응하여 브라켓(200)에 형성된 고정홀(206)에 삽입되도록 릴리즈 랫치(100)를 아래쪽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릴리즈 랫치(100)는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측면에 체결되는 스크류(12)의 머리의 직경보다 작고 나사부의 직경보다 큰 폭과, 상기 고정돌기(106)의 연장된 길이보다 긴 높이를 가지는 회전조정홀(10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조정홀(104)의 높이는 고정돌기(106)의 연정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릴리즈 랫치(100)를 회전조정홀(104)의 상단까지 회전시켰을 때에는 고정돌기(106)가 고정홀(206)로부터 이탈되어 디스크 드라이브(10)를 가이드홀 통로부(202)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릴리즈 랫치(100)를 회전조정홀(104)의 하단까지 회전시켰을때에는 고정돌기(106)가 고정홀(206)에 삽입되어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이동이 구속된다.
이 때 릴리즈 랫치(100)에 형성된 회전손잡이(108)를 사용하여 릴리즈 랫치(100)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릴리즈 랫치(100)가 얇은 금속판 등을 가공하여 형성될 경우에는 판의 일부를 릴리즈 랫치면의 바깥쪽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손잡이(108)는 디스크 드라이브(10)를 착탈할 때마다 사용되는 부분이므로, 사용자가 손을 다치지 않도록 그 단부를 원기둥의 형상으로 말아올려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조립은 완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추후 디스크 드라이브(10)를 분해할 때에도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할 수 없는 공간에도 디스크 드라이브(10)를 장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 및 고정된 릴리즈 랫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크 드라이브(10), 릴리즈 랫치(100), 릴리즈 랫치 고정용 스크류(12), 릴리즈 랫치 고정용 스크류홀(102), 회전조정홀(104), 고정돌기(106), 회전손잡이(108)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아랫면에 체결된 스크류(14)는 브라켓(200)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 역할을 하며, 따라서 스크류(14)의 머리가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아랫면에 밀착되도록 체결되어서는 안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스크류를 약간의 간격을 가진채로 체결하거나, 완전히 조여도 약간의 간격이 생기도록 나사산이 스크류 나사부의 일부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크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리즈 랫치(100)는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측면에 스크류(12)에 의해, 상기 스크류(1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릴리즈 랫치(100)에는 회전조정홀(1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조정홀(104)에도 스크류(12)가 체결되므로 릴리즈 랫치(100)는 회전조정홀(104)의 높이만큼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회전조정홀(104)의 높이는 고정돌기(106)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고정돌기(106)를 고정홀(206)에 삽입시켜 디스크 드라이브(10)를 고정시켰다가 필요시 고정돌기(106)를 고정홀(206)로부터 이탈시켜 디스크 드라이브(1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가 고정된 상태를 밑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 드라이브(10), 고정돌기(106), 브라켓(200), 브라켓 고정용 스크류(14), 가이드홀 통로부(202), 가이드홀 진입부(204), 고정홀(206)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200)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고, 디스크 드라이브(10) 아랫면에 조립되어 있는 스크류(14)는 그 머리의 직경이 나사부보다 크므로 상기 가이드홀에 대해 가이드 돌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아랫면에 조립된 스크류(14)를 가이드 돌기로 하여 브라켓(200)의 가이드홀에 삽입시킴으로써 디스크 드라이브(10)를 브라켓(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스크류(14)는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아랫면과 완전히 밀착되지는 않도록 하여야 하고, 브라켓(200)의 가이드홀에는 통로부(202)와 별도로 진입부(204)를 형성하여 스크류(14)의 머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아랫면에 체결된 스크류의 머리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진입부(20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크 드라이브(10), 릴리즈 랫치(100), 릴리즈 랫치 고정용 스크류(12), 릴리즈 랫치 고정용 스크류홀(102), 회전조정홀(104), 고정돌기(106), 회전손잡이(108), 브라켓(200), 가이드홀 진입부(204), 고정홀(206)이 도시되어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10)의 아랫면에 조립된 스크류(14)를 가이드 돌기로 하여 브라켓(200)의 가이드홀에 장착시킨 후, 릴리즈 랫치(100)를 아래쪽으로 회전시켜 고정돌기(106)를 브라켓(200)의 고정홀(206)에 삽입시킴으로써 디스크 드라이브(10)의 고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디스크 드라이브(10)는 필요시 상기 릴리즈 랫치(100)를 위쪽으로 회전시켜 고정돌기(106)를 브라켓(200)의 고정홀(206)로부터 이탈시킨 후, 가이드홀에 장착할 때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디스크 드라이브를 컴퓨터의 드라이브 고정용 브라켓에 고정시킬 때, 종래와 같이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스크류를 조립하지 않고, 최초 한 번만 스크류를 조립시킨 후 추가적으로 도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기 어려운 공간에도 용이하게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할 수 있어, 종래의 방식에 비해 신속하게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해진다.

Claims (4)

  1. 디스크 드라이브를 컴퓨터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에 스크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릴리즈 랫치와;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아랫면에 체결되는 스크류의 머리의 직경보다 작고 나사부의 직경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통로부를 가지는 가이드홀과, 상기 릴리즈 랫치의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고정홀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그 통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아랫면에 체결되는 스크류의 머리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가이드홀 진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랫치는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측면에 체결되는 스크류의 머리의 직경보다 작고 나사부의 직경보다 큰 폭과, 상기 고정돌기의 연장된 길이보다긴 높이를 가지는 회전조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랫치는 얇은 판을 가공하여 형성되며, 판의 면외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KR20-2004-0020192U 2004-07-15 2004-07-15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KR2003642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192U KR200364231Y1 (ko) 2004-07-15 2004-07-15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192U KR200364231Y1 (ko) 2004-07-15 2004-07-15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231Y1 true KR200364231Y1 (ko) 2004-10-11

Family

ID=4935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192U KR200364231Y1 (ko) 2004-07-15 2004-07-15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2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8416B2 (en) Computer housing
US8231093B2 (en) Bracket for curtain rods and the like
JP3954306B2 (ja) めがねフレーム用盗難防止装置
US20060273052A1 (en) Moun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module
US5722814A (en) Fan blade mounting device having a decorative member provided thereon
CN2852612Y (zh) 电路板固定结构
KR200364231Y1 (ko)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US6879484B2 (en) Pivotal frame for facilitating replacement of electronic device
JP2007162878A (ja) 締結機構及び締結装置
US7922144B2 (en) Fixture for data access device
JP4913540B2 (ja) 操作スイッチの取付け装置
JP2000055017A (ja) 機器支持用アームのデスク天板への取付装置
JP5049418B2 (ja) 建付け調整機構を有する建具用開閉体保持金具。
KR200364232Y1 (ko)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JP2006351879A (ja) 電子機器筐体の取付け構造
JPH0771799A (ja) 換気扇
KR200323084Y1 (ko) 전등갓 개폐구조
US20060273598A1 (en) Mechanism for fastening casing into wall opening
JPH044140Y2 (ko)
US7298563B1 (en) Supporting member for portable digital video disk player
KR200232585Y1 (ko) 힌지 장치
US20040240169A1 (en) Non-screw fastening device for computer floppy drive
JP2006127578A (ja) 係合部品の取付構造及びその部品脱着用治具
TWI573128B (zh) 在弦樂器上安裝調音旋鈕的裝置及方法
JP5182074B2 (ja) スピーカ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