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708Y1 - 도어락용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도어락용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708Y1
KR200468708Y1 KR2020120007640U KR20120007640U KR200468708Y1 KR 200468708 Y1 KR200468708 Y1 KR 200468708Y1 KR 2020120007640 U KR2020120007640 U KR 2020120007640U KR 20120007640 U KR20120007640 U KR 20120007640U KR 200468708 Y1 KR200468708 Y1 KR 200468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ing
door lock
touch panel
tou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동호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120007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7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치패널의 내부에 장착된 탄성링에 의해 전면 터치부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는 도어락용 터치패널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전면의 터치부와, 중간의 하우징부와, 후면의 PCB를 포함하여 정전압을 감지하여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락용 터치패널으로서, 상기 하우징부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각각 탄성링이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면은 상기 터치부와 접착 테이프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된 연장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턱의 하부면에 상기 탄성링의 상면이 위치되어 상기 탄성링과 상기 터치부는 서로 격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락용 터치패널{TOUCH PANEL FOR DOOR LOCK}
본 고안은 도어락용 터치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터치패널의 내부에 장착된 탄성링의 탄성에 의해 전면 터치부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는 도어락용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 및 상점 등에서는 방범과 보안을 위하여 도어락이나 금고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계식 도어락이나 기계식 금고의 안전성이 위협을 받게 됨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과 디지털 금고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비밀번호 입력 방식을 갖는 종래 도어락을 살펴보면, 문의 내부와 외부에 도어락이 장착되며, 문의 내부에서는 사용자가 도어락의 다양한 기능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도어락의 내부측은 통상적으로 개폐 키, 강제 잠금 키, 수동 레버, 배터리, 내측 레버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문의 외부에는 문을 열기 위한 숫자 및 특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버튼, 및 외측 레버가 구비된다.
이에 사용자가 도어락이 장착된 문을 열고자 하는 경우, 문의 외부에 장착된 도어락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로 설정되어 있는 숫자 또는 기호의 조합을 순서대로 누름으로써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에 적용된 터치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도어락에 적용된 터치패널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종래의 도어락에 적용된 터치패널은 전면에 터치부(1)와 중간에 하우징부(2), 및 후면에 PCB(3)로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부(2)에는 다수의 관통공(4)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4)에는 각각 탄성링(5)이 삽입되고 하우징부(2)의 후면에는 PCB(3)가 장착되어 터치패널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PCB(3)는 다수의 볼트(6)를 통해 하우징부(2)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터치패널은 사용자가 터치부(1)에 형성된 숫자(비밀번호)를 누름으로써 도어락이 해정이 이루어지는데, 정전압 터치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터치부(1)와 PCB(3) 사이에 다수의 탄성링(5)이 하우징부(2)에 삽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탄성링(5)은 도 2와 같이 터치부(1)와 PCB(3)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지지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터치부(1)가 하우징부(2)에서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터치부(1)와 하우징부(2) 사이를 부착시키는 접착 테이프(7)에 들뜬 공간(C)이 발생된다.
즉, 터치부(1)는 통상적으로 하우징부(2)와 접착 테이프(7)을 통해 접착된 상태로 설치되나, 탄성링(5)의 탄성력에 의해 터치부(1)가 하우징부(2)의 전면에서 들뜨는 현상(도 2에서 'C'의 공간)이 발생되어 제품의 결함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터치패널의 내부에 장착된 탄성링에 의해 전면 터치부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는 도어락용 터치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면의 터치부와, 중간의 하우징부와, 후면의 PCB를 포함하여 정전압을 감지하여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락용 터치패널으로서, 상기 하우징부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각각 탄성링이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면은 상기 터치부와 접착 테이프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된 연장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턱의 하부면에 상기 탄성링의 상부면이 위치되도록 상기 탄성링과 상기 터치부가 구성된 도어락용 터치패널이 제공된다.
상기 탄성링의 상부면의 일부에는 상기 연장턱에서 벗어나 상기 터치부로 연장된 연장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링의 상부면은 각각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연장턱의 하부면과 일치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장돌기가 형성된 상기 탄성링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는 지지돌기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링의 연장돌기는 상기 터치부의 이면과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링의 일측면에만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터치부에 탄성링의 선단이 밀착되어 가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도어락의 터치패널 장착시 하우징부에서 터치패널의 전면판(터치부)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어락에 적용된 터치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도어락에 적용된 터치패널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터치패널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에 대한 부분 확대도, 및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터치패널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터치패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우선, 도 3과 같이 본 고안의 터치패널(100)의 A-A' 선을 따라 절단하면 도 4와 같은 단면을 볼 수 있다.
도 4와 같이 터치패널(100)은 터치부(10), 하우징부(20), 탄성링(30), 및 PCB(4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100)의 전면을 이루는 터치부(10), 후면을 이루는 PCB(40) 사이에 하우징부(20)가 개재되고, 이 하우징부(20) 내에는 다수의 탄성링(30; 30a,30b)이 장착된 구성을 갖는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우징부(20)는 도 1과 같이 다수의 관통공(21; 도 1에서는 '4'로 표시)이 형성되고, 각각의 관통공(21)에 탄성링(30a,30b; 30)이 각각 삽입된다.
한편, 관통공(21)의 상부측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연장턱(22)이 형성된다. 또한 이 관통공(21)에 삽입된 탄성링(30)에는 단턱(31)이 형성되어 탄성링(30)의 단턱(31)은 연장턱(22)에 맞춰져 결합된다(즉 하우징부의 연장턱에 탄성링이 안착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탄성링(30)의 상부면의 일부에는 연장턱(22)에서 벗어나 상부로 연장된 연장돌기(32)가 형성된다. 이때 연장돌기(32)는 터치부(10)의 이면에 거의 맞닿거나 접촉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링(30)의 일부가 터치부(10)의 이면에 접촉되지 않게 함으로써 하우징부(20)의 지지기둥(25)의 상면에 접착 테이프(50)로 부착된 터치부(10)가 탄성링(30)의 탄성력으로 인해 들뜨는 현상(도 2에서 'C'의 영역)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탄성링(30)에 상부에 형성된 연장돌기(32)와 별도로 탄성링(30)의 하부면에는 지지돌기(35)가 형성된다. 이 지지돌기(35)는 연장돌기(32)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탄성링(30)의 조립시 전후면(즉 연장돌기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조립)의 구분이 없이 용이하게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터치부(10)와 PCB(40) 사이의 하우징부(20)에 개재되는 탄성링(30)에 의해 터치부(10)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링(30)이 터치부(10)에 접촉되는 면적을 줄이거나 단절시키는데 주요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인체의 일부(특히 손가락)이 터치되는 것으로 정전 용량을 변화시키고 이를 PCB(40)가 감지하여 번호입력을 인식하는 일명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100)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탄성링(30)이 터치부(10)에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더라도 터치인식에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용 터치패널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로서, 도 6과 같이 탄성링(30)이 하우징부(20)의 연장턱(22) 내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터치부(10)와 완전히 단절된 상태를 이루어도 터치 감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탄성링(30)의 상하면에는 각각 연장돌기(32)와 지지돌기(35)가 형성되었지만 이를 배제하여도 무방하다. 즉 하우징부(20)에 개재된 탄성링(30)은 터치부(10)를 간섭하지 않도록 단절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터치부(1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터치부 20: 하우징부
21: 관통공 30: 탄성링
32: 연장돌기 22: 연장턱
35: 지지돌기 40: PCB
50: 접착 테이프 100: 터치패널

Claims (6)

  1. 전면의 터치부(10)와, 중간의 하우징부(20)와, 후면의 PCB(40)를 포함하여 정전압을 감지하여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락용 터치패널으로서,
    상기 하우징부(20)에는 다수의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1)에는 각각 탄성링(30)이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부(20)의 상부면은 상기 터치부(10)와 접착 테이프(50)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부(20)의 상기 관통공(21)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된 연장턱(22)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턱(22)의 하부면에 상기 탄성링(30)의 상부면이 위치되도록 상기 탄성링(30)과 상기 터치부(1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터치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30)의 상부면의 일부에는 상기 연장턱(22)에서 벗어나 상기 터치부(10)로 연장된 연장돌기(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터치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30)의 상부면은 각각 상기 하우징부(20)의 상기 연장턱(22)의 하부면과 일치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터치패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돌기(32)가 형성된 상기 탄성링(30)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는 지지돌기(35)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터치패널.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30)의 연장돌기(32)는 상기 터치부(10)의 이면과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터치패널.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30)의 일측면에만 지지돌기(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용 터치패널.
KR2020120007640U 2012-08-28 2012-08-28 도어락용 터치패널 KR200468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40U KR200468708Y1 (ko) 2012-08-28 2012-08-28 도어락용 터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640U KR200468708Y1 (ko) 2012-08-28 2012-08-28 도어락용 터치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708Y1 true KR200468708Y1 (ko) 2013-08-30

Family

ID=5139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640U KR200468708Y1 (ko) 2012-08-28 2012-08-28 도어락용 터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7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941B1 (ko) * 2016-09-12 2017-04-05 인규환 좌수 및 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도어록
US11933092B2 (en) 2019-08-13 2024-03-19 SimpliSafe, Inc. Mounting assembly for door lo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519Y1 (ko) * 2007-12-13 2009-08-06 (주)에버넷 터치패드가 구비된 도어록
KR200456866Y1 (ko) * 2009-08-20 2011-11-23 (주)혜강씨큐리티 디지털 도어록용 터치스크린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519Y1 (ko) * 2007-12-13 2009-08-06 (주)에버넷 터치패드가 구비된 도어록
KR200456866Y1 (ko) * 2009-08-20 2011-11-23 (주)혜강씨큐리티 디지털 도어록용 터치스크린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941B1 (ko) * 2016-09-12 2017-04-05 인규환 좌수 및 우수 도어 겸용 디지털도어록
US11933092B2 (en) 2019-08-13 2024-03-19 SimpliSafe, Inc. Mounting assembly for door 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07047S1 (en) Case with keyboard
USD790318S1 (en) Electronic door lock having 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717335B2 (en) Drawer stop mechanism for sliding drawer
USD892830S1 (en) Touch panel for scanner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0468708Y1 (ko) 도어락용 터치패널
USD820065S1 (en) Panel for electronic lock
US20160007487A1 (en) Protecting cas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07057056A1 (en) Mechanical key lock
US8563886B2 (en)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KR200367501Y1 (ko) 2단 슬라이드 방식의 커버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JP6875844B2 (ja) 認証機能付き什器
CN211714815U (zh) 一种无源智能锁装置
JP7059150B2 (ja) 扉用ハンドル
KR101865218B1 (ko) 도어락 터치인증부의 보안장치
USD928732S1 (en) Bezel for attaching sensor to a printed circuit board in a security key
CN103295000A (zh) 一种手机指纹感应软件
CN107401341B (zh) 防止幼儿开启的锁具
CN206213379U (zh) 一种安全帽通风配件的固定结构
TW202040325A (zh) 滑鼠
CN105912135A (zh) 防止误触键盘的防误击装置
KR20180002454A (ko) 안심 열쇠
CN104790761A (zh) 双安全锁闩结构
KR200310225Y1 (ko) 자물쇠의 잠김 상태 확인 기능이 추가된 열쇠
CN203808667U (zh) 一种后背门左上锁总成
KR20130005529U (ko) 디지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