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963B1 -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963B1
KR100956963B1 KR1020100000385A KR20100000385A KR100956963B1 KR 100956963 B1 KR100956963 B1 KR 100956963B1 KR 1020100000385 A KR1020100000385 A KR 1020100000385A KR 20100000385 A KR20100000385 A KR 20100000385A KR 100956963 B1 KR100956963 B1 KR 100956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valve
fuel
ven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국찬
김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100000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 내에 정압, 부압 또는 이상과압 발생시 연료증기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여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을 적절하여 유지할 수 있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격벽에 의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챔버는 캐니스터 및 연료탱크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격벽 중앙과 그 둘레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통기구 사이에 원통형 베플이 상향으로 돌출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베플 내측에 설치되고 스풀형 제1밸브몸체와, 상기 제1밸브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1압력홀과, 상기 제1밸브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압력홀과, 상기 제2압력홀을 통해 제1밸브몸체를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압력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연료증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로드와, 상기 제1통기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밸브몸체를 하향으로 탄성 편의시키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밸브유닛; 상기 베플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챔버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료탱크에 이상과압 발생시 상기 제2통기구를 개폐하는 제2밸브유닛; 및 상기 하부챔버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연료탱크에 충전된 연료의 수위 또는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제1통기구를 개폐하는 제3밸브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GAS CONTROL VALVE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연료탱크에 설치되어 연료탱크 내에 정압, 부압 또는 이상과압 발생시 연료증기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여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을 적절하여 유지하고, 차량 전복시 탱크의 연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연료공급시스템은 모든 운전 조건 하에서 엔진에 필요한 혼합기를 가장 연소하기 쉬운 상태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료공급시스템은,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 연료탱크의 연료를 엔진으로 이송하기 위한 연료펌프모듈, 연료의 증발가스(이하, 연료증기라 함)를 포집하여 흡기계통으로 유도하기 위한 캐니스터(canister) 및 연료증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각종 밸브를 포함한다.
상술한 연료공급시스템은 연료탱크에 설치된 각종 밸브, 예컨대 체크 밸브, 릴리프 밸브, 롤 오버 밸브를 통해 연료증기의 유동을 제어하여, 연료탱크의 내부가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일례로,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이 낮을 경우 외부에서 대기를 유입하여 압력을 상승시키고,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이 높을 경우 연료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압력을 저하시킨다.
그런데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연료증기, 즉 탄화수소가스(Hydrocarbon Gas; HC Gas)는 대료적인 대기오염물질로 이를 대기로 배출할 경우 대기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특히, 이 연료증기는 연료가 증발하며 발생하는 것으로 다량의 연료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경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가 줄어 연비를 저하시킨다. 물론, 캐니스터를 이용하여 연료증기를 정화하거나 회수하지만 그 효율이 만족스럽지 못하며,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이 급상승할 경우 이에 대한 대처가 어렵다.
결국,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을 적절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연료증기의 배출과정에서 캐니스터를 통해 정화 및 회수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불필요한 연료의 증발을 막아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 제어 밸브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체크 밸브, 릴리프 밸브, 롤 오버 밸브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각각의 밸브를 별도로 설치함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 제어 밸브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료탱크에 설치되어 연료탱크 내에 정압, 부압 또는 이상과압 발생시 연료증기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여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을 적절하여 유지하고, 차량 전복시 탱크의 연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는,
격벽에 의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챔버는 캐니스터 및 연료탱크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격벽 중앙과 그 둘레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통기구 사이에 원통형 베플(baffle)이 상향으로 돌출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베플 내측에 설치되고 스풀형 제1밸브몸체와, 상기 제1밸브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1압력홀과, 상기 제1밸브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압력홀과, 상기 제2압력홀을 통해 제1밸브몸체를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압력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연료증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로드와, 상기 제1통기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밸브몸체를 하향으로 탄성 편의시키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밸브유닛;
상기 베플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챔버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료탱크에 이상과압 발생시 상기 제2통기구를 개폐하는 제2밸브유닛; 및
상기 하부챔버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연료탱크에 충전된 연료의 수위 또는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제1통기구를 개폐하는 제3밸브유닛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1밸브유닛이 체크 밸브의 역할을, 제2밸브유닛이 릴리프 밸브의 역할을, 그리고 제3밸브유닛이 롤 오버 밸브의 역할을 각각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연료탱크에 설치되어 연료탱크 내에 정압, 부압 또는 이상과압 발생시 연료증기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여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을 적절하여 유지하며, 차량 전복시 탱크의 연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의 단면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중 체크 밸브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의 압력 유지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의 이상과압 해소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의 연료누출 방지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중 체크 밸브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는 연료탱크(미도시), 좀 더 상세하게는 연료펌프모듈(미도시)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는 크게 밸브하우징(100)과, 밸브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밸브유닛(200~400)을 포함한다.
우선, 밸브하우징(100)에 대해 살펴보면, 밸브하우징(100)은, 하우징 본체(110)와, 하우징 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덮개(120,130)로 구성된다.
하우징 본체(110)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원통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상단과 하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덮개(120,130)가 각각 결합된다. 하우징 본체(110)의 내부는 중공으로 격벽(140)에 의해 상부챔버(150)와 하부챔버(160)로 구획된다. 또한, 하우징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제1 및 제2관통공(152,162)이 형성된다.
상술한 제1 및 제2관통공(152,162)은 하우징 본체(110)의 외주면 중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데, 이 중에서 제1관통공(152)은 하우징 본체(1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부챔버(150)와 캐니스터(미도시)를 연결하고, 제2관통공(162)은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에 위치되어 하부챔버(160)와 연료탱크(미도시)를 연결한다.
상부챔버(150)와 하부챔버(160)를 구획하는 격벽(140) 중앙에 제1통기구(142)가 형성되고, 제1통기구(142)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제2통기구(144)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제1통기구(142)와 제2통기구(144) 사이에 원통의 베플(baffle,146)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통기구(142,144)의 상면 둘레에는 환형의 제1 및 제2안착시트(143,145)가 상향으로 돌출되고, 제1통기구(142)의 하면 둘레에는 환형의 제3안착시트(147)가 하향으로 돌출되며, 제1안착시트(143)의 일측에는 미세공(149)이 추가로 형성된다.
하우징 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덮개(120)의 하면에는 후술할 제1 및 제2스프링(240,330)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걸림돌기(122,124)가 형성되고, 하우징 본체(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덮개(130)의 상면에는 후술할 제3스프링(420)을 고정하기 위한 제3걸림돌기(132)가 형성된다.
하우징 본체(110)의 상부챔버(150)에 설치되는 제1밸브유닛(200)은 제1통기구(142)를 통해 배출되는 연료증기를 차단하는 체크 밸브의 역할을 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베플(146) 내부에 설치되는 제1밸브몸체(210)와, 제1밸브몸체(21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로드(230)와, 제1밸브몸체(210)를 제1통기구(142) 측으로 탄성 편의시키는 제1스프링(24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밸브유닛(200)의 제1밸브몸체(210)는 스풀(spool) 형상을 갖는다. 즉, 제1밸브몸체(210)는, 원통의 중심부(212)와, 중심부(2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환형의 테두리(2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심부(212)와 테두리(214) 사이에는 제1스프링(240)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216)이 형성된다.
이때, 중심부(212)의 상단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면에는 연료증기의 배출 및 외기의 유입을 위한 결합홀(2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심부(212)의 둘레에는 다수의 제1압력홀(224)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212)의 하부 중앙에는 제2압력홀(226)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외기와 제1통기구(142)를 통해 배출되는 연료증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테두리(214)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218)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돌기(218) 사이를 통해 연료증기가 배출되거나 외기가 유입된다.
로드(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밸브몸체(210)를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로드(230)는 중심부(212)의 제2압력홀(226)과 결합홀(222)을 통해 제1밸브몸체(210)를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로드(230)는 상부에 스토퍼(232)가 형성되고, 하부에 플랜지(234)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압력홀(224,226)을 개폐한다. 즉, 로드(230) 상승시 플랜지(234)가 제2압력홀(226)을 막아 제1 및 제2압력홀(224,226)을 폐쇄하고, 로드 하강시 플랜지(234)가 제2압력홀(226)에서 이격되어 제1 및 제2압력홀(224,226)을 개방한다.
이때, 스토퍼(232)는 로드(230)가 일정 거리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제2압력홀(226)의 개구량을 한정한다.
하우징 본체(110)의 상부챔버(150)에 설치되는 제2밸브유닛(300)은, 연료탱크 내부압력이 일정압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제2통기구(144)를 개방함으로써 연료탱크의 압력 상승을 해소하는 릴리프 밸브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제2밸브유닛(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베플(146)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환형으로 형성된 제2밸브몸체(310)와, 제2밸브몸체(31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기밀씰(seal, 320)과, 제2통기구(144)를 폐쇄하도록 제2밸브몸체(310)를 하향으로 탄성 편의시키는 제2스프링(330)을 포함한다.
상술한 제2밸브유닛(300)의 각 구성요소 중 제2밸브몸체(310) 하강시 제2통기구(144)의 제2안착시트(145)에 밀착되는 제1기밀씰(320)은, 제2통기구(144)의 기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밸브유닛(400)은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챔버(160)에 설치되어, 연료탱크에 충전된 연료의 수위 또는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제1통기구(142)를 개폐하는 롤 오버 밸브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밸브유닛(400)은, 하부챔버(160)에 설치되어 연료탱크에 충전된 연료의 수위 또는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플로트(410)와, 플로트(410)의 하단과 하부덮개(130) 사이에 설치되는 제3스프링(420)과, 플로트(4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부(432)가 돌출된 플랩(430)과, 플로트(410)의 상면에 형성되고 플랩(430)의 연장부(432)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플랩고리(442,444)와, 플랩(430) 상면에 마련되는 제2기밀씰(450)을 포함한다.
이때, 제2기밀씰(320)은 제1통기구(142)의 기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플랩고리(442,444)는 제1통기구(142)를 개폐하는 플랩(430)이 제3안착시트(147)와 이격되는 과정에서 편향 하중을 갖도록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3밸브유닛(400)의 플로트(410)의 상면 중앙에는 장착돌기(412)가 형성되고, 플랩(430)의 하면에 장착홈(434)이 형성된다. 이 장착돌기(412)와 장착홈(434)은 상술한 편향 하중에 의해 플로트(410)보다 늦게 하강하는 플랩(430)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를 이용한 압력 유지과정, 이상과압 해소과정 및 연료누출 방지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의 압력 유지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평압상태]
연료탱크(미도시)의 내부압력은 대기압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를 평압이라 하며, 도 4는 상술한 평압상태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압상태에서는 대기압과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이 동일하므로, 제1 및 제2스프링(240,330)에 의해 제1 및 제2밸브몸체(210,310)가 하향으로 탄성 편의된다.
이와 같은 평압상태 중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연료증기는 제1통기구(142)를 통해 배출되고, 제2압력홀(226)을 통해 제1밸브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1압력홀(224)을 거쳐 상부챔버(150)로 배출되거나 제1안착시트(143)의 일측에 형성된 미세공(149)을 통해 상부챔버(150)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연료증기는 제1관통공(152)을 통해 캐니스터로 배출되며, 캐니스터(미도시)에서 정화 및 회수된다.
상술한 평압상태에서 발생하는 연료증기는 그 양이 미미하므로 대기오염 및 연료손실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저압상태]
평압상태에서 온도상승 등에 의해 연료증기의 발생량이 증가하면 연료탱크의 내부가 정압이 된다. 이러한 정압상태는 저압상태와 고압상태로 구분되는데, 도 5는 저압상태일 경우를 도시한다.
연료탱크의 내부에 압력이 상승하여 저압상태가 되면, 미세공(149)을 통해 상부챔버(150)로 배출되는 연료증기의 양보다 제2압력홀(226)을 통해 제1밸브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양의 많아진다. 따라서 제1밸브유닛(200)과 격벽(140) 사이 공간의 압력이 상승하면서 로드(230)가 상승하고, 이에 로드(230)의 플랜지(234)가 제2압력홀(226)을 폐쇄한다. 따라서 상부챔버(150)로 배출된 연료증기는 제1안착시트(143)의 일측에 형성된 미세공(149)을 통해 상부챔버(150)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연료증기는 제1관통공(152)을 통해 캐니스터로 배출되며, 캐니스터(미도시)에서 정화 및 회수된다.
결국,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이 다소 상승하더라도 미세공(149)을 통해 연료증기를 배출하므로, 캐니스터를 통해 연료증기의 정화 및 회수가 가능하다.
[고압상태]
연료증기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이 일정압 이상으로 상승하여 고압상태가 되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통기구(142)를 통해 배출되는 연료증기가 제1밸브몸체(210)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제1통기구(142)를 통해 배출된 연료증기는 제1밸브몸체(210)의 돌기(218) 사이를 통해 상부챔버(150)로 배출되어 캐니스터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고압상태에서 배출되는 연료증기는 평압 및 저압상태에 비해 그 양이 많지만 연료탱크의 압력 상승을 막아 연료계통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부가 캐니스터에서 정화 및 회수되므로 대기환경오염규제를 충족시킬 수 있다.
[부압상태]
외부환경에 의해 연료탱크의 압력이 대기압 이하로 저하되면, 제1 및 제2스프링(240,330)에 의해 제1 및 제2밸브몸체(210,310)가 하향으로 탄성 편의된다. 이때, 제1관통공(152)을 통해 상부챔버(150)로 외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외기는 제1밸브몸체(210)의 제1 및 제2압력홀(224,226)을 거쳐 연료탱크로 유입된다. 따라서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을 대기압으로 상승시켜 연료계통의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의 이상과압 해소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탱크(미도시)의 내부압력은 대기압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연료주입과 같은 경우 연료탱크 내부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이상과압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상과압이 발생할 경우 연료탱크의 내부압력에 의해 제2밸브유닛(300)의 제2밸브몸체(310)가 상승하여 순간적으로 유량 확보공간을 증대시킴으로써 이상과압을 해소하게 된다.
그 후, 급격히 상승한 압력이 낮아지면 상술한 고압 및 저압상태를 거쳐 평압상태로 이어져 연료탱크가 대기압을 유지하게 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의 연료누출 방지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연료주입 등으로 인해 연료의 수위가 상승하거나 차량이 기울어지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410)가 상승하여 플랩(430)의 제2기밀씰(450)이 제3안착시트(147)에 밀착하여 제1통기구(142)를 폐쇄한다.
그 후, 연료소모 등으로 연료의 수위가 하강하거나 차량이 수평상태로 전환되면 플로트(41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고, 이에 플로트(410)가 플랩(430)을 아래로 당겨 제3안착시트(147)로부터 제2기밀씰(450)을 이격시킨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는 플랩(430)을 잡아당기는 제1 및 제2플랩고리(442,444)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므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플랩(430)이 전체적으로 기울어지면서 제1플랩고리(442) 측이 먼저 이격되고 제2플랩고리(444) 측이 후에 이격된다. 즉, 플랩(430)에 편향 하중이 가해지므로 연료탱크 내부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결국, 제3밸브유닛(400)을 이용할 경우 롤 오버 밸브의 역할 뿐만 아니라 편향되게 작동하는 플랩(430)을 통해 연료탱크의 내부압력 조절 또한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플랩(430)을 통한 제1통기구(142)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밸브하우징 110: 하우징 본체
120: 상부덮개 130: 하부덮개
140: 격벽 150: 상부챔버
160: 하부챔버 200: 제1밸브유닛
210: 제1밸브몸체 230: 로드
240: 제1스프링 300: 제2밸브유닛
310: 제2밸브몸체 320: 제1기밀씰
330: 제2스프링 400: 제3밸브유닛
410: 플로트 420: 제3스프링

Claims (12)

  1. 격벽에 의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챔버는 캐니스터 및 연료탱크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격벽 중앙과 그 둘레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통기구 사이에 원통형 베플(baffle)이 상향으로 돌출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베플 내측에 설치되고 스풀형 제1밸브몸체와, 상기 제1밸브몸체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1압력홀과, 상기 제1밸브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압력홀과, 상기 제2압력홀을 통해 제1밸브몸체를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압력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연료증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로드와, 상기 제1통기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밸브몸체를 하향으로 탄성 편의시키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밸브유닛;
    상기 베플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챔버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료탱크에 이상과압 발생시 상기 제2통기구를 개폐하는 제2밸브유닛; 및
    상기 하부챔버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연료탱크에 충전된 연료의 수위 또는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제1통기구를 개폐하는 제3밸브유닛을 포함하는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통기구의 상면 둘레를 따라 제1안착시트가 돌출되고, 상기 제1안착시트의 일측에 미세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홀은 다수로 형성되고,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몸체의 상면에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상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로드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압력홀을 개폐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로드 상승시 상기 제1 및 제2압력홀을 폐쇄하고, 상기 로드 하강시 상기 제1 및 제2압력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유닛은, 상기 베플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2밸브몸체와, 상기 제2통기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2밸브몸체를 하향으로 탄성 편의시키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몸체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통기구의 기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1기밀씰(sea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통기구의 상면 둘레를 따라 제2안착시트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밸브유닛은, 상기 하부챔버에 설치되어 연료탱크에 충전된 연료의 수위 또는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플로트와, 상기 플로트의 하단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바닥 사이에 설치되는 제3스프링과, 상기 플로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부가 돌출된 플랩과, 상기 플로트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플랩고리를 포함하는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플랩고리가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플랩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1통기구의 기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2기밀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의 상면 중앙에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랩의 하면에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통기구의 하면 둘레를 따라 제3안착시트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KR1020100000385A 2010-01-05 2010-01-05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KR100956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385A KR100956963B1 (ko) 2010-01-05 2010-01-05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385A KR100956963B1 (ko) 2010-01-05 2010-01-05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6963B1 true KR100956963B1 (ko) 2010-05-11

Family

ID=4228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385A KR100956963B1 (ko) 2010-01-05 2010-01-05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132034A1 (ko) * 2019-12-24 2021-07-01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2658A (ja) * 1988-10-20 1990-04-25 Toyoda Gosei Co Ltd フユーエルカツトオフバルブ
US5028244A (en) 1990-06-27 1991-07-02 Stant Inc. Tank venting control valve assembly
KR19990004947U (ko) * 1997-07-10 1999-02-05 박병재 연료 탱크의 컷 밸브 겸용 투웨이 밸브
KR100666324B1 (ko) 2005-11-04 2007-01-09 주식회사 유니크 롤 오버 배출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2658A (ja) * 1988-10-20 1990-04-25 Toyoda Gosei Co Ltd フユーエルカツトオフバルブ
US5028244A (en) 1990-06-27 1991-07-02 Stant Inc. Tank venting control valve assembly
KR19990004947U (ko) * 1997-07-10 1999-02-05 박병재 연료 탱크의 컷 밸브 겸용 투웨이 밸브
KR100666324B1 (ko) 2005-11-04 2007-01-09 주식회사 유니크 롤 오버 배출 밸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132034A1 (ko) * 2019-12-24 2021-07-01
WO2021132034A1 (ja) * 2019-12-24 2021-07-0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弁装置
GB2606883A (en) * 2019-12-24 2022-11-23 Piolax Inc Valve device
JP7291248B2 (ja) 2019-12-24 2023-06-1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弁装置
GB2606883B (en) * 2019-12-24 2024-01-17 Piolax Inc Valve device
US11932100B2 (en) 2019-12-24 2024-03-19 Piolax, Inc. Valv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8346B2 (ja) 燃料蒸気排出バルブ組立体
KR100956962B1 (ko)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JP5043099B2 (ja) 燃料ベントバルブ及びその改良
JP3909837B2 (ja)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EP1300579A2 (en) Fuel tank ventila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1076231B1 (ko) 연료증발가스 제어밸브
JP2013512390A (ja) 車両燃料系統およびその構成部品
JP2018013087A (ja) 燃料タンク用通気制御弁
KR100956963B1 (ko)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WO2013141555A1 (ko)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JP2000034958A (ja) 液体タンク用安全弁
CN106704653B (zh) 油箱重力阀
JP2020510774A (ja) フロート弁
US20040011400A1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fuel tank
JP5888302B2 (ja) バルブ及び燃料タンク構造
WO2018168712A1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KR100632255B1 (ko) 연료 증발가스 배출 제어시스템
KR101047302B1 (ko) 연료증발가스 제어밸브
WO2017163661A1 (ja) 燃料タンク用通気制御弁
CN110985724A (zh) 一种gvv阀保压结构及gvv阀
JP2018025134A (ja) 燃料遮断弁
KR100666324B1 (ko) 롤 오버 배출 밸브
CN109562688B (zh) 燃料箱用加油限量控制阀
KR100361435B1 (ko) 차량 연료탱크의 정압제어용 콘트롤밸브
CN220452823U (zh) 燃油箱双向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