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750B1 - 훈제식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훈제식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750B1
KR100958750B1 KR1020090082136A KR20090082136A KR100958750B1 KR 100958750 B1 KR100958750 B1 KR 100958750B1 KR 1020090082136 A KR1020090082136 A KR 1020090082136A KR 20090082136 A KR20090082136 A KR 20090082136A KR 100958750 B1 KR100958750 B1 KR 100958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d
smoke
wood
container
sm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범
Original Assignee
장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범 filed Critical 장기범
Priority to KR102009008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제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통(10), 받침대(20), 화로(30), 구이판(40)을 구비하는 숯불구이기(1)에 있어서, 훈연목(70)을 수납하는 훈연통(50)을 형성하여 상기 화로(30)에 설치하되, 상기 화로(30)의 바닥면에는 훈연통(50)의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35)를 형성하고, 상기 훈연통(50)은 상부가 개방된 몸체(51) 및 상기 몸체(51)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55)로 형성하며, 몸체(51)의 외주면 또는 덮개(55)에 다수의 배연구(52)를 형성한 훈제식 숯불구이기를 구성함으로써, 고온의 숯불 열기가 훈연통(50)에 전달되더라도 배연구(52)에 의하여 제한된 산소만이 훈연통(50)의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훈연목(70)이 과도하게 연소하지 않고 서서히 연소하면서 훈연이 발생함에 따라, 조리된 육류에서 숯불구이 고유의 풍미와 함께 훈연목(70)의 종류에 따른 다양하고 독특한 향미를 갖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소비자의 까다로운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훈제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훈제, 훈연, 직화, 숯불, 구이, 화로

Description

훈제식 숯불구이기{SMOKE TYPE CHARCOAL ROASTER}
본 발명은 훈제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숯불이 충진되는 화로에 훈연목을 수납한 훈연통을 설치하되, 상기 훈연통은 상부가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형성하여 몸체의 외주면 또는 덮개에 다수의 배연구를 형성함으로써, 제한된 산소가 공급되는 훈연통 내부로 숯불의 열기가 전달되어 훈연목이 서서히 연소하면서 훈연이 발생함에 따라, 숯불에 의한 직화구이 및 훈연에 의한 훈제구이의 장점만을 살려 그 풍미를 모두 즐길 수 있도록 한 훈제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의 조리에는 다양한 조리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구이는 대중음식점 등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육류 조리법이라 할 수 있고, 상기 구이에는 직화구이와 훈제구이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화구이의 경우 가스 또는 연탄과 같은 연료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숯을 연료로 한 숯불구이가 대중적으로 선호되고 있는바, 하기에서 통상적인 숯 불구이기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통상 숯불구이기(1)는 구이통(10), 받침대(20), 화로(30), 구이판(4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구이통(10)은 하단에 흡기구(11)를 형성하여 일측에 형성한 흡기조절레버(12)의 작동에 따라 구이통(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받침대(20)는 상기 구이통(10)의 상단에 안착되는 것으로 구이통(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중앙에 삽입구(21)를 형성하여 화로(30)가 삽입되어 받쳐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0)에 설치되는 화로(30)는 하부에 통기구(31)를 형성하여 화로(30)의 내부에서 연소되는 숯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구이판(40)은 받침대(20)의 테두리 부분에 올려 화로(3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숯불구이기(1)는 조리시간이 짧고 가스구이기에 대비하여 조리된 육류의 풍미가 좋지만, 훈제구이에서와 같은 담백하면서도 독특한 풍미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훈연목의 종류를 달리하여 다양한 향미를 얻는 훈제구이의 장점을 또한 기대할 수도 없다. 이에 반하여, 훈제구이의 경우에는 조리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숯불구이 및 훈제구이의 단점을 보완하고, 한편으론 조리시간이 짧고 숯불 고유의 풍미를 갖는 숯불구이의 장점과, 훈연목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고 독특한 향미를 갖는 훈제구이의 장점만을 취할 수 있도록, 숯불이 충진되는 화로에 훈연목을 수납한 훈연통을 설치하되, 상기 훈연통에 수납된 훈연목이 숯불의 고온에 의하여 과도하게 연소하지 않고 서서히 연소하면서 가장 이상적인 훈연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훈제식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훈제식 숯불구이기는, 훈연목을 수납하는 훈연통을 형성하여 숯불구이기에 구비된 화로에 설치하되, 상기 화로의 바닥면에는 훈연통의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훈연통은 상부가 개방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형성하며, 몸체의 외주면 또는 덮개에 다수의 배연구를 형성한 훈제식 숯불구이기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훈연목을 망(網)으로 된 수납통에 담아 훈연통에 수 납하되, 상기 수납통의 저면에 받침을 형성하거나 또는 수납통의 상단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수납된 훈연목이 훈연통의 바닥면에서 이격 되도록 함과 아울러 훈연통의 내주면에서도 이격되도록 한 훈제식 숯불구이기에 다른 특징이 있으며, 상기 훈연통의 내부에 훈연목과 함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의 숯불 열기가 훈연통에 전달되더라도 배연구에 의하여 제한된 산소만이 훈연통의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훈연목이 과도하게 연소하지 않고 서서히 연소하면서 훈연이 발생함에 따라, 종래처럼 숯불에 의하여 육류를 짧은 시간에 익힐 수 있음은 물론이고, 숯불 고유의 풍미에 더하여 훈연목의 종류에 따른 다양하고 독특한 향미를 모두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궁극적으로는 소비자의 까다로운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수납통을 이용하여 훈연목을 훈연통에 수납할 경우, 훈연목이 고온의 훈연통에 직접 닿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훈연목의 과열로 인한 지나친 연무를 예방하는 효과도 있으며, 훈연통의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채울 경우 훈연이 수증기에 흡착된 후 육류에서 응결됨에 따라 더욱 진한 훈연의 풍미를 느낄 수 있으며, 아울러 수분이 공급되어 육질이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훈제식 숯불구이기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살펴보되,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구성은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제식 숯불구이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구이통(10)·받침대(20)·화로(30)·구이판(40)으로 구성된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화로(30)의 내부에 훈연목(70)이 수납되는 훈연통(50)을 설치하는바, 이때 상기 화로(30)의 바닥면에는 훈연통(5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35)를 형성하여 상기 훈연통(50)을 탈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3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로(30)의 바닥면에 돌출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화로(30)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35)의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훈연통(50)은 상부가 개방된 몸체(51)와, 상기 몸체(51)의 일측에 힌지체결 되어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55)로 구성되는데, 몸체(51)의 외주면 상단에 다수의 배연구(52)를 형성함으로써, 훈연통(50)의 내부로 제한된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여 훈연목(70)이 과도하게 연소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훈연통(50)의 내부에서 발생한 훈연이 구이판(40)에 놓여 진 육류에 골고루 배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다수의 배연구(5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연통(50)의 외주면 상단에 형성함이 가장 이상적이나, 훈연통(50)의 덮개(55)를 관통하는 배연구(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56"은 덮개에 형성한 개폐용 걸고리(56)이다.
그리고 상기에 있어 훈연목(70)은 고온의 훈연통(50)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훈연목(70)을 망(網)으로 된 수납통(60)에 담아 훈연통(50)에 수납하되, 상기 수납통(60)의 저면에 받침(61)을 형성하여 수납된 훈연목(70)이 훈연통(50) 몸체(51)의 바닥면에서 이격 되도록 하고, 아울러 훈연통(50)의 내주면과 수납통(60)의 외주면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훈연통(50) 몸체(51)의 내부 측면에 대해서도 훈연목(70)이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고온의 훈연통(50)에 훈연목(70)이 직접 접촉하지 않음에 따라 훈연목(70)의 과도한 연소를 방지하고 서서히 연소가 진행되면서 적절한 훈연이 생성된다.
한편, 상기 망(網)으로 된 수납통(60)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6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통(60)의 상단에 걸림턱(62)을 형성하여 훈연통(50)의 몸체(51)에 안착하도록 함으로써, 앞선 예와 같이 수납된 훈연목이 훈연통(50)의 바닥면에서 이격 되도록 함과 아울러 훈연통(50)의 내주면에서도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훈연통(50)은 그 내부에 훈연목(70)과 함께 일정량의 물을 부가적으로 담을 수 있는데, 훈연통(50)에 일정량의 물을 채움으로써 훈연목(70)에서 발생한 훈연이 수증기에 흡수된 후 육류에 응결됨에 따라 훈제의 향미를 더욱 진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수분이 공급되어 육질이 딱딱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훈연통(50)의 내부에 물을 채우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연통(50)의 내부 공간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거치대(53)를 형성하여 훈연통(50)에 채워진 물과 거치대(53)에 안착되는 훈연목이 상하로 구분되도록 하거나,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연통(50)의 내부 공간을 종방향으로 분할하는 칸막이(54)를 형성하여 훈연통(50)에 채워진 물과 훈연목이 수납되는 공간을 좌우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훈제식 숯불구이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사과나무·포도나무·호두나무·밤나무·벚나무·참나무·나왕 등 각각의 독특한 향미를 갖는 훈연목(70)을 훈연통(50)에 수납하되, 이때 별도의 수납통(60)을 이용하거나 훈연통(50)에 직접 훈연목(70)을 수납할 수 있으며, 한편으론 훈연통(50)의 내부에 부가적으로 일정량의 물을 채울 수도 있다.
이후, 상기의 훈연통(50)을 화로(30)에 형성한 가이드(35)에 삽입한 후, 화로(30)의 내부에 착화 된 숯(5)을 채운 다음 상기 화로(30)를 받침대(20)에 거치하고, 그 상측으로 구이판(40)을 안치하여 육류를 올려 육류를 구워 익힐 수 있는바, 이때 고온의 숯불(5)의 열기가 훈연통(50)에 전달되더라도 배연구(52)에 의하여 제한된 산소만이 훈연통(50)의 내부로 유입됨과 아울러 수납통(60)을 사용한 경우에는 고온의 훈연통(50)에 훈연목(70)이 직접 닿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훈연목(70)이 과도하게 연속하지 않고 서서히 연소하면서 훈제에 적합한 훈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숯불(5)에 의하여 육류를 짧은 시간에 익힐 수 있음은 물론이고, 숯불(5) 고유의 풍미와 훈연목(70)에 따른 독특한 훈연의 향미를 모두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훈연통(50)에 물을 채운 경우에는 훈연이 수증기에 흡수된 후 육류에 응결됨에 따라 더욱 진한 향미를 느낄 수 있으며, 아울러 수분이 공급되어 육질이 딱딱해 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 숯불구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숯불구이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훈제식 숯불구이기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훈제식 숯불구이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훈제식 숯불구이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부가적 구성으로서 수납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부가적 구성으로서 수납통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 중 수납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구성 중 훈연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숯불구이기 5: 숯 10: 구이통
20: 받침대 30: 화로 35: 가이드
40: 구이판 50: 훈연통 51: 몸체
52: 배연구 53: 거치대 54: 칸막이
55: 덮개 56: 걸고리 60: 수납통
61: 받침 62: 걸림턱 70: 훈연목

Claims (5)

  1. 삭제
  2. 화로(30)를 구비하는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훈연목(70)을 수납하는 훈연통(50)을 형성하여 상기 화로(30)에 설치하되, 상기 화로(30)의 바닥면에는 훈연통(50)의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35)를 형성하고;
    상기 훈연통(50)은 상부가 개방된 몸체(51) 및 상기 몸체(51)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55)로 형성하되, 몸체(51)의 외주면 또는 덮개(55)에 다수의 배연구(52)를 형성하며;
    상기 훈연목(70)은 망(網)으로 된 수납통(60)에 담아 훈연통(50)에 수납하되, 상기 수납통(60)의 저면에 받침(61)을 형성하거나 또는 수납통(60)의 상단에 걸림턱(62)을 형성하여 수납된 훈연목(70)이 훈연통(50)의 바닥면에서 이격 되도록 함과 아울러 훈연통(50)의 내주면과 수납통(60)의 외주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훈연통(50)의 내부 측면에 대해서도 훈연목(70)이 이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식 숯불구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훈연통(50)은 그 내부에 훈연목(70)과 함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식 숯불구이기.
  4. 화로(30)를 구비하는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훈연목(70)을 수납하는 훈연통(50)을 형성하여 상기 화로(30)에 설치하되, 상기 화로(30)의 바닥면에는 훈연통(50)의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35)를 형성하고;
    상기 훈연통(50)은 상부가 개방된 몸체(51) 및 상기 몸체(51)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55)로 형성하되, 몸체(51)의 외주면 또는 덮개(55)에 다수의 배연구(52)를 형성하며;
    상기 훈연통(50)의 내부에 물을 채우는 한편, 상기 훈연통(50)의 내부 공간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거치대(53)를 형성하여 훈연통(50)에 채워진 물과 훈연목(70)이 상하로 구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식 숯불구이기.
  5. 화로(30)를 구비하는 숯불구이기에 있어서;
    훈연목(70)을 수납하는 훈연통(50)을 형성하여 상기 화로(30)에 설치하되, 상기 화로(30)의 바닥면에는 훈연통(50)의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35)를 형성하고;
    상기 훈연통(50)은 상부가 개방된 몸체(51) 및 상기 몸체(51)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55)로 형성하되, 몸체(51)의 외주면 또는 덮개(55)에 다수의 배연구(52)를 형성하며;
    상기 훈연통(50)의 내부에 물을 채우는 한편, 상기 훈연통(50)의 내부 공간을 종방향으로 분할하는 칸막이(54)를 형성하여 훈연통(50)에 채워진 물과 훈연목(70)이 수납되는 공간을 좌우로 구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식 숯불구이기.
KR1020090082136A 2009-09-01 2009-09-01 훈제식 숯불구이기 KR100958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36A KR100958750B1 (ko) 2009-09-01 2009-09-01 훈제식 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36A KR100958750B1 (ko) 2009-09-01 2009-09-01 훈제식 숯불구이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184A Division KR101098057B1 (ko) 2010-02-03 2010-02-03 훈제식 숯불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750B1 true KR100958750B1 (ko) 2010-05-19

Family

ID=4228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136A KR100958750B1 (ko) 2009-09-01 2009-09-01 훈제식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9391A (zh) * 2013-03-30 2013-06-26 赵文浩 一种上排风地下排烟的聚能防火新型炭烤炉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668U (ko) * 1998-02-26 1999-09-27 김고정 훈제 구이기
KR200384359Y1 (ko) 2005-02-21 2005-05-16 김종원 훈제효과를 갖는 숯불구이용 화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668U (ko) * 1998-02-26 1999-09-27 김고정 훈제 구이기
KR200384359Y1 (ko) 2005-02-21 2005-05-16 김종원 훈제효과를 갖는 숯불구이용 화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9391A (zh) * 2013-03-30 2013-06-26 赵文浩 一种上排风地下排烟的聚能防火新型炭烤炉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0122B2 (en) Portable cooking apparatus providing both direct and indirect heat cooking
US20040200359A1 (en) Outdoor cooker oven
US11058255B2 (en) Grill using flue
US20120276260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low temperature smoking on a grill
US4638787A (en) Grill means
KR101098057B1 (ko) 훈제식 숯불구이기
US9839224B2 (en) Food smoker adapter
KR20120030741A (ko) 숯불구이기
KR20100109638A (ko) 가연성 트레이로 포장된 구이용 숯
KR200347663Y1 (ko) 숯불 구이장치
KR100958750B1 (ko) 훈제식 숯불구이기
KR101173000B1 (ko) 고기훈제기
KR200455169Y1 (ko) 훈제구이장치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KR101390673B1 (ko) 고기구이기
KR101010425B1 (ko) 훈연고기구이기
KR200405679Y1 (ko) 훈제 겸용 가마솥 숯불구이장치
KR200432372Y1 (ko) 바베큐 훈제 구이기
KR100717073B1 (ko) 바비큐 장치
KR20080006045U (ko) 훈제 바베큐 제조장치
KR101999062B1 (ko) 고기구이장치
KR100875556B1 (ko) 바베큐 훈제 구이기
KR20070042226A (ko) 훈제 겸용 가마솥 숯불구이장치
KR200296336Y1 (ko) 가스점화방식의 숯불구이기
KR200468747Y1 (ko) 숯용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