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881B1 - 엠아이엠 캐패시터 - Google Patents

엠아이엠 캐패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881B1
KR100957881B1 KR1020070140394A KR20070140394A KR100957881B1 KR 100957881 B1 KR100957881 B1 KR 100957881B1 KR 1020070140394 A KR1020070140394 A KR 1020070140394A KR 20070140394 A KR20070140394 A KR 20070140394A KR 100957881 B1 KR100957881 B1 KR 100957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etal wiring
capacitor
dielectric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320A (ko
Inventor
김순욱
김관수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8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7Thin films associated with contacts of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05Capacitor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 의존도가 낮은 스택 구조의 엠아이엠 캐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엠아이엠 캐패시터는, 제 1 금속 배선과 제 1 금속 배선 상의 제 1 유전체막 및 제 2 금속 배선에 의해 형성된 하부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금속 배선과 제 2 금속 배선 상의 제 2 유전체막 및 제 3 금속 배선에 의해 형성된 상부 캐패시터와, 상기 제 1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제 1 금속 박막과, 상기 제 2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제 2 금속 박막과, 상기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2 금속 배선, 상기 제 2 금속 배선과 제 3 금속 배선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층간 절연막과, 상기 제 1 금속 박막과 제 2 금속 배선, 상기 제 2 금속 박막과 제 3 금속 배선, 상기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3 금속 배선을 상호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비아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유전체막과 제 2 유전체막이 상호 반대 부호의 2차 전압계수를 갖도록 구성된다.
엠아이엠, 캐패시터, 전압계수, 유전체막

Description

엠아이엠 캐패시터{MIM CAPACITOR}
본 발명은 캐패시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압 의존도가 낮은 스택 구조의 엠아이엠 캐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시모스 아이씨 로직 소자(CMOS IC logic device)에 적용되는 아날로그 캐패시터(analog capacitor)는 어드벤스드 아날로그 모스 기술(advanced analog MOS technology), 특히 A/D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나 스위칭 캐패시터 필터(switching capacitor filter) 분야의 핵심요소이다.
이러한 캐패시터의 구조로는 PIP(Polysilicon-Insulator-Polysilicon), PIM(Polysilicon-Insulator-Metal), MIP(Metal-Insulator-Polysilicon) 및MIM(Metal-Insulator-Metal) 등 다양한 구조들이 이용되어 왔다.
이들 중에서, MIM 구조의 캐패시터는 직렬 저항이 낮고, 써멀 버짓(thermal budget) 및 전원전압(VCC)이 낮다는 이점 때문에, 아날로그 캐패시터의 대표적 구 조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MIM 캐패시터는 반도체 회사에서 RF(RadioFrequency)/MS(Mixed Signal) 소자, 디램 셀(DRAM cell) 등에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양단 전극에 가해지는 전압에 따른 캐패시턴스의 변화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C(V)=C0(1+aV+bV2)
여기서, C0는 캐패시터 전극 양단 전압이 0V 일때의 값이고, V는 캐패시터의 두 양극 전극의 전압이고, a는 1차 전압계수, b는 2차 전압계수이다.
이러한 전압계수는 전압 변화에 따른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을 2차 함수의 계수 값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그 절대치 값이 작을수록 MIM 캐패시터의 전압 의존성 혹은 전압에 대한 선형성이 우수하다고 표현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압계수의 절대치를 감소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유전체 박막 자체를 바꾸어 개선하거나, 동일한 유전체 박막에서 증착 전후의 파리미터를 변경하여 막질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유전체 박막 증착 전후의 플라즈마, O3, NH3 등을 이용한 표면 처리는 전압계수 값을 작은 쪽으로 개선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전압계수 특성 개선을 위한 특허가 국내공개특허 제2005-0118684호에 "반도체 다이 내 전압 의존도가 낮은 고밀도 합성 MIM 캐패시터"라는 제목으로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 기술은 캐패시터의 전압 계수중 1차 전압 계수 개선을 위한 것으로 2차 전압 계수 개선을 위한 방법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스택 구조의 엠아이엠 캐패시터에 있어서, 두개의 서로 반대의 부호 값을 가지며 그 절대값이 유사한 서로 다른 2개의 유전체 박막을 스택 구조로 구현하여 서로 상반되는 2차 전압계수 값을 상쇄시킴으로써, 전압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엠아이엠 캐패시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엠아이엠 캐패시터는, 제 1 금속 배선과 제 1 금속 배선 상의 제 1 유전체막 및 제 2 금속 배선에 의해 형성된 하부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금속 배선과 제 2 금속 배선 상의 제 2 유전체막 및 제 3 금속 배선에 의해 형성된 상부 캐패시터와, 상기 제 1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제 1 금속 박막과, 상기 제 2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제 2 금속 박막과, 상기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2 금속 배선, 상기 제 2 금속 배선과 제 3 금속 배선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층간 절연막과, 상기 제 1 금속 박막과 제 2 금속 배선, 상기 제 2 금속 박막과 제 3 금속 배선, 상기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3 금속 배선을 상호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비아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유전체막과 제 2 유전체막이 상호 반대 부호의 2차 전압계수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엠아이엠 캐패시터는, 제 1 금속 배선과 제 1 금속 배선 상의 제 1 유전체막 및 제 2 금속 배선에 의해 형성된 하부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금속 배선 상의 제 3 금속 배선과 제 3 금속 배선 상의 제 2 유전체막 및 제 4 금속 배선에 의해 형성된 상부 캐패시터와, 상기 제 1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제 1 금속 박막과, 상기 제 2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제 2 금속 박막과, 상기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2 금속 배선, 상기 제 2 금속 배선과 제 3 금속 배선, 제 3 금속 배선과 제 4 금속 배선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층간 절연막과, 상기 제 1 금속 박막과 제 2 금속 배선, 상기 제 2 금속 배선과 제 3 금속 배선, 상기 제 2 금속 박막과 제 4 금속 배선, 상기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4 금속 배선을 상호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비아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유전체막과 제 2 유전체막이 상호 반대 부호의 2차 전압계수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막 또는 제 2 유전체막은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다른 하나는 실리콘 질화막, Ta2O5, HfO2, ZrO2, Al 2O3 및 TiO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캐패시터와 상기 상부 캐패시터의 전기적 연결은 병렬로 연결된다.
또, 상기 하부 캐패시터와 상기 상부 캐패시터는 각각 동일 레이어에서 다수의 어레이 형태로 구성되고 각각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 하부 캐패시터와 상부 캐패시터로 구성되는 단위 캐패시터의 전기적 연결이 병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반대 부호를 갖는 서로 다른 2차 전압계수를 갖는 유전체막을 각각 적용한 하부 캐패시터와 상부 캐패시터를 병렬 연결하여, 유전체막에 각각의 2차 전압계수에 의해 2차 전압계수를 상쇄시켜 낮춤으로써 전압 의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아이엠 캐패시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절연층(10) 상에 제 1 금속 배선(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절연층(10)의 하부에는 트랜지스터와 소자분리막과 같은 하부 구조를 갖는 기판이 구비된다.
또한, 제 1 금속 배선(12) 상에는 제 1 유전체막(14)과 제 1 금속 박막(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금속 배선(12)과 비아 플러그(20a)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금속 배선(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금속 배선(12)과 제 2 금속 배선(22) 사이에는 비아 플러그(20a)를 제외한 영역에서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제 1 층간절연막(1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금속 배선(22) 상에는 제 2 유전체막(24)과 제 2 금속 박막(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금속 배선(22)의 상층에는 비아 플러그(30a)를 통해 제 2 금속 배선(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금속 배선(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금속 배선(22)과 제 3 금속 배선(31)의 사이에는 비아 플러그(30a)를 제외한 영역에서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제 2 층간 절연막(2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제 2 금속 배선(22)을 공통 전극인 상부 전극으로 하는 제 1 금속 배선(12), 제 1 유전체막(14)의 구성에 의해 하부 캐패시터(BC)와, 제 2 금속 배선(22)을 공통 전극인 하부 전극으로 하는 제 2 유전체막(24) 및 제 3 금속 배선(26)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캐패시터(TC)를 갖는다.
여기서, 하부 캐패시터(BC)와 상부 캐패시터(TC)는 도 2의 회로도에서와 같이 병렬 구조를 갖는다.
즉, 하부 캐패시터(BC)와 상부 캐패시터(TC)는 제 2 금속 배선(22)을 공통전극으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부 캐패시터(BC)의 하부 전극인 제 1 금속 배선(12)과 상부 캐패시터(TC)의 상부 전극인 제 3 금속 배선(32)이 비아 플러그(20b,30b)를 통해 직접 연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제 1 유전체막(14)과 제 2 유전체막(24)은 상호 반대 부호의 2차 전압계수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유전체막(14)과 제 2 유전체막(24)은 10~10000Å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 제 1 유전체막과 제 2 유전체막 중 어느 하나가 음의 부호를 갖는 실리 콘 산화막(SiO2)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양의 부호를 갖는 실리콘 질화막(Si3N4), Ta2O5, HfO2, ZrO2, Al 2O3 및 TiO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로 반대 부호의 2차 전압계수를 갖는 유전체막을 각각 가지는 두 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할 경우의 상술한 수학식 1에 의한 전압 의존성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2]
Cbottom(V)=Cob(1+aV+bV2)
[수학식 3]
Ctop(V)=Cot(1+cV+dV2)
과 같으며, 이를 병렬로 연결한 겨우 최종 전압 의존성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수학식 4]
Ctotal=(V)=Cbottom(V)+Ctop(V)=(Cob+Cot)(1+{(aCob+cCot)/(Cob+Cot)}V+{(bCob+dCot)/(Cob+Cot)}V2
와 같다.
상술한 수학식 4에서 oV의 전업에서 캐패시턴스를 나타내는 Cob와 Cot가 유사 하다고 가정하면(Cob=Cot), 수학식 4는 다음과 같다.
[수학식 5]
Ctotal=(V)=Cob[1+{(a+c)V+(b+d)V2}]
즉, 병렬로 연결된 하부 캐패시터(BC)와 상부 캐패시터(TC)로 구성되는 단위 캐패시터의 2차 전압 계수는 b+d로 표현된다.
따라서, b+d가 서로 반대 부호의 값을 갖는다면 병렬 구조의 단위 패캐시터의 2차 전압 계수는 작아져 전압 의존 특성이 개선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제 2 금속 배선을 공통전극으로 하부 캐패시터와 상부 캐패시터가 병렬 연결된 구조이고, 유전체막이 서로 반대 부호의 2차 전압계수를 가짐에 따라 전압 의존도가 개선되며 특히 그 합의 절대값이 작을 수록 전압에 대한 선형성(linearity)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엠아이엠 캐패시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상술한 도 1과 동일한 작용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절연층(40) 상에 제 1 금속 배선(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금속 배선(42) 상에는 제 1 유전체막(44)과 제 1 금속 박막(4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금속 배선(42)과 비아 플러그(50a)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금속 배선(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금속 배선(42)과 제 2 금속 배 선(60) 사이에는 비아 플러그(50a)를 제외한 영역에서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제 1 층간절연막(4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금속 배선(50) 상에는 비아 플러그(64a)를 갖는 제 2 층간절연막(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층간 절연막(62) 상에는 비아 플러그(64a)와 연결되는 제 3 금속 배선(66)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금속 배선(66) 상에는 제 2 유전체막(68)과 제 2 금속 박막(7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금속 배선(66)의 상층에는 비아 플러그(74a)를 통해 제 3 금속 배선(6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4 금속 배선(76)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3 금속 배선(66)과 제 4 금속 배선(76)의 사이에는 비아 플러그(74a)를 제외한 영역에서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제 3 층간 절연막(7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제 1 금속 배선(42)과 제 1 유전체막(44) 및 제 2 금속 배선(60)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캐패시터(BC)와, 제 3 금속 배선(66)과 제 2 유전체막(68) 및 제 4 금속 배선(70)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캐패시터(TC)를 갖는다.
여기서, 하부 캐패시터(BC)의 상부 전극인 제 2 금속 배선(60)과 상부 캐패시터(TC)의 하부 전극인 제 3 금속 배선(66)이 비아 플러그(64a)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하부 캐패시터(BC)와 상부 캐패시터(TC)는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즉, 하부 캐패시터(BC)와 상부 캐패시터(TC)는 제 2 금속 배선(6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부 캐패시터(BC)의 하부 전극인 제 1 금속 배선(42)과 상부 캐패시터(TC)의 상부 전극인 제 4 금속 배선(76)이 비아 플러그(50b,64b,74b)를 통해 직접 연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제 1 유전체막(44)과 제 2 유전체막(68)은 상호 반대 부호의 2차 전압계수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유전체막(44)과 제 2 유전체막(68)은 10~10000Å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 제 1 유전체막과 제 2 유전체막 중 어느 하나가 음의 부호를 갖는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양의 부호를 갖는 실리콘 질화막, Ta2O5, HfO2, ZrO2, Al 2O3 및 TiO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반대 부호의 2차 전압계수를 갖는 제 1 유전체막을 갖는 하부 캐패시터와 제 2 유전체막을 각각 가지는 상부 캐패시터를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시킴으로써, 2차 전압계수를 낮춰 전압 의존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하부 캐패시터와 상부 캐패시터로 구성되는 단위 캐패시터를 하나의 스택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변형예를 통해 각 단위 캐패시터를 다수의 어레이 형태로 구성하고, 각 어레이 형태의 단위 캐패시터의 전기적 연결을 병렬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아이엠 캐패시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구성을 표현한 전기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엠아이엠 캐패시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40 : 절연층 12, 42 : 제 1 금속 배선
14, 44 : 제 1 유전체막 16, 46 : 제 1 금속 박막
18, 48 : 제 1 층간절연막 20a,20b : 비아 플러그
22, 60 : 제 2 금속 배선 24, 68: 제 2 유전체막
26, 70 : 제 2 금속 박막 28, 62 : 제 2 층간절연막
30a,30b, 50a,50b, 64a, 64b, 74a, 74b: 비아플러그
32 : 제 3 금속 배선
66 : 제 3 금속 배선
72 : 제 3 층간 절연막
76 : 제 4 금속 배선

Claims (7)

  1.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1 금속 배선 상의 제 1 유전체막 및 제 2 금속 배선에 의해 형성된 하부 캐패시터;
    상기 제 2 금속 배선과 상기 제 1 금속 배선 상의 제 2 유전체막 및 제 3 금속 배선에 의해 형성된 상부 캐패시터;
    상기 제 1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제 1 금속 박막;
    상기 제 2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제 2 금속 박막;
    상기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2 금속 배선, 상기 제 2 금속 배선과 제 3 금속 배선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층간 절연막;
    상기 제 1 금속 박막과 제 2 금속 배선, 상기 제 2 금속 박막과 제 3 금속 배선, 상기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3 금속 배선을 상호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비아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유전체막과 제 2 유전체막이 상호 반대 부호의 2차 전압계수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엠아이엠 캐패시터.
  2.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1 금속 배선상의 제 1 유전체막 및 제 2 금속 배선에 의해 형성된 하부 캐패시터;
    상기 제 2 금속 배선 상의 제 3 금속 배선과 제 3 금속 배선 상의 제 2 유전체막 및 제 4 금속 배선에 의해 형성된 상부 캐패시터;
    상기 제 1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제 1 금속 박막;
    상기 제 2 유전체막 상에 형성된 제 2 금속 박막;
    상기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2 금속 배선, 상기 제 2 금속 배선과 제 3 금속 배선, 제 3 금속 배선과 제 4 금속 배선을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층간 절연막;
    상기 제 1 금속 박막과 제 2 금속 배선, 상기 제 2 금속 배선과 제 3 금속 배선, 상기 제 2 금속 박막과 제 4 금속 배선, 상기 제 1 금속 배선과 상기 제 4 금속 배선을 상호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비아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유전체막과 제 2 유전체막이 상호 반대 부호의 2차 전압계수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엠아이엠 캐패시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막 또는 제 2 유전체막은 10~10000Å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아이엠 캐패시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막과 제 2 유전체막 중 어느 하나는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아이엠 캐패시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막과 제 2 유전체막 중 다른 하나는 실리콘 질화막, Ta2O5, HfO2, ZrO2, Al 2O3 및 TiO2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아이엠 캐패시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캐패시터와 상기 상부 캐패시터의 전기적 연결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아이엠 캐패시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캐패시터와 상기 상부 캐패시터는 각각 동일 레이어에서 다수의 어레이 형태로 구성되고 각각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 하부 캐패시터와 상부 캐패시터로 구성되는 단위 캐패시터의 전기적 연결이 병렬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엠아이엠 캐패시터.
KR1020070140394A 2007-12-28 2007-12-28 엠아이엠 캐패시터 KR100957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394A KR100957881B1 (ko) 2007-12-28 2007-12-28 엠아이엠 캐패시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394A KR100957881B1 (ko) 2007-12-28 2007-12-28 엠아이엠 캐패시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320A KR20090072320A (ko) 2009-07-02
KR100957881B1 true KR100957881B1 (ko) 2010-05-13

Family

ID=4132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394A KR100957881B1 (ko) 2007-12-28 2007-12-28 엠아이엠 캐패시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8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1417A (ja) 2000-08-31 2002-05-17 Agere Systems Guardian Corp 並列キャパシタの積層構造と製造方法
JP2002299558A (ja) 2001-03-29 2002-10-1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21744A1 (en) 2003-12-04 2005-06-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High density MIM capacitor structure and fabrication process
KR20050118684A (ko) * 2003-04-09 2005-12-19 뉴포트 팹, 엘엘씨 디비에이 재즈 세미컨덕터 반도체 다이 내 전압 의존도가 낮은 고밀도 합성 mim커패시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1417A (ja) 2000-08-31 2002-05-17 Agere Systems Guardian Corp 並列キャパシタの積層構造と製造方法
JP2002299558A (ja) 2001-03-29 2002-10-1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118684A (ko) * 2003-04-09 2005-12-19 뉴포트 팹, 엘엘씨 디비에이 재즈 세미컨덕터 반도체 다이 내 전압 의존도가 낮은 고밀도 합성 mim커패시터
US20050121744A1 (en) 2003-12-04 2005-06-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High density MIM capacitor structure and fabrication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320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7809B2 (en) BEOL decoupling capacitor
KR100873542B1 (ko) 반도체 다이 내 전압 의존도가 낮은 고밀도 합성 mim커패시터
US9466661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MIM capacitor with minimal voltage coefficient and a decoupling MIM capacitor and analog/RF MIM capacitor on the same chip with high-K dielectrics
US5187637A (en) Monolithic high-voltage capacitor
US8604586B2 (en) High breakdown voltage embedded MIM capacitor structure
US20040135189A1 (en) Semiconductor device
CA2302040A1 (en) Shielded integrated circuit capacitor
US7498638B2 (en) ESD protection circuit for semiconductor device
KR100852210B1 (ko) 커패시터 유닛 및 그 형성 방법
KR20040008851A (ko) 일정한 커패시턴스를 갖는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 및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US10431647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miconductor circuit layout
KR100957881B1 (ko) 엠아이엠 캐패시터
Bajolet et al. Three-dimensional 35 nF/mm/sup 2/MIM capacitors integrated in BiCMOS technology
JPS61156851A (ja) 集積回路
CN116458282A (zh) 用于金属-绝缘体-金属电容器的四层高k
KR100685635B1 (ko) 반도체 소자의 엠아이엠 캐패시터 형성방법 및 엠아이엠캐패시터
US10770457B2 (en) Compensated alternating polarity capacitive structures
CN101770865A (zh) 电容器
CN114582860B (zh) 一种多电容匹配式mom电容器
CN104779250B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CN110323334B (zh) 一种用寄生电容做adc电容的结构及方法
US11574996B2 (en) High-voltage capacitor, system including the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pacitor
US11569343B2 (en)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s
US20050127421A1 (en) Semiconductor module having an insulation lay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module having an insulation layer
KR100928511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