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799B1 -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 Google Patents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0799B1 KR100960799B1 KR1020090048838A KR20090048838A KR100960799B1 KR 100960799 B1 KR100960799 B1 KR 100960799B1 KR 1020090048838 A KR1020090048838 A KR 1020090048838A KR 20090048838 A KR20090048838 A KR 20090048838A KR 100960799 B1 KR100960799 B1 KR 1009607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 oscillator
- voltage
- integrator
- outpu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differential amplifiers or compara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233—Bistable circuits
- H03K3/02337—Bistables with hysteresis, e.g. Schmitt trigg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진주파수에 지터 성분이 포함되는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회로는, 적분기(100)를 구성하는 전류원(101)과 전류원으로부터 흘러나온 전류를 충전시키는 커패시터(102), 적분기(100)의 출력 V1을 받아들여 기준전압 V2 및 Vref2와 각각 비교하여 출력을 내보내는 두 개의 비교기(121, 122)와 두 개의 비교기(121, 122)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들여 최종출력 Vout을 내보내는 래치(123), 최종출력 Vout의 신호를 받아 1/N로 분주시켜 주는 분주기(124), 기준전압 Vref1과 분주기(124)의 출력 V3 전압을 서로 더하여 상한제한 비교기(121)의 기준전압 V2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저항(111, 113), 커패시터(112)로 구성되어 있고, 적분기(100)의 출력 V1 전압을 리셋시키기 위하여 상기 최종출력 Vout이 “하이” 상태가 되면 ON이 되는 NMOS 트랜지스터(10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적분기(100)를 구성하는 전류원(101)과 커패시터(102)의 각각 한 단자가 서로 연결되어 출력 V1 전압을 내보내고 전류원(101)의 한 단자는 VDD에 연결되고 커패시터(102)의 한 단자는 GND에 연결되어 있으며, 적분기(100)의 출력 V1을 양 입력단자로 전압 V2를 음 입력단자로 받아들이는 상한제한 비교기(121), 적분기(100)의 출력 V1을 음 입력단자로 기준전압 Vref2를 양 입력단자로 받아들이는 하한제한 비교기(122), 이 두 비교기(121, 122)의 출력을 각각 S 입력과 R 입력으로 받아 들여 출력 Q를 내보내는 래치(123), 래치의 출력 Q를 발진기 최종 출력 Vout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상한제한 비교기(121)의 음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V2를 결정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기준전압 Vref1에 연결된 저항(111)과 발진기 출력 Vout을 받아 들여 1/N으로 분주시키는 분주기(124) 및 분주기(124)의 출력 V3 전압을 받아들이는 분주기(124)에 연결된 저항(113)을 포함하되, Vref1에 연결된 저항(111) 및 분주기에 연결된 저항(113)의 단자가 서로 연결되어 전압 V2를 생성하고 이 단자에 커패시터(112)의 한 단자가 연결되어 이 단자의 전압이 V2를 나타내고 커패시터(112)의 다른 단자는 GND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터링 방식의 발지기는, 변동전압 V2를 입력받아 적분기 출력 V1이 V2보다 크면 출력(Vout)으로서 제1출력값을 출력하고, V1이 기준전압 Vref2보다 낮으면 출력(Vout)으로서 제2출력값을 출력하는 발진기와, 발진기의 출력(Vout)을 입력받아 소정의 분주비에 따라 분주시켜 출력 V3을 출력하는 분주기와, V3을 입력받아 상기 V3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변동전압 V2를 생성하여 발진기로 입력하는 저역필터링회로를 포함하되, V2의 지터링으로 인해 발진기의 발진주파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제1출력값은 “하이”이고, 제2출력값은 “로우”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발진기는, V1을 출력하는 적분기와, V1과 V2를 비교하기 위한 제1비교기와, V1과 Vref2를 비교하기 위한 제2비교기와, V1이 V2보다 크면 제1출력값을 출력하고 V1이 Vref2보다 낮으면 제2출력값을 출력하는 래치와, 래치로부터 제1출력값을 입력받으면 온(ON) 상태로 변경되어 적분기의 출력을 방전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저역필터링회로는 V2의 변동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 및 V3를 저역 필터링하기 위한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7)
- 발진주파수에 지터 성분이 포함되는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회로에 있어서,적분기(100)를 구성하는 전류원(101)과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흘러나온 전류를 충전시키는 커패시터(102), 상기 적분기(100)의 출력 V1을 받아들여 기준전압 V2 및 Vref2와 각각 비교하여 출력을 내보내는 두 개의 비교기(121, 122)와 상기 두 개의 비교기(121, 122)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들여 최종출력 Vout을 내보내는 래치(123), 상기 최종출력 Vout의 신호를 받아 1/N로 분주시켜 주는 분주기(124), 기준전압 Vref1과 분주기(124)의 출력 V3 전압을 서로 더하여 상한제한 비교기(121)의 기준전압 V2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저항(111, 113), 커패시터(112)로 구성되어 있고, 적분기(100)의 출력 V1 전압을 리셋시키기 위하여 상기 최종출력 Vout이 “하이” 상태가 되면 ON이 되는 NMOS 트랜지스터(103)로 구성되어 있는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회로.
- 제1항에 있어서,적분기(100)를 구성하는 전류원(101)과 커패시터(102)의 각각 한 단자가 서로 연결되어 출력 V1 전압을 내보내고 상기 전류원(101)의 한 단자는 VDD에 연결되고 커패시터(102)의 한 단자는 GND에 연결되어 있으며, 적분기(100)의 출력 V1을 양 입력단자로 전압 V2를 음 입력단자로 받아들이는 상한제한 비교기(121), 적분기(100)의 출력 V1을 음 입력단자로 기준전압 Vref2를 양 입력단자로 받아들이는 하한제한 비교기(122), 이 두 비교기(121, 122)의 출력을 각각 S 입력과 R 입력으로 받아 들여 출력 Q를 내보내는 래치(123), 래치의 출력 Q를 발진기 최종 출력 Vout으로 하는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회로.
- 제1항에 있어서,상한제한 비교기(121)의 음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 V2를 결정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기준전압 Vref1에 연결된 저항(111)과 발진기 출력 Vout을 받아 들여 1/N으로 분주시키는 분주기(124) 및 분주기(124)의 출력 V3 전압을 받아들이는 분주기(124)에 연결된 저항(113)을 포함하되,Vref1에 연결된 저항(111) 및 분주기에 연결된 저항(113)의 단자가 서로 연결되어 전압 V2를 생성하고 이 단자에 커패시터(112)의 한 단자가 연결되어 이 단자의 전압이 V2를 나타내고 커패시터(112)의 다른 단자는 GND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회로.
- 변동전압 V2를 입력받아 적분기 출력 V1이 상기 V2보다 크면 출력(Vout)으로서 제1출력값을 출력하고, V1이 기준전압 Vref2보다 낮으면 출력(Vout)으로서 제2출력값을 출력하는 발진기;상기 발진기의 출력(Vout)을 입력받아 소정의 분주비에 따라 분주시켜 출력 V3을 출력하는 분주기; 및상기 V3을 입력받아 상기 V3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변동전압 V2를 생성하여 상기 발진기로 입력하는 저역필터링회로를 포함하되,상기 V2의 지터링으로 인해 상기 발진기의 발진주파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값은 “하이”이고, 상기 제2출력값은 “로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V1을 출력하는 적분기;V1과 V2를 비교하기 위한 제1비교기;V1과 Vref2를 비교하기 위한 제2비교기;V1이 V2보다 크면 제1출력값을 출력하고 V1이 Vref2보다 낮으면 제2출력값을 출력하는 래치; 및상기 래치로부터 제1출력값을 입력받으면 온(ON) 상태로 변경되어 적분기의 출력을 방전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필터링회로는,상기 V2의 변동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 및상기 V3를 저역 필터링하기 위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8838A KR100960799B1 (ko) | 2009-06-03 | 2009-06-03 |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8838A KR100960799B1 (ko) | 2009-06-03 | 2009-06-03 |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60799B1 true KR100960799B1 (ko) | 2010-06-01 |
Family
ID=4236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88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0799B1 (ko) | 2009-06-03 | 2009-06-03 |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079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18978B1 (en) | 2019-01-22 | 2019-09-17 |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 Duty cycle controller with calibration circui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7960B1 (ko) * | 2005-02-24 | 2006-08-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자가 발진형 펄스 폭 변조회로 및 펄스 폭 변조 방법 |
-
2009
- 2009-06-03 KR KR1020090048838A patent/KR10096079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7960B1 (ko) * | 2005-02-24 | 2006-08-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자가 발진형 펄스 폭 변조회로 및 펄스 폭 변조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18978B1 (en) | 2019-01-22 | 2019-09-17 |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 Duty cycle controller with calibration circuit |
WO2020150977A1 (en) * | 2019-01-22 | 2020-07-30 |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 Duty cycle controller with calibration circu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605677B (zh) | 斜率補償模組、類比脈衝寬度調變產生器及用於在切換模式電源供應器控制器中提供斜率補償之方法 | |
JP6790583B2 (ja) |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 |
CN108712160B (zh) | 一种展频时钟信号产生电路和切换式电源转换器 | |
JP5634028B2 (ja) | 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dc−dcコンバータ、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 |
US10164529B2 (en) |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or and method | |
US10069427B2 (en) |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 |
CN101610037B (zh) | 电力转换器的具有切换频率跳跃的切换控制器 | |
CN102025265A (zh) | 一种频率抖动电路 | |
CN112994453B (zh) | 电源转换器的时间信号产生电路及其控制方法 | |
CN101626225A (zh) | 锯齿波产生电路和具有其的开关模式电源装置 | |
JP2012054626A (ja) | 出力スイッチング回路 | |
CN112311360A (zh) | 一种无需参考时钟的高精度振荡器 | |
US8686801B2 (en) | Power supply and DC-DC-conversion | |
JP4861714B2 (ja) | スペクトラム拡散クロック発生回路 | |
US10256726B2 (en) | Voltage conversion apparatus including output unit, comparator, delay circuit, and control circuit | |
JP5576078B2 (ja) | Dc−dcコンバータ制御回路 | |
JP2015126617A (ja) | Dc−dcコンバータ、および、半導体集積回路 | |
CN106230385A (zh) | 振荡频率可调整的时钟产生电路 | |
JP2004104645A (ja) | 三角波発生装置、パルス幅変調信号生成装置、及び外部同期/内部同期/非同期切替装置 | |
KR100960799B1 (ko) | 지터링 방식의 발진기 | |
CN206117598U (zh) | 振荡频率可调整的时钟产生电路 | |
US12176807B2 (en) | Spread spectrum adaptive on time voltage converter | |
CN100472925C (zh) | 具有频率调变以降低电源转换器电磁干扰的控制电路 | |
JP5450470B2 (ja) | 鋸波生成回路 | |
JP2017143416A (ja) | 発振回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6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