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203B1 -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203B1
KR100954203B1 KR1020080027487A KR20080027487A KR100954203B1 KR 100954203 B1 KR100954203 B1 KR 100954203B1 KR 1020080027487 A KR1020080027487 A KR 1020080027487A KR 20080027487 A KR20080027487 A KR 20080027487A KR 100954203 B1 KR100954203 B1 KR 100954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foreign matter
buoyancy tank
waste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198A (ko
Inventor
김영목
Original Assignee
맑은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맑은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맑은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20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된 건축폐기물 중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러 단계를 거쳐 양호한 분리와 회수작업을 통해 필요한 양질의 재생골재만을 선별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에 한 것이다. 본 처리장치는 부력탱크(14)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은 회수하는 이물질 배출장치(10)와; 상기 부력탱크(14)의 하부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관되어 침전된 모래를 배출하는 배출관(20)(22)과; 상기 부력탱크(20)와 연계되어 이동하는 액상폐기물을 수용하여 탈수한 후 모래는 배출관(24)을 통해 배출을 이루는 1차탈수스크린(30)과; 상기 배출장치(10)와 1차탈수스크린(30)을 통해 운반된 모래를 포집하여 싸이클론(42)을 통해 분류하여 모래는 후공정으로 보내지고 이물질과 액상폐기물만을 탈수 분리하여 배출하는 2차탈수스크린(40)과; 상기 2차탈수스크린(40)과 배관되고 배출 이동된 이물질과 폐기물 탈수한 후 이물질과 폐수를 분리 배출하는 3차탈수스크린(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이에 의하여 부력탱크에서 저비중의 부유물을 걸러내고 단계별로 탈수와 분류작업을 이룬 재생골재 중 모래를 재활용가능하게 배출하여 양질의 재생골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Figure R1020080027487
재생골재, 건출폐기물, 모래, 부유물, 분류기, 콘베이어, 탈수스크린

Description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Apparatus for Recycling of Concrete Scrapped Material}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된 건축폐기물 중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러 단계를 거쳐 양호한 분리와 회수작업을 통해 필요한 재생골재만을 선별하여 양질의 재생골재를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폐기될 이물질이나 폐수는 선별되어 안전하고 용이한 폐기처분을 이루게 하는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을 건설하거나 해체할 때에 발생하는 각종 폐기물에는 흙을 포함한 골재, 콘크리트, 목재, 금속, 비닐, 종이 등의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폐기물은 폐기물 운반용 차량에 실어 매립지 등에 폐기하여 매립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폐기물은 부패되지 않는 비닐이나 땅을 오염시킬 수 있는 금속 등이 포함되어 있고, 더욱이 콘크리트 등은 독성이 강한 시멘트가 포함되어 있어 건설 폐기물 전체를 매립하는 데는 많은 문제가 있었다. 즉 이러한 폐기물은 토지를 비롯하여 공기, 수질 오염 등과 같은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폐기물을 재처리하여 소각용과 그리고 재활용할 수 있는 상태로 선별하고 분리하는 폐기물 처리장치가 많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폐기물 처리장치는 폐기물로부터 소각용과 재활용으로 선별하여 처리하는 처리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었다. 즉 폐기물에는 흙을 비롯하여 비닐류나 금속류 등이 혼합되어 있어 이를 선별하는 과정이 느려질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골재나 분쇄되지 않은 콘크리트 덩어리 등을 선별하는 과정과 크기가 큰 콘크리트 덩어리를 분쇄하는 일련의 과정이 하나의 라인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처리속도가 늦었다.
건축폐기물을 재생골재로 재활용하는 시스템은 수거된 건설폐기물을 죠크러셔를 통해 1차 파쇄하는 공정과, 파쇄된 건축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는 금속등을 제거하는 1차 선별공정과, 쓰레기나 목재 및 협작물 및 골재표면에 부착된 흙분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 선별공정과, 선별된 건설폐기물을 콘크러셔난 볼크러셔을 통해 파쇄하는 공정과, 최종적으로 파쇄된 파쇄물을 그 크기별로 분류하는 공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생골재는 가시 건축골재로 재활용하기에는 충분치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재생된 재생골재 내에 각종 이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고, 이는 이물질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완벽하게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생골재로 사용되는 모래에 함유된 폐기물을 분리하지 못하여 비경 제적인 사용을 이게 되고, 또한 폐기물이 함유된 상태로 모래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실시공을 이루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양질의 재생골재를 얻는데 장애가 되는 폐기물(이물질)등을 부력분리, 싸이클론공정 및 순환필터링등의 수단으로 건축폐기물 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작용을 더욱 촉진하여서 이물질만을 양호하고 편리하게 분리하고 양질의 재생골재만을 별도로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건축용 골재로 활용할 수 있는 양질의 재생골재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부력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급된 건축폐기물중 고비중 재생골재는 침전되고 수면위로 부상된 저비중을 살수 및 회전력으로 이물질을 밀어내는 부유 이물질 배출장치와; 상기 부력탱크의 하부 전면과 후면에 각가 배관되어 부력탱크의 저면으로 침전된 모래를 관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부력탱크와 연계되어 이동하는 액상폐기물을 수용하여 탈수한 후 모래는 배출관을 통해 배출을 이루는 1차탈수스크린과; 상기 배출장치와 1차탈수스크린을 통해 운반된 모래를 포집하여 싸이클론을 통해 분류하여 모래는 후공정으로 보내지고 이물질과 액상만을 탈수 분리하여 배출하는 2차탈수스크린과; 상기 2차탈수 스크린과 배관되고 배출 이동된 이물질과 폐기물 탈수한 후 이물질과 폐수를 분리 배출하는 3차탈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건축물의 해체시에 발생하는 각종 건축폐기물에 함유되어 있는 저비중의 부유물 및 잔토물을 동시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분리 또는 분류하여 재생골재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을 편리성을 도모하면서 별도의 채취나 분리작업없이 양호하고 효율적인 작업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작업환경을 통하여 생산성 있고 효율적 자원 관리효과를 거둘 수 있는 등 경제적이며 양호하게 수급을 이루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를 구성도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력탱크를 정면도로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배출장치를 평면도로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배출장치를 요부측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는, 파쇄된 건축폐기물을 공급콘베이어(12)를 통하여 부력탱크(14)에 공급하고, 부력탱크(14)에는 재생골제가 침전되면서 이물질이 수면 위로 부상하고 부상된 이물질을 걷어내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유이물질 배출장치(10)와, 부력탱크(14)를 통하여 모래를 운반하는 배출관(20)(22)과 각각의 영역에서 액상폐기물을 탈수하고 모래만을 별도로 배출하는 1차탈수스크린(30)과 2차탈수스크린(40) 및 제3차탈수스크린((50)으로 건축폐기물의재활용장치(100)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부유 이물질 배출장치(10)는 상기 부력탱크(14)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급된 건축폐기물중 고비중 재생골재는 부력탱크(14)에 침전되고 부상되는 저비중 예컨대, 스치로폼, 목재, 화학비닐지등이 수면위로 부상되면 도시를 생략한 살수 및 회전장치에 의해 일측 수면부로 부상된 이물질을 밀어내어 수거를 돕도록 되어 있다.
즉, 부유 이물질 배출장치(10)는 일정궤도를 순환하는 벨트(101)와, 이 벨트(101) 내에 이격된 거리를 갖는 한 쌍의 풀리(102)(103)와, 한 쌍의 풀리(102)(103)중 상부측 풀리(103)와 연결되는 모우터(104)와, 벨트(101)에 의해 운반 분류된 이물질을 회수하고 한 쌍의 풀리(102)(103) 측면에 설치되는 회수배출덕트(105)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부유물 이물질 배출장치(10)는 배출되는 부유물을 3차탈수스크린(50)과 연결하는 콘베이어벨트(52)로 이동 배출하도록 설비되어 있다.
상기 배출관(20)(22)은 상기 공급콘베이어(12)의 낮은 경사부측에 전방 배출관(20)이 높은 경사부측에 후방 배출관(22)이 각각 2차탈수스크린(40)에 배관되어 부력탱크(14)의 저면으로 침전된 모래를 관로를 통해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1차탈수스크린(30)은 상기 주력탱크(14)의 일측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공급콘베이어(12)로 부력탱크(14)와 연결하여 부력탱크(14)로 연계되어 이동하는 재생골재는 물론 액상폐기물을 수용하며 액상폐기물을 1차 탈수하고 저면에는 침전되는 재생골재의 모래를 배출하는 배출관(2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2차 탈수스크린(40)은 상기 부유이물질배출장치(10)와 1차탈수스크린(30)을 통해 분류되어 모래를 운반하는 배출관(20)(22)(24)이 각각 본체에 연결되어 있고, 탈수된 이물질은 3차탈수스크린(50)으로 배관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2차탈수스트린(40)은 내부에 장착된 싸이클론(42)을 통해 운반된 모래를분류하여 모래는 후공정으로 보내지고 분리된 이물질과 액상폐기물만을 탈수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3차 탈수스크린(50)은 상기 2차탈수스크린(40)과 배관 연결되고 배출 이동된 이물질과 폐기물을 탈수하는 탈수장치와 이물질과 폐수를 분리 배출하도록 분리배출장치로 되어 있으며, 상기 3차탈수스크린(50)은 부유물은 선별하여 부유물질배출장(56)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탈수된 폐수는 폐수처리관(54)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재생골재와 이물질을 부력에 의해 분류하여 부유물질은 폐기하고 재생골재만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건축폐기물을 파쇄한 후 공급콘베이어(12)를 통하여 부력탱크(12) 내로 공급하면 고비중의 재생골재는 가라앉고, 저비중의 부류물은 부상하게 된다.
이렇게 부유된 저비중의 부유물은 상기 부력탱크(12)의 상단에 마련되는 부유 이물질 배출장치(10)의 분사장치와 회전부러쉬에 의하여 살수력과 유인회전력으로 부유물을 부력탱크(12)의 일측으로 유인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안전하고 양호한 폐기를 이루게 된다.
부유 이물질 배출장치(10)는 일정궤도를 순환하는 벨트(101)와, 이 벨트(101) 내에 이격된 거리를 갖는 한 쌍의 풀리(102)(103)와, 한 쌍의 풀리(102)(103)중 상부측 풀리(103)와 연결되는 모우터(104)와, 벨트(101)에 의해 운반 분류된 이물질을 회수하고 한 쌍의 풀리(102)(103) 측면에 설치되는 회수배출덕트(105)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부력으로 저비중의 부유물은 벨트(101)와 풀리(102)(103)를 모우터(104)로 구동하고 벨트(101)의 외면에 돌출된 지지부재(106)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선별적재하여 운반되므로 도 4에서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어 상부측에서 일측으로 낙하하는게 되므로 회부배출덕트(105)로 보내어 폐기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분사장치는 파이프에 노즐을 부착하여 분사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분사장치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공급콘베이어(12)를 통해 공급된 건축폐기물중 고비중의 재생골재는 부력탱크(12)의 전면으로 침전되며 그 중 모래는 각각의 배출관(20)(22)를 통하여 2차탈수스크린(40)으로 배출 공급되어 다른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부력탱크(12)의 모래보다 큰 입자의 재생골재는 도 1에서와 같이 공급콘베이어(12)의 역회전 이동궤도에 따라 1차탈수스크린(30)으로 공급 및 탈수되어 생성된 폐기물은 폐기처리되고 침전된 재생모래는 배출관(24)을 통하여 2차탈수스크린(40)으로 공급되어 다른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부력탱크(14)와 2차탈수스크린(40)을 각각 배관하고 있는 배출관(20)(22)과 1차탈수스크린(30)과 2차탈수스크린(40)을 배관되어 있는 배출관(24)을 통하여 2차탈수스크린(40)에 공급된 모래는 싸이클론(42)를 통해 재 분류작업되어 이중 재생가능한 모래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모래배출콘베이어를 통하여 배출된 후 재생될 수 있고, 이물질이나 액상폐기물은 배관을 통하여 3차탈수크린(50)으로 보급되어 탈수과정을 통해 폐수처리된다.
여기서 상기 부유탱크(14)로 부터 분류되어 콘베이어벨트(52)을 기초로 이동된 부유물은 3차탈수스크린(50)은 탈수과정에서 폐수는 폐수처리관(52)를 통하여 배출배수관으로 보내어지고, 부유물은 부유물질 배출장(56)으로 보내어 폐기처리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파쇄된 건축폐기물을 부력탱크(14)에 공급하여 저비중의 부유물은 부상하고, 고비중의 재생골재중 선별된 모래는 별도로 수집하여 재생이 가능하도록 안전하게 운반처리되고, 액상폐기물이나 재생골재에 포함된 부유물은 적어도 1차 이상의 탈수와 분리공정을 거쳐 양호한 재생골재을 얻게 하고 재생불가능한 폐수나 이물질은 별도로 분리 배출하므로 편리하고 양호한 작업공정으로 간편하고 양호하게 재생골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부력탱크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배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배출장치의 요부측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부유 이물질배출장치 12; 콘베이어
14; 부력탱크 20,22,24; 배출관
30; 1차탈수스크린 40; 2차탈수스트린
42; 싸이클론 50; 3차탈수스트린
52; 콘베이어벨트 54; 폐수처리관
56; 부유물질배출장 101; 벨트
102,103; 풀리 104; 모우터
105; 회수배출덕트

Claims (3)

  1. 파쇄된 건축폐기물을 공급콘베이어(12)를 통하여 부력탱크(14)에 공급하고 부력탱크(14)에 재생골제가 침전되면서 이물질은 수면 위로 부상시켜 부상된 이물질을 걷어내어 이물질을 제거한 후 재생골재만을 얻는 건축폐기물의 재활용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부력탱크(14)의 상부에 설치되어 일정궤도를 순환하는 벨트(101)와 풀리(102)(103)에 의해 수면위로 부상된 저비중인 이물질을 적재하여 밀어내는 부유 이물질 배출장치(10)와;
    상기 부력탱크(14)의 하부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관되어 부력탱크의 저면으로 침전된 모래를 관로를 통해 배출하는 배출관(20)(22)과;
    상기 부력탱크(14)의 일측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공급콘베이어(12)로 부력탱크(14)와 연결하고 부력탱크(14)로 연계되어 이동하는 재생골재는 물론 액상폐기물을 수용하여 탈수한 후 모래는 배출관(24)을 통해 배출을 이루는 1차탈수스크린(30)과;
    상기 배출장치(10)와 1차탈수스크린(30)을 통해 운반된 모래를 포집한 후 내부에 장착된 싸이클론(42)을 통해 비중별로 분류하여 모래는 후공정으로 보내지고 이물질과 액상폐기물만을 탈수 분리하여 배출하는 2차탈수스크린(40)과;
    상기 2차탈수스크린(40)과 배관 연결되고 배출 이동된 이물질과 폐기물을 탈수하는 탈수 장치와 이물질과 폐수를 분리 배출하도록 분리배출장치로 구비된 3차탈수스크린(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80027487A 2008-03-25 2008-03-25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100954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87A KR100954203B1 (ko) 2008-03-25 2008-03-25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487A KR100954203B1 (ko) 2008-03-25 2008-03-25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98A KR20090102198A (ko) 2009-09-30
KR100954203B1 true KR100954203B1 (ko) 2010-04-21

Family

ID=4135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487A KR100954203B1 (ko) 2008-03-25 2008-03-25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2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1075A (zh) * 2016-06-30 2016-10-12 柳州市久日工程机械有限公司 移动式水选轻物质分离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430Y1 (ko) * 2002-09-02 2002-12-16 삼영플랜트주식회사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467420B1 (ko) * 2001-08-31 2005-01-24 주식회사 신텍 건설 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0631036B1 (ko) 2005-03-11 2006-10-02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중 이물질 및 경량모래 선별방법
KR100650509B1 (ko) 2006-04-17 2006-11-28 태성개발(주)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420B1 (ko) * 2001-08-31 2005-01-24 주식회사 신텍 건설 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장치
KR200298430Y1 (ko) * 2002-09-02 2002-12-16 삼영플랜트주식회사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631036B1 (ko) 2005-03-11 2006-10-02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중 이물질 및 경량모래 선별방법
KR100650509B1 (ko) 2006-04-17 2006-11-28 태성개발(주)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198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756420B1 (ko)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650509B1 (ko)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JP4903653B2 (ja) 材料回収システム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CN108855587B (zh) 一种建筑垃圾筛选分离方法
JP2009202089A (ja) 土砂・廃棄物混合物の再生処理方法及び再生処理システム
JP3052126U (ja) 建設廃棄物処理装置
CN211801602U (zh) 一种建筑垃圾回收处理系统
KR100765852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KR20050050320A (ko)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 방법 및 장치
KR100533737B1 (ko) 건설폐기물로부터 사이클론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453932B1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CN110204157B (zh) 油泥处理工艺
KR100954203B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101951124B1 (ko) 이동식 광미 처리장치
KR101527173B1 (ko)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KR100834710B1 (ko)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장치
JP2012130877A (ja) 混合処理物の選別処理システム及び混合処理物の選別方法
KR200276762Y1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