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627B1 -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627B1
KR100957627B1 KR1020090112860A KR20090112860A KR100957627B1 KR 100957627 B1 KR100957627 B1 KR 100957627B1 KR 1020090112860 A KR1020090112860 A KR 1020090112860A KR 20090112860 A KR20090112860 A KR 20090112860A KR 100957627 B1 KR100957627 B1 KR 100957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late
protective plate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안종
Original Assignee
양안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816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5762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양안종 filed Critical 양안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627B1/ko
Priority to PCT/KR2010/00738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52975A2/ko
Priority to JP2012536667A priority patent/JP5272109B2/ja
Priority to CN2010800472695A priority patent/CN102573446A/zh
Priority to BR112012009864A priority patent/BR112012009864A2/pt
Priority to US13/501,780 priority patent/US2012019870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1Casing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기의 칼날을 보호하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한 커버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보호커버는 작업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칼날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칼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과 결합되며 상기 칼날의 회전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칼날을 보호하는 보호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받을 때,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보호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회전지지수단과,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휘어져 상기 칼날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칼날과 상기 보호플레이트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를 구비한다.
예초기, 보호커버

Description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Bearing uint and Protect cover for brush cutter using that}
본 발명은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환이 가능하며 예초작업 중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며, 칼날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예초기는 작업대의 회전축 하단에 칼날을 장착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사용하고 있음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어린이를 포함한 사람이 접근했을 경우에 사고의 발생위험이 있으며, 작업도중 칼날이 지면의 물체와 충돌하는 경우 칼날이 회전되는 속도에 의해 지면상의 물체가 튕겨 나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하였다.
또한 작업시 칼날이 피물체와 충돌하면서 휘거나 부러지는 경우가 있어 그 충격으로 인해 사용자가 작업대를 놓치는 등 2차적인 사고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등록실용신안 제214892호 등과 같이 칼날을 보호한 상태로 잡초를 원활하게 절단하도록 칼날의 저부에 안전판을 구비하여 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예초기가 다수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예초기의 경우에도 시간의 경과로 작업도중 작업대를 내리거나 집중력의 저하로 안전판이 지면에 접촉하게 되면 보호판이 지면을 뚫고 지중으로 들어가는 등의 문제점으로 원활한 잡초절단이 어려웠으며, 이에 따라 작업효율의 저하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고안이 등록실용신안 20-043995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종래의 칼날보호용 예초기의 경우 칼날을 보호하기 위한 칼날보호판이 칼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회전력을 받기 때문에 연결지점에서 파손이 발생할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국내특허출원 제10-2009-0041732호에서 칼날을 보호하는 보호판이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플레이트 회전지지수단을 구비하는 예초기용 보호커버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출원된 종래의 예초기용 보호커버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보호커버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 스프링의 복원력이 지나치게 커 휨이 발생하고, 칼날과 충돌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아울러 예초기의 칼날과 칼날의 하부에 결합되는 보호커버를 상호 연결하는 베어링에 예초 작업중 이물질이 유입되어 베어링의 고장으로 인해 보호커버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유지비가 과다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예초 작업 중 이물질의 유입이 최소화됨으로써 베어링의 수명을 늘려 예초기용 보호커버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베어링유닛을 제공하며, 예초기의 칼날을 보호하는 보호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하더라도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대와 보호커버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 수준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예초기용 보호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잡초의 제거 과정에서 이물질이 칼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로 유입되어 칼날의 원활한 회전 구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예초기용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잡초의 절단시에 칼날에 의해 절단되는 잡초가 보호커버로부터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끌림 방지돌기를 포함하여 절단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커버가 지면을 뚫고 들어가 칼날이 지면 또는 지면 상의 이물질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칼날의 파손과 사용자의 부상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예초기용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유닛은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 접하도록 상기 베어링의 중공에 끼워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예초기 칼날의 구동축이 관통하도록 축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축지지부재와, 상기 예초기 칼날의 하부에 설치되는 보호판에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륜이 접촉하도록 끼워지는 보호판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판 연결부재는 예초기용 보호판의 상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고, 내주면이 상기 베어링의 외륜과 접하는 원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지지부재는 상기 삽입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베어링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방사상의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확장부와,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통부의 상단 일부를 감싸 예초 작업 중 이물질이 상기 베어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차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보호커버는 작업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칼날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칼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며 상기 칼날의 회전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칼날을 보호하는 보호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칼날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 연결되고 상기 칼날의 구동축이 관통할 수 있는 축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축지지부재와, 상기 베어링의 외륜에 접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보호판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베어링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받을 때,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보호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회전지지수단과,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휘어져 상기 칼날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칼날과 상기 보호플레이트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회전지지수단은 일단이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칼날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보호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지지되어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단이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부재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하단이 상기 스프링부재와 연결된 상기 보호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상기 스프링부재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호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칼날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조 이물질 차단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호플레이트는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어 있는 다수의 절단홈과, 구동축으로부터의 반경이 상기 칼날의 회전반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단홈의 단부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다수개의 절삭용 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이물질 차단부는 상기 베어링과 인접하는 각각의 절삭용 홀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절곡 형성된 절곡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플레이트는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어 있는 다수의 절단홈과, 구동축으로부터의 반경이 상기 칼날의 회전반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이물질 차단부는 상기 베어링과 인접하는 상기 절단홈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절곡 형성된 절곡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플레이트는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어 있는 다수의 절단홈과, 구동축으로부터의 반경이 상기 칼날의 회전반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칼날의 회전방향에 대향되는 상기 절단홈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절단홈으로 인입된 절단대상 풀이 상기 칼날에 의해 절단되는 과정에서 상기 보호플레이트의 외측방향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호플레이트는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어 있는 다수의 절단홈과, 구동축으로부터의 반경이 상기 칼날의 회전반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외측 단부에는 예초 작업 중 상기 보호플레이트의 단부가 지표면을 뚫고 지하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방으로 소정각도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유닛은 예초기의 칼날과 예초기용 보호커버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예초 작업 중 베어링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베어링의 파손에 의한 예초기용 보호커버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보호커버는 보호커버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복귀 력에 의해 칼날과 충돌할 정도로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동축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원활한 구동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예초기와 이 예초기에 장착되는 예초기용 보호커버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예초기는 작업대(30)의 단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0)와, 구동모터(20)의 구동축(21)에 설치되어 구동축(21)과 함께 회전하면서 절단 대상이 되는 풀을 절단하는 칼날(10)을 구비한다.
물론 예초기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착용하여 상기 구동모터(2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력공급부를 더 구비한다.
예초기용 보호커버(100)는 상기 칼날(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동축(21)에 지지되는 커버부재(110)와, 커버부재(110)를 칼날(10)의 구동축과 연결하는 베어링유닛(160)과, 커버부재(11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회전지지수단(120)을 포함한다.
구동축(21)은 베어링유닛(160)에 의해 커버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베어링유닛(160)과 보호플레이트(112)를 관통한 뒤 보호플레이트(112)의 하부에서 체결너트(40)에 의해 체결된다.
커버부재(110)는 보호플레이트(112)를 포함하는데, 보호플레이트(112)는 중앙 상면에 상기 베어링유닛(160)이 장착되며, 베어링유닛(160)을 중심으로 외주면 까지의 거리가 칼날(10)의 회전 반경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플레이트(112)의 가장자리에는 중앙을 향해 소정깊이 인입되어 있는 절단홈(113)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홈(113)들에 의해 절단홈(113)의 사이에는 돌출부(114)가 형성되며, 따라서 보호플레이트(112)의 가장자리에는 절단홈(113)과 돌출부(114)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 된다.
상기 절단홈(113)의 내측으로도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절삭용 홀(115)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플레이트(112)는 돌출부(114)가 칼날(10)의 회전반경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풀을 깎는 작업을 실시하는 중에 칼날(10)이 어떤 장애물에 충돌하기 전에 먼저 돌출부(114)에 간섭이 된다.
따라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칼날(10)에 자갈이나 기타 이물질에 충돌하여 사람을 향해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칼날(10)이 풀이 아닌 다른 장애물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홈(113)과 관통홀(11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홈(113)과 관통홀(115)을 통해 보호플레이트(112)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고 보호플레이트(112)의 가장자리 내측에 위치하는 풀만 절단하게 되므로 안전한 예초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플레이트(112)에는 상기 베어링유닛(160)을 감싸는 원주방향을 따라 베어링유닛(160)과 구동축(21)의 연결지점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칼 날(10)의 회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이물질 차단부가 마련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이물질 차단부가 상기 관통홀(115)의 가장자리에서 베어링유닛(160)을 감싸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된 절곡플레이트(116)로 되어 있다.
상기 절곡플레이트(116)는 보호플레이트(112)의 가공시 관통홀(115)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프레스기로 천공작업을 할 때, 절곡될 부분의 가장자리가 잘리도록 천공하고 이를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이물질 차단부가 보호플레이트(112)의 가공 과정에서 절곡 가능하게 가공하도록 하기 위해 소정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절곡플레이트(116)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환형의 원통부재가 베어링유닛(160)을 감싸도록 보호플레이트(112)의 상부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어링유닛(160)은 상술한 것처럼, 보호플레이트(112)에 대하여 칼날(10)의 구동축(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베어링유닛(160)은 보호플레이트(112)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베어링(161)과, 베어링(161)의 내륜(163)과 접하는 축지지부재(171)와, 베어링(161)의 외륜(164)과 접하는 보호판 연결부재(181)를 포함한다.
베어링(16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볼 베어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데, 내륜(163)과 외륜(164)이 전동체인 볼(미도시)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며, 후술하는 축지지부재(171)와 보호판 연결부재(18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면 도시된 본 실시예와는 다른 다양한 형태의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부재(171)는 상기 베어링(161)의 내륜(163)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베어링(161)의 중공(162)에 끼워지는 삽입부(172)와, 상기 삽입부(172)의 상단에 형성되며, 칼날(1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7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73)에는 상기 구동축(21)이 관통할 수 있도록 축관통공(17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관통공(176)을 통과하도록 구동축(21)이 끼워지면 칼날(10)은 지지부(173)의 상면에 지지된다.
또한 삽입부(172)의 하단에는 확장부(174)가 마련되는데, 확장부(174)는 베어링(161)의 중공(162)을 관통하도록 결합된 후 베어링(161)의 하부에서 확장시켜 형성한다. 확장부(174)는 삽입부(172)의 하단에서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확장부(174)에서 베어링(161)의 하단을 지지하게 되므로 축지지부재(171)가 베어링(161)에 결합되면 확장부(174)에 의해 베어링(161)과 축지지지부(173)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173)의 가장자리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이물차단부(175)가 마련되는데, 이물차단부(175)는 후술하는 보호판 연결부재(181)의 상단보다 하부로 소정길이 더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이 이물차단부(175)에 의해 예초작업 중 이물질이 베어링(16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서 베어링(161)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보호판 연결부재(181)는 보호플레이트(112)의 상면에 체결부재(186)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82)와, 결합부(18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베어링(161)의 외륜(164)에 내주면이 접하는 원통부(184)를 포함한다.
결합부(182)는 다수개의 체결홀(183)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186)가 체결홀(183)과 보호플레이트(112)의 결합홀(111)을 관통하여 두 부재를 결합시킨다.
원통부(184)는 베어링(161)의 외륜(164)에 접하며, 원통부(184)의 상단에는 베어링(161)의 상면을 소정영역 감쌀 수 있도록 절곡된 절곡부(18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칼날(10)이 회전하게 되면, 칼날(10) 및 구동축(21)은 상기 베어링(161)의 내륜(163)과 접하는 축지지부재(171)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보호플레이트(112)는 베어링(161)의 외륜(164)과 접하는 보호판 연결부재(181)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커버부재는 회전하지 않고 칼날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유닛(160)은 구동축(21)이 관통하는 중공(162)만 형성되어 있을 뿐이므로 구동축(21)이 칼날(10)과 일체화되어 있어서 보호플레이트(112)의 하부에서 별도의 너트로 고정하는 방식이나 체결핀을 보호플레이트(112)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삽입하여 상기 칼날(10)에 나사결합시키는 방식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플레이트 회전지지수단(120)은 일단과 타단이 각각 작업대(30)와 보호플레이트(112)에 결합되는 스프링부재(126)와, 스프링부재(126)를 감싸는 보호관(129)을 포함한다.
작업대(30)에는 고정브라켓(121)이 설치되는데, 고정브라켓(121)은 작업대(30)를 감쌀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양 끝단이 나란하게 돌출되는 체결부(122)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부(122)에는 각각 체결홀(12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브라켓(121)은 체결볼트(124)와 체결너트(125)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는데, 체결볼트(124)를 두 개의 체결홀(123)을 모두 관통하도록 삽입한 뒤, 단부를 체결너트(125)로 체결함으로써 고정브라켓(121)을 작업대(3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스프링부재(126)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 제2 고정고리(127,128)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1 고정고리(127)는 체결볼트(124)에 걸려 고정되며, 제2 고정고리(128)는 보호플레이트(11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홀(118)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 스프링부재(126)에 의해 칼날(10)이 고속으로 회전할 때, 보호플레이트(112)가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보호플레이트(112)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한 보호플레이트(112)는 스프링부재(126)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부재(126)가 회전된 보호플레이트(112)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적용되었는데, 이 외에도 소정길이 신장이 가능한 고무재의 로프와 같이 탄성변형이 가능한 다양한 부재들이 적용될 수 있다.
보호관(129)은 상기 스프링부재(126)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단은 고정브라켓(121)에 지지되고, 하단은 보호플레이트(112)의 상면에 지지된다.
보호관(129)은 스프링부재(126)를 보호함과 동시에 보호플레이트(112)와 칼날(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거리로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로서 적용된 것이다.
상기 보호플레이트(112)가 소정각도 회전한 후 스프링부재(126)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스프링부재(126)의 인력이 지나치게 크게 작용하면, 스프링부재(126)와 연결된 보호플레이트(112)의 일측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보호플레이트(112)의 일측이 들리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칼날(10)이 보호플레이트(112)와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보호관(129)을 통해 보호플레이트(112)를 지지하면 보호관(129)에 의해 보호플레이트(112)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칼날(10)과 보호플레이트(112) 사이의 이격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재로써 보호관(129)이 적용되었으나, 간격유지부재는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회전지지수단(130)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회전지지수단(130)은 보호플레이트(112)에 일단이 결합된 지지봉(131)과, 상기 지지봉(131)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로드(136)와, 상기 지지봉(131)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38)를 포함한다.
지지봉(131)은 내부에 상기 인출로드(136)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공(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132)이 상단을 통해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은 보호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있는데, 제1 유니버셜조인트(1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인출로드(136)는 상단이 작업대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35)에 연결되어 있는데, 제2 유니버셜조인트(134)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져 있어서, 인출로드(136) 역시 회전이 자유롭다.
인출로드(136)의 하단은 지지봉(131)의 내부에 위치하며, 단부에는 지지봉(131) 중공(132)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의 확장판(13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인출로드(136)는 중공(132)의 내경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봉(131)의 내벽과 인출로드(136)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38)는 지지봉(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인출로드(136)를 지지봉(131)의 하단을 향해 인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것이다.
탄성부재(138)는 일단이 상기 확장판(137)에 지지되어 있고, 타단이 지지봉(131)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걸림턱(미도시)에 지지되어 있는 압축스프링이며, 탄성부재(138)의 탄성력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보호플레이트와 작업대에 각각 연결된 지지봉(131)과 인출로드(136) 전체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예초기의 구동에 의해 칼날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실시예의플레이트 회전지지수단(120)과 마찬가지로 보호플레이트가 소정각도 회전하면서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는 커버부재(15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는 구동축이 끼워지는 베어링유닛(151)과, 보호플레이트(152)를 포함한다.
보호플레이트(152)는 베어링유닛(151)을 지지하는 베이스판(154)과, 베이스판(154)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부(153)를 포함하는데, 상기 돌출부(153)의 길이는 칼날(10)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지면의 자갈과 같은 장애물이 칼날(10)보다 보호플레이트(152)에 먼저 간섭되도록 되어 있으며, 돌출부(153)들의 사이에는 베이스판(154)을 향해 인입되어 있는 절단홈(155)들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보호플레이트(152)는 절단홈(155)의 인입 깊이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보호플레이트(112)에 비해 상대적으로 깊기 때문에 억새와 같이 일반적인 잡초나 잔디에 비해 상대적으로 키가 크게 자라는 식물을 잘라내는 것이 더욱 용이하다.
특히 돌출부(153)에는 끝단으로부터 베이스판(154)을 향해 소정길이 이격된 지점에 절단홈(155)을 향해 돌출된 스토퍼(156)가 마련되어 있어서 절단홈(155)으로 유입된 풀들이 외측으로 이탈하지 못하고 용이하게 잘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보호플레이트(152)에도 절단홈(155)의 단부측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돌출된 절곡플레이트(157)가 보조 이물질 차단부로써 적용되었는데, 형성방법이나 형태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도 8 및 도 9에는 예초기용 보호커버(2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실시예의 예초기용 보호커버(200)의 평명도와 단면도인데,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예초기용 보호커버(200)는 보호플레이트(210)가 제2 실시예와 같이 가장자리로부터 베어링이 설치되는 중앙부까지 인입 깊이가 깊도록 형성된 절단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단홈(211)의 가장자리 중 칼날(10)의 회전방향(D)에 대향되는 일측에는 절단홈(211)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을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밀림방지돌기(2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림방지돌기(212)는 제2 실시예의 스토퍼(156)과 같은 역할 즉, 잡초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절단홈(211)으로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밀려나가 잡초의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밀림방지돌기(212)는 절단홈의 내측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소정길이 연속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잡초 절단 과정에서 잡초의 밀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보호플레이트(210)의 단부 가장자리에는 소정각도 상방으로 절곡되어 올라가도록 형성된 절곡부(21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절곡부(213)는 예초작업 중 보호플레이트(210)의 단부가 땅속으로 파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일반적으로 예초 작업의 수행시 칼날(10)과 보호플레이트(210)를 비스듬히 기울인 상태로 예초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보호플레이트(210)의 단부가 지표면을 뚫고 들어가, 칼날(10)이 지표면의 돌과 같은 이물질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절곡부(213)를 형성해 둠으로써 보호플레이트(210)가 예초 작업중 땅속으로 파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제3 실시예의 예초기용 보호커버(200)도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플레이트 회전지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보호커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플레이트 회전지지수단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베어링유닛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1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플레이트 회전지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이며,
도 7은 예초기용 보호커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예초기용 보호커버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작업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칼날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칼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며 상기 칼날의 회전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칼날을 보호하는 보호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칼날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 연결되고 상기 칼날의 구동축이 관통할 수 있는 축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축지지부재와, 상기 베어링의 외륜에 접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보호판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베어링유닛과;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받을 때,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보호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회전지지수단과;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휘어져 상기 칼날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칼날과 상기 보호플레이트 사이의 이격거리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플레이트 회전지지수단은 일단이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칼날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보호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지지되어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단이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부재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하단이 상기 스프링부재와 연결된 상기 보호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보호플레이트가 상기 스프링부재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보호커버.
  4. 삭제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칼날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조 이물질 차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보호커버.
  7. 삭제
  8. 삭제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플레이트는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어 있는 다수의 절단홈과, 구동축으로부터의 반경이 상기 칼날의 회전반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칼날의 회전방향에 대향되는 상기 절단홈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절단홈으로 인입된 절단대상 풀이 상기 칼날에 의해 절단되는 과정에서 상기 보호플레이트의 외측방향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보호커버.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플레이트는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어 있는 다수의 절단홈과, 구동축으로부터의 반경이 상기 칼날의 회전반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외측 단부에는 예초 작업 중 상기 보호플레이트의 단부가 지표면을 뚫고 지하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방으로 소정각도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보호커버.
KR1020090112860A 2009-10-26 2009-11-20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KR100957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7388 WO2011052975A2 (ko) 2009-10-26 2010-10-26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JP2012536667A JP5272109B2 (ja) 2009-10-26 2010-10-26 軸受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草刈機用保護カバー
CN2010800472695A CN102573446A (zh) 2009-10-26 2010-10-26 轴承单元和使用该轴承单元的割草机用保护件
BR112012009864A BR112012009864A2 (pt) 2009-10-26 2010-10-26 unidade de mancal e tampa de proteção para cortador de grama que emprega a mesma
US13/501,780 US20120198706A1 (en) 2009-10-26 2010-10-26 Bearing unit and protection cover for grass mower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1643 2009-10-26
KR1020090101643 2009-10-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484A Division KR101063974B1 (ko) 2010-03-18 2010-03-18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627B1 true KR100957627B1 (ko) 2010-05-13

Family

ID=4228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860A KR100957627B1 (ko) 2009-10-26 2009-11-20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98706A1 (ko)
JP (1) JP5272109B2 (ko)
KR (1) KR100957627B1 (ko)
CN (1) CN102573446A (ko)
BR (1) BR112012009864A2 (ko)
WO (1) WO2011052975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965B1 (ko) 2010-11-24 2011-03-17 임병준 예초기용 보호커버 및 이에 적용되는 베어링 유니트
KR101037065B1 (ko) 2011-03-15 2011-05-26 임병준 탄성부재 파손방지를 위한 예초기용 플레이트 회전방지구
WO2011162490A2 (ko) * 2010-06-22 2011-12-29 Lim Byoung Joon 교체가 가능한 예초기의 베어링유닛
KR101186790B1 (ko) 2012-05-30 2012-09-27 동명산업(주) 예초기용 칼날 보호원판의 지지장치
KR101192950B1 (ko) 2011-04-19 2012-10-18 임병준 예초기 및 이에 적용되는 보호커버
KR200471933Y1 (ko) 2011-04-20 2014-03-25 박정식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CN104411154A (zh) * 2012-06-07 2015-03-11 东明产业株式会社 割草机用安全板冲击吸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8497A1 (ja) * 2011-09-13 2013-03-21 Yamada Sakuji 草刈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草刈機
CN103688647B (zh) * 2013-12-02 2017-01-18 宁波利豪机械有限公司 一种应用于双刃双向旋转割草机的轴承支撑结构
WO2015165506A1 (en) 2014-04-29 2015-11-05 Husqvarna Ab Improved robotic work tool
JP5824562B1 (ja) * 2014-06-13 2015-11-25 株式会社ハウスビーエム 除草用カッタ
CN104429302B (zh) * 2014-10-31 2017-06-13 惠安县丽佳智能设备有限公司 安全除草器
CN209201538U (zh) * 2018-04-13 2019-08-06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用于割草的工作头和割草工具
JP7108461B2 (ja) * 2018-05-22 2022-07-28 株式会社やまびこ 芝刈機
CN213404156U (zh) * 2019-06-18 2021-06-11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自动割草机
CN110771353A (zh) * 2019-12-04 2020-02-11 常州格力博有限公司 推草机
SE544710C2 (en) * 2020-05-07 2022-10-25 Husqvarna Ab Robotic lawnmower cutter assembly, robotic lawnmower, and method of attaching a lawnmower cutter assembly to a lawnmow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542Y1 (ko) * 2001-04-26 2001-10-12 이진수 예초기의 절단장치
KR200403471Y1 (ko) * 2005-09-15 2005-12-09 최창곡 예초기칼날보호구
KR20070034663A (ko) * 2005-09-26 2007-03-29 신미화 예초기의 회전칼 안내대
KR100910237B1 (ko) * 2009-05-13 2009-07-31 양동섭 예초기용 보호커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550A (ja) * 1996-10-23 1998-05-12 Naritaka Fukuda 電動草刈機における保護触手アタッチメント
JP2001178238A (ja) * 1999-10-12 2001-07-03 Takashi Takemori 草刈機の刃先保護具
KR200238475Y1 (ko) * 2001-04-11 2001-10-11 조규만 안전기능이 구비된 예초기
JP2003339220A (ja) * 2002-05-27 2003-12-02 Takumi Tanakura 刈り刃式草刈機用スリット型安全装置
KR200343105Y1 (ko) * 2003-11-10 2004-02-25 김형진 예초기용 칼날 보조 지지대 및 그 지지대를 갖는 예초기
JP4168164B2 (ja) * 2005-01-24 2008-10-22 株式会社小林鉄工所 刈払機
JP2008125444A (ja) * 2006-11-21 2008-06-05 Nsk Ltd 回転部材支持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542Y1 (ko) * 2001-04-26 2001-10-12 이진수 예초기의 절단장치
KR200403471Y1 (ko) * 2005-09-15 2005-12-09 최창곡 예초기칼날보호구
KR20070034663A (ko) * 2005-09-26 2007-03-29 신미화 예초기의 회전칼 안내대
KR100910237B1 (ko) * 2009-05-13 2009-07-31 양동섭 예초기용 보호커버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2490A2 (ko) * 2010-06-22 2011-12-29 Lim Byoung Joon 교체가 가능한 예초기의 베어링유닛
WO2011162490A3 (ko) * 2010-06-22 2012-04-19 Lim Byoung Joon 교체가 가능한 예초기의 베어링유닛
KR101021965B1 (ko) 2010-11-24 2011-03-17 임병준 예초기용 보호커버 및 이에 적용되는 베어링 유니트
CN102475012A (zh) * 2010-11-24 2012-05-30 林炳俊 割草机用保护盖及应用于此的轴承单元
WO2012070736A1 (ko) * 2010-11-24 2012-05-31 Lim Byoung Joon 예초기용 보호커버 및 이에 적용되는 베어링 유니트
KR101037065B1 (ko) 2011-03-15 2011-05-26 임병준 탄성부재 파손방지를 위한 예초기용 플레이트 회전방지구
WO2012124859A1 (ko) * 2011-03-15 2012-09-20 Lim Byoung Joon 탄성부재 파손방지를 위한 예초기용 플레이트 회전방지구
KR101192950B1 (ko) 2011-04-19 2012-10-18 임병준 예초기 및 이에 적용되는 보호커버
KR200471933Y1 (ko) 2011-04-20 2014-03-25 박정식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KR101186790B1 (ko) 2012-05-30 2012-09-27 동명산업(주) 예초기용 칼날 보호원판의 지지장치
WO2013180363A1 (ko) * 2012-05-30 2013-12-05 동명산업(주) 예초기용 칼날 보호원판의 지지장치
CN104411154A (zh) * 2012-06-07 2015-03-11 东明产业株式会社 割草机用安全板冲击吸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72109B2 (ja) 2013-08-28
WO2011052975A3 (ko) 2011-09-09
BR112012009864A2 (pt) 2016-08-30
WO2011052975A2 (ko) 2011-05-05
US20120198706A1 (en) 2012-08-09
JP2013507985A (ja) 2013-03-07
CN102573446A (zh)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627B1 (ko)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KR101063974B1 (ko)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KR100910237B1 (ko) 예초기용 보호커버
WO2018004282A1 (ko) 예초기 컷팅날 유닛
KR101050682B1 (ko) 휴대용 동력 예초기용 다기능 회전 절단날
KR101926182B1 (ko) 예초기
KR101054726B1 (ko) 예초기용 가변식 안전커버
KR200238475Y1 (ko) 안전기능이 구비된 예초기
KR101063975B1 (ko)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
KR200439951Y1 (ko) 칼날보호용 예초기
KR101864945B1 (ko) 가이드블레이드를 구비한 예초기 칼날
KR200471933Y1 (ko)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KR100702851B1 (ko) 예취기용 칼날
KR200403471Y1 (ko) 예초기칼날보호구
KR100648318B1 (ko) 예취기용 만조
KR200293938Y1 (ko) 예초기용 칼날
JP3187237U (ja) 除草用回転刃
EP2859786A1 (en) Shock absorption device of safety plate for shrub trimmer
KR20140005018A (ko) 예초기용 보호장치
KR101100239B1 (ko) 예초정리용 상부커버
KR20140142012A (ko)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
KR100690575B1 (ko) 예초기
KR20100008361U (ko) 예초기용 칼날보호장치
KR200397117Y1 (ko) 예초기용 칼날
KR200275295Y1 (ko) 예취기장착소형로터리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0610

Effective date: 201312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628

Effective date: 201312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0129

Effective date: 20140821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129

Effective date: 20140821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0923

Effective date: 201412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