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019B1 -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 - Google Patents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019B1
KR100963019B1 KR1020090113594A KR20090113594A KR100963019B1 KR 100963019 B1 KR100963019 B1 KR 100963019B1 KR 1020090113594 A KR1020090113594 A KR 1020090113594A KR 20090113594 A KR20090113594 A KR 20090113594A KR 100963019 B1 KR100963019 B1 KR 100963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ain shaft
generator
spr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남수
박용선
Original Assignee
신남수
박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남수, 박용선 filed Critical 신남수
Priority to KR1020090113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019B1/ko
Priority to PCT/KR2010/007169 priority patent/WO201106236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2K99/10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1/00Spring motors
    • F03G1/02Spring mo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spring, e.g. helical, spiral,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는, 태엽의 풀림 작용 시에는 상기 태엽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타측방향으로 역회전하게 될 때에는 상기 태엽의 감김 작용이 실시되도록 상기 태엽과 연동되는 주동축; 상기 주동축이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그와 같은 구동력으로 인해 작동됨으로써 발전 작용이 실시되는 제너레이터; 태양광이 입사되면 발전 작용이 실시되는 태양광 발전부; 상기 제너레이터 또는 태양광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가 저장되는 배터리; 그 작동이 개시될 때에는 상기 주동축이 타측방향으로 역회전되도록 상기 주동축에 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모터; 상기 태엽의 과풀림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감지할 경우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또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 생산된 전기가 일정시간 동안 상기 모터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터가 일정시간 동안 작동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되는 스위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후의 영향과 설치 여건 상의 제약을 받지 아니하고,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발전효율이 우수한 전천후 발전기로서 사용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동력변환, 샤프트(Shaft), 래치(Latch), 감차수열, 모터, 태엽, 태양광 발전부

Description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Spiral spring generator which uses solar energy}
본 발명은 태엽을 주동력수단으로 하여 발전이 실시되고, 태양광 발전부가 보조전력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태엽의 탄성복원력을 회전에너지로 변환하고, 그와 같이 변환된 회전에너지를 가속하여 제너레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발전 작용이 개시되도록 하며, 태엽의 과풀림 상태가 감지되는 때에는 태양광 발전부 또는 배터리의 전원을 일정시간 동안 모터에 제공하게 됨으로써 모터의 구동력으로 인해 태엽의 자동 감김 작용이 진행되는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력을 생산하는 방법으로는 수력발전과 화력발전 및 원자력 발전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화력발전 및 원자력 발전은 주로 화석원료 및 방사성 물질을 사용 및 양산하게 되므로 환경 친화적이지 못하였다는 문제가 있었고, 상기 수력발전은 그 투자비용 등에 비해 그 발전효율이 매우 저조하였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태양열이나 풍력, 지열 등의 자연력을 이용하는 방안이 많이 연구 개발되고 실정이나, 자연의 힘을 이용해야만 했으므로 설치여건 및 기후변화에 상응하여 적절히 대응할 수 없었으므로, 여러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그 설치 및 운용상의 제약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부를 통해 생산된 전기가 태엽을 이용한 발전 작용에 활용됨에 따라 자가 발전이 가능하게 되는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우수한 발전효율을 가지는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태양광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가 작동되도록 하고, 모터의 구동력으로 인해 태엽의 자동 감김 작용이 실시되며, 그와 같은 감김 작용이 완료된 태엽의 탄성복원력이 회전에너지로 변환되고, 그와 같이 변환된 회전에너지를 가속하여 제너레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발전 작용이 개시되게 하는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태엽의 수동 또는 자동 감김 작용이 실시될 경우 거기에 소요되는 동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는, 태엽의 풀림 작용 시에는 상기 태엽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타측방향으로 역회전하게 될 때에는 상기 태엽의 감김 작용이 실시되도록 상기 태엽과 연동되는 주동축; 상기 주동축이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그와 같은 구동력으로 인해 작동됨으로써 발전 작용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상기 주동축과 연동되는 제너레이터; 태양광이 입사되면 발전 작용이 실시되는 태양광 발전부; 상기 제너레이터 또는 태양광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가 저장되는 배터리; 그 작동이 개시될 때에는 상기 주동축이 타측방향으로 역회전되도록 상기 주동축에 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모터; 상기 태엽의 과풀림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감지할 경우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또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 생산된 전기가 일정시간 동안 상기 모터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터가 일정시간 동안 작동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되는 스위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동축과 상기 제너레이터의 사이에는, 상기 주동축으로부터 동력이 입력되고, 그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가속하여 출력하게 되는 제1동력가속부와; 상기 제1동력가속부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입력되고, 그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가속하여 출력하게 되는 제2동력가속부; 및, 상기 제2동력가속부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입력되고 그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가속하여 상기 제너레이터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너레이터가 작동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되는 제3동력가속부;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주동축과 상기 모터의 사이에는,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이 입력되고, 그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주동축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주동축이 타측방향으로 역회전되게 하는 동력감속부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력감속부를 통해 작은 힘으로써 태엽의 감김 작용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저출력의 소형 모터가 채택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는, 외력이 상기 주동축에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주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외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상기 외력으로 인해 상기 주동축이 타측방향으로 역회전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되는 수동핸들이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주동축과 상기 수동핸들의 사이에는 상기 수동핸들로부터 입력되는 외력을 가속하여 상기 주동축에 출력하게 되는 제4동력가속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감속부, 제1동력가속부, 제2동력가속부, 제3동력가속부, 제4동력가속부 중 어느 하나는, 제1 및 제2구동축의 각 말단에 태양기어와 피니언의 중심이 각각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의 각 말단에서 상기 태양기어 및 피니언의 중심을 일체로 관통하는 중공을 가지는 제1 및 제2구동모듈과; 상기 태양기어 및 피니언과 동수이고, 이들과 치차 결합되며 그 중심이 지지축에 축설되는 감차수열; 및,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지지축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체; 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상기 주동축 또는 샤프트가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구동축은 주동축 또는 샤프트에 대해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는 구조이고, 주동축 또는 샤프트가 일정한 방향으로 구동될 시에도 제1 및 제2구동축은 다른 배속으로 회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이 주동축 또는 샤프트의 구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도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주동축에는 그 외경 상에서 그 둘레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내향 절곡되는 슬라이딩절곡부와 상기 슬라이딩절곡부의 말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외향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걸림부를 가지는 래치요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동력감속부는, 동력감속부측 제2구동축의 외경 상에 축설됨으로써 상기 동력감속부측 제2구동축과 동일 회동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 래치부 및 상기 래치부가 하방을 향해 탄발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함유하는 래치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래치부는 그 하단부가 철(凸)부로서 상기 래치요홈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역방향래치모듈이 더 구비되며; 상기 동력감속부측 제2구동축에는 상기 래치부 및 래치요홈과 상응하는 부분이 관통되는 래치유동공;이 더 포함됨으로서, 상기 동력감속부측 제2구동축이 상기 주동축의 역회전방향으로 회동될 때에는 상기 역방향래치모듈의 래치부가 상기 래치요홈의 걸림부에 걸려짐으로써, 상기 주동축 및 상기 동력감속부측 제2구동축 및 상기 역방향래치모듈이 함께 타측방향으로 역회전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주동축에는 그 외경 상에서 그 둘레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내향 절곡되는 슬라이딩절곡부와 상기 슬라이딩절곡부의 말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외향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걸림부를 가지는 래치요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동력가속부는, 제1동력가속부측 제1구동축의 외경 상에 축설됨으로써 상기 제1동력가속부측 제1구동축과 동일 회동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 래치부 및 상기 래치부가 하방을 향해 탄발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함유하는 래치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래치부는 그 하단부가 철(凸)부로서 상기 래치요홈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순방향래치모듈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동력가속부측 제1구동축에는 상기 래치부 및 래치요홈과 상응하는 부분이 관통되는 래치유동공; 이 더 포함됨으로서, 상기 제1동력가속부측 제2구동축이 상기 주동축의 일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될 때에는 상기 순방향래치모듈의 래치부가 상기 래치요홈의 걸림부에 걸려 짐으로써, 상기 주동축 및 상기 제1동력가속부측 제2구동축 및 상기 순방향래치모듈이 함께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감속부측 제1구동축의 외경 상에는 상기 주동축의 역회전방향으로만 회동되지 아니하는 일방향베어링이 삽입되고, 상기 일방향베어링의 외경 상에는 상기 일방향베어링과 동일 회동 되는 풀리가 장착되며, 상기 풀리는 동력전달벨트를 통해 상기 제4동력가속부측 제1구동축 상에 장착된 풀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4동력가속부측 제2구동축 상에는 상기 수동핸들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감속부측 제1구동축의 외경 상에는 상기 주동축의 역회전방향으로만 회동되지 아니하는 일방향베어링이 삽입되고, 상기 일방향베어링의 외경 상에는 상기 일방향베어링과 동일 회동 되는 풀리가 장착되며, 상기 풀리는 동력전달벨트를 통해 상기 모터의 구동축 상에 장착된 풀리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주동축은 상기 동력감속부와 제1동력가속부 및 제3동력가속부에 각 형성된 중공을 일체로 관통하여 체결되고, 샤프트가 상기 제2동력가속부 의 중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며, 상기 제1동력가속부측 제2구동축은 그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가 동력전달벨트를 통해 상기 제2동력가속부측 제2구동축 상에 장착된 풀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2동력가속부측 제1구동축은 그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가 동력전달벨트를 통해 제3동력가속부측 제2구동축 상에 장착된 풀리와 연결되며, 제3동력가속부측 제1구동축은 그 외경 상에 장착된 풀리가 동력전달벨트를 통해 상기 제너레이터와 연결됨으로써 상호 연동 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는 그 접점부가 상기 태엽을 이루는 판스프링의 최외곽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서 상호 대향 되게 위치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태엽이 과풀림 상태가 될 경우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접점 및 작동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그 설치 및 운용상의 제약이 적으며, 우수한 발전효율을 가지게 된다는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모터가 작동되고, 모터의 구동력으로 인해 태엽의 자동 감김 작용이 실시되며, 그와 같은 감김 작용이 완료된 태엽의 탄성복원력이 회전에너지로 변환되고, 그러한 회전에너지를 가속하여 제너레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발전 작용이 개시될 수 있으므로, 자가 발전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태엽의 수동 또는 자동 감김 작용이 실시될 경우 거기에 소요되는 동력이 최소화 될 수 있게 되는 등의 여러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정한 장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구체화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다음에서 설명되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이하에서는 이를 약칭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라고 함)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는, 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로서, 주동축(S1) 및 2개의 샤프트(S2, S3) 상에 각 축설되며 이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동력감속부(100) 및 복수의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와, 상기 주동축(S1)과 연결되는 태엽(1)과, 상기 제4동력가속부(500)에 장착되는 수동핸들(2)과, 상기 동력감속부(100)와 연결되는 모터(900)와, 상기 제3동력가속부(400)와 연동되는 제너레이터(600)와, 태양광이 입사될 경우 발전 작용이 실시되는 태양광 발전부(1000)와, 그 입력단이 상기 제너레이터(600) 및 태양광 발전부(1000)의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700)와, 상기 배터리(700)의 출력단과 모터(900)의 사이에서 그 접점이 온/오프(ON/OFF)됨으로써 상기 모터(900) 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스위치(800)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8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접점부(810)가 상기 태엽(1)을 이루는 판스프링의 최외곽측면(1a)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서 그 최외곽측면(1a)과 상호 대향 되게 위치되고, 상기 접점부(810)는 상기 태엽(1)이 과풀림 상태가 될 경우 상기 최외곽측면(1a)으로 인해 가압됨으로써 접점 되며, 그와 같이 접점된 상기 스위치(800)는 배터리(700)에 저장된 전기를 일정시간 동안 상기 모터(900)에 공급하게 됨으로써 상기 모터(900)가 일정시간 동안 작동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감속부(100)와 제1동력가속부(200) 및 제3동력가속부(400)는 주동축(S1)의 외경 상에 순차적으로 고정 및 지지되고, 상기 제2동력가속부(300)는 별도의 샤프트(S2)를 통해 고정 및 지지되며, 상기 제4동력가속부(400)는 또 다른 샤프트(S3)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의 핵심적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동력감속부(1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요부 I" 동력감속부(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된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역방향래치모듈(90a)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 5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동력감속부(100)는 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 감차수열(60) 및 지지체(70)를 그 필수적 구성요소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은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에 태양기어(12)와 피니언(22)의 중심이 각각 일체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에서 상기 태양기어(12) 및 피니언(22)의 중심을 일체로 관통하는 중공(50)이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감차수열(60)은 상기 태양기어(12) 및 피니언(22)과 동수이고, 이들(12, 22)과 치차 결합 되며, 그 중심이 지지축(61)에 축설되는 수 개의 기어들(62, 63)로 구성된다(도 2 및 도 4 참조). 상기 기어들(62, 63) 중 큰 피치를 가지는 기어(63)는 상기 제2구동축(21)과 일체로 구성되는 피니언(22)과 치차 결함됨으로써 제1구동모듈(10)과 연동 되고, 보다 작은 피치를 가지는 기어(62)는 상기 제1구동축(11)과 일체로 구성되는 태양기어(12)와 치차 결합 된다(도 6 참조). 이와 같은 감차수열(60)은 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이 상호 연동 되도록 기능 하게 되는데, 동력이 상기 제1구동축(11)에 작용하게 될 경우 제2구동축(21)은 그 회전수가 제1구동축(11)에 비해 감소된 상태로서 회동하게 되는 감속상태가 되고, 동력이 상기 제2구동축(21)에 작용하게 될 경우 제1구동축(11)은 그 회전수가 제2구동축(21)에 비해 증가된 상태로서 회동하게 되는 가속상태가 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는 전술한 동력감속부(100)의 앞서 본 필수적 구성요소를 그대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다만, 동력감속부(100)는 동력이 제1구동축(11)에 인가되어 제2구동축(21)을 통해 감속된 회동력이 출력되나,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는 동력이 제2구동축(21)에 인가되어 제1구동축(11)을 통해 가속된 회동력이 출력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다시 말해, 이상에서 살펴본 필수적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동력감속부(100) 및 상기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는 동력이 어디에서 입력되어 출력되느냐에 따라 동력을 감속하여 출력하게 되는 동력감속부(100) 또는 동력을 가속하여 출력하게 되는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로 활용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70)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지지축(61)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도 3 및 도 4 참조).
한편, 앞서 본 필수적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동력감속부(100)에는 이(100)를 구성하는 제2구동축(21)의 외경 상에 역방향래치모듈(90a)이 더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주동축(S1)에는 그 외경 상에서 그 둘레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내향 절곡되는 슬라이딩절곡부(81)와 상기 슬라이딩절곡부(81)의 말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외향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걸림부(82)를 가지는 래치요홈(83)이 더 구비된다(도 2 참조).
상기 역방향래치모듈(90a)은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의 외경 상에 축설되고 상기 제2구동축(21)과 동일 회동 되는 지지프레임(91)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91)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 래치부(92) 및 상기 래치부(92)가 하방을 향해 탄발되도록 작용하는 스프링(93)을 함유하는 래치케이스(94)가 구비되는 바, 상기 래치부(92)는 그 하단부가 철(凸)부로서 상기 래치요홈(83)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도 2 참조).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래치부(92)는 그 저면이 전술한 슬라이딩절곡부(81)와 같거나 유사한 경사도를 가지는 경사부(92a) 및 그(92a) 끝 말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진행되는 절개면(92b)를 가지며, 상기 절개면(92b) 및 경사부(92a)의 상단에는 걸림턱(92c)이 형성되고, 걸림턱(92c)의 상단면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지주봉(92d)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93)은 상기 래치케이스(94)의 내측 상면과 상기 래치부(92)의 걸림턱(92c) 상에 개재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93)은 상기 래치부(92)가 상기 래치요홈(83)을 향해 일정한 세기의 탄성작용이 실시되도록 기능하게 된다(도 5, 도 7, 도 8 참조).
또한,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에는 상기 래치부(92) 및 래치요홈(83)과 상응하는 부분을 관통하는 래치유동공(7)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래치부(92)가 상기 래치유동공(7)을 통해 상기 래치요홈(83)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도 3 및 도 5 참조).
그러므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동축(S1)이 태엽(1)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반시계방향(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는 좌측방향임)으로 회전하게 경우 래치부(92)는 그 저면에 형성된 경사부(92a)가 상기 주동축(S1) 상에 형성된 래치요홈(83)의 슬라이딩절곡부(81)를 따라 슬라이딩 되게 되므로 상기 주동축(S1)은 그 자신만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후술하게 될 발전 작용이 개시되게 된다.
반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모터(900) 또는 후술하게 될 수동핸들(2)을 통해 동력이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21)에 인가될 경우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은 시계방향(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는 우측방향임)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래치부(92)의 하단에 구성된 절개면(92b)이 주동축(S1) 상에 형성된 래치요홈(83)의 걸림부(82)에 걸려 지게 되므로, 상기 주동축(S1)은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동일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주동축(S1)과 연결된 태엽(1)은 이(1)를 구성하는 판스프링(도면부호 미도시)이 상기 주동축(S1)의 시계방향 회전작용에 의해 감겨 지게 됨으로써 탄성복원력이 강화되게 된다.
한편,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의 외경 상에는 전술한 모터(900)의 구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만 회동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아니하는 2개의 일방향베어링(3a, 3b)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각 삽입된다. 이때, 상기 일방향 베어링(3a, 3b)의 외경 상에는 이들(3a, 3b)과 각 동일 회동되는 2개의 풀리(P12, P14)가 각 장착된다.
상기 풀리(P14)는 동력전달벨트(V12)를 통해 모터(900)의 구동축 상에 장착되는 풀리(P13)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풀리(P12)는 동력전달벨트(V11)를 통해 후술하게 될 제4동력가속부(500)측 제1구동축(11)과 연결된다.
또한, 주동축(S1)의 외경 상에는 후술하게 될 제1동력가속부(200) 및 제3동력가속부(400)가 축설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도 1의 제1동력가속부(200)를 나타낸 F-F'선 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순방향래치모듈(90a)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 9의 E-E'선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의 제4동력가속부(500)를 나타낸 H-H'선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의 제1동력가속부(200)를 나타낸 F-F'선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의 제2동력가속부(300)를 나타낸 G-G'선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의 제3동력가속부(400)를 나타낸 F-F'선 단면도이다.
그 자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술한 동력감속부(100)의 필수적 구성요소{제1 및 제2구동모듈(10, 20), 감차수열(60), 지지체(70)의 구성요소}를 그대로 가지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9를 살펴보면, 제1동력가속부(200)측 제1구동축(11)의 외경 상에는 풀리(P1)가 장착되고, 상기 풀리(P1)는 동력전달벨트(V1)를 통해 후술하게 될 제2동력가속부(300)측 제2구동축(21) 상에 장착된 풀리(P2)와 연결되게 된다. 또한, 제1동력가속부(200)측 제2구동축(21)의 외경 상에는 전술한 역방향래치모듈(90a)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도 7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래치부(92)가 상기 역방향래치모듈(90a)의 래치부(92)와 대칭형상으로서 배치되어 결합되는 순방향래치모듈(90b)이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동축(S1)에는 상기 순방향래치모 듈(90b)의 래치부(92)와 상응하는 부분에는 그 외경 상에서 그 둘레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내향 절곡되는 슬라이딩절곡부(81)와 상기 슬라이딩절곡부(81)의 말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외향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걸림부(82)를 가지는 래치요홈(83)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래치요홈(83)은 상기 순방향래치모듈(90b)의 래치부(92)와 상호 걸림작용 또는 슬라이딩 작용이 실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7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동축(S1)에는 2개의 래치요홈(83)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서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동력가속부(200)측 제2구동축(21)에는 상기 래치부(92) 및 래치요홈(83)과 상응하는 부분을 관통하는 래치유동공(7)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순방향래치모듈(90b)의 래치부(92)가 상기 래치유동공(7)을 통해 이와 상응하는 상기 래치요홈(83)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샤프트(S2)가 제1동력가속부(200)에 구성된 중공(50)을 관통하여 체결되므로 제1동력가속부(200)는 상기 샤프트(S2)에 의해 체결 및 지지 되게 된다. 상기 중공(50)의 내부에는 베어링(3)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1동력가속부(200)의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상기 주동축(S1)에 대해 자유로이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도 12를 살펴보면, 제4동력가속부(500)는 이를 구성하는 제1구동축(21)의 외경 상에 축설되는 풀리(P11)와, 제2구동축(21)의 외경 상에 장착되는 수동핸들(2)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샤프트(S3)가 제4동력가속부(500)에 구성된 중공(50)을 관통함으로써 체결되므로 제4동력가속부(500)는 상기 샤프 트(S3)에 의해 지지 되게 된다. 상기 중공(50)의 내부에는 베어링(3)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4동력가속부(500)의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상기 샤프트(S3)에 대해 자유로이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풀리(P11)는 동력전달벨트(V12)를 통해 전술한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 상에 설치된 풀리(P12)와 연결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13을 살펴보면, 제2동력가속부(300)는 이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외경 상에 반경을 달리하는 풀리(P2, P3)가 각 장착되는데, 이들(P2, P3) 중 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풀리(P2)는 제2동력가속부(300)측 제2구동축(21) 상에 축설되고, 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풀리(P3)는 제2동력가속부(300)측 제1구동축(11) 상에 장착된다. 상기 작은 반경을 가지는 풀리(P2)는 동력전달벨트(V2)를 통해 앞서 본 제1동력가속부(200)측 풀리(P1)와 연결되고, 상기 큰 반경을 가지는 풀리(P3)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3동력가속부(40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샤프트(S2)가 제2동력가속부(300)에 구성된 중공(50)을 관통함으로써 체결되므로 제2동력가속부(300)는 상기 샤프트(S3)에 의해 지지 되게 된다. 상기 중공(50)의 내부에는 베어링(3)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2동력가속부(300)의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상기 샤프트(S2)에 대해 자유로이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14를 살펴보면, 제3동력가속부(400)는 이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외경 상에 반경을 달리하는 풀리(P4, P5)가 각 장착되는데, 이들(P4, P5) 중 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풀리(P4)는 제3동력가속부(400)측 제2구동축(21) 상에 축설되고, 보다 큰 반경을 가지는 풀리(P5)는 제3동력가속부(400)측 제1구동축(11) 상에 장착된다. 상기 작은 반경을 가지는 풀리(P4)는 동력전달벨트(V3)를 통해 앞서 본 제2동력가속부(300)측 풀리(P3)와 연결되고, 상기 큰 반경을 가지는 풀리(P5)는 동력전달벨트(V4)를 통해 제너레이터(600)의 구동축 상에 장착된 풀리(P6)와 연결된다. 물론, 상기 제너레이터(600)측 풀리(P6)는 그 반경이 제3동력가속부(400)측 풀리(P6)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동축(S1)이 제3동력가속부(400)에 구성된 중공(50)을 관통함으로써 체결되므로 제3동력가속부(400)는 상기 주동축(S1)에 의해 지지 되게 된다. 상기 중공(50)의 내부에는 베어링(3)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3동력가속부(400)의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이 상기 주동축(S1)에 대해 자유로이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사용자가 수동핸들(2)을 우측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그 구동력은 제4동력가속부(500)를 통해 가속되고 그와 같이 가속된 동력이 풀리(P11) 및 동력전달벨트(V11)를 통해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에 구비된 풀리(P12)에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풀리(P12)와 연결된 일방향베어링(3a)에는 동력전달벨트(V11)의 궤도운동으로 인하여 벨트장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일방향베어링(3a)이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의 외경을 압박하게 되는바,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은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우 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은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보다 감속된 상태이나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과 동일한 방향인 우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동축(S1)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역방향래치모듈(90a)의 래치부(92) 및 래치요홈(83)의 상호 걸림작용으로 인해 시계방향 즉,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동축(S1)과 연결된 태엽(1)은 수동 감김 작용이 실시되고 그와 같은 감김 작용으로 인해 상기 태엽(1)은 탄성복원력이 강화되게 된다.
이때, 상기 주동축(S1)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동력가속부(200)측 순방향래치모듈(90b)의 래치부(92) 및 이와 상응하는 상기 주동축(S1) 상에 구성된 래치요홈(83)이 상호 슬라이딩 되게 되므로, 상기 주동축(S1)은 상기 제1동력가속부(200)측 제1 및 제2구동축(11, 21)에 대하여 자유로이 회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주동축(S1)의 구동력은 제1동력가속부(200)에 전가되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900)와 연결된 또 다른 일방향베어링(3b)은 모터(900)가 구동되지 아니한 상태이므로 벨트장력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되는바, 상기 모터(900)와 연결된 일방향베어링(3b)은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의 외경을 압박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들(3b, 11)은 서로 겉도는 상태 즉,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은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나 상기 일방향베어링(3b)은 그대로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태엽의 수동 감김 작용에 있어, 투입되는 동력이 모터(900) 및 이(900)와 연결된 구성요소들은 물론, 제1동력가속부(200)에 전가되지 아니하게 되므로 보다 작은 외력으로도 전술한 태엽의 감김 작용이 무리 없이 진행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이러한 태엽(1)의 수동 감김 작용이 어느 정도 완료되게 되면, 사용자는 수동핸들(2)에 더 이상의 외력을 가하지 아니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는 후술하게 될 발전 작용을 개시하게 된다.
상기 발전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주동축(S1)이 태엽(1)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좌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주동축(S1)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래치부(92)에 구속되지 아니하고 그 자신만이 반시계방향(즉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좌측방향임)으로 자유 회동 된다.
반면, 상기 주동축(S1)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방향래치모듈(90b)의 래치부(92)가 이와 상응하는 상기 주동축(S1)의 래치요홈(83)에 구속되게 되므로, 상기 주동축(S1)은 순방향래치모듈(90b)과 반시계방향(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는 좌측방향임)으로 동일 회동된다.
그러므로 상기 주동축(S1)의 동력은 제1 내지 제3동력가속부(200, 300, 400)를 통해 순차적으로 가속되고, 그와 같이 가속된 회동력은 제3동력가속부(400)를 통해 제너레이터(600)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제너레이터(600)를 통해 발전 작용이 개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생된 전력은 그 일부가 사용용도로서 외부로 출력되게 되고 나머지 일부는 배터리(700)에 저장되게 된다.
위와 같은 태엽(1)을 이용한 발전 작용과 더불어 태양광 발전부(1000)를 통해 전력이 생산되게 되는바, 상기 태양광 발전부(1000)를 통해 생산된 전력 역시 상기 배터리(700)에 저장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발전 작용이 일정시간 동안 지속 되게 되면, 상기 태엽(1)의 탄성복원력은 점차 소진되게 되고, 그와 같이 탄성복원력이 약화된 태엽(1)은 스위치(800)를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아래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은 태엽(1)의 자동 감김 작용이 실시되게 된다.
상기 태엽(1)의 자동 감김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전술한 발전 작용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 되게 되면, 상기 태엽(1)은 풀림 작용으로 인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의 최외곽측면(1a)이 스위치(800)의 접점부(810)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상기 접점부(810)가 접점되게 된다. 상기 스위치(800)의 접점부(810)가 접점 되면 상기 스위치(800)는 상기 배터리(700)에 저장된 전기를 일정시간 동안 모터(900)에 공급하게 됨으로써 모터(900)가 일정시간 동안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900)는 그 구동축이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우측방향으로 회동 되므로, 그와 같은 구동력은 모터(900)의 구동축 상에 장착된 풀리(P13) 및 동력전달벨트(V12)를 통해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에 구비된 풀리(P14)에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풀리(P14)와 연결된 일방향베어링(3b)에는 동력전달벨트(V12)의 궤도운동으로 인해 벨트장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일방향베어링(3b)이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의 외경을 압박하게 되는바,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은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2구동축(21)은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보다 감속된 상태이나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 축(11)과 동일한 방향인 우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동축(S1)은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전술한 도 8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역방향래치모듈(90a)과는 동일 회동되고 순방향래치모듈(90b)에 대하여는 자유 회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동축(S1)과 연결된 태엽(1)은 자동 감김 작용이 실시되고 그와 같은 자동 감김 작용이 실시되는 상기 태엽(1)은 다시금 탄성복원력을 회복하게 된다.
여기서, 제4동력가속부(500)와 연결된 일방향베어링(3a)은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 상에서 겉도는 상태가 된다. 즉,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상기 동력감속부(100)측 제1구동축(11)은 우측방향으로 회전운동이 실시되나 상기 일방향베어링(3a)은 그대로 멈춰진 상태이므로 주동축(S1)의 위와 같은 구동력은 제4동력가속부(500) 및 그와 연결된 구성요소에 전가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러한 태엽(1)의 자동 감김 작용이 일정시간 동안 진행되면, 상기 스위치(800)는 상기 모터(900)에 제공되는 전기를 차단하게 되므로, 상기 모터(900)는 그 작동이 정지되는바, 전술한 태엽(1)의 자동 감김 작용이 중지 내지 완료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는 외력이 수동핸들(2)을 통해 입력됨으로써 태엽의 수동 감김 작용이 실시되면, 태엽의 풀림작용으로 인해 발전 작용이 실시되고, 그 발전 시에 생산된 전기가 배터리에 저장되며, 태엽이 과풀림 상태가 될 경우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태엽의 자동 감김 작용이 실시되고, 상 기 태양광 발전부(1000)는 상기 모터(900)가 구동되기에 충분한 전력을 생산하여 배터리(700)를 통해 상기 모터(900)에 제공하게 되므로, 그 발전 작용이 개시된 이후에는 별도의 외력이 수동핸들(2)을 통해 투입되지 아니하여도 자가 발전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감속부(100) 및 복수의 동력가속부(200, 300, 400, 500)에는 그 각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말단과 상응하는 주동축(S1) 또는 샤프트(S2, S3)의 외경 상에는 유동방지구(5)가 각 체결됨으로써 이들(100, 200, 300, 400, 500)이 주동축(S1) 또는 샤프트(S2, S3) 상에서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고(도 5, 도 6, 도 9, 도 12 내지 도 14 참조), 상기 주동축(S1) 또는 상기 샤프트(S2, S3)의 외경과 상기 제1 및 제2구동축(11, 21)의 각 내경 사이에는 베어링(3)이 개재됨으로써 그 상호 간의 구름작용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 I" 동력감속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된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역방향래치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 5의 D-D'선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제1동력가속부를 나타낸 F-F'선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순방향래치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 9의 E-E'선 단면도.
도 12는 도 1의 제4동력가속부를 나타낸 H-H'선 단면도.
도 13은 도 1의 제1동력가속부를 나타낸 F-F'선 단면도.
도 13은 도 1의 제2동력가속부를 나타낸 G-G'선 단면도.
도 14는 도 1의 제3동력가속부를 나타낸 F-F'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 : 태엽 2 : 수동핸들
3 : 베어링 5 : 유동방지구(스냅)
7 : 래치유동공
10 : 제1구동모듈 11 : 제1구동축
12 : 태양기어
20 : 제2구동모듈 21 : 제2구동축
22 : 피니언
50 : 중공
60 : 감차수열 61 : 지지축
70 : 지지체
81 : 슬라이딩절곡부 82 : 걸림부
83 : 래치요홈
90a : 역방향래치모듈 90b : 순방향래치모듈
91 : 지지프레임 92 : 래치부
93 : 스프링 94 : 래치케이스
100 : 동력감속부
200, 300, 400, 500 : 제1 내지 제4동력가속부
600 : 제너레이터 700 : 배터리
800 : 스위치 900 : 모터
1000 : 태양광 발전부
P1 ~ P6, P11 ~ P14 : 풀리 S1 : 주동축
S2, S3 : 샤프트 V1 ~ V3, V11, V12 : 동력전달벨트

Claims (12)

  1. 태엽(1)의 풀림 작용 시에는 상기 태엽(1)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해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타측방향으로 역회전하게 될 때에는 상기 태엽(1)의 감김 작용이 실시되도록 상기 태엽(1)과 연동되는 주동축(S1);
    상기 주동축(S1)이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에는 상기 주동축(S1)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발전 작용이 실시되는 제너레이터(600);
    태양광이 입사되면 발전 작용이 실시되는 태양광 발전부(1000);
    상기 제너레이터(600) 또는 태양광발전부(1000)에서 생산된 전기가 저장되는 배터리(700);
    스위치(800)에 의해 작동이 개시될 때에는 상기 주동축(S1)이 타측방향으로 역회전되도록 상기 주동축(S1)에 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모터(900);
    상기 태엽(1)의 계속적인 풀림 작용으로 인해 상기 태엽(1)이 상기 주동축(S1)을 구동시키지 못할 정도로 그 탄성복원력이 소진 되어진 상태인 태엽(1)의 과풀림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감지할 경우 상기 태엽(1)의 감김 작용이 상기 모터(900)에 의해 완료될 수 있을 정도의 일정시간 동안 상기 배터리(700)에 저장된 전기 또는 상기 태양광 발전부(1000)로부터 생산된 전기가 상기 모터(900)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터(900)가 상기한 일정시간 동안 작동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되는 스위치(800);
    상기 주동축(S1)과 상기 제너레이터(600)의 사이에는, 상기 주동축(S1)으로부터 동력이 입력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가속하여 출력하게 되는 제1동력가속부(200)와;
    상기 제1동력가속부(200)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입력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가속하여 출력하게 되는 제2동력가속부(300); 및,
    상기 제2동력가속부(300)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입력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가속하여 상기 제너레이터(600)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제너레이터(600)가 작동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되는 제3동력가속부(40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축(S1)과 상기 모터(900)의 사이에는, 상기 모터(900)로부터 동력이 입력되고, 그와 같이 입력된 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주동축(S1)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주동축(S1)이 타측방향으로 역회전되게 하는 동력감속부(1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외력이 상기 주동축(S1)에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주동축(S1)과 연결되고, 상기 외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상기 외력으로 인해 상기 주동축(S1)이 타측방향으로 역회전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되는 수동핸들(2)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축(S1)과 상기 수동핸들(2)의 사이에는 상기 수동핸들(2)로부터 입력되는 외력을 가속하여 상기 주동축(S1)에 출력하게 되는 제4동력가속부(5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800)는 접점부(810)가 상기 태엽(1)을 이루는 판스프링의 최외곽측면(1a)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서 상호 대향 되게 위치되고, 상기 접점부(810)는 상기 태엽(1)이 상기한 과풀림 상태가 될 경우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접점 및 작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
KR1020090113594A 2009-11-23 2009-11-23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 KR100963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594A KR100963019B1 (ko) 2009-11-23 2009-11-23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
PCT/KR2010/007169 WO2011062369A2 (ko) 2009-11-23 2010-10-20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594A KR100963019B1 (ko) 2009-11-23 2009-11-23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019B1 true KR100963019B1 (ko) 2010-06-10

Family

ID=42369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594A KR100963019B1 (ko) 2009-11-23 2009-11-23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0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698A1 (ko) * 2011-05-28 2012-12-06 Shin Nam Soo 태엽발전 전기레인지
WO2016056840A1 (ko) * 2014-10-09 2016-04-14 신남수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한 축설형 동력전달 및 변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698A1 (ko) * 2011-05-28 2012-12-06 Shin Nam Soo 태엽발전 전기레인지
WO2016056840A1 (ko) * 2014-10-09 2016-04-14 신남수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한 축설형 동력전달 및 변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023B1 (ko) 태엽을 동력원으로 하는 발전기
US7083378B2 (en) Wind generator
JP2007528463A (ja) 波力発電システム
CN111183297B (zh) 蓄转器
KR101596430B1 (ko) 자가 발전장치
KR100963803B1 (ko) 전기자동차의 발전제어시스템
KR20110116574A (ko) 풍력발전기 타워 회전용 싸이클로이드 감속기
KR100963019B1 (ko) 태양광 이용 태엽 발전기
CN106121917A (zh) 用于海上多能发电装置的机械能聚能机构
US20170328347A1 (en) Apparatus for amplifying rotating force of wind power generator
CN106523265B (zh) 水平轴式风力机、风力机组及曳引传递系统
CN203779520U (zh) 工业机器人关节减速器
CN202707354U (zh) 摆式波浪能发电装置
US20080295626A1 (en) Unidirectional Gear Drive
KR100981583B1 (ko) 선박용 하이브리드 동력발생장치
KR101336428B1 (ko) 지렛대 원리와 되감기 현상을 이용한 승강 페달이 구비된 자가 발전장치
KR20000018280A (ko) 풍력에너지의 태엽 스프링의 저장 장치에 의한 발전시스템.
KR20110085534A (ko) 동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엽발전기
KR101136840B1 (ko) 내연기관을 이용한 냉?난방장치
CN113417820B (zh) 一种动能转化电能的装置
CN202100382U (zh) 风力发电机组
CN102966494A (zh) 双圆环偏心联动的重力机械引擎发电装置
KR200170403Y1 (ko) 전기에너지의 태엽(판)스프링 저장 장치에 의한 발전 시스템.
CN214788887U (zh) 一种杠杆和重力轮相结合的发电装置
CN216290780U (zh) 双向驱动跟踪传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