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933Y1 -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 Google Patents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933Y1
KR200471933Y1 KR2020110003387U KR20110003387U KR200471933Y1 KR 200471933 Y1 KR200471933 Y1 KR 200471933Y1 KR 2020110003387 U KR2020110003387 U KR 2020110003387U KR 20110003387 U KR20110003387 U KR 20110003387U KR 200471933 Y1 KR200471933 Y1 KR 200471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blade
protective plate
cover
recess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467U (ko
Inventor
박정식
Original Assignee
박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식 filed Critical 박정식
Priority to KR2020110003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93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4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9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18Safety devices for parts of the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18Safety devices for parts of the machines
    • A01D75/185Avoiding collisions with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06Driving mechanisms
    • A01D34/6818Motor start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모터의 구동축에 회전되도록 결합된 예초기용 회전날을 보호하기 위한 도구에 있어서,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돌출부 및, 오목부의 중앙부로부터 일체형으로 상향 돌출된 중공의 수용돌기를 포함하고, 회전날의 하측에 설치된 보호플레이트; 수용돌기에 수용되어 고정된 베어링유닛; 및 보호플레이트와 회전날 사이에 이물질이 끼여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보호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으로써, 및 장애물을 제거하여 돌맹이 및 장애물과 회전날과의 충돌이 방지되고, 회전날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Safeguard of rotary blade of bush cutting machine}
본 고안은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예초기의 회전날가 돌맹이 및 장애물과 충돌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회전날이 파손되어 비산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는 작은 나뭇가지나 잡초 및 잔디 등을 가지런히 정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이다. 이 예초기는 고속 회전날을 구비하고, 이 회전날을 통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의 식물을 잘라낸다.
초창기의 예초기는 단순히 모터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회전날만 포함되어 제작되었다. 따라서, 예초기로 예초 작업을 하는 동안 울퉁불퉁한 지면 또는 지면에 산재해 있는 돌들, 그 외의 쓰레기를 포함한 장애물 등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날에 충돌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회전날에 의해 튕겨져 나간 돌이나 장애물 또는, 돌이나 장애물과의 충돌로 파손된 회전날이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날의 하측에는 회전날이 지면, 돌 및 장애물과 부딪치기 전에 미리 제거되는 보호플레이트가 설치되었다. 이렇듯, 보호플레이트가 설치된 종래의 예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용 봉(10)의 하단부에 설치된 구동모터(110)와, 이 구동모터(110)와 연동되어 고속회전하도록 구동모터(110)의 구동축(미도시)에 설치된 회전날(120)과, 회전날(120)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구동축의 하단부가 베어링유닛(미도시)를 통해 장착된 보호플레이트(40) 및, 보호플레이트(4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봉(10)과 보호플레이트(40)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된 회전저지수단(50)이 포함되어 이루어졌다.
여기서, 보호플레이트(40)는 중심부에서 외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41)가 형성되었다. 이 돌출부(41)는 울퉁불퉁한 지면에서 지면과 회전날(120)의 접촉을 방지시키고, 돌 및 장애물을 회전날(120)에 닿기 전에 미리 제거하는 기능을 하였다.
또한, 회전저지수단(50)은 회전날(120)이 고속회전하게 되더라도 보호플레이트(40)는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부재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구동축과 보호플레이트(40) 사이에 베어링유닛이 개재되어 있지만 구동축의 회전력 일부가 보호플레이트(40)에 전달되어 보호플레이트(40)가 회전하였기 때문에, 이 보호플레이트(40)의 회전을 회전저지수단(50)이 방지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회전저지수단(50)에 의해 보호플레이트(40)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초 작업시 예초기의 이동궤적에 따라 돌출부(41)들 사이의 공간으로 돌 및 장애물이 유입될 수 있었고, 유입된 돌 및 장애물에 고속 회전하는 회전날이 충돌하게 되면 회전날(120)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호플레이트(40)가 지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들고 다니면서 예초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근력 소모가 커 장시간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보호플레이트가 자유로이 회전하면서 작은 크기의 돌 및 장애물이 돌출부 사이로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하도록 된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호플레이트와 회전날 사이에 커버 또는 보조날이 장착되어 보호플레이트와 회전날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된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보호플레이트를 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예초 작업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근력 소모가 최소화되어 장시간 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는, 모터의 구동축에 회전되도록 결합된 예초기용 회전날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에 있어서, 중앙부위에 오목부가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면서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돌출부 및, 오목부의 중앙부로부터 일체형으로 상향 돌출된 중공의 수용돌기를 포함하고, 회전날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모터의 구동축에 회전날과 별도로 회전되도록 체결된 보호플레이트; 수용돌기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보호플레이트에 대해 구동축의 회전이 보장되도록 모터의 구동축의 일단부가 체결된 베어링유닛; 및 보호플레이트와 회전날 사이에 개재되어 보호플레이트와 회전날 사이에 이물질이 끼여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보호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호플레이트에는 수용돌기에 수용된 베어링유닛의 하면과 접촉하여 베어링유닛을 고정하도록 수용돌기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재가 더 포함된다.
또한, 오목부의 하면은 반구(半球) 형상이다.
보호수단은 그릇형상의 제1몸체와, 제1몸체로부터 외향 연장된 테두리 및, 제1몸체의 바닥에 형성된 제1체결홀을 갖는 대야 형상이고, 제1체결홀이 수용돌기에 끼워져 체결되며, 테두리가 오목부의 개방된 상면을 가리면서 베이스의 표면까지 연장되어 베이스의 표면과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제1커버이다.
또한, 보호수단은 상면이 평평하고 하부가 오목부의 내부를 침범하도록 볼록한 대략 원반형상의 제2몸체 및, 제2몸체의 중심에 형성된 제2체결홀을 포함하고, 제2체결홀이 수용돌기에 끼워져 체결되며, 제2몸체의 상부가 오목부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제2커버이다. 여기서, 오목부의 경사진 내면과 형상맞춤되도록 제2커버 하부의 외주면은 경사진 형상이다.
또한, 보호수단은 모터의 구동축에 회전날과 더불어 회전하도록 설치된 보조날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예초 작업시 예초기가 이동하게 되면 보호플레이트가 지면과의 접촉 마찰에 의해 회전하면서 돌출부가 돌맹이 및 장애물을 제거하여 돌맹이 및 장애물과 회전날과의 충돌이 방지되고, 회전날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보호플레이트가 회전하기 때문에 예초기의 이동 궤적에 따라 보호플레이트가 고정된 종래의 경우 돌출부 사이로 돌 및 장애물이 유입되었던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회전날이 파손 및 비산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플레이트와 회전날 사이에 이물질, 특히 절삭된 찌꺼기가 끼여 감겨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회전날의 고속 회전이 보장되고, 감겨져 쌓인 이물질에 의한 회전날의 파손 역시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플레이트의 하면이 지면에 닿은 상태 즉, 보호플레이트를 지면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예초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장시간 예초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플레이트가 지면에 닿아 회전하면서 회전날이 예초를 하기 때문에 잡초나 잔디가 일정한 높이로 절삭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예초기의 회전날 부위가 확대되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회전날의 보호구가 예초기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주요부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호구의 제1실시예인 제1커버와 보호플레이트의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보호구의 제2실시예인 제2커버와 보호플레이트의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호구의 제3실시예인 보조날이 예초기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5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는 도 6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용 회전날의 보호구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된다.
<제1실시예의 구성>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회전날의 보호구가 예초기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호구의 제1실시예인 제1커버와 보호플레이트의 장착상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초기용 회전날의 보호구(200)가 장착된 예초기는 파지용 봉(100)의 하단부에 구동모터(110)에 의해 고속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날(120) 및, 보호구(2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동모터(110)에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동력공급부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회전날(120)의 회전을 위한 연결 구조 및 예초기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후술되는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면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예치기는 종래의 예치기에서 회전저지수단(50, 도 1 참조)가 제거되어 보호플레이트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회전날(120)은 구동모터(110)와 연동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110)에서 돌출된 구동축(111)에 체결된다. 여기서, 구동축(111)의 하단부는 베어링유닛(130)을 통해 보호플레이트(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구동모터(110)는 별도 설치된 동력공급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되고, 동력의 전달은 별도 설치된 전원 스위치에 의해 허용 및 차단된다. 또한, 회전날(120)은 그 길이가 보호플레이트(210)의 직경보다 작게 제작된다. 따라서, 회전날(120)의 회전반경은 보호플레이트(210)의 직경 내에서 형성된다.
베어링유닛(130)은 내륜과 외륜이 다수의 볼이 개재되도록 상호 장착된 통상적인 구조의 볼 베어링이 이용된다. 여기서, 구동축(111)의 일부위가 베어링유닛(130)의 내륜에 체결된다. 또한, 베어링유닛(130)은 후술될 보호구(200)의 보호플레이트(210)에 형성된 수용돌기(211b)에 장착된다. 이러한 베어링유닛(130)은 구동축(111)과 체결되어 구동축(111)의 회전은 보장하면서 그 회전력이 보호플레이트(210)에 전달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유닛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보호구(200)는 보호플레이트(210) 및 보호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보호플레이트(210)는 회전날(120)의 하측에 위치되어 회전날(120)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회전함으로써, 지면에 잔재하는 돌 등을 포함한 장애물과 미리 접촉하여 제거하는 부재이다. 이 보호플레이트(210)는 오목부(211a)와 수용돌기(211b)가 형성된 베이스(211)와, 돌출부(212) 및, 지지부재(21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보호플레이트(210)는 예초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회전날(120)이 지면과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장착되는 부재이고, 회전날(120)과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보호플레이트(210)의 베이스(211)는 보호플레이트(210)의 중심부위로, 구동축(111)이 장착되고, 오목부(211a)와 수용돌기(211b)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보호플레이트(210)의 오목부(211a)는 베이스(211)의 중심부위에 형성되고, 상면은 하향 오목한 형상이고, 하면은 하향 볼록하면서 대략 반구(半球) 형상이다. 이때, 오목부(211a)는 보호플레이트(210)의 회전을 유도하는 부위로서, 예초 작업시 예초기가 이동하면서 오목부(211a)의 하면이 지면과 닿게 되면, 하면과 지면의 마찰에 의해 보호플레이트(210)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오목부(211a)의 하면이 반구 형상이기 때문에 지면과의 마찰에 의한 보호플레이트(210)의 회전 유도가 용이하다. 또한, 베어링유닛(130)을 통해 구동축(111)의 단부에 보호플레이트(210)가 구동축(111)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오목부(211a)의 하면과 지면의 마찰에 의한 보호플레이트(210)의 회전이 가능함과 더불어 회전 유도가 용이하다. 또한, 오목부(211a)는 예초 작업시 지면과 회전날(120) 간의 일정한 간격이 형성시키면서 보호플레이트(210)를 내려놓은 상태에서 예초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보호플레이트(210)의 회전은 예초 작업시 예초기의 이동속도에 상응하게 회전되고, 회전 방향 역시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자유로이 변경될 수 있다. 물론, 보호플레이트(210)의 회전은 회전날(120)의 회전 방향이나 회전 속도와는 무관하게 이루어진다.
보호플레이트(210)의 수용돌기(211b)는 오목부(211a)의 중심부위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구동축(111)의 하단부에 장착된 베어링유닛(130)이 삽입되는 대략 중공의 기둥형상이다. 따라서, 구동축(111)의 회전 및 회전날(120)의 회전은 베어링유닛(130)을 통해 보장되고, 보호플레이트(210)는 구동축(111) 및 회전날(120)의 회전과 무관한 자유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보호플레이트(210)의 돌출부(212)는 측면 테두리가 굴절되고, 종단부 역시 측면 테두리보다 더 큰 각도로 굴절되도록 형성된다. 측면 테두리 및 종단부의 굴절은 장애물이 보호플레이트(210)의 상면으로 올라오는 현상을 조금이나마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종단부의 굴절은 예초 작업시 돌출부(212)와 지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보호플레이트(210)의 지지부재(213)는 수용돌기(211b)의 개방된 하부에 장착되는 대략 환형상이고, 이 지지부재(213)는 수용돌기(211b)에 삽입된 베어링유닛(130)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베어링유닛(130)을 수용돌기(211b)에 수용하는 부재이다. 또한, 지지부재(213)가 베어링유닛(130)의 외륜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외륜에 대한 내륜의 회전은 보장된다. 이때, 베어링유닛(130)의 외륜 상면은 수용돌기(211b)의 내향 굴절된 상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보호플레이트(210)의 오목한 부위211a)에는 탄성체(225)가 삽입된다.
보호수단은 회전날(120)에 의해 절삭된 찌꺼기 또는 이외의 이물질이 예초기의 진행방향 등에 따라 보호플레이트(210)의 중심측으로 유입되어 보호플레이트(210)와 회전날(120) 사이에 쌓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이로 인해, 보호수단에 의해 구동축(111) 및 회전날(120)의 회전이 보장됨은 물론 회전날(120)의 파손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보호수단의 제1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대략 그룻모양 형상인 제1커버(220)이다. 제1커버(220)는 오목부(211a)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도록 제1커버(220)의 테두리 부위가 오목부(211a)의 표면을 따라 굴절된 형상이다. 또한, 제1커버(220)는 중심에 수용돌기(211b)의 외면을 따라 끼워지도록 형성된 체결홀(223) 및, 체결홀(223)이 수용돌기(211b)에 끼워지면 제1커버(220)을 수용돌기(211b)에 고정하기 위해 제1커버(220)의 상면에 배치되면서 수용돌기(211b)와 용접, 나사 또는 볼트 체결 등으로 고정되는 결합부재(224)가 포함된다. 따라서, 체결홀(223)이 수용돌기(211b)에 끼워져 결합부재(224)가 수용돌기(211b)에 고정되면, 제1커버(220)의 테두리 부위가 오목부(211a)의 표면과 이격되면서 제1커버(220)가 탄성체(225)에 의해 상하 탄성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커버(220)의 테두리가 오목부(211a)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이때 탄성체(225)는 제거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탄성체(225)는 도면에서와 같이 코일스프링이다. 따라서, 회전날(120), 제1커버(220) 및, 보호플레이트(210)에 끼이거나 수용된 이물질을 제거할 때, 제1커버(220)를 눌러 회전날(120)과 제1커버(220) 사이에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하여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수용돌기(211b)의 상부에 외향 돌출되면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돌기들 사이로, 제1몸체(221)의 체결홀(223)으로부터 내향 돌출된 돌기들이 끼워진 다음 제1몸체(221)가 회전함으로써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물론, 돌기들 간의 고정에도 탄성체(225)는 개재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225)가 제외된 상태에서 수용돌기(211b)d에 직접 용접되거나 나사 또는 볼트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구성>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보호구의 제2실시예인 제2커버가 보호플레이트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물론, 제2실시예에서의 보호플레이트는 제1실시예의 보호플레이트와 동일하다.
도 5를 보면, 보호플레이트(210)의 오목부(211a)에 장착되는 제2커버(230)가 도시되어 있고, 이 제2커버(230)는 보호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커버(220)의 대체물이다. 제2커버(230)는 상면이 평평하고 하부가 오목부(211a)의 내부를 침범하도록 볼록한 대략 원반형상의 제2몸체(231) 및, 제2몸체(231)의 중심에 형성된 제2체결홀(232)을 포함한다. 제2커버(230)는 제1커버(220)와는 달리 오목부(211a)의 개방된 상면을 완전히 폐쇄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제2커버(230)의 상부는 오목부(211a)에 끼워지는 정도의 크기이고, 외주면은 오목부(211a)의 경사진 내면과 접촉되도록 오목부(211a)의 내면과 상응하는 경사가 형성된다. 제2커버(230)의 제2몸체(231)가 오목부(211a)의 내부 전체를 메울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제작상의 편의를 위해 오목부(211a)의 일부 내면만 메울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커버(230)의 오목부(211a) 내면측 일부가 오목하고, 테두리부위가 오목부(211a)의 내면을 따라 굴절된 형상이다. 이러한, 제2커버(230)는 오목부(211a)의 상부에 형상맞춤된 상태에서 제2체결홀(232)이 수용돌기(211b)의 외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제2커버(230)의 고정은 제1커버(2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탄성체(225) 및 결합부재(224)에 의해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도 다수의 돌기들 간의 결합 또는, 용접, 나사 또는 볼트 체결로 고정될 수도 있다. 물론, 제2커버(230)가 탄성적으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제2커버(230)의 굴절된 테두리와 오목부(211a)의 표면은 이격되게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탄성체(225)가 제외된 상태에서 수용돌기(211b)에 직접 용접되거나 나사 또는 볼트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구성>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호구의 제3실시예인 보조날이 예초기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수단의 제3실시예인 보조날(240)이 회전날(120)과 보호플레이트(210) 사이에 위치되면서 구동축(111)에 체결된다. 보조날(240)은 회전날(120)과 형태가 동일하고, 단지 그 크기가 축소된 것이다. 이 보조날(240)은 회전날(120)과 더불어 고속회전하면서 보호플레이트(210)와 회전날(120) 사이로 침투하는 이물질에 대해 절삭하거나 튕겨 내어 이물질이 보호플레이트(210)의 오목부(211a)에 쌓이거나 구동축(111)에 걸려서 쌓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또한, 보조날(240)은 보호플레이트(210)와 회전날(120) 사이로 침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칼날로 절삭하는 방식 이외에 평판이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이물질을 튕겨 내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보호플레이트(210)는 제1,2실시예에서의 보호플레이트(210)와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베이스(211) 및 돌출부(212)를 포함한 전체 형상이 평판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제1,2실시예의 작동>
도 7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예초기의 작동 상태도이다.
예초기의 작동은 전원이 인가된 구동모터(110)가 가동되면 회전날(120)이 고속회전되도록 이루어지고, 고속회전하는 회전날(120)에 의해 예초 작업이 진행된다. 또한, 예초 작업이 완료되면 전원을 단락시켜 구동모터(110)의 가동을 중지시켜 회전날(120)이 정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초기의 작동은 일반적인 예초기의 기본 작동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예초기의 예초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제1커버(220)와 제2커버(230)가 적용된 보호구(200)의 작용을 중심으로 예초기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전원이 인가된 구동모터(110)에 의해 회전날(120)이 고속회전되면, 보호플레이트(210)의 오목부(211a) 하면이 지면과 인위적으로 접촉되어 보호플레이트(210)가 회전된다. 이때, 보호플레이트(210)의 회전은 회전날(120)의 회전과는 별도로 오목부(211a)의 하면과 지면의 접촉에 의한 마찰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예초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보호플레이트(210)가 회전하면서 돌출부(212)가 지면에 산재된 돌 및 장애물을 예초기의 이동방향으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또한, 예초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보호플레이트(210)와 회전날(120)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이 보호플레이트(210)의 오목부(211a)에 쌓이는 현상이 제1커버(220) 및 제2커버(230)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제1커버(220)및 제2커버(230)에 의해 보호플레이트(210)와 회전날(120) 사이에 이물질이 끼여 회전날(120)의 파손 및 회전을 방해하는 현상 역시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보호플레이트(210)와 회전날(120) 사이에 이물질이 끼인 경우 제1커버(220) 또는 제2커버(230)을 누른 다음, 보호플레이트(210)와 회전날(120) 사이에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면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후, 이물질 제거가 끝나면 제1커버(220)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제1커버(220)의 위치는 복귀하게 된다.
<제3실시예의 작동>
도 8은 도 6의 작동 상태도이다.
예초기의 작동은 전원이 인가된 구동모터(110)가 가동되면 회전날(120)이 고속회전되도록 이루어지고, 고속회전하는 회전날(120)에 의해 예초 작업이 진행된다. 또한, 예초 작업이 완료되면 전원을 단락시켜 구동모터(110)의 가동을 중지시켜 회전날(120)이 정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초기의 작동은 제1,2실시예의 작동에서 설명하였듯이 일반적인 예초기의 기본 작동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예초기의 예초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보조날(240)이 적용된 보호구(200)의 작용을 중심으로 예초기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먼저, 보호플레이트(210)의 오목부(211a) 하면이 지면과 인위적으로 접촉되어 보호플레이트(210)가 회전된다. 이러한 동작은 제1,2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예초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예초기가 이동하기 때문에 회전날(120)에 의해 절삭된 찌꺼기의 일부 또는 이외의 이물질이 보호플레이트(210)와 회전날(120) 사이로 침투하게 되면, 보조날(240)이 회전하면서 재절삭하거나 튕겨낸다. 또한, 오목부(211a)에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회전날(120)에 의해 재절삭 또는 튕겨져 회전날(120)과의 충돌이 방지된다. 또한, 보호플레이트(210)와 회전날(120)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궁극적으로 회전날(120)의 파손 방지 및 고속 회전 유지가 보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파지용 봉 110...구동모터,
120...회전날 130...베어링유닛,
200...보호구 210...보호플레이트,
211...베이스 212...돌출부,
213...지지부재 220...제1커버,
221...제1몸체 223...제1체결홀,
230...제2커버 231...제2몸체,
232...제2체결홀 240...보조날.

Claims (8)

  1. 모터의 구동축에 회전되도록 결합된 예초기용 회전날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에 있어서,
    중앙부위에 오목부(211a)가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211)와, 상기 베이스(211)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면서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돌출부(212) 및, 상기 오목부(211a)의 중앙부로부터 일체형으로 상향 돌출된 중공의 수용돌기(211b)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날(120)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축(111)에 상기 회전날(120)과 별도로 회전되도록 체결된 보호플레이트(210);
    상기 수용돌기(211b)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상기 보호플레이트(210)에 대해 상기 구동축(111)의 회전이 보장되도록 상기 구도모터(110)의 구동축(111)의 일단부가 체결된 베어링유닛(130); 및
    상기 보호플레이트(210)와 상기 회전날(120) 사이에 설치된 보호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수단은 그릇형상의 제1몸체(221)와, 상기 제1몸체(221)로부터 외향 연장된 테두리 및, 상기 제1몸체(221)의 바닥에 형성된 체결홀(223)을 갖는 대야 형상이고,
    체결홀(223)이 상기 수용돌기(211b)에 끼워져 체결되며, 상기 테두리가 상기 오목부(211a)의 개방된 상면을 가리면서 상기 베이스(211)의 표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211)의 표면과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제1커버(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플레이트(210)에는 상기 수용돌기(211b)에 수용된 상기 베어링유닛(130)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베어링유닛(130)을 고정하도록 상기 수용돌기(211b)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재(213)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11a)의 하면은 반구(半球)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플레이트(210)의 오목한 부위에 배치된 탄성체(225);
    상기 탄성체(225) 위에 상기 수용돌기(211b)에 상기 체결홀(223)이 끼워지면서 상기 제1커버(220)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223)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돌기(211b)와 고정되는 결합부재(224);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수단은 상면이 평평하고 하부가 상기 오목부(211a)의 내부를 침범하도록 볼록한 원반형상의 제2몸체(231) 및, 상기 제2몸체(231)의 중심에 형성된 제2체결홀(232)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홀(232)이 상기 수용돌기(211b)에 끼워져 체결되며, 상기 제2몸체(231)의 상부가 상기 오목부(211a)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제2커버(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211a)의 경사진 내면과 형상맞춤되도록 상기 제2커버(230) 하부의 외주면은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수단은 상기 구도모터(110)의 구동축(111)에 상기 회전날(120)과 더불어 회전하도록 설치된 보조날(2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KR2020110003387U 2011-04-20 2011-04-20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KR200471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387U KR200471933Y1 (ko) 2011-04-20 2011-04-20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387U KR200471933Y1 (ko) 2011-04-20 2011-04-20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467U KR20120007467U (ko) 2012-10-30
KR200471933Y1 true KR200471933Y1 (ko) 2014-03-25

Family

ID=4751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387U KR200471933Y1 (ko) 2011-04-20 2011-04-20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9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7414A (zh) * 2021-04-29 2021-08-06 四川犍小茉科技有限公司 除草机器人
CN113767750B (zh) * 2021-09-17 2023-06-16 南京苏美达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割草机器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016Y1 (ko) 2001-10-15 2002-01-31 이광신 예초기 칼날 보호장치
KR100727234B1 (ko) 2006-09-07 2007-06-11 김주배 휴대 예취기용 만능안전롤러
KR100957627B1 (ko) 2009-10-26 2010-05-13 양안종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016Y1 (ko) 2001-10-15 2002-01-31 이광신 예초기 칼날 보호장치
KR100727234B1 (ko) 2006-09-07 2007-06-11 김주배 휴대 예취기용 만능안전롤러
KR100957627B1 (ko) 2009-10-26 2010-05-13 양안종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467U (ko)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237B1 (ko) 예초기용 보호커버
KR100957627B1 (ko)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KR101583805B1 (ko) 충격 방지 기능을 갖는 예초기용 커터 구조
KR101718665B1 (ko) 반복사용이 가능한 예초기용 절첩칼날
KR200471933Y1 (ko)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KR101063974B1 (ko) 베어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예초기용 보호커버
KR101618734B1 (ko) 안전커버를 일체로 구성한 예초기용 칼날세트
KR100545371B1 (ko) 예초기의 칼날보호커버
JP2013046577A (ja) 刈払機用回転刃装置
KR200238475Y1 (ko) 안전기능이 구비된 예초기
KR101054726B1 (ko) 예초기용 가변식 안전커버
KR101864945B1 (ko) 가이드블레이드를 구비한 예초기 칼날
KR20130040443A (ko) 예초기용 안전기구
KR20130031185A (ko) 슬라이딩식 커버형 안전 베이스가 구비된 예초기
KR20130127337A (ko) 예초기용 칼날보호장치
KR101100239B1 (ko) 예초정리용 상부커버
KR101374399B1 (ko) 예초기용 지지롤러
KR100690575B1 (ko) 예초기
KR20160035938A (ko) 예초기 사면칼날
KR20120016815A (ko) 예초기
KR200411623Y1 (ko) 예초기
KR20140005018A (ko) 예초기용 보호장치
KR20130004916U (ko) 베어링 방수캡을 구비한 예초기용 안전커버
KR200454177Y1 (ko) 예초기
KR101185487B1 (ko) 예초기용 칼날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