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228B1 -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 - Google Patents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228B1
KR100969228B1 KR1020080043073A KR20080043073A KR100969228B1 KR 100969228 B1 KR100969228 B1 KR 100969228B1 KR 1020080043073 A KR1020080043073 A KR 1020080043073A KR 20080043073 A KR20080043073 A KR 20080043073A KR 100969228 B1 KR100969228 B1 KR 100969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station
transit
platform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159A (ko
Inventor
박성신
권태수
이우동
김진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4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22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2개 노선 이상에 대한 다수의 환승역이 벌집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환승 동선을 최소화, 안전화 및 단순화할 수 있고, 다른 철도 노선과 연계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환승 수요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승객의 환승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고, 환승 공간, 쇼핑과 문화 공간, 매표소 등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다층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승객과 역세권 주변의 거주 고객들을 위한 쇼핑이나 문화 등의 여가 시설을 만족시킬 수 있고, 더욱 많은 승객을 유치할 수 있으며, 중심부가 개방된 벌집의 단면 형상의 단위 구역이 다수 적층되기 때문에 지하 약 20m의 지하층에도 자연 채광이 되도록 설계되어 시원하고 쾌적한 역사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역사의 구조로 인해 다양하고 미려한 철도의 역사를 제공할 수 있다.
철도 차량, 역사, 환승역, 벌집 구조, 단위 구역

Description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Urban railway honey comb transit structure of station}
본 발명은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 노선 이상에 대한 다수의 환승역이 벌집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의 승강장은 역 주변의 지질조건, 역 지상의 도로 폭, 노선의 선형 및 배선계획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는데,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뉘어져 있다.
즉, 승강장이 바깥쪽에 위치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탈 수 있는 상대식 승강장 형태가 있고, 중앙에 위치하여 양방향 어느 쪽으로도 탈 수 있는 섬식 승강장 형태가 있다.
상대식 승강장은 '폼|선로|선로|폼' 의 가장 일반적인 구조로, 선로의 바깥쪽으로 승강장이 놓여 규모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고, 시공도 용이하다. 일례로, 상대식 승강장의 규모는 3호선 남부터미널 같은 소규모에서 6호선 월드컵 경기장이나 2호선 종합운동장 같은 대규모까지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선 로쪽을 건드릴 필요없이 승강장을 앞뒤로 연장하거나 폭을 넓힐 수 있어 승강장 확장공사도 용이하다.
섬식 승강장은 '선로|폼|선로'의 구조로 가운데 승강장이 중앙에 놓여있어서 선로가 곡선화되어 있고, 지상의 선로폭이 좁을 때 주로 건설한다.(예를 들면, 3호선 종로3가역 등) 또는 지하철이 쌍굴 형태로 건설될 때, 상행 및 하행이 원래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역의 승강장은 상행과 하행의 가운데 공간에 섬식으로 건설하기도 한다.
단일 굴에 지은 섬식 승강장의 경우에는, 승강장 앞뒤로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므로, 공간이용의 효율이 떨어지고 공사비가 증가하고, 또한 섬식 승강장을 확장하려면 전후 확장, 폭을 확장, 또는 선로를 움직여야 하므로 공사가 무척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섬식 승강장 앞뒤 공간에 회차선을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열차를 회차를 시킬 필요가 있는 역의 경우 섬식 승강장을 설치한다.(예를 들면, 1호선 서울역, 청량리, 2호선 삼성역 등)
더불어 각 시간대 별로 상행과 하행의 이용객이 큰 차이가 날 때는 섬식 승강장이 유리하다. 상대식 승강장이라면 한쪽 승강장은 이용율이 떨어져 비효율적이지만, 섬식 승강장은 공통의 승강장을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반대방향 열차를 탔을 때 섬식 승강장 구조의 역에서는 쉽게 반대 방향의 승강장에서 갈아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상대식 승강장과 섬식 승강장의 변형된 형태로, 2폼 3선식, 쌍섬식, 1 상대 1섬식, 쌍상대식 구조가 있다.
2폼 3선식 승강장은 '선로|폼|선로|폼|선로'의 구조로, 중간 되돌림시에 대단히 유리한 구조이다. 예를 들어, 7호선 수락산역의 구조를 보면 상행(도봉산 방면)으로 가던 수락산행 열차가 수락산역에서 종착한 후 되돌림할 때, 열차가 종착하면 상행 승강장으로 승객을 내려주고, 되돌아서 출발할 때 하행 승강장에서 승객이 승차한다.
따라서 상행 방면으로 계속 진행하려는 승객이나 수락산역에서 하행방면으로 가려는 승객이나 계단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열차도 회차선까지 들어갔다 나올 필요 없이 곧바로 반대방향으로 갈 수 있다.
이런 방식은 종착역 회차시에도 노선의 말단쪽에 회차선만 있는 것보다 유리하다. 가운데 선으로 바로 되돌아 나오고, 다음 열차는 회차선에 들어갔다 나오는 방식으로 회차하면 회차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5호선 상일동역, 6호선 봉화산역, 7호선 온수역 등)
쌍섬식 승강장은 '선로|폼|선로|선로|폼|선로'의 구조로, 차량기지와 연결된 종착역에서 한꺼번에 열차가 들어오거나 나갈 때, 열차를 폼에 정차해둔 채 준비 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차량기지에서 들어갈 열차나 나온 열차가 일단 종착역에 정차한 후에 청소원이 차내를 청소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예를 들어, 분당선 오리역 등)
또한 보통 종착역에서는 오래 정차하고 있는 경우가 보통이라서 측선이 없으면 후속 출고차가 출고선에서 계속 기다리게 되는 문제가 생기는데, 쌍섬식이라면 후속 출고차가 승강장에 미리 들어와 있는 등 여유를 갖기에 좋다.
반면에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중간 되돌림역으로 이용할 경우, 계속 진행방향 승객은 계단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4호선 산본역의 경우에 종착 열차는 상행 승강장으로 종착하기 때문에 시발 승객은 상관없지만, 종착 열차를 타고 산본역에 도착한 후에 안산방면으로 계속 가려는 승객은 계단을 이용하여 하행 승강장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
1상대 1섬식 승강장은 '선로|폼|선로|선로|폼'의 구조로 보통 차량기지에 연접한 역에서 볼 수 있으며, 아침 등 차량 출고가 빈번한 시각에 출고에 여유를 두게 해준다. 즉, 출고된 열차가 곧바로 본선에 들어가는 부담 없이 일단 1상대 1섬식 역의 섬 한쪽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시간에 맞춰서 본선으로 들어갈 수 있다.
예를 들어 7호선 광명역의 경우에, 차량기지와 연결된 선로가 하나 더 있으며 2호선 성수역(남쪽으로 3선만 보았을 때), 3호선 수서역도 있다.
또한 분기역의 경우, 두 방향에서 오는 열차가 한 선로로 한꺼번에 합쳐지는 것에 여유를 둘 수 있다. 열차가 본선에서 곧바로 합쳐지는 부담 없이 우선 승강장에 들어가서 여유를 찾은 후에 출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일동 발과 마천 발이 합류하는 5호선 강동역 등)
쌍상대식 승강장은 '폼|선로|선로|폼|선로|선로|폼'의 구조로, 경부선 구로~용산 구간의 수도권 전철에서 볼 수 있으며, 1호선 신길역이 이런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존 복선의 상대식 승강장에 추가로 복선이 선로별 복복선으로 설치되면서, 상대식 승강장이 옆에 덧붙여진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방향별 복복선이나 선로별 복복선에서 모두 완행과 급행의 환승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만, 복복선이 완급분리로 운행될 때는 그런대로 쓸모가 있지만, 승객들에게 어떤 승강장에 열차가 먼저 오는지 안내할 필요가 있다. 선행하는 열차를 안내하지 않을 경우에, 승객이 왼쪽 상행 승강장에서 기다리고 있는데 오른쪽 상행 승강장에 열차가 먼저 도착하는 불합리한 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상대식 승강장, 섬식 승강장, 또는 이들을 적절히 변형한 구조의 승강장은 환승 동선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환승 승객들에게 체감 환승 소요시간이 길어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로 3가역은 1호선과 5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 환승 소요시간이 대략 17정도 소요되고, 동대문 운동장역은 1호선과 5호선이 환승되는 역으로서 환승 소요시간이 대략 15분, 1호선과 5호선이 환승되는 왕십리역과 4호선과 7호선이 환승되는 노원역은 대략 14분 정도 소요된다.
기존의 지하철 역사의 승강장 구조는 환승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출퇴근시 환승 승객들로 인해 환승을 위한 계단과 승강장이 매우 혼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지하철 역사 내에는 매표소 외에 소규모의 쇼핑 시설과 편의시설을 구비하고 있고, 또는 백화점이나 할인점 등의 지하로와 지하철 역사 내의 통행로가 연결되어 있어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쇼핑이나 문화 등의 여가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지하철 역사 자체 내에는 백화점, 할인점, 멀티플렉스 극장, 대형 서점 등의 쇼핑과 문화 등의 여가 시설을 갖추고 있지 않아 지하철을 이용하는 고정 승객이나 유동 승객들을 유치하는데 한계가 있고, 승객이나 역사 주변의 주거 고객들에게 다양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벌집의 단면 형상을 갖는 환승 구조로 인해 환승 동선을 최소화, 안전화 및 단순화할 수 있고, 다른 철도 노선과 연계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환승 수요를 극대화할 수 있고, 승객의 환승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승 공간, 쇼핑과 문화 공간, 매표소 등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다층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승객과 역세권 주변의 거주 고객들을 위한 쇼핑이나 문화 등의 여가 시설을 만족시킬 수 있고, 더욱 많은 승객을 유치할 수 있는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심부가 개방된 벌집의 단면 형상으로 다수의 층이 적층되기 때문에 지하 약 20m의 지하층에도 자연 채광이 입사되도록 설계되어 시원하고 쾌적한 역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는, 다수의 환승역이 벌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승역은 상기 벌집의 단면 형상을 갖는 단위 구역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 구역의 최하층에는 특정 면적의 중앙광장 또는 다수인이 이용할 수 있는 공중 시설이 설치되고, 상기 단위 구역의 나머지 층들은 여가 시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 구역은 중심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승역은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또는 벨트식 이송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다른 환승역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환승역은 'V'자형 환승 구조를 갖고, 상기 환승 구조는 상부 층의 환승역에 대한 제1 승강장이 설치되고, 하부 층의 환승역에 대한 제2 승강장이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승강장이 만나는 중심 공간에 환승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승강장은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또는 벨트식 이송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에 따르면, 벌집의 단면 형상을 갖는 환승 구조로 인해 환승 동선을 최소화, 안전화 및 단순화할 수 있고, 다른 철도 노선과 연계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환승 수요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승객의 환승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승 공간, 쇼핑과 문화 공간, 매표소 등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다층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승객과 역세권 주변의 거주 고객들을 위한 쇼핑이나 문화 등의 여가 시설을 만족시킬 수 있고, 더욱 많은 승객을 유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철도 이용 승객이 많은 시간대에 벌집의 단면 형상인 단위 구역의 6면에 엘레베이터(E/V)와 에스칼레이터(E/S)를 충분히 설치하여 이동 승객들이 넘어지거나 상해를 입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심부가 개방된 벌집의 단면 형상의 단위 구역이 다수 적층되기 때문에 지하 약 20m의 지하층에도 자연 채광이 입사되도록 설계되어 시원하고 쾌적한 역사 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역사의 구조로 인해 다양하고 미려한 철도의 역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에서 다수의 노선 환승역이 도시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승 승강장의 세부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승역의 환승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승역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현수식 모노레일의 환승역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는 다수의 환승역(10, 20, 30)이 벌집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환승역(10, 20, 30)은 상기 벌집의 단면 형상을 갖는 단위 구역(100)으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구역(100)이 다수 개가 적층되어 있다.
상기 단위 구역(100)의 최하층에는 특정 면적의 중앙광장 또는 다수인이 이용할 수 있는 공중 시설이 설치되고, 상기 단위 구역(100)의 나머지 층들은 쇼핑, 문화생활, 레저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여가 시설이 설치된다.
이러한 단위 구역(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1층(101), 지하1층(102), 지하2층(103), 지하3층(104), 지하4층(105) 등의 다수 층이 적층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지상층과 지하층은 감소 또는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구역(100)은 중심부가 개방된 개방부(110)가 설치되어 있어, 지상층에서 대략 20m 정도까지의 지하층까지 자연채광이 입사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 층이 적층된 단위 구역(100)들은 중앙 광장 또는 공중 시 설에 의해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개방부(110)로 인해 확 트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시원함과 쾌적함, 편리함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위 구역(100)이 다수 층 적층된 철도의 역사는 3개 이상의 노선에 대한 제1 내지 제3 환승역(10, 20, 3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내지 제3 환승역(10, 20, 30)은 환승 동선을 최소화, 단순화, 및 안전화하기 위해 인접 환승역과 'V'자형 환승역 구조를 갖는다.
즉,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철도 차량(1)이 정차 및 출발하는 승강장(11, 11')이 선로(2)에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또는 벨트식 이송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이송수단(12)을 이용하여 내려오거나 올라올수 있는 환승홀(13)이 설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승역(10, 20, 30)은 2개의 단위 구역(100)에 설치된 승강장(11, 11')을 이송 수단(12)으로 연결하고 있는데, 상부의 단위 구역(100)에 제1 승강장(11)이 위치하고, 하부의 단위 구역(100)에 제2 승강장(11')이 위치되며, 상기 제2 승강장(11')에서 이송수단(12)을 따라 상기 제1 승강장(11)으로 올라가면 환승홀(13)이 위치된다.
상기 환승홀(13)은 기존의 'L'자형 환승역 구조보다 폭이 넓어 승객의 동선과 분리되어 있고, 승객이 집중되는 러시아워 시간대에 계단 등의 이송 수단(12)에 몰려드는 승객들이 보다 안전하게 승하강하거나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승홀(13)은 선로(2)의 반대쪽에 출입문(14)을 설치하여, 승객들이 다른 단위 구역(100)으로 이동하거나 철도의 역사를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출입문(14)은 다른 층의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로 연결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철도의 역사는 지하철 등의 철도 차량(1)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현수식 모노레일(1'), 또는 타 도시철도의 노선과 연계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상기 출입문(14)을 통해 나오면 매표소, 버스 환승을 위한 버스 정거장 등과 일원화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는 다수의 환승역(10, 20, 30)이 벌집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개개의 환승역(10, 20, 30)은 벌집의 단면 형상을 갖는 단위 구역(1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 구역(100)은 중심부가 지상층까지 개방되어 자연채광이 들어올 수 있도록 개방부(1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단위 구역(100)이 다수 층 적층되더라도 지하 약 20m 정도까지 자연 채광이 들어올 수 있어 승객들에게 시원함과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 구역(100)의 깊이가 지하 20m 이상일 경우에도 채광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개방부(110)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자연 채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단위 구역(100)의 최하층에는 중앙 광장이나 공중 시설이 위치하 고, 나머지 단위 구역(100)마다 쇼핑, 문화, 레저 등의 여가 시설들이 위치하고 있어 승객들이 철도 차량(1)을 이용하면서 다양한 편의 시설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승객을 유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객들의 다양한 욕구도 충족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환승역(10, 20, 30)은 환승 동선이 최소화 및 단순화되면서 승객들의 안전을 위해 'V'자 형으로 형성되는데, 2개의 노선에 대한 제1 및 제2 승강장(11, 11')이 상부층과 하부층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장(11, 11')은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등의 이송수단(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승강장(11, 11')이 만나는 지점에 환승 승객의 동선과 분리되도록 폭이 넓은 환승홀(13)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승객이 철도의 역사 내에 들어서면 3개 노선 이상의 환승역(10, 20, 30)이 위치하고 있어 원하는 노선의 환승역(10, 20, 30)을 찾아 이동하고, 대기 시간이나 여유 시간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 등의 이송 수단(12)으로 지상층부터 지하층까지 이동하면서 쇼핑 시설, 문화 시설, 레저 시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철도의 역사와 연계되도록 매표소, 버스 정거장, 또는 택시 정거장 등이 철도의 역사 주변에 위치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에서 다수의 노선 환승역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승 승강장의 세부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승역의 환승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승역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현수식 모노레일의 환승역이 도시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철도 차량 2: 선로
10, 20, 30 : 환승역 11, 11': 승강장
12 : 이송 수단 13 : 환승홀
100 : 단위 구역 110 : 개방부

Claims (9)

  1. 벌집의 단면 형상을 갖는 단위 구역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다수의 환승역이 다층의 벌집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환승역은 인접 환승역과 'V'자형 환승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되,
    상기 'V'자형 환승 구조는 상부 층의 환승역에 대한 제1 승강장이 설치되고, 하부 층의 환승역에 대한 제2 승강장이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승강장이 만나는 중심 공간에 환승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장은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또는 벨트식 이송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구역의 최하층에는 중앙광장 또는 다수인이 이용할 수 있는 공중 시설이 설치되고, 상기 단위 구역의 나머지 층들은 여가 시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구역은 중심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승역은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인접 환승역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계단,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또는 벨트식 이송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043073A 2008-05-08 2008-05-08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 KR100969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073A KR100969228B1 (ko) 2008-05-08 2008-05-08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073A KR100969228B1 (ko) 2008-05-08 2008-05-08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159A KR20090117159A (ko) 2009-11-12
KR100969228B1 true KR100969228B1 (ko) 2010-07-09

Family

ID=4160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073A KR100969228B1 (ko) 2008-05-08 2008-05-08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2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88B1 (ko) 2016-01-22 2017-04-0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지하수 유동을 이용한 대심도 광역철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광역철도 제어 시스템
KR101723995B1 (ko) 2016-01-22 2017-04-0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대심도 광역 철도 역사의 화재 대비 구조체 및 시스템
KR20170109472A (ko)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대심도 광역 철도의 피난 구조체
KR101864818B1 (ko) 2017-01-10 2018-06-0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대심도 광역 철도 역사의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0611A (zh) * 2016-08-24 2016-11-09 中铁隧道勘测设计院有限公司 一种八月台单方向无交叉三线换乘车站
KR101980300B1 (ko) * 2017-02-16 2019-05-20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복층터널정거장 시공방법
CN108001459B (zh) * 2017-12-08 2023-09-08 杭州久智自动化技术有限公司 轨道车出入站结构
CN108639066B (zh) * 2018-06-20 2023-06-27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的半曲线侧式站台及轨道结构
CN109927734A (zh) * 2019-03-29 2019-06-25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与城际铁路站房免安检、一票制换乘的地铁车站
CN110920633B (zh) * 2019-11-15 2024-04-0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摆渡式轨道交通乘降系统及运行方式
CN110758407A (zh) * 2019-11-15 2020-02-07 中铁武汉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换乘岛的车站进站系统
CN115323848A (zh) * 2022-08-12 2022-11-11 广州市城市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轨道场站综合体立体交通核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362A (ko) * 2006-03-17 2007-09-20 김영대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운송교통로의 축조 방법 및교통 체계의 수립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362A (ko) * 2006-03-17 2007-09-20 김영대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운송교통로의 축조 방법 및교통 체계의 수립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985.11.30. 석사학위 청구논문, 홍익대학교 고명환 저, 지하철 환승역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p17,p23,p76,p78)
사진(정부대전청사 중앙 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88B1 (ko) 2016-01-22 2017-04-0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지하수 유동을 이용한 대심도 광역철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광역철도 제어 시스템
KR101723995B1 (ko) 2016-01-22 2017-04-06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대심도 광역 철도 역사의 화재 대비 구조체 및 시스템
KR20170109472A (ko)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대심도 광역 철도의 피난 구조체
KR101864818B1 (ko) 2017-01-10 2018-06-0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대심도 광역 철도 역사의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159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228B1 (ko) 도시철도 벌집형 역사 구조
JP4689575B2 (ja) 都心地域へ増強される交通システム
US8915669B1 (en) Cross street transit and multimodal multi-level station and pedestrian-oriented interchange
JP2016121021A (ja) ネットワークエレベータ
WO2007137477A1 (fr) Structure de gare routière à transfert sans interruption et système rapide d'autobus utilisant une telle gare
JPH01132455A (ja) 輸送用設備
Tough et al. Passenger conveyors
CN1101503C (zh) 地铁交叉线路分侧式站台
CN100463821C (zh) 高架微型轨道列车的站台
JP4086821B2 (ja) 都市交通システム
CN216007960U (zh) 高铁站台用雨棚上盖建筑结构
CN101709573A (zh) 并联高架路岛式车站的阶梯形站台
US20180178816A1 (en) Multiple tier elevated light train
KR101075083B1 (ko) 초고속 장거리 광역 지하철 및 그에 따른 차량설비
WO2021047129A1 (zh) 一种城市轨道交通列车运行方法
CN114436098A (zh) 一种串联多轿厢单向循环电梯装置及布置运行方法
KR20190038893A (ko) 도시 교통 및 물류 시스템
KR930007544B1 (ko) 다층도로 시스템
CN217864103U (zh) 一种中部进站的具有双t型换乘模式的车站
CN112660163B (zh) 双轨道交通线共用车辆段配线形式及其双岛式站台
JP7358591B1 (ja) 車両間乗降システム
RU124694U1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участок транспортной линии метрополитена
KR101115821B1 (ko) 입체적 동선을 가지는 도로망 시스템
CN105755917A (zh) 一种两层人车交互及分离公交枢纽系统
RU122347U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