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881B1 -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및 그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윈도우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및 그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881B1
KR101255881B1 KR1020100033197A KR20100033197A KR101255881B1 KR 101255881 B1 KR101255881 B1 KR 101255881B1 KR 1020100033197 A KR1020100033197 A KR 1020100033197A KR 20100033197 A KR20100033197 A KR 20100033197A KR 101255881 B1 KR101255881 B1 KR 101255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ar infrared
film
reflecting layer
window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879A (ko
Inventor
김인숙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00033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881B1/ko
Publication of KR20110113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4Organic non-macromolecula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근적외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을 차단하여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있는 윈도우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원적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윈도우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차단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은 투명 기재필름;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전면에 형성되는 원적외선 반사층; 및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배면에 형성되는 근적외선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및 그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윈도우 {WINDOW FILM WITH BLOCKING FAR INFRARED RAYS AND WINDOW LAMINATED THE WINDOW FILM}
본 발명은 건물의 윈도우에 라미네이트되는 윈도우 필름(Window Film)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윈도우 필름이 가지고 있는 근적외선 차단 기능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차단 기능도 함께 가짐으로써 건물의 냉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윈도우 필름 및 그 윈도우 필름이 라미네이트(laminate)된 윈도우에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윈도우(Window) 건물 내부에서 건물 외부를 조망할 수 있도록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갖는 투명 유리 혹은 착색 유리로 형성된다.
그러나, 윈도우는 가시광선 뿐만 아니라 적외선도 함께 투과시키며,이는 건물의 냉방 혹은 난방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건물의 냉난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윈도우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것은 윈도우를 복층 유리로 형성하거나 혹은 저방사 유리 (Low-E Glass)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복층 유리의 경우, 적외선 차단 효과가 그리 높지 않으며, 저방사 유리의 경우 윈도우 제작에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윈도우를 통한 건물의 냉방 혹은 난방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윈도우에는 적외선 반사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이 라미네이트되어 있다.
윈도우 필름은 다양한 방법으로 적외선 반사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예를 들면, Deep-dyed PET 필름을 윈도우 필름으로 이용하는 경우, 투명 필름에 적외선 반사층을 코팅하여 윈도우 필름으로 이용하는 경우, 금속층(Metal layer)을 구비한 PET 필름을 윈도우 필름으로 이용하는 경우 등이 있다. 또한, 다른 예로는 굴절률이 다른 폴리머(polymer)층을 교대로 적층한 필름 등에 점착제층을 도포한 것을 윈도우 필름으로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윈도우 필름들은 주로 0.8~1.4㎛ 파장의 근적외선을 차단시키고 있다. 그러나, 근적외선 차단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은 근적외선만 차단할 뿐, 건물 내부의 난방기구 등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없다. 따라서, 근적외선 차단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으로 근적외선만 차단한 상태에서는 건물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윈도우에서 근적외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도 차단하여, 건물 내부의 냉난방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적외선 차단 기능과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동시에 갖는 윈도우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시된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이 라미네이트되어 건물의 냉난방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필름은 투명 기재필름;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전면에 형성되는 원적외선 반사층; 및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배면에 형성되는 근적외선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 반사층은 중심 파장이 1.4~2.2㎛인 한 쌍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및 상기 한 쌍의 콜레스테렉 액정층 사이에 형성되는 반파장 위상차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는 상기 제시된 원적외선 반사층을 구비하는 윈도우 필름이 라미네이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윈도우 필름은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라미네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구조적으로는, 투명 기재필름;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전면에 형성되는 원적외선 반사층; 상기 원적외선 반사층의 전면에 형성되는 하드 코팅층;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배면에 형성되는 근적외선 반사층; 및 상기 근적외선 반사층 배면에 형성되는 자외선 흡수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윈도우는, 건물의 윈도우에서 근적외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도 함께 차단함으로써 고가의 저방사 유리를 이용하지 않고도, 건물 내부의 냉난방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에서 하드 코팅층이 추가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에서 자외선 흡수층이 추가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윈도우 내측면에 라미네이트되는 윈도우 필름의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윈도우 외측면에 라미네이트되는 윈도우 필름의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및 그필름이 라미네이트된 윈도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윈도우 필름은 투명 기재필름(110), 원적외선 반사층(120) 및 근적외선 반사층(130)을 포함한다.
투명 기재필름(110)은 투명성 및 다른 층과의 부착력이 우수하고, 강도가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co-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co-PMMA) 등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원적외선(Far Infrared Rays; Far IR) 반사층(120)은 투명 기재필름(110)의 전면에 형성되어, 2.5 ~ 3 ㎛ 파장의 적외선에 해당하는 원적외선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원적외선 반사층(120)은 중심 파장이 1.4 ~ 2.2 ㎛인 한 쌍의 콜레스테릭(cholesteric) 액정층과 상기 한 쌍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사이에 형성되는 반파장 위상차 액정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반파장 위상차 액정층으로 형성되는 원적외선 반사층은 2.5 ~ 3 ㎛ 파장을 갖는 원적외선에 대하여 50~90%의 반사율을 갖는다.
근적외선(Near Infrared Rays; Near IR) 반사층(130)은 투명 기재필름(110)의 배면에 형성되어, 0.8 ~ 1.4 ㎛ 파장대의 적외선에 해당하는 근적외선을 반사시킨다.
근적외선 반사층(130)은 공지된 여러가지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탈층과 유전체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탈층은 투명 기재필름의 배면에 형성되고, 유전체층은 메탈층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은 외부 공간과 접하는 윈도우의 외측면에 라미네이트될 수도 있으나, 윈도우의 내측면에 라미네이트(laminate)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외부 공간은 내부 공간에 비하여 비산 먼지가 많고, 또한 비나 눈 등에 노출되게 되므로, 윈도우 필름이 훼손되거나 윈도우로부터 박리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윈도우 필름이 윈도우의 내측면에 라미네이트될 경우, 겨울철 건물 내부의 난방기구 등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의 차단 효율과 여름철 건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근적외선의 차단 효율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 원적외선 반사층(120)이 건물 내부 쪽에 위치하고, 근적외선 반사층(130)이 윈도우쪽에 위치하는 것이 원적외선과 근적외선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반사할 수 있으므로 반대의 경우보다 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에서 하드 코팅층이 추가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적외선 반사층(120)의 전면에 하드 코팅층(14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이, 원적외선 반사층(120)이 건물 내부 쪽에 위치하고 근적외선 반사층(130)이 윈도우 쪽에 위치하도록, 건물 윈도우의 내측면에 라미네이트되는 경우, 원적외선 반사층(120)의 표면이 건물 내부로 노출된다.
이 경우, 원적외선 반사층(12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될 수 있고, 또한 사용 중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적외선 반사층(120)의 전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원적외선 반사층(120)이 윈도우 쪽에 위치하고, 근적외선 반사층(130)이 건물 내부 쪽에 위치하도록, 건물 윈도우의 내측면에 라미네이트되는 경우, 하드 코팅층(140)은 근적외선 반사층(13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드 코팅층(140)은 일반적으로 열경화형 화합물 혹은 광경화형 화합물이 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하드 코팅액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열경화형 화합물의 경우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열을 가할 때, 열에 의하여 투명 기재필름이나 다른 층들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광경화형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140) 형성에 사용되는 광경화형 화합물로는 가교반응이 가능한 불포화 결합기 등과 같은 1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나 올리고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것들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아크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크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아크릴티오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하드 코팅층(140) 형성용 광경화형 화합물로 이용할 수 있다.
광경화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 코팅액에는 상기의 광경화형 화합물과 용매 이외에도 광중합 개시제가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광안정제, 레벨링제 등 하드 코팅층의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첨가제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에서 자외선 흡수층이 추가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근적외선 반사층(130)의 배면에는 자외선 흡수층(150)이 형성되어 있다. 자외선 흡수층(150)은 건물 외부의 태양광에 포함된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외선 흡수층(150)은 PSA(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PABA(Para-AminoBenzoic Acid), 신나메이트(Cinnamate), 살리실레이트(Salicylate), 벤조페논(Benzophenone), 메틸 안트라니레이트(Methyl Anthranilate)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이 혼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윈도우 필름은 투명 기재필름(110), 원적외선 반사층(120), 근적외선 반사층(130), 하드 코팅층(140) 및 자외선 흡수층(150)을 포함한다.
투명 기재필름(110)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투명 기재필름(110)의 전면에는 원적외선 반사층(120)은 형성되어 있고, 원적외선 반사층(120)의 전면에는 하드 코팅층(1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투명 기재필름(110)의 배면에는 근적외선 반사층(130)이 형성되어 있고, 근적외선 반사층(130)의 배면에는 자외선 흡수층(15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사용시 필름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하드 코팅층(140)이 원전외선 반사층(12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4에 도시된 윈도우 필름은 원적외선 반사층(120)이 건물 내부 공간쪽에 위치하고 자외선 흡수층(150)이 윈도우 쪽에 위치하도록, 윈도우에 라미네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자외선 흡수층(150)의 배면은 보호용 라이너(160)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보호용 라이너(160)는 노출되는 자외선 흡수층(150)의 배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윈도우 필름을 윈도우에 라미네이트하기 직전에 이형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갖는 윈도우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윈도우(500)에는 윈도우 필름(510)이 라미네이트되어 있다. 도 5a의 경우 윈도우 필름(510)이 윈도우(500)의 내측면에 라미네이트되어 있으며, 도 5b의 경우 윈도우 필름(510)이 윈도우(500)의 외측면에 라미네이트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각각의 예에서 윈도우 필름(510)은 원적외선 반사층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 필름(510)의 훼손 방지 및 박리 방지 등의 측면을 고려할 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윈도우 필름(510)의 라미네이트 형태 중 도 5a의 경우, 즉 윈도우 필름(510)이 윈도우(500)의 내측면에 라미네이트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6a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윈도우 내측면에 라미네이트되는 윈도우 필름의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윈도우 외측면에 라미네이트되는 윈도우 필름의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윈도우(500) 내측면에 라미네이트되는 윈도우 필름(610a)은 투명 기재필름(110), 투명 기재필름(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원적외선 반사층(120), 원적외선 반사층(120)의 전면에 형성되는 하드 코팅층(140), 투명 기재필름(110)의 배면에 형성되는 근적외선 반사층(130) 및 근적외선 반사층(130) 배면에 형성되는 자외선 흡수층(15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500) 내측면에 윈도우 필름(610a)이 라미네이트될 때에, 하드 코팅층(140)의 전면이 내부 공간에 노출된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윈도우(500) 외측면에 라미네이트되는 윈도우 필름(610b)은 투명 기재필름(110), 투명 기재필름의 전면에 형성되는 근적외선 반사층(130), 근적외선 반사층의 전면에 형성되는 자외선 흡수층(150), 자외선 흡수층(150)의 전면에 형성되는 하드 코팅층(140) 및 투명 기재필름(110)의 배면에 형성되는 원적외선 반사층(12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500) 외측면에 윈도우 필름(610b)이 라미네이트될 때에, 하드 코팅층(140)의 전면이 외부 공간에 노출된다.
한편, 윈도우(500)는 2면을 갖는 단층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최근건물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4면을 갖는 복층 유리로도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500)가 4면을 갖는 복층유리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윈도우 필름(510)은 복층 유리의 4면 중 어느 하나의 면, 바람직하게는 내부 공간에 접하는 면에 라미네이트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윈도우 필름(510)은 복층 유리의 4면 중 복수의 면들에도 라미네이트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유리의 내부 공간 쪽의 유리에는 도 6a에 도시된 구조의 윈도우 필름(610a)이 라미네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유리의 외부 공간 쪽의 유리에는 도 6b에 도시된 구조의 윈도우 필름(610b)이 라미네이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은 근적외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도 함께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윈도우는 고가의 저방사 유리를 이용하지 않고도, 건물 내부의 냉난방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10 : 기재필름
120 : 원적외선 반사층
130 : 근적외선 반사층
140 : 하드 코팅층
150 : 자외선 흡수층
160 : 보호용 라이너
500 : 윈도우
510, 610a, 610b : 윈도우 필름

Claims (17)

  1. 투명 기재필름;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전면에 형성되는 원적외선 반사층; 및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배면에 형성되는 근적외선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반사층은
    중심 파장이 1.4~2.2㎛인 한 쌍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및
    상기 한 쌍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사이에 형성되는 반파장 위상차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반사층은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배면에 형성되는 메탈층; 및
    상기 메탈층의 배면에 형성되는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반사층은 2.5~3㎛ 파장대의 적외선을 반사시키고,
    상기 근적외선 반사층은 0.8~1.4㎛ 파장대의 적외선을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co-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co-PMMA) 중에서 선택되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반사층의 전면 또는 상기 근적외선 반사층의 배면에 형성되는 하드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층은 광경화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드 코팅 용액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반사층의 배면에 형성되는 자외선 흡수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층은 PSA(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PABA(Para-AminoBenzoic Acid), 신나메이트(Cinnamate), 살리실레이트(Salicylate), 벤조페논(Benzophenone) 및 메틸 안트라니레이트(Methyl Anthranilat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층의 배면은 보호용 라이너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11. 삭제
  12. 삭제
  13. 원적외선 반사층을 구비하는 윈도우 필름이 라미네이트(laminate)되어 있으며,
    상기 윈도우 필름은
    투명 기재필름;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전면에 형성되는 원적외선 반사층;
    상기 원적외선 반사층의 전면에 형성되는 하드 코팅층;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배면에 형성되는 근적외선 반사층; 및
    상기 근적외선 반사층 배면에 형성되는 자외선 흡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필름은, 상기 하드 코팅층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윈도우의 내측면에 라미네이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15. 원적외선 반사층을 구비하는 윈도우 필름이 라미네이트(laminate)되어 있으며,
    상기 윈도우 필름은
    투명 기재필름;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전면에 형성되는 근적외선 반사층;
    상기 근적외선 반사층의 전면에 형성되는 자외선 흡수층;
    상기 자외선 흡수층의 전면에 형성되는 하드 코팅층; 및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배면에 형성되는 원적외선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필름은, 상기 하드 코팅층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윈도우의 외측면에 라미네이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반사층은
    중심 파장이 1.4~2.2㎛인 한 쌍의 콜레스테릭 액정층; 및
    상기 한 쌍의 콜레스테렉 액정층 사이에 형성되는 반파장 위상차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KR1020100033197A 2010-04-12 2010-04-12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및 그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윈도우 KR101255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97A KR101255881B1 (ko) 2010-04-12 2010-04-12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및 그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윈도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197A KR101255881B1 (ko) 2010-04-12 2010-04-12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및 그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윈도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879A KR20110113879A (ko) 2011-10-19
KR101255881B1 true KR101255881B1 (ko) 2013-04-17

Family

ID=4502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197A KR101255881B1 (ko) 2010-04-12 2010-04-12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및 그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윈도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8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38085B (zh) 2011-11-01 2014-05-21 A & R & D Technology Co Ltd 隔熱紙
KR101420928B1 (ko) * 2012-10-04 2014-07-16 박범규 건축물 내외장재의 다기능 칼라 코팅방법 및 이에 따른 다목적 방음벽용 칼라코팅 강화유리 및 이를 이용한 강화유리 조립체
KR101454839B1 (ko) * 2013-01-17 2014-10-28 진영 박 정전기방지기능이 형성된 차량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1906A (ja) * 2007-05-14 2008-11-20 Toppan Printing Co Ltd 熱線遮断性フィルム
JP2008308402A (ja) * 2007-05-11 2008-12-25 Toshin:Kk 熱線、遠赤外線侵入防止ガラ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8402A (ja) * 2007-05-11 2008-12-25 Toshin:Kk 熱線、遠赤外線侵入防止ガラス
JP2008281906A (ja) * 2007-05-14 2008-11-20 Toppan Printing Co Ltd 熱線遮断性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879A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6743B2 (ja) 透明スクリーン機能を備えた透明遮熱断熱部材
JP6617985B2 (ja) 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における明所コントラストの改善方法
KR101512887B1 (ko) 광학체 및 그 제조 방법, 창재, 건구, 및 일사 차폐 장치
KR101697779B1 (ko) 광학필름
JP5983898B1 (ja) 調光シートおよび調光板
JP6840733B2 (ja) アイウェア用光学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積層体およびアイウェア
JP6547611B2 (ja) 調光シートおよび調光板
TWI572946B (zh) 顯示裝置及液晶面板保護之方法
JP2011509193A5 (ko)
JP2004507781A (ja) 損失強化型反射光フィルタ
KR20140137318A (ko) 양면 투명 도전성 필름 및 터치 패널
EP2899574A1 (en) Heat ray cutt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laminated glass and heat ray cutting member
KR20070095418A (ko) 반사방지필름
JP4858269B2 (ja) 熱線遮断ガラス
KR20150034631A (ko)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명소 콘트라스트의 개선 방법
US8711307B2 (en) Heat shield and laminated glass
KR101255881B1 (ko) 원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윈도우 필름 및 그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윈도우
WO2012091387A3 (ko)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KR101453471B1 (ko) 차광필름
JP2018106054A (ja) ガラス用フィルム、及びガラス
KR101753879B1 (ko) 유기 발광 표시 소자
JP6540161B2 (ja) 合わせガラス
JP7391338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01108981A (ja) 表面保護フィルム、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4691356B2 (ja) 画像表示装置用の視野角規制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