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803B1 -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803B1
KR100963803B1 KR1020100005309A KR20100005309A KR100963803B1 KR 100963803 B1 KR100963803 B1 KR 100963803B1 KR 1020100005309 A KR1020100005309 A KR 1020100005309A KR 20100005309 A KR20100005309 A KR 20100005309A KR 100963803 B1 KR100963803 B1 KR 100963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main shaft
shaft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남수
Original Assignee
신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남수 filed Critical 신남수
Priority to KR1020100005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803B1/ko
Priority to CN2010800162025A priority patent/CN102387934A/zh
Priority to PCT/KR2010/005217 priority patent/WO2011090244A1/ko
Priority to EP10173763A priority patent/EP2357105A1/en
Priority to TW099129318A priority patent/TW201125762A/zh
Priority to US13/009,391 priority patent/US2011017456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08Prime-movers comprising combustion engines and mechanical or fluid energy storing means
    • B60K6/10Prime-movers comprising combustion engines and mechanical or fluid energy storing means by means of a chargeable mechanical accumulator, e.g. fly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chargeable mechanical accumulators, e.g. fly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3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tored mechanically, e.g. in fly-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4Charge st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은, 태엽발전장치부를 통해 태엽의 탄성복원력을 회전에너지로 변환하고 그와 같이 변환된 회전에너지를 가속하여 차량용 제너레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며, 제어부의 제어행위에 의해 태엽이 과풀림 상태가 될 경우는 태엽권취모터를 통해 태엽의 자동 감김 작용이 진행되도록 하고, 그와 같은 발전작용에 의해 축전지가 과충전상태가 되는 때에는 태엽발전장치부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작동원리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Electric vehicle with electric generatio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태엽발전장치부를 통해 태엽의 탄성복원력을 회전에너지로 변환하고 그와 같이 변환된 회전에너지를 가속하여 차량용 제너레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며, 제어부의 제어행위에 의해 태엽이 과풀림 상태가 될 경우는 태엽권취모터를 통해 태엽의 자동 감김 작용이 진행되도록 하고, 그와 같은 발전작용에 의해 축전지가 과충전상태가 되는 때에는 태엽발전장치부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 에너지를 배터리나 축전기에 저장하여 이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는 환경친화적인 장점이 있는 반면, 가솔린 등 화석연료를 동력원으로 하는 내연기관차량에 비해 장거리 주행이 어려운 점이 문제가 되고 있다.
왜냐하면, 내연기관차량은 간단히 주유하여 주행할 수 있으므로 장거리 주행에 적합하나, 전기자동차는 현재의 기술수준으로 볼 때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전기자동차는 비교적 근거리를 운행할 목적에서 사용되거나 골프장 등 환경친환적인 장소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당한 시간 동안 자가발전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력을 이용하여 태엽의 수동 감김 작용이 실시될 수 있고, 제어부 및 감지센서 및 태엽권취모터를 통해 태엽의 자동 감김 작용이 실시될 수 있으며, 축전지의 과충전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태엽의 수동 또는 자동 감김 작용이 실시될 경우 그에 소요되는 동력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은, 태엽의 탄성복원력이 회전에너지로 변환되고, 상기 회전에너지의 회전수가 가속되며, 그와 같이 가속된 회전에너지가 차량용 제너레이터에 인가됨으로써 차량용 제너레이터를 통해 전기가 생산되게 하는 태엽발전장치부; 상기 차량용 제너레이터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는 축전지; 상기 축전지의 과충전상태을 감지하는 과충전감지부; 상기 태엽의 과풀림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태엽과 연동되는 주동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태엽권취모터; 상기 주동축을 구속하게 되는 제동기;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태엽의 과풀림 상태를 감지할 경우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태엽권취모터에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태엽의 권취작용이 완료되도록 하고, 상기 과충전감지부가 상기 축전지의 과충전상태를 감지하게 된 경우는 상기한 태엽의 권취작용이 개시 및 완료되도록 한 다음 상기 제동기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태엽발전장치부의 발전작용이 정지되도록 하며, 상기 과충전감지부를 통해 상기 축전지가 과충전상태로부터 해제된 경우는 상기 제동기가 작동 해제되도록 컨트롤하게 되는 제어부; 가 포함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주동축과 상기 차량용 제너레이터의 사이에는, 상기 주동축으로부터 동력이 입력되고, 그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가속하여 출력하게 되는 제1동력가속부와; 상기 제1동력가속부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입력되고, 그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가속하여 출력하게 되는 제2동력가속부; 및, 상기 제2동력가속부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입력되고 그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가속하여 상기 차량용 제너레이터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제너레이터가 작동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되는 제3동력가속부; 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주동축과 상기 태엽권취모터의 사이에는, 상기 태엽권취모터로부터 동력이 입력되고, 그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주동축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주동축이 타측방향으로 역회전되게 하는 동력감속부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력감속부를 통해 작은 힘으로써 태엽의 감김 작용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저출력의 소형 태엽권취모터가 채택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은, 외력이 상기 주동축에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주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외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상기 외력으로 인해 상기 주동축이 타측방향으로 역회전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되는 수동핸들이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주동축과 상기 수동핸들의 사이에는 상기 수동핸들로부터 입력되는 외력을 가속하여 상기 주동축(S1)에 출력하게 되는 제4동력가속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감속부, 제1동력가속부, 제2동력가속부, 제3동력가속부, 제4동력가속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제1 및 제2구동축의 각 말단에 태양기어와 피니언의 중심이 각각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의 각 말단에서 상기 태양기어 및 피니언의 중심을 일체로 관통하는 중공을 가지는 제1 및 제2구동모듈과; 상기 태양기어 및 피니언과 동수이고, 이들과 치차 결합되며 그 중심이 지지축에 축설되는 감차수열; 및,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지지축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 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상기 주동축 또는 샤프트가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구동축은 주동축 또는 샤프트에 대해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는 구조이고, 주동축 또는 샤프트가 일정한 방향으로 구동될 시에도 제1 및 제2구동축은 다른 배속으로 회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이 주동축 또는 샤프트의 구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도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주동축에는 그 외경 상에서 그 둘레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내향 절곡되는 슬라이딩절곡부와 상기 슬라이딩절곡부의 말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외향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걸림부를 가지는 래치요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동력감속부는, 동력감속부측 제2구동축의 외경 상에 축설됨으로써 상기 동력감속부측 제2구동축과 동일 회동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 래치부 및 상기 래치부가 하방을 향해 탄발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함유하는 래치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래치부는 그 하단부가 철(凸)부로서 상기 래치요홈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래치모듈이 더 구비되며; 상기 동력감속부측 제2구동축에는 상기 래치부 및 래치요홈과 상응하는 부분이 관통되는 래치유동공; 이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감속부측 제1구동축의 외경 상에는 상기 주동축의 역회전방향으로만 회동되지 아니하는 일방향베어링이 삽입되고, 상기 일방향베어링의 외경 상에는 상기 일방향베어링과 동일 회동 되는 풀리가 장착되며, 상기 풀리는 동력전달벨트를 통해 상기 제4동력가속부측 제1구동축 상에 장착된 풀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4동력가속부측 제2구동축 상에는 상기 수동핸들이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력감속부측 제1구동축의 외경 상에는 상기 주동축의 역회전방향으로만 회동되지 아니하는 일방향베어링이 삽입되고, 상기 일방향베어링의 외경 상에는 상기 일방향베어링과 동일 회동 되는 풀리가 장착되며, 상기 풀리는 동력전달벨트를 통해 상기 태엽권취모터의 구동축 상에 장착된 풀리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동력가속부측 제2구동축은 그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가 동력전달벨트를 통해 상기 주동축 상에 장착된 풀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1동력가속부측 제1구동축은 그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가 동력전달벨트를 통해 제2동력가속부의 제2구동축 상에 장착된 풀리와 연결되며, 제3동력가속부측 제2구동축은 그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가 동력전달벨트를 통해 상기 제2동력가속부측 제1구동축의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3동력가속부의 제1구동축은 그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가 동력전달벨트를 통해 상기 차량용 제너레이터와 연결됨으로써 상호 연동 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동축과 상기 풀리의 사이에는, 상기 주동축의 회전방향으로만 회동되지 아니하는 일방향베어링이 상기 주동축의 외경 상에 삽입되고, 상기 풀리는 상기 일방향베어링의 외경 상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일방향베어링과 동일 회동 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좋고,
상기 감지센서는 그 접점부가 상기 태엽을 이루는 판스프링의 최외곽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서 상호 대향 되게 위치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태엽이 과풀림 상태가 될 경우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접점 및 작동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동축에는 제동디스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동기는 상기 제동디스크를 가압하게 되는 디스크제동기로 구현됨이 좋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당한 시간 동안 자가발전이 가능하고 되는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력을 이용하여 태엽의 수동 감김 작용이 실시될 수도 있고, 제어부와 감지센서 및 태엽권취모터를 통해 태엽의 자동 감김 작용이 실시될 수 있으므로, 한 번의 외력이 투입될 경우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발전 작용이 지속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태엽의 수동 또는 자동 감김 작용이 실시될 경우 그에 소요되는 동력이 최소화 될 수 있게 되는 등 여러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정한 장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구체화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의 제어흐름도.
도 3은 도 1의 태엽발전장치부의 개략적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요부 I" 동력감속부(100)의 분해사시도.
도 5은 도 4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된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는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래치모듈(9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 7의 D-D'선 단면도.
도 11은 도 3의 제4동력가속부(500)의 E-E'선 단면도.
도 12는 도 3의 제1동력가속부(200)의 F-F'선 단면도.
도 13은 도 3의 제2동력가속부(300)의 G-G'선 단면도.
도 14는 도 3의 제3동력가속부(400)의 H-H'선 단면도.
이하에서는 다음에서 설명되는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은 태엽발전장치부(1000), 과충전감지부(2000), 제동기(3000), 감지센서(800), 축전지(700), 태엽권취모터(900)가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전기적으로는 상기 태엽발전장치부(1000)가 차량용 제너레이터(600)와 연결되고, 상기 차량용 제너레이터(600)는 축전지(700)와 연결되며, 상기 축전지(700)는 상기 제어부(4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엽권취모터(900) 및 과충전감지부(2000) 및 감지센서(800) 및 제동기(3000)와 연결됨과 동시에, 동력원으로서 기능하게 되는 구동모터(5000)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기계적 연결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모터(5000)가 트랜스미션(5200)과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미션(5200)은 구동차륜(5100)과 연결된다.
상기 태엽발전장치부(1000)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태엽발전장치부(1000)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이는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차량의 전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태엽발전장치부(1000)는, 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로서 주동축(S1) 및 다수의 샤프트(S2, S3, S4, S5) 상에 각 축설되며 이들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동력감속부(100) 및 복수의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와, 상기 주동축(S1)과 연결되는 태엽(1)과, 상기 동력감속부(100)가 상기 제4동력가속부(500)와 연결되고 상기 제4동력가속부(500)에는 수동핸들(2)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동력감속부(100)는 전술한 태엽권취모터(900)와 연결되고, 상기 제3동력가속부(400)는 차량용 제너레이터(600)와 연결되며, 상기 차량용 제너레이터(600)는 축전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태엽(1)과 인접한 부분에는 태엽(1)의 과풀림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감지할 경우는 그 해당신호를 제어부(4000)에 송출하게 되는 감지센서(80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8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접점부(810)가 상기 태엽(1)을 이루는 판스프링의 최외곽측면(1a)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서 그 최외곽측면(1a)과 상호 대향 되게 위치되고, 상기 접점부(810)는 상기 태엽(1)이 과풀림 상태가 될 경우 상기 판스프링의 최외곽측면(1a)으로 인해 가압됨에 따라 접점됨으로써 제어부(4000)에 그 접점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러할 경우 상기 제어부(4000)는 축전지(70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일정시간 동안 상기 태엽권취모터(900)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태엽권취모터(900)가 일정시간 동안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동축(S1)에는 제동디스크(3100)가 구비되고, 앞서 언급된 제동기(3000)는 상기 제동디스크(3100)를 가압하게 되는 통상의 디스크제동기로서 구현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엽발전장치부(1000)의 핵심적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동력감속부(1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요부 I" 동력감속부(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된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A-A'선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래치모듈(9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 7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살펴보면, 동력감속부(100)는 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 감차수열(60) 및 지지체(70)를 그 필수적 구성요소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은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에 태양기어(12)와 피니언(22)의 중심이 각각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에서 상기 태양기어(12) 및 피니언(22)의 중심을 일체로 관통하는 중공(50)이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상기 감차수열(60)은 상기 태양기어(12) 및 피니언(22)과 동수이고, 이들(12, 22)과 치차 결합 되며, 그 중심이 지지축(61)에 축설되는 수 개의 기어들(62, 63)로 구성된다(도 6 및 도 8 참조). 상기 기어들(62, 63) 중 큰 피치를 가지는 기어(63)는 상기 제2구동축(21)과 일체로 구성되는 피니언(22)과 치차 결합됨으로써 제1구동모듈(10)과 연동 되고, 보다 작은 피치를 가지는 기어(62)는 상기 제1구동축(11)과 일체로 구성되는 태양기어(12)와 치차 결합 된다(도 6 및 도 8 참조). 이와 같은 감차수열(60)은 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이 상호 연동 되도록 기능 하게 되는데, 동력이 상기 제1구동축(11)에 작용하게 될 경우 제2구동축(21)은 그 회전수가 제1구동축(11)에 비해 감소된 상태로서 회동하게 되는 감속상태가 되고, 동력이 상기 제2구동축(21)에 작용하게 될 경우 제1구동축(11)은 그 회전수가 제2구동축(21)에 비해 증가된 상태로서 회동하게 되는 가속상태가 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후에서 설명되는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는 전술한 동력감속부(100)의 앞서 본 필수적 구성요소를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다만, 동력감속부(100)는 동력이 제1구동축(11)에 인가되어 제2구동축(21)을 통해 감속된 회동력이 출력되나,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는 동력이 제2구동축(21)에 인가되어 제1구동축(11)을 통해 가속된 회동력이 출력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다시 말해, 이상에서 살펴 본 필수적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동력감속부(100) 및 상기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는 동력이 어디에서 입력되어 출력되느냐에 따라 동력을 감속하여 출력하게 되는 동력감속부(100) 또는 동력을 가속하여 출력하게 되는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로 구분 내지 활용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70)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지지축(61)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 되게 된다(도 6 및 도 8 참조).
한편, 앞서 본 필수적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동력감속부(100)에는 이(100)를 구성하는 제2구동축(21)의 외경 상에 래치모듈(90)이 더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주동축(S1)에는 그 외경 상에서 그 둘레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내향 절곡되는 슬라이딩절곡부(81)와 상기 슬라이딩절곡부(81)의 말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외향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걸림부(82)를 가지는 래치요홈(83)이 더 구비된다(도 4 참조).
상기 래치모듈(90)은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의 외경 상에 축설되고 상기 제2구동축(21)과 동일 회동 되는 지지프레임(9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91)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 래치부(92) 및 상기 래치부(92)가 하방을 향해 탄발되도록 하는 스프링(93)을 함유하는 래치케이스(94)가 구비되는데, 상기 래치부(92)는 그 하단부가 철(凸)부로서 상기 래치요홈(83)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도 4 참조).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래치부(92)는 그 저면이 전술한 슬라이딩절곡부(81)와 같거나 유사한 경사도를 가지는 경사부(92a) 및 그(92a) 끝 말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진행되는 절개면(92b)를 가지며, 상기 절개면(92b) 및 경사부(92a)의 상단에는 걸림턱(92c)이 형성되고, 걸림턱(92c)의 상단면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지주봉(92d)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93)은 상기 래치케이스(94)의 내측 상면과 상기 래치부(92)의 걸림턱(92c) 상에 개재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93)은 상기 래치부(92)가 상기 래치요홈(83)을 향해 일정한 세기의 탄성작용이 실시되도록 기능하게 된다(도 7, 도 9, 도 10 참조).
또한,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에는 상기 래치부(92) 및 래치요홈(83)과 상응하는 부분을 관통하는 래치유동공(7)이 구비되므로, 상기 래치부(92)가 상기 래치유동공(7)을 통해 상기 래치요홈(83)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도 5 및 도 7 참조).
그러므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동축(S1)이 태엽(1)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반시계방향(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는 좌측방향임)으로 회전하게 경우 래치부(92)는 그 저면에 형성된 경사부(92a)가 상기 주동축(S1) 상에 형성된 래치요홈(83)의 슬라이딩절곡부(81)를 따라 슬라이딩 되게 되므로 상기 주동축(S1)은 그 자신만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후술하게 될 발전 작용이 개시되게 된다.
반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태엽권취모터(900) 또는 후술하게 될 수동핸들(2)을 통해 동력이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21)에 인가될 경우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은 시계방향(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는 우측방향임)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래치부(92)의 하단에 구성된 절개면(92b)이 주동축(S1) 상에 형성된 래치요홈(83)의 걸림부(82)에 걸려 지게 되므로, 상기 주동축(S1)은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동일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주동축(S1)과 연결된 태엽(1)은 이(1)를 구성하는 판스프링(도면부호 미도시)이 상기 주동축(S1)의 시계방향 회전작용에 의해 감겨 지게 됨으로써 탄성복원력이 강화되게 된다.
한편,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의 외경 상에는 전술한 태엽권취모터(900)의 구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만 회동 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회동 되지 아니하는 2개의 일방향베어링(3a, 3b)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각 삽입된다. 상기 일방향 베어링(3a, 3b)의 외경 상에는 이들(3a, 3b)과 각 동일 회동되는 2개의 풀리(P12, P14)가 각 삽입된다.
상기 풀리(P14)는 동력전달벨트(V12)를 통해 태엽권취모터(900)의 구동축 상에 장착되는 풀리(P13)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풀리(P12)는 동력전달벨트(V11)를 통해 후술하게 될 제4동력가속부(500)측 제1구동축(11)과 연결된다.
또한, 주동축(S1)의 외경 상에는 후술하게 될 제1동력가속부(20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주동축(S1)이 태엽(1)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도 9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반시계방향(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좌측방향임)의 동력을 제1동력가속부(200)에 전달 내지 인가시키게 되는 풀리(P1)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주동축(S1)과 상기 풀리(P1)의 사이에는, 상기 주동축(S1)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만 회동 되는 일방향베어링(3c)이 상기 주동축(S1)의 외경 상에 삽입되고, 상기 풀리(P1)는 상기 일방향베어링(3c)의 외경 상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일방향베어링(3c)과 동일 회동 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도 7 및 도 8 참조).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는 도 3의 제4동력가속부(500)의 E-E'선 단면도이고, 도 12은 도 3의 제1동력가속부(200)의 F-F'선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3의 제2동력가속부(300)의 G-G'선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3의 제3동력가속부(400)의 H-H'선 단면도이다.
그 자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술한 동력감속부(100)의 필수적 구성요소{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 감차수열(60), 지지체(70)의 구성요소}를 그대로 가지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11를 살펴보면, 제4동력가속부(500)는 이를 구성하는 제1구동축(21)의 외경 상에 축설되는 풀리(P11)와, 제2구동축(21)의 외경 상에 장착되는 수동핸들(2)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샤프트(S5)가 제4동력가속부(500)에 구성된 중공(50)을 관통함으로써 체결되므로 제4동력가속부(500)는 상기 샤프트(S5)에 의해 지지 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공(50)의 내부에는 베어링(3)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4동력가속부(500)의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상기 샤프트(S5)에 대해 자유로이 회동 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풀리(P11)는 동력전달벨트(V11)를 통해 전술한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 상에 설치된 풀리(P12)와 연결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12을 살펴보면, 제1동력가속부(200)는 이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외경 상에 반경을 달리하는 풀리(P2, P3)가 각 장착되는데, 이들(P2, P3) 중 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풀리(P2)는 상기 제1동력가속부(200)측 제2구동축(21) 상에 축설되고, 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풀리(P3)는 상기 제1동력가속부(200)측 제1구동축(11) 상에 장착된다. 상기 작은 반경을 가지는 풀리(P2)는 동력전달벨트(V1)를 통해 주동축(S1) 상에 장착된 풀리(P1)와 연결되고, 상기 큰 반경을 가지는 풀리(P3)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동력가속부(300)와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샤프트(S2)가 제1동력가속부(200)에 구성된 중공(50)을 관통함으로써 체결되므로 제1동력가속부(500)는 상기 샤프트(S2)에 의해 지지 되게 된다. 상기 중공(50)의 내부에는 베어링(3)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1동력가속부(200)의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상기 샤프트(S2)에 대해 자유로이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13을 살펴보면, 제2동력가속부(300)는 이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외경 상에 반경을 달리하는 풀리(P4, P5)가 각 장착되는데, 이들(P4, P5) 중 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풀리(P4)는 제2동력가속부(300)측 제2구동축(21) 상에 축설되고, 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풀리(P5)는 제2동력가속부(300)측 제1구동축(11) 상에 장착된다. 상기 작은 반경을 가지는 풀리(P4)는 동력전달벨트(V2)를 통해 앞서 본 제1동력가속부(200)측 풀리(P3)와 연결되고, 상기 큰 반경을 가지는 풀리(P5)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3동력가속부(400)와 연결된다. 또한, 샤프트(S3)가 제2동력가속부(300)에 구성된 중공(50)을 관통함으로써 체결되므로 제2동력가속부(300)는 상기 샤프트(S3)에 의해 지지 되게 된다. 상기 중공(50)의 내부에는 베어링(3)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2동력가속부(300)의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상기 샤프트(S3)에 대해 자유로이 회동 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14를 살펴보면, 제3동력가속부(400)는 이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외경 상에 반경을 달리하는 풀리(P6, P7)가 각 장착되는데, 이들(P6, P7) 중 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풀리(P6)는 제2구동축(21) 상에 축설되고, 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풀리(P7)는 상기 제1구동축(11) 상에 장착된다. 상기 작은 반경을 가지는 풀리(P6)는 동력전달벨트(V3)를 통해 앞서 본 제2동력가속부(300)측 풀리(P5)와 연결되고, 상기 큰 반경을 가지는 풀리(P7)는 동력전달벨트(V4)를 통해 차량용 제너레이터(600)의 구동축 상에 장착된 풀리(P8)와 연결되게 된다. 물론, 상기 차량용 제너레이터(600)측 풀리(P8)는 그 반경이 이와 연결되는 제3동력가속부(400)측 풀리(P7)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샤프트(S4)가 제3동력가속부(400)에 구성된 중공(50)을 관통함으로써 체결되므로 제3동력가속부(400)는 상기 샤프트(S4)에 의해 지지 되게 된다. 상기 중공(50)의 내부에는 베어링(3)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3동력가속부(400)의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상기 샤프트(S4)에 대해 자유로이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앞서 살펴본 태엽발전장치부(1000) 및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수동핸들(2)을 우측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그 구동력은 제4동력가속부(500)를 가속되고 그와 같이 가속된 동력이 풀리(P11) 및 동력전달벨트(V11)를 통해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에 구비된 풀리(P12)에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풀리(P12)와 연결된 일방향베어링(3a)에는 동력전달벨트(V11)로부터 발생된 벨트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그와 같은 벨트장력은 상기 일방향베어링(3a)에 작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일방향베어링(3a)이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의 외경을 압박하게 되는바,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은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은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보다 감속된 상태이나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과 동일한 방향인 우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동축(S1)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래치부(92) 및 래치요홈(83)의 상호 걸림작용으로 인해 시계방향 즉,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동축(S1)과 연결된 태엽(1)은 수동 감김 작용이 실시되고 그와 같은 감김 작용으로 인해 상기 태엽(1)은 탄성복원력이 강화되게 된다.
이때, 상기 태엽권취모터(900)와 연결된 또 다른 일방향베어링(3b)은 태엽권취모터(900)가 구동되지 아니한 상태이므로 벨트장력이 발생 되지 아니하게 되는바, 상기 태엽권취모터(900)와 연결된 일방향베어링(3b)은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의 외경을 압박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들(3b, 11)은 서로 겉도는 상태 즉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은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나 상기 일방향베어링(3b)은 그대로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주동축(S1)의 외경 상에 삽입된 또 다른 일방향베어링(3c)은 상기 주동축(S1)과 구름작용이 일어나게 되므로,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상기 주동축(S1)은 상기 일방향베어링(3c)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하게 되는바, 그와 같은 동력은 제1동력가속부(200)에 전달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러한 태엽(1)의 수동 감김 작용이 어느 정도 완료되게 되면, 사용자는 수동핸들(2)에 더 이상의 외력을 가하지 아니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태엽발전장치부(1000)는 후술하게 될 발전 작용을 개시하게 된다.
상기 발전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주동축(S1)이 태엽(1)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좌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주동축(S1)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래치부(92)에 구속되지 아니하고 그 자신만이 반시계방향(즉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좌측방향임)으로 자유 회동 된다. 이때, 상기 주동축(S1) 상에 삽입된 일방향베어링(3c)은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좌측방향 즉 전술한 상기 주동축(S1)의 회전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아니하고 그 반대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베어링(3c)은 상기 주동축(S1)의 외경을 압박하게 됨으로써, 상기 주동축(S1)과 동일한 방향과 속도로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베어링(3c)의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P1)는 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바, 주동축(S1)의 구동력은 제1동력가속부(200)에 전달되어 이(200)를 가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동축(S1)의 동력은 제1 내지 제3동력가속부(200, 300, 400)를 통해 순차적으로 가속되고, 그와 같이 가속된 회동력은 제3동력가속부(400)를 통해 차량용 제너레이터(600)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차량용 제너레이터(600)를 통해 발전 작용이 실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생산된 전기에너지는 축전지(700)에 저장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발전작용이 개시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제어행위를 실행하게 됨으로써 후술하게 될 태엽의 자동 감김 작용은 물론, 축전지의 과충전방지 등을 위한 태엽발전장치부(1000)의 작동 정지 작용을 실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제어부(4000)는 감지센서(800)의 접점신호가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를 진행하게 됨으로써 태엽(1)이 과도하게 풀려진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위 단계(S100)에 대한 판단결과가 긍정 즉 태엽(1)이 과풀림 상태인 경우는 상기 제어부(4000)는 일정시간 동안 축전지(70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태엽권취모터(900)에 공급함으로써 일정시간 동안 태엽권취모터(900)가 작동되게 하는 단계(S200)가 진행되게 하고, 위 단계(S100)에 대한 판단결과가 부정이거나 전술한 단계(S200)가 완료된 때에는 과충전감지부(200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 즉 축전지(700)의 과충전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단계(S300)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00)는 위 단계(S300)에 대한 판단결과가 긍정이면 제동기(3000)가 작동되게 함으로써 디스크브레이크로 구현되는 제동기(3000)가 주동축(S1)에 구비된 제동디스크(3100)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주동축(S1)이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도록 제어하게 되는 단계(S400)가 진행되고, 위 단계(S300)에 대한 판단결과가 부정이면 제동기(3000)의 작동 해제를 명하는 단계(S500)가 진행된 후 전술한 단계(S100)로 피드백 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태엽발전장치부(1000)를 통해 발전작용이 지속됨에 따라 태엽(1)의 탄성복원력이 소진되게 되므로, 제어부(4000)는 감지센서(800) 및 태엽권취모터(800)를 통해 태엽(1)의 자동 감김 작용이 진행되도록 제어하게 되고, 위와 같은 발전작용이 지속됨에 따라 축전지(700)가 과충전상태가 되게 된 때에는 제어부(4000)가 제동기(3000)를 작동시켜 태엽발전장치부(100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전기자동차의 발전 및 충방전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원리는 상당한 시간 동안 차량 운행에 소요되는 전력을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발휘되고, 축전지의 수명을 길게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 피로도와 마모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태엽(1)의 자동 감김 작용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전술한 발전 작용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 되게 되면, 상기 태엽(1)은 계속적인 풀림 작용으로 인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의 최외곽측면(1a)이 감지센서(800)의 접점부(810)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접점부(810)가 접점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800)의 접점부(810)가 접점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800)는 그 접점신호를 제어부(4000)에 송출하게 되는데, 이러할 경우 상기 제어부(4000)는 상기 축전지(700)에 저장된 전기를 일정시간 동안 태엽권취모터(900)에 공급하게 됨으로써 태엽권취모터(900)가 일정시간 동안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태엽권취모터(900)는 그 구동축이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우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그와 같은 구동력은 태엽권취모터(900)의 구동축 상에 장착된 풀리(P13) 및 동력전달벨트(V12)를 통해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에 구비된 풀리(P14)에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풀리(P14)와 연결된 일방향베어링(3b)에는 동력전달벨트(V12)의 궤도운동으로 인해 벨트장력이 인가되게 되고, 상기 일방향베어링(3b)이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의 외경을 압박하게 되는바,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은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은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보다 감속된 상태이나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과 동일한 방향인 우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동축(S1)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래치부(92) 및 래치요홈(83)의 상호 걸림작용으로 인해 시계방향 즉,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동축(S1)과 연결된 태엽(1)은 자동 감김 작용이 실시되고 그와 같은 자동 감김 작용이 실시되는 상기 태엽(1)은 다시금 탄성복원력을 회복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자동 감김 작용이 개시될 때에는 태엽발전장치부(1000)의 발전작용이 중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4동력가속부(500)와 연결된 일방향베어링(3a) 및 주동축(S1) 상에 삽입된 일방향베어링(3c)은 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 및 상기 주동축(S1) 상에서 겉도는 상태가 된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은 우측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실시되나 상기 일방향베어링(3a)은 그대로 멈춰진 상태이고, 상기 주동축(S1) 역시 우측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실시되나 그(S1) 외경 상에 삽입된 상기 일방향베어링(3c)은 상기 주동축(S1)과 구름작용이 실시됨으로써 주동축(S1)의 위와 같은 회전력이 제1동력가속부(200)에 전달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1 : 태엽 2 : 수동핸들
3 : 베어링 5 : 유동방지구(스냅)
7 : 래치유동공
10 : 제1구동모듈 11 : 제1구동축
12 : 태양기어
20 : 제2구동모듈 21 : 제2구동축
22 : 피니언
50 : 중공
60 : 감차수열 61 : 지지축
70 : 지지체
81 : 슬라이딩절곡부 82 : 걸림부
83 : 래치요홈
90 : 래치모듈 91 : 지지프레임
92 : 래치부 93 : 스프링
94 : 래치케이스 100 : 동력감속부
200, 300, 400, 500 :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
600 : 차량용 제너레이터 700 : 축전지
800 : 감지센서 900 : 태엽권취모터
1000 : 태엽발전장치부 2000 : 과충전감지부
3000 : 제동기 3100 : 제동디스크
4000 : 제어부 5000 : 구동모터
5100 : 구동차륜 5200 : 트랜스미션
P1 ~ P8, P11 ~ P14 : 풀리 S1 : 주동축
S2 ~ S5 : 샤프트 V1 ~ V4, V11, V12 : 동력전달벨트

Claims (13)

  1. 태엽(1)의 탄성복원력이 회전에너지로 변환되고, 상기 회전에너지의 회전수가 가속되며, 그와 같이 가속된 회전에너지가 차량용 제너레이터(600)에 인가됨으로써 차량용 제너레이터(600)를 통해 전기가 생산되게 하는 태엽발전장치부(1000);
    상기 차량용 제너레이터(600)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는 축전지(700);
    상기 축전지(700)의 과충전상태을 감지하는 과충전감지부(2000);
    상기 태엽(1)의 과풀림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800);
    상기 태엽(1)과 연동되는 주동축(S1)에 동력을 제공하는 태엽권취모터(900);
    상기 주동축(S1)을 구속하게 되는 제동기(3000);
    상기 감지센서(800)가 상기 태엽(1)의 과풀림 상태를 감지할 경우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태엽권취모터(900)에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태엽(1)의 권취작용이 완료되도록 하고, 상기 과충전감지부(2000)가 상기 축전지(700)의 과충전상태를 감지하게 된 경우는 상기한 태엽(1)의 권취작용이 개시 및 완료되도록 한 다음 상기 제동기(3000)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태엽발전장치부(1000)의 발전작용이 정지되도록 하며, 상기 과충전감지부(2000)를 통해 상기 축전지(700)가 과충전상태로부터 해제된 경우는 상기 제동기(3000)가 작동 해제되도록 컨트롤하게 되는 제어부(400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발전장치부(1000)는,
    상기 주동축(S1)과 상기 차량용 제너레이터(600)의 사이에는, 상기 주동축(S1)으로부터 동력이 입력되고, 그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가속하여 출력하게 되는 제1동력가속부(200)와;
    상기 제1동력가속부(200)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입력되고, 그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가속하여 출력하게 되는 제2동력가속부(300); 및,
    상기 제2동력가속부(300)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입력되고 그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가속하여 상기 차량용 제너레이터(600)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제너레이터(600)가 작동될 수 있게 하는 제3동력가속부(40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축(S1)과 상기 태엽권취모터(900)의 사이에는, 상기 태엽권취모터(900)로부터 동력이 입력되고, 그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주동축(S1)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주동축(S1)이 타측방향으로 역회전되게 하는 동력감속부(1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외력이 상기 주동축(S1)에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주동축(S1)과 연결되고, 상기 외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상기 외력으로 인해 상기 주동축(S1)이 타측방향으로 역회전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되는 수동핸들(2)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축(S1)과 상기 수동핸들(2)의 사이에는 상기 수동핸들(2)로부터 입력되는 외력을 가속하여 상기 주동축(S1)에 출력하게 되는 제4동력가속부(5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감속부(100)는,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에 태양기어(12)와 피니언(22)의 중심이 각각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에서 상기 태양기어(12) 및 피니언(22)의 중심을 일체로 관통하는 중공(50)을 가지는 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과;
    상기 태양기어(12) 및 피니언(22)과 동수이고, 이들(12, 22)과 치차 결합되며 그 중심이 지지축(61)에 축설되는 감차수열(60); 및,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지지축(61)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70); 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주동축(S1)이 상기 중공(5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축(S1)에는 그 외경 상에서 그 둘레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내향 절곡되는 슬라이딩절곡부(81)와 상기 슬라이딩절곡부(81)의 말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외향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걸림부(82)를 가지는 래치요홈(83)이 더 구비되고;
    상기 동력감속부(100)는,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의 외경 상에 축설됨으로써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과 동일 회동되는 지지프레임(9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91)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 래치부(92) 및 상기 래치부(92)가 하방을 향해 탄발되도록 하는 스프링(93)을 함유하는 래치케이스(94)가 구비되며, 상기 래치부(92)는 그 하단부가 철(凸)부로서 상기 래치요홈(83)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래치모듈(90)이 더 구비되며;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에는 상기 래치부(92) 및 래치요홈(83)과 상응하는 부분이 관통되는 래치유동공(7);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의 외경 상에는 상기 주동축(S1)의 일측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고 그 역회전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아니하는 일방향베어링(3b)이 삽입되고, 상기 일방향베어링(3b)의 외경 상에는 상기 일방향베어링(3b)과 동일 회동 되는 풀리(P14)가 장착되며, 상기 풀리(P14)는 동력전달벨트(V12)를 통해 상기 태엽권취모터(900)의 구동축 상에 장착된 풀리(P13)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가속부(200), 제2동력가속부(300), 제3동력가속부(400) 각각은,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에 태양기어(12)와 피니언(22)의 중심이 각각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에서 상기 태양기어(12) 및 피니언(22)의 중심을 일체로 관통하는 중공(50)을 가지는 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과; 상기 태양기어(12) 및 피니언(22)과 동수이고, 이들(12, 22)과 치차 결합되며 그 중심이 지지축(61)에 축설되는 감차수열(60); 및,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지지축(61)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70); 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샤프트(S2, S3, S4)가 상기 중공(50)을 각각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동력가속부(200)측 제2구동축(21)은 그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P2)가 동력전달벨트(V1)를 통해 상기 주동축(S1) 상에 장착된 풀리(P1)와 연결되고,
    상기 제1동력가속부(200)측 제1구동축(11)은 그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P3)가 동력전달벨트(V2)를 통해 제2동력가속부(300)의 제2구동축(21) 상에 장착된 풀리(P4)와 연결되며,
    제3동력가속부(400)측 제2구동축(21)은 그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P6)가 동력전달벨트(V3)를 통해 상기 제2동력가속부(300)측 제1구동축(11)의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P5)와 연결되고,
    상기 제3동력가속부(400)의 제1구동축(11)은 그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P7)가 동력전달벨트(V4)를 통해 상기 차량용 제너레이터(600)의 구동축 상에 장착된 풀리(P8)와 연결됨으로써 상호 연동 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축(S1)과 상기 풀리(P1)의 사이에는, 상기 주동축(S1)의 일측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고 그 역회전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아니하는 일방향베어링(3c)이 상기 주동축(S1)의 외경 상에 삽입되고, 상기 풀리(P1)는 상기 일방향베어링(3c)의 외경 상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일방향베어링(3c)과 동일 회동 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800)는 그 접점부(810)가 상기 태엽(1)을 이루는 판스프링의 최외곽측면(1a)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서 상호 대향 되게 위치되고, 상기 접점부(810)는 상기 태엽(1)이 과풀림 상태가 될 경우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접점 및 작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축(S1)에는 제동디스크(3100)가 구비되고, 상기 제동기(3000)는 상기 제동디스크(3100)를 가압하게 되는 디스크제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KR1020100005309A 2010-01-20 2010-01-20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KR100963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309A KR100963803B1 (ko) 2010-01-20 2010-01-20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CN2010800162025A CN102387934A (zh) 2010-01-20 2010-08-10 电动汽车的发电控制系统
PCT/KR2010/005217 WO2011090244A1 (ko) 2010-01-20 2010-08-10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EP10173763A EP2357105A1 (en) 2010-01-20 2010-08-23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of electric vehicle
TW099129318A TW201125762A (en) 2010-01-20 2010-08-31 Electric vehicle with electric generation control system
US13/009,391 US20110174564A1 (en) 2010-01-20 2011-01-19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309A KR100963803B1 (ko) 2010-01-20 2010-01-20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803B1 true KR100963803B1 (ko) 2010-06-17

Family

ID=4237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309A KR100963803B1 (ko) 2010-01-20 2010-01-20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74564A1 (ko)
EP (1) EP2357105A1 (ko)
KR (1) KR100963803B1 (ko)
CN (1) CN102387934A (ko)
TW (1) TW201125762A (ko)
WO (1) WO201109024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699A1 (ko) * 2011-05-28 2012-12-06 Shin Nam Soo 태엽발전 전기자동차
WO2013176407A1 (ko) * 2012-05-22 2013-11-28 현대엔지니어링(주) 발전장치
KR101912661B1 (ko) * 2017-08-14 2018-12-28 김수철 태엽을 이용한 동력저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4143B (zh) * 2016-09-14 2019-06-14 苏州洁尔蓝环境科技有限公司 车辆自动充电系统
FR3099895B1 (fr) * 2019-08-13 2022-07-22 David Ittah Moteur élastique et train roulant pour véhicule
CN110816299B (zh) * 2019-11-11 2021-05-14 张荣福 一种优化的电动车动力源及电动车动力源工作方法
CN113500933B (zh) * 2021-08-23 2023-03-10 天津起程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动汽车充电桩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9677A (ko) * 1982-01-04 1983-12-22 이병찬 태엽을 이용한 직류발전기
KR850006911A (ko) * 1984-03-28 1985-10-21 장상봉 태엽식 자동발전기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795A (en) * 1877-10-02 Improvement in spring-motors
US1297503A (en) * 1917-12-17 1919-03-18 Harley J Gunderson Spring-motor automobile.
US1381870A (en) * 1919-12-16 1921-06-14 Berte C Gray Spring-motor vehicle
US1721807A (en) * 1926-10-05 1929-07-23 John W Eisiminger Spring motor
US1776360A (en) * 1928-12-20 1930-09-23 George O Joyner Spring motor
US2113750A (en) * 1936-10-23 1938-04-12 Travis Bert Toy vehicle
US2154699A (en) * 1937-01-06 1939-04-18 James W Richardson Spring motor
US2282963A (en) * 1940-08-24 1942-05-12 Rca Corp Spring driven electric generator
US2318453A (en) * 1941-12-23 1943-05-04 Clarence J Gilbert Spring motor
US2431503A (en) * 1943-05-17 1947-11-25 Landis & Gyr Ag Spring motor mounting
US2746318A (en) * 1952-10-07 1956-05-22 Gen Precision Lab Inc Rotational storage device
US2804173A (en) * 1955-07-20 1957-08-27 Radian Corp Turning device for rotatable body
US2863281A (en) * 1956-01-31 1958-12-09 Cons Electronics Ind Resettable drive mechanism for potentiometer or the like
US3589464A (en) * 1968-12-12 1971-06-29 Atanas S Katchamakoff Spring-powered mechanisms
US3659676A (en) * 1971-01-25 1972-05-02 Fenwick L Witt Spring motor mechanism
US3861487A (en) * 1973-05-16 1975-01-21 Walter L Gill Electric power means for vehicles
US4020923A (en) * 1974-06-19 1977-05-03 Taylor Robert N Energy storage apparatus
CH591350A5 (ko) * 1975-05-30 1977-09-15 Bbc Brown Boveri & Cie
US3994368A (en) * 1975-09-02 1976-11-30 Langwell Howard C Power unit
US4360860A (en) * 1977-03-07 1982-11-23 Johnson Hugh G Self-contained hand held portable lantern-flashlight consisting of a manually operated generator and rechargeable batteries
US4218624A (en) * 1977-05-31 1980-08-19 Schiavone Edward L Electrical vehicle and method
ATE7481T1 (de) * 1979-07-06 1984-06-15 Paul Burtscher 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s langgestreckten, aufrollbaren gegenstandes.
US4371058A (en) * 1979-08-20 1983-02-01 Holley Joe W Spring motor
JPS5839326U (ja) * 1981-09-08 1983-03-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ネルギ回収装置
US4479356A (en) * 1982-02-25 1984-10-30 Elastomer Energy Recovery, Inc. Elastomeric energy recovery system
US4588040A (en) * 1983-12-22 1986-05-13 Albright Jr Harold D Hybrid power system for driving a motor vehicle
US4703188A (en) * 1987-01-05 1987-10-27 Power Group International Corp. Power source for starter motors
JP3273172B2 (ja) * 1991-06-07 2002-04-08 重美 並河 回転慣性利用電気自動車
US5655617A (en) * 1994-09-15 1997-08-12 Marshall; Herbert K. Elastomeric energy storage system
US6291900B1 (en) * 1997-09-15 2001-09-18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al energy management for manually powered devices
US6199664B1 (en) * 1998-11-16 2001-03-13 General Electric Company Spring motor for generating constant torque
US6523646B1 (en) * 1999-07-30 2003-02-25 Glenn A. Gates Spring driven apparatus
ITGE990089A1 (it) * 1999-07-30 2001-01-30 Panpop Makkun Motore a basso consumo energetico.
FR2800424A1 (fr) * 1999-10-15 2001-05-04 Jacques Khakhoulia Dispositif electromoteur a ressorts
US6796620B1 (en) * 2003-06-30 2004-09-28 Yi-Tseng Su Rail car supplementary brake and energy reclamation and power generating system
US7009350B1 (en) * 2004-02-13 2006-03-07 Great Systems, Inc. Energy collection and storage system
US20060070813A1 (en) * 2004-10-01 2006-04-06 Stavropoulos John P Spring powered engine
US20080190701A1 (en) * 2004-10-01 2008-08-14 Stavropoulos John P Spring powered engine
WO2006067476A1 (en) * 2004-12-22 2006-06-29 Connaught Motor Company Ltd Spring hybrid drive
GB2423201A (en) * 2005-02-09 2006-08-16 Wo Huen Poon Manually powered generator
US7129592B1 (en) * 2005-03-02 2006-10-31 Yetter Gary L Portable, human-powered electrical energy source
CN101199096B (zh) * 2005-06-14 2010-08-25 Lg化学株式会社 控制电池的充电/放电电压的装置和方法
JP4265629B2 (ja) * 2006-08-01 2009-05-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ハイブリッド車両
CN201042927Y (zh) * 2006-11-24 2008-04-02 丰日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
CN101622468A (zh) * 2006-11-27 2010-01-06 阿楚门尔研究与发展有限公司 弹性动力能量积蓄-调节器
DE102007016737A1 (de) * 2007-04-03 2008-10-16 Dimiter Dipl.-Ing. Arabadshiew Energiesparsystem für rollende Fahrzeuge aller Antriebsarten
JP2008312424A (ja) * 2007-06-12 2008-12-25 Tsutomu Tanaka 電気自動車
US8120190B2 (en) * 2008-09-29 2012-02-21 Ncr Corporation Shopping cart with a self-charging system
EP2401525B1 (en) * 2009-02-25 2018-12-05 Exlar Corporation Actuatio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rotary output
KR100963023B1 (ko) * 2009-11-23 2010-06-10 신남수 태엽을 동력원으로 하는 발전기
US8212442B1 (en) * 2010-01-07 2012-07-03 Wayne Paul Bishop Torque / energy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9677A (ko) * 1982-01-04 1983-12-22 이병찬 태엽을 이용한 직류발전기
KR850006911A (ko) * 1984-03-28 1985-10-21 장상봉 태엽식 자동발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699A1 (ko) * 2011-05-28 2012-12-06 Shin Nam Soo 태엽발전 전기자동차
WO2013176407A1 (ko) * 2012-05-22 2013-11-28 현대엔지니어링(주) 발전장치
KR101912661B1 (ko) * 2017-08-14 2018-12-28 김수철 태엽을 이용한 동력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0244A1 (ko) 2011-07-28
US20110174564A1 (en) 2011-07-21
TW201125762A (en) 2011-08-01
CN102387934A (zh) 2012-03-21
EP2357105A1 (en)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803B1 (ko)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KR100963023B1 (ko) 태엽을 동력원으로 하는 발전기
US4477764A (en) Energy generating and storage system for electric vehicle or the like
US9002561B2 (en) Drive control apparatus and drive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s and hybrid vehicle
EP2599707A1 (en) Electric bicycle
WO2023172386A1 (en) Flexible arm generator
US20120255798A1 (en) Power generating unit for use in an electric vehicle
JP5683716B2 (ja) 車両に用いられる機械式のエネルギアキュムレータ
JP3170663U (ja) 電気自動車用発電装置
US20130154363A1 (en) Method for internally generating electric energy in electric vehicles
CN111183297B (zh) 蓄转器
KR20140049715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발전기
KR20140078321A (ko) 압전센서를 이용한 자가 충전식 전기자전거
KR100981583B1 (ko) 선박용 하이브리드 동력발생장치
US20130093189A1 (en) Method for generating additional electric energy in electric boats
KR100963019B1 (ko)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
FR2986470A1 (fr) Vehicule dote d'un dispositif generant un courant electrique depuis les oscillations de ses elements mobiles de suspension et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nergie pour un tel vehicule
CN201619464U (zh) 应急充电式电动汽车
Lwin Design Calculation of Flywheel Free Energy Generating System with Motor-Generator
CN115253317A (zh) 行驶玩具
KR20160107135A (ko) 자전거용 스마트 발전기
CN102966494A (zh) 双圆环偏心联动的重力机械引擎发电装置
KR101136840B1 (ko) 내연기관을 이용한 냉?난방장치
CN218971353U (zh) 一种电动三轮车用皮带传动发电装置
KR20150130573A (ko) 기계식 에너지 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