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733B1 - 필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필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733B1
KR100962733B1 KR1020080034139A KR20080034139A KR100962733B1 KR 100962733 B1 KR100962733 B1 KR 100962733B1 KR 1020080034139 A KR1020080034139 A KR 1020080034139A KR 20080034139 A KR20080034139 A KR 20080034139A KR 100962733 B1 KR100962733 B1 KR 10096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ilm unit
layer
base film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8831A (ko
Inventor
권도혁
이성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733B1/ko
Priority to JP2008192179A priority patent/JP4921434B2/ja
Priority to US12/322,998 priority patent/US8227986B2/en
Priority to CNA2009101327147A priority patent/CN101562112A/zh
Priority to EP20090251089 priority patent/EP2110842B1/en
Priority to AT09251089T priority patent/ATE521081T1/de
Publication of KR20090108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1/10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8Sealing, e.g. seals specially adapted for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3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2Light reflecting means; Anti-refl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6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Antista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8Passive shielding means of vess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76Voids specified as clos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보호할 수 있는 필름 유닛 및 이 필름 유닛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필터 유닛은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구비하며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필름, 및 개구부의 밀폐된 공간에 위치하는 공기층에 의해 자체 탄성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개구부의 상단부를 막는 커버층을 포함한다.
필름 필터,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 충격, 흡수, 분산, 공기층

Description

필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Film unit and plasma display panel with the film unit}
본 발명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보호할 수 있는 필름 유닛 및 이 필름 유닛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표하는 CRT에 비해 대형화 및 박형화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 중의 하나로 지속적으로 연구개발되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에 의해 구동하므로 강한 전자파를 방출하며, 이러한 전자파는 인체나 다른 전자기기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기존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방출하는 전자파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추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대부분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전자파와 근적외선을 차단하면서 동시에 외부광의 반사율을 낮추어 명실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면 필터를 채용하고 있다.
전면 필터는 글래스(glass)를 이용하는 글래스 필터와 글래스를 이용하지 않 는 필름 필터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필름 필터는 글래스 필터와 대비할 때 경량화 및 박형화, 이중영상 개선 등의 장점을 가지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필름 필터는 글래스 필터에 비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차단 또는 완화시키는 능력이 낮다. 따라서, 기존이 필름 필터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기능 손상이나 외형상 변형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직접 부착되는 필름 유닛으로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분산하여 장치의 기능을 보호하고 외형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필름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구비하며 상기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개구부의 밀폐된 공간에 위치하는 공기층에 의해 자체 탄성이 형성되도록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상단부를 막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 필름은 복수의 리브로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며, 복수의 리브의 전체적인 구조는 격자 구조 또는 개방형 격자 구조를 가진다.
상기 리브의 높이는 50㎛ 내지 200㎛이며, 상기 리브의 폭은 5㎛ 내지 50㎛이다.
상기 필름 유닛은 베이스 필름에 커버층을 고정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은 색 보정, 근적외선 차단 및 네온광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한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층은 반사방지층일 수 있다. 이 경우, 필름 유닛은 반사방지층에 포함되거나 또는 반사방지층의 일면에 배치되는 하드코팅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유닛은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는 도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 유닛은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는 색보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 유닛은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는 투명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블랙 계열의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술한 일 측면에 따른 필름 유닛이 일면에 배치된 패널 본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필름 유닛은 충격 흡수 능력이 우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 유닛은 기존의 필름 필터의 일면에 직접 부착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아울러, 방전 셀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개구부와 흑색 계열의 색상을 갖는 리브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명실 명암비를 향상시킨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필름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필름 유닛은 베이스 필름(10), 및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되는 커버층(20)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10)은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구비하며,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다. 개구부는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리세스(recess) 또는 트렌치(trench)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층(20)은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되며, 베이스 필름(10)의 복수의 개구부의 상단부를 막는다. 이 경우, 복수의 개구부는 내부에 공기층을 구비하기 때문에 필름 유닛에 자체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필름 유닛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최상층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따라서 전술한 커버층(20)은 반사방지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좋다. 전술한 복수의 개구부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I-I'선에 의한 단면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필름 유닛은 베이스 필름(10),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배치되는 커버층(이하 반사방지층으로 설명한다), 및 반사방지층(20)을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고정하는 접착층(30)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10)은 복수의 리브(12)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개구부(14)를 구비한다. 베이스 필름(10)은 역학적 물성이나 광학적 물성의 밸런스 측면을 고려하면서 기계적 강도가 높고 열수축율이 작으며 가열시 올리고머 발생량이 적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은 필름 유닛의 지지 기재로 사용되는데, 그 재료는 PET 이외에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AC, 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AP, cellulose acetate propionate)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베이스 필름(10)의 재료로는 특히 PET가 적합하다.
베이스 필름(10)의 재료로 PET를 채용한 경우, 리브(12)의 높이(H)는 50㎛ 내지 200㎛로 설정된다. 리브(12)의 높이(H)가 50㎛보다 작으면, 공기층 형성시 기대하는 효과를 얻기가 어렵고, 리브(12)의 높이(H)가 200㎛보다 크면, 베이스 필름(10) 자체의 강도가 현저히 약해질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리브(12)의 높이(H)는 필름 유닛의 전체 크기와 리브(12)의 폭에 따라 조절가능하다.
반사방지층(20)은 베이스 필름(10)의 개구부(14)의 일단을 밀봉하면서 투과되는 광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외부광의 반사 및 난반사를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반사방지층(20)은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로 설치될 수 있는데, 단층 구조의 반사 방지층(20)은 불소계 투명 고분자 수지나 불소화 마그네슘, 실리콘계 수지나 산화 규소의 박막 등을 1/4 파장의 광학 막두께로 배치한 것을 포함하며, 다층 구조의 반사방지층(20)은 굴절률이 다른 금속산화물, 불소화물, 규화물, 붕화물, 탄화물, 질화물, 황화물 등의 무기 화합물,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불소계 수지 등의 유기 화합물 박막을 2층 이상 배치한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반사방지층(20)의 형성에는 스퍼터링법, 이온도금법, 이온빔 어시스트법, 진공 증착법, 화학기상증착(CVD), 물리기상증착(PV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명"은 가시광 투과율이 100%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투명하다고 볼 수 있는 정도의 투과율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접착층(30)은 베이스 필름(10)의 개구부(14)가 밀폐되도록 개구부(14)의 상단부를 덮는다. 이때, 접착층(30)의 재료에 따라 접착재료의 일부가 개구부(14)의 안쪽으로 약간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필름 유닛은 베이스 필름(10)의 타면에 배치되는 또 다른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또 다른 접착층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즉, 디스플레이 장치용 글래스 필터 또는 필름 필터의 일면에 본 발명의 필름 유닛을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접착층(30)의 재료로는 아크릴계, 실리콘계, 우레탄계, 폴리비닐계 등의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와 같은 투명한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아크릴 레이트계 수지나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와 같은 실리콘 점착제가 사용가능하다.
또한, 접착층(30)은 색보정, 근적외선 차단 또는 네온광 차단을 위해 가시광 영역에서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염료나 안료와 같은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색소로는 네온의 여기(excited)시에 방출되는 약 585㎚ 파장 부근의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시아닌계(cyanine based), 스쿠아릴륨계, 아조메틴계(azomethine based), 키산텐계, 옥소놀계, 아조계(azo based) 등의 화합물이 사용가능하다. 전술한 색소의 종류 및 농도는 색소의 흡수 파장 및 흡수 계수, 투명 도전층의 색조, 필터 유닛에 요구되는 투과 특성 및 투과율 등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의 제조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펠릿을 290℃ 내지 300℃에서 용융시켜, 압출기에 의해 두께 200㎛의 필름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 필름을 다시 가열하면서 2축연신(가로와 세로로 잡아늘림)하여 두께 100㎛의 PET 필름을 준비한다.
다음, 준비된 PET 필름을 레이저 식각(laser etching) 공정을 통해 패터닝하여 소정 패턴의 리브(12)와 개구부(14)가 구비된 베이스 필름(10)을 준비한다.
다음, 베이스 필름(10)의 일면에 접착층(30)을 적층한다.
다음, 일면에 접착층(30)이 적층된 베이스 필름(10)과 기준비된 반사방지 필름을 롤-투-롤 방식으로 적층한다. 여기서 반사방지 필름은 두께 188㎛의 또 다른 PET 필름의 일면에 반사방지층(20)을 적층하고 타면에 접착층(32)을 적층하여 준비 된다. 전술한 제조공정을 통해 본 실시예의 필름 유닛이 제작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반사방지층"이란 투명필름 상에 도포된 반사방지층 그 자체는 물론, 일면에 반사방지층이 도포된 반사방지 필름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필름 유닛에 충격이 가해질 때, 개구부 내의 공기층이 쿠션 역할을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의 베이스 필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10)은 격자 구조의 리브(12)와 이 리브(12)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개구부(14)를 구비한다. 이러한 격자 구조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되는 블랙 매트리스 구조와 유사하다. 베이스 필름(10)의 개구부(14)가 커버층에 의해 밀봉되면, 개구부(14)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전술한 구조에 의하면, 베이스 필름(10)은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충격에 대하여 쿠션 역할을 하는 공기층을 통하여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할 수 있다.
필름 유닛의 공기층 구조와 필름 유닛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면 상에 부착되는 것을 고려하면, 전술한 리브(12)의 폭(W)은 5㎛ 내지 50㎛로, 필름 유닛의 폭 방향에서의 리브들 간의 거리(L1)는 50㎛ 내지 300㎛로, 필름 유닛의 길이 방향에서의 리브들 간의 거리(L2)는 50㎛ 이상으로 각각 설정된다. 전술한 범위에서 특정 설계값은 필름 유닛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셀 피치 등에 따라 좀 더 정밀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의 베이스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10a)은 격자 구조에서 필름 유닛의 가로 방향에 위치하는 리브가 제거된 개방형 격자 구조의 리브(12)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개방형 격자 구조는 리브(12)에 의해 구획되는 개구부(14)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구비하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a)의 양면이 밀봉되면, 개구부(14)에는 스프라이프 형상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전술한 구조에 의하면, 베이스 필름(10a)은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충격에 대하여 쿠션 역할을 하는 복수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공기층을 통하여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0a)의 리브(12)의 폭은 5㎛ 내지 50㎛로, 필름 유닛의 폭 방향에서의 리브들 간의 거리는 50㎛ 내지 300㎛로 설정되며, 이 범위들은 전술한 가로 방향에서의 리브들 간의 거리를 제외하고 도 3a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베이스 필름(10)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유닛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필름 유닛과 이 필름 유닛의 일면(시인면)에 구비하는 패널 본체를 포함한다. 도 4에서 A 구간은 필름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B 구간은 패널 본체의 투명한 전면기판이 설치되 어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필름 유닛은 기본적으로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필름 유닛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름 유닛은 패널 본체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전자파, 근적외선, 네온광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성 막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 유닛은 도전층(40)/투명필름(50)/색보정층(60)/접착층(34)의 순으로 적층된 구조의 하부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도전층(40)은 패널 본체에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 차단과 근적외선 차단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 근적외선은 주변 전자기기의 오작동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도전층(40)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으며, 다층 구조의 경우 도전층(40)의 표면저항값을 쉽게 보정할 수 있어 그것을 통해 가시광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도전층(40)은 금속층, 금속 산화물, 도전성 폴리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층은 팔라듐, 구리, 백금, 로듐, 알루미늄, 철, 코발트, 니켈, 아연, 루테늄, 주석, 텅스턴, 이리듐, 납, 은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금속산화물은 산화 주석, 산화 인듐, 산화 안티몬, 산화 아연, 산화 지르코늄, 산화 티탄, 산화 마그네슘, 산화 규소, 산화 알루미늄, 금속 알콕사이드, 인듐 틴 옥사이드, ATO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색보정층(60)은 근적외선 흡수 및/또는 네온광 흡수를 위하여 구비된다. 색보정층(60)은 투명한 수지에 적어도 1 종류 이상의 색소를 혼련시킨 고분자 필름이나, 수지 바인더와 유기계 용매에 적어도 1 종류 이상의 색소를 가해서 얻어지는 도료를 투명한 기재 위에 코팅한 것이나, 적어도 1 종류 이상의 색소를 함유하는 투명한 점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함유"란 기재, 막 또는 점착제의 내부에 함유되는 것은 물론, 기재 또는 막의 표면에 도포된 상태도 의미한다.
투명필름(50)은 기본적으로 도전층(40) 및/또는 색보정층(60)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예컨대, 투명필름(50)을 기재로 하여 그 일면에 도전층(40)을 형성하고 그 타면에 색보정층(60)을 형성할 수 있다.
접착층(34)은 도전층(40) 및 색보정층(60)을 포함한 필름 유닛을 패널 본체의 시인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색보정층(60)이 투명한 점착재에 한 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색소를 함유하여 구성되는 경우, 접착층(34)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필름 유닛은 전술한 적층 구조 이외에 도전층(40)이 베이스 필름(10)의 상부 필름에 포함되거나 도전층(40)과 색보정층(60)의 위치를 바꾸거나 베이스 필름(1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또 다른 투명필름 및/또는 접착제를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름 유닛은 반사반지층(20)으로서 반사방지 기능을 하는 막(20a)과 이 막(20a)의 일면(상부면)에 도포된 하드코팅재(20b)를 구비할 수 있다. 하드코팅재(20b)는 여러 형태의 외력에 의한 스크래치(scratch) 방지를 위해 구비되며,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록산계 폴리머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올리고머(oligomer)와 같은 자외선 경화 수도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강도 향상을 위하여 실리카(silica)계의 필러를 부가할 수도 있다. 하드코팅재(20b)를 포함하는 반사방지층(20)의 두께는 너무 두껍지 않으면서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2 ㎛ 내지 7㎛로 설정된다.
물론 하드코팅재(20b)는 반사방지 기능을 하는 막(20a)에 삽입되거나 상기 막(20a)의 타면(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드코팅재(20b)를 포함하는 필름 유닛의 광학적 특성은 헤이즈(haze)가 1 내지 3% 정도로 낮고 가시광 투과율이 30% 내지 90%이고, 외부광 반사율이 1% 내지 20% 정도로 낮으며, 유리 전이온도 이상의 내열성 및 1H 내지 3H의 연필경도를 구비하도록 설계된다.
전술한 패널 본체는 전면 필터를 구비하지 않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의미하며, 투명한 제1 기판(70)의 다른 일면에 배치되는 X-Y 전극, 유전체층 및 보호막을 구비하는 상판(front plate), 제1 기판(70)과 대향 배치된 제2 기판상에 설치되는 어드레스 전극, 유전체층, 격벽 및 형광체층을 구비하는 하판(back plate), 상판과 하판을 지지하도록 패널 본체(B)의 후면에 부착되는 새시베이스, 및 구동회로기판을 포함한다.
패널 본체에서 격벽은 다수의 방전 셀 공간을 구획하며, 격벽의 측면에는 적색, 녹색 또는 청색 형광체층이 도포되어 있다. 또한 셀 공간 내에는 네온 기체와 같은 기체가 주입되어 있다. 전술한 패널 본체는 X-Y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를 통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셀 공간 내의 방전을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X-Y 전극과 어드레스 전극은 구동회로기판의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필름 유닛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 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FED), 진공형광표시관(VFD), 유기전기발광디스플레이(OLED), 액정표시장치(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필름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유닛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필름 유닛의 베이스 필름에 대한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필름 유닛의 베이스 필름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유닛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필름
12 : 리브
14 : 개구부
20 : 커버층
30, 34 : 접착층
40 : 도전층
50 : 투명필름
60 : 색보정층
7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기판

Claims (12)

  1.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구비하며 상기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개구부의 밀폐된 공간에 위치하는 공기층에 의해 자체 탄성이 형성되도록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상단부를 막는 커버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복수의 리브로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리브의 전체적인 구조는 격자 구조 또는 개방형 격자 구조인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높이는 50㎛ 내지 200㎛이며, 상기 리브의 폭은 5㎛ 내지 50㎛인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에 상기 커버층을 고정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색 보정, 근적외선 차단 및 네온광 차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한 색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반사방지층이며,
    상기 필름 유닛은 상기 반사방지층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반사방지층의 일면에 배치되는 하드코팅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는 도전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는 색보정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배치되는 투명필름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블랙 계열의 색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용 필름 유닛.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필름 유닛; 및
    상기 필름 유닛이 일면에 배치된 패널 본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80034139A 2008-04-14 2008-04-14 필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62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139A KR100962733B1 (ko) 2008-04-14 2008-04-14 필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8192179A JP4921434B2 (ja) 2008-04-14 2008-07-25 フィルム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12/322,998 US8227986B2 (en) 2008-04-14 2009-02-10 Film unit an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CNA2009101327147A CN101562112A (zh) 2008-04-14 2009-04-14 膜单元及具有该膜单元的等离子体显示面板
EP20090251089 EP2110842B1 (en) 2008-04-14 2009-04-14 Film unit an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AT09251089T ATE521081T1 (de) 2008-04-14 2009-04-14 Folieneinheit und plasmaanzeigetafel mit die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139A KR100962733B1 (ko) 2008-04-14 2008-04-14 필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831A KR20090108831A (ko) 2009-10-19
KR100962733B1 true KR100962733B1 (ko) 2010-06-10

Family

ID=40673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139A KR100962733B1 (ko) 2008-04-14 2008-04-14 필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27986B2 (ko)
EP (1) EP2110842B1 (ko)
JP (1) JP4921434B2 (ko)
KR (1) KR100962733B1 (ko)
CN (1) CN101562112A (ko)
AT (1) ATE521081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964B1 (ko) * 2008-12-01 2010-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광학 필터
KR101101012B1 (ko) * 2008-12-12 2011-1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름 필터와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068486A (ja) * 2010-09-24 2012-04-05 Sony Corp 表示装置、光学部材及び光学部材の製造方法
KR20130055311A (ko) * 2011-11-18 2013-05-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E102014107960A1 (de) * 2014-06-05 2015-12-17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CN105321435B (zh) * 2015-10-12 2019-03-12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及含其的移动终端
CN109064894B (zh) * 2018-08-10 2020-08-0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滑移膜层和显示面板以及滑移膜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630B1 (ko) 1997-12-10 2001-02-01 김순택 평판표시장치
JP2001051608A (ja) * 1999-08-06 2001-02-23 Minolta Co Ltd 表示装置
JP3706105B2 (ja) 2001-03-15 2005-10-12 三井化学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2278466A (ja) * 2001-03-15 2002-09-27 Minolta Co Ltd 表示装置
JP4511072B2 (ja) 2001-03-30 2010-07-28 三洋電機株式会社 衝撃緩衝機能付電界発光デバイス及び電界発光デバイス用の衝撃緩衝機能付封止部材
JP2002328613A (ja) * 2001-04-27 2002-11-15 Kimoto & Co Ltd 表示画面用カバーシート
KR100926712B1 (ko) 2003-05-28 2009-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면 필터와 그의 제조 방법
US7110154B2 (en) 2004-06-10 2006-09-19 Clemson University Plasmon-photon coupled optical devices
KR100637189B1 (ko) 2004-11-18 2006-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JP2006162890A (ja) 2004-12-06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KR100751336B1 (ko) 2005-06-15 2007-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직부착 필름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65484A (ko) 2007-01-09 2008-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충격성이 우수한 충격흡수층 및 상기 충격흡수층을포함하는 충격흡수용 필름
JP4350762B2 (ja) 2007-03-19 2009-10-21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式コンピュータ
KR100941844B1 (ko) 2008-01-29 2010-02-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21434B2 (ja) 2012-04-25
EP2110842A2 (en) 2009-10-21
ATE521081T1 (de) 2011-09-15
EP2110842A3 (en) 2010-07-28
US8227986B2 (en) 2012-07-24
CN101562112A (zh) 2009-10-21
US20090256781A1 (en) 2009-10-15
KR20090108831A (ko) 2009-10-19
JP2009259763A (ja) 2009-11-05
EP2110842B1 (en)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733B1 (ko) 필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41844B1 (ko)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US8143771B2 (en)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6153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75200B1 (ko) 단일 시트형 필름 필터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1336B1 (ko) 직부착 필름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EP1998190A2 (en) Optical filter, plasm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optical filter, and method of forming the optical filter
KR20100090056A (ko) 광 산란 기능을 갖는 반사방지 필름
KR101154164B1 (ko) 광학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64624A (ko) 표시장치의 전면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768202B1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8213B1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01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00177A (ko) 열전소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필터
KR100708745B1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701B1 (ko) 직부착 mrt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690B1 (ko) 직부착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20090052093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터
US20100328797A1 (en) Display filter
KR20090012921A (ko) 광투과율이 우수한 전자기파 차폐 필름, 및 이를 구비한직부착 필름 필터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95790B1 (ko) Cef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95789B1 (ko) Cef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1112B1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53098A (ko) 광투과율이 우수한 직부착 필름 필터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702B1 (ko) 직부착 mrt 필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