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4513A - 감전위험경고표시 겸 누전차단기능 보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감전위험경고표시 겸 누전차단기능 보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513A
KR20030094513A KR1020030059351A KR20030059351A KR20030094513A KR 20030094513 A KR20030094513 A KR 20030094513A KR 1020030059351 A KR1020030059351 A KR 1020030059351A KR 20030059351 A KR20030059351 A KR 20030059351A KR 20030094513 A KR20030094513 A KR 20030094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test
current
voltage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3061B1 (ko
Inventor
홍성무
Original Assignee
홍성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무 filed Critical 홍성무
Priority to KR1020030059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061B1/ko
Publication of KR2003009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0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Landscapes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기기의 비충전금속 부분에 충전전압이 접촉되고 누전차단기가 외부적 원인에 의하여 차단 기능을 상실했을때 비충전 금속부분과 대지사이에는 대지전압이 걸린다. 2001년에 폭우로 가로등 감전사고가 발생하여 2~3명이 사망했다고 한 후 그 보안책으로 대부분 지역이 철주에 사람이 서서 손으로 만져지는 높낮이 부위를 절연재인 플라스틱 "카바"로 감싸는 시설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결정은 누전 차단기나 접지공사를 잘해도 전기기기의 비충전 금속부분인 철주에 대지 전압이 걸릴수 있다는 사실을 이번사고를 계기로 재삼 깨달았기 때문이다. 이 비충전금속을 철주로 예를 들때 밑부분을 모두 감쌀수는 없다. 어린이들이 이곳을 만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불완전한 예방조치라고 할수 있다. 본 발명장치는 이와 같은 비충전금속부분에 충전전압이 접촉인가 되면 이 비충전금속체에 램프를 켜서 감전 위험경고표시를 하여 접근을 금지토록 하는 기능과 누전 차단이 안되는 원인이 누전 차단기가 아니고 접지불량이 원인일때에는 본 발명장치를 통하여 누전차단에 필요한 전류가 대지로 흐르도록 보조 통로를 제공하는 방법의 장치로서, 누전차단기가 못해내는 기능과 플라스틱 절연재 카바가 못해내는 부분의 역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충전금속 부분에 충전전압이 인가되고 누전차단기가 작동 안했을때에만 접근금지를 알리는 경고등이 점등하므로 평상시에는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 고압수전설비에 쓰이는 피뢰기(Arrester)는 한쪽 전극이 항상 고압이 인가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비충전금속부분과 대지사이인 양쪽 전극 모두가 0전위이므로 위험성이 없고 전기 공급을 필요치 않아서 평상시에는 전기장치라고 볼수 없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감전위험경고표시 겸 누전차단기능 보조 장치 및 방법{Indicating Device For Warning At The Electric Shock Hazard With Auxiliary Function Device For The Short Circuit Breaker And How To Make It}
전기기기의 비충전금속부분(가로등, 신호등의 철주, 전기기기의 금속외함, 금속전선관등)에 충전전압이 접촉하면 누전차단기에 의하여 전원차단이 안되었을 경우엔 대지와의 전압은 대지전압이 인가된다. 이 상황을 주위를 접근하는 사람에게 경고등(Warning Lamp)을 점등하는방법으로서 접근을 피하게 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하고져 하는 기술로서 종래에는 이러한 장치는 따로 없으며 2001년 하절기 폭우시에 가로등 철주에 충전전압이 접촉된 사실을 모르는 통행인이 철주 옆을 통과하다가 2~3명이 감전사망하였다는 보도가 있었다. 누전차단기는 빗물이 스며들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사고발생지역에서는 이 사고를 겪은 후 누전차단기와 접지공사에만 의존했던 사고방식을 버리고 보안대책으로서 철주에 사람의 손이 닿을수 있는 높낮이 부분을 절연재인 플라스틱 카바로 감싸는 시설(실용신안등록제0258048호)을 하였고 이시설은 인접지역에서도 행하여지고 점차 확산 일로에 있다.
철주 밑에 물이 고였을 경우 철주와 대지사이의 물이라는 객체 양극에 대지 전압의 전위가 발생하면서 대지로 지락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실제로 전주 둘레 1메타내외는 대지 전압이 0볼트에 가까운 대지전위로 분산강하하는 지점이 되므로 가령 왼쪽 발의 위치가 충전측 대지 전압의 전위이고 오른쪽 발의 위치가 0볼트에 가까운 어스전위의 위치라면 지락전류의 일부는 왼발로 진입하여 상체의 심장부위등을 거쳐서 오른쪽 발로 흐를것이므로 이것이 심실세동전류(심장박동을 멈추게 하는 전류)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예방에는 완벽이라는 것은 기대할 수 없고 일단 사망한 생명은 다시 소생시킬수 없기 때문에 완벽한 예방조치에 접근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비충전금속 부분에 충전전압이 접촉되었을경우에는 이 위험사실을 경고하는 표시등을 점등하여 주위를 통행하는 사람이 최소 1메타이내로는 접근하지 않도록 주지시키는 경고문과 함께 미리 설치함으로써 감전사고를 예방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어떻게 하면 충전전압이 비충전 금속부분에 접촉되었음을 경고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지가 기술적 과제인것이다. 표준전압(공급전압)이 100볼트인 국가에서는 220볼트 사용보다 전선의 용량이 배로 굵어야 하고 변압기를 포함한 모든 전기기기의 규격도 배로 커야되고 선로 전압 강하를 막기 위하여 변압기의 배치 수효도 많아야 하는등 경제성면에서 손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굳이 100볼트 표준전압을 고집하는 이유가 어디에 있는가, 바로 감전사고 때문인것이다. 100볼트가 표준전압인 국가에서 주로 단상3선식으로 공급하는 이유가 바로 감전사고를 걱정안해도 되기 때문이다. 실예로 100볼트의 중성탭을 접지하면 대지 전압은 50볼트이다. 이때 3종접지(E3)가 100Ω일때 지락전류를 흘리면 오움의 법칙대로 0.5암페아 즉 500밀리암페아가 흐를것이다. (누전차단기 고장일 경우) 이때 사람이 이 금속체를 손으로 만지면 대지전압 50볼트의 전입이 걸려있는 인체저항을 5000오움(통계표준치)으로 했을때 0.01암페아 즉 10밀리암페아가 인체를 통하여 대지로 흐르므로 설사 만져도 심실세동전류(심장마비가 될 수 있는 위험전류) 미달로서 안전하기 때문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에도 불구하고 100볼트 표준 전압을 고수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단상 2선식으로 한다고 해도 인체로 흐르는 전류는 20밀리암페아에 불과하므로 사망에 이르지는 않을 것이다.(물론 손과 발이 물에 젖어서 인체저항이 500오움정도로 낮아졌을때는 100밀리, 200밀리 암페아가 흐르므로 위험 수치로 보아야 하지만) 대지전압 50볼트는 허용접촉안전전압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결론이다. (예, 어떤나라는 안전전압을 50볼트로 규정하고 있음) 그래서 표준전압이 100볼트인 나라에서는 비충전 금속부분에 플라스틱절연재 카바를 안해도 된다. 그러나 220볼트 표준전압인 나라에서는 차라리 콘크리트 전주(C.P) 또는 목주 또는 절연재의 외함이나 합성수지관등의 사용이 감전사고의 위험이 없는 것이다. 목주나 콘크리트 주 사용시절엔 발생하지 않던 감전사고가 2001년 철주에서 발생한 것은 그이유라고 말할수 있다. 220볼트 사용초창기에는 단상3선식을 주로하여 중성점을 접지하였음으로 대지전압이 110볼트였는데 최근 시설에는 점차 220볼트 단상 2선식 변압기를 사용하여 변압기 2차측 한쪽선을 접지하기 때문에 대지 전압은 220볼트이다. 만일 충전 전압이 비충전금속 부분에 접촉되고 누전차단기능이 작동안했을 경우에 3종 접지저항(RE3)이 100오움이라면 2.2암페아의 지락전류가 흐른다. 그러므로 과전류차단기는 보통 차단전류가 15암페아 이상인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차단전류 미달로 차단되지 않은채, 전선도 흔히, 직경 1.6밀리미터 또는 2밀리미터 이상의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허용전류이내이므로 전선과열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사람이 이 충전된 비충전금속부분을 만졌을때는 인체저항을 5000오움으로 계산하면 44밀리 암페아가 흐르므로 위험전류로 분류되며 만일 폭우시 손과 신발이 젖은 상태라면 인체저항이 500오움정도까지 내려가므로 이때엔 440밀리암페아가 흐르므로 심실세동전류수치를 충족하여 감전사망을 초래할수 있는것이다. 이러한 위험상태일때 이 충전전압이 접촉된 비충전금속체의 색깔이 빨간색으로 변한다던가 하여 전기상식이 부족한 일반인도 위험을 직시하고 접근을 피하도록 하는 방법도 감전사고 예방을 위한 하나의 방편일수 있다는 것에 대한 기술적 해결책인 것이다. 두 번째로의 기술적 과제로는 누전차단기의 차단기능에 대한 문제이다. 누전차단기의 내부구조를 보면 미니형 집적회로(I.C) 1개와 소형트랜지스터(T.R) 1개 그리고 정류용 다이오드(DIODE) 4개 및 소형 코일(COIL)등이 조합된 작은 전자기판(P.C.B)이 주체이다. 이것은 내부에 습기가 차거나 인입측전선을 따라 빗물이 스며들면 고장이 발생 동작을 못한다. 한달에 한번 이상 시험버튼으로 고장 이상유무를 검사하여도 아무런 이상이 없다가 바로 폭우가 쏟아지는날 누전차단기까지 동시에 고장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그리고 옛날에는 대지위가 흙이였기 때문에 충전전압이 비충전금속부분에 접촉하게 되면 사람이 이를 만지면 전기통증을 느껴서 누전되는 것을 알었는데 요즘은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바닥 지면을 덮었기 때문에 건조시에는 설사 비충전금속부분에 충전전압이 접촉되어있어도 이를 사람이 만졌을때 아무런 전기적 충격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시멘트와 모래가 주 원료인 콘크리느나 타르(TAR)가 원료인 아스팔트는 전도성 물질인 철분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접지저항(RE3)이 아주 커서 접지로의 전류 흐름이 미세하여 모르고 있다가 비가 많이 온 날 콘크리트 바닥이나 아스팔트위에 물이 고여서 대지와 접지가 양호해지므로 감전 사고가 발생되는 것이다. 3종접지(E3)가 불량(접지극의 부식, 접속점부식등으로 인한)하여 접지저항(RE3)이 커졌거나 혹은 3종 접지(E3)없이 시멘트 콘크리트에 철제 볼트를 박어서 여기에 철제 낫트로 비충전 금속체 하부를 결속한 상태를 접지효과가 있다고 믿고 별도 3종 접지(E3)를 안한 경우등에 있어서 정격감도전류가 15밀리암페아이고 정격 부동작 전류가 7.5밀리암페아인 누전차단기의 필요접지저항수치는 실제로는 정격감도전류와 정격부동작전류의 중간수치에서 차단기가 동작하므로 22킬로 오움이하는 최소한 되어야 누전차단기가 동작할 수 있다. 시멘트 콘크리트 재질이 고급이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그리고 아스팔트 두께가 두꺼울수록 대지위에서의 접지저항은 커진다. 접지를 아무리 잘해도 비충전 금속 부분에 충전전압이 접촉하면 대지와의 전압은 전로와 어스와의 전압과 거의 같은 전위차가 발생한다는 이유로서 전선재인 동(구리)의 고유저항은 20℃에서의 1입방센티미터당 1.69마이크로 오움이고 크롬, 알루미늄은 2.60마이크로오움, 니켈은 4.9마이크로오움, 철은 10.00마이크로 오움에 불과하여 이들은 도전율이 높아서 전압 강하가 거의 없는 대부분의 대지 전압이 그대로 인가 되며 이것은 접지 저항이 10오움일때에도 대지와의 전압은 그대로 대지 전압이고 지락전류는 220볼트 충전전압에서는 22암페아가 되고, 접지저항이 50오움일때는 4.4암페아가 흐른다는 것뿐이고 절대로비충전금속부분과 대지와의 전위가 0볼트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물론 평상시에는 대지와 같은 전위이다. 그러므로 충전전압이 접촉했을 경우 누전차단기가 동작 안되면 감전사고는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사람이 아무리 정비를 완벽히 한다고 장담하여도 관리자가 장기간 한 곳에 근무하지도 못하므로 여러사람 거치다 보면 어떤 원인에 의했던 간에 결선부위 등에서 접촉되는 사고는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누전차단기를 최소 일개월에 한번씩 시험버튼으로 시험하라는 것은 그 내부구조가 전자 I.C(집적회로)등으로 된 것이므로 낙뢰 유도전압등에 의한 충격전압, 돌입전류, 주위온도, 습도등에 민감하고 약한 부속이기 때문에 수명보장이 안된다는 것을 뜻한다. 이 시험 버튼에 의한 시험은 접지로 누전되는 검사가 아니고 변류기의 입력전선과 출력전선과의 전로사이에 저항(차단전류와 같거나 혹은 4~5배 높은 수치의 전류가 흐를수 있는)을 버튼으로 직렬연결하여 시험하는 것으로 누전차단기 기기자체의 고장여부를 시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실제 그 차단기를 장치한 장소의 접지가 전술한 대로 불량수치의 큰 수치일때에는 누전차단기의 차단기능을 충족 시켜주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므로 누전차단기는 고장이 아닌데도 차단되지 않는 결과가 발생할수 있다. 이러한 상황일때는 3종접지쪽(E3)은 불량하더라도 누전차단기는 기능을 작동하도록하게 할 필요가 있다. 위의 두가지 문제를 즉 충전전압이 비충전 금속부분에 접촉되면 경고 램프에 점등이 되게하고 누전차단기가 접지불량으로 누설전류의 흐르는 량이 부족하여 동작 못할 경우 부족한 전류가 흐를수 있거나 혹은 3종 접지가 안되었어도 누전차단기가 동작할수 있는 간편접지장치를 겸하는 기능을 갖도록 장치하는 기술이 과제인 것이다.
도 1의 (가)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 회로도
도 1의 (나)는 본 발명장치의 객체가 전기기기의 외함인 경우에 P.B.L(푸쉬버튼스위치겸 램프) 타입에 시험 코드선의 한쪽과 표시램프를 결합한 참고도
도 2의 (가)는 단상2선식의 저압측 전원과 누전차단기를 통하여 공급된 충전전압이 외부케이스인 비충전금속부분에 접촉했을때의 참고도
도 2의 (나)는 도2의 (가)의 전원인 변압기 2차측의 각종 충전전압과 접지 형태를 표시한 참고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용 표시 램프의 촉광을 높이고 누전차단 보조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장치의 수를 3개로 했을 경우의 실시 참고도
도 3의 (나)는 가로등에 본 발명장치를 실시한 경우의 동작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장치의 표시램프(N.L)의 촉광을 높이고 누전차단 보조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장치를 4개로 한 경우의 실시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충전부분
2 ... 비충전금속부분(가로등, 신호등의 철주, 전기기기의 금속외함, 금속 전선관등)
2'... 비충전금속으로된 지지대
3 ... 충전전압이 비충전금속에 접촉한 상태표시
4 ... 입력측단자
5 ... 시멘트 콘크리트 바닥 표면
6 ... 대지(EARTH)
7 ... 본 발명장치
8 ... 전류계가 장착된 테스트 코드선
9 ... 밀리암페아메타
10 ...판넬취부형의 본발명의 표시램프
11 ... 차광판 12 ... 금속판
13 ... 고정용 볼트 14 ... 절연배선판(P.C.B)
15 ... 소구경 전선관 16 ... 취부용 볼트낫트
17 ... 절연배선판(P.C.B)
18 ... 배선용 절연피복선 19 ... 본 발명장치의 실시예
20 ... 비충전금속 기둥
21 ... 경고등의 투광 케이스
22 ... E1, E2, E3를 공용접지 했을 경우의 연접선 표시
23 ... 지락 전류의 흐름방향표시
24 ... 본 발명장치쪽으로 흐르는 전류 의 흐름표시
25 ... 누전차단기 내부 구조도 표시
E1 ... 1종 접지 E2 ... 2종 접지
E3 ... 3종 접지 ES ... 본발명장치의 독립된 접지
RE1 ... 1종접지저항 RE2 ... 2종접지저항
RE3 ... 3종접지저항 RES ... 본발명장치의 접지,저항
L.A ... 피뢰기(Arrester) T ... 변압기
A ... 단상2선식 변압기의 2차측 접지표시
B ... 단상3선식
C,D,E,F,G ... 3상3선식 또는 3상 4선식 변압기의 2차측의 각종접지 참고 예
H.V ... 변압기의 고압(1차)측
L.V ... 변압기의 저압(2차)측
T.J ... 테스트전압 공급용 잭(JACK)
T.JR ... 테스트 전압 전달용 플러그(Plug)
T.P ... 테스트 전압수급용 플러그(Plug)
T.P.R ... 테스트전압전달용 잭(JACK)
S.S. ... 절환스위치(Slector Switch)
R1 ... 고정저항 R2 ... 가변저항(반고정저항)
R3 ... R1+R3의 저항값과 같은 수치의 고정저항
mA ... 밀리암페어 F ... 퓨즈(FUSE)
N.L ... 네온램프(Neon Lamp)
도1(가)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공급 전원인 교류 220볼트의 충전전압(1)이 비충전 금속 부분(2) 내부에 공급된 상태에서 이 충전 전압(1)의 전선피복이 벗겨지거나 또는 접속 단자에서 이탈한 전선 비피복 나동선이 주위의 비충전 금속 외함내부에 닿으면 이 비충전 금속 외함의 대지와의 접지저항이 10오움이라면 이 10오움의 양단 즉 비충전금속에는 220볼트에 근접한 충전전압이 인가되고 하부 땅속 기존의 접지동판 또는 접지 봉과 대지 사이에서는 주위대지1∼2미터 내외에서 전압이 급강하하여 0전위로 변하기 때문에 이 비충전금속부분(2)에 결합결선된 본 발명 장치의 네온램프는 평상시에는 대지와 같은 0전위로서 전류가 흐르지 않다가 일단 충전전압이 비충전금속부분(2)에 인가되면 이 네온램프의 양단자 사이에는 충전전압이 걸려서 점등한다. 이 네온램프의 과전류로 인한 소손을 방지하는 역할로서 고정저항 R1과 가변저항 R2 또는 고정저항 R3의 한쪽 단자를 네온램프와 직렬로 결선하고 나머지 한쪽 단자는 본 발명용의 접지판(ES)에 결선하며 이 접지판은 동판이나 부식이 없는 스테인레스강판(SUS)을 사용한다. 이 접지판은 1종접지내지 3종접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대지와의 접지저항이 수 킬로오움이라도 무관하다. 그 이유는 네온램프가 점등하는데 필요한 전류는 제품규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의 제품은 10미리 암페아 이하이므로 220볼트 충전전압이 걸린 상태에서 가령 3미리 암페아 전류의 빛으로 점등시킨다고 했을 때 네온 램프와 대지와의 접지저항은 73.3킬로 오움이 된다. 그러므로 저항 R1은 네온램프에 과전류로 인한 소손방지를 목적으로 대지측 접지판(ES)의 접지저항의최소치인 10오움정도로 가상했을때 실제로 네온램프에 과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즉 네온램프의 정격 최대전류(제품마다 차이가 있음) 이하가 되도록 오움의 법칙에 의하여 값을 정한다. 저항 R2는 접지판(ES)과 저항R1의 합성접지 저항수치의 변화로 생길수 있는 네온램프의 빛(광도) 세기가 약하거나 너무 세어졌을때 전류를 줄이거나 늘려주는 가변 저항이다. 테스트코드선(8)은 본 발명장치를 설치시 또는 1년에 한두번 이상 유무점검시에 사용하며 절환스위치(SS)를 정상위치에서 비정상위치인 테스트 플러그(T.P)위치로 바꾸고 테스트 코드선(8)의 한쪽을 이 플러그에 꽂고 나머지쪽에 테스트전압공급용 잭(T.J)로부터 220볼트전원을 공급하면 성능 테스트 및 네온램프(N.L)빛의 세기와 네온램프의 전류를 조절할수 있다. 이 네온램프(N.L)는 누전시에 점등되는 역할과 겸하여 종래의 누전차단기가 누전시 차단되지 않을때(누전차단기가 완벽해도 접지선이 단선되거나 접지저항이 커지면 동작안함. 시판되는 누전차단기의 규격은 15밀리암페아 이상이며 동작 불능 최소 전류는 7.5밀리 암페아다. 만일 접지저항이 커져서 대지누전전류가 7밀리암페아 이하로 흘러서 동작안함) 누전차단기가 동작을 못할 때 완벽하게 동작하도록 접지로의 대지전류 궤환길을 열어준다.
도1의 (나)는 판넬취부형에서 종래의 푸쉬버튼램프 규격에 맞춘 참고도면이며 도2의 (가)는 본 발명장치가 결합된 부충전금속(2)에 충전전압(1)이 인가되었을때 전류(점선화살표)가 공급전원의 변압기 2차측으로 흐름을 표시한 것으로 역시 참고도이다. 도2의 (나)역시 전기상식의 설명으로 참고도이다. 도3의 (가)는 본 발명장치의 네온램프를 여러개 병렬로 결선하여 빛의 광도를 높일수 있음을 보여주는참고도이다. 도3의 (나)는 가로등에 설치하는 예로서 이 역시 참고도이다.
(도)4 역시 다수의 네온램프를 빛의 광도를 높이고자 병렬로 한 것에 대한 것으로 참고도이다.
이상 설명은 발명의 작용에 대한 것이며 발명의 구성은 비충전 금속 부분(2)에 나사볼트로서 입력 측 전선단자(4)를 결합결선하고 이 선에 절환스위치(SS)를 결선한 후 이 절환 스위치(SS)다음에 네온램프(N,L), 저항(RL), 가변저항(R2) 및 접지판(ES)을 직렬로 결선한후 이 접지판(ES)을 대지속 깊이 10센치미터이상에 묻는다. 절환 스위치의 비정상위치 단자에는 테스트플러그(T.P)를 결선 고정한다.
1. 충전전압(1)이 비충전 금속 부분(2)에 접촉(3)되었을때 누전차단기가 접지측 불량으로 지락전류(23)가 차단 필요전류에 미달되어서 동작안할 때 차단에 필요한 부족전류를 본 발명장치(7)의 회로로 흘려서 차단되도록 차단기능을 보조한다. 정상시에는 본 발명장치가 사용한 네온램프의 특성상 허용안전전압으로 분류할수 있는 50∼60볼트와 같은 저압에서는 동작하지 않고 위험전압이라 할수 있는 70∼80볼트 이상이 되어야 동작하기 때문에 실제로 충전전압이 접촉하지 않으면 절대로 동작안하는 특징이 있어서 고압용의 피뢰기(Arrester)와 같은 역할을 하므로 정상시에는 스위칭하지 않으므로 비충전금속부분(2)이 3종접지(E3)된것과는 완전히 상이한 것이다. 즉 평상시에는 본 고안장치는 전원공급이 필요없다. 본 발명장치(7)에 충전전압의 충전부분(1)이 비충전금속부분(2)과 접촉(3)되였을때에 누전차단기가 동작 안할 경우에는 이 충전사실을 경고하는 표시 램프(N.L)를 점등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접근하지말도록 알려줌으로써 감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비충전 금속부분(2)에 입력측 단자(4)를 결합결선하고 이 입력단자(4)의 나머지 한쪽선을 절환스위치(SS)와 네온램프(N.L) 고정저항(R1)과 가변저항 (R2) 및 접지판(ES)을 직렬결선 한 후, 이 접지판(ES)을 대지속 깊이 10센치미터이상에 묻으며, 상기 절환스위치(SS)의 비정상위치 단자에 테스트플러그(T.P)를 결선하는 단계,
    상기 단계 후 상기 테스트 플러그(T.P)에 전류계가 장착된 테스트코드선(8)을 사용하여 테스트전압공급용잭(T.J)으로부터 220 볼트 교류전원을 공급한 후 가변저항(R2)을 조절하여 네온램프(N.L)의 빛과 전류를 조정, 고정하고 상기 테스트 플러그(T.P)를 테스트전압공급용잭(T.J)에서 뽑고 절환스위치(SS)를 정상 위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전위험경고표시 겸 누전 차단기능 보조장치 및 방법
KR1020030059351A 2003-08-26 2003-08-26 감전위험경고표시장치 겸 누전차단기능 보조장치 KR100553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351A KR100553061B1 (ko) 2003-08-26 2003-08-26 감전위험경고표시장치 겸 누전차단기능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351A KR100553061B1 (ko) 2003-08-26 2003-08-26 감전위험경고표시장치 겸 누전차단기능 보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221U Division KR200288249Y1 (ko) 2002-06-04 2002-06-04 감전위험경고표시 및 누전차단기능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513A true KR20030094513A (ko) 2003-12-12
KR100553061B1 KR100553061B1 (ko) 2006-02-20

Family

ID=3238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351A KR100553061B1 (ko) 2003-08-26 2003-08-26 감전위험경고표시장치 겸 누전차단기능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428B1 (ko) * 2008-08-28 2010-07-14 안귀인 습증기 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021B1 (ko) * 2023-01-05 2024-03-12 이상진 전력유도를 이용한 전기안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428B1 (ko) * 2008-08-28 2010-07-14 안귀인 습증기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3061B1 (ko) 200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12511B (en) Measuring devices
US7323878B2 (en) Ground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MXPA05003880A (es) Dispositivo de cableado electrico.
JP2009207286A (ja) 接地線分岐端子および分電盤
Parise et al. Electrical safety of street light systems
CN1278966A (zh) 高灵敏度电气开关电路
KR20030094513A (ko) 감전위험경고표시 겸 누전차단기능 보조 장치 및 방법
KR101834907B1 (ko) 가로등주의 접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
US20040113806A1 (en) Safety protection circuit
KR200288249Y1 (ko) 감전위험경고표시 및 누전차단기능 보조장치
KR100530989B1 (ko) 지락 차단장치
JP5312833B2 (ja) 回路遮断器
CN219554664U (zh) 一种0.4kV低压线路用分段保护及整理分支箱
KR200427565Y1 (ko) 안전기준초과전압의 감전위험경고표시장치
CN210323181U (zh) 一种室外漏电安全提示装置
KR200375175Y1 (ko) 패드 변압기 부하측 회로 디지털 제어장치
JP5201448B2 (ja) 分電盤
JP5231061B2 (ja) 回路遮断器
CN2322297Y (zh) 路灯漏电保护装置
TWI580985B (zh) 漏電斷路動作檢測裝置
KR200338127Y1 (ko) 검전기능을 갖춘 발, 변전소용 접지용구의 절연봉
Parise et al. Grounding of distributed low-voltage loads: The street lighting systems
CN2559151Y (zh) 用电器的保护接地监控装置
AU723509B2 (en)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a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uppression system
Burnett et al. Problems at the utility supply/consum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