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012B1 - 필름 필터와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필터와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012B1
KR101101012B1 KR1020080126378A KR20080126378A KR101101012B1 KR 101101012 B1 KR101101012 B1 KR 101101012B1 KR 1020080126378 A KR1020080126378 A KR 1020080126378A KR 20080126378 A KR20080126378 A KR 20080126378A KR 101101012 B1 KR101101012 B1 KR 101101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filter
vinyl acetate
hardness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819A (ko
Inventor
권도혁
이성용
박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012B1/ko
Priority to US12/591,936 priority patent/US20100149074A1/en
Priority to CN200910258381A priority patent/CN101846761A/zh
Publication of KR20100067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필름 필터 및 이 필름 필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필름 필터는 리브와 이 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제1 경도를 가진 제1층, 및 제1층의 각 개구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셀을 구비하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진 제2층을 포함한다.
필름 필터, 충격, 흡수, 리브, 경도, 디스플레이 장치

Description

필름 필터와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Film fil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필름 필터 및 이 필름 필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필름 필터는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진다.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필름 필터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동하면서 발생하는 강한 근적외선과 전자파를 흡수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와 더불어 외광 반사를 감소시키는 기능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태의 필름 필터는 글래스 필터보다 경량화 및 박형화 그리고 이중영상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필름 필터는 글래스 필터에 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차폐 또는 완화하는 능력이 낮아, 충격을 받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및 외형상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 필터에 있어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기능층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술 분야의 경향이 점차 대형화 및 박형화로 진행 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면측에 설치되는 전면 글래스 기판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전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부착되어 외부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필름 필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의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리브(rib)와 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구비하고 제1 경도를 가진 제1층; 및 각 개구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셀들을 구비하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진 제2층을 포함하는 필름 필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리브의 높이, 인접한 리브들 간의 거리, 및 리브의 폭은 외부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 및 분산하고 외부 충격을 제2층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일정 비율로 설정된다.
제1층은 가역적 범위에서 5% 내지 30%의 응축률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층의 경도는 제1층의 경도보다 23% 내지 45% 낮을 수 있다. 제2층의 측면은 제1층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면이 경사질 수 있다.
각 개구부의 모양은 다각형일 수 있다. 개구부의 일단은 제1층에 의해 막혀 있을 수 있다.
필름 필터는 개구부에 제2층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기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름 필터는 개구부에 제2층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의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에 설치되는 제2 기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재층의 재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제1층의 재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우레탄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층은 안료 또는 염료로 착색될 수 있다.
제2층의 재료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가 포함된 중합체, 스티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실리콘겔, 고차가교 폴리우레탄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층의 재료는 비닐아세테이트를 20중량% 이하 함유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이고, 제2층의 재료는 비닐아세테이트를 40중량% 이상 함유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제1층의 재료는 비닐아세테이트를 20중량% 이하 함유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이고, 제2층의 재료는 실리콘계일 수 있다.
필름 필터는 전자파 차단, 근적외선 차단, 네온광 차단, 색상 보정 및 외광 반사 방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설치되는 전술한 필름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전계발광 디 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유연한 물질과 상대적으로 단단한 물질을 조합하여 효율적으로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필름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필름 필터를 전면에 설치함으로써 전면에서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용어 "투명"은 완전히 투명하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투명으로 볼 수 있는 정도의 투과율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어떤 층이 다른 층 위에 존재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층의 바로 위에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층이 게재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성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름 필터의 Ⅱ-Ⅱ선에 의한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는 충격흡수층을 포함한다. 충격흡수층은 제1층(12)과, 제1층(12)에 삽입 설치되는 제2층(16)을 구비한 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상 도 1에서는 제2층(16)의 셀을 1개만 도시하였고, 도 2에서는 제1층(12)의 각 개구부에 제2층(16)의 각 셀이 모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제1층(12)은 리브(13)와 이 리브(13)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개구부(14)를 구비하며, 충격흡수층의 기본 구조를 형성한다. 제1층(12)은 외부 충격에 대해 가역적 반응이 요구되며, 압축력(compressive force)에 대해 영구변형이 이뤄지지 않는 범위에서 약 5% 내지 약 30% 응축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 충격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하기 위해 리브(13)의 높이(H1), 일 방향에서의 인접한 리브들(13) 간의 거리(L1), 및 리브(13)의 폭(W1)은 일정 비율로 설계된다. 예컨대, 리브(13)의 높이(H1)는 약 20㎛ 내지 약 200㎛이고, 리브들(13) 간의 거리(L1)는 최소 50㎛ 이상이며, 리브(13)의 폭(W1)은 약 5㎛ 내지 약 50㎛이다.
외부 충격은 충격을 받는 물질의 소프트한 특성에 크게 좌우되는 데, 그렇다고 소프트한 특성을 극대화하는 경우 오히려 충격 흡수율이 낮아질 수 있다. 특히, 필름 필터의 경우에 그렇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름 필터에서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물질을 통해 1차적으로 흡수 및 분산되는 외부 충격을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작은 셀들에서 흡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외부 충격을 감소시킨다.
제1층(12)의 재료로는 폴리에틸렌테리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낮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우레탄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 론, 제1층(12)의 재료는 전술한 재료로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에서 요구되는 물리적 특성을 충족하는 불투명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층(12)은 외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염료나 안료를 첨가제로 하여 구조 전체가 특정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첨가제로는 카본 블랙이 사용될 수 있다.
제2층(16)은 제1층(12)의 각 개구부(14)에 삽입되는 복수의 셀들을 구비한다. 제2층(16)은 제1층(12)을 보호하고 외부 충격 에너지를 1차적 및 2차적으로 흡수한다.
제2층(16)은 제1층(12)보다 유연한 재료 즉 제1층(12)보다 경도가 낮은 재료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빛(휘도) 저감이 낮은 광학적 특성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층(16)의 재료로는 투명고분자 물질이 적합한데, 투명고분자 물질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가 포함된 중합체, 스티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SEBS), 실리콘 겔, 고차가교 폴리우레탄계(highly bridged polyurethane base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1층(12) 및 제2층(16)은 반경화 타입의 소프트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제1층(12)의 경도가 제2층(16)의 경도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제1층(12)의 경도는 제2층(16)의 경도보다 약 23% 내지 약 45% 정도가 크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는 비닐아세테이트를 20중량% 이하로 함유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중합하여 리브(13)와 개구부(14)를 가진 일정 패턴 의 제1층(12)을 형성하고, 비닐아세테이트를 40중량% 이상으로 함유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중합하여 제1층(12)의 개구부(14)에 충전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층(12)의 경도를 90이라 할 때, 제2층(16)의 경도는 약 70이 된다. 그것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가 비닐아세테이트의 농도에 따라 중합후 나타나는 경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는 비닐아세테이트를 20중량% 이하로 함유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중합하여 리브(13)와 개구부(14)를 가진 일정 패턴의 제1층(12)을 형성하고, 실리콘으로 제1층(12)의 개구부(14)에 충전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층(12)의 경도를 90이라 할 때, 제2층(16)의 경도는 50 이하가 된다.
필름 필터(10)의 일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외부 충격은 제1층(12) 및/또는 제2층(16)의 특정한 제1 영역에 먼저 전달되고, 전달된 충격은 제1층(12)의 리브(13)를 통해 1차적으로 흡수 및 분산되고, 리브(13)에 의해 분산된 충격은 제1 영역 주변의 제2 영역에 위치한 제1층(12)의 각 셀에 분산 흡수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 에너지는 필름 필터(10)에 의해 효율적으로 흡수 및 제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a)는 충격흡수층을 포함한다. 충격흡수층은 리브(13a)와 이 리브(13a)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개구부(14a)를 가진 제1층(12a)과, 제1층(12a)의 복수의 개구부(14a)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셀들을 가진 제2층(16a)을 포함한다. 제1층(12a)의 두께(H2)는 리브(13a)의 높이(H1)보다 크다. 또한, 제2층(16a)은 그 일면을 제외하고 제1층(12a)에 의해 포위된다. 다시 말하면, 각 개구부(14a)의 일단은 제1층(12a)에 의해 막혀 있다.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a)는 제1층(12a)의 개구부(14a)가 제1층(12a)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지 않고 제1층(12a)의 일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필름 필터(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층(16a)이 제1층(12a)을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으므로 필름 필터(10a)를 별도로 제작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할 때 취급이 용이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b)는 충격흡수층을 포함한다. 충격흡수층은 리브(13b)와 이 리브(13b)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개구부(14b)를 가진 제1층(12b)과, 제1층(12b)의 복수의 개구부(14b)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셀들을 가진 제2층(16b)을 포함한다. 리브(13b)의 일단의 크기 또는 길이(S1)는 타단의 크기 또는 길이(S2)보다 크다. 다시 말하면, 제2층(16b)의 측면은 제1층(12b)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면이 경사진 형태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b)는 리브(13b)의 횡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도록 리브(13b)의 측면이 경사진 것을 제외하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필름 필터(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리브(13b)의 횡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면, 필름 필터(10b)의 일면에서 가해지는 외부 충격 에너지를 리브(13b)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필름 필터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c)는 충격방지층을 포함한다. 충격방지층은 리브(14c) 및 이 리브(14c)에 의해 구획되며 격자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들(14c)을 가진 제1층(12c)과, 제1층(12c)의 각 개구부(14c)에 삽입되는 복수의 셀들을 가진 제2층(16c)을 포함한다. 제2층(16c)의 각 셀은 직방체 형태를 구비한다.
리브(13c)의 높이(H3)는 약 20㎛ 내지 약 200㎛이고, 개구부(14c)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리브들(13c) 간의 거리(L2)는 최소 50㎛ 이상이며, 개구부(14c)의 폭 방향에서 서로 인접한 리브들(13c) 간의 거리(L3)는 약 50㎛ 내지 약 300㎛이고, 리브(13c)의 폭(W2)은 약 5㎛ 내지 약 50㎛이다. 전술한 리브(13c)의 구조는 리브(13c)가 외부 충격에 대하여 약 5% 내지 약 30% 정도 가역적으로 응축하여 외부 충격 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할 수 있도록 일정 비율로 설계된 것이다.
전술한 필름 필터(10c)의 구조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필름 필터들의 구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c)는 격자 형태의 개구부 구조를 제외하고 도 1을 참조한 필름 필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d)는 리브(14d) 및 이 리브(14d)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개구부들(14d)을 가진 제1층(12d)과, 제1 층(12d)의 각 개구부(14d)에 삽입되는 복수의 셀들을 가진 제2층(16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층(16d)의 각 셀은 스트라이프 막대 형태를 구비한다.
전술한 필름 필터(10d)의 리브(13d)는 격자 구조가 아닌 오픈 구조를 구비한다. 이때, 각 개구부(14d)에 삽입되는 제2층(16d)의 각 셀은 스트라이프 막대 형태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d)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제1층(12d)과 상대적으로 유연한 제2층(16d)의 조합에 있어서, 제2층(16d)의 셀들의 개수가 적어 앞서 설명한 필름 필터에 비해 충격 흡수율이 조금 떨어질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필름 필터에 적용가능한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0)는 리브와 이 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구비한 제1층(114), 및 제1층(114)의 각 개구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셀들을 구비한 제2층(11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1층(114) 및 제2층(116)은 도 4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충격방지층을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1층 및 제2층의 구조는 도 4에 도시한 구조 이외에 도 1 내지 도 3, 도 5a 및 도 5a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구조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나 이들이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필름 필터(100)는 제1층(114)과 제2층(116)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층의 충격 흡수 능력을 높이기 위해 제1층(114)과 제2층(116)을 게재하고 이들의 양 면에 설치되는 제1 기재층(112) 및 제2 기재층(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재층(112) 및 제2 기재층(118)은 제1층(114)과 제2층(116)을 보호하며 외부 충격 에너지를 제1층(114)과 제2층(116)에 전파한다.
제1 기재층(112) 및 제2 기재층(118)의 재료로는 필름으로서의 역학적 물성이나 광학적 물성의 밸런스적 측면과 기계적 강도가 높고 열수축률이 작은 재료, 그리고 올리고머 발생량이 적은 재료가 적합하다. 예컨대, 제1 기재층(112) 및 제2 기재층(118)의 재료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 위해 제1 기재층(112) 및 제2 기재층(118)의 광 투과율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필름 필터(100)의 구조에 의하면, 필름 필터(100)의 일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은 제1 기재층(112), 제1층(114), 제2층(116) 및 제2 기재층(118)의 가역적인 응축에 의해 일차적으로 흡수 및 분산되고, 제1층(114)의 리브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제2층(116)의 각 셀에 의해 2차적으로 흡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기재층(112), 제1층(114), 제2층(116) 및 제2 기재층(118)의 구조를 충격흡수 구조(110)로 언급한다.
또한, 필름 필터(100)는 충격흡수 구조(110)의 일면에 적층되는 기능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층(130)은 전자파 차단을 위한 도전층(136), 근적외선 차단, 네온광 차단 및 색보정을 위한 색소층(138), 및 외광 반사를 감소시키기 위한 반사방지층(142)을 포함할 수 있다. 외광반사층(142)은 제1 접착층(140)을 게재하 고 색소층(138)에 적층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필름 필터(100)는 제2 접착층(132)을 게재하고 제3 기재층(134)이 제2 기재층(118) 상부에 적층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제3 기재층(134)은 기능층(130)의 지지층으로서 작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2 기재층(118)이 제3 기재층(134)을 대신하여 사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접착층(132)과 제3 기재층(134)은 생략된다.
도전층(136)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메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도전층(136)의 재료로는 구리(Cu), 은(Ag), 알루미늄(Al), 니켈(Ni), 금(Au)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색소층(138)은 가시광 영역에서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염료나 안료와 같은 색소가 포함될 수 있다. 색소로는 네온의 여기(excited)시에 방출되는 약 585㎚ 파장 부근의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색소나 근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색소를 포함한다. 예컨대, 색소로는 시아닌계(cyanine-based), 스쿠아릴륨계(squarylium-based), 아조메틴계(azomethine-based), 키산텐계(kisantine-based), 옥소놀계(oxonol-based), 아조계(azo-based) 등의 화합물이 사용가능하다. 색소의 종류 및 농도는 색소의 흡수 파장 및 흡수 계수, 투명 층의 색조, 필름 필터에 요구되는 투과 특성 및 투과율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반사방지층(142)은 광 간섭을 이용하여 화면의 표면 반사를 억제하는 반사방지(anti reflective, AR) 기능 및 저반사(low reflective, LR) 기능을 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142)은 반사방지 기능을 위하여 무기계의 유도체 재료를 증착 또는 스 퍼터링으로 적층하는 건식 코팅법이나 유기 재료를 도포하는 습식 코팅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 반사방지층(142)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복수의 층들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반사방지층(142)은 저반사 기능을 위하여 저굴절률의 재료를 단층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반사방지층(142)의 재료로는 불소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나 SiO2, ITO 등의 무기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필름 필터에 있어서, 효과적인 충격 흡수는 요구되는 충격흡수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약 25% 내지 약 40%가 적당하다. 전술한 본 실시예들의 필름 필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면, 원하는 충격흡수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패널(200)의 일면에 적층되는 충격흡수 구조(110), 및 충격흡수 구조(110)의 일면에 적층되는 기능층(130)을 포함한다. 충격흡수 구조(110)는 패널(20)과 기능층(130) 사이에 설치된다.
충격흡수 구조(11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필름 필터에 포함된 충격흡수 구조 이외에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필름 필터에 포함된 충격흡수층의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기능층(130)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필름 필터에 포함된 기능층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 이 패널(200), 패널(200)의 일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 구조(110), 및 패널(200)과 충격흡수 구조(110) 사이에 설치되는 기능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충격흡수 구조(110)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일면의 최상층에 배치되므로 외부 충격 에너지가 기능층(130)과 패널(2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기술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의 필름 필터들은 별도로 제작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술한 필름 필터들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글래스 기판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필름 필터의 Ⅱ-Ⅱ선에 의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필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필터의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필름 필터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필름 필터에 적용가능한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10b, 10c, 10d, 100 : 필름 필터
12, 12a, 12b, 12c, 12d, 114 : 제1층
13, 13a, 13b, 13c, 13d : 리브
14, 14a, 14b, 14c, 14d : 개구부
16, 16a, 16b, 16c, 16d, 116 : 제2층
110 : 충격흡수 구조
130 : 기능층
200 : 디스플레이 패널

Claims (18)

  1. 리브와 상기 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제1 경도를 가진 제1층; 및
    상기 각 개구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경도보다 낮은 제2 경도를 가진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층의 경도는 상기 제1층의 경도보다 23% 내지 45% 낮은 필름 필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가역적 범위에서 5% 내지 30%의 응축률을 구비하는 필름 필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측면은 상기 제1층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면이 경사진 필름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개구부의 모양은 다각형인 필름 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일단은 상기 제1층에 의해 막혀 있는 필름 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상기 제2층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기재층을 더 포함하는 필름 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상기 제2층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의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에 설치되는 제2 기재층을 더 포함하는 필름 필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층의 재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인 필름 필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재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우레탄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안료 또는 염료로 착색되는 필름 필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재료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가 포함된 중합체, 스티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실리콘겔, 고차가교 폴리우레탄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필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재료는 비닐아세테이트를 20중량% 이하 함유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이고, 상기 제2층의 재료는 비닐아세테이트를 40중량% 이상 함유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인 필름 필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재료는 비닐아세테이트를 20중량% 이하 함유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이고, 상기 제2층의 재료는 실리콘계인 필름 필터.
  16. 제1항에 있어서,
    전자파 차단, 근적외선 차단, 네온광 차단, 색상 보정 및 외광 반사 방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층을 더 포함하는 필름 필터.
  17.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필름 필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전계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80126378A 2008-12-12 2008-12-12 필름 필터와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01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378A KR101101012B1 (ko) 2008-12-12 2008-12-12 필름 필터와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2/591,936 US20100149074A1 (en) 2008-12-12 2009-12-04 Film filt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910258381A CN101846761A (zh) 2008-12-12 2009-12-14 膜滤光器以及具有膜滤光器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378A KR101101012B1 (ko) 2008-12-12 2008-12-12 필름 필터와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819A KR20100067819A (ko) 2010-06-22
KR101101012B1 true KR101101012B1 (ko) 2011-12-29

Family

ID=4223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378A KR101101012B1 (ko) 2008-12-12 2008-12-12 필름 필터와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149074A1 (ko)
KR (1) KR101101012B1 (ko)
CN (1) CN1018467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9870B (zh) 2015-06-12 2018-0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591754B1 (ko) * 2016-09-09 2023-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0289368B (zh) * 2019-06-27 2021-10-22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设备及显示面板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616A (ja) 1998-10-30 2000-05-16 Kyoraku Co Ltd タイル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15518A (ja) 2000-01-31 2001-08-10 Optrex Corp 液晶表示素子
JP2006023423A (ja) 2004-07-07 2006-01-26 Inoac Corp 吸音性衝撃吸収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11283A1 (en) * 2002-02-25 2003-09-09 Asahi Glass Company, Limited Impact resistance film for flat display panel and flat display panel
WO2004111152A1 (ja) * 2003-06-04 2004-12-23 Mitsubishi Plastics, Inc. 透明ゲル粘着剤、透明ゲル粘着シート、及び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
CN100376011C (zh) * 2003-09-24 2008-03-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显示面板
JP4985643B2 (ja) * 2006-03-13 2012-07-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拡散素子、投影スクリーン、意匠性部材及びセキュリティ媒体
KR100962733B1 (ko) * 2008-04-14 2010-06-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616A (ja) 1998-10-30 2000-05-16 Kyoraku Co Ltd タイル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15518A (ja) 2000-01-31 2001-08-10 Optrex Corp 液晶表示素子
JP2006023423A (ja) 2004-07-07 2006-01-26 Inoac Corp 吸音性衝撃吸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46761A (zh) 2010-09-29
KR20100067819A (ko) 2010-06-22
US20100149074A1 (en)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8177B2 (en) Transparent shock-absorbing laminate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KR102342596B1 (ko) 표시 장치
KR102356886B1 (ko) 광 제어 장치, 광 제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광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30070555A (ko)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 및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용 내충격막
KR101101012B1 (ko) 필름 필터와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533311A (ja) 高明暗比の光学シート、それを備えるフィルタ、及び前記シートまたはフィルタ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KR20180074544A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0962733B1 (ko) 필름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76349B1 (ko) 표시 장치용의 근적외선 흡수성의 적층 필름
KR100829502B1 (ko) 필터 및 그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93792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와 필름 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7072442A (ja) ディスプレイ用減反射性近赤外線遮蔽材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画像表示装置
KR101669088B1 (ko) 매크로 추출기를 갖는 oled 디바이스
KR101255881B1 (ko)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및 그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윈도우
KR100767687B1 (ko)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848287B1 (ko) 외광 차단 시트 및 그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364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4691356B2 (ja) 画像表示装置用の視野角規制シート
KR100797476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30168530A1 (en) Laminated glass
US20080042571A1 (en) Filter and plasma display device thereof
JP2012150356A (ja) 光学シート、表示装置、及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80104587A (ko) 필터 및 그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9066B1 (ko) 필터 및 그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1919B1 (ko) 필터 및 그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