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860B1 - 달 위상변화 모형 - Google Patents

달 위상변화 모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860B1
KR100953860B1 KR1020080007651A KR20080007651A KR100953860B1 KR 100953860 B1 KR100953860 B1 KR 100953860B1 KR 1020080007651 A KR1020080007651 A KR 1020080007651A KR 20080007651 A KR20080007651 A KR 20080007651A KR 100953860 B1 KR100953860 B1 KR 100953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n
earth
hemispheres
celestial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661A (ko
Inventor
남명숙
Original Assignee
남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명숙 filed Critical 남명숙
Priority to KR1020080007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8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달 위상변화 모형에 관한 것으로서, 반구를 이루는 표면의 절반이 명부로, 나머지 절반이 암부로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형 달모형; 및 천구 상의 지구를 나타내기 위한 지구표시수단이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지구표시수단을 중심으로 하여 복수의 상기 달모형이 등각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천구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달모형은 각각 상기 명부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천구판 위에 배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구형으로 입체화된 달모형에 의해 공전 궤도 상의 특정 각도에 위치하는 달의 지구에서 바라본 모양을 실제와 같이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달의 공전 및 이에 따른 달모양 변화에 대해 보다 쉽고, 감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달, 달모양, 달모형, 입체

Description

달 위상변화 모형{Three dimensional model of the Moon phase changing}
본 발명은 달 위상변화 모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구 주위를 도는 달의 공전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달의 모양을 달모형을 통해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의 공전과 모양 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해주는 달 위상변화 모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 지구과학 교육과정에 포함되는 달의 운동 단원은 시간적, 공간적 이해를 요하기 때문에 단순한 설명만으로는 그 원리와 개념을 파악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종전의 지구과학 교과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달의 운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냄으로써, 태양 및 지구에 대한 달의 상대위치와 태양광을 반사하여 보여지는 달의 모양이 갖는 상관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도 1에 따르면,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각각의 달은 태양광이 반사되는 명부와 미치지 않는 암부로 반반씩 표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한 달 주기로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달의 모양 변화를 약 4일 간격으로 알아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도시된 것처럼, 도 1의 달모양은 흑백으로 이분된 원으로서 도면 상 모두 동일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시간 경과에 따라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그믐달로 변화되는 실제 달의 모양을 쉽게 유추할 수 없으며, 특히 사고력이 떨어지는 초등학교 저학년생의 경우에는 도시에 의한 설명이 무의미할 정도로 도시된 달의 모양과 실제 달의 모양이 갖는 차이를 이해시키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달 운동 궤도 바깥쪽에 각각의 각도 위치에 해당하는 실제 달모양(R)을 별도로 나타냄으로써, 시간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달의 실제적인 모양 변화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변화되는 실제 달모양(R)을 평면적으로 나타내고 있을 뿐이므로, 실제 달모양(R)과 공전궤도 상의 달모양(M)과의 연관성을 설명하기가 여전히 까다로운 등, 달이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왜 달의 모양이 변화하는지를 이해시키거나 보여주는데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달 운동에 대한 위와 같은 평면적인 설명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 특허출원 제10-2005-00776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달 관측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 달 관측기는 공간 상에 배열된 지구의, 카메라, 조명등 등을 통해 달모양 변화를 입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여전히 달 자체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기 어렵고, 장비가 복잡하여 취급 및 유지관리가 곤란하며, 단가가 고가인 또 다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달모양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교재나 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달모형을 실제와 같이 구형으로 입체화시킴과 동시에, 태양광이 반사되는 명부와 미치지 않는 암부를 입체화된 달모형에 직접 표시함으로써, 삭이나 보름(망) 등 지구에 대한 달의 특정 공전각도에서 명부와 암부의 조화에 의해 보여지는 달모양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달의 공전과 달모양 변화에 대한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반구를 이루는 표면의 절반이 명부로, 나머지 절반이 암부로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형 달모형; 및 천구 상의 지구를 나타내기 위한 지구표시수단이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지구표시수단을 중심으로 하여 복수의 상기 달모형이 등각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천구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달모형은, 모두 상기 천구판에 등각으로 배열된 위치와 관계없이 상기 명부가 가상의 태양을 향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중심을 상기 지구표시수단의 중심축선에 최단거리로 잇는 선분과 직교하면서 상기 중심을 지나는 평면에 의해 이등분된 두 개의 반구로 절단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반구 중 반경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 반구는 상기 천구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반면, 반경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 반구는 각각 대응하는 상기 외측 반구와 정합되면서 상기 천구판 위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달 위상변화 모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구를 이루는 표면의 절반이 명부로, 나머지 절반이 암부로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형 달모형; 및 상기 복수의 달모형이 일직선 상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달모형들의 중심을 잇는 선에서 이격된 위치에 지구표시수단이 위치하는 천구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달모형은 상기 천구판에 일직선으로 배열된 위치와 관계없이 달이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쪽에서 보이는 면이 상기 지구표시수단이 있는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천구판 상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중심을 지나면서 상기 천구판과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이등분된 두 개의 반구로 절단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반구 중 뒤쪽에 위치하는 후방 반구는 상기 천구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반면, 앞쪽에 위치하는 전방 반구는 각각 대응하는 상기 후방 반구와 정합되면서 상기 천구판 위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달 위상변화 모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달 위상변화 모형에 의하면, 구형의 입체화된 달모형에 태양의 조사 방향을 고려하여 명부와 암부를 나타냄으로써,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달의 모양이 공전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현상 및 이렇게 변화된 달모양을 달모형을 통해 실제로 보여지는 달과 같이 입체적으로 파악하여 실감할 수 있게 되므로, 일반 지구과학 교재에서 볼 수 있듯이 공전궤도를 따라 평면형으로 그려진 달모양 변화에 대한 학습 이해도를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달 위상변화 모형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달 위상변화 모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달모형(5)과 천구판(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먼저 천구판(10)은 지구를 중심으로 한 달의 공전궤도를 따라 축소한 천체를 나타내는 지지판으로서, 여러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도시된 것처럼 달의 공전궤도를 따라 원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구판(10)은 또한, 천구 상의 지구를 나타내기 위해 그 중심에 지구표시수단(11)이 위치하고 있는 바, 이 지구표시수단(11)은 표시 자체가 생략될 수도 있고, 도시된 것처럼 천구판(10)에 접착 또는 인쇄 등 다양한 수단에 의해 부착된 평면형의 그림 또는 문자로 된 표지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하에 설명될 달모형(5)과 같이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된 소형의 지구의 형태로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천구판(10)에는 도시된 것처럼 달모형(5)을 움직이지 않게 올려 놓기 위해, 지구표시수단(11)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 반경 상에 복수의 안착수단(13)이 원을 그리며 배열되어 있는데, 한 달을 일일이 다 나타낼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지구과학 교재에서와 같이 대표적인 달모양 8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안착수단(13)은 달모형(5)을 천구판(10) 위에 이동하지 못하게 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인 달모형(5)을 얹어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서 돔형 홈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달모형(5)과 이에 대응하는 천구판(10)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달모형(5)을 천구판(10)에 착탈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천구 상의 달을 입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채용된 복수의 달모형(5)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천구판(10)의 각각의 안착수단(13) 위에 이동하지 않도록 놓여져 고정되고, 반구를 이루는 표면의 절반이 명부(71)로, 나머지 절반이 암부(72)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달모형(5)을 안착수단(13)에 안착시킬 때 각각의 명부(71)가 일률적으로 가상의 태양을 향하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천구판(10)에는 선택에 따라 천구 상의 태양을 표시하기 위해 모서리 일측을 옆으로 돌출시켜 태양표시수단(15)을 위치시킬 수 있는데, 이 수단(15)은 지구표시수단(11)과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 표지로 형성할 수 있으나, 구나 반구 형태의 입체형 표지로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도 3에서와 같이 천구판(10) 한 쪽으로 돌출시켜 태양표시수단(15)을 형성하지 않고 천구판(10)의 모서리 안쪽에 태양표시수단을 나타내거나, 화살표를 그려 태양표시를 대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태양표시수단(15)의 위치가 정해지면 그 위치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천구판(10)의 각 안착수단(13)마다 해당하는 달모양의 이름을 기재할 수도 있다. 즉, 지구표시수단(11)과 태양표시수단(15) 사이에 위치하는 안착수단(13)에는 삭, 삭으로부터 달의 공전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45°간격을 두고 차례대로 초승달, 상현달, 차오는 달, 보름달, 기우는 달, 하현달, 그믐달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달 위상변화 모형이 도시되어 있다. 이 달 위상변화 모형(1')은 도시된 것처럼 제1 실시예에 따른 달 위상변화 모형(1)과 전체적으로 대동소이한 바, 복수의 달모형(5)이 달의 공전궤도를 따라 복수의 안착수단(13) 위에 배치되는데, 특히 각각의 달모형(5)은 명부(71)가 모두 가상의 태양을 향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거나 또는 태양표시수단(15)이 있는 경우에는 이 태양표시수단(15)이 있는 쪽을 향하도록 하고, 천구판(10)의 반경방향 즉, 지구표시수단(11)에서 달모형(5)에 이르는 반경방향의 내외측으로 수직하게 이등분한다. 다시 말해, 예컨대 초승달 모형(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중심(C)을 지구표시수단(11)의 중심축선(z)에 최단거리로 잇는 선분(R)과 직교하면서 각 중심(C)을 지나는 평면(P) 즉, 선분(R)을 법선으로 하는 평면 중 중심(C)을 지나는 평면에 의해 이등분된 두 개의 반구(511,512)(521,522) (531,532)(541,542)(551,552)(561,562)(571,572)(581,582)로 절단되며, 이렇게 절단된 두 개의 반구 중 반경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 반구(511 내지 581)는 달이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쪽에서 볼 수 없는 달의 반구로서 안착수단(13)에 부착되어 있는 반면, 반경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 반구(512 내지 582)는 달이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쪽에서 보이는 달의 반구로, 각각 대응하는 외측 반구(511 내지 581)와 정합되면서 안착수단(13) 위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데, 물론 안착수단(13) 대신 자석이나 밸크로 테이프와 같은 다양한 착탈수단을 사용해 내측 반구(512 내지 582)를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내외측 반구는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부(71)와 암부(72)의 위치 및 절단면의 각도차에 따라 각기 다른 모양을 띠도록 되어 있는 바, 예컨대, 초승달을 나타내는 달모형(521,522)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구표시수단(11)에서 바라볼 때, 우측에 명부(71), 좌측에 암부(72)가 각각 배치되어 실제와 똑같은 초승달 모양을 표현하게 된다. 또, 달모형(511,512)(551,552)은 명부(71)와 암부(72)의 경계를 따라 절단되어 각각 삭과 보름달의 달모양을 표현하며, 달모형(531,532)(571,572)은 명부(71)와 암부(72)의 경계와 직교하도록 절단되어 각각 상현달과 하현달의 달모양을 표현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달 위상변화 모형이 도 12 및 도 13에 도면부 호 101로 도시되어 있다.
이 달 위상변화 모형(101)은 도시된 것처럼, 천구판(110)을 일자로 길게 형성하고, 그 위에 복수의 구형 달모형(105)을 일렬로 배열하고 있는 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크게 복수의 구형 달모형(105) 및 천구판(110)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먼저 천구판(110)은 지구를 중심으로 한 달의 공전반경을 무한대로 가정하여 직선으로 펼친 형태의 지지판으로서, 달이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변화하는 달모양을 학습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지구쪽에서 보이는 달의 반구모형을 전방으로, 달이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쪽에서 보이지 않는 달의 반구모형을 후방으로 배치한다면 외형을 반드시 직사각형 모양으로 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모든 달모형(105)은 달이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쪽에서 보이는 면이 지구가 있다고 가정된 전방을 향하게 된다. 물론 이때, 도시된 것처럼 천구판(110)의 전방단에, 특히 전방단 중앙에 하나 이상의 지구표시수단(111)을 형성하여 천구판(110)의 전방이 지구가 있는 쪽임을 나타낼 수 있으나, 표시 자체를 생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천구판(110)의 전방단에 형성되는 지구표시수단(111)은 상기 복수의 달모형(105)의 중심을 잇는 선에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복수의 달모형(105)도 제2 실시예의 달모형(5)과 같이 각각 반구를 이루는 표면의 절반이 명부(171)로, 나머지 절반이 암부(172)로 표시되어 있으며, 천구판(110)에 일직선으로 배열된 위치와 관계없이 달이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쪽에서 보이는 면이 지구표시수단(111)이 있는 전방을 향하도록 천구판(110)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달모형(105)은 또한, 각각의 중심을 지나면서 천구판(110)과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이등분된 두 개의 반구(611,612)(621,622)(631,632)(641,642) (651,652)(661,662)(671,672)(681,682)로 절단되어 있는데, 이때 제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반구 중 뒤쪽에 위치하는 후방 반구(611 내지 681)는 천구판(110)의 안착수단(113) 위에 부착되어 있는 반면, 앞쪽에 위치하는 전방 반구(612 내지 682)는 각각 대응하는 후방 반구(611 내지 681)와 정합된 상태로 안착수단(113)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안착된다.
이때, 각각의 달모형(105)은 달이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쪽에서 보이는 면 즉, 전방면의 명부(171) 대 암부(172) 비율이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날짜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바, 예컨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천구판(110)의 좌측단으로부터 우측단으로 삭,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그믐달로 정하여 해당하는 각각의 안착수단(13) 부근에 달모양 이름을 기재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달 위상변화 모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달 위상변화 모형(1)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명부(71)와 암부(72)가 반반씩 나누어져 있는 달모형(5)을 각각의 안착수단(13)에 올려놓는다. 이때, 모든 달모형(5)은 지구표시수단(11)과 같이 명부(71)가 태양표시수단(15)을 향하도록 위치를 잘 조정한다.
그리고 나서, 예컨대, 초승달 위치에 있는 달모형(5)을 들어올려 지구표시수 단(11) 쪽에서 수평하게 바라보면 달모형(5)으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초승달 모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나머지 달모형(5)의 경우에도 모두 각각의 안착수단(13)으로부터 위로 들어올려 지구표시수단(11) 쪽에서 바라보면 해당 위치에서 관찰되는 실제 달모양을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달 위상변화 모형(1')에 의하면, 달의 공전반경인 선분(R)을 법선으로 하는 평면에 의해 중심(C)에서 둘로 절단된 두 반구(511,512)(521,522)(531,532)(541,542)(551,552)(561,562)(571,572) (581,582) 중 안착수단(13)에 고정되어 있는 외측 반구(511 내지 581) 즉, 달이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쪽에서 볼 수 없는 달의 반구를 나타내는 반구로부터, 내측 반구(512 내지 582) 즉, 달이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쪽에서 보이는 달의 반구를 나타내는 반구를, 도시된 것처럼 위로 들어올려 지구표시수단(11) 쪽에서 바라보면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현재 각도 위치에서의 달모양을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때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형(1')은 안착수단(13)에 놓여진 모든 달모형(5)의 위치를, 명부(71)가 태양표시수단(15)을 향하도록 일일이 조정해야 하는 제1 실시예의 모형(1)과는 달리, 외측 반구(511 내지 581)가 이미 태양표시수단(15)을 향해 정확하게 위치가 맞추어져 안착수단(13)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분리된 내측 반구(512 내지 582)를 명부(71)와 암부(72)의 무늬가 서로 일치하도록 외측 반구(511 내지 581) 안쪽에 끼워 맞추는 것만으로 간단히 달모형(5)의 정렬을 끝낼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실시예의 달 위상변화 모형(101)의 경우에도 도 12에 도시된 초승달모형(105)과 같이, 천구판(110)의 안착수단(113)에 부착된 후방 반구(621)로부터 전방 반구(622)를 위로 들어올려 실제 초승달의 모습과 동일한 형태의 달모양을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교재에 채용된 달의 공전 운동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2는 도 1에서 실제 달모양을 추가로 배치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달 위상변화 모형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달 위상변화 모형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초승달 모형의 절단 상태를 설명하는 천구판의 부분 종단면도.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달모형의 내측 및 외측 반구를 삭 위치에서 그믐달 위치까지 차례로 배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초승달 위치의 달모형 내측 반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도 9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달 위상변화 모형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101 : 달 위상변화 모형 3 : 천구판
5 : 달모형 11 : 지구표시수단
13 : 안착수단 15 : 태양표시수단
71 : 명부 72 : 암부
511 내지 581 : 달의 외측 반구 512 내지 582 : 달의 내측 반구

Claims (5)

  1. 삭제
  2. 반구를 이루는 표면의 절반이 명부(71)로, 나머지 절반이 암부(72)로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형 달모형(5); 및
    천구 상의 지구를 나타내기 위한 지구표시수단(11)이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지구표시수단(11)을 중심으로 하여 복수의 상기 달모형(5)이 등각으로 배열되도록 하는 천구판(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달모형(5)은, 모두 상기 천구판(10)에 등각으로 배열된 위치와 관계없이 상기 명부(71)가 가상의 태양을 향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중심(C)을 상기 지구표시수단(11)의 중심축선(z)에 최단거리로 잇는 선분(R)과 직교하면서 상기 중심(C)을 지나는 평면(P)에 의해 이등분된 두 개의 반구(511,512)(521,522)(531,532)(541,542)(551,552)(561,562)(571,572)(581,582)로 절단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반구 중 반경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 반구(511 내지 581)는 상기 천구판(10) 위에 부착되어 있는 반면, 반경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 반구(512 내지 582)는 각각 대응하는 상기 외측 반구(511 내지 581)와 정합되면서 상기 천구판(10) 위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위상변화 모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천구판(10)은 상기 각 달모형(5)의 상기 명부(71)가 향하는 방향의 모서리 부분에 천구 상의 태양을 나타내기 위한 태양표시수단(15)이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위상변화 모형.
  4. 반구를 이루는 표면의 절반이 명부(171)로, 나머지 절반이 암부(172)로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형 달모형(105); 및
    상기 복수의 달모형(105)이 일직선 상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달모형(105)들의 중심을 잇는 선에서 이격된 위치에 지구표시수단이 위치하는 천구판(1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달모형(105)은,
    상기 천구판(110)에 일직선으로 배열된 위치와 관계없이 달이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쪽에서 보이는 면이 상기 지구표시수단(111)이 있는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천구판(110) 상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중심을 지나면서 상기 천구판(110)과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이등분된 두 개의 반구(611,612)(621,622)(631,632) (641,642)(651,652)(661,662)(671,672)(681,682)로 절단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반구 중 뒤쪽에 위치하는 후방 반구(611 내지 681)는 상기 천구판(110) 위에 부착되어 있는 반면, 앞쪽에 위치하는 전방 반구(612 내지 682)는 각각 대응하는 상기 후방 반구(611 내지 681)와 정합되면서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위상변화 모형.
  5. 삭제
KR1020080007651A 2008-01-24 2008-01-24 달 위상변화 모형 KR100953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651A KR100953860B1 (ko) 2008-01-24 2008-01-24 달 위상변화 모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651A KR100953860B1 (ko) 2008-01-24 2008-01-24 달 위상변화 모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661A KR20090081661A (ko) 2009-07-29
KR100953860B1 true KR100953860B1 (ko) 2010-04-20

Family

ID=4129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651A KR100953860B1 (ko) 2008-01-24 2008-01-24 달 위상변화 모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8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839B1 (ko) 2011-12-23 2012-03-30 남명숙 달모양변화 관찰기
KR101150480B1 (ko) * 2010-05-13 2012-05-31 남명숙 달모양변화 관찰기
KR20180000288U (ko) 2016-07-19 2018-01-29 박진 달의 위상변화모델 교육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480B1 (ko) * 2009-11-19 2012-04-30 김수아 달의 위상 변화 학습용 교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090Y1 (ko) 2000-01-08 2000-06-15 신희택 달나이표
KR100469679B1 (ko) 2001-08-31 2005-02-23 주식회사유비테크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지구본 장치
KR100631334B1 (ko) 2005-08-24 2006-10-09 이상일 시뮬레이션 달 관측기
KR100681277B1 (ko) * 2006-04-14 2007-02-09 남명숙 달관측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090Y1 (ko) 2000-01-08 2000-06-15 신희택 달나이표
KR100469679B1 (ko) 2001-08-31 2005-02-23 주식회사유비테크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지구본 장치
KR100631334B1 (ko) 2005-08-24 2006-10-09 이상일 시뮬레이션 달 관측기
KR100681277B1 (ko) * 2006-04-14 2007-02-09 남명숙 달관측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80B1 (ko) * 2010-05-13 2012-05-31 남명숙 달모양변화 관찰기
KR101131839B1 (ko) 2011-12-23 2012-03-30 남명숙 달모양변화 관찰기
KR20180000288U (ko) 2016-07-19 2018-01-29 박진 달의 위상변화모델 교육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661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65810B (zh) 能够指示世界上任何地方的日出或日落的钟表
JP6127091B2 (ja) 地球上のすべての地点における日の出と日の入りを示すことができる計時器
KR100953860B1 (ko) 달 위상변화 모형
JP4951010B2 (ja) 正距方位半球図法による歪みの少ない地図
KR101450473B1 (ko) 달 운동 관측용 학습도구
JP2005078031A (ja) 天球儀
US1928025A (en) Astronomical appliance for educational and other purposes
KR101252804B1 (ko) 달의 위상변화와 운동 입체 학습기구
KR20110007196U (ko) 달의 위상 변화 관측 모형
KR101709912B1 (ko) 세차운동 확인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KR101131839B1 (ko) 달모양변화 관찰기
KR20160074102A (ko) 일식과 월식의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KR200487480Y1 (ko) 달의 위상변화모델 교육 기구
KR20160074103A (ko) 관찰자의 위경도 위치에 따른 시간과 계절 변화 설명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KR101597031B1 (ko) 교육용 천구의
US20230267855A1 (en) Educational celestial globe
WO2014177749A1 (es) Modelo de globo terráqueo con movimiento de precesión libre
KR101150480B1 (ko) 달모양변화 관찰기
CN220773830U (zh) 银河系演示仪
US3863364A (en) Educational/navigational device
JPH0637431Y2 (ja) 南北星座早見
KR101150998B1 (ko) 달 일주운동판
KR100461693B1 (ko) 표면에 개구부를 가진 천구의
KR102086635B1 (ko) 다기능 천체 학습 장치
JPH11102155A (ja) プラネタリウムでの歳差運動現象投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