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515B1 - 다트 게임 장치 - Google Patents

다트 게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515B1
KR100959515B1 KR1020080073960A KR20080073960A KR100959515B1 KR 100959515 B1 KR100959515 B1 KR 100959515B1 KR 1020080073960 A KR1020080073960 A KR 1020080073960A KR 20080073960 A KR20080073960 A KR 20080073960A KR 100959515 B1 KR100959515 B1 KR 10095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rt
unit
display
display unit
dart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521A (ko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닌
Priority to KR1020080073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5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04Targets therefor
    • A63F9/0208Targets therefor the projectile being connectable to the target, e.g.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 hoo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5/00Implements for throwing  ; Mechanical projectors, e.g. using spring force
    • A63B65/02Spears or the like ; Javel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63F9/0204Targets therefor
    • A63F9/0208Targets therefor the projectile being connectable to the target, e.g.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 hooks
    • A63F2009/0221Targets therefor the projectile being connectable to the target, e.g.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 hooks with penetrating spikes, e.g. as in d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oy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다트 게임 장치가 제공된다.
다트 게임 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다트 보드,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다트 보드의 외곽의 제 1 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이 상기 다트 보드와 대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다트 보드의 일부 이상을 가리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다트, 디스플레이부

Description

다트 게임 장치{DART GAME APPARATUS}
본 발명은 다트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다트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트 게임은 끝이 뾰족한 다트(dart)를 코르크 또는 목재 등의 다트 보드로 던져서 다트가 꽂힌 위치에 대응하는 다트 보드 상에 표시된 점수를 다트를 던진 사람에게 부여하는 게임이다.
최근에, 끝이 뾰족한 다트에 의한 안전 사고의 예방 및 다양한 규칙의 게임을 즐기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2003-005506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트 게임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2003-0055069호에 개시된 종래의 다트 게임 장치는 단지 다트 게임만을 즐길 수 있을 뿐, 다트 게임을 즐기지 않을 경우 단순히 실내 또는 실외를 장식하는 장식품으로만 이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단순히 실내 또는 실외를 장식하는 장식품으로 이용되는 것을 지양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0554959호에는 외부 표시기기를 구비하여 다트 게임 결과 또는 다트 게임이 진행되는 도중에 소정의 광고정보가 상기 외부 표시기기로 표시되는 다트 게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0554959호에 개시된 종래의 다트 게임 장치는 외부 표시기기가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외부 표시기기가 다트 게임 결과 또는 광고정보 등의 한정된 영상만을 표시할 뿐, 다양한 영상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필요에 의해 디스플레이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트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트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트 게임 장치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다트 보드, 상기 다트 보드의 외곽의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이 상기 다트 보드와 대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다트 보드의 일부 이상을 가리는 제 2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다트 게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 개의 암부를 연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암부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암부 및 상기 제 1 암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를 연결되어 있는 제 2 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배면 상에 위치한 쿠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비디오 게임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일부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디오 게임 등의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와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는 본체부(100), 다트 보드(200), 디스플레이부(300), 쿠션부(400), 가이드부(500), 조작부(600), 결제부(700) 및 음향부(8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나무, 고분자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져 있으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다트 보드(200)에 다트가 히트될 시 다트 게임 점수 판정 또는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영상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체부(100)의 전면 일측에는 다트 보드(200)가 위치하고 있다.
다트 보드(200)는 끝이 뾰족한 다트가 꽂힐 수 있도록 나무 또는 코르크 등의 연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단부에 자석이 구비된 다트가 자석에 의해 붙을 수 있도록 금속 또는 자성을 가진 물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트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홀을 구비한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트 보드(200)는 다트 보드(200)로 던져진 다트가 히트된 위치에 해당하는 점수 신호를 본체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다트 보드(200)의 외곽의 상측에 디스플레이부(300)가 위치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다트 보드(200)의 외곽의 상측인 제 1 위치(A)에 위치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LCD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별도로 구비되거나 또는 본체부에 구비된 제어부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영화, 광고, 다트 게임 결과 및 비디오 게임 등의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00)의 배면에는 쿠션부(400)가 위치하고 있다. 쿠션부(400)는 탄성 및 연성을 가지는 고무 등의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00)의 배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쿠션부(400)는 디스플레이부(300)와 다트 보드(200) 사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이동 시 디스플레이부(300) 또는 가이드부(500)에 의해 다트 보드(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쿠션부(400)의 상측에는 디스플레이부(300)와 본체부(100) 사이를 연결하는 가이드부(500)가 위치하고 있다.
가이드부(500)는 디스플레이부(300)가 제 1 위치(A)와 제 2 위치(B)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300)를 지지 및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제 1 연결부(510), 제 1 암부(520), 제 2 연결부(530), 제 2 암부(540) 및 제 3 연결부(550)를 포함한다. 제 1 암부(520)는 본체부(100)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연결부(510)를 통해 제 1 연결부(51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 2 암부(540)는 제 1 암부(520)와 제 2 암부(540)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530)를 통해 제 1 암부(5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 암부(540)와 디스플레이부(300)는 디스플레이부(300)에 장착되어 있는 제 3 연결부(550)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디스플레부(300)는 제 3 연결부(550)를 통해 제 2 암부(54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 다. 디스플레이부(300)는 가이드부(500)의 제 1 암부(520) 및 제 2 암부(540)를 이용해 제 1 위치(A)와 제 2 위치(B)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500)에 의한 디스플레이부(300)의 이동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조작부(600)는 다트 보드(200)의 하측에 위치한 본체부(10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 받는 역할을 한다. 조작부(600)는 조작부(6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이용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영상이 비디오 게임일 경우, 그 비디오 게임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비디오 게임의 종류에 따라, 조작부(600)는 비디오 게임에 표시되는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스틱 및 캐릭터의 행동을 결정하는 버튼을 구비한 형태이거나 또는 피아노 건반 같은 형태이거나 또는 컴퓨터에 사용되는 키보드 형태일 수 있다.
조작부(600)의 하측에는 결제부(700)가 위치하고 있다. 결제부(700)는 다트 보드(200)를 이용한 다트 게임 또는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즐기기 위한 비용의 결제를 수행하며, 카드 결제부(710), 지폐 투입부(720) 및 동전 투입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부(700)의 하측에는 음향부(800)가 위치한다.
음향부(800)는 본체부(100)에 구비된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다트 보드(200)를 이용한 다트 게임에 관련된 음향 또는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영상과 관련된 음향 또는 사용자의 다트 게임 욕구 또는 사용자의 영상 시청 욕구를 증가시키기 위한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가이드부(500)에 의한 디스플레이부(300)의 제 1 위 치(A) 및 제 2 위치(B)로의 이동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서 디스플레이부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킨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위치(A)는 다트 보드(200)의 외곽의 상측이며, 제 2 위치(B)는 다트 보드(200)의 전면이다. 가이드부(500)는 디스플레이부(300)가 제 1 위치(A)와 제 2 위치(A)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디스플레이부(300)가 제 1 위치(A)에 위치할 경우 다트 보드(200)는 외부로 노출되며, 디스플레이부(300)가 제 2 위치(B)에 위치할 경우 디스플레이부(300)는 다트 보드(200)의 일부 이상을 가리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300)를 제 1 위치(A)로부터 제 2 위치(B)로 이동시키게 되면, 본체부(100)에 장착된 제 1 연결부(510)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암부(520) 및 제 2 연결부(530)를 통해 제 1 암부(520)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암부(540)가 제 1 연결부(510)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 1 암부(520)는 본체부(100)에 지지되며, 본체부(100)에 의한 제 1 암부(520)의 지지에 의해 제 2 암부(540)는 제 2 연결부(530)를 중심으로 제 1 암부(520)보다 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암부(540)의 단부가 하측 방향을 향하게 되며, 제 2 암부(540)와 디스플레이부(300)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 3 연결부(55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부(300)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정면을 향하는 제 2 위치(B)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 2 위치(B)로부터 제 1 위치(A)의 디스플레이부(300)의 이동은 상술 한 순서의 역순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가이드부(50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00)가 제 1 위치(A)와 제 2 위치(B) 사이를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부(300)의 배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300)와 다트 보드(200)의 사이를 완충시키는 쿠션부(400)에 의해 가이드부(500) 또는 디스플레이부(300)의 간섭에 의해 다트 보드(20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가이드부(500)의 가이드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00)는 제 1 위치(A) 및 제 2 위치(B)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 1 위치(A)와 제 2 위치(B) 사이의 어떤 위치로도 이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에 의하면, 다트 보드(200)를 이용한 다트 게임을 즐기지 않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비디오 게임 등의 영상을 즐기고 싶을 때, 제 1 위치(A)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디스플레이부(300)의 배면이 다트 보드(200)와 대향하여 디스플레이부(300)가 다트 보드(200)의 일부 이상을 가리는 제 2 위치(B)로 이동시킨 후, 조작부(600)를 이용해 비디오 게임 등의 다양한 영상을 즐길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1 위치(A)에 있는 디스플레이부(300)를 사용자가 비디오 게임 등의 영상을 즐길 수 있는 높이인 제 2 위치(B)로 이동시킨 후, 비디오 게임 등의 다양한 영상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가 제 2 위치(B)에 있는 경우, 다트 보드(200)를 이용한 다트 게임을 즐기고 싶은 사용자는 제 2 위치(B)에 있는 디스플레이부(300)를 다트 보드(200) 외곽의 상측인 제 1 위치(A)로 이동시킨 후, 다트 및 다트 보 드(200)를 이용하여 다트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는 다트 보드(200)과 별개로 디스플레이부(300)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영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다트 게임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가이드부(50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300)를 다트 보드(200)의 전방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디오 게임, 광고 등의 다양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제 1 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적인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하며, 설명이 생략된 부분은 제 1 실시예에 따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는 본체부(100), 다트 보드(200), 디스플레이부(300), 쿠션부(400), 가이드부(500), 조작부(600), 결제부(700), 음향부(800), 가이드 구동부(900) 및 이동 버튼(1000)을 포함한다.
가이드 구동부(900)는 가이드부(500)와 연결되어 있으며, 가이드부(500)를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300)를 제 1 위치(A)와 제 2 위치(B) 사이로 이동시키는 역 할을 한다. 도 4에서는 가이드 구동부(900)가 가이드부(500)와 이격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가이드 구동부(900)는 가이드부(500) 내에 위치하는 모터 등의 구동 장치일 수 있다.
이동 버튼(1000)은 본체부(100) 외부에 노출되어 가이드 구동부(9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가이드 구동부(900)을 온(on)하여 가이드부(500)를 구동시켜 디스플레이부(300)를 제 1 위치(A) 또는 제 2 위치(B)로 이동시킨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는 가이드 구동부(900) 및 이동 버튼(100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00)가 자동으로 제 1 위치(A)와 제 2 위치(B) 사이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 수고 및 사용자에 의한 위치 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적인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하며, 설명이 생략된 부분은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는 본체부(100), 다트 보드(200), 디스플레이부(300), 쿠션부(400), 가이드부(500), 결제부(700), 음향부(800) 및 가이드 구동부(9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00)는 터치 스크린부(310)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부(310)는 사람의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을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이다. 터치 스크린부(310)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위치하는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등의 투명 전극 재질의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물리적인 터치(touch)에 대응하여 그 좌표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본체부(100) 내에 위치하는 컴퓨터 또는 가이드 구동부(9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터치 스크린부(310)는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비디오 게임 등의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 받는다.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에 따라 터치 스크린부(310) 하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영상을 선택하는 선택 버튼이 표시되거나, 선택된 영상이 비디오 게임일 경우 비디오 게임에 표시되는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방향 버튼 및 캐릭터의 행동을 결정하는 버튼, 화상 키보드, 디스플레이부(300)의 위치 이동 버튼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는 디스플레이부(300)에 포함된 터치 스크린부(310)를 이용해, 비디오 게임 등의 영상을 위한 별도의 버튼 또는 가이드부(500)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버튼이 필요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는 터치를 통해 장 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다트 게임 또는 비디오 게임 등의 다양한 영상을 즐기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300)가 위치하는 제 1 위치(A)는 다트 보드(200)의 외곽의 상측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트 보드(200) 외곽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하측 등의 다트 보드(200) 외곽의 어떠한 위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500)는 암(arm)과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레일형 힌지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500)가 레일형 힌지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디스플레이부(300)는 가이드부(500)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제 1 위치(A)와 제 2 위치(B) 사이로 이동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디스플레이부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킨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의 정면도이다.

Claims (5)

  1. 다트 게임 장치에 있어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다트 보드,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다트 보드의 외곽의 제 1 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이 상기 다트 보드와 대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다트 보드의 일부 이상을 가리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다트 게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 개의 암부를 연결한 것인 게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암부는,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암부 및
    상기 제 1 암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를 연결되어 있는 제 2 암부
    를 포함하는 다트 게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배면 상에 위치한 쿠션부를 더 포함하는 다트 게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비디오 게임을 표시하는 것인 다트 게임 장치.
KR1020080073960A 2008-07-29 2008-07-29 다트 게임 장치 KR100959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960A KR100959515B1 (ko) 2008-07-29 2008-07-29 다트 게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960A KR100959515B1 (ko) 2008-07-29 2008-07-29 다트 게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521A KR20100012521A (ko) 2010-02-08
KR100959515B1 true KR100959515B1 (ko) 2010-05-27

Family

ID=4208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960A KR100959515B1 (ko) 2008-07-29 2008-07-29 다트 게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5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5524A1 (en) 2001-11-02 2003-05-08 Thomas Ross Telescoping housing
JP2005278916A (ja) 2004-03-30 2005-10-13 Sanyo Product Co Ltd 遊技機
JP2006309027A (ja) 2005-04-28 2006-11-09 Sega Corp 薄型ディスプレイ付き装置
JP2007175367A (ja) 2005-12-28 2007-07-12 Daikoku Denki Co Ltd 台毎情報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5524A1 (en) 2001-11-02 2003-05-08 Thomas Ross Telescoping housing
JP2005278916A (ja) 2004-03-30 2005-10-13 Sanyo Product Co Ltd 遊技機
JP2006309027A (ja) 2005-04-28 2006-11-09 Sega Corp 薄型ディスプレイ付き装置
JP2007175367A (ja) 2005-12-28 2007-07-12 Daikoku Denki Co Ltd 台毎情報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521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6975B1 (en) Character motion along a path drawn on a touch screen
US8113954B2 (en) Game apparatus, storage medium storing game program and game controlling method for touch input monitoring
US9427663B2 (en) Touch-controlled game character motion providing dynamically-positioned virtual control pad
TWI536253B (zh) 附加通訊裝置
US8323104B2 (en) Hand-held game apparatus and game program
AU20132265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visual interface content
US20040130525A1 (en) Dynamic touch screen amusement game controller
US20100285881A1 (en) Touch gesturing on multi-player game space
US20130296057A1 (en) Gesture fusion
US2006011235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09070370A (ja) 仮想マウス装置、及び遊技機
US8684841B2 (en)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on and game apparatus
EP2072097A3 (en) Virtual card gaming system
JP2007029222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電子機器
JP2017079864A (ja) 遊技機
JP2019083964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US9072968B2 (en) Game device, game control method, and game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game on the basis of a position input received via touch panel
JP5331145B2 (ja) 電子書籍ゲーム装置
JP2010273891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KR100959515B1 (ko) 다트 게임 장치
JP2019083965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JP6530186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
EP1854520B1 (en) Game program and game apparatus
JP3162116U (ja) 遊技機
Teather et al. Tilt-Touch synergy: Input control for “dual-analog” style mobile g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