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540B1 -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540B1
KR100968540B1 KR1020080028642A KR20080028642A KR100968540B1 KR 100968540 B1 KR100968540 B1 KR 100968540B1 KR 1020080028642 A KR1020080028642 A KR 1020080028642A KR 20080028642 A KR20080028642 A KR 20080028642A KR 100968540 B1 KR100968540 B1 KR 100968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guide
guide part
seat pla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206A (ko
Inventor
정경렬
최준호
김사엽
형준호
정관영
Original Assignee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540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9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with a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 윗쪽에 조인트 구성을 설치하지 않고도 등판의 회전 중심을 사용자의 고관절(hip joint)에 위치시킬 수 있고, 베이스를 기준으로 한 모듈화가 가능하며, 그리고 등판이 뒤로 회전되는 동안 좌판 및 등판의 위치를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틸팅 장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좌판을 지지하는 좌판 지지부와, 그리고 베이스와 좌판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등판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등판 지지부와 좌판 지지부는 제1 안내 유닛에 의해 상호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등판 지지부와 베이스는 제2 안내 유닛에 의해 상호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좌판 지지부와 베이스는 제3 안내 유닛에 의해 상호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함께, 제1, 제2 및 제3 안내 유닛은 베이스와의 모듈화를 위해 좌판 아래에 위치된다.
의자, 틸팅, 경사, 이동, 안내

Description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TILTING APPARATUS WITH A SLIDING TYPE OF A CHAIR}
본 발명은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좌판 윗쪽에 조인트 구성을 설치하지 않고도 등판의 회전 중심을 사용자의 고관절(hip joint)에 위치시킬 수 있고, 베이스를 기준으로 한 모듈화가 가능하며, 그리고 등판이 뒤로 회전되는 동안 좌판 및 등판의 위치를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과,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과, 그리고 좌판과 등판을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등을 뒤로 젖힐 경우 등판도 따라서 뒤로 젖혀지도록 등판을 틸팅시키는 기술이 상당수 개발된 상태이고, 사용자의 척추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좌판과 등판을 함께 틸팅시키는 기술 또한 여러 각도로 개발되고 있는 상태이다. 나아가, 등판과 좌판의 경사각을 동일하게 만들 경우, 등판의 경사각이 클 수록 좌판의 경사각도 커지게 되어 사용자의 발이 지면에서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좌판의 경사각을 등판의 경사각에 비해 작게 주는 기술이 또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 등판과 좌판을 함께 틸팅시키는 기술은 사용자의 척추에 무리를 적게 줄 수 있어 그 유용성은 더욱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등판과 좌판을 함께 틸팅시키는 종래의 틸팅 장치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종래 기술의 틸팅 장치는 등판의 회전 중심을 사용자의 고관절이 아닌 좌판 아래 또는 좌판 뒤에 위치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하지만, 등판이 회전되는 동안 사용자의 등이 뒤로 이동하면서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둔부가 앞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사용자의 요추는 뒤로 후퇴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요추 후만증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제2 종래 기술의 틸팅 장치는 제1 종래 기술에 별도의 요추 지지대를 더 설치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즉, 제2 종래 기술은 등판이 회전되는 동안 요추 지지대는 회전되지 않도록 하거나 요추 지지대의 회전량을 등판의 회전량 보다 적게 한 것이다. 하지만, 등판이 회전되는 동안 요추 지지대에 의해 사용자의 요추는 앞으로 전지하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요추 전만증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요추 지지대가 요구되므로 구성이 번잡할 수 있고, 요추 지지대에 따른 비용이 추가로 발생된다.
또한, 제3 종래 기술의 틸팅 장치는 베이스에 장착되는 틸팅 구성들과 함께 별도의 조인트 구성을 좌판 위에 설치하여(특히, 팔 지지대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고관절에 일치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하지만, 조인트 구성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 되는 관계로 의자의 외관이 나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 지지대가 있어야만 조인트 구성의 설치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나아가, 조인트 구성이 팔 지지대에 설치됨에 따라 기존의 의자에 이 틸팅 장치를 바로 적용할 수 없고(즉, 팔 지지대가 없는 의자에 바로 적용할 수 없고, 또한 팔 지지대가 있는 의자일 지라도 팔 지지대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팔 지지대에 별도의 결합 부품을 구비시켜야 하므로 의자에 바로 적용할 수 없고), 장치가 고장날 경우 베이스만이 아닌 팔 지지대에 장착된 조인트 구성을 모두 교체해야 하므로 수리비가 많이 들며, 교체 작업이 번잡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를 기준으로 한 모듈화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좌판 윗쪽에 조인트 구성을 설치하지 않고도 등판의 회전 중심을 사용자의 고관절(hip joint)에 위치시킬 수 있고, 베이스를 기준으로 한 모듈화가 가능하며, 그리고 등판이 뒤로 회전되는 동안 좌판 및 등판의 위치를 앞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좌판을 지지하는 좌판 지지부와; 그리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판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등판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상기 등판 지지부가 상기 좌판 지지부를 기준으로 후방 하향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등판 지지부의 회전 중심이 사용자의 고관절에 위치되도록, 상기 등판 지지부와 상기 좌판 지지부는 제1 안내 유닛에 의해 상호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등판 지지부가 상기 좌판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후방 하향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제1 안내 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좌판 지지부의 뒷부분이 하향 회전되도록, 상기 등판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는 제2 안내 유닛에 의해 상호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좌판 지지부의 뒷부분이 상기 하향 회전되는 동안, 상기 좌판 지지부가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앞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좌판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는 제3 안내 유닛에 의해 상호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제2 및 제3 안내 유닛은 상기 베이스와의 모듈화를 위해 상기 좌판 아래에 위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안내 유닛은 상기 좌판 지지부에 구비되는 제1 안내부와, 그리고 상기 제1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등판 지지부에 구비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상기 등판 지지부의 상기 회전 중심이 상기 고관절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 중 어느 하나는 원호 형상을 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원호 형상을 따라 이동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일예로, 상기 제1 안내부는 하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1 레일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제1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2 개의 제1 롤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레일의 상기 원호 형상은 상기 등판 지지부의 회전 각도와 상기 좌판의 두께를 포함하는 매개 변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중심각과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롤러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1 레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레일의 상기 원호 형상은 상기 등판 지지부의 회전 각도와 상기 좌판의 두께를 포함하는 매개 변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중심각과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안내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중간부분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3 안내부와, 그리고 상기 제3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등판 지지부의 앞부분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4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4 안내부가 상기 제3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연동 구조에 의해 상기 제3 안내부가 상기 제1 안내부를 당겨 상기 좌판 지지부의 뒷부분이 하향 회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3 안내부는 제2 롤러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4 안내부는 상기 제2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레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 구조는 상기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과의 사이 간격이 뒤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일은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3 안내부는 제2 레일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4 안내부는 상기 제2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롤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동 구조는 상기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과의 사이 간격이 뒤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일은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안내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앞부분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5 안내부와, 상기 좌판 지지부의 앞부분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5 안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5 안내부를 따라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앞으로 이동되는 제6 안내부와, 상기 베이스의 뒷부분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7 안내부와, 그리고 상기 좌판 지지부의 뒷부분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7 안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7 안내부를 따라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앞으로 이동되는 제8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5 안내부는 제3 롤러일 수 있고, 상기 제6 안내부는 상기 제3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레일일 수 있고, 상기 제7 안내부는 제4 롤러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8 안내부는 상기 제4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레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레일은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4 레일은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5 안내부는 제3 레일일 수 있고, 상기 제6 안내부는 상기 제3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롤러일 수 있고, 상기 제7 안내부는 제 4 레일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8 안내부는 상기 제4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롤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레일은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4 레일은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좌판 아래에 위치된 제1 안내 유닛의 제1 안내부와 제2 안내부에 의해 등판의 회전 중심을 사용자의 고관절(hip joint)에 위치시킬 수 있음에 따라, 종래와 같은 팔 지지대가 별도로 요구되지 않아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음과 함께 외관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등판의 회전 중심이 사용자의 고관절에 위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요추를 가장 바람직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제2 및 제3 안내 유닛이 좌판 아래에 위치되고 좌판 지지부, 등판 지지부 및 베이스를 상호 연결시킴에 따라 베이스를 기준으로 한 모듈화가 가능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모듈화된 틸팅 장치만 개별적으로 양산한 후 기존의 좌판과 등판 프레임을 이에 결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기존 의자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팔 지지대가 없는 의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등판 지지부에 장착된 등판 프레임이 후방 하향 회전되고 좌판 지지부에 장착된 좌판의 뒷부분이 하향 회전되는 동안, 제3 안내 유닛에 의해 좌판 지지부에 장착된 좌판 및 등판 프레임이 앞으로 이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키보드 등의 작업물에서 멀어지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궁극적으로, 작업하던 중 등판 프레임을 뒤로 젖힐 경우에도 사용자의 손을 계속해서 작업물에 위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안내 유닛에 의해 좌판 및 등판의 회전 각도 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3 안내 유닛에 의해 좌판 지지부의 뒷부분이 하향 경사짐과 함께 좌판 지지부 전체가 설정 거리 하강되므로 즉, 종래와 달리 좌판의 앞부분의 들림 현상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무릎 관절을 함께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를 나타낸 분해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와, 좌판 지지부(200)와, 등판 지지부(300)와, 제1 안내 유닛(400)과, 제2 안내 유닛(500)과, 그리고 제3 안내 유닛(600)을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의자의 다리(10)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서, 좌판 지지부(200)와 등판 지지부(300)가 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좌판 지지부(200)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20)의 저면에 직접 설치되는 것으로서, 좌판(20)을 지지하게 된다. 특히, 좌판 지지부(200)는 베이스(100) 및 등판 지지부(3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등판 지지부(300)는 사용자의 등이 접촉되는 등판(30)에[또는 등판(30)에 등판 프레임(40)이 결합되는 경우 등판 프레임(40)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서, 등판(30)[또는 등판 프레임(40)]을 지지하게 된다. 특히, 등판 지지부(300)는 베이스(100)와 좌판 지지부(2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나아가, 이러한 등판 지지부(300)는 장치의 모듈화를 위해 좌판(20) 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안내 유닛(400), 제2 안내 유닛(500) 및 제3 안내 유닛(600)은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한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좌판(20) 아래에 위치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판 지지부(200), 등판 지지부(300) 및 베이스(100)를 상호 연결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가 베이 스(100)를 기준으로 하여 모듈화가 된다면, 기존의 의자에 바로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 지지대가 없는 의자에도 그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모듈화된 본 발명의 틸팅 장치 중 좌판 지지부(200)에 좌판(20)을 장착하고, 등판 지지부(300)에 등판(30)[또는 등판 프레임(40)]을 장착하면 된다. 특히, 모듈화된 본 발명의 틸팅 장치가 기존 좌판(20) 또는 기존 등판(30)[또는 등판 프레임(40)]에 바로 장착할 수 있도록, 기존 좌판(20) 또는 기존 등판(30)[또는 등판 프레임(40)]에 구비된 볼트(미도시)[또는 나사홈]에 일치되도록 결합부(미도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안내 유닛(4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안내 유닛(400)은 좌판(20) 아래에 위치되며, 좌판 지지부(200)에 등판 지지부(300)를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이다. 특히, 제1 안내 유닛(400)은 등판 지지부(300)가 좌판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후방 하향 회전됨과 동시에 등판 지지부(300)의 회전 중심이 사용자의 고관절(HJ)에 위치되도록 등판 지지부(300)와 좌판 지지부(200)를 상호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제1 안내 유닛(400)은 좌판 지지부(200)에 구비되는 제1 안내부(410)와, 그리고 제1 안내부(41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등판 지지부(300)에 구비되는 제2 안내부(420)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등판 지지부(300)의 회전 중심이 사용자의 고관절(HJ)에 위치되도록, 제1 안내부(410)와 제2 안내부(420) 중 어느 하나는 원호 형상을 하고, 다른 하나는 원호 형상을 따라 이동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등판 지지부(300)가 회전되는 동안 등판 지지부(300)의 회전 중심이 사용자의 고관절(HJ)에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장시간 경사진 의자에 앉아 있어도 사용자의 요추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이러한 자세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요추 전만증 또는 요추 후만증의 발병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이하, 제1 안내 유닛(4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안내부(410)는 하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1 레일(411)일 수 있고, 그리고 제2 안내부(420)는 제1 레일(4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롤러(421)(422)[일예로, 적어도 2개의 제1 롤러(421)(422)는 제1-1 롤러(421) 및 제1-2 롤러(422)를 포함함]일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2개의 제1 롤러(421)(422)는 제1 레일(411)을 따라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게 된다. 또한, 레일과 롤러 구성을 가짐에 따라 등판 지지부(300)가 좌판 지지부(200)에 대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레일(411)의 원호 형상은 등판 지지부(300)의 회전 각도와 좌판(20)의 두께(T)를 포함하는 매개 변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중심각(θ)과 반지름(R)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지름(R)은 사용자의 허벅지 두께 및 좌판(20)의 두께(T)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며, 허벅지 두께에 대해서는 성인 표준 사이즈를 기준(성인용 의자인 경우에 한함, 아동용 의자는 아동 표준 사이즈를 기준)으로 하여 반지름(R)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중심각(θ)은 등판(30)의 경사 각도 및 제1-1 롤러(421)와 제1-2 롤러(422) 사이의 간격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제1-1 롤러(421)와 제1-2 롤러(422) 사이의 간격이 크면, 요구된 등판(30)의 경사각 범위를 만족시키기 위해 중심각(θ)은 크게 설정되고, 즉 원 호의 길이가 길게 설정될 것이다. 나아가, 좌판(20)의 두께(T)가 크면, 요구된 등판(30)의 경사각 범위를 만족시키기 위해 반지름(R)은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되고 중심각(θ)은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될 것이다. 즉, 중심각(θ)과 반지름(R)의 수치는 상술한 매개 변수에 따라 변경됨을 알 수 있으며, 구체적인 수치는 상술한 매개 변수를 토대로 하여 기술분야에 있는 당업자가 쉽게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2 안내 유닛(5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안내 유닛(500)은 베이스(100)에 등판 지지부(300)를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이다. 특히, 제2 안내 유닛(500)은 등판 지지부(300)가 좌판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후방 하향 회전되는 동안, 제1 안내 유닛(400)과 연동하여 좌판 지지부(200)의 뒷부분이 하향 회전되도록, 등판 지지부(300)와 베이스(100)를 상호 연결한다. 이하, 제2 안내 유닛(5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안내 유닛(500)은 베이스(100)의 중간부분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3 안내부(510)와, 그리고 제3 안내부(5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등판 지지부(300)의 앞부분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4 안내부(520)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4 안내부(520)가 제3 안내부(510)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연동 구조에 의해 제3 안내부(510)가 제1 안내부(410)를 당겨 좌판 지지부(200)의 뒷부분이 하향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제3 안내부(510)는 제2 롤러(511)일 수 있고, 제4 안내부(520)는 제2 롤러(5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레일(521)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롤러(511)는 제2 레일(521)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하는 동안 상술한 제 1-1 및 제1-2 롤러(421)(422)가 제1 레일(4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동 구조에 의해 제2 롤러(511)는 제1 레일(411)을 당기게 된다. 궁극적으로, 좌판 지지부(200)의 뒷부분이 하향 회전된다. 또한, 레일과 롤러 구성을 가짐에 따라 등판 지지부(300)는 베이스(100)에 대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일예로, 연동 구조는 등판 지지부(300)가 후방 하향 회전되는 동안 좌판 지지부(200)의 뒷부분이 하향 경사지도록 하기 위해, 제2 레일(521)과 제1 레일(411)과의 사이 간격이 뒤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등을 뒤로 젖히면 등판(30), 등판 프레임(40) 및 등판 지지부(300)가 후방 하향 회전을 시작하게 되고, 등판 지지부(300)에 구비된 제1-1 및 제1-2 롤러(421)(422)가 제1 레일(411)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등판 지지부(300)에 구비된 제2 레일(521)도 베이스(100)에 구비된 제2 롤러(511)를 따라 이동하기 시작하는데, 제1 레일(411)과 제2 레일(521)이 뒤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이동하는 동안 제1 레일(411)이 제2 롤러(511)에 인접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제2 롤러(511)는 좌판 지지부(200)를 당기게 된다. 결과적으로, 베이스(1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좌판 지지부(200)는 제2 롤러(511)의 당기는 힘에 의해 좌판 지지부(200)의 뒷부분이 하향 경사지게 된다.
또한, 제2 레일(521)은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제2 레일(521)이 직선 형상을 가질 경우 도 3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회전 초기에는 등판(30)의 회전량이 좌판(20)의 회전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회전 말기에는 좌판(20)의 회전량이 등판(30)의 회전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큼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등판 지지부(300)의 후방 하향 회전 각도와 좌판 지지부(200)의 하향 회전 각도의 비가 일정하지 않게 되면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기 힘들고,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하면서 실험한 결과에 의하면, 제2 레일(521)이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가질 경우 이러한 차이가 크게 보정됨을 알 수 있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 지지부(300)의 후방 하향 회전 각도와 좌판 지지부(200)의 하향 회전 각도의 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등판 지지부(300)의 후방 하향 회전 각도와 좌판 지지부(200)의 하향 회전 각도의 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제2 레일(521)의 원호 형상의 중심각과 반지름은 최적화 설계(CADAM, CATIA, ADAMS 등을 이용한 최적화 설계)를 통해 기술분야에 있는 당업자가 쉽게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3 안내 유닛(6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3 안내 유닛(600)은 베이스(100)에 좌판 지지부(200)를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이다. 특히, 제3 안내 유닛(600)은 좌판 지지부(200)의 뒷부분이 하향 회전되는 동안, 좌판 지지부(200)가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앞으로 이동하도록, 좌판 지지부(200)와 베이스(100)를 상호 연결한다. 이하, 제3 안내 유닛(6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3 안내 유닛(600)은 베이스(100)의 앞부분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5 안내부(610)와, 좌판 지지부(200)의 앞부분의 측면에 구비되고 제5 안내부(610)에 삽입 되어 제5 안내부(610)를 따라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앞으로 이동되는 제6 안내부(620)와, 베이스(100)의 뒷부분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7 안내부(630)와, 그리고 좌판 지지부(200)의 뒷부분의 측면에 구비되고 제7 안내부(630)에 삽입되어 제7 안내부(630)를 따라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앞으로 이동되는 제8 안내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등을 뒤로 젖히면 등판(30), 등판 프레임(40) 및 등판 지지부(300)가 후방 하향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안내 유닛(400)(500)이 동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6 안내부(620)는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제5 안내부(610)를 따라 앞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8 안내부(640)는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제7 안내부(630)를 따라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좌판 지지부(200) 및 이에 연결된 등판 지지부(300)는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전진하게 된다. 궁극적으로, 이렇게 좌판 지지부(200)와 베이스(100)가 전지하게 되므로 의자가 경사진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손이 키보드 등의 작업물에서 멀어지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일예로, 제5 안내부(610)는 제3 롤러(611)일 수 있고, 제6 안내부(620)는 제3 롤러(6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레일(621)일 수 있고, 제7 안내부(630)는 제4 롤러(631)일 수 있고, 그리고 제8 안내부(640)는 제4 롤러(6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레일(641)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등을 뒤로 젖히면 등판(30), 등판 프레임(40) 및 등판 지지부(300)가 후방 하향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안내 유닛(400)(500)이 동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3 레일(621)은 제3 롤러(611)를 따라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앞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4 레일(641)은 제4 롤러(631)를 따라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레일과 롤러 구성을 가짐에 따라 좌판 지지부(200)는 베이스(100)에 대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제3 레일(621)은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할 수 있고, 그리고 제4 레일(641)은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할 수 있다. 제3 레일(621) 및 제4 레일(641)이 이러한 형상을 가질 경우, 좌판 지지부(200) 및 이에 연결된 등판 지지부(300)가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전진함과 더불어 좌판 지지부(200) 전체가 아래로 설정 거리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좌판 지지부(200)의 뒷부분이 하향 경사지더라도 좌판 지지부(200) 전체가 아래로 설정 거리 하강하게 되므로 종래와 달리 좌판(20)의 앞부분의 들림 현상은 거의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등을 뒤로 젖히면, 등판(30), 등판 프레임(40) 및 등판 지지부(300)가 후방 하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도 5의 화살표 참조).
이와 동시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 지지부(300)에 구비된 제1-1 및 제1-2 롤러(421)(422)가 좌판 지지부(200)에 구비된 제1 레일(411)을 따라 이동 하기 시작한다(도 5의 화살표 참조). 이때, 등판 지지부(300)에 구비된 제2 레일(521)도 베이스(100)에 구비된 제2 롤러(511)를 따라 이동하기 시작한다(도 5의 화살표 참조). 이와 함께, 좌판 지지부(200)에 구비된 제3 레일(621) 및 제4 레일(641) 또한 각각 베이스(100)에 구비된 제3 롤러(611) 및 제4 롤러(631)를 따라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도 5의 화살표 참조).
특히, 제1 레일(411)이 상술한 설정 중심각(θ)과 반지름(R)을 갖는 원호 형상을 가짐에 따라, 제1-1 및 제1-2 롤러(421)(422)가 제1 레일(411)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 즉, 등판 지지부(300)가 회전되는 동안, 등판 지지부(300)의 회전 중심이 사용자의 고관절(HJ)에 위치된다.
또한, 제1 레일(411)과 제2 레일(521)이 뒤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제2 레일(521)이 제2 롤러(511)를 따라 이동되는 동안 즉, 등판 지지부(300)가 회전되는 동안, 제1 레일(411)이 제2 롤러(511)에 인접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제2 롤러(511)는 좌판 지지부(200)를 당기게 되고, 제2 롤러(511)의 당기는 힘에 의해 좌판 지지부(200)의 뒷부분이 하향 경사지게 된다(도 6참조).
또한, 제3 레일(621) 및 제4 레일(641)은 각각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가짐에 따라, 좌판 지지부(200) 및 이에 연결된 등판 지지부(300)가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전진함과 더불어 좌판 지지부(200) 전체가 아래로 설정 거리 하강하게 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2 안내 유닛(500)의 제2 레일(521) 및 제2 롤러(511)의 구비 위치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와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에서는, 제2 레일(1511)이 등판 지지부(300) 대신 베이스(100)에 구비되고, 제2 롤러(1521)가 베이스(100) 대신 등판 지지부(300)에 구비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의 동작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한편, 제2 롤러(1521) 및 제2 레일(1511)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등을 뒤로 젖히면, 등판(30), 등판 프레임(40) 및 등판 지지부(300)가 후방 하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도 8의 화살표 참조).
이와 동시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 지지부(300)에 구비된 제1-1 및 제1-2 롤러(421)(422)가 좌판 지지부(200)에 구비된 제1 레일(411)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한다(도 8의 화살표 참조). 이때, 등판 지지부(300)에 구비된 제2 롤러(1521)도 베이스(100)에 구비된 제2 레일(1511)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한다(도 8의 화살표 참조). 이와 함께, 좌판 지지부(200)에 구비된 제3 레일(621) 및 제4 레일(641) 또한 각각 베이스(100)에 구비된 제3 롤러(611) 및 제4 롤러(631)를 따라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도 8의 화살표 참조).
특히, 제1 레일(411)이 상술한 설정 중심각(θ)과 반지름(R)을 갖는 원호 형상을 가짐에 따라, 제1-1 및 제1-2 롤러(421)(422)가 제1 레일(411)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 즉, 등판 지지부(300)가 회전되는 동안, 등판 지지부(300)의 회전 중심이 사용자의 고관절(HJ)에 위치된다.
또한, 제1 레일(411)과 제2 레일(1511)이 뒤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다시 말해, 제1 레일(411)과 제2 레일(1511)이 앞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넓어짐에 따라, 제2 롤러(1521)가 제2 레일(1511)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 즉, 등판 지지부(300)가 회전되는 동안, 제2 롤러(1521)가 제1 레일(411)에서 멀어지게 되고, 궁극적으로 제2 롤러(1521)는 좌판 지지부(200)를 당기게 되고, 제2 롤러(1521)의 당기는 힘에 의해 좌판 지지부(200)의 뒷부분이 하향 경사지게 된다(도 9참조).
또한, 제3 레일(621) 및 제4 레일(641)은 각각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가짐에 따라, 좌판 지지부(200)가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전진함과 더불어 좌판 지지부(200) 전체가 아래로 설정 거리 하강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볼 때, 상술한 제1 안내 유닛(400)의 제1-1 및 제1-2 롤러(421)(422)를 등판 지지부(300) 대신 좌판 지지부(200)에 구비시킬 수 있고, 상술한 제1 레일(411)을 좌판 지지부(200) 대신 등판 지지부(300)에 구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볼 때, 상술한 제3 안내 유닛(600)의 제3 레일(621)을 좌판 지지부(200) 대신 베이스(100)에 구비시킬 수 있고, 상술한 제3 롤러(611)를 베이스(100) 대신 좌판 지지부(200)에 구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볼 때, 상술한 제3 안내 유닛(600)의 제4 레일(641)을 좌판 지지부(200) 대신 베이스(100)에 구비시킬 수 있고, 제4 롤러(631)를 베이스(100) 대신 좌판 지지부(200)에 구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좌판 아래에 위치된 제1 안내 유닛의 제1 안내부와 제2 안내부에 의해 등판의 회전 중심을 사용자의 고관절(hip joint)에 위치시킬 수 있음에 따라, 종래와 같은 팔 지지대가 별도로 요구되지 않아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음과 함께 외관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등판의 회전 중심이 사용자의 고관절에 위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요추를 가장 바람직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제2 및 제3 안내 유닛이 좌판 아래에 위치되고 좌판 지지부, 등판 지지부 및 베이스를 상호 연결시킴에 따라 베이스를 기준으로 한 모듈화가 가능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모듈화된 틸팅 장치만 개별적으로 양산한 후 기존의 좌판과 등판 프레임을 이에 결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기존 의자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팔 지지대가 없는 의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등판 지지부에 장착된 등판 프레임이 후방 하향 회전되고 좌판 지지부에 장착된 좌판의 뒷부분이 하향 회전되는 동안, 제3 안내 유닛에 의해 좌판 지지부에 장착된 좌판 및 등판 프레임이 앞으로 이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키보드 등의 작업물에서 멀어지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궁극적으로, 작업하던 중 등판 프레임을 뒤로 젖힐 경우에도 사용자의 손을 계속해서 작업물에 위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안내 유닛에 의해 좌판 및 등판의 회전 각도 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3 안내 유닛에 의해 좌판 지지부의 뒷부분이 하향 경사짐과 함께 좌판 지지부 전체가 설정 거리 하강되므로 즉, 종래와 달리 좌판의 앞부분의 들림 현상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무릎 관절을 함께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 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를 나타낸 분해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제2 레일이 만약 직선 형상을 가질 경우, 등판 지지부의 후방 하향 회전 각도와 좌판 지지부의 하향 회전 각도의 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레일이 원호 형상을 가질 경우, 등판 지지부의 후방 하향 회전 각도와 좌판 지지부의 하향 회전 각도의 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좌판 30: 등판
100: 베이스 200: 좌판 지지부
300: 등판 지지부 400: 제1 안내 유닛
410: 제1 안내부 420: 제2 안내부
500: 제2 안내 유닛 600: 제3 안내 유닛

Claims (22)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좌판을 지지하는 좌판 지지부와, 그리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좌판 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등판 지지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등판 지지부가 상기 좌판 지지부를 기준으로 후방 하향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등판 지지부의 회전 중심이 사용자의 고관절에 위치되도록, 상기 등판 지지부와 상기 좌판 지지부는 제1 안내 유닛에 의해 상호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등판 지지부가 상기 좌판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후방 하향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제1 안내 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좌판 지지부의 뒷부분이 하향 회전되도록, 상기 등판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는 제2 안내 유닛에 의해 상호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좌판 지지부의 뒷부분이 상기 하향 회전되는 동안, 상기 좌판 지지부가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앞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좌판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는 제3 안내 유닛에 의해 상호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안내 유닛은 상기 베이스와의 모듈화를 위해 상기 좌판 아래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안내 유닛은
    상기 좌판 지지부에 구비되는 제1 안내부와, 그리고
    상기 제1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등판 지지부에 구비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등판 지지부의 상기 회전 중심이 상기 고관절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 중 어느 하나는 원호 형상을 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원호 형상을 따라 이동 가능한 형상을 갖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안내부는 하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1 레일이고, 그리고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제1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제1 롤러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레일의 상기 원호 형상은 상기 등판 지지부의 회전 각도와 상기 좌판의 두께를 포함하는 매개 변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중심각과 반지름을 갖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롤러이고, 그리고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하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제1 레일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레일의 상기 원호 형상은 상기 등판 지지부의 회전 각도와 상기 좌판의 두께를 포함하는 매개 변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중심각과 반지름을 갖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2 안내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중간부분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3 안내부와, 그리고
    상기 제3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등판 지지부의 앞부분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4 안내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4 안내부가 상기 제3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연동 구조에 의해 상기 제3 안내부가 상기 제1 안내부를 당겨 상기 좌판 지지부의 뒷부분이 하향 회전되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3 안내부는 제2 롤러이고, 그리고
    상기 제4 안내부는 상기 제2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레일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연동 구조는
    상기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과의 사이 간격이 뒤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2 레일은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하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10. 제6항에서,
    상기 제3 안내부는 제2 레일이고, 그리고
    상기 제4 안내부는 상기 제2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롤러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연동 구조는
    상기 제2 레일과 상기 제1 레일과의 사이 간격이 뒤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제2 레일은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하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3 안내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앞부분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5 안내부와,
    상기 좌판 지지부의 앞부분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5 안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5 안내부를 따라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앞으로 이동되는 제6 안내부와,
    상기 베이스의 뒷부분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7 안내부와, 그리고
    상기 좌판 지지부의 뒷부분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7 안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7 안내부를 따라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앞으로 이동되는 제8 안내부를 포함하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제5 안내부는 제3 롤러이고,
    상기 제6 안내부는 상기 제3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레일이고,
    상기 제7 안내부는 제4 롤러이고, 그리고
    상기 제8 안내부는 상기 제4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레일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제3 레일은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하고, 그리고
    상기 제4 레일은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하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16. 제13항에서,
    상기 제5 안내부는 제3 레일이고,
    상기 제6 안내부는 상기 제3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롤러이고,
    상기 제7 안내부는 제4 레일이고, 그리고
    상기 제8 안내부는 상기 제4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롤러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제3 레일은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하고, 그리고
    상기 제4 레일은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하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18. 제6항에서,
    상기 제3 안내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앞부분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5 안내부와,
    상기 좌판 지지부의 앞부분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5 안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5 안내부를 따라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앞으로 이동되는 제6 안내부와,
    상기 베이스의 뒷부분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7 안내부와, 그리고
    상기 좌판 지지부의 뒷부분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7 안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7 안내부를 따라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앞으로 이동되는 제8 안내부를 포함하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제5 안내부는 제3 롤러이고,
    상기 제6 안내부는 상기 제3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레일이고,
    상기 제7 안내부는 제4 롤러이고, 그리고
    상기 제8 안내부는 상기 제4 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레일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제3 레일은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하고, 그리고
    상기 제4 레일은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하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21. 제18항에서,
    상기 제5 안내부는 제3 레일이고,
    상기 제6 안내부는 상기 제3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롤러이고,
    상기 제7 안내부는 제4 레일이고, 그리고
    상기 제8 안내부는 상기 제4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롤러인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22. 제21항에서,
    상기 제3 레일은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하고, 그리고
    상기 제4 레일은 그 전단을 기준으로 그 후단이 상향 경사진 직선 형상을 하는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KR1020080028642A 2008-03-27 2008-03-27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KR100968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642A KR100968540B1 (ko) 2008-03-27 2008-03-27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642A KR100968540B1 (ko) 2008-03-27 2008-03-27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206A KR20090103206A (ko) 2009-10-01
KR100968540B1 true KR100968540B1 (ko) 2010-07-08

Family

ID=4153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642A KR100968540B1 (ko) 2008-03-27 2008-03-27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026B1 (ko) * 2009-11-23 2010-07-07 이장근 시트부의 요동 및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DE112012004365T5 (de) * 2011-10-21 2014-07-03 Jae Hyun Lee Korrigierender Stuhl mit Gleitmittel
KR102018349B1 (ko) * 2016-11-30 2019-09-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체중 감응형 슬라이드 싱크 틸트 의자
CA3057933A1 (en) * 2019-10-08 2021-04-08 Steven Pearse Chair having tilting seat and ba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1723A (en) 1987-12-28 1993-11-16 Isao Hosoe Ergonomic chair having the seat at a varying position
US5354120A (en) 1991-10-31 1994-10-11 Voelkle Rolf Reclining chair
JPH09504218A (ja) * 1993-11-01 1997-04-28 ラボファ、アクチセルスカベット 座部および背もたれ同期調節装置を有する作業用椅子
JP2006061522A (ja) 2004-08-27 2006-03-09 Takara Belmont Co Ltd 理美容用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1723A (en) 1987-12-28 1993-11-16 Isao Hosoe Ergonomic chair having the seat at a varying position
US5354120A (en) 1991-10-31 1994-10-11 Voelkle Rolf Reclining chair
JPH09504218A (ja) * 1993-11-01 1997-04-28 ラボファ、アクチセルスカベット 座部および背もたれ同期調節装置を有する作業用椅子
JP2006061522A (ja) 2004-08-27 2006-03-09 Takara Belmont Co Ltd 理美容用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206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547B1 (ko) 의자의 틸팅 장치
CA2808205C (en) Tilt mechanism for a chair and chair
US8662586B2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EP2717742B1 (en) Forward sliding reclining chair
US9010787B2 (en) Tilt-in-space wheelchair using multiple controlling paths
EP2142048B1 (en) Adjustable chair
EP2892390B1 (en)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and seat
EP1410738A1 (en) Chair with movable seat and backrest
KR100968540B1 (ko) 의자의 슬라이딩 방식 틸팅 장치
CA2699926A1 (en) Item of seating furniture
US5263767A (en) Adjustable chair
JP2008173439A (ja) 傾動可能な座部を有する椅子
JP2003079474A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椅子
JP2019024626A (ja) 立ち仕事兼用椅子
JP4697892B2 (ja) 椅子
KR101656003B1 (ko) 의자용 틸팅장치
JP4506283B2 (ja) マッサージ椅子
JP2015131605A (ja) 乗物用シート
GB2582213A (en) Adjustable chair
JP5499870B2 (ja) 座席
JP2019025282A (ja) 立ち仕事用補助机
JP4665494B2 (ja) 椅子
JP2001046172A (ja) 椅 子
CN218044400U (zh) 一种坐具
JP2010051709A (ja) ロッキング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