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983B1 -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 - Google Patents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983B1
KR100956983B1 KR1020070125361A KR20070125361A KR100956983B1 KR 100956983 B1 KR100956983 B1 KR 100956983B1 KR 1020070125361 A KR1020070125361 A KR 1020070125361A KR 20070125361 A KR20070125361 A KR 20070125361A KR 100956983 B1 KR100956983 B1 KR 100956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hamber
mount
fluid
hydro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665A (ko
Inventor
한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5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9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제1액실(11) 및 제2-A액실(12)과 제2-B액실(13)로 등분된 원통형의 부쉬형 마운트(10)로, 상기 마운트(10)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액실(11)에 봉입된 유체를 제2-A액실(12)로 이송하는 오리피스(20)와, 상기 마운트(10)의 원주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A액실(12)에 봉입된 유체를 상기 제2-B액실(13)로 이송하는 이송통로(30)를 포함하여 형성된 공지의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10)의 원주상에 상기 제1액실(11)과 제2-A액실(12)을 연결하여 상기 제1액실(11)내에 봉입된 유체를 상기 제2-A액실(12)로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유동부(1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유체 오리피스로 인한 동특성 증가를 보상하기 위해 부쉬형 마운트에 멤브레인 장치를 포함한 유동부를 추가함으로써 동특성을 저감시켜 차량의 주행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에 관한 발명이다.
변속기, 마운트, 멤브레인

Description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Hydraulic transmission mount}
본 발명은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유체 오리피스로 인한 동특성 증가를 보상하기 위해 부쉬형 마운트에 멤브레인 장치를 포함한 유동부를 추가하여 동특성을 저감시킴으로서 진동 및 소음 절연성을 상승시켜 차량의 주행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 자동차의 현가 부품은 엔진, 트랜스미션을 포함한 파워플랜트의 변위규제 및 방진작용을 하는 것이며, 현가부품이 다루는 진동현상과 그 진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현상에는 엔진 시동시 및 정지시의 차체요동, 아이들링시의 차체진동, 엔진 고회전시의 차체진동 및 막힘소리, 요철에 의한 진동, 고부하 작용시 차체요동, 발진시나 변속시에 따른 급격한 변화작용시의 충격, 과대 변위에 의한 간섭 및 파손 등이 있다.
그 진원은 저주파수 영역(30㎐ 이하)일 경우에는 엔진의 저속회전시의 토크 변동, 엔진 저회전시의 크랭크축 회전운동에 따른 관성력 및 우력에 의한 파워플랜트 진동, 타이어 회전시의 언밸런스력에 의한 차체진동, 노면 프로필에 따른 서스펜션을 통한 차체의 진동, 구동계 조인트각에 의한 우력 및 스러스트력에 의한 파워플랜트 진동이 있으며, 고주파수 영역(30㎐ 이상)일 경우에는 엔진 고회전시의 크랭크축 회전운동에 따른 관성력, 우력에 의한 파워플랜트 진동, 변속기내 기어의 맞물림 진동, 연소시의 실린더블록 진동, 엔진의 동밸브계 진동, 크랭크축의 굽힘, 비틀림진동, 파워플랜트의 굽힘, 비틀림 진동 등이 있다.
또한, 엔진 마운트에는 러버 엔진 마운트와 액체 봉입 엔진 마운트가 있는데, 러버 엔진 마운트는 중량지지, 변위규제등의 사용목적에 맞추어서 기본형상을 선정하며, 그 기본형상은 압축타입, 전단타입 및 그 중간인 경사타입으로 구분되며 대부분 블록타입을 이룬다.
엔진마운트의 블록타입 마운트와 달리 일반적으로 트랜스미션은 부쉬타입의 마운트를 적용하는데, 트랜스미션 인슐레이터는 순고무로 된 솔리드 타입이 많이 사용되나, 차량 라이드(Ride) 성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엔진마운트와 마찬가지로 하이드로 마운트를 적용하기도 한다.
부쉬형 하이드로 마운트의 경우 그 형상의 한계 때문에 블록형 하이드로 마운트와는 달리 멤브레인이나 플런저와 같은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 동특성을 저감시키기 위한 부수 장치를 구성하기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유체 오리피스만 있는 1세대 하이드로 마운트의 구조를 가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해 종래기술에 의한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의 구조와 문제점에 관하여 알아본다.
도 1의 (a) 및 (b)는 종래기술에 의한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의 유형별 동특성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공지의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는 제1액실(11) 및 제2-A액실(12)과 제2-B액실(13)로 등분된 원통형의 부쉬형 마운트(10)로써, 상기 마운트(10)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액실(11)에 봉입된 유체를 제2-A액실(12)로 이송하는 오리피스(20)와, 상기 마운트(10)의 원주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A액실(12)에 봉입된 유체를 상기 제2-B액실(13)로 이송하는 이송통로(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하이드로 마운트의 구성 부품 중 유체 오리피스(20)는 대변위 하중 입력시에 발생하는 변위를 단시간에 저감시키는 감쇄 기능을 하는데, 이때 유체는 도 1의 F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액실(11)에서 오리피스(20)를 통해 제2-A액실(12)로 그리고 러버 형상으로 만들어진 이송통로(30)를 통해 제2-A액실(12)에서 제2-B액실(13)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조를 가지는 오리피스(20)만이 장착된 종래 기술에 의한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 구조의 경우,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리피스(20) 사용으로 인한 동특성 상승을 저감시킬 방법이 없어 라이드(Ride) 성능은 좋아지는 반면 통특성 상승으로 인한 마운트 고유의 기술인 절연율이 낮아져, 소음/진동 절연에 불리하게 작용하여 이러한 감쇄기능은 동특성 증가를 야기하고 이는 마운트 고유 기능인 절연율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 오리피스로 인한 동특성 증가를 보상하기 위해 부쉬형 마운트에 멤브레인 장치를 추가하여 동특성을 저감시킴으로서 변속기의 진동 및 소음 절연성을 상승시킴으로서 차량의 주행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상품성을 즈대시키는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액실 및 제2-A액실과 제2-B액실로 등분된 원통형의 부쉬형 마운트로써, 상기 마운트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액실에 봉입된 유체를 제2-A액실로 이송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마운트의 원주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A액실에 봉입된 유체를 상기 제2-B액실로 이송하는 이송통로를 포함하여 형성된 공지의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의 원주상에 상기 제1액실과 상기 제2-A액실을 연결하여, 상기 제1액실내에 봉입된 유체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A액실로 이송하는 유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 오리피스로 인한 동특성 증가를 보상하기 위해 부쉬형 마운트에 멤브레인이 포함된 유동부를 추가하여 동특성을 저감시킴으로서 진동 및 소음 절연성을 상승시켜 차량의 주행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탁월한 효력을 발휘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에 대한 요부사시도이다. 도 5은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에 대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의한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의 동특성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1액실(11) 및 제2-A액실(12)과 제2-B액실(13)로 등분된 원통형의 부쉬형 마운트(10)로써, 상기 마운트(10)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액실(11)에 봉입된 유체를 제2-A액실(12)로 이송하는 오리피스(20)와, 상기 마운트(10)의 원주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A액실(12)에 봉입된 유체를 상기 제2-B액실(13)로 이송하는 이송통로(30)를 포함하여 형성된 공지의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10)의 원주상에 상기 제1액실(11)과 상기 제2-B액실(13)을 연결하며 상기 제1액실(11)내에 봉입된 유체를 선택적으 로 상기 제2-A액실(12)로 이송하는 유동부(1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동부(100)는 제1액실(11)상에 봉입된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통로(110)와, 상기 유동통로(110)상의 유체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멤브레인(120)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멤브레인(120)은 상기 마운트(10)에 저 주파수, 고 진폭의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유동통로(110)를 차단하여 상기 1액실(11)상에 봉입된 유체가 상기 오리피스(20)를 통하여 상기 제2-A액실(12)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마운트(10)에 고주파수, 저진폭의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유동통로(110)를 개방하여 상기 제1액실(11)상에 봉입된 유체가 상기 유동통로(110)를 통하여 상기 제2-A액실(12)로 이송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막혀있던 마운트(10) 원주상의 제1액실(11)과 제2-A액실(12) 사이의 공간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동부(100)를 형성하여 실시한다. 상기 유동부(100)는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함이 타당한데, 이를 위한 일 예로 유체가 흐르는 유동통로(110) 및 유동통로(110)내의 유체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멤브레인(120)을 삽입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120)은 통상적인 고무막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멤브레인(120)은 상기 마운트(10)내에 전달되는 압력의 차이에 따라 저 주파수, 고 진폭의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동통로(110)를 차단하여, 상기 제1액실(11)상에 봉입된 유체가 상기 오리피스(20)를 통하여 상기 제2-A액실(12)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마운트(10)에 고주파수, 저진폭의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동통로(110)를 개방하여, 상기 제1액실(11)상에 봉입된 유체가 상기 유동통로(110)를 통하여 상기 제2-A액실(12)로 이송할 수 있도록 실시함이 타당하다.
따라서, 도 5의 (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속기 등 외부에서 저주파수 고진폭을 가지는 대변위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제1액실(11) 내부에 큰 압력이 발생하여 멤브레인(120)이 닫혀 유동통로(110)를 차단하게 되어 유동부(100)내에는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제1액실(11)내의 유체는 오리피스(20)를 통하여 제2-A액실(12)을 거쳐 제2-B액실(13)로 이동하며 감쇄기능을 발휘하게 되고 이 경우 감쇄작용은 종래기술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행하게 된다.
도 5의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속기 등 외부에서 고주파수 저진폭을 가지는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잔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이므로, 상기 제1액실(11) 내의 유체는 유동경로가 긴 오리피스(20)보다는 유동길이가 짧은 멤브레인(120)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제1액실(11)에서 제2-A액실(12)을 거쳐 제2-B액실(13)로 이동하면서 (도 4의 (b)의 F2 참조) 감쇄 성능보다는 동특성 저감에 의한 절연율 증 가에 기여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를 적용하는 경우 둔턱을 지나거나 그 밖의 대변이 진동이 들어올 경우 도 5의 (a)와 같이 멤브레인(120)이 닫히게 되어 종래 기술과 같은 원리로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가 작동하게 되고 이 경우 댐핑 계수가 높아 감쇄 성능이 우수하게 발휘되며, 일반적인 아이들 상태에서는 진동의 폭이 작기때문에 도 5의 (b)와 같이 멤브레인(120)이 개방되며, 이 경우에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특성이 저감되어 소음/진동 절연에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된 그래프가 종래기술에 관한 것이며, 실선으로 도시된 그래프가 본 발명에 관한 것이다.
멤브레인(120)은 그 크기와 타입(유동/고정)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100~150Hz 에서 공진을 일으켜 동특성이 저감되며 그 영향은 20~150Hz 영역까지 고르게 미치기 때문에, 차량이 공회전 주파수(4기통 : 20~25Hz, 6기통 : 30~40Hz)에서 동특성 저감으로 인한 소음/진동의 절연율 상승에 효과를 가지게 되므로, 상기 유동부(100)의 형성에 의해 인해 기존의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와 달리 대변위 진동 및 아이들 진동 영역 모두에서 효과를 낼 수 있는 마운트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의 (a) 및 (b)는 종래기술에 의한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의 유형별 동특성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에 대한
요부 사시도,
도 5은 (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에 대한
작동상태도,
도 6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의한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의 동특성
차이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마운트 11 : 제1액실
12 : 제2-A액실 13 : 제2-B액실
20 : 오리피스 30 : 이송통로
100 : 유동부 110 : 유동통로
120 : 멤브레인

Claims (3)

  1. 삭제
  2. 제1액실 및 제2-A액실과 제2-B액실로 등분된 원통형의 부쉬형 마운트로, 상기 마운트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액실에 봉입된 유체를 제2-A액실로 이송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마운트의 원주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A액실에 봉입된 유체를 상기 제2-B액실로 이송하는 이송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트의 원주상에 상기 제1액실과 제2-A액실을 연결하여 상기 제1액실내에 봉입된 유체를 상기 제2-A액실로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유동부가 형성되는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제1액실내에 봉입된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통로와, 상기 유동통로상의 유체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멤브레인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
  3. 삭제
KR1020070125361A 2007-12-05 2007-12-05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 KR100956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361A KR100956983B1 (ko) 2007-12-05 2007-12-05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361A KR100956983B1 (ko) 2007-12-05 2007-12-05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665A KR20090058665A (ko) 2009-06-10
KR100956983B1 true KR100956983B1 (ko) 2010-05-11

Family

ID=4098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361A KR100956983B1 (ko) 2007-12-05 2007-12-05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206B1 (ko) * 2009-10-07 2015-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커플러 일체형 하이드로 부쉬 마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8487A (ja) * 1991-01-18 1993-09-24 N O K Megurasuteitsuku Kk 液体封入型防振装置
KR19980037552U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액체 봉입식 마운트
JPH11125304A (ja) 1997-10-21 1999-05-11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8487A (ja) * 1991-01-18 1993-09-24 N O K Megurasuteitsuku Kk 液体封入型防振装置
KR19980037552U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액체 봉입식 마운트
KR200167372Y1 (ko) * 1996-12-17 2000-03-02 정몽규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액체 봉입식 마운트
JPH11125304A (ja) 1997-10-21 1999-05-11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665A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9040B1 (en) Fluid-filled elastic mount having orifice passages tuned to damp input vibrations in respective different frequency ranges
US5509643A (en) Hydraulically damping bearing bush
KR20160059225A (ko)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KR100956983B1 (ko) 하이드로 트랜스미션 마운트
US20020117788A1 (en) Hydraulic bearing
CN103089837B (zh) 正负弹簧并联式半主动控制型联轴器
US6206351B1 (en) Pneumatically operated active vibration damping device having pressure regulating device
US20090243171A1 (en) Fluid filled type vibration damping device
CN108189635A (zh) 一种悬架用惯性与刚度切换装置
US4679779A (en) Hydraulic mount
US20050285318A1 (en) Hydro-mount
JPH09126273A (ja) 装置取付台
KR20130059645A (ko) 하이드로 부싱
CN109154354B (zh) 液压支承
KR101499211B1 (ko) 유동량 자체 조절 가능한 엔진 마운트
KR101499206B1 (ko) 디커플러 일체형 하이드로 부쉬 마운트
KR0122059Y1 (ko)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JP2009236282A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KR101499208B1 (ko) 다중 액실 하이드로 마운트
KR20110050875A (ko) 이너시아 트랙 구조 엔진 마운트
KR20130068478A (ko) 하이드로 트랜스밋션 마운트
KR100534910B1 (ko) 자동차용 액티브 마운트
KR100305924B1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KR102466062B1 (ko) 유체봉입식 엔진 마운트
KR0142547B1 (ko) 자동차의 액체 봉입 엔진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