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565B1 -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이용한 횡방향 댐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이용한 횡방향 댐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565B1
KR100954565B1 KR1020080013270A KR20080013270A KR100954565B1 KR 100954565 B1 KR100954565 B1 KR 100954565B1 KR 1020080013270 A KR1020080013270 A KR 1020080013270A KR 20080013270 A KR20080013270 A KR 20080013270A KR 100954565 B1 KR100954565 B1 KR 100954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per
electromagnet
lateral
vehicle
bog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992A (ko
Inventor
김행구
김정욱
이종민
강병관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56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4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6Means to sense or control vehicle position or attitude with respect to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8Sliding or levi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4/00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54/02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ostatic, electric, or magnet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s With Linear Motors And Vehicles That Are Magnetically Levitated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URBAN TRANSIT MAGLEV)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ELECTRO-MAGNET ECCENTRIC ARRANGEMENT)를 이용한 횡 방향 댐핑 제어(LATERAL DAMPING CONTROL) 방법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이용하여 횡 방향 댐핑을 제어해서 차량의 운행 중에 발생하는 횡 방향 진동을 억제하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 중에 횡 방향 진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 중 승차감이 향상되고 차량의 속도 증가 시 대차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이용한 횡 방향 댐핑 제어 방법{METHOD FOR LATERAL DAMPING CONTROL BY USING ELECTRO-MAGNET ECCENTRIC ARRANGEMENT ON THE TRUCK OF URBAN TRANSIT MAGLEV}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URBAN TRANSIT MAGLEV)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ELECTRO-MAGNET ECCENTRIC ARRANGEMENT)를 이용한 횡 방향 댐핑 제어(LATERAL DAMPING CONTROL)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이용하여 횡 방향 댐핑을 제어해서 차량의 운행 중에 발생하는 횡 방향 진동을 억제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개발한 상전도 흡인식 도시형 자기부상열차는 전자석과 궤도의 자기력에 의한 흡인력을 이용한 부상 방식을 사용한다.
일차 현가장치 역할을 하는 전자석의 부상제어를 위하여 갭 센서와 수직방향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전자석과 궤도의 일정 공극(약 10mm)을 유지하도록 대차의 각 코너별로 전류를 제어한다.
또한, 대차와 차체 사이에 2차 현가장치인 공기스프링과 경사형 오일 댐퍼를 장착하여, 수직방향 및 횡 방향에 대한 대차의 진동이 차체로 전이되는 것을 억제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술로는 대차의 진동을 완전히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주행안정성을 위해서는 전자석의 부상, 안내 제어, 및 적절한 대차의 구조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는 수직방향에 대한 전자석의 운동만을 능동적으로 제어했을 뿐이고, 횡 방향에 대한 전자석의 운동은 능동적으로 제어하지 않았다. 즉, 횡 방향으로는 전자석의 편심 배치에 의한 순수 안내력 만을 이용하였다.
한편, 대차의 횡 방향 안내가 원활히 수행되지 못했을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안내장치(Guidance Wheel)를 설치했고, 대차 내측 면에 버퍼(buffer)를 장착해서 대차의 횡 방향 최대변위에 대응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대차의 횡 방향 운동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비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의 횡 방향 진동에 의거하여 차량의 운행 중 승차감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횡 방향 진동에 의거하여 차량의 속도 증가 시 대차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이용하여 횡 방향 댐핑을 제어해서 차량의 운행 중에 발생하는 횡 방향 진동을 억제하도록 하는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이용한 횡 방향 댐핑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각 코너에 횡 방향 가속도센서가 각기 설치되고, 좌측 및 우측 궤도에 대해서 바깥쪽으로 전자석 1이 좌측 및 우측에 각기 편심 배치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궤도에 대해서 안쪽으로 전자석 2가 좌측 및 우측에 각기 편심 배치된 구성을 갖는 대차를 구비하는 자기부상열차에서 횡 방향 댐핑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각 가속도센서의 각 가속도 측정값을 이용하여 댐핑 요소(damping factor)를 구하고, 상기 댐핑 요소를 상기 전자석 1의 코일과 전자석 2의 코일에 제공되는 각 전류값에 각기 가감하여, 상기 각 전자석이 상기 궤도에 대해서 일정한 편심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Kyp는 상기 대차의 횡 방향 속도 성분 게인(gain)이고, YP(n)는 현재 상기 대차의 횡 방향 속도 성분이며, 쵸퍼 1, 2가 상기 전자석 1, 2의 각 코 일에 전류를 각기 제공할 때, 상기 대차 좌측의 경우, 상기 쵸퍼 1의 최종 출력은 상기 쵸퍼 1의 기존 출력 + Kyp*YP(n)이고, 상기 쵸퍼 2의 최종 출력은 상기 쵸퍼 2의 기존 출력 - Kyp*YP(n); 상기 대차 우측의 경우, 상기 쵸퍼 1의 최종 출력은 상기 쵸퍼 1의 기존 출력 - Kyp*YP(n)이고, 상기 쵸퍼 2의 최종 출력은 상기 쵸퍼 2의 기존 출력 + Kyp*YP(n)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횡 방향 가속도센서는 대역폭(Bandwidth)이 직류 내지 100Hz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석은 H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이용하여 횡 방향 댐핑을 제어해서 차량의 운행 중에 발생하는 횡 방향 진동을 억제하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 중에 횡 방향 진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 중 승차감이 향상되고 차량의 속도 증가 시 대차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의 대차를 나타낸 도면으로, 대차 프레임에 오일 댐퍼, 공기 스프링, 견인 장치, 비상안내장치, 타이빔, 전자석, 선형 유 도 전동기, 기초 제동 장치, 및 비상 착지 장치가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각 코너 1, 2, 3, 4에 횡 방향 가속도센서가 각기 설치되고, 좌측 및 우측 궤도에 대해서 바깥쪽으로 전자석 1이 좌측 및 우측에 각기 편심 배치되며, 좌측 및 우측 궤도에 대해서 안쪽으로 전자석 2가 좌측 및 우측에 각기 편심 배치된 대차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대차에서 각 가속도센서의 각 가속도 측정값을 이용하여 댐핑 요소를 구하고, 상기 댐핑 요소를 전자석 1의 코일과 전자석 2의 코일에 제공되는 각 전류값에 각기 가감하여, 각 전자석이 궤도에 대해서 일정한 편심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횡 방향 가속도센서는 대역폭이 직류 내지 100Hz이다. 상기 전자석은 H자 형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횡 방향 댐핑 요소의 보드 다이어그램(Bode Diagram)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횡 방향 댐핑을 제어하기 위한 횡 방향 속도 성분(Absolute Lateral Velocity)을 YP, 횡 방향 가속도를 ACC_L이라 하면, 수학식 1과 같이 2차 대역통과 필터를 통과한 전달함수 형태로 횡 방향 속도 성분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횡 방향 가속도 센서는 대차의 전면 방향에 대하여 좌측은 (+), 우측은 (-) 부호를 갖고, ωc는 컷오프 주파수(cut-off frequency)[rad/s]이고, ξ는 댐핑률(damping ratio)이다.
YP(s)=(ωcs/(s2+2ξωcs+ωc 2))×ACC_L(s)
예로, fc=13Hz, 댐핑률=0.5로 가정하면, ωc=2πfc=81.68이므로 YP(s)는 수학식 2와 같다. 이때, 주파수 특성은 도 3과 같다.
YP(s)=(82s/(s2+82s+6672))×ACC_L(s)
이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YP성분을 계산하고, 도 2의 가속도 방향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각 전자석에 PWM(Pulse-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전류를 각기 제공하는 각 쵸퍼의 PWM 출력을 계산하고 적절한 횡 방향 속도 성분 게인을 튜닝(tuning)하여 적용한다. 이때, Kyp는 횡 방향 속도 성분 게인이고, YP(n)는 계산된 현재 횡 방향 속도 성분이며, 쵸퍼 1, 2는 전자석 1, 2의 각 코일에 전류를 각기 제공한다.
먼저 대차 좌측의 경우, '쵸퍼 1의 최종 출력'은 '쵸퍼 1의 기존 출력 + Kyp*YP(n)'이고, '쵸퍼 2의 최종 출력'은 '쵸퍼 2의 기존 출력 - Kyp*YP(n)'이다.
다음 대차 우측의 경우, '쵸퍼 1의 최종 출력'은 '쵸퍼 1의 기존 출력 - Kyp*YP(n)'이고, '쵸퍼 2의 최종 출력'은 '쵸퍼 2의 기존 출력 + Kyp*YP(n)'이다.
쵸퍼의 출력 제어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의해 디지털 신호 처리하므로 위 전달함수를 'Bilinear Transform'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때, 's=2*Fs*(z- 1)/(z+1)'을 대입하고, 댐핑 요소는 0.5로 한다.
따라서,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YP(z)/ACC_L(z)=(2Fsωcz2-2Fsωc)/((4Fs 2+2Fsωcc 2)z2+2(ωc+2Fs)(ωc-2Fs)z+4Fs 2-2Fsωcc 2)
결국, 'K=4Fs^2+2FsWc+Wc^2'이라고 하고, 순환(Recursive) 식을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YP(n)=(2FsWc/K)*ACC_L(n)-(2FsWc/K)*ACC_L(n-2)-{2(Wc+2Fs)(Wc-2Fs)/K}*YP(n-1)-{(4Fs2-2FsWc+Wc2)/K}*YP(n-2)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대차의 편심 배치 방식 변경, 대차의 구조 변경, 센서의 위치 변경, 및 각 코너의 종합적인 제어 방식이 가능할 경우 그에 알맞은 형태의 횡 방향 안내 제어 기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 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의 대차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횡 방향 댐핑 요소의 보드 다이어그램이다.

Claims (4)

  1. 각 코너에 횡 방향 가속도센서가 각기 설치되고, 좌측 및 우측 궤도에 대해서 바깥쪽으로 전자석 1이 좌측 및 우측에 각기 편심 배치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궤도에 대해서 안쪽으로 전자석 2가 좌측 및 우측에 각기 편심 배치된 구성을 갖는 대차를 구비하는 자기부상열차에서 횡 방향 댐핑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각 가속도센서의 각 가속도 측정값을 이용하여 댐핑 요소를 구하고, 상기 댐핑 요소를 상기 전자석 1의 코일과 전자석 2의 코일에 제공되는 각 전류값에 각기 가감하여, 상기 각 전자석이 상기 궤도에 대해서 일정한 편심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횡 방향 가속도센서는 대역폭이 직류 내지 10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상 이중화 자동열차제어장치의 절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Kyp는 상기 대차의 횡 방향 속도 성분 게인(gain)이고, YP(n)는 현재 상기 대차의 횡 방향 속도 성분이며, 쵸퍼 1, 2가 상기 전자석 1, 2의 각 코일에 전류를 각기 제공할 때,
    상기 대차 좌측의 경우, 상기 쵸퍼 1의 최종 출력은 상기 쵸퍼 1의 기존 출력 + Kyp*YP(n)이고, 상기 쵸퍼 2의 최종 출력은 상기 쵸퍼 2의 기존 출력 - Kyp*YP(n);
    상기 대차 우측의 경우, 상기 쵸퍼 1의 최종 출력은 상기 쵸퍼 1의 기존 출 력 - Kyp*YP(n)이고, 상기 쵸퍼 2의 최종 출력은 상기 쵸퍼 2의 기존 출력 + Kyp*YP(n)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상 이중화 자동열차제어장치의 절체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H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상 이중화 자동열차제어장치의 절체 방법.
KR1020080013270A 2008-02-14 2008-02-14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이용한 횡방향 댐핑 제어 방법 KR100954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270A KR100954565B1 (ko) 2008-02-14 2008-02-14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이용한 횡방향 댐핑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270A KR100954565B1 (ko) 2008-02-14 2008-02-14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이용한 횡방향 댐핑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992A KR20090087992A (ko) 2009-08-19
KR100954565B1 true KR100954565B1 (ko) 2010-04-23

Family

ID=4120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270A KR100954565B1 (ko) 2008-02-14 2008-02-14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이용한 횡방향 댐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492B1 (ko) 2010-11-30 2012-08-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자기부상열차용 조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601B1 (ko) * 2009-11-11 2012-02-16 현대로템 주식회사 자기부상열차용 주행안정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기부상열차용 대차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1303A (en) 1980-02-28 1981-09-24 Mitsubishi Electric Corp Damping control system for superconductive magnetic floating type railway vehicle
JPH05181530A (ja) * 1992-01-07 1993-07-23 Daifuku Co Ltd 磁気浮上式搬送設備
JPH06249284A (ja) * 1993-03-02 1994-09-06 Tokico Ltd 車両用制振装置
US6983701B2 (en) 2001-10-01 2006-01-10 Magnemotion, Inc. Suspending, guiding and propelling vehicles using magnetic for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1303A (en) 1980-02-28 1981-09-24 Mitsubishi Electric Corp Damping control system for superconductive magnetic floating type railway vehicle
JPH05181530A (ja) * 1992-01-07 1993-07-23 Daifuku Co Ltd 磁気浮上式搬送設備
JPH06249284A (ja) * 1993-03-02 1994-09-06 Tokico Ltd 車両用制振装置
US6983701B2 (en) 2001-10-01 2006-01-10 Magnemotion, Inc. Suspending, guiding and propelling vehicles using magnetic for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492B1 (ko) 2010-11-30 2012-08-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자기부상열차용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992A (ko)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saki et al. A501 A lateral semi-active suspension of tilting train
JP5255780B2 (ja) 鉄道車両の振動制御装置
JP5919008B2 (ja) 電動式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US20160207421A1 (en) Electric vehicle drive apparatus, method of driving an electric vehicle, and program
KR910006828B1 (ko) 차량의 진동 제어장치
CN109159672B (zh) 矫正磁悬浮交通设备中永磁磁组侧向偏离的方法及装置
JP2008247333A (ja) 鉄道車両用振動制御装置
Katz et al. Performance of magnetic suspensions for high speed vehicles operating over flexible guideways
KR100954565B1 (ko) 자기부상열차의 대차에서 전자석 편심 배치를 이용한 횡방향 댐핑 제어 방법
CN107554542B (zh) 一种列车车厢的永磁悬浮减振降噪装置
JPH02155404A (ja) 車両のリニアモータ支持装置
JP5522549B2 (ja) 鉄道車両用振動制御装置
US3939778A (en) Railway truck magnetic suspension method
JP2012201179A (ja) 鉄道車両の転覆防止装置
CN112519804A (zh) 一种悬挂式混合磁悬浮轨道交通系统
JP3529366B2 (ja) 鉄道車両の車体傾斜制御装置
JP2007186027A (ja) 車輪の脱線防止及び制動装置
JP4628772B2 (ja) 電気車の駆動システム及び駆動制御方法
Kadowaki et al. Anti-skid re-adhesion control based on disturbance observer considering air brake for electric commuter train
JP2023068276A (ja) 鉄道車両制振装置及び鉄道車両制振方法
JP4444379B2 (ja) 渦電流ブレーキの制御又は調整方法
KR100945713B1 (ko) 철도차량용 선형유도전동기의 공극제어 시스템
JP4972190B2 (ja) 駆動システム及び駆動制御方法
Pavlov et al. Influence of the braking on the comfort during positioning of a metro train
KR100209283B1 (ko) 철도차량의 경사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