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624B1 - 도금용 랙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금용 랙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624B1
KR100965624B1 KR1020070087890A KR20070087890A KR100965624B1 KR 100965624 B1 KR100965624 B1 KR 100965624B1 KR 1020070087890 A KR1020070087890 A KR 1020070087890A KR 20070087890 A KR20070087890 A KR 20070087890A KR 100965624 B1 KR100965624 B1 KR 100965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ubstrate
plating
operation lever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504A (ko
Inventor
박경이
Original Assignee
박경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이 filed Critical 박경이
Priority to KR102007008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624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7Current dire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65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with an additional locking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 H05K3/18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direct electrop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박막형 회로판 제조용 기판의 전기 도금(鍍金)시 원터치 조작 방식으로 상기 기판을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면서 로딩 또는 언로딩할 수 있도록 한 도금용 랙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그러한 도금용 랙 어셈블리는,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지지바를 구비한 랙 본체와, 상기 두 개의 지지바측에 형성되어 박막형 회로판 제조용 기판을 통전이 가능한 접지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접지용 핀들로 구성되는 접지부와, 상기 접지부에 대응하는 가압부를 가지며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랙 본체측에 힌지 결합으로 고정되는 두 개의 회동아암과, 상기 가압부로 상기 접지부를 누르거나 누름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어느 한 방향으로 밀거나 잡아당기면서 상기 회동아암을 회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를 밀거나 잡아당길 때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 구간 내에서 분리 가능하게 걸림 접촉하면서 상기 랙 본체측에 상기 조작레버 일측을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박막형 회로판 제조용 기판, 전기 도금 작업, 원터치 고정 방식으로 기판 고정, 기판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조작 편의성 향상

Description

도금용 랙 어셈블리{plating rack assembly}
본 발명은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박막형 회로판 제조용 기판의 전기 도금(鍍金) 작업에 사용되며, 특히 상기 기판을 랙에 로딩 또는 언로딩할 때 원터치 조작 방식으로 신속하게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도금용 랙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각종 박막형 회로판은 절연성의 기판 상에 회로 구성을 위한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패턴의 노출면은 금(Au)이나 은(Ag) 또는 동(Cu)과 같은 금속물질들로 이루어지는 금속막으로 덮혀져 있다.
이 금속막들은 상기 패턴의 산화(酸化)를 방지하고, 전기 전도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전기 도금으로 형성한다.
즉, 도금조 내부에 담겨진 전해액은 (+) 극성의 전기선과 접지하고, 기판은 (-) 극성의 전기선과 접지한 상태로 전기를 인가한다.
그러면, 전해액의 도금물질이 전해되면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측에서 -측으로 이동)을 따라 이동하여 패턴의 노출면을 덮는 상태로 달라붙는 통상의 전해(電 解) 도금 방식에 의해 얇은 금속막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금 작업에는 기판을 고정한 상태로 도금조 내부에 담그기 위한 도금용 랙을 사용한다.
이러한 전기 도금 작업에 사용하는 도금용 랙은, 2004년 3월2일 자로 특허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10-0584095호의 도금장치의 초박판형 기판 행거 랙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10-0584095호의 도금장치의 초박판형 기판 행거 랙구조는, 통전율이 우수하고 특히, 초박판형의 기판(예:PCB)을 흔들림 없이 간편하게 클램핑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복수 개의 클램프와 링크 핸들을 구비하고 랙의 가로 지지대 양측단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회동아암의 회동시 상기 클램프로 기판을 누르면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랙에는 걸림 접촉력으로 상기 링크 핸들을 록킹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클램프로 기판을 누른 상태로 유지하거나, 누름 해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회동아암의 회동을 상기 스토퍼로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제10-0584095호의 도금장치의 초박판형 기판 행거 랙구조는, 랙측에 기판을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즉, 기판을 누르거나 누름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아암을 조작하고, 상기 회동아암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를 조작해야 하므로 두 번 이상의 동작 및 조작 과정을 매번 거쳐야 한다.
그러므로, 전기 도금 작업시 기판을 랙측에 신속하게 로딩하거나 언로딩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링크 핸들을 록킹한 상태에서 예를들어, 외부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오작동하여 록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번 원터치 조작에 의해 박막형 회로판 제조용 기판을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도금용 랙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지지바를 구비한 랙 본체;
상기 두 개의 지지바측에 형성되어 박막형 회로판 제조용 기판을 통전이 가능한 접지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접지용 핀들로 구성되는 접지부;
상기 접지부에 대응하는 가압부를 가지며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랙 본체측에 힌지 결합으로 고정되는 두 개의 회동아암;
상기 가압부로 상기 접지부를 누르거나 누름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어느 한 방향으로 밀거나 잡아당기면서 상기 회동아암을 회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
상기 조작레버를 밀거나 잡아당길 때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 구간 내에서 분리 가능하게 걸림 접촉하면서 상기 랙 본체측에 상기 조작레버 일측을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도금용 랙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랙 본체측에 박막형 회로판 제조용 기판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때 회동아암을 한 번의 원터치 동작으로 조작하면서 상기 기판을 상기 랙 본체측에 직접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박막형 회로판 제조용 기판의 전기 도금 작업시 상기 기판을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로딩 또는 언로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랙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나타 내는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랙 본체를 지칭한다.
상기 랙 본체(2)는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는 두 개의 지지바(F1)를 구비하고, 이 두 개의 지지바(F1)를 연결바(F2)로 연결한 통상의 사각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2참조)
상기 랙 본체(2)에는 행거(4)가 설치되며, 이 행거(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끝단이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진 통상의 구조로 가지며, 상기 지지바(F1)의 위쪽 단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행거(4)는 도금 작업시 호이스트(hoist)와 같은 이송장치로 상기 랙 본체(2)를 운반하거나 도금조 내부에 담글 수 있도록 호이스트측에 통상의 방법으로 걸어서 상기 랙 본체(2)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랙 본체(2)에는 접지용 핀(P1)들로 구성되는 접지부(6)가 설치된다.
상기 접지부(6)는 예를들어,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박막형 회로판 제조용 기판(G, 이하 "기판"이라고 함.)이 상기 랙 본체(2)측에 통전(通電)이 가능한 접지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접지용 핀(P1)은 상기 지지바(F1)측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복수 개의 지점에 고정되며, 이 접지용 핀(P1)에는 기판(G)측에 형성된 통상의 접지용 홀(H)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접지용 핀(P1)들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바(F1) 내측에 설치한 통상의 전극봉과 접지 상태로 연결된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랙 어셈블리는, 회동아암(8)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아암(8)은, 상기 지지바(F1)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랙 본체(2)의 양측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브라켓트(10)로 각각 연결되어 이 힌지브라켓트(1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각 회동아암(8)의 위쪽에는 조작레버(12)를 부착한다.
상기 조작레버(12)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지지바(F1) 사이를 연결하는 위쪽 연결바(F2)와 마주하는 상태로 접촉할 수 있도록 일측단을 상기 회동아암(8) 일측에 고정한다.(도 2참조)
상기 조작레버(12)는 상기 힌지브라켓트(10)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아암(8)을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아암(8)에는 상기 접지부(6)에 대응하는 가압부(14)를 설치한다.
상기 가압부(14)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지부(6)의 접지용 핀(P1)과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핀홀(H1)을 가지는 가압구(P2)들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구(P2)들은, 상기 회동아암(8)의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핀홀(H1)측에 상기 접지용 핀(P1)이 끼워지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누를 수 있다.
즉, 상기 회동아암(8)은, 상기 힌지브라켓트(10)를 중심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가압구(P2)가 상기 접지용 핀(P1)을 향하여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회동아암(8)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구(P2)로 기판(G)을 눌러서 상기 접지용 핀(P1)측에 고정할 수 있다.(도 5참조)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랙 어셈블리는 간격조절수단(1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수단(16)은 상기 랙 본체(2)의 두 개의 지지바(F1) 사이의 간격 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바(F2)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이들 사이에 조절바(F3)를 연결하여 이 조절바(F3)의 조작에 의해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조절바(F3) 외부면에 두 개의 가이드홀(Q1)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바(F2) 외부면에는 상기 두 개의 가이드홀(Q1)과 걸려지도록 가이드핀(Q2)을 각각 끼워서 고정한다.
상기 가이드홀(Q1)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두 개가 대칭의 자세를 가지도록 상기 조절바(F3)측에 형성한다.
즉, 상기 조절바(F3)를 도 6에 나타낸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가이드홀(Q1)의 경사 구간을 따라 상기 가이드핀(Q2)이 가이드되면서 상기 연결바(F2)들의 이음 간격을 좁히거나 벌릴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간격조절수단(16)은 기판(G)의 형태나 사이즈에 따라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지바(F1)의 간격을 상기와 같이 조절바(F3)를 이용하여 간편하 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랙 어셈블리는, 고정수단(18)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18)은, 상기 두 개의 조작레버(12)의 조작 구간 내에서 원터치 걸림 방식으로 걸림돌기부와 걸림홈부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상기 회동아암(8)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18)은 통상의 포켓형 록킹장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포켓형 홈부(K)를 가지는 홀더(D1)와, 상기 홀더(D1)측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홀더헤드(D2)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D1)는, 상기 포켓형 홈부(K) 둘레가 벌어지거나 좁혀지도록 두 개가 한 조로 구성되어 케이스(D3)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홀더(D1)는 외부의 누름 압력에 의해 위치가 2단으로 변화하면서 상기 케이스(D3) 외부로 돌출되거나 들어간 상태가 되도록 작동한다.
즉, 상기 케이스(D3) 외부로 상기 홀더(D1)가 돌출된 상태에서 이 홀더(D1)를 한 번 누르면 상기 케이스(D3) 내측에 들어간 상태로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D1)가 상기 케이스(D3) 내측에 들어간 상태에서 한 번 더 누른 후 외력을 제거하면 외부로 다시 돌출된 상태로 위치한다.
상기 홀더(D1)는 상기 케이스(D3) 내부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포켓형 홈부(K)가 좁혀지면서 록킹(locking) 상태가 되고,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포켓형 홈부(K)가 벌어지면서 록킹 해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홀더(D1)의 위치를 2단으로 변화시키면서 록킹하는 구조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들어, 상기 케이스(D3) 내측에 가이드홈(궤적형)과 이에 대응하는 돌기를 형성하여 이들의 걸림 접촉에 의해 위치를 2단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통상의 포켓형 록킹장치의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헤드(D2)는 볼(ball) 형상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켓형 홈부(K)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D3)는 상기 두 개의 조작레버(12)에 대응하도록 상기 연결바(F2)측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홀더헤드(D2)는 상기 홀더(D1)들에 대응하도록 상기 두 개의 조작레버(12) 일측에 각각 고정 설치한다.(도 7참조)
상기와 같이 설치한 고정수단(18)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12)의 조작시 이 조작레버(12) 일측을 원터치 방식으로 상기 연결바(F2)측에 직접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조작레버(12)를 고정하려면 도 7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조작레버(12)를 상기 케이스(D3)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홀더헤드(D2)가 상기 홀더(D1)를 누르는 상태로 끼워져서 록킹되므로 상기 조작레버(12) 일측이 상기 랙 본체(2) 일측에 고정된다.(도 8참조)
이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12)를 고정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압구(P2)들로 기판(G)을 눌러서 이 기판(G)이 상기 랙 본체(2)측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회동아암(8)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12)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려면, 상기 조작레버(12)를 다시 누른 다음 외력을 제거한다.
그러면, 상기 홀더헤드(D2)가 상기 홀더(D1)측에서 분리되어 록킹 해제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조작레버(12)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도 7참조)
이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12)의 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조작레버(12)를 잡아당겨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압구(P2)의 누름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랙 본체(2)측에서 기판(G)을 분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회동아암(8)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조작레버(12)를 어느 한 방향으로 밀거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랙 본체(2)측에 로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판(G)을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고정 구조는 예를들어, 두 번 이상의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과정을 거치면서 기판(G)을 랙측에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 방식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8)은 상기와 같이 통상의 포켓형 록킹장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D3) 내부에서 탄성부재(D5, 예: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일측이 눌려지도록 셋팅한 고정용 볼(D4)로 상기 홀더헤드(D2) 외부면을 누르는 원터치 걸림 방식의 고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용 볼(D4)은 상기 탄성부재(D5)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상기 홀더헤 드(D2) 외부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록킹 상태로 고정하고, 상기 탄성부재(D5)의 탄성 반발력보다 큰 힘으로 상기 조작레버(12)를 잡아당기면 록킹이 해제되도록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18)은 상기한 고정 구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조작레버(12)의 조작 구간 내에서 이 레버(12)를 조작할 때 원터치 걸림 방식에 의해 록킹 및 록킹 해제가 가능하게 작동하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랙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랙 어셈블리의 랙 본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랙 어셈블리의 행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랙 어셈블리의 접지부 및 가압부 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접지부 및 가압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랙 어셈블리의 간격조절수단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랙 어셈블리의 고정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고정수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용 랙 어셈블리의 고정수단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7)

  1.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지지바를 구비한 랙 본체;
    상기 두 개의 지지바측에 형성되어 박막형 회로판 제조용 기판을 통전이 가능한 접지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접지용 핀들로 구성되는 접지부;
    상기 접지부에 대응하는 가압부를 가지며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랙 본체측에 힌지 결합으로 고정되는 두 개의 회동아암;
    상기 가압부로 상기 접지부를 누르거나 누름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어느 한 방향으로 밀거나 잡아당기면서 상기 회동아암을 회동 조작하기 위한 조작레버;
    상기 조작레버를 밀거나 잡아당길 때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 구간 내에서 분리 가능하게 걸림 접촉하면서 상기 랙 본체측에 상기 조작레버 일측을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고정수단;
    상기 두 개의 지지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두 개의 지지바 사이를 연결하는 조절바;
    상기 조절바 둘레측에서 걸림 접촉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홈과 가이드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금용 랙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접지용 핀과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핀홀을 가지는 가압구들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구들은 상기 회동아암에서 상기 접지용 핀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지점에 위치하는 도금용 랙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동아암의 회동시 상기 랙 본체 일측과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상기 회동아암 일측에 부착 고정되는 도금용 랙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 구간 내에서 걸림 접촉이 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돌기부와 걸림홈부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시 상기 걸림홈부로 상기 걸림돌기부를 분리 가능하게 잡아주면서 상기 조작레버 일측을 상기 랙 본체 일측에 고정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도금용 랙 어셈블리.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과 가이드핀은,
    상기 조절바가 중심부를 중심으로 정/역 회전할 때 걸림 접촉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지지바 간격이 서로 접혀지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셋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랙 어셈블리.
KR1020070087890A 2007-08-30 2007-08-30 도금용 랙 어셈블리 KR100965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890A KR100965624B1 (ko) 2007-08-30 2007-08-30 도금용 랙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890A KR100965624B1 (ko) 2007-08-30 2007-08-30 도금용 랙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504A KR20090022504A (ko) 2009-03-04
KR100965624B1 true KR100965624B1 (ko) 2010-06-23

Family

ID=4069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890A KR100965624B1 (ko) 2007-08-30 2007-08-30 도금용 랙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6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880B1 (ko) * 2011-03-10 2013-03-25 박경이 도금용 바스켓
KR101389504B1 (ko) * 2012-02-23 2014-04-25 박경이 도금용 바스켓장치
KR101490590B1 (ko) * 2013-04-25 2015-02-05 주식회사 포스코 열처리용 프레임
FR3061758B1 (fr) * 2017-01-09 2024-02-16 Mxs Group Dispositif de fixation d'un accessoire a un mur par emboitage elastiqu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5030A (ja) 1996-11-07 1998-05-29 Maruya Seisakusho:Kk プリント配線基板の基板保持用治具とその取付装置
JPH10150257A (ja) * 1996-11-20 1998-06-02 Ono Seisakusho:Kk プリント基板メッキ用治具
JP2003166099A (ja) 2001-12-03 2003-06-13 Nihon Rack Kk ワークハンガーの幅決め具の連結構造
KR200406388Y1 (ko) * 2005-10-26 2006-01-20 박경이 도금용 랙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5030A (ja) 1996-11-07 1998-05-29 Maruya Seisakusho:Kk プリント配線基板の基板保持用治具とその取付装置
JPH10150257A (ja) * 1996-11-20 1998-06-02 Ono Seisakusho:Kk プリント基板メッキ用治具
JP2003166099A (ja) 2001-12-03 2003-06-13 Nihon Rack Kk ワークハンガーの幅決め具の連結構造
KR200406388Y1 (ko) * 2005-10-26 2006-01-20 박경이 도금용 랙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504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205B1 (ko) 도금용 랙 어셈블리
KR100965624B1 (ko) 도금용 랙 어셈블리
US4801273A (en) Socket
US7140909B2 (en) Connector capable of easily increasing a holding force for holding a connection object
KR100994878B1 (ko) 인쇄회로기판 다단 도금용 지그장치
TWI677598B (zh) 基板支架接收裝置
JP2018040045A (ja) 基板ホルダ、めっき装置、及び基板を保持する方法
TW201003094A (en) Test holder for microchip
TWM362533U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593872B1 (ko) Pcb기판 도금용 지그장치
WO2010103749A1 (ja) メッキ用治具
JPH02244515A (ja) 電気スイッチ
KR101063135B1 (ko) 인쇄회로기판 도금용 지그장치
CN110644039B (zh) 基板支架
CN111211068B (zh) 使基板保持器保持基板的方法
KR101187397B1 (ko) 도금용 랙 어셈블리
KR20050088620A (ko) 도금장치의 초박판형 기판 행거 랙구조
KR200408105Y1 (ko) Pcb기판 도금용 지그장치
JPH01153982A (ja) 集積回路キャリヤ用の試験アダプタ
JPH09121013A (ja) リードフレームを積載するラ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リードフレーム鍍金システム
JP2006263066A (ja) ネクタイピン
JP3884120B2 (ja) 取付装置
KR200450230Y1 (ko) 크기 조정이 가능한 인쇄회로기판 도금용 지그장치
KR20110014043A (ko) 도금용 클램프
JP7204860B2 (ja) 基板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