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586B1 -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586B1
KR100958586B1 KR1020070028874A KR20070028874A KR100958586B1 KR 100958586 B1 KR100958586 B1 KR 100958586B1 KR 1020070028874 A KR1020070028874 A KR 1020070028874A KR 20070028874 A KR20070028874 A KR 20070028874A KR 100958586 B1 KR100958586 B1 KR 100958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per
image input
platen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121A (ko
Inventor
유용준
이상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4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4Detents, brakes, or couplings for feed rollers o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5Arrangement thereof
    • B41J2/155Arrangement thereof for lin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8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for paper-width or non-reciprocating print heads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Ink Jet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입출력장치는, 원고가 놓여지는 원고대와, 원고대와 나란하게 위치되며 용지가 놓여지는 플라텐과, 원고대와 플라텐 사이에서 위치되어 부주사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으로서 용지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를 가지는 노즐부를 구비하고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어레이 잉크젯 헤드와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라인 스캐닝방식의 스캔유닛을 구비하는 화상입출력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Image scanning/printing apparatus and image scanning/prin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화상입출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입출력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입출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화상입출력모듈을 부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노즐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입출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원고대 20......플라텐
21......에어벤트 22......팬
25......벨트 30......잉크젯 헤드
31......노즐부 32......노즐열
33......노즐 40......스캔유닛
50......화상입출력모듈 60......이송유닛
61......피드롤러 62......아이들롤러
70......배출유닛 71......배출롤러
72......스타휠 80......급지 카세트
81......픽업롤러 82......다목적 트레이
90......캐리지 91......샤프트
92......모터 93......타이밍벨트
P......용지 D......원고
본 발명은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레이 잉크젯 헤드를 채용하는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보면, 주주사방향(M)으로 왕복이송되는 캐리지(1)에 셔틀방식 잉크젯 헤드(2)와 스캔유닛(3)이 탑재된다. 용지(P)와 원고(D)는 공통의 이송유닛(4)에 의하여 공통의 이송경로를 통하여 이송된다. 원고(D)로부터 화상을 입력할 때에는 이송유닛(4)은 원고(D)를 부주사방향(S)으로 이송시킨다. 캐리지(1)가 주주사방향(M)으로 왕복이송되면 스캔유닛(3)은 원고(D)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다. 용지(P)에 화상을 인쇄할 때에는, 이송유닛(4)은 용지(P)를 부주사방향(S)으로 이송시킨다. 캐리지(1)가 주주사방향(M)으로 왕복이송되면, 잉크젯 헤드(2)는 용지(P)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입출력장치는 용지(P)와 원고(D)가 공통의 이송경로를 통하여 공통의 이송유닛(4)에 의하여 이송되기 때문에 장치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첫째, 원고(D)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동안에 스캔유닛(3)과 원고(D)가 각각 주주사방향(M)과 부주사방향(S)으로 이동되고 있기 때문에 스캔 정밀도를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둘째, 이송유닛(4)은 일반적으로 용지(P)의 이송을 의하여 설계되기 때문에, 이송가능한 용지(P)와 원고(D)의 두께는 매우 한정적이다. 일반적으로 원고(D)의 두께는 매우 다양하여 이송가능한 두께범위를 벗어난 원고(D)나 흠집이 있는 원고(D)를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이송정밀도가 저하된다.
셋째, 복사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일단 원고(D)로부터 적어도 한 페이지 분량의 화상정보를 완전히 읽어들인 후에 용지(P)에 화상을 인쇄하여야 한다. 따라서, 복사 속도가 매우 느리고 적어도 한 페이지 분량의 화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가 구비되어야 한다. 특히 칼라이미지의 경우에는 화상정보의 양이 매우 많아서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며, 화상입출력장치의 가격상승의 원인이 된다.
근래에 들어, 용지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 노즐부를 구비하는 어레이 잉크젯 헤드를 채용하여 고속 인쇄를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인쇄모듈로서 어레이 잉크젯 헤드를 채용한, 저가격, 소형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품질의 인쇄와 스캐닝이 가능한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입출력장치는, 원고가 놓여지는 원고대; 상기 원고대와 나란하게 위치되며, 용지가 놓여지는 플라텐; 상기 원고대와 상기 플라텐 사이에서 위치되어 부주사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지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를 가지는 노즐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어레이 잉크젯 헤드와 상기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스캔유닛을 구비하는 화상입출력모듈;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입출력방법은, 원고대와 플라텐과 어레이 잉크젯 헤드와 스캔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원고대와 플라텐 사이에 위치되는 화상입출력모듈을 구비하는 화상입출력장치의 화상입출력방법으로서, 상기 화상입출력모듈을 부주사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스캔유닛을 이용하여 원고대에 놓여진 원고로부터 한 페이지 분량의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원고로부터 읽어들인 화상정보를 인쇄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화상입출력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정보에 따라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가 완료된 후에 상기 화상입출력모듈을 상기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일 때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용지에 화상을 인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가 완료된 후에 상기 화상입출력모듈을 원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상기 부주사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용지에 화상을 인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가 완료된 후에 상기 화상입출력모듈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용지를 부주사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용지에 화상을 인쇄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플라텐에 용지를 미리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용지는 그 선단부가 상기 플라텐으로부터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유닛에 물린 상태, 그 말단부가 상기 플라텐 위로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에 물린 상태, 및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배출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에 물린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화상입출력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보면, 화상입출력장치는, 원고(D)가 놓여지는 투명한 원고대(10)와, 용지(P)가 놓여지는 플라텐(20)과, 화상입출력모듈(50)을 구비한다. 원고대(10)와 플라텐(20)은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며, 화상입출력모듈(50)은 원고대(10)와 플라텐(20) 사이에 위치된다. 화상입출력모듈(50)은 용지(P)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잉크젯 헤드(30)와 원고(D)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스캔유닛(40)을 구비한다. 스캔유닛(40)과 잉크젯 헤드(30)를 서로 반대방향을 향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잉크젯 헤드(1)는 주주사방향(M)으로 왕복이송되면서 용지(P)에 잉크를 토출하지만, 본 실시예의 잉크젯 헤드(30)는 용지(P)의 폭에 대응되는 주주사방향(M)의 길이를 갖는 노즐부(31)를 구비한다. 도 5에는 노즐부(31) 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보면, 주주사방향(M)에 대하여 경사진 다수의 노즐열(32)이 주주사방향(M)으로 반복배열되어 있다. 노즐(33)들의 주주사방향(M)의 간격이 잉크젯 헤드(30)의 해상도가 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잉크젯 헤드(30)는 잉크가 저장된 잉크카트리지와, 각 노즐(33)과 연통되고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토출수단(예를 들면 피에조 소자, 히터)이 마련된 챔버와, 잉크카트리지로부터 챔버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 등을 더 구비한다. 챔버, 토출수단, 유로 등은 당업자에게 잘 열려져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노즐부(31)는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도 5에 도시된 노즐부(31)의 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캔유닛(40)으로서는 라인 화상을 입력할 수 있는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를 채용할 수 있다. CIS와 CCD는 그 구조와 작동원리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플라텐(20)은 용지(P)의 배면을 지지하여 용지(P)의 상면과 노즐부(31)와의 간격을 유지한다. 이 간격은 예를 들면 약 0.5-2.5mm 정도이다. 인쇄가 수행되는 동안에 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화상입출력장치는 용지의 배면에는 부압을 가하는 부압제공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부압제공부는 플라텐(20)에 마련되는 에어벤트(21)와, 플라텐(20)의 하방에 위치되는 팬(22)을 포함한다. 팬(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벤트(21)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용지(P)가 플라텐(20)으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한다. 이 외에도,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부압제공부로서 진공흡입기 등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30)의 입측에는 용지(P)를 플라텐(20) 위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60)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이송유닛(60)은 피드롤러(61)와, 피드롤러(61)에 접촉되어 종동되는 아이들롤러(62)를 포함한다. 플라텐(20)의 출측에는 인쇄가 완료된 용지(P)를 플라텐(20)으로부터 배출하는 배출유닛(70)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배출유닛(70)은 배출롤러(71)와, 배출롤러(71)에 접촉되어 회전되며 용지(P)의 상면에 점접촉되는 스타휠(72)을 포함한다.
용지(P)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텐(20)의 하방에 위치되어 전체적으로 C자 형태의 용지이송경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상입출력장치의 설치면적(foot-print)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비규격 용지(P)를 이송유닛(60)으로 직접 공급하기 위하여 다목적 트레이(multi-purpose tray)(82)를 더 마련할 수도 있다. 급지카세트(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BIN)의 형태로 화상입출력장치의 측부에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L자 형태의 용지이송경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슬림한 화상입출력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화상입출력모듈(50)은 부주사방향(S)으로 이송된다. 도 4를 보면, 화상입출력모듈(50)은 캐리지(90)에 탑재된다. 캐리지(90)는 부주사방향(S)으로 설치된 샤프트(가이드부재)(91)에 의하여 지지된다. 캐리지(90)는 모터(92)에 의하여 순환주행되는 타이밍벨트(또는 와이어)(93)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92)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화상입출력모듈(50)을 부주사방향(S)으로 왕복이송시킬 수 있다. 스캔유닛(40)과 잉크젯 헤드(30)는 각각 캐리지(90)에 탑재될 수 있 다. 또, 잉크젯 헤드(30)는 캐리지(90)에 탑재되고, 스캔유닛(40)은 잉크젯 헤드(30)에 결합될 수 있다. 또, 잉크젯 헤드(30)와 스캔유닛(40)이 일체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잉크젯 헤드(30)와 스캔유닛(40)이 일체로 제조되면,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케이블(미도시)과 화상입출력모듈(50)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미도시) 등의 부품을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리지(90)없이 바로 샤프트(91)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입출력방법을 설명한다.
호스트 컴퓨터(미도시)로부터 인쇄신호와 함께 인쇄정보가 입력되면, 픽업롤러(81)는 급지카세트(80)로부터 용지(P)를 인출하여 이송유닛(60)으로 공급한다. 이송유닛(60)은 용지(P)를 플라텐(20) 위로 이송시킨다. 용지(P)의 선단과 말단이 각각 이송유닛(60)과 배출유닛(70)에 약간씩 물린 상태, 또는 용지(P)의 선단에 배출유닛(70)에 도달되기 전에 용지(P)의 말단이 이송유닛(60)에 약간 물린 상태, 또는 용지(P)의 선단이 배출유닛(70)에 약간 물리고 말단은 이송유닛(60)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용지(P)는 플라텐(20)에 의하여 지지되어 노즐부(31)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다. 모터(92)가 정회전되면, 화상입출력모듈(50)은 부주사방향(S)으로 이동된다. 잉크젯 헤드(30)는 용지(P)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인쇄가 완료되면, 용지(P)는 배출유닛(70)에 의하여 배출된다. 모터(92)가 역회전되면 화상입출력모듈(50)은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인쇄과정에서는, 이송유닛(60)에 의하여 용지(P)가 배출유닛(70)을 향하여 이송되는 동안에 잉크젯 헤드(30)가 고정된 위치에서 용지(P)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원고(D)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하여, 원고대(10)에 원고(D)를 올려놓고 원고커버(11)를 닫는다. 사용자가 예를 들면 조작패널(83)의 화상입력버튼(84)을 누르거나 또는 호스트 컴퓨터를 통하여 화상입력명령을 하달하면, 모터(92)가 정회전되어 화상입출력모듈(50)은 부주사방향(S)으로 이동된다. 스캔유닛(40)은 예를 들면 원고(D)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된 광신호를 검출하여 이로부터 원고(D)에 기록된 화상정보를 읽어들인다. 화상정보는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의 저장장치(미도시)로 전송된다. 스캐닝을 완료한 후에, 모터(92)가 역회전되면, 화상입출력모듈(50)은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원고(D)를 복사하기 위하여, 원고대(10)에 원고(D)를 올려놓고 원고커버(11)를 닫는다. 사용자가 예를 들면 조작패널(83)의 복사버튼(85)을 누르거나 또는 호스트 컴퓨터를 통하여 복사명령을 하달하면, 픽업롤러(81)는 급지카세트(80)로부터 픽업된 용지(P)는 이송유닛(60)에 의하여 플라텐(20) 위로 이송된다. 용지(P)는 용지(P)의 선단과 말단이 각각 이송유닛(60)과 배출유닛(70)에 약간씩 물린 상태, 또는 용지(P)의 선단에 배출유닛(70)에 도달되기 전에 용지(P)의 말단이 이송유닛(60)에 약간 물린 상태, 또는 용지(P)의 선단이 배출유닛(70)에 약간 물리고 말단은 이송유닛(60)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인쇄개시를 기다린다. 모터(92)가 정회전되면, 화상입출력모듈(50)은 부주사방향(S)으로 이동된다. 스캔유닛(40)은 예를 들면 원고(D)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된 광신호를 검출하여 이로부터 원고(D)에 기록된 한 라인의 화상정보 또는 다수의 라인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한 밴드(band)의 화상정보를 읽어들인다. 화상정보는 도시되지 않은 이미지 프로세서에 의하여 인쇄정보로 변환되어 잉크젯 헤드(30)로 입력된다. 잉크젯 헤드(30)는 인쇄정보에 따라 잉크를 토출하여 용지(P)에 화상을 인쇄한다.
이미지 프로세서는 거의 실시간으로 화상정보를 인쇄정보로 변환하기 때문에 스캐닝과정과 인쇄과정은 한 라인 또는 한 밴드의 갭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수행된다. 따라서, 거의 실시간의 복사가 가능하다. 화상입출력장치에는 최소한 한 라인 또는 한 밴드의 화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만이 구비되면 된다. 따라서, 원고와 용지의 이송경로를 공유하는 종래의 화상입출력장치에 비하여 저가격화된 화상입출력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스캐닝 또는 복사가 수행되는 동안에 스캔유닛(40) 만이 부주사방향(S)으로 이동되고 원고(D)는 정지된 상태이다. 따라서, 원고(D)와 스캔유닛(40)이 동시에 이동되는 종래의 화상입출력장치에 비하여 더 정밀한 스캐닝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어레이 잉크젯 헤드(30)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 잉크젯 헤드(30)는 고정되어 있고 용지(P)가 부주사방향(S)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구성의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플렛-베드 방식의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스캔유닛(40)이 부주사방향(S)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복사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스캔유닛(40)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와 용지(P)를 이송시키기 위한 모터(92)가 동시에 구동되므로 이 두 모터가 각각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부담이 크다. 또, 용지(P)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모터의 진동이 스캐닝과정에 영향을 주어 스캐닝 정밀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입출력장치는 잉크젯 헤드(30)와 스캔유닛(40)을 함께 부주사방향(S)으로 이동시키고 복사과정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용지(P)는 이송되지 않으므로 잉크젯 헤드(30)와 스캔유닛(40)을 이동시키는 모터(92)만이 제어하면 된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부담이 적다. 또, 진동이 적게 발생되기 때문에 정밀한 스캐닝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용지(P)의 이송정밀도는 잉크젯 헤드(30)의 정밀도보다 낮다. 용지(P)는 피드롤러(61), 아이들롤러(62), 용지(P)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이송되기 때문에 슬립이 발생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30)는 매우 정밀한 타이밍벨트(또는 와이어)(93)에 의하여 이동되고 또 샤프트(91)에 의하여 가이드되기 때문에 매우 정밀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입출력장치는 잉크젯 헤드(30)가 부주사방향(S)으로 이동되면서 용지(P)에 화상을 인쇄하기 때문에 잉크젯 헤드(30)가 고정되고 용지(P)가 부주사방향(S)으로 이송되는 방식에 비하여 높은 인쇄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잉크젯 헤드(30)가 스캔유닛(40)과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잉크젯 헤드(30)를 부주사방향(S)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이동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한 페이지 분량의 화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버퍼 메모리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스캐닝과정과 인쇄과정을 분리함으로써 스캐닝 및 인쇄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화상입출력모듈(50)을 부주사방향(S)으로 이송시키면서 원고(D)의 선단부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여 버퍼 메모리에 저장한다. 원고(D)의 말단부까지 스캐닝이 완료되면, 이미지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입력된 화상 정보를 인쇄정보로 변환한다. 화상입출력모듈(50)은 스캐닝과정과 역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인쇄정보에 따라 용지에 화상을 인쇄한다. 물론, 원고(D)의 말단부에까지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동안에 이미지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입력된 화상정보를 인쇄정보로 변환하는 작업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캐닝과 인쇄과정을 분리하더라도 화상입출력모듈(50)의 일회 왕복으로 복사가 완료되므로 복사속도가 늦어지는 것은 아니다. 화상입출력모듈(50)은 스캐닝과정이 완료된 후에 원위치로 복귀되고 다시 부주사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캐닝이 완료된 후에 화상입출력모듈(50)을 소정의 위치(예를 들면, 스캐닝을 완료한 위치, 또는 원래 위치, 또는 두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용지(P)를 부주사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용지(P)에 화상을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작패널(83)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화상입출력장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유닛에 표시되는 정보에 따라 화상입출력장치의 동작상태(예를 들면, 인쇄, 스캐닝, 복사 중 어느 단계가 수행되는지, 또는 상기 단계들의 수행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플라텐(20)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주사방향으로 순환주행되는 벨트(25)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벨트(25)에는 에어벤트(21)가 형성된다. 팬(22)은 에어벤트(21)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용지(P)가 벨트(25)로부터 들뜨지 않도록 한다. 플라텐(20)으로서 벨트(25)를 채용하면, 그 선단과 말단이 각각 배출 유닛(70)과 이송유닛(60)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인쇄를 기다린다. 이에 의하면, 용지(P)의 선단과 말단 폭방향의 양 가장자리에 여백없이 화상을 인쇄하는 보더리스 프린팅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거의 실시간의 복사가 가능한 화상입출력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며, 최소한 한 라인 또는 한 밴드의 화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의 버퍼 메모리만이 구비되면 복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저가격화된 화상입출력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둘째, 복사과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잉크젯 헤드와 스캔유닛이 부주사방향으로 이동되고, 용지는 이송되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의 모터제어부담이 적다. 또, 진동이 적게 발생되기 때문에 정밀한 스캐닝이 가능하다.
셋째, 잉크젯 헤드가 부주사방향으로 정밀하게 이동되면서 용지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용지가 부주사방향으로 이송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높은 인쇄품질을 구현할 수 있다.
넷째, 한 페이지 분량의 화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버퍼 메모리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스캐닝과정과 인쇄과정을 분리함으로써 스캐닝 및 인쇄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급지카세트의 배치에 따라, 설치면적을 최소화한 플렛-베드방식 화상입출력장치와, 슬림화된 플렛-베드방식 화상입출력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7)

  1. 원고가 놓여지는 원고대;
    상기 원고대와 나란하게 위치되며, 용지가 놓여지는 플라텐;
    상기 용지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를 가지는 노즐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어레이 잉크젯 헤드와 상기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스캔유닛을 구비하는 화상입출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입출력모듈은 상기 원고대와 상기 플라텐 사이에서 위치되어 부주사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출력장치.
  2. 원고대와, 플라텐과, 어레이 잉크젯 헤드와 상기 원고대에 놓여진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스캔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원고대와 플라텐 사이에 위치되는 화상입출력모듈을 구비하는 화상입출력장치의 화상입출력방법으로서,
    상기 화상입출력모듈을 부주사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스캔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원고대에 놓여진 원고로부터 한 페이지 분량의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원고로부터 읽어들인 화상정보를 인쇄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화상입출력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정보에 따라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출력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가 완료된 후에 상기 화상입출력모듈을 상기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일 때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출력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가 완료된 후에 상기 화상입출력모듈을 원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상기 부주사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출력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단계는, 상기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가 완료된 후에 상기 화상입출력모듈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용지를 상기 부주사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출력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플라텐에 용지를 미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출력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는 그 선단부가 상기 플라텐으로부터 상기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유닛에 물린 상태, 그 말단부가 상기 플라텐 위로 상기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에 물린 상태, 및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배출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에 물린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입출력방법.
KR1020070028874A 2005-01-18 2007-03-23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 KR100958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4440 2005-01-18
KR1020050004440 2005-01-1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371A Division KR100788660B1 (ko) 2005-01-18 2005-03-28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121A KR20070049121A (ko) 2007-05-10
KR100958586B1 true KR100958586B1 (ko) 2010-05-18

Family

ID=368392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371A KR100788660B1 (ko) 2005-01-18 2005-03-28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
KR1020070028874A KR100958586B1 (ko) 2005-01-18 2007-03-23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371A KR100788660B1 (ko) 2005-01-18 2005-03-28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0788660B1 (ko)
CN (1) CN10052607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6542B2 (ja) * 2007-03-30 2011-1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TW201328311A (zh) * 2011-12-19 2013-07-01 Kinpo Elect Inc 掃描與列印裝置及掃描與列印方法
JP6805498B2 (ja) * 2016-01-29 2020-12-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複合機
DE102016208074A1 (de) * 2016-05-11 2017-11-16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Förderband für Druckbog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038A (ko) * 1997-06-12 1999-01-15 윤종용 잉크젯 방식 복합기의 스캐너장치
JP2003165205A (ja) 2001-11-30 2003-06-10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009474A (ja) 2002-06-06 2004-01-15 Hitachi Printing Solutions Ltd ライ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20040107829A (ko) * 2003-06-13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복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075A (ko) * 2000-09-30 2002-04-06 윤종용 잉크젯 프린터의 어레이 헤드에 장착된 칩들간의 오정렬에의한 인쇄 오차 보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038A (ko) * 1997-06-12 1999-01-15 윤종용 잉크젯 방식 복합기의 스캐너장치
JP2003165205A (ja) 2001-11-30 2003-06-10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009474A (ja) 2002-06-06 2004-01-15 Hitachi Printing Solutions Ltd ライ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20040107829A (ko) * 2003-06-13 200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복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8660B1 (ko) 2007-12-26
KR20070049121A (ko) 2007-05-10
KR20060083834A (ko) 2006-07-21
CN1807095A (zh) 2006-07-26
CN100526077C (zh)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7560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70188818A1 (en) Tiltable document imaging apparatus
US200401792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reading capable of obtaining adequate white reference data for shading correction
KR100568387B1 (ko) 이미지 스캐너, 이미지 스캐닝 방법, 프린터 및 데이터저장 매체
JP4674518B2 (ja) 画像記録装置
JP4345700B2 (ja) 画像記録装置
KR100958586B1 (ko)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
JP4577029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708136B1 (ko) 화상입출력장치 및 화상입출력방법
EP1681845A2 (en) Printing and Scanning of Information
JP446643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20130321830A1 (en) Method of operating a multifunction printer
US8218158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2001315320A (ja) クリーニング装置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100476771B1 (ko) 화상인쇄장치 및 그의 화이트라인 보정방법
US8842298B2 (en) Camera on multifunction printer
JP4701785B2 (ja) 画像記録装置
JP2006306065A (ja) 画像記録装置
JP2516910B2 (ja) 情報処理装置
JP2547397B2 (ja) 情報処理装置
JPH08181820A (ja) 画像読取記録装置
US8780422B2 (en) Shared motor driver for inkjet printers
JP2003338903A (ja) 白基準シート付スキャニングホルダ
JPH0685550B2 (ja) 情報処理装置
JP2018186521A (ja) 複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