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009B1 -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009B1
KR100958009B1 KR1020080008915A KR20080008915A KR100958009B1 KR 100958009 B1 KR100958009 B1 KR 100958009B1 KR 1020080008915 A KR1020080008915 A KR 1020080008915A KR 20080008915 A KR20080008915 A KR 20080008915A KR 100958009 B1 KR100958009 B1 KR 100958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ion terminal
stepped structure
protrus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008A (ko
Inventor
노용준
연복희
조세훈
김유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2040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5800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009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는 선단부가 외부에 돌출되는 제1 접속단자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를 감싸는 내부 하우징의 끝부분에는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접속단자가 끼워질 수 있는 요입부가 형성된 제2 접속단자를 수용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를 감싸는 내부 하우징의 끝부분에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단차 구조에 맞물리는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간의 체결시, 상기 제1 접속단자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단차 구조들 사이의 틈을 경유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외부면까지 절연거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끝부분에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단자와 실드쉘간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 절연거리, 고전압, 실드쉘, 단차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HOUSING ASSEMBLY FOR HIGH-VOLTAGE CONNECTOR}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많은 전자장치들이 있으며 이들은 케이블을 통해 다른 전자장치나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케이블을 전자장치나 다른 전원 및 기기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 작업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커넥터를 이용해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터미널과 터미널을 감싸 보호하고 누전되지 않도록 절연재로 제작된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넥터는 와이어 형태의 케이블의 절연 피복부를 벗겨낸 다음 피복부가 제거된 심선을 터미널 뒤쪽에 삽입하여 압착해서 터미널과 케이블이 서로 접속되도록 만들어진다. 이렇게 커넥터의 하우징에 조립된 터미널은 암/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할 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최근에는 에너지의 효율증대 및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연료전지 를 이용한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화된 자동차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동차는 고전압 또는 고전류를 사용하는 장치가 많아, 내부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용량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전압에 사용되는 커넥터는 고전압으로 발생하는 스파크가 자기장과 같은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해 하우징을 덮고 있는 실드쉘 또는 다른 금속 도체에 전달되는 경우, 절연이 파괴되거나 화재의 위험이 있어 충분한 절연거리가 확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는 선단부가 외부에 돌출되는 제1 접속단자(112)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110), 상기 제1 접속단자(112)가 끼워질 수 있는 요입부가 형성되고, 제2 접속단자(122)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120) 및 상기 제1, 2 하우징(110, 120)을 덮는 실드쉘(13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는 하우징 간의 체결시 접속단자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 사이에 절연거리(S)가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에서는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외경이 필연적으로 커져야 한다.
하지만, 자동차는 커넥터 이외의 많은 부품이 적재되어야 하므로, 자동차 내에 제한된 공간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커넥터의 크기에 제약이 있어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끝부분에 단차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는 하우징의 끝부분에 서로 맞물리는 형태의 단차 구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는 선단부가 외부에 돌출되는 제1 접속단자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를 감싸는 내부 하우징의 끝부분에는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접속단자가 끼워질 수 있는 요입부가 형성된 제2 접속단자를 수용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를 감싸는 내부 하우징의 끝부분에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단차 구조에 맞물리는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간의 체결시, 상기 제1 접속단자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단차 구조들 사이의 틈을 경유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외부면까지 절연거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하우징 끝부분에는 상기 단차 구조에 의해 돌출되어 상기 제1 접속단자에 밀착되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하우징 끝부분에는 상기 단차 구조에 의해 돌출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간의 체결시 상기 제1 돌출부의 바깥면에 맞물리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접속단자는 외부에 돌출되는 부분이 원기둥 형태를 갖는 원형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외부면을 감싸는 실드쉘;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에 따르면, 커넥터의 크기를 증가 시키지 않고, 하우징의 구조 변경만으로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하우징 간의 체결시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는 제1 접속단자(112)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접속단자(122)를 수용하는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0)은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공간에는 선단부가 외부에 돌출되는 제1 접속단자(112)가 수용된다. 여기서, 제1 접속단자(112)는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소정의 내부 하우징에 의해 감싸여서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내부 하우징의 끝부분에는 단차 구조에 의해 돌출되어 제1 접속단자(112)에 밀착되는 제1 돌출부(114)가 형성된다.
제2 하우징(120)은 제1 접속단자(112)가 끼워질 수 있는 요입부가 형성된 제2 접속단자(122)를 수용하고, 제2 접속단자(122)를 감싸서 마감하는 그 끝부분에는 제1 하우징(110)의 단차 구조에 맞물리는 단차 구조가 형성된다. 제2 하우징(120)에는 단차 구조에 의해 돌출되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간의 체결시 제1 돌출부(114)의 바깥면에 맞물려서 끼워지는 제2 돌출부(1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간의 체결시 제1 돌출부(114)와 제2 돌출부(124)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지그재그(zigzag) 형태를 갖는 틈이 형성된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는 각각 돌기(116)와 상기 돌기(116)가 끼워지는 홈(126)이 구비되어 체결시 외력에 의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서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내부와 외부 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변형예가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및 제2 접속단자(112, 122)는 대용량의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에 연결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원기둥 구조로 이루어진 원형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에는 고전압으로 인해 발생되는 자기장과 같은 노이즈의 차폐를 위해 실드쉘(130)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드쉘(130)은 금속형 부재의 실린더로써,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원 기둥 또는 다각 기둥의 형태이다. 여기서, 실드쉘(130)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소정의 공간은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적어도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이 수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에 형성된 제1 돌출부(114)와 제2 돌출부(124)가 상호 맞물림으로써 하우징 간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제1 접속단자(112)의 표면으로부터 하우징 외부까지의 절연거리(S)는 제1 돌출부(114)와 제2 돌출부(124) 사이의 지그재그 경로를 경유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외경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제1 접속단자(112)의 표면과 실드쉘(130) 사이에 충분한 절연거리(S)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하우징 간의 체결시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10 : 제1 하우징 112 : 제1 접속단자
114 : 제1 돌출부 116 : 돌기
120 : 제2 하우징 122 : 제2 접속단자
124 : 제2 돌출부 126 : 홈
130 : 실드쉘 S : 절연거리

Claims (4)

  1. 선단부가 외부에 돌출되는 제1 접속단자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를 감싸는 내부 하우징의 끝부분에는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접속단자가 끼워질 수 있는 요입부가 형성된 제2 접속단자를 수용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를 감싸는 내부 하우징의 끝부분에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단차 구조에 맞물리는 단차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간의 체결시, 상기 제1 접속단자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단차 구조들 사이의 틈을 경유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외부면까지 절연거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하우징 끝부분에는 상기 단차 구조에 의해 돌출되어 상기 제1 접속단자에 밀착되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하우징 끝부분에는 상기 단차 구조에 의해 돌출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간의 체결시 상기 제1 돌출부의 바깥면에 맞물리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간의 체결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지그재그(zigzag) 형태의 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단자는 외부에 돌출되는 부분이 원기둥 형태를 갖는 원형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외부면을 감싸는 실드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KR1020080008915A 2008-01-29 2008-01-29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KR100958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915A KR100958009B1 (ko) 2008-01-29 2008-01-29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915A KR100958009B1 (ko) 2008-01-29 2008-01-29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008A KR20090083008A (ko) 2009-08-03
KR100958009B1 true KR100958009B1 (ko) 2010-05-17

Family

ID=4120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915A KR100958009B1 (ko) 2008-01-29 2008-01-29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0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1275A (ja) 1982-04-15 1983-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高電圧用絶縁ケ−ブルの接続部
KR20030092395A (ko) * 2002-05-29 200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전력용 커넥터
JP2006164712A (ja) * 2004-12-07 2006-06-22 Nec Access Technica Ltd コネクタとプラグの接続構造
KR20080035297A (ko) * 2006-10-19 2008-04-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쉴드쉘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1275A (ja) 1982-04-15 1983-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高電圧用絶縁ケ−ブルの接続部
KR20030092395A (ko) * 2002-05-29 200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전력용 커넥터
JP2006164712A (ja) * 2004-12-07 2006-06-22 Nec Access Technica Ltd コネクタとプラグの接続構造
KR20080035297A (ko) * 2006-10-19 2008-04-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쉴드쉘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008A (ko) 200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521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20120034817A1 (en) Shielded Plug-In Connector Arrangement
JP2009038966A (ja) ケーブル接続部
JP6026660B2 (ja) コネクタ
US20140106619A1 (en) Shield connector
KR101248896B1 (ko) 전기 구동력 전송을 위한 플러그 하우징 및 전기 플러그
JP2018514054A (ja) 高圧ケーブルセット
JP2013232377A (ja) 圧着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接続構造並びに電気接続箱
US6414580B1 (en) Electrical noise suppressing device for motors
JP6701894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984492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1009108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8262811A (ja) 機器用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100833802B1 (ko) 쉴드쉘 커넥터 조립체
KR100958009B1 (ko) 고전압 커넥터용 하우징 조립체
JP2011060426A (ja) コネクタ
JP2018200824A (ja) コネクタ
KR101704255B1 (ko) 커넥터
JP2022024554A (ja) コネクタ
JP2019193416A (ja) ケーブル接続部
KR102232824B1 (ko) 고전압 커넥터
CN215184776U (zh) 一种设有屏蔽罩的电插接件
KR100947140B1 (ko) 방수형 차폐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JP2015015167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2099399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917

Effective date: 2013101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000244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917

Effective date: 201310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