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385B1 -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385B1
KR100957385B1 KR1020070133014A KR20070133014A KR100957385B1 KR 100957385 B1 KR100957385 B1 KR 100957385B1 KR 1020070133014 A KR1020070133014 A KR 1020070133014A KR 20070133014 A KR20070133014 A KR 20070133014A KR 100957385 B1 KR100957385 B1 KR 100957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coupled
boarding bridge
shock absorbing
absorb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623A (ko
Inventor
김주룡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70133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385B1/ko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PCT/US2008/087329 priority patent/WO2009079616A2/en
Priority to EP08861367.4A priority patent/EP2234887B1/en
Priority to CN200880122189.4A priority patent/CN101903249B/zh
Priority to JP2010539771A priority patent/JP5296095B2/ja
Priority to ES08861367T priority patent/ES2429304T3/es
Priority to US12/744,118 priority patent/US20100242190A1/en
Priority to AU2008338360A priority patent/AU2008338360B2/en
Publication of KR2009006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385B1/ko
Priority to HK11105209.3A priority patent/HK1151010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탑승교의 터널을 지지하는 리프트 칼럼의 하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상기 리프트 칼럼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가로지지대; 상기 제1가로지지대 하측에 이격설치되는 제2가로지지대; 상기 제1가로지지대를 탄성적으로 받쳐 지지하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제2가로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잔여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제2가로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댐퍼; 및 상기 제2가로지지대의 좌, 우측부에 각각 정위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좌, 우측구동축과, 상기 좌측구동축의 좌, 우측에서 상기 좌측구동축에 연결설치되는 한 쌍의 좌측바퀴와, 상기 우측구동축의 좌, 우측에서 상기 우측구동축에 연결설치되는 한 쌍의 우측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터널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리프트 칼럼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터널의 요동이나 기울어짐에 따른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신속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는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탑승교, 터널, 리프트 칼럼, 충격흡수장치, 구동장치

Description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Shock absorbing device for boarding bridge}
본 발명은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탑승객이 공항건물과 여객기 사이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탑승교의 터널을 지지하는 리프트 칼럼의 하부에 설치되어 탑승교의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면서도 터널의 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승교는 공항에서 공항건물과 여객기 사이에 설치되어 탑승객이 여러가지 기상조건이나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공항건물에서 여객기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공항건물과 여객기간의 거리와 여객기 출입문의 위치에 맞추어 길이의 신축 및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1, 2는 종래의 일반적인 탑승교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사람이 이동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며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호 접철가능한 다수의 구획을 가지는 터널(10), 상기 터널(10)이 비행기의 위치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축의 기능을 하는 로툰다(rotunda)(20), 비행기의 크기 및 출입문의 위치에 따라 상기 터널(10)을 승강이동시키는 리프트 칼럼(30), 상기 로툰다(20)의 반대측에서 비행 기의 출입구측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캐빈(40)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탑승교에서 상기 터널(10)은 상호 접철가능한 2개의 구획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리프트 칼럼(30)의 하부에는 상기 터널(10)을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한 쌍의 바퀴(35)가 설치되고, 상기 바퀴(35)의 변위가 상기 터널(1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터널(10)이 불안정하게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퀴(35)와 리프트 칼럼(30) 사이에 한 쌍의 탄성부재가 이격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탑승교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고부가가치의 기술집약적인 구조를 가지며, 40m 이상의 신장길이와 5m 이상의 높이를 구현가능할 정도로 대형 사이즈로 제작되므로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될 뿐 아니라, 탑승객의 안전과도 직결되므로 사용 및 운반·보관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한 쌍의 바퀴(35)가 상기 리프트 칼럼(30)으로 전달되는 하중 전체를 무리하게 지지하게 되며, 상기 바퀴(35)간의 이격간격이 클수록 상기 바퀴(35)가 고도의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터널(10)을 안정되게 받칠 수 있는데, 상기 바퀴(35)간의 이격간격이 확장될수록 상기 터널(10)이 조금만 기울어지지게 되어도 하중 분산이 두개의 바퀴(35)에 고르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행중에 상기 터널(10)이 조금만 기울어지거나 요동되어도 상기 탄성부재의 반탄력에 의해 상기 터널(10)이 상하측으로의 요동을 반복하게 되어 신속하 게 정위치로의 안정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리프트 칼럼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터널의 요동이나 기울어짐에 따른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신속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는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탑승교의 터널을 지지하는 리프트 칼럼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터널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상기 리프트 칼럼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가로지지대; 상기 제1가로지지대 하측에서 상기 구동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가로지지대; 상기 제1가로지지대를 탄성적으로 받쳐 지지하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제2가로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잔여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제2가로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가로지지대 및 제2가로지지대의 좌, 우측부에서 전, 후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탄성부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1가로지지대 및 제2가로지지대의 좌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탄성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좌측댐퍼; 및 상기 제1가로지지대 및 제2가로지지대의 우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탄성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우측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댐퍼는, 가스 내지 오일을 내장하여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일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삽입단부에 설치되는 오리피스로 이루어진 쇼크업소버; 상기 쇼크업소버의 피스톤의 외측단부상에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헤드; 및 상기 돌출헤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쇼크업소버의 실린더와 돌출헤드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가로지지대의 요동이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의 중간부에 상부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가로지지대의 중간부에 하부가 힌지결합되는 요동감쇄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교의 터널을 지지하는 리프트 칼럼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터널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가로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상기 리프트 칼럼의 하측에 설치되는 가로지지대의 좌측부에 정위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구동축; 상기 가로지지대의 우측부에 정위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구동축; 상기 좌측구동축의 좌, 우측에서 상기 좌측구동축에 연결설치되는 한 쌍의 좌측바퀴; 및 상기 우측구동축의 좌, 우측에서 상기 우측구동축에 연결설치되는 한 쌍의 우측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를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 우측바퀴의 실시간 이동변위 및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좌, 우측바퀴의 지정 이동변위 및 방향과 상기 센서에서 감지한 실시간 이동변위 및 방향을 비교하여 상기 좌측구동축와 우측구동축을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조정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탑승교의 터널을 지지하는 리프트 칼럼의 하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상기 리프트 칼럼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가로지지대; 상기 제1가로지지대 하측에 이격설치되는 제2가로지지대; 상기 제1가로지지대를 탄성적으로 받쳐 지지하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제2가로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잔여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제2가로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댐퍼; 및 상기 제2가로지지대의 좌, 우측부에 각각 정위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좌, 우측구동축과, 상기 좌측구동축의 좌, 우측에서 상기 좌측구동축에 연결설치되는 한 쌍의 좌측바퀴와, 상기 우측구동축의 좌, 우측에서 상기 우측구동축에 연결설치되는 한 쌍의 우측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터널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를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가로지지대 및 제2가로지지대의 좌, 우측부에서 전, 후측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1가로지지대 및 제2가로 지지대의 좌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탄성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좌측댐퍼; 및 상기 제1가로지지대 및 제2가로지지대의 우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탄성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우측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댐퍼는, 가스 내지 오일을 내장하여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일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삽입단부에 설치되는 오리피스로 이루어진 쇼크업소버; 상기 쇼크업소버의 피스톤의 외측단부상에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헤드; 및 상기 돌출헤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쇼크업소버의 실린더와 돌출헤드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측구동축과 좌측바퀴를 연결하는 좌측바퀴축은 상기 좌측구동축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측구동축과 우측바퀴를 연결하는 우측바퀴축은 상기 우측구동축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가로지지대의 요동이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의 중간부에 상부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가로지지대의 중간부에 하부가 힌지결합되는 요동감쇄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 우측바퀴의 실시간 이동변위 및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좌, 우측바퀴의 지정 이동변위 및 방향과 상기 센서에서 감지한 실시간 이동변위 및 방향을 비교하여 상기 좌측구동축와 우측구동축을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조정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리프트 칼럼의 하부와 구동수단의 상부에 각각 제1가로지지대와 제2가로지지대를 결합하고 제1, 2가로지지대 사이에 탄성부재와 댐퍼를 설치함으로써, 리프트 칼럼 및 제1가로지지대에 전달된 수직하중을 탄성부재가 안정되게 지지하면서도, 탄성부재의 반탄력으로 인한 잔여진동이나 터널의 요동이나 기울어짐에 따른 충격을 댐퍼가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신속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터널이 불안정하게 요동하는 것을 신속하게 감쇄시키지 못하여 파손이 발생하거나 손상정도가 가중되던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리 및 유지·관리에 소요되던 막대한 비용과 시간 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탑승객의 안전을 보장하여 항공기 및 공항시설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4개의 바퀴가 리프트 칼럼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 지지하게 됨에 따라, 각각의 바퀴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현저히 감소되어 보다 안정된 지지구조를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바퀴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인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어 장치수명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터널이 기울어지거나 요동하는 경우에도 탄성부재와 요동감쇄축을 통해 일측으로 편중되게 하향전달되는 하중이 제2가로지지대를 통해 서로 인접한 이격간격을 가지는 4개의 바퀴로 고르게 전달되므로 안정적인 하중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바퀴간의 이격간격이 보다 축소되어 회전구동 시 바퀴가 이동가능한 회전직경 또한 종래에 비해 보다 축소되어 보다 적은 이동변위로도 동일한 회전각도를 구현가능하며, 한 쌍의 좌측바퀴 및 한 쌍의 우측바퀴 각각을 독립적으로 미세하게 회전조정하여 구동함으로써 보다 자유로운 위치이동이 가능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탑승교가 40m 이상의 터널 연장길이와 8m 이상의 높이를 구현함에 있어서도 탑승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A380과 같은 초대형 항공기의 취항이 이루어지는 공항에 설치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5,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탑승교를 도시한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는 탑승교의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면서도 터널(100)의 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탑승교의 터널(100)을 지지하는 리프트 칼럼(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장치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제1실시예는 크게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 제2가로지지대(320), 탄성부재(330), 댐퍼(340), 구동수단(3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는 상기 리프트 칼럼(20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가로지지대(320)는 상기 구동수단(36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330)와 댐퍼(340)가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와 제2가로지지대(320) 사이에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는 좌, 우 한 쌍의 상기 리프트 칼럼(200)으로부터 전달받은 하중을 다수의 상기 탄성부재(330)측으로 고르게 분산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상기 리프트 칼럼(200)이 좌, 우측부의 정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결합가능한 가로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상기 리프트 칼럼(20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2가로지지대(210)는 다수의 상기 탄성부재(330)로부터 전달받은 하중을 다수의 바퀴부재를 구비한 구동수단(360)측으로 고르게 분산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다수의 상기 탄성부재(330)가 정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결합가능한 가로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 하측에서 상기 구동수단(36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330)는 상기 리프트 칼럼(200)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은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를 탄성적으로 받쳐 지지가능한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와 제2가로지지대(320)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와 제2가로지지대(320)의 정위치에 상, 하단부가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신축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와 제2가로지지대(320)상에 형성된 돌출부상에 상, 하단부가 끼워져 구속된 결합구조를 가진다.
상기 탄성부재(330)는 상기 리프트 칼럼(200)이 지지하게 되는 하중을 하측 에서 전달받아 지지하면서도, 유연하게 신축변형되면서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에 전달되는 가압력이나 변위가 상기 제2가로지지대(320)에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구동장치(360)가 지정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불안정하게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2가로지지대(320)에 전달되는 가압력이나 변위가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에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터널(100)이 불안정하게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330)는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와 제2가로지지대(320)의 좌, 우측부에서 전, 후측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와 제2가로지지대(320)의 4개 모서리부에 인접한 위치에 해당되는 4개소에 설치가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탄성부재(330)는 가압력을 가하면 줄어들고 가압력이 제거되면 펴지는 단순한 반발력을 가짐에 따라, 사용 중 충격을 받게 되면 움츠러들었다가 충격이 사라지면서 펴지고,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움츠러들었다가 다시 펴지는 바운싱 운동을 계속하게 되는데, 상기 댐퍼(340)는 상기 탄성부재(330)의 잔여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와 제2가로지지대(32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300)의 바운싱 특성을 제어하게 되다.
상기 댐퍼(340)는 상기 탄성부재(330)가 움츠러들 때 상기 탄성부재(330)가 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 및 제2가로지지대(320)에 힘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330)가 펴질 때 상기 탄성부재(330)가 움츠러드는 방향으로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 및 제2가로지지대(320)에 힘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탄성부 재(330)의 잔여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탄성부재(330) 상측의 구조물이 항상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댐퍼(340)는 상기 탄성부재(330)와 함께 설치되어 급격한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 상측의 구조물과 상기 제2가로지지대(320) 하측의 구조물을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 및 제2가로지지대(320)가 일측으로 불안정하게 기울어지거나 급격하게 쏠려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러한 작용을 함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부재(330)의 상태에 맞추어 보다 효과적으로 신축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33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330)는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와 제2가로지지대(320)의 4개 모서리부에 인접한 위치에 해당되는 4개소에 설치가 이루어진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댐퍼(340)는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 및 제2가로지지대(320)의 좌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탄성부재(330)와, 우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상기 탄성부재(330) 사이에 각각 좌측댐퍼와, 우측댐퍼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댐퍼(340)는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태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댐퍼(340)는 크게 쇼크업소버(341), 돌출헤드(342), 탄성스프링(343)으로 이루어지고, 실린더-피스톤 구조를 가지는 상기 쇼크업소버(341)의 일단부에 상기 돌출헤드(342)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스프링(343)은 양단부가 상기 쇼크업소버(341)의 타측부와 상기 돌출헤 드(342)에 탄성접속되도록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쇼트업소버(341)는 크게 실린더(341a), 피스톤(341b), 오리피스(미도시)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341a)는 가스 내지 오일을 내장하여 세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341b)는 상기 실린더(341a)의 축방향으로의 이동변위를 가지도록 상기 실린더(341a)에 일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실린더(341a)가 형성하는 관로의 크기를 확장 내지 축소 시키는 조리개기능을 하도록 상기 피스톤(341b)의 삽입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돌출헤드(342)는 상기 쇼크업소버의 실린더(341a)에 일단부가 삽입된 상기 피스톤(341b)의 타단부상에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탄성스프링(343)은 상기 돌출헤드(342)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피스톤(341b)에 상향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쇼크업소버의 실린더(341a)와 돌출헤드(342)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1실시예는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와 제2가로지지대(320)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330)와 댐퍼(340) 외에 요동감쇄축(350)을 추가로 구비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요동감쇄축(350)은 기둥형상으로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와 제2가로지지대(320)에 상, 하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와 제2가로지지대(320) 사이에서 상기 탄성부재(330)와 함께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를 하단지지한다.
상기 요동감쇄축(350)은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와 결합됨에 있어서는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의 중간부에 고정결합된 구조를 가지나, 상기 제2가로지지대(320)와 결합됨에 있어서는 상기 제2가로지지대(320)의 중간부에 힌지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요동감쇄축(350)에 의해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의 좌, 우측 방향으로의 요동상태가 상기 제2가로지지대(320)로 그대로 전달되거나, 상기 제2가로지지대(320)의 상, 하측방향으로의 요동상태가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상호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330)와 댐퍼(340)가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 및 완화기능을 원활히 구현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수단(360)은 크게 좌측구동축(361a), 우측구동축(361b), 좌측바퀴(363a), 우측바퀴(363b)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구동축(361a)의 하부에 한 쌍의 상기 좌측바퀴(363a)가 결합되고, 상기 좌측구동축(361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우측에 설치되는 상기 우측구동축(361b)의 하부에 한 쌍의 상기 우측바퀴(363b)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좌측구동축(361a)과 우측구동축(361b)은 상기 제2가로지지대(320)로부터 하측으로 전달되는 가압력을 좌, 우측 2개소에서 안정되게 분산하여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2가로지지대(320)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정위치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좌측바퀴(363a)는 상기 좌측구동축(361a)의 좌, 우측에서 상기 좌측구동축(361a)에 연결설치되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좌측구동축(361a)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을 좌, 우측 2개소에서 분산하여 지지하게 되고, 상기 우측바퀴(363b)는 상기 우측구동축(361b)의 좌, 우측에서 상기 우측구동축(361b)에 연결설치되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우측구동축(361b)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을 좌, 우측 2개 소에서 분산하여 지지하게 된다.
상기 좌측바퀴(363a)와 우측바퀴(363b)는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하단부에서 지면에 접속된 상태로 설치 및 사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리프트 칼럼(200)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에 전달되는 하중은 최종적으로 좌, 우측으로의 이격간격을 가지는 총 4개소에서 분산하여 지지하게 된다.
상기 좌측구동축(361a)과 좌측바퀴(363a)를 연결하는 바퀴축(이하 좌측바퀴축(362a)이라 한다)은 상기 좌측구동축(361a)과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좌측구동축(361a)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측구동축(361b)과 우측바퀴(363b)를 연결하는 바퀴축(이하 우측바퀴축(362b)이라 한다)은 상기 우측구동축(361b)과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우측구동축(361b)의 하부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좌, 우측바퀴축(362a, 362b)이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좌, 우측바퀴축(362a, 362b)의 상, 하측 방향으로의 요동상태가 상기 좌, 우측구동축(361a, 361b)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으며, 상기 좌, 우측구동축(361a, 361b)의 좌, 우측 방향으로의 요동상태가 상기 좌, 우측바퀴축(362a, 362b)에 전달되지 않아, 상기 좌, 우측바퀴(363a, 363b) 및 제2가로지지대(320)가 상측으로부터 또는 하측으로부터 전달되는 불안정한 가압력에 의해 함께 요동하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좌, 우측바퀴(363a, 363b)의 실시간 이동변위 및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와, 상기 좌측구동축(361a)과 우측구동축(361b) 또는 상기 좌, 우측바 퀴(363a, 363b)를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조정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구비하면, 상기 센서와 컨트롤러를 이용해 상기 좌, 우측바퀴(363a, 363b)의 지정 이동변위 및 방향 내지는 상기 좌, 우측바퀴(363a, 363b)가 현재 위치한 지점에서 바람직하게 요구되는 방향과, 상기 센서(미도시)에서 감지한 실시간 이동변위 및 방향을 비교하여 상기 좌, 우측바퀴(363a, 363b)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 제2가로지지대(320), 탄성부재(330), 댐퍼(340), 구동수단(36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짐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외에,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 제2가로지지대(320), 탄성부재(330), 댐퍼(340)로 이루어지는 것(이하 제2실시예라 한다)을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하며, 상기 좌측구동축(361a), 우측구동축(361b), 좌측바퀴(363a), 우측바퀴(363b)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360)을 구비하는 것(이하 제3실시예라 한다)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제1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고유하게 구현가능한 하중지지 및 충격흡수기능과, 상기 제3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고유하게 구현가능한 하중지지 및 충격흡수기능을 복합적으로 구현가능하도록 상기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를 복합적용시킨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실시예의 설명에서 그 구조와 작동원리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는 바 반복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것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리프트 칼럼(200)의 하 부와 상기 구동수단(360) 상부에 각각 상기 제1, 2가로지지대(310, 320)를 결합하고 제1, 2가로지지대(310, 320)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330)와 댐퍼(34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리프트 칼럼(200) 및 제1가로지지대(310)에 전달된 수직하중을 상기 탄성부재(330)가 안정되게 지지하면서도, 상기 탄성부재(330)의 반탄력으로 인한 잔여진동이나 상기 터널(100)의 요동이나 기울어짐에 따른 충격을 상기 댐퍼(340)가 신속하게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널(100)이 기울어지거나 요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가로지지대(310)로부터 상기 탄성부재(330)와 요동감쇄축(350)을 통해 일측으로 편중되어 하향전달되는 하중이 상기 제2가로지지대(320)를 통해 서로 인접한 이격간격을 가지는 4개의 바퀴부재로 고르게 전달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하중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바퀴부재가 상기 리프트 칼럼(20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 지지하게 됨에 따라, 각각의 바퀴부재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기존의 구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어 보다 안정된 지지구조를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바퀴부재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인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어 장치수명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널(100)이 불안정하게 요동하는 것을 신속하게 감쇄시키지 못하여 파손이 발생하거나 손상정도가 가중되던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존에 수리 및 유지·관리에 소요되던 막대한 비용과 시간 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정된 지지 및 완충구조에 의해 상기 터널(100)을 통로로 이용하는 탑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2개의 바퀴부재를 이용하는 구조와 비교해 바퀴부재간의 이격간격이 보다 축소됨에 따라, 회전구동 시 바퀴부재가 이동가능한 회전직경 또한 축소되어 보다 적은 이동변위로도 동일한 회전각도를 구현가능하며, 바퀴부재 또는 바퀴구동축 각각을 독립적으로 미세하게 회전조정하여 구동함으로써 보다 자유로운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 일반적인 탑승교를 도시한 측면도
도 2 - 일반적인 탑승교를 도시한 정면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 -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탑승교를 도시한 측면도
도 6 -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탑승교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터널 200 : 리프트 칼럼
300 : 충격흡수장치 310 : 제1가로지지대
320 : 제2가로지지대 330 : 탄성부재
340 : 댐퍼 341 : 쇼크업소버
341a : 실린더 341b : 피스톤
342 : 돌출헤드 343 : 탄성스프링
350 : 요동감쇄축 360 : 구동수단
361a : 좌측구동축 361b : 우측구동축
362a : 좌측바퀴축 362b : 우측바퀴축
363a : 좌측바퀴 363b : 우측바퀴

Claims (15)

  1. 탑승교의 터널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터널을 지지하는 리프트 칼럼의 하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상기 리프트 칼럼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가로지지대;
    상기 제1가로지지대 하측에서 상기 구동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가로지지대;
    상기 제1가로지지대를 탄성적으로 받쳐 지지하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제2가로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잔여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제2가로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댐퍼;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가로지지대 및 제2가로지지대의 좌, 우측부에서 전, 후측부에 각각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탄성부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제1가로지지대 및 제2가로지지대의 좌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탄성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좌측댐퍼; 및
    상기 제1가로지지대 및 제2가로지지대의 우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탄성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우측댐퍼;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가스 내지 오일을 내장하여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일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삽입단부에 설치되는 오리피스로 이루어진 쇼크업소버;
    상기 쇼크업소버의 피스톤의 외측단부상에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헤 드; 및
    상기 돌출헤드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쇼크업소버의 실린더와 돌출헤드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로지지대의 요동이 상기 제1가로지지대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가로지지대의 중간부에 상부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2가로지지대의 중간부에 하부가 힌지결합되는 요동감쇄축;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가로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고 상기 리프트 칼럼의 하측에 설치되는 가로지지대의 좌측부에 정위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구동축;
    상기 가로지지대의 우측부에 정위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측구동축;
    상기 좌측구동축의 좌, 우측에서 상기 좌측구동축에 연결설치되는 한 쌍의 좌측바퀴; 및
    상기 우측구동축의 좌, 우측에서 상기 우측구동축에 연결설치되는 한 쌍의 우측바퀴;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바퀴의 실시간 이동변위 및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좌, 우측바퀴의 지정 이동변위 및 방향과 상기 센서에서 감지한 실시간 이동변위 및 방향을 비교하여 상기 좌, 우측바퀴 또는 상기 좌측구동축과 우측구동축을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조정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70133014A 2007-12-18 2007-12-18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KR100957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014A KR100957385B1 (ko) 2007-12-18 2007-12-18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EP08861367.4A EP2234887B1 (en) 2007-12-18 2008-12-18 Shock absorbing device for boarding bridge
CN200880122189.4A CN101903249B (zh) 2007-12-18 2008-12-18 用于登机桥的吸震装置
JP2010539771A JP5296095B2 (ja) 2007-12-18 2008-12-18 搭乗ブリッジの緩衝装置
PCT/US2008/087329 WO2009079616A2 (en) 2007-12-18 2008-12-18 Shock absorbing device for boarding bridge
ES08861367T ES2429304T3 (es) 2007-12-18 2008-12-18 Dispositivo de absorción de golpes para puente de embarque
US12/744,118 US20100242190A1 (en) 2007-12-18 2008-12-18 Shock absorbing device for boarding bridge
AU2008338360A AU2008338360B2 (en) 2007-12-18 2008-12-18 Shock absorbing device for boarding bridge
HK11105209.3A HK1151010A1 (en) 2007-12-18 2011-05-25 Shock absorbing device for boarding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014A KR100957385B1 (ko) 2007-12-18 2007-12-18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623A KR20090065623A (ko) 2009-06-23
KR100957385B1 true KR100957385B1 (ko) 2010-05-11

Family

ID=4079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014A KR100957385B1 (ko) 2007-12-18 2007-12-18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00242190A1 (ko)
EP (1) EP2234887B1 (ko)
JP (1) JP5296095B2 (ko)
KR (1) KR100957385B1 (ko)
CN (1) CN101903249B (ko)
AU (1) AU2008338360B2 (ko)
ES (1) ES2429304T3 (ko)
HK (1) HK1151010A1 (ko)
WO (1) WO20090796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385B1 (ko) * 2007-12-18 2010-05-11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CN110285185A (zh) * 2019-07-04 2019-09-27 安徽通润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卧式千斤顶减震后轮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7838A (en) * 1967-10-06 1971-05-11 Aviolanda Mij Voor Vliegtuigbo Airport gangway
JPH03178801A (ja) * 1989-12-08 1991-08-02 Hitachi Ltd 走行車
JP2006151077A (ja) 2004-11-26 2006-06-15 Hitachi Ltd 鉄道車両の振動制御装置
EP1719702A1 (en) 2004-02-26 2006-11-08 China International Marine Containers (Group) Co., Ltd. An auxiliary supporting device for an air passenger bridge and an air passenger bridge with the auxiliary supporting device and the method of control the air passenger bridg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0782A (en) * 1965-06-14 1967-09-12 Charles J Novak Compactor
US3462787A (en) * 1968-05-22 1969-08-26 Wollard Aircraft Equipment Inc Swingable and elevatable conveyance loader system
BE758511Q (fr) 1968-09-25 1971-04-16 Budd Co Vehicule pour le transport de passagers entre un terminus d'aeroport etun avion parque
US3538529A (en) * 1968-12-23 1970-11-10 Dorr Oliver Inc Aircraft loading equipment
US3650558A (en) * 1969-12-31 1972-03-21 Boothe Airside Systems Inc Vehicle chassis frame construction
JPS4736399Y1 (ko) * 1970-12-14 1972-11-02
US3722017A (en) * 1971-07-26 1973-03-27 Gen Steel Ind Inc Over-the-wing aircraft loading bridge
JPS5221263B2 (ko) * 1972-01-14 1977-06-09
US4047258A (en) * 1976-12-03 1977-09-13 Harsco Corporation Lip lock with release and counterbalance for dock board
US4155468A (en) * 1977-05-31 1979-05-22 The Robert E. Royce Revocable Trust Vehicle mounted access ramp assembly for wheel chair users
JPS5625988Y2 (ko) * 1978-07-25 1981-06-19
JPS56142764A (en) * 1980-04-09 1981-11-07 Kubota Ltd Transport vehicle
US4402379A (en) * 1980-06-30 1983-09-0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 cleaner system for motorcycles
US4392769A (en) * 1981-02-20 1983-07-12 Lowery Sterling W Heavy duty mobile loading structure and system
US5359746A (en) * 1991-12-16 1994-11-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amp junction
US5855035A (en) * 1996-12-30 1999-01-05 Thyssen Stear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kidding of wheels on a passenger boarding bridge
DE50208404D1 (de) * 2002-01-03 2006-11-23 Franz Mitsch Einstellbarer Schwingungstilger
US6928684B2 (en) * 2002-07-10 2005-08-16 Jetbridge Technology, Inc. Airport bridge and lift
US6704963B1 (en) * 2002-11-13 2004-03-16 Dew Engineering And Development Limited Failsafe support for height adjustable passenger loading bridges
US6954959B2 (en) * 2003-03-07 2005-10-18 Dew Engineering And Development Limited Supplemental lift system for an over-the-wing passenger boarding bridge
CN100548806C (zh) * 2005-10-27 2009-10-14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登机桥行走机构的控制方法
US7428765B2 (en) * 2005-11-04 2008-09-30 Dew Engineering And Development Limited Passenger boarding bridge stabiliz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2007170509A (ja) * 2005-12-21 2007-07-05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自動車、及びサスペンション特性調整方法
KR100957385B1 (ko) * 2007-12-18 2010-05-11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7838A (en) * 1967-10-06 1971-05-11 Aviolanda Mij Voor Vliegtuigbo Airport gangway
JPH03178801A (ja) * 1989-12-08 1991-08-02 Hitachi Ltd 走行車
EP1719702A1 (en) 2004-02-26 2006-11-08 China International Marine Containers (Group) Co., Ltd. An auxiliary supporting device for an air passenger bridge and an air passenger bridge with the auxiliary supporting device and the method of control the air passenger bridge
JP2006151077A (ja) 2004-11-26 2006-06-15 Hitachi Ltd 鉄道車両の振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9616A2 (en) 2009-06-25
ES2429304T3 (es) 2013-11-14
EP2234887A2 (en) 2010-10-06
JP2011506207A (ja) 2011-03-03
JP5296095B2 (ja) 2013-09-25
KR20090065623A (ko) 2009-06-23
EP2234887B1 (en) 2013-07-03
WO2009079616A3 (en) 2009-09-24
CN101903249B (zh) 2014-11-12
AU2008338360A1 (en) 2009-06-25
CN101903249A (zh) 2010-12-01
AU2008338360B2 (en) 2012-02-02
US20100242190A1 (en) 2010-09-30
HK1151010A1 (en)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7950C (en) Elevator car mounting assembly
KR20130108165A (ko) 헬리콥터의 스키드 타입 랜딩 기어
KR100957385B1 (ko) 탑승교의 충격흡수장치
KR19990041125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CN109178010A (zh) 一种跨座式单轨列车及其牵引悬挂系统
JP2005207521A (ja) 制振装置
JP2003278827A (ja) 塔状構造物制振装置
US4428460A (en) Lift car suspension
JP4734526B2 (ja) 構造物の制振装置
JP2006002387A (ja) ボイラ設備
KR101059296B1 (ko) 선박용 좌석의 완충장치
JP2002302377A (ja) 免震型クレーン
JPH0228021B2 (ja) Shindokyushusochi
KR19990022587U (ko) 엘리베이터의가이드슈
KR200483580Y1 (ko) 오토바이용 보조바퀴 설치장치
CN220114818U (zh) 一种倾转旋翼无人机
KR100501385B1 (ko) 화물 차량 캡의 피칭모션억제장치
JPH11303927A (ja) 制振装置重錘のストッパ機構
JP7395034B1 (ja) 建築物の振動減衰性能を増強する耐力壁の構造を有する制震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制震システム
JP2001003316A (ja) 落橋防止用緩衝具
JP2020163913A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JPH08285208A (ja) ボイラの制振支持構造
JP5827039B2 (ja) クレーン
CN112849278A (zh) 公交车的地板支撑系统及公交车
RU1812365C (ru) Виброгас ща платфор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