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류 엘이디 등기구에서의 스위치 오프시의 누설전류 차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류 엘이디 등기구에서의 스위치 오프시의 누설전류 차단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에서 참조부호 16은 상용전원(교류)이 입력되는 입력단자(예컨대, 2선식)로서 이하에서는 편의상 전원단이라고 칭하고, 참조부호 18은 부하(도시 생략)와 연결된 출력단자(예컨대, 2선식)로서 이하에서는 편의상 부하라고 칭한다.
제 1실시예의 스위치 오프시의 누설전류 차단 장치는 정류부(20), 제 1스위칭 구동부(22), 제 2스위칭 구동부(24), 제 1반도체 스위칭 소자(Q1),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2)를 포함한다.
정류부(20)는 전원단(16)을 통해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정류한다. 예를 들어, 정류부(20)는 브리지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제 1스위칭 구동부(22)는 정류부(20)의 출력신호(직류전원)에 근거하여 온/오프 구동된다. 예를 들어, 제 1스위칭 구동부(22)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포토 트라이악을 포함한다. 즉, 제 1스위칭 구동부(22)는 발광소자가 온되어 발광함에 따라 수광소자가 온된다.
제 2스위칭 구동부(24)는 정류부(20)의 출력신호(직류전원)에 근거하여 온/오프 구동된다. 예를 들어, 제 2스위칭 구동부(24)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포토 트라이악을 포함한다. 즉, 제 2스위칭 구동부(24)는 발광소자가 온되어 발광함에 따라 수광소자가 온된다.
제 1스위칭 구동부(22)의 발광소자(예컨대,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는 정류부(20)의 어느 한 접속부위에 접속된다. 제 1스위칭 구동부(22)의 발광소자(예컨대,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제 2스위칭 구동부(24)의 발광소자(예컨대,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제 2스위칭 구동부(24)의 발광소자(예컨대,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저항(R3)을 통해 정류부(20)의 다른 한 접속부위에 접속된다.
제 1반도체 스위칭 소자(Q1)는 전원단(16)의 일단과 부하(18)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되 제어단(게이트)이 제 1스위칭 구동부(22)와 연결된다. 제 1반도체 스위칭 소자(Q1)는 제 1스위칭 구동부(22)가 온됨에 따라 온되어 전원단(16)과 부하(18)의 일단 사이의 전원 공급 경로(즉,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한다. 예를 들 어, 제 1반도체 스위칭 소자(Q1)는 트라이악을 포함한다.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2)는 전원단(16)의 타단과 부하(18)의 타단 사이에 설치되되 제어단(게이트)이 제 2스위칭 구동부(24)와 연결된다.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2)는 제 2스위칭 구동부(24)가 온됨에 따라 온되어 전원단(16)과 부하(18)의 타단 사이의 전원 공급 경로(즉,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2)는 트라이악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의 예로 든 트라이악은 쌍방향 3단자 정류소자로서 주로 교류제어에 사용된다. 트라이악은 각각 두 개의 사이리스터가 정,역방향으로 병렬 연결된 구조이다. 예컨대,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의 예로 든 트라이악은 게이트에 양(+)의 신호가 인가되면 어느 한 사이리스터가 도통하고 게이트에 음(-)의 신호가 인가되면 다른 한 사이리스터가 도통한다.
도 2에서, 저항(R1)은 과전압 인가로 인한 제 1스위칭 구동부(22)의 수광소자의 파손을 방지한다. 저항(R2)은 과전압 인가로 인한 제 2스위칭 구동부(24)의 수광소자의 파손을 방지한다. 저항(R3)은 제 1 및 제 2스위칭 구동부(22, 24)의 발광소자와 정류부(20)가 서로 연결된 라인의 전류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실시예의 스위치 오프시의 누설전류 차단 장치에 따르면, 스위치(도시 생략)가 온된 상태에서 전원단(16)으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교류)은 정류부(20)에서 직류로 변환된다. 정류부(20)에서 출력되는 직류 성분의 신 호에 의해 제 1 및 제 2스위칭 구동부(22, 24)가 턴온된다. 그에 따라, 제 1 및 제 2스위칭 구동부(22, 24)의 수광소자를 통해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의 게이트에는 소정의 교류신호가 입력된다.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의 게이트에 소정의 교류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는 턴온되어 전원단(16)으로부터의 상용전원을 부하(18)에게로 인가시킨다.
반대로, 전원단(16)으로부터의 상용전원 입력을 차단하게 되면(스위치(도시 생략)를 오프시키면) 제 1 및 제 2스위칭 구동부(22, 24)가 턴오프된다. 즉, 제 1 및 제 2스위칭 구동부(22, 24)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사이는 완전히 절연되고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는 턴오프되므로, 부하(18)에 전위 레벨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누설전류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부하(예컨대, 램프, LED 등)의 미세점등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대기전력 손실이 최소화되고, 스위치 오프시에 부주의한 인체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 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교류 엘이디 등기구에서의 스위치 오프시의 누설전류 차단 장치의 회로도이다.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의 구성과 거의 대동소이하고, 다만 시정수부(26)가 더 구성됨이 차이난다. 도 3에서는 도 2에서의 구성요소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면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시정수부(26)는 전원단(16)과 정류부(20) 사이에 설치된다. 시정수부(26)는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의 위상을 제어한다.
시정수부(26)는 상호 직렬 접속된 저항(R4, R5)과 콘덴서(C)를 포함한다. 저항(R5)은 가변저항이다. 시정수부(26)의 저항(R5)과 콘덴서(C) 사이의 노드는 정류부(20)의 어느 한 접속부위에 접속된다. 시정수부(26)의 경우, 콘덴서(C)에 교류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전류는 전압보다 대략 90도 정도 앞서게 된다. 여기서, 저항(R5;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조절(예컨대, 0(저항이 낮은 경우) ~ 90(저항이 높은 경우))하게 되면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의 위상을 제어하여 출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 2실시예의 동작은 시정수부(26)의 동작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 1실시예의 동작과 대동소이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제 2실시예에 의한 효과는 상술한 제 1실시예에서의 효과와 함께 시정수부(26)에 의한 효과(즉,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의 위상을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출력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됨)가 있다.
(제 3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교류 엘이디 등기구에서의 스위치 오프시의 누설전류 차단 장치의 회로도이다. 제 3실시예를 상술한 제 2실시예와 비교하여 보면, 제 2실시예에서는 전원단(16)에 시정수부(26)를 연결하여 제 1 및 제 2반 도체 스위칭 소자(Q1, Q2)의 위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3실시예에서는 전원단(16)과 무관하게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신호(예컨대, PWM파 또는 구형파 형태의 신호)의 위상을 위상 센싱부(28)에서 센싱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정류부(20)에게로 보내도록 하는 것이 제 2실시예와 차이난다. 제 3실시예는 외부신호에 의해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를 온/오프시키고 출력을 변환시킬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도 4에서, 미설명 부호 30은 외부신호를 입력받는 외부신호 입력단이다.
즉, 위상 센싱부(28)에서는 입력되는 외부신호의 위상을 센싱하여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에 대한 온/오프 타이밍 시점을 결정하고 그에 상응하는 교류신호를 생성하여 정류부(20)에게로 보낸다.
도 4에서는 기능적으로 도 2 또는 도 3에서의 구성요소의 기능과 동일 내지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면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도 4에서, 정류부(20), 제 1 및 제 2스위칭 구동부(22, 24),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는 도 2 또는 도 3에서 상응하는 구성요소와 기능적으로 동일하게 작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3실시예의 스위치 오프시의 누설전류 차단 장치에 따르면, 전원단(16)으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교류)은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에게로 입력된다. 이때, 외부신호 입력단(30)으로 외부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위상 센싱부(28)에서는 입력되는 외부신호의 위상을 센싱하여 제 1 및 제 2반 도체 스위칭 소자(Q1, Q2)에 대한 온/오프 타이밍 시점을 결정한 후에 그에 상응하는 교류신호를 생성하여 정류부(20)에게로 보낸다. 정류부(20)에서 출력되는 직류 성분의 신호에 의해 제 1 및 제 2스위칭 구동부(22, 24)가 턴온/턴오프된다.
제 1 및 제 2스위칭 구동부(22, 24)가 턴온되면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가 턴온되어 전원단(16)으로부터의 상용전원이 부하(18)에게로 인가된다.
반대로, 제 1 및 제 2스위칭 구동부(22, 24)가 턴오프되면 제 1 및 제 2스위칭 구동부(22, 24)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사이는 완전히 절연되고 제 1 및 제 2반도체 스위칭 소자(Q1, Q2)는 턴오프된다. 그에 따라, 부하(18)에 전위 레벨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누설전류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는 부하(예컨대, 램프, LED 등)의 미세점등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대기전력 손실이 최소화되고, 스위치 오프시에 부주의한 인체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 4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교류 엘이디 등기구에서의 스위치 오프시의 누설전류 차단 장치의 회로도이다. 제 4실시예에서는 선택 스위치(32)를 조작하여 전원 공급 경로를 수동적으로 차단시키는 것이 앞서의 실시예들과 차이난다.
제 4실시예의 스위치 오프시의 누설전류 차단 장치는 정류부(20), 스위칭 구동부(36), 반도체 스위칭 소자(Q1), 선택 스위치부(32)를 포함한다.
정류부(20)는 앞서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전원단(16)을 통해 입력되는 상용 전원을 정류한다. 정류부의 구성 및 기능이 앞서의 실시예들과 동일하여 편의상 참조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였다.
스위칭 구동부(36)는 정류부(20)의 출력신호(직류전원)에 근거하여 온/오프 구동된다. 예를 들어, 스위칭 구동부(36)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포토 트라이악을 포함한다. 즉, 스위칭 구동부(36)는 발광소자가 온되어 발광함에 따라 수광소자가 온된다.
반도체 스위칭 소자(Q1)는 전원단(16)의 일단과 부하(18)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되 제어단(게이트)이 스위칭 구동부(36)와 연결된다. 반도체 스위칭 소자(Q1)는 스위칭 구동부(36)가 온됨에 따라 온되어 전원단(16)과 부하(18)의 일단 사이의 전원 공급 경로(즉,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 스위칭 소자(Q1)는 앞서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트라이악을 포함한다. 도 5에서,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참조부호를 Q1으로 하였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의 제 1반도체 스위칭 소자와 동일 위치에 설치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선택 스위치부(32)는 정류부(20)의 앞단에서 전원단(16)과 부하(18)의 양 단 사이에 설치된다. 선택 스위치부(3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칭 구동부(36)를 오프시켜서 전원단(16)에서 부하(18)로의 전원 공급 경로를 차단한다. 선택 스위치부(32)는 예를 들어 초기상태(전원 온상태)에서는 스위치(SW)가 접점(1,4)에 각각 접속되게 조작되고 전원 오프상태에서는 스위치(SW)가 접점(3,6)에 각각 접속되게 조작된다. 이와 같은 조작은 사용자가 행하는 것이다. 즉, 전원 오프상태인데도 불 구하고 부하(예컨대, 램프, LED 등)가 미세점등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는 스위치(SW)를 조작하여 접점(3,6)에 접속되게 한다.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S는 도시하지 않은 상용전원 공급선과 연결된 전원 온/오프용 스위치이고, 미설명 부호 34는 스위치(S)와 연결된 인입구로서 잭(jack) 역할을 하는 전원단(16)과 연결된다. 물론, 도 5에서 인입구(34) 및 전원단(16)을 도시하지 않고 스위치(S)와 선택 스위치부(32)를 그냥 연결되게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4실시예의 스위치 오프시의 누설전류 차단 장치에 따르면, 스위치(S)가 온되어 있고 선택 스위치부(32)의 스위치(SW)가 접점(1,4)에 접속되어 있다면 전원단(16)으로부터 입력되는 상용전원(교류)은 정류부(20)에서 직류로 변환된다. 정류부(20)에서 출력되는 직류 성분의 신호에 의해 스위칭 구동부(36)는 턴온된다. 그에 따라, 스위칭 구동부(36)의 수광소자를 통해 반도체 스위칭 소자(Q1)의 게이트에는 소정의 교류신호가 입력된다.
반도체 스위칭 소자(Q1)의 게이트에 소정의 교류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반도체 스위칭 소자(Q1)는 턴온되어 전원단(16)으로부터의 상용전원을 부하(18)에게로 인가시킨다.
그런데, 필요에 의해 스위치(S)를 오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부하(18)(예컨대, 램프, LED 등)가 미세점등(즉, 누설전류에 의한 미세점등)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선택 스위치부(32)의 스위치(SW)를 조작하여 기존의 접점상태를 바꾸게 된다. 즉, 스위치(S) 온 상태에서는 스위치(SW)가 접점(1,4)과 접속되어 있었는데, 스위치(S) 오프시 부하의 미세점등이 발견되면 스위치(SW)가 접점(3,6)과 접속되게 조작한다. 이와 같이 하게 되면 스위칭 구동부(36)가 턴오프된다. 즉, 스위칭 구동부(36)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사이는 완전히 절연되고 반도체 스위칭 소자(Q1)는 턴오프되므로, 부하(18)에 전위 레벨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누설전류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는 부하(예컨대, 램프, LED 등)의 미세점등을 제거하여 대기전력 손실이 최소화되고, 스위치 오프시에 부주의한 인체 접촉으로 인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