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749B1 -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749B1
KR100956749B1 KR1020080012969A KR20080012969A KR100956749B1 KR 100956749 B1 KR100956749 B1 KR 100956749B1 KR 1020080012969 A KR1020080012969 A KR 1020080012969A KR 20080012969 A KR20080012969 A KR 20080012969A KR 100956749 B1 KR100956749 B1 KR 100956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ek
extract
dume
obesity
dume lee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619A (ko
Inventor
강명화
박춘근
고상범
성하정
주영운
장문식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7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8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중 지질 개선 효과와 항비만 효과를 갖는 두메부추 추출물 (Extract of Allium senescens L.)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두메부추 추출물은, 혈중 지질 개선 효과와 항비만 효과를 갖는 유효성분 화합물의 함량을 크게 높이고, 두메부추에 본래 다량 함유된 소금, 불안정하여 공기 산화를 받기 쉬운 페놀성 화합물, 점액성 물질을 대부분 제거된 것으로서 혈중 지질 개선 효과와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키며,고지혈, 비만에 따른 동맥경화증, 심순환계 질환, 뇌혈전 질환, 간질환, 혈전증, 고지혈증, 당뇨병 등을 예방하거나 치료를 보조하는 기능성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두메부추, 항비만, 초임계 추출

Description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Method For Producing Extract of Allium senescens L. and Compositi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두메부추 추출물(Extract of Allium senescens L.)의 제조방법 및 두메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두메부추에 본래 다량으로 함유된 소금, 불안정하여 산화받기 위한 페놀성 화합물, 점액성 물질 등을 대부분 제거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비만은 에너지 섭취가 소비보다 많아 과잉된 칼로리가 지방조직에 축적되어 대사성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고지혈증, 고혈압, 관절염, 담석증, 당뇨병, 심근경색증, 유방암, 지방간 등과 같은 성인병 발생의 위험 인자로 작용한다.
현대의 식생활 습관에 따른 지방의 섭취 증가로 인한 질병의 양상은 비만, 뇌졸중,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병 등의 각종 만성질환의 증가로 나타났고 특히, 심장순환계 질환의 증가는 주요 사인의 하나가 되었다.
이런 시점에서 볼 때 현대인들의 고칼로리, 고지방 섭취는 혈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동맥의 플라그 형성을 촉진하여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킨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혈액에서 이들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한 의약품이나 자연식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다. 최근 생리활성을 가진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소재를 발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이른 봄에 인경(비늘줄기)과 근엽(뿌리잎)을 식용하는 부추(Allium tuberosum Rottler)는 지방에 따라 부호, 솔, 경구지, 졸이라고 불리며, 다른 파의 종류에 비해 단백질, 지바으 회분, 비타민 A, B1, C 가 월등히 많다. 그리고 인경은 약리작용이 있어 건위, 정장, 화상치료에 이용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이질을 치료하는데 쓰였다고 한다.
부추는 김치를 담글 때 주재료로 사용되었으며 부산 및 경남지방의 향토 별미김치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특유성분인 allyl sulfide 류가 함유되어 있어 독특한 향미로 인해 김치의 부재료로의 이용 뿐만 아니라 조리식 생선이나 육류의 냄새를 제 거하는 등 향신료로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부추가 부재료로서 김치의 숙성 및 산패원인균으로 알려진 Pediococcus cerevisiaeLactobacillus plantarum 에 대하여 현저한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낸다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어 김치의 천연보존제 및 산패억제제로서 부추 추출물의 이용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는 추세이며, 향신료로서의 첨가되는 부추는 김치 발효 후 여러가지 부재료의 맛을 조화시킨다는 연구보고도 있다. 또한 부추의 항미생물활성 뿐만 아니라 백서의 Cd 독성에 대한 방어작용 등 다양한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백합과의 다년생 초본식물인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는 인경(비늘줄기)과 함께 지상부위(전초)를 식용으로 하며, 한방과 민간에서는 인경을 해독 등의 약재로 사용한다. 백합과 식물인 부추는 현재 우리 식생활에서 중요한 식품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나, 두메부추는 드물게 식용되어 희귀식물로 분류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외에서 자생식물의 이용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시점에서 약리작용을 지닌 식용식물인 두메부추를 고부가가치 식품소재로 개발하는 연구는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추의 항미생물 활성과 두메부추의 인경을 민간에서 해독 등의 약재로 활용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두메부추의 성분 분리와 함께,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흰쥐에서 두메부추의 정제된 성분이 혈중 지질 개선 효과와 함께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신규한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지는 두메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 건조분말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하는 제1단계 ;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두메부추 분말을 주정 또는 주정과 물의 혼합용매 또는 n-hexane과 주정의 혼합용매에 녹이고 추출액을 얻는 제2단계 ;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두메부추 분말을 초임계 용액에 녹이고 추출액을 얻는 초임계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초음파 추 출방법에 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두메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두메부추 추출물에는 알데히드기(aldehydes), 하이드로카본기(hydrocarbons), 알코올기(alcohols), 산기(acids), 케톤기(ketones), 에스테르기(esters) 및 황함유화합물(sulfur containing compounds)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된 작용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써, 두메부추 추출물과, 기능성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두메부추에 본래 다량으로 함유된 소금, 불안정하여 산화받기 위한 페놀성 화합물, 점액성 물질 등을 대부분 제거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두메부추 추출물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메부추 추출물은, 알데히드기(aldehydes), 하이드로카본기(hydrocarbons), 알코올기(alcohols), 산기(acids), 케톤기(ketones), 에스테르기(esters) 및 황함유화합물(sulfur containing compounds)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된 작용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상당한 양(80%이상)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두메부추 추출 정제물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항비만 및 지질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용도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두메부추 추출 정제물의 제조방법은, 두메부추 건조분말을 물로 실온에서 세척하고 탈수하는 제1단계 ; 상기 세척된 두메부추 분말을 용매에 녹이고 추출액을 얻는 제2단계 ;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두메부추 건조분말은 두메부추의 지상부위(전초)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두메부추의 잎을 건조시킨 분말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단계에서의 세척은 실온에서 건조된 두메부추 분말 을 그 중량의 약 5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내지 15배 중량의 물로 실온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약 1시간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순환세척, 초음파 세척, 또는 퍼콜레이숀법 등의 세척방법을 통하여 세척될 수 있다. 특히, 순환 세척방법이 바람직하며, 상기 세척공정을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4회 반복하여 두메부추 분말을 세척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 1단계에서 세척되고 탈수된 두메부추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중량부의 주정, 또는 약 3:7 내지 1:20의 혼합비(v/v)를 갖는 물과 주정의 혼합용매, 또는 약 1:1의 혼합비를 갖는 n-헥산과 주정의 혼합용매를 제2단계의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정으로는 90%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제2단계에서는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실온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약 85 내지 100℃에서 1시간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 또는 1일 내지 7일간 퍼콜레이숀법의 추출을 통해, 두메부추 추출물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공정은 1회 내지 5회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3회 내지 4회 반복하여 추출액을 수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단계에서의 추출은 초임계 추출방법이나 초음파 추출방법에 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두메부추 분말을 초임계 용액에 녹이고 추출액을 얻거나, 상기 두메부추 분말을 용매에 녹인 후 다양 한 범위의 초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추출액을 얻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임계 추출방법은 액체와 기체의 중간적인 성격을 지닌 초임계 용액(Supercritical Fluid)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초임계 용액은 Liquid상이 가지는 용해력과 Gas상이 가지는 확산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두베부추 추출 방법의 용매나 Chromatography에 있어서 유동상(Mobile Phase)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상기 초임계 용매로는 이산화탄소, 물, 프로판 등을 비롯하여 두메부추 분말이 자체로 초임계 반응 용매로 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초임계 용액은 고온, 고압에서 특히 고압일수록 더 큰 용해능력을 지니는 압력 의존적인 용해 능력을 지니고 있고, 본 발명은 이러한 초임계 용액의 우수한 용해 능력을 바탕으로 분리와 정제 공정등에서 추출용매로서 초임계 용액을 이용하는 것이다. 다른 종류의 추출기법은 고형체에서의 추출에 있어 유독성의 유기적 용매에 의존하고 있고 범위 또한 화학적 분석을 위한 미량의 용매추출에 집중되어 있지만, 초임계 추출(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은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의 대량 추출 매체로 주로 사용되는 CO2가 저렴하면서도 훌륭한 물리적 성능(무독성, 비착화성, 낮은 초임계점)을 지니고 있고, 어떤 추출법에 비해서도 생산되는 폐기물의 양이 극히 적으며, 원하는 물질만을 손상없이 고순도로 얻을 수 있다는 뛰어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추출방법은 상기 제1단계에서 얻어진 두메부추 분말을 추출 용매(상술한 용매를 포함하여 초음파 추출에 적합한 모든 종류의 용매를 포함함)에 넣고, 여기에 다양한 범위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분자의 진동에 의해 상기 두메부추 분말과 추출 용매 안에서 초음파가 수축과 팽창을 교대로 일으키고, 그 파동이 상기 두메부추 분말의 내부 깊숙히 침투하여 두메부추의 유효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게 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초음파 추출방법에 의하여 기존의 열수 추출법에 비해 유용성분의 파괴와 손실을 막고 유용성분을 안정적으로 추출해 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2단계에 이어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및 건조공정을 포함하여 정제물을 얻도록 처리(제3단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단계에서 혈중 지질 개선 효과와 항비만 효과가 없는 성분(카페오일퀴닌산)과 그 유도체, 탄닌, 소금 등이 상기 제2, 3단계를 통하여 거의 대부분 제거되며, 상기 제 2 단계에서 얻은 정제물을 혈중 지질 개선 효과와 항비만 활성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으로 통하여 얻어지는 추출 정제물은 혈중 지질 개선 효과와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의 함량이 증가되고, 변하기 쉬운 화합물과 원래 두메부추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소금 등 부작용을 유발하거나 혈중 지질 개선효과와 항비만 효 과가 없는 성분을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방법으로 얻어지는 두메부추 추출 정제물은 혈중 지질 개선 효과와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는 두메부추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성분인 하기와 같은 유효성분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서 상기 유효성분이란, 2-butenal, 2-pentenal, 2-methyl-2-pentenal, nonylaldehyde, n-decanal, E,E,2,4,-dodecadienal, 2,4-dinethyl benzaldehyde, hexadecanal, tetradecanal, acetaldehyde, propanal, trans-2,4-decadienal 과 같은 성분(component)을 가지는 알데히드기(aldehydes), imonene, 1-tridecene, n-tetradecane, 1-tetradecane, pentadecane, α-terpinolene, hexadecane, octadecane, cycldodecane, 1-octadecene, n-eicosane, 2-methyl-6-oxo-2,4-heptadiene, tetradecane, 1-methoxy-4(1-2-propenyl)-benzene, 2-cyclopene, 7-tert-butyl-4-methyl-5-nitrobenzene, benzene 과 같은 성분을 가지는 하이드로카본기(hydrocarbons), ethanol, 1-octanol, dodacanol, α-eudesmol, methyl carbitol, linalool, eugenol 과 같은 성분을 가지는 알코올기(alcohols), acetic acid, propionic acid, hexadecanoic acid, lauric acid, tetradecanoic acid, pentadecanoic acid, hexanedioic acid 와 같은 성분을 가지는 산기(acids), 2-tridecanone, β-damascone, β-ionone, 2-pentadecanone, methyl nonyl ketone 과 같은 성분을 가지는 케톤기(ketones), lauryl acetate, bis phthalate, ethyl formate, cis-3-hexenyl valerate, isobutyl salicylate, cis-3-hexenyl benzoate, diphthalte 과 같은 성분을 가지는 에스테르기(esters) 및 methyl prophyldisulfide, thiophene, 2,5-dimethyl thiophene, 1,2,4-trithiopene, 3,4-dimethyl-1,2,4-trithiolane, thiocyclobutan-2-ol, 5-methyoxythiazole, 2-butylbenzothiazole, 4-nethyoxy-3-methyl-thioquinoline, 2,3-bis(dimethylamino)1,4,2,3-dithil-diborinane, 3-thiophene carboxylic acid trimethyl silly ester, d-propyl trisulfide, N,N-dimethylmethane-sulfonamide 와 같은 성분을 가지는 황함유화합물(sulfur containing compounds)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효성분 화합물은 두메부추 추출 정제물의 80.0∼99.6중량%를 차지한다. 상기 유효성분 외에도 기타 여러가지 성분이 미량 함유되어 있으며, 또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는 성분인 소금은 극소량만 함유되어 있다.
후술하겠지만 두메부추 추출물은 항비만 및 지질 상태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며, 이 경우 두메부추에서 추출된 알데히드기(aldehydes), 하이드로카본기(hydrocarbons), 알코올기(alcohols), 산기(acids), 케톤기(ketones), 에스테르기(esters) 및 황함유화합물(sulfur containing compound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면 그 효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의 추출방법으로 정제된 두메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방향제를 포함하며, 혈중 지질 비만을 예방하는 건강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에 의해 정제된 두메부추 추출물을 고지방 식이로 유도한 비만 실험동물에 대하여 혈중 지질 개전 효과와 항비만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두메부추 추출물이 에너지 섭취가 소비보다 많아 과잉된 칼로리가 지방조직에 축적되어 대사성 불균형이 장기간 지속되어 생기는 고지혈증, 고혈압, 관절염, 담석증, 당뇨병, 심근경색증, 지방간 등과 같은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또한, 상기한 두메부추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없으므로 예방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비만 및 지질 상태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서, 두메부추 추출물의 함량은 총 조성물 중량의 0.1∼6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두메부추 추출물의 함량이 너무 적을 경우에는 비만 및 지질상태를 개선하는 효과가 미약하고, 너무 많을 경우에는 용해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추출물의 추가 투여에 따른 효과의 상승이 미약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에 사용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데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들 수 있다.
기능성 식품의 제형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정제 형태가 바람직하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두메부추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s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 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두메부추 추출물은 복용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1 내지 500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두메부추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랫트,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국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것의 없으므로 예방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
물을 이용한 두메부추의 세척
두메부추는 경기도 광릉 수목원에서 2007년 10월 내지 12월 경에 채취한 것으로, 두메부추의 지상부위를 실온에서 건조하여 분말로 한 다음, 4호체를 통과한 분말을 사용하였다. 두메부추 분말 10 kg에 정제수 100 L를 가하고 실온에서 순환세척, 탈수하고 세척액을 버렸다. 상기 세척, 탈수 과정을 2회 더 반복했다. 이 때 마지막 세액 중의 염소이온 농도는 10ppm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
상기와 같이 세척된 두메부추 분말에 1:10의 혼합비(v/v)를 갖는 물과 주정의 혼합용매 100 L를 가하고, 약 85∼100℃에서 2∼5시간 환류 냉각방법으로 추출하였으며, 그 추출액을 여과지를 통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 과정을 2회 더 반복한 후,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건조시켜 오일 모양의 두메부추 추출물(AE-B) 503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제형에 따른 제조예]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두메부추 추출물 건조분말 20mg, 유당 100mg, 탈크 10mg를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두메부추 추출물 건조분말 2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두메부추 추출물 건조분말 2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를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두메부추 추출물 건조분말 200mg, 솔비톨 20mg, CMC 10mg, 레몬향 약간, 정제수를 넣어 전체 1000ml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의 세척액으로부터 성분 동정]
상기 실시예 1의 1차 세척액 중에서 10L를 취하고, 이를 60℃이하에서 약 0.5L가 될 때까지 감압농축하고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분말 95g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에 메탄올 1L를 가하여 메탄올 가용성 물질과 메탄올 불용성 물질을 각각 얻었다. 메탄올 불용성 물질을 대부분 소금과 점액성 물질이었다. 메탄올 가용성 물질을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 혼합용매(5:1:0.1)로 실리카겔에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화합물 1과 2를 얻었고, 이것의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실험예 2: 두메부추 추출물의 유효성분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신규한 두메부추 지상부위(AE-B)의 유효성분 분리를 수행하였다. 즉, 신규한 두메부추 지상부위 추출물 100g에 클로로포름 1L를 가하여 현탁시키고 실온에 하룻밤 방치하고, 여과하였다. 클로로포름 난용성 분획을 클로로포름으로 소량씩 3회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난용성 분획물(ABP)과 가용성 분획물(AE-C)을 얻었다. 다음, 클로로포름 여과액 및 세척액을 모아, 실리카겔 200g의 칼럼에 가하여 클로로포름을 용매로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 실시하였으며, AE-1(1.8g), AE-2(20mg), AE-3(200mg), AE-4(10mg), AE-5(350mg)의 순서로 용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어서 용출용매로 클로로포름, 메탄올 혼합용매(50:1)로 용출하여 다시 ABP(1.25g)을 얻었다.
[실험예 3: 두메부추 추출물 중의 유효성분 정량]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두메부추 지상부위 추출물(AE-B) 검체 및 유효성분(ABP) 표준품 각각 30mg을 정확히 평량하여 디메칠설폭시드(dimethylsulfoxide, DMSO) 40ml에 각각 녹이고, 40%(v/v)에탄올을 가하여 100ml로 조절하여 이를 각각 검액 및 표준액으로 하였다. 바닐린(vinilln) 80mg을 에탄올 10ml에 녹였고(사용 시 조제), 72%(w/w)황산 용액을 조제하였다.
총 유효성분의 함량 분석 : 검액 및 표준액을 각각 1ml 씩 정확히 취하여 큰 시험관(직경 15mm × 길이 180mm)에 넣고 , 0.8% 바닐린 에탄올 용액 0.4ml를 가하여 혼합하고, 미리 얼음 수욕상에서 냉각시킨 72% 황산용액 5ml 를 얼음 수욕상에서 시험관에 서서히 가한 후 급격히 흔들어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을 60℃에서 60분간 가열하여 발색시키고 실온까지 냉각시킨 다음,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유효성분(ABP) 표준액의 검량선에 따라 검액의 함량을 구하였다. 대조액은 검액 1ml에 0.8% 바닐린 에탄올 용액 0.4ml를 가하여 혼합하고, 미리 얼음 수욕상에서 냉각시킨 72% 황산 용액 5ml를 얼음 수욕상에서 시험관에 서서히 가한 후 급격히 흔들어 혼합한 액을 대조액으로 하였고, 이것의 흡광도를 540nm에서 측정하였다. 총 유효성분의 함량을 다음 공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1 : 총 유효성분의 함량(%) = (검액의 흡광도-대조액의 흡광도)/표준액의 흡광도×100
[실험예 4]
실험 동물의 사육, 식이, 체중 증가량 및 식이 효율
실험동물은 스프라그-도올리(Sprague-Dawley)종의 수컷 흰쥐(170∼180g, 6주령)로 샘타코(Samtaco, Seoul, Korea)에서 구입하여 1주일간 적응시킨 후, 난괴법에 의해 정상식이군(ND, n=10마리)과 고지방식이군(HFD, n=50마리) 두 군으로 나누었다. 6주간 사육하여 비만을 유도한 후 고지방식이군을 5군(각 군의 n=10마리)고지방식이군(HFD), 실험예2의 분획물을 투여한 해국투여4개군(AE-B, AE-C, AE-1, ABP)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식이 섭취량과 체중은 일주일에 2회 측정하였다.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io)은 실험 식이 공급일로부터 희생일까지를 총 실험 기간으로 하여 실험 기간 동안의 체중 증가량을 실험 기간 동안의 식이 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이외에, 백색지방의 현미경 사진과 지방세포 무게 관찰 실험, 자기공명영상(MRI)측정을 통한 체지방 측정 실험, 혈중 지질 농도와 간 지질 농도 실험, 혈중 렙틴(Leptin), 글루코스 및 인슐린 함량 분석 실험, 백색지방조직의 UCP2, PPARγ 발현 실험, 급성독성 실험 등을 수행하였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삭제

Claims (4)

  1. 두메부추(Allium senescens L.) 건조분말을 물로 세척하고 탈수하는 제1단계 ;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두메부추 분말을 주정 또는 주정과 물의 혼합용매 또는 n-hexane과 주정의 혼합용매에 녹이고 추출액을 얻는 제2단계 ; 를 포함하는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방법.
  2. 두메부추 건조분말을 물로 실온에서 세척하고 탈수하는 제1단계 ;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얻어지는 두메부추 분말을 초임계 용액에 녹이고 추출액을 얻는 제2단계 ; 를 포함하는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080012969A 2008-02-13 2008-02-13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956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969A KR100956749B1 (ko) 2008-02-13 2008-02-13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969A KR100956749B1 (ko) 2008-02-13 2008-02-13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619A KR20090087619A (ko) 2009-08-18
KR100956749B1 true KR100956749B1 (ko) 2010-05-12

Family

ID=4120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969A KR100956749B1 (ko) 2008-02-13 2008-02-13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7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25B1 (ko) * 2013-08-21 2015-05-28 주영철 갈아 만든 두메부추 유산균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1898854B1 (ko) 2018-06-20 2018-10-04 이성자 부추 장아찌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961B1 (ko) * 2012-03-19 2014-03-07 박영자 두메부추 부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241169B1 (ko) * 2018-06-22 2021-04-1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두메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5188B1 (ko) * 2019-11-05 2023-02-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삼원네이처 두메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 및 뼈 건강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311A (ko) * 2003-03-07 2004-09-14 학교법인 인제학원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JP2005046132A (ja) 2003-07-30 2005-02-24 Riken Health Kk S−アルキル(アルケニル)メルカプトグルタチオン含有食品とその製造方法
KR20050021040A (ko) * 2003-08-25 2005-03-07 학교법인 인제학원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에 의한 합병증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20070114071A (ko) * 2007-06-20 2007-11-29 안병국 향 덧입힘 시금치 또는 부추 분말을 이용한 추출, 농축,증류물 제조방법 및 그 추출, 농축, 증류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311A (ko) * 2003-03-07 2004-09-14 학교법인 인제학원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JP2005046132A (ja) 2003-07-30 2005-02-24 Riken Health Kk S−アルキル(アルケニル)メルカプトグルタチオン含有食品とその製造方法
KR20050021040A (ko) * 2003-08-25 2005-03-07 학교법인 인제학원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에 의한 합병증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20070114071A (ko) * 2007-06-20 2007-11-29 안병국 향 덧입힘 시금치 또는 부추 분말을 이용한 추출, 농축,증류물 제조방법 및 그 추출, 농축, 증류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25B1 (ko) * 2013-08-21 2015-05-28 주영철 갈아 만든 두메부추 유산균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1898854B1 (ko) 2018-06-20 2018-10-04 이성자 부추 장아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619A (ko) 200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issaoui et al. Acute diuretic effect of continuous intravenous infusion of an aqueous extract of Coriandrum sativum L. in anesthetized rats
JP6131993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JP5885153B2 (ja) ショウガ加工物の製造方法
JP5081388B2 (ja) ケルセチン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956749B1 (ko)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JP2009190990A (ja) 弱酸性下の消臭組成物
JP2008533196A (ja) 肥満または高脂血症の予防及び治療用の組成物、ならびに、肥満、高脂血症、または心循環系疾患の予防及び改善用の健康機能性食品
Khanam et al. Nutmeg essential oil
JP2006036787A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
JPWO2006082743A1 (ja) 治療剤
CN104719985A (zh) 一种鱼肠及其制备方法
JP2003252776A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
KR20050037444A (ko) 항비만용 허브차 분말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음료
JP3834140B2 (ja) 魚介類および肉類のための消臭剤、消臭方法および消臭物質
JP2008081440A (ja) アロマターゼ活性促進剤
US20060251786A1 (en) Cyclopropanated coumarin derivatives
JP2005237291A (ja) 健康食品
KR20220000235A (ko) 참깨박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JP4295301B2 (ja) 肉臭改善剤、これを用いた肉臭改善方法及び食肉製品
JP2013199447A (ja) 肝機能保護又は改善剤
Zafar et al. Fennel
KR101805974B1 (ko) 오디가 첨가된 소시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369597A1 (en) Anti-Obesity Agent, Anti-Dementia Agent, Deodorant, Anti-Aging Agent, Anti-Glycation Agent, Anti-Type I Allergy Agent, Hypotensive Agent, Flavor Improving Agent, Muscle Enhancing Agent, and Bone Metabolism Improving Agent
JP5969308B2 (ja) 血管内皮細胞の一酸化窒素分泌促進剤又は分泌誘導剤
US20210251884A1 (en) Anti-Obesity Agent, Anti-Dementia Agent, Deodorant, Anti-Aging Agent, Anti-Glycation Agent, Anti-Type I Allergy Agent, Hypotensive Agent, Flavor Improving Agent, Muscle Enhancing Agent, and Bone Metabolism Improving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