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059Y1 -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059Y1
KR0122059Y1 KR2019930016662U KR930016662U KR0122059Y1 KR 0122059 Y1 KR0122059 Y1 KR 0122059Y1 KR 2019930016662 U KR2019930016662 U KR 2019930016662U KR 930016662 U KR930016662 U KR 930016662U KR 0122059 Y1 KR0122059 Y1 KR 0122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engine
fluid
vibration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708U (ko
Inventor
이효상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16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059Y1/ko
Publication of KR9500067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0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공회전시와 주행시 유로를 변경함으로써,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여 감쇠 특성값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면서 엔진의 진동을 능동적으로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상하 플레이트 사이에 고무부재가 개재되고 상기의 고무부재 내부 상하로 격리판에 의하여 유체실이 형성되고 이에 유체를 충진시키고, 상기 하부 유체실의 하측 개구부에 다이어프렘을 배치한 엔진 마운트 인슐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상하 유체실을 외부에서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바이패스 통로상에 전자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바이패스 밸브를 배치한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인슐레이터의 단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오리피스 개폐밸브의 작동상태도.
제4도는 종래 인슐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인슐레이터 4:고무부재
5, 6:유체실 7:오리피스
8:다이어프램 10:유로
11:전자 제어장치 12:솔레노이드
13:바이패스 밸브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자동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진동 특성에 따라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여 엔진의 진동을 능동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동력원인 엔진은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상하 운동에 의한 중심위치가 주기적으로 변하고, 실린더 축방향으로 생기는 왕복 운동부분의 관성력이 발생되며, 커넥팅 로드가 크랭크 축의 좌우로 흔들려서 관성력이 발생하고, 크랭크 축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주기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이들의 진동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겹쳐 좌방향과 상하방향의 진동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엔진의 진동은 실린더수가 적은 기관이 실린더 수가 많은 엔진에 비하여 크게 발생되고, 저속시에서 고속시 보다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에따라 엔진을 차체 또는 새시 프레임에 지지함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엔진의 진동이 차체 또는 섀시에 전달되어 승차감을 나쁘게 하지 않기 위하여 엔진 마운트 부위에는 탄성체인 인슐레이터를 반드시 사용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엔진의 마운팅시 엔진의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인슐레이터는 압축과 인장에 의하여 진동을 흡수하고 엔진의 롤링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 인슐레이터는 단순히 상하 플레이트 사이에 탄성체인 고무부재를 개재시키는 구조로 형성하여 엔진과 차체 사이에 개재시켜 체결함으로써, 인슐레이터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고무부재가 압축 또는 인장되면서 흡수함과 동시에 엔진의 롤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인슐레이터는 진동을 흡수하는 고무부재가 단순히 하나의 단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바, 그의 감쇠특성과 스프링 특성이 각각 한가지로 설정되기 때문에 엔진의 진동에 대하여 수동적으로 흡수하게 되어 이에따른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즉, 인슐레이터의 감쇠특성과 스프링 특성이 한가지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큰진동과 작은 진동에 관계없이 동일한 조건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승차감이 좋지 않다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따라 최근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상, 하 플레이트(2)(3)사이로 개재되는 격리판(4)에 의해 상하부로 서로 격리되는 유체실(5)(6)을 형성하고, 이의 상, 하 유체실(5)(8)을 격리판(4)에 형성된 오리피스(7)로 연통시켜 이에 유체를 봉입시키되 하부 유체실(6)의 하측에 다이어프렘(8)을 배치한 인슐레이터(1)가 사용하고 있다.
이의 액체 봉입 인슐레이터는 엔진의 진동에 따라 상, 하 유체실(5)(6)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유체가 유동되면서 진동을 흡수하고, 하부 유체실(6)의 유압이 소정의 압 이상으로 상승되면 다이어프렘(8)이 공간부(9)로 확장동작되면서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슐레이터에 있어서는 내부 유체의 유동저항 때문에 감쇠특성을 향상시키고 스프링 특성을 낮출 수 있는 바, 전자에 비하여 진동 전달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스프링 특성과 감쇠 특성이 한가지로만 설정되므로 엔진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공회전시의 엔진 진동과 주행중의 엔진 진동이 전혀 다른데 비하여 종래의 인슐레이터는 동일한 조건으로만 흡수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진동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엔진의 진동 특성, 즉, 공회전시와 주행시 유로를 변경함으로써,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여 감쇠 특성값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면서 엔진의 진동을 능동적으로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 플레이트 사이의 격리판에 의해 상하로 격리되는 상, 하 유체실을 형성하여 이에 유체를 충진시키고, 상기 하부 유체실의 하측 개구부에 다이어프렘을 배치한 엔진 마운트 인슐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상하 유체실을 외부에서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바이패스 통로상에 전자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바이패스 밸브를 배치한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작용]
상기 인슐레이터에 의하면 공회전시에는 유로가 개방되어 유체의 유동이 오일피스와 바이패스 유로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바, 감쇠력과 스프링 상수가 저하되어 유연해지므로, 엔진의 미세 진동까지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주행시에는 유로가 폐쇄되어 유체가 오리피스만으로 유동됨으로써, 유동 단면적이 작아져 감쇠값이 상승되어 동력 전달계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로서, 부호 1은 인슐레이터를 지칭한다.
상기 인슐레이터(1)는 상하 플레이트(2)(3) 사이의 격리판(4)에 의하여 유체가 채워지는 상하 유체실(5)(6)이 형성된다.
상기 상, 하 유체실(5)(6)은 격리판(4)에 형성되는 소경의 오리피스(7)에 의하여 연통되며, 하부 유체실(6)의 하측 개구부에는 다이어프렘(8)이 배치되고, 상기 다이어프렘(8)과 하부 플레이트(3)와의 사이에는 다이어프렘(8)의 확장을 위한 공간부(9)가 마련된다.
이에따라 엔진의 진동에 의하여 인슐레이터(1)에 진동이 전달되면, 상하 유체실(5)(6)의 유체가 이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오리피스(7)를 통해 유동되어 상호 보완작용을 하면서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압력이 크게 작용할 때에는 유체가 다이어프램(8)을 신축시키면서 진동 흡수작용을 충실히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인슐레이터(1)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상하 유체실(5)(6)을 상호 연통시키는 유로(10)를 형성하되, 그의 중간부에 전자 제어장치(11)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되는 솔레노이드(12)에 연동되는 바이패스 밸브(13)를 배치 하였다.
상기에서 상하 유체실(5)(6)을 연통시키는 유로(10)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오리피스(7)와 같이 고무부재(4)의 내부에 형성할 수 있으나, 바이패스 밸브(13)가 개재되므로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의 튜브(1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 밸브(13)는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중앙부에 소직경부(15)를 두고 그의 양측으로 대직경부(16)(17)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그의 일측단으로는 솔레노이드(12)의 동작봉(18)이 연결된다.
이에따라 일측의 대직경부(16)가 유로(10)상에 놓이면 유로(10)는 제2도에서와 같이 폐쇄되고, 소직경부(15)가 유로(10)에 위치하면 유로(10)는 제3도에서와 같이 개방된다.
이러한 인슐레이터(1)에 있어서, 본 고안은 공회전시에는 유로(10)를 개방토록 하였으며, 주행시에는 유로(10)를 폐쇄토록 하였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13)는 전자제어장치에서 자동차의 각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비교 판단하여 공회전시에는 유로(10)를 개방하고, 주행시는 폐쇄하게 된다.
즉, 유로(10)가 개방되면 유체의 유동이 오리피스(7)와 바이패스 유로(10)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바, 감쇠력과 스프링 상수가 저하되어 유연해지므로, 엔진의 미세 진동까지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주행시에는 유로(10)가 폐쇄되어 유체가 오리피스(7)만으로 유동됨으로써, 유동 단면적이 작아져 감쇠값이 상승되어 동력 전달계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효과]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공회전시와 주행시 유로를 변경함으로써,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여 감쇠 특성값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면서 엔진의 진동을 능동적으로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상하 플레이트(2)(3) 사이의 격리판(4)에 의하여 상, 하 유체실(5)(6)이 형성되어 이에 유체를 충진시키고, 상기 하부 유체실(6)의 하측 개구부에 다이어프렘(8)을 배치한 엔진 마운트 인슐레이터 있어서, 상기 상하 유체실(5)(6)을 연통시키는 오리피스(7)와는 별도로 유로(10)를 형성하되, 상기 유로(10)상에 전자 제어장치(11)에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12)에 의하여 동작되면서 유로(10)를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13)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유로(10)는 고무부재(4)의 외부에 배치되는 튜브(14)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KR2019930016662U 1993-08-26 1993-08-26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KR0122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662U KR0122059Y1 (ko) 1993-08-26 1993-08-26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662U KR0122059Y1 (ko) 1993-08-26 1993-08-26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708U KR950006708U (ko) 1995-03-21
KR0122059Y1 true KR0122059Y1 (ko) 1998-08-01

Family

ID=1936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662U KR0122059Y1 (ko) 1993-08-26 1993-08-26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05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206A (ko) * 2000-09-01 2002-03-08 류정열 유체이동 제어식 엔진 마운트
KR20030086095A (ko) * 2002-05-03 2003-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유체형 엔진마운트 감쇠 보강장치
KR100471037B1 (ko) * 2002-10-04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능동형 엔진 마운팅 시스템
KR101619591B1 (ko) 2014-07-03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간접 바이패스 세미 액티브 마운트, 전자식 세미 액티브 마운트 장치 및 동특성 가변율 제어방법
KR101612375B1 (ko) * 2015-05-11 2016-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마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708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8569A (en) Engine mounting for automobile
JP2642028B2 (ja) 切換可能なマウント
EP0809040B1 (en) Fluid-filled elastic mount having orifice passages tuned to damp input vibrations in respective different frequency ranges
JP2843088B2 (ja) 流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US4610421A (en) Mounting construction for engine-transmission assembly
JP2977796B2 (ja) 流体充填弾性振動減衰装置
US7210674B2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US4867263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vibrating object
KR0122059Y1 (ko)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US20050127585A1 (en) Series-type engine mou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ries-type engine mount
GB2269217A (en) Controlling vibrations
JPS5854247A (ja) 防振ゴム装置
KR0124031Y1 (ko)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CN102207165A (zh) 一种电控液压悬置
JPS6067209A (ja) 車両用懸架装置
KR100435595B1 (ko) 유체식 마운팅 조립체
KR100242933B1 (ko) 전기장을 이용한 자동차의 쇽 업소버 설치구조
JPS631072Y2 (ko)
JPH08166037A (ja) 防振装置
KR20180028608A (ko) 차량용 가변형 엔진마운트
KR970006102Y1 (ko) 자동차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KR200143862Y1 (ko) 엔진마운트
KR0142547B1 (ko) 자동차의 액체 봉입 엔진 마운트
JPS62127538A (ja) 振動体支持装置
KR100192491B1 (ko) 자동차의 유체봉입식 엔진마운트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