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901B1 - 수해방재장치 - Google Patents

수해방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901B1
KR100965901B1 KR1020090074947A KR20090074947A KR100965901B1 KR 100965901 B1 KR100965901 B1 KR 100965901B1 KR 1020090074947 A KR1020090074947 A KR 1020090074947A KR 20090074947 A KR20090074947 A KR 20090074947A KR 100965901 B1 KR100965901 B1 KR 100965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tube
side wall
water
sk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표
Original Assignee
최진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표 filed Critical 최진표
Priority to KR102009007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02B3/104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with self-activ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해방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튜브와, 상기 튜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커트와, 상기 튜브의 후방에 설치되는 저수부를 포함하여, 수위가 튜브의 높이보다 높더라도 넘친 물이 저수부에 저장되어 수해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해방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해, 부력, 튜브

Description

수해방재장치{LIQUID DAMMING PROTECTIVE BANK}
본 발명은 수해방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튜브와, 상기 튜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커트와, 상기 튜브의 후방에 설치되는 저수부를 포함하는 수해방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해방재장치는 홀이 형성되어 공기가 채워지며 3개의 다른 섹션을 포함하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지면 위에 놓여지는 실링면과,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어 실링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건조한 지면으로 드레인시키는 드레인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해방재장치는 수위가 튜브의 높이보다 높아져서 넘치게 되면 수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위가 튜브의 높이보다 높더라도 넘친 물이 저수부에 저장되어 수해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해방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해방재장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커트와, 상기 튜브의 후방에 설치되는 저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부의 측벽에는 부력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저수부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의 측벽은 양쪽측벽과 상기 양쪽측벽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양쪽측벽에는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부력부재는 상기 후방측벽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부의 측벽은 양쪽측벽과 상기 양쪽측벽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양쪽측벽과 상기 후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튜브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는 상기 저수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해방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튜브와, 상기 튜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커트와, 상기 튜브의 후방에 설치되 는 저수부를 포함하여, 수위가 튜브의 높이보다 높더라도 넘친 물이 저수부에 저장되어 수해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저수부의 측벽에는 부력부재가 설치되어, 저수부는 넘친 물의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부력부재를 통해 직립된다.
상기 저수부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의 측벽은 양쪽측벽과 상기 양쪽측벽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양쪽측벽에는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부력부재는 상기 후방측벽의 상부에 설치되어, 더욱 원활하게 저수부의 수위에 따라 저수부의 측벽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부의 측벽은 양쪽측벽과 상기 양쪽측벽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양쪽측벽과 상기 후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튜브로 구비되어, 상기 저수부가 더욱 큰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는 상기 저수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가 설치되어, 범람한 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해방재장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해방재장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해방재 장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수해방재장치 범람 전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수해방재장치 범람 후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해방재장치는, 튜브(200)와, 상기 튜브(200)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커트(100)와, 상기 튜브(20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저수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저수부(300)의 측벽에는 부력부재(321)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00)는 방수가 되는 플랙서블한 부재로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튜브(200)는 강화 PVC소재 또는 고무등과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로 될 수 있다. 튜브(200)가 상기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서 자체 무게가 최소화되는 동시에 긴박한 상황에서도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튜브(200)에는 공기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튜브(200)를 사용할 경우에는 튜브(200)에 공기를 넣어서 수벽의 크기를 크게 만들어 주고, 튜브(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튜브(200)에서 공기를 빼서 아주 작은 크기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스커트(100)는 튜브(200)의 전방에 튜브(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즉, 스커트(100)는 물이나 유해 유체(이하 '유체'라 함)가 유입되는 쪽에 배치된다.
스커트(100)는 튜브(200)와 같이 방수가 되는 플랙서블한 부재로 형성되어 튜브(20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다. 스커트(100)도 튜브(200)와 같이 강화 PVC소재 또는 고무등과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커트(100)는 플랙서블한 부재로 형성되어, 아스팔트, 초목지, 흙 등의 다양한 바닥면에 사용할 수 있으며, 설치시에도 지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스커트(100)는 튜브(200)에 일체로 형성하여 유사시에 스커트(100)와 튜브(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스커트(100) 및 튜브(200)의 하부에는 스커트(100)로 유입된 유체를 튜브(200)의 후방으로 드레인시키는 드레인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튜브(100) 및 스커트(200)의 양단에는 타 튜브(100) 및 스커트(200)와 연결되거나 연결스커트(4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탈착수단이 설치된 연결시트(201, 101)가 설치된다.
저수부(300)는 튜브(200)의 후방에 설치되어 범람하는 유체를 저장한다.
저수부(300)는 튜브(200)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지퍼 또는 벨크로 등이 설치되어 튜브(200)에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 저수부(300)의 측벽은 양쪽측벽(310)과 상기 양쪽측벽(3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측벽(320)을 포함하고, 저수부(300)는 상기 측벽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닥면(330)을 포함한다.
양쪽측벽(310)은 튜브(200)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연결되고, 바닥면(330)은 튜브(200)의 하단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저수부(300)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양쪽측벽(310) 상단에는 지지대(311)가 전후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 대(311)는 부력이 있는 소재로 되어 상기 측벽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수부(300)의 측벽에는 부력부재(321)가 설치된다. 부력부재(321)는 발포소재류, 네오플랜, 나무, 헬륨가스 등과 같은 부력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지지대(311)와 부력부재(321)는 플랙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수해방재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용이하게 절첩하여 보관할 수 있다.
후방측벽(320)은 지면에 대해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부력부재(321)는 후방측벽(320)의 상부 내측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된다.
나아가, 충분한 부력을 주기 위해 보조부력부재(322)가 부력부재(321)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후방측벽(320) 내측에 설치된다.
보조부력부재(322)는 블록형상으로 여러개가 구비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보조부력부재(322, 322')는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저수부(300)의 상부에는 저수부(300)의 일부를 덮는 덮개(360)가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덮개(360)는 후방측벽(320) 및 양쪽측벽(3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덮개(360)로 인해 저수부(300) 쪽으로 범람한 유체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부력부재(322)로 인해 보조부력부재(322) 사이 공간으로 유체 가 유입되어 부력부재(321)가 부력을 원활하게 받을 수 있다.
후방측벽(320)의 후방 상부에는 연결고리(323)가 양쪽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연결고리(323)로 인해 저수부(300)를 타 부재에 연결하여 저수부(300)가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고리(323)로 인해 튜브(200)가 손상되더라도 수해방재장치가 지탱될 수 있다. 또한, 물살이 세거나 파고가 높을 시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연결고리(323)를 통해 저수부(300)의 측벽이 미리 직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수부(300)는 상기 측벽에 배수구(301, 302)가 여러방향으로 형성된다.
배수구(301, 302)는 방수 지퍼등으로 연결된 절개부로 구비되거나, 구멍으로 구비되어 구멍을 막는 마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수구(301, 302)로 인해 배수시에는 방수 지퍼를 열어서 의도하는 방향으로 물을 흘러보내거나, 마개를 열고 구멍에 배수펌프를 연결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저수부(300)의 양쪽에는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는 양쪽측벽(310)과 후방측벽(320) 사이의 모서리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연결부(340)와 양쪽측벽(310)과 바닥면(330) 사이의 모서리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연결부(350)를 포함한다. 수직연결부(340)와 수평연결부(350)는 일체로 형성된다.
수직연결부(340)와 수평연결부(350)는 두개의 시트(341, 342)로 구비되며, 두개 중 하나의 시트(341)에는 끝단에 방수지퍼 또는 방수 벨크로와 같은 탈착수단이 설치된다.
두개의 시트(341, 342)는 서로 다른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두개의 수해방재장치를 이어서 사용할 경우에 시트(341, 342)의 연결부위가 서로 엇갈리게 되어 방수가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진 지형에 수해방재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튜브(200) 및 스커트(100) 뿐만 아니라 저수부(300)에 연결스커트(400)를 연결하여 방수가 효과적으로 되도록 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수해방재장치 쪽으로 유입되면 스커트(100)에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을 통해서 수해방재장치는 지면지지력을 확보하게 된다. 이때 유체의 수위가 높아질수록 튜브(200)의 지탱력은 더욱 커지게 되어 수해방재장치는 유체가 보호대상(인적 또는 물적 재산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체가 범람하지 않게 되면 저수부(300)의 상기 측벽이 절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지지대(311)로 인해 저수부(300)의 기본적인 형상이 유지된다.
유체가 범람하면 유체는 저수부(300)의 개방된 공간(상부)으로 유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람한 유체는 저수부(300)에 점점 채워지게 되고, 보조부력부재(322) 사이로도 유입된다. 이로 인해, 부력부재(321)는 부력을 받아서 유체에 뜨게되고 유체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력에 의해 저수부(300)의 상 기 측벽도 자동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유체가 지속적으로 범람하더라도 범람하는 유체가 저수부(300)에 자동으로 채워져서 보호대상을 2차 범람 피해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저수부(500)의 측벽은 양쪽측벽(510)과 상기 양쪽측벽(5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측벽(520)을 포함하며, 저수부(500)는 상기 측벽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닥면(530)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양쪽측벽(510)과 상기 후방측벽(520)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튜브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쪽측벽(510)과 후방측벽(520) 모두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튜브로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해방재장치는 사용시에 저수부(500)의 에어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저수주(500)의 측벽이 직립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유체가 범람하게 되면 저수부(500)에 범람한 유체가 채워지게 되어 수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해방재장치를 비 사용시에는 저수부(500)의 에어튜브에서 공기를 빼서 작은 부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해방재장치는, 특히, 주택 및 주요시설보호하거나, 기존의 제방에 추가하여 사용하거나, 범람위기의 도로를 보호하거나, 필수도로의 통행이 유지되도록 하거나, 유류 혹은 화학물질의 오염방지 펜스로도 사용하거나, 하천토목공사에 사용하거나, 물과 관련된 여러 작업에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해방재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해방재장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수해방재장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의 수해방재장치 범람 전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1의 수해방재장치 범람 후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해방재장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스커트 200 : 튜브
300 : 저수부 301, 302 : 배수구
310 : 양쪽측벽 311 : 지지대
320 : 후방측벽 321 : 부력부재
322 : 보조부력부재 323 : 연결고리
330 : 바닥면 340 : 수직연결부
350 : 수평연결부

Claims (5)

  1. 삭제
  2. 튜브;
    상기 튜브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커트;
    상기 튜브의 후방에 설치되어 범람하는 유체가 채워지는 저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수부의 측벽에는 부력부재가 설치되는 수해방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의 측벽은 양쪽측벽과 상기 양쪽측벽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양쪽측벽에는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부력부재는 상기 후방측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해방재장치.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는 상기 저수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가 설치되는 수해방재장치.
KR1020090074947A 2009-08-14 2009-08-14 수해방재장치 KR100965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947A KR100965901B1 (ko) 2009-08-14 2009-08-14 수해방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947A KR100965901B1 (ko) 2009-08-14 2009-08-14 수해방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901B1 true KR100965901B1 (ko) 2010-06-24

Family

ID=4237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947A KR100965901B1 (ko) 2009-08-14 2009-08-14 수해방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5818A1 (de) 2015-08-27 2017-03-01 ÖKO-TEC Umweltschutzsysteme GmbH Mobile schutzeinrichtung zum stau von flüssigkeit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5818A1 (de) 2015-08-27 2017-03-01 ÖKO-TEC Umweltschutzsysteme GmbH Mobile schutzeinrichtung zum stau von flüssigkeit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5864B2 (en) Flood barrier
JP4695037B2 (ja) 雨水貯留槽
US10815632B2 (en) High water spillway for barrages and similar structures, comprising an integrated device for aerating the downstream body of water
SK282505B6 (sk) Mobilné zariadenie na ochranu proti vysokej vode
JP6304678B2 (ja) 貯水槽及びユニットパネル
KR101809686B1 (ko) 승강식 수차단 벽체형 호안 구조물
KR100865370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GB2426026A (en) Automatic buoyant flood barrier
KR100965901B1 (ko) 수해방재장치
JP2004116131A (ja) 堤体及び構造物の保護設備
JPS6149013A (ja) 浮函式防潮水門
KR100923728B1 (ko) 건축기초 흙막이용 토류판에 설치되는 배수처리장치
KR100923147B1 (ko) 차수부재를 포함하는 부력식 차수벽
JP2021098944A (ja) 水害時2次排水方法
JP6176534B2 (ja) 洪水用止水装置
JP6063848B2 (ja) 機器の水没防止構造
JP2009001992A (ja) 遮水装置
KR101492888B1 (ko) 화분 거치형 홍수벽
KR100545132B1 (ko) 굴곡진 하천 제방 측면 보강대
GB2456878A (en) Automatic flood barrier system
KR20040062356A (ko) 저수지의 보 및 제방용 방류관
JP2004003238A (ja) 高潮防止用水門
JP2008190196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JP2011017182A (ja) 地下貯留装置及び地下貯留方法
KR200225776Y1 (ko) 세굴심도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