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040B1 -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040B1
KR100959040B1 KR1020080016759A KR20080016759A KR100959040B1 KR 100959040 B1 KR100959040 B1 KR 100959040B1 KR 1020080016759 A KR1020080016759 A KR 1020080016759A KR 20080016759 A KR20080016759 A KR 20080016759A KR 100959040 B1 KR100959040 B1 KR 10095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oor lock
lock device
attached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478A (ko
Inventor
김세진
지용민
Original Assignee
블루솔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솔텍(주) filed Critical 블루솔텍(주)
Priority to KR102008001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0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2009/004Shape of the lock hous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디지털 키패드가 설치된 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드 가능한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그 테두리 영역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탈착홈과, 상기 테두리 영역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 상에 외부커버가 부착되거나 상기 외부커버가 상기 상부커버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홈은 상기 상부커버의 외부영역 방향으로 "ㄴ"자형으로 형성되어, 도어락 장치의 커버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 또는 형상을 가진 외부커버를 부착할 수 있고, 임의로 탈착가능하게 하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장기간의 사용으로 식상해지거나 외부커버의 표면이 훼손되었을 경우에 외부표면만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슬라이드 커버 또는 도어락 장치를 교체하는 낭비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어락 장치, 안착부, 돌기부, 슬라이드 커버

Description

도어락 장치{DOOR LOCK DEVICE}
본 발명의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락의 상부 및 하부 커버상에 교환가능한 외부커버를 부착 또는 탈착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어락 장치는 도어(door)에 장착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도어를 도어프레임(doorframe, 문틀)에 고정시키거나,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보안용 장치이다.
통상적인 도어(Door) 키 장치로는 기계식 키 장치와 전자식 키 장치가 있다. 기계식 키 장치는 해당 도어 키에 대응하는 기계적 구조를 가진 도어 키 장치의 기계적인 정합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한편, 전자식 키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자적 신호나 비밀 번호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전자식 키 장치 중 하나로서 최근에는 전자 정보를 이용한 키 장치가 실용화 되고 있다. 전자 정보를 이용한 키 장치는 일반적인 기계식 키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ID 코드가 저장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내장한 전자 정보 키와 이 전자 정보 키의 ID 코드를 확인하여 전자 정보키를 인증하는 키 판독장치를 구비한 도어 키 장치이다. 전자 정보를 이용한 키 시스템은 도어 키 조작이 간편하고 기계식 키와는 달리 무단 복사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기계식 키나 전자 정보를 이용한 키는 분실의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기계식 키 또는 전자 정보를 이용한 키 중 어느 하나와 10 개의 숫자키와 "*"와 "#" 키를 배치한 디지털 키패드(Digital Keypad)를 함께 사용하여, 기계식 키 또는 전자 정보를 이용한 키를 분실한 경우 디지털 키패드에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키 장치가 최근에 일반화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전자식 또는 기계식 키 장치, 즉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형태에 따라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등이 훼손될 수도 있고,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식상함을 줄 수 있는 바, 이에 따라 도어락 장치를 교환하여야 하는 등의 많은 경제적인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락 장치의 커버의 훼손이나 교환시에 도어락 장치의 교환을 하여야 하는 별도의 설치상의 조작이 필요 없이 간단하게 도어락 장치의 커버상에 부착된 외부커버를 탈착하고 새로운 다른 커버를 부착하여 줄 수 있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디지털 키패드가 설치된 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드 가능한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그 테두리 영역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탈착홈과, 상기 테두리 영역내부에 형성되고, 외부커버를 탈착 또는 부착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홈은 상기 상부커버의 외부영역 방향으로 “ㄴ”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커버는 금속물 또는 비금속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는 양면테이프 또는 다른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외부커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외부커버를 부착시 상기 외부커버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하여 하단부에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외부커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키패드가 설치된 본체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상부커버와, 레버가 설치된 본체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는 각 표면의 테두리 영역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탈착홈과,상기 테두리 영역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 상에 제1 및 제2 커버가 부착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커버가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홈은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 표면의 외부영역 방향으로 “ㄴ”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커버는 금속물 또는 비금속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는 양면테이프 또는 다른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제1 커버 및 제2 커버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제1 커버를 부착시 상기 제1 커버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하여 표면의 하단부에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1 커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하부표면과 상기 레버의 접합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키패드가 설치된 본체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상부커버와, 레버가 설치된 본체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는 각 표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 상에 제3 및 제4 커버가 부착되거나 상기 제3 및 제4 커버가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제3 및 제4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커버는 금속물 또는 비금속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및 제4 안착부는 양면테이프 또는 다른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제3 커버 및 제4 커버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제3 커버를 부착시 상기 제3 커버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하여 표면의 하단부에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3 커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커버는 상기 하부표면과 상기 레버의 접합부분을 제외한 영역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에 의하면 도어락 장치의 커버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 또는 형상을 가진 외부커버를 부착할 수 있고, 임의로 탈착가능하게 하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장기간의 사용으로 식상해지거나 외부커버의 표면이 훼손되었을 경우에 외부표면만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슬라이드 커버 또는 도어락 장치를 교체하는 낭비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락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부커버가 부착된 도어락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2는 도1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본체 상부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부착된 도어락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4는 도3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커버 및 제4 커버가 부착된 도어락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6은 도5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본체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부커버가 부착된 도어락 장치는 디지털 키패드(미도시)가 설치된 본체(10)의 상부에 슬라이드 가능한 상부커버(2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20)는 테두리 영역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탈착홈(40h)과, 상기 테두리 영역내부에 형성되고 외부커버(30a)를 탈착 또는 부착할 수 있는 안착부(40)를 포함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디지털 키패드(미도시)는 슬라이드(Slide) 가능한 구조물을 구비한 슬라이드 커버(이하, 상부커버라고 함)로 덮어 놓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커버를 장착한 도어락 장치를 하나의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탈착홈(40h)은 상부커버(20)의 외부영역 방향으로 “ㄴ”자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부커버(20)상에 부착되는 외부커버(30a)의 탈착 또는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외부커버(30a)를 간단하게 탈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즉, 안착부(40)에 의하여 부착되는 외부커버(30a)는 안착부(40)의 면적을 초과하는 영역에 대하여 탈착홈(40h)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외부커버(40a)를 탈착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탈착홈(40h)의 상부에 검은색이나 이와 유사한 어두운 색을 가미하여줌으로써, 외부커버(30a)와 상부커버(20)사이의 접착부위등을 눈에 띄지 않게 처리하여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탈착홈(40h)의 형상 및 색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ㄴ"자 형 및 검은색이외의 것도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커버(30a)는 금속물 또는 비금속물로 구성될 수도 있는바, 이는 금속성분의 물질이나 비금속성분인 가죽 또는 플라스틱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커버(30a)를 사용자 기호에 맞게 튼튼한 재질로 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게 할 수도 있고, 표면이 곡선을 이룬다거나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안착부(40)는 양면테이프 또는 다른 접착제에 의하여 외부커버(30a)를 도어락 장치의 상부 표면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또한, 부착될 외부커버(30a)의 내부표면에 양면테이프 또는 다른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부커버(20)는 외부커버(30a)를 부착할 경우에 상기 외부커버(30a)가 상하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외부커버(30a)의 위치를 잡아주기하기 위하여 상부커버(20)의 하단부에 돌출부(50)를 형성하여 줄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50)의 폭은 외부커버(30a)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하고, 이에 대응하여 외부커버(30a)의 하단부도 돌출부(50)와 결합되도록 외부커버(30a)의 폭 또는 그 이상만큼의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돌출부(50)의 상 하측 말단은 외부 커버(30a)가 완전히 부착된 경우에, 외부 커버(30a)의 수용부에 걸리게 되어 외부 커버(30a)가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3 및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디지털 키패드(미도시)가 설치된 본체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상부커버(20)와, 레버(70)가 설치된 본체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60)를 포함하고,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60)에는 각 표면의 테두리 영역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탈착홈(40h)과, 테두리 영역내부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커버(30a, 30b)를 탈착 또는 부착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안착부(40a, 4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나타난 제1 및 제2 커버(30a, 30b)와 제1 및 제2 안착부(40a, 40b)는, 상기 도1 및 도2에 나타난 외부커버(30) 및 안착부(40)와 그 기능 및 종류가 동일하여 이하 이에 대하여는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하부 표면에 부착되는 제2 커버(30b)는 하부커버(60)와 레버(70)의 접합부분을 제외한 영역, 즉 레버(70)의 손잡이 부분이 하부커버(60)에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대하여 제2 커버(30b)가 부착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커버(30b)는 레버(70)와 연결되는 부분의 모형, 예를 들어 원형, 사각형등의 형상에 따라 홀을 형성하여 하부표면에 부착하여준다.
여기서, 제2 커버(30b)가 레버(70)와 연결되는 부분이 원형일 경우 그 부분의 지름과 제2 커버(30b)의 지름이 동일하게 하거나 제2 커버(30b)의 지름이 더 크게 형성하여 부착하여 레버의 주변을 덮어주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60)의 경계를 나타내고, 상하 경계선이 평행하게 형성된 가이드커버(80)는 도어락장치의 제조시에 임의로 그 높이, 폭등을 조정될 수 있다.
도5 및 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디지털 키패드(미도시)가 설치된 본체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상부커버(20)와, 레버(70)가 설치된 본체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60)를 포함하고,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60)는 각 표면상에 형성되어 제3 및 제4 커버(30c, 30d)를 탈착 또는 부착할 수 있는 제3 및 제4 안착부(40c, 4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나타난 제3 및 제4 커버(30a, 30b)와 제3 및 제4 안착부(40c, 40d)는, 상기 도1 및 도2에 나타난 외부커버(30) 및 안착부(40)와 그 기능 및 종류가 동일하여 이하 이에 대하여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3 및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 표면에 부착되는 제4 커버(30d) 는 하부커버(60)와 레버(70)의 접합부분을 제외한 영역, 즉 레버(70)의 손잡이 부분이 하부 표면에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대하여 제2 커버(30d)가 부착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락 장치는 커버의 훼손이나 교환시에 커버나 도어락 장치의 교환을 하여야 하는 별도의 설치상의 조작이 필요 없이 간단하게 도어락 장치의 커버상에 부착된 외부커버를 탈착하여 새로운 다른 커버를 부착하여 줄 수 있게 하여줌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의 커버를 간단하게 탈착 또는 부착하여줌으로써, 주문형 OEM방식으로 간단하게 외부커버만을 제조하여 공급하여줌으로서, 제조사들의 제조비용을 절감시켜줄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부커버가 부착된 도어락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2는 도1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본체 상부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부착된 도어락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4는 도3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커버 및 제4 커버가 부착된 도어락 장치의 측면도,
도6은 도5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Claims (19)

  1. 디지털 키패드가 설치된 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드 가능한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그 테두리 영역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탈착홈; 및 상기 테두리 영역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 상에 외부커버가 부착되거나 상기 외부커버가 상기 상부커버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홈은 상기 상부커버의 외부영역 방향으로 “ㄴ”자형으로 형성되는, 도어락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버는 금속물 또는 비금속물로 구성되는 도어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양면테이프 또는 다른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외부커버에 부착되는 도어락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외부커버를 부착시 상기 외부커버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하여 하단부에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외부커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도어락 장치.
  7. 디지털 키패드가 설치된 본체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상부커버와, 레버가 설치된 본체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는 각 표면의 테두리 영역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탈착홈; 및 상기 테두리 영역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 상에 제1 및 제2 커버가 부착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커버가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부터 탈착될 있는 제1 및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홈은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 표면의 외부영역 방향으로 “ㄴ”자형으로 형성되는, 도어락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버는 금속물 또는 비금속물로 구성되는 도어락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착부는 양면테이프 또는 다른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제1 커버 및 제2 커버 표면에 부착되는 도어락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제1 커버를 부착시 상기 제1 커버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하여 표면의 하단부에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1 커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도어락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하부표면과 상기 레버의 접합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부착되는 도어락 장치.
  14. 디지털 키패드가 설치된 본체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상부커버와, 레버가 설치된 본체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는 각 표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 상에 제3 및 제4 커버가 부착되거나 상기 제3 및 제4 커버가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제3 및 제4 안착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커버는 금속물 또는 비금속물로 구성되는 도어락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안착부는 양면테이프 또는 다른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제3 커버 및 제4 커버 표면에 부착되는 도어락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제3 커버를 부착시 상기 제3 커버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하여 표면의 하단부에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3 커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도어락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버는 상기 하부표면과 상기 레버의 접합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부착되는 도어락 장치.
KR1020080016759A 2008-02-25 2008-02-25 도어락 장치 KR10095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759A KR100959040B1 (ko) 2008-02-25 2008-02-25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759A KR100959040B1 (ko) 2008-02-25 2008-02-25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478A KR20090091478A (ko) 2009-08-28
KR100959040B1 true KR100959040B1 (ko) 2010-05-20

Family

ID=4120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759A KR100959040B1 (ko) 2008-02-25 2008-02-25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0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501Y1 (ko) * 2004-08-09 2004-11-10 주식회사 아이레보 2단 슬라이드 방식의 커버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200409210Y1 (ko) 2005-12-01 2006-02-22 형성산업(주) 자석을 이용한 도어락 슬라이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501Y1 (ko) * 2004-08-09 2004-11-10 주식회사 아이레보 2단 슬라이드 방식의 커버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200409210Y1 (ko) 2005-12-01 2006-02-22 형성산업(주) 자석을 이용한 도어락 슬라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478A (ko) 200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6860B2 (en) Card storage mobile phone case
KR101257113B1 (ko) 백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로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는 링크 요소
JP5270129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取付構造
CN109415916B (zh) 车门构造
US8387186B2 (en) Assembly kit group
KR100959040B1 (ko) 도어락 장치
KR101066879B1 (ko) 셔터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광케이블 연결 모듈
JP4894583B2 (ja) 電気炊飯器
KR200468708Y1 (ko) 도어락용 터치패널
JP7371524B2 (ja) 車両におけるセンサ取付構造
KR102314028B1 (ko) 디지털 도어락의 설치조립체
JP4946587B2 (ja) 携帯機
KR200440561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84625Y1 (ko) 도어락의 케이스 구조체
JP7439672B2 (ja) テールゲート用スイッチ装置
KR20140001913U (ko) 케이스커버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용기기 보호케이스
JP5168648B2 (ja) 腕時計ケース
CN209572037U (zh) 一种独立按键结构手机壳
JP4690078B2 (ja) エレベータ押釦用防水・防塵カバー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の押釦装置
KR100960952B1 (ko) Pic 핸들용 스위치 어셈블리
KR101865218B1 (ko) 도어락 터치인증부의 보안장치
KR20190002608U (ko) 핸드폰 케이스
CN100496370C (zh) 带有一个用于盖的操纵元件的吸尘器
KR20220078036A (ko) 키보드 보호 케이스
JP4759459B2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