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428B1 - 습증기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습증기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428B1
KR100969428B1 KR1020080084290A KR20080084290A KR100969428B1 KR 100969428 B1 KR100969428 B1 KR 100969428B1 KR 1020080084290 A KR1020080084290 A KR 1020080084290A KR 20080084290 A KR20080084290 A KR 20080084290A KR 100969428 B1 KR100969428 B1 KR 100969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ainer
pipe
hood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654A (ko
Inventor
안귀인
Original Assignee
안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귀인 filed Critical 안귀인
Priority to KR1020080084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42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화열 또는 간접열을 열원으로 용기를 가열하여 용기내부의 내용물 가열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고, 또한 단체급식 주방에서 음식물 조리 시 발생되는 습증기를 외부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빠른 시간에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습증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발생기(10); 상기 에어발생기(10)와 연결되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20); 상기 필터(20)와 연결되어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30); 상기 에어탱크(30)와 연결되는 에어분배기(40); 상기 에어분배기(40)와 연결된 상태에서 용기(1)의 상부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에어토출구(51)를 구비하는 용기에어파이프(50); 상기 에어분배기(40)와 연결된 상태에서 배기후드(2)의 입구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에어토출구(61)를 구비하는 후드에어파이프(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R1020080084290
습증기, 배출장치, 용기, 배기후드, 공기

Description

습증기 배출장치{emission apparatus for steam}
본 발명은 습증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직화열 또는 간접열을 열원으로 용기를 가열하여 용기내부의 내용물 가열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고, 또한 단체급식 주방에서 음식물 조리 시 발생되는 습증기를 외부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빠른 시간에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습증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단체급식이 이루어지는 단체급식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에는 대용량의 큰 용기를 이용하여 밥이나 국 등을 대량으로 조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단체급식 주방에서 대량의 음식물 조리 시에는 많은 습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단체급식 주방의 가열기구 상부에 단순히 배기블로워가 구비된 배기후드를 설치하여 조리 시 발생된 습증기가 이 배기후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였으며, 배기블로워는 가열기구와 약 20~30m이상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종래의 배기후드는 습증기 배출효과가 미흡하여 조리 시 발생되는 많은 습증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습증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에 주변으로 확산되는 습증기로 인해 천장이나 벽면에 결로나 곰팡이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주변으로 확산되는 습증기로 인하여 주방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조리 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없고, 온도의 차이로 결로현상 때문에 조리기구와 조리된 음식물에 결로된 물방울이 투입되어 음식물을 위생적으로 조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직화열 또는 간접열을 열원으로 용기를 가열하여 용기내부의 내용물 가열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고, 단체급식 주방에서 음식물 조리 시 발생되는 습증기를 외부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빠른 시간에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습증기로 인해 천장이나 벽면에 결로나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음식물 조리 시 결로현상으로 비위생적인 물방울이 음식물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에 청결한 음식을 조리할 수 있으며, 주방의 온도상승을 방지하여 조리 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함과 동시에 주방을 한층 더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습증기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기의 상부 외면 및 배기후드의 입구 내측 가장자리에 상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에어토출구가 구비된 용기,후드에어파이프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용기에어파이프와 후드에어파이프에는 에어분배기를 연결하고, 상기 에어분배기에는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에어탱크에는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에어탱크에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연결하고, 상기 필터에는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발생기를 연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습증기 배출장치에 따르면 간접열을 열원으로 용기를 가열하여 용기내부의 내용물 가열 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단체급식 주방에서 음식물 조리 시 발생되는 습증기를 외부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빠른 시간에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습증기로 인해 천장이나 벽면에 결로나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음식물 조리 시 결로현상으로 비위생적인 물방울이 음식물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에 청결한 음식을 조리할 수 있으며, 주방의 온도상승을 방지하여 조리 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함과 동시에 주방을 한층 더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습증기 배출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발생기(10); 상기 에어발생기(10)와 연결되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20); 상기 필터(20)와 연결되어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30); 상기 에어탱크(30)와 연결되는 에어분배기(40); 상기 에어분배기(40)와 연결된 상태에서 용기(1)의 상부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에어토출구(51)를 구비하는 용기에어파이프(50); 상기 에어분배기(40)와 연결된 상태에서 배기후드(2)의 입구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에어토출구(61)를 구비하는 후드에어파이프(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1)는 주지된 바와 같이 단체급식이 이루어지는 단체급식소 주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용기(1)는 대량의 국 또는 밥 등의 음식물을 한 번에 조리할 수 있는 대용량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기(1)의 상부 외면에는 상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용기에어파이프(50)가 배치된다.
상기 배기후드(2)는 주지된 바와 같이 용기(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기후드(2)의 출구에는 습증기를 강제로 배기시키는 배기블로워가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기후드(2)의 입구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후드에어파이프(60)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발생기(10)는 공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에어발생기(10)에서 발생된 공기는 연결관(11)을 통해 필터(20)의 입구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에어발생기(10)는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컴프레서 또는 공기를 발생시키는 링블로워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컴프레서와 링블로워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필터(20)는 에어발생기(10)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필터(20)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필터(20)의 출구와 에어탱크(30)의 입구는 연결관(70)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2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연결관(70)을 통해 에어탱크(30)의 입구로 공급된다.
상기 에어탱크(30)는 필터(20)와 연결되어 공기를 저장하는 것으로, 이러한 에어탱크(30)의 일측 상부에는 압력게이지(31)가 구비되고, 에어탱크(30)의 하부 중앙에는 드레인밸브(32)가 구비되며, 에어탱크(30)의 상부 중앙에는 램프홀더(33)가 설치되고, 램프홀더(33)에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자외선램프(34)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자외선램프(34)는 자외선을 방출하여 공기 중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이나 기타 오염물질 등을 멸균시킨다.
참고로, 자외선은 보통 파장이 10~400㎚까지를 말하며 화학작용이 강하므로 화학선이라고도 한다. 특히, 자외선은 살균효과가 뛰어나며 파장에 따라 여러 가지 특성효과가 있으며, 최근 인공적으로 세균 생명의 근원인 DNA를 파괴하는 파장 UV-C 253.7㎚의 초살균선을 개발하여 식품의 오염지표인 대장균,식중독 원인균인 황색포도구균,비브리오균,살모넬라균,보튤리늄균증 병원성 세균 및 일반 세균을 사멸시키는데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자외선은 불쾌한 냄새와 오염된 공기를 살균하므로 탈취나 신선도 유지를 위해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의 공기청정효과를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습증기 배출장치에 따르면 상기 필터(20)와 에어탱크(30)를 필수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필터(20)와 에어탱크(30)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두며, 이와 같이 필터(20)와 에어탱크(30)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에어발생기(10)와 에어분배기(40)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에어분배기(40)는 에어탱크(30)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에어분배기(40)의 입구와 에어탱크(30)의 출구는 연결관(80)으로 연결되고, 또한 에어분배기(40)의 출구와 용기,후드에어파이프(50)(60)의 입구는 연결관(90)(100)으로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탱크(30)의 자외선램프(34)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에어분배기(40)와 연결관(90)(100)을 통해 용기,후드에어파이프(50)(60)의 입구로 각각 공급된다.
상기 용기에어파이프(50)는 에어분배기(40)와 연결된 상태에서 용기(1)의 상부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용기에어파이프(50)의 원형 또는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용기에어파이프(50)의 상부에는 적정 간격을 두고 상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에어토출구(51)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기에어파이프(50)에 구비된 다수의 에어토출구(51)를 통해 용기(1)의 상부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음식물 조리 시 용기(1)에서 발생된 습증기는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고 배기후드(2)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이동되면서 외부로 빠른 시간에 배출된다.
상기 후드에어파이프(60)는 에어분배기(40)와 연결된 상태에서 배기후드(2)의 입구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후드에어파이프(60)는 원형 또는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후드에어파이프(60)의 상부에는 적정 간격을 두고 상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에어토출구(61)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후드에어파이프(60)에 구비된 다수의 에어토출구(61)를 통해 배기후드(2)의 내측 상부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용기에어파이프(50)에 의해 배기후드(2)로 이동된 습증기는 외부로 한층 더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빠른 시간에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터(20)와 에어탱크(30)를 연결시켜주는 연결 관(70)과, 상기 에어탱크(30)와 에어분배기(40)를 연결시켜주는 연결관(80)과, 상기 에어분배기(40)와 용기에어파이프(50)를 연결시켜주는 연결관(90), 및 상기 에어분배기(40)와 후드에어파이프(60)를 연결시켜주는 연결관(100)에는 밸브(V)가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습증기 배출장치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발생기(10)를 작동시키면 공기가 발생되고, 에어발생기(10)에서 발생된 공기는 연결관(11)을 통해 필터(20)의 입구로 공급되고, 필터(20)로 공급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필터(20)에 의해 제거되고, 이 상태에서 연결관(70)의 밸브(V)를 개방시키면 필터(2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연결관(70)을 통해 에어탱크(30)의 입구로 공급된다.
에어탱크(30)로 공기가 공급되면 자외선램프(34)는 자외선을 방출하여 공기 중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이나 기타 오염물질 등을 멸균시킨다. 이때, 연결관(80)의 밸브(V)를 닫으면 정화된 공기는 에어탱크(30)에 저장되고, 한편 연결관(80)의 밸브(V)를 개방시키면 정화된 공기는 연결관(80)을 통해 에어분배기(40)로 공급된다.
다음, 음식물 조리 시 용기(1)에서 습증기가 발생할 때 연결관(80)(90)(100)의 밸브(V)를 모두 개방시키면, 에어탱크(30)의 자외선램프(34)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연결관(80)→에어분배기(40)→연결관(90)(100)을 거쳐 용기에어파이프(50)와 후드에어파이프(60)로 동시에 각각 공급된다.
용기에어파이프(50)로 공급된 정화된 공기는 용기에어파이프(50)에 구비된 다수의 에어토출구(51)를 통해 용기(1)의 상부로 배출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음식물 조리 시 용기(1)에서 발생된 습증기는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고 배기후드(2)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이동된다.
후드에어파이프(60)로 공급된 정화된 공기는 후드에어파이프(60)에 구비된 다수의 에어토출구(61)를 통해 배기후드(2)의 내측 상부로 배출되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기에서와 같이 용기에어파이프(50)에 의해 배기후드(2)로 이동된 습증기는 외부로 한층 더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빠른 시간에 배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습증기 배출장치에 따르면 용기에어파이프(50)에 구비된 다수의 에어토출구(51)를 통해 용기(1)의 상부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고, 또한 후드에어파이프(60)에 구비된 다수의 에어토출구(61)를 통해 배기후드(2)의 내측 상부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단체급식 주방에서 음식물 조리 시 발생되는 습증기를 외부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빠른 시간에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습증기 배출장치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조리 시 발생되는 습증기를 외부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빠른 시간에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습증기로 인해 천장이나 벽면에 결로나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음식물 조리 시 결로현상으로 비위생적인 물방울이 음식물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에 청결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그리고 주방의 온도상승을 방지하여 조리 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함과 동시에 주방을 한층 더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습증기 배출장치에 따르면 자외선램프(34)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으로 공기정화,살균,탈취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과, 자외선을 발생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주방의 공기를 청정하게 해주므로 건강증진에도 유익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어파이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에어파이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용기 2 : 배기후드
10 : 에어발생기 20 : 필터
30 : 에어탱크 31 : 압력게이지
32 : 드레인밸브 33 : 램프홀더
34 : 자외선램프 40 : 에어분배기
50 : 용기에어파이프 51 : 에어토출구
60 : 후드에어파이프 61 : 에어토출구
70,80,90,100 : 연결관 V : 밸브

Claims (6)

  1.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발생기(10); 상기 에어발생기(10)와 연결되는 에어분배기(40); 상기 에어분배기(40)와 연결된 상태에서 용기(1)의 상부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에어토출구(51)를 구비하는 용기에어파이프(50); 상기 에어분배기(40)와 연결된 상태에서 배기후드(2)의 입구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에어토출구(61)를 구비하는 후드에어파이프(60); 상기 후드에어파이프(6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습증기를 배출시키는 배기후드(2)가 구비된 습증기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발생기(10)와 에어분배기(40) 사이에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20) 및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3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에어탱크(30)의 일측 상부에는 압력게이지(31)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탱크(30)의 하부 중앙에는 드레인밸브(32)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탱크(30)의 상부 중앙에는 램프홀더(33)가 설치되고, 상기 램프홀더(33)에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자외선램프(34)가 장착되며, 상기 필터(20)와 에어탱크(30)를 연결시켜주는 연결관(70)과, 상기 에어탱크(30)와 에어분배기(40)를 연결시켜주는 연결관(80)과, 상기 에어분배기(40)와 용기에어파이프(50)를 연결시켜주는 연결관(90), 및 상기 에어분배기(40)와 후드에어파이프(60)를 연결시켜주는 연결관(100)에는 밸브(V)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증기 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084290A 2008-08-28 2008-08-28 습증기 배출장치 KR100969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290A KR100969428B1 (ko) 2008-08-28 2008-08-28 습증기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290A KR100969428B1 (ko) 2008-08-28 2008-08-28 습증기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654A KR20100025654A (ko) 2010-03-10
KR100969428B1 true KR100969428B1 (ko) 2010-07-14

Family

ID=4217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290A KR100969428B1 (ko) 2008-08-28 2008-08-28 습증기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625B1 (ko) 2022-05-27 2022-08-19 이강 약액 세정방식 전기촉매 산화탈취 및 공기정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786A1 (ko) * 2012-02-29 2013-09-06 Jin Nam Gi 국소 후드 배기 가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2029A (en) 1981-04-30 1982-11-09 Tatemi Sueshige Oven device
JPS57188942A (en) * 1981-05-18 1982-11-20 Tatemi Sueshige Cooking stove
KR20030094513A (ko) * 2003-08-26 2003-12-12 홍성무 감전위험경고표시 겸 누전차단기능 보조 장치 및 방법
JP2005155955A (ja) * 2003-11-21 2005-06-16 Ryonetsu Kogyo Kk ホテル客室の空気置換方法及びホテル客室用空気置換システム
KR200394513Y1 (ko) 2005-06-17 2005-09-02 김준호 축사 환기 공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2029A (en) 1981-04-30 1982-11-09 Tatemi Sueshige Oven device
JPS57188942A (en) * 1981-05-18 1982-11-20 Tatemi Sueshige Cooking stove
KR20030094513A (ko) * 2003-08-26 2003-12-12 홍성무 감전위험경고표시 겸 누전차단기능 보조 장치 및 방법
JP2005155955A (ja) * 2003-11-21 2005-06-16 Ryonetsu Kogyo Kk ホテル客室の空気置換方法及びホテル客室用空気置換システム
KR200394513Y1 (ko) 2005-06-17 2005-09-02 김준호 축사 환기 공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625B1 (ko) 2022-05-27 2022-08-19 이강 약액 세정방식 전기촉매 산화탈취 및 공기정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654A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69358U (zh) 一种预防传染病的灭菌设备
KR20050077586A (ko) 환기겸용 공기청정기
JP2006517854A (ja) 殺菌蛇口及びそれを採用した冷温水器
CN107709904A (zh) 空气净化保鲜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50104062A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KR20190119861A (ko) 고온 및 저온 냉각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JP2012037210A (ja)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KR100969428B1 (ko) 습증기 배출장치
KR20200012233A (ko) 이동식 철판구이 시스템
KR20110060686A (ko) 위생 신발장
KR102270411B1 (ko) 주방용 후드 살균 및 오염 제거장치
KR100668177B1 (ko) 광촉매 코팅 필터를 이용한 핸드 드라이기
JP2004108685A (ja) 除塵・脱臭・除菌機能付き空調装置
KR20110020331A (ko) 손 소독기
KR102057057B1 (ko) 오존발생용 uv램프를 이용한 냉장고용 살균장치
CN106617780A (zh) 一种具有杀菌防霉、除臭效果的电子橱柜
KR102091526B1 (ko) 공기 집진기
KR200443340Y1 (ko) 이중 팬과 이중 케이스를 구비한 공기살균기
JP6216617B2 (ja) 有害物含有ガス処理装置
CN106090836A (zh) 一种多功能空气净化照明系统
KR100534531B1 (ko) 공기 정화 유니트
JPH10243885A (ja) 衛生的包丁入れケース
CN109654627A (zh) 一种卫生间用空气净化除湿装置
KR101475293B1 (ko) 조리용 팬과 연결된 탈취장치
KR20150014817A (ko) 탈취살균장치를 구비하는 주방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