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839B1 - 달모양변화 관찰기 - Google Patents

달모양변화 관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839B1
KR101131839B1 KR1020110141128A KR20110141128A KR101131839B1 KR 101131839 B1 KR101131839 B1 KR 101131839B1 KR 1020110141128 A KR1020110141128 A KR 1020110141128A KR 20110141128 A KR20110141128 A KR 20110141128A KR 101131839 B1 KR101131839 B1 KR 101131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n
model
user
eye
f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003A (ko
Inventor
남명숙
Original Assignee
남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명숙 filed Critical 남명숙
Priority to KR102011014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8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G09B27/02Tellurions; Orre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G09B27/06Celestial glo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달모양변화 관찰기에 관한 것으로, 표면의 절반이 명부로, 나머지 절반이 암부로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달모형; 및 사용자의 눈과 마주하는 대안구가 일측단에, 상기 달모형과 마주하는 대물구가 타측단에 각각 위치하는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대안구의 측변이 일체로 연결되어 중심부에 접안공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상기 달모형으로 모아 주는 복수의 시선유도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시선유도통은 각각 말단의 일측변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판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달모형은 각각 상기 명부가 가상의 태양을 향하는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연장판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구형의 입체화된 달모형에 태양의 조사 방향을 고려하여 명부와 암부를 나타내고,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이 달모형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달의 모양이 특정 위치에서 태양-지구-달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천체 현상을 실제로 달을 바라보는 것처럼 보다 입체적으로 실감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달모양 변화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달모양변화 관찰기{Three dimensional observing device of moon phase changing}
본 발명은 달모양변화 관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달이 지구 주위를 도는 한 달 동안 변화하는 모양을 사용자가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의 천체 현상에 대한 원리와 개념을 사용자가 보다 쉽고, 직관적으로 실감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달운동에 대한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달모양변화 관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교육과정의 과학교과는 많은 과학교구재들이 개발되어 과학학습에 도움을 주고 있지만, 아직 지구과학분야의 교구재들은 충분히 개발되어 있지 못하다.
그 중에서도, 달의 천체운동을 학습하기 위한 교육기자재는 더욱 부족한 상태이며, 따라서 달의 천체운동을 설명하는 지구과학 교과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달의 운동을 교과서 지면 상에 2차원적으로 도식화하여 설명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안 항상 태양을 향한 달의 반쪽은 태양광을 반사하여 밝게 표시된 명부로, 태양을 등지고 있는 달의 반쪽은 암부로 표시하여 어느 위치에 오더라도 천체상에서의 모습은 동일하나, 지구에서 관측할 때는 지구쪽에 보이는 달의 반쪽이 명부를 얼마만큼 포함하고 있느냐에 따라 달의 모양이 변화하기 때문에, 천체 상에서의 달의 모습과 지구에서 관찰되는 달의 모습이 다른 이유를 학생들에게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달 모양변화에 대한 위와 같은 설명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 특허출원 제10-2005-00776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달 관측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 달 관측기는 공간 상에 배열된 지구의, 카메라, 조명등 등을 통해 달모양 변화를 입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여전히 달 자체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기 어렵고, 장비가 복잡하여 취급 및 유지관리가 곤란하며, 단가가 고가인 또 다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출원 제10-2008-0007651호로 달 위상변화 모형을 출원한 바 있다. 이 달 위상변화 모형은 도 2에 도면부호 4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천구판(410) 위에 구형의 달모형(405)을 얹도록 되어 있는 바,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달의 모양이 공전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현상 및 이렇게 변화된 달모양을 달모형(405)을 통해 실제로 보여 지는 달과 같이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나, 달모형(405)이 놓인 천구판(410)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봐야 하기 때문에 달모형(405)을 통해 현재 위치에서의 정확한 달모양을 파악하기 쉽지 않고, 따라서 천구판(410)에서 달모형(405)을 들어 올리지 않고는 달모형(405) 전체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완전한 달의 모습을 공전궤도 상에서 확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완전한 달의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달모형(405)을 천구판(410)에서 들어 올렸을 때 달모형(405)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면 해당 위치에서의 정확한 달모양을 확인할 수 없는 등 사용 상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모양이 변화되는 달의 천체 현상을 사용자가 달모형을 통해 입체적으로 실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의 천체 현상에 대한 원리와 개념을 쉽고,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여 달과 관련된 학습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면의 절반이 명부, 나머지 절반이 암부로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달모형; 및 사용자의 눈과 마주하는 대안구가 일측단에, 상기 달모형과 마주하는 대물구가 타측단에 각각 위치하는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대안구의 측변이 일체로 연결되어 중심부에 접안공)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상기 달모형으로 모아 주는 복수의 시선유도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시선유도통은 각각 말단의 일측변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판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달모형은 각각 상기 명부가 가상의 태양을 향하는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연장판 상에 위치하는 달모양변화 관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시선유도통 중 달모형이 삭을 나타내도록 배치되는 시선유도통의 상기 연장판의 말단에 부착되어 가상의 태양을 표시하는 태양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달모형을 관찰하는 데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상기 접안공 위에 씌워지되 외면에 가상의 지구가 표시된 지구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의 절반이 명부로, 나머지 절반이 암부로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달모형체; 상기 달모형체를 가상의 공전궤도 상에 배치하여 부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공전궤도의 중심에 사용자의 머리를 위치시키고 육안으로 상기 달모형체를 입체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달공전판체; 및 사용자의 눈과 마주하는 대안구가 일측단에, 상기 달모형과 마주하는 대물구가 타측단에 각각 부착되는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시선을 상기 달모형체로 모아 주는 복수의 시선유도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달공전판체는 상기 복수의 달모형체 각각을 상기 명부가 가상의 태양을 향하는 동일한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달위상 표지가 상기 공전궤도를 따라 표시되어 있는 달모양변화 관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달공전판체는 상기 공전궤도의 중심에 사용자의 머리를 위치시킬 수 있는 안면근접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면근접부는 개곡선을 이루는 호 또는 폐곡선을 이루는 링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면근접부는 외측에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지지팔이 연장되어 각각의 상기 지지팔에 각각의 상기 달모형체를 배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달모양변화 관찰기에 의하면, 구형의 입체화된 달모형에 태양의 조사 방향을 고려하여 명부와 암부를 나타내고,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이 달모형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지구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달의 모양이 특정 위치에서 태양-지구-달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천체 현상을 실제로 달을 바라보는 것처럼 보다 입체적으로 실감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달모양 변화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달모양변화 관찰구조물에 의하면, 달공전부를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달공전부의 중앙에 배치된 내실 안에 들어가 공전궤도 상의 달모형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달모양 변화를 더욱 입체적으로 실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달의 공전 현상을 설명하는 2차원의 모식도.
도 2는 달모양 변화를 나타내는 종래의 3차원 모형.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달모양변화 관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달모양변화 관찰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달모양변화 관찰기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달모양변화 관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달모양변화 관찰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달모양변화 관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달모양변화 관찰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달모양변화 관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달모양변화 관찰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달모양변화 관찰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달모양변화 관찰기는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달모형(3) 및 달공전판(5)을 기초로 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달모형(3)은 실제의 달을 사실감 있게 입체적으로 모사하기 위해 채용된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구형으로 되어 있으며, 표면의 절반이 태양광에 노출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명부(31)로서 흰색이나 노란색 등으로 밝게 채색되고, 나머지 절반이 태양광을 받지 못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암부(33)로서 검정색 등으로 어둡게 채색된다.
상기 달공전판(5)은 위와 같은 달모형(3)이 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실제의 공전궤도를 모사한 가상의 공전궤도(O) 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지지수단으로서, 전체적으로 링 형태의 평면 형상을 가지나,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일부가 절결되어 반원형의 호를 이루고 있거나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절결 부위 없이 정원을 이루고 있다.
특히, 달공전판(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반원형의 호를 이루면서 지구를 중심으로 한 달의 공전궤도를 부분적으로 축소 모사하는 바, 지구가 배치될 공전궤도(O)의 중심 위치에 지구를 나타내는 표지를 대신하여 사용자의 머리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안면근접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면근접부(51)는 공전궤도(O)를 따라 동축 상으로 원호 모양의 개곡선을 그리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안면근접부(51)의 내측 에지를 따라 형성된 접안홈(54)에 머리를 가까이 하고 공전궤도(O)의 중심에서 달모형(3)을 입체감 있게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면 어떤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달공전판(5)은 공전궤도(O) 중심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데 불편이 없을 정도의 거리를 두고 달모형(3)이 배치될 수 있도록 안면근접부(51)의 외측에지에서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지지팔(53)이 연장되어 있는 바, 각 지지팔(53)의 말단측에 복수의 달모형(3)이 하나씩 부착되는데, 물론, 지지팔(53)을 연장 형성하는 대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근접부(51)의 반경 자체를 달모형(3) 위치까지 확장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각각의 달모형(3)은 명부(31)가 가상의 태양을 나타내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태양표시부(9)를 향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되도록 이면 달모형(3)이 완전한 구 형태로 관찰될 수 있도록 달공전판(5)과 달모형(3) 사이에 달모형(3) 받침을 개재시켜 부착할 수도 있다.
다만, 위와 같이 지지팔(53)을 방사상으로 형성할 때 지지팔(53) 간의 간격을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래의 일반적인 지구과학 교재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달모양 중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도면상 우측단의 삭에서 초승달, 상현달, 차오는 달 및 좌측단의 보름달까지 5개의 달을 관찰할 수 있도록 45°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달공전판(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근접부(51)의 접안홈(54) 에지 선상에 위치하거나 근접한 지점에서 각각의 달모형(3)에 근접한 지점까지 길게 연장된 시선유도통(7)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 바, 이 시선유도통(7)은 일측단에 사용자의 눈과 마주하는 대안구(71)가, 타측단에 달모형(3)과 마주하는 대물구(73)가 각각 형성된 기다란 통체로서 원통형, 삼각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달모형(3) 쪽으로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진 직육면체 모양의 사각통 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단면적이 일정한 직육면체 모양의 사각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시선유도통(7)은 도시된 것처럼 사면이 벽으로 둘러싸인 통체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닥면이 없는 즉, 예컨대 좌우면과 상면만 있는 단면 ㄷ자 형태의 열린 통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달공전판(5)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달모형(3) 명부(31)의 정면에 즉, 명부(31) 중심의 법선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평면 상의 위치에 가상의 태양을 표시하는 태양표시부(9)를 배치할 수 있는데, 이때, 태양표시부(9)는 태양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면 원이든 구이든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태양표시부를 따로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달공전판(5)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안홈(54) 위에 사분구 형태로 또는 도 7과 같이 반구 형태로 지구표시부(11)가 부착될 수 있는 바, 이 지구표시부(11)는 외면에 지표면을 그려 넣는 등에 의해 달 공전궤도(O) 중심에 위치하는 지구를 모사하도록 되어 있으며, 머리에 쓸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고 시선유도통(7) 위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달모형(3)을 관찰하는 데 전혀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달모양변화 관찰기(1')는 달공전판(5')의 안면근접부(51')가 공전궤도(O)를 따라 동축 상으로 링 형태를 그리면서 형성된 것으로, 공전궤도(O)의 중심에서 달모형(3)을 입체감 있게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안면근접부(51') 중심 부위에 사용자가 머리를 끼울 수 있는 접안공(5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달공전판(5')은 마찬가지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데 불편이 없는 거리만큼 달모형(3)이 공전궤도(O)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바, 이를 위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팔(53)의 말단에 달모형(3)을 위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달공전판(5') 자체의 직경을 충분히 연장하여 외주에지 바로 안쪽에 달모형(3)을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때 각각의 달모형(3)은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예컨대 45°간격으로 배치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단의 삭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초승달, 상현달, 차오는 달, 보름달, 기우는 달, 하현달, 그믐달까지 대표적인 달모양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각각의 달모형(3)은 도 3에서 앞서 설명한 것처럼, 명부(31) 가상의 태양을 향하여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달공전판(5') 상에 부착된다.
달공전판(5')도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근접부(51)의 접안공(54') 에지 선상에 위치하거나 근접한 지점에서부터 각각의 달모형(3)에 근접한 지점까지 길게 연장된 시선유도통(7)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는 바, 각각의 시선유도통(7)은 도 3 등에 도시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각 달모형(3)의 명부(31) 중심을 통과하는 법선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평면 상에 태양표시부(9)가 배치되나, 배치를 생략할 수도 있다. 아울러, 달공전판(5')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안공(54') 위에 반구 또는 돔 형태의 지구표시부(11)를 씌워, 마치 모자처럼 사용자가 머리 위에 쓰고 달모형(3)을 관찰하게 할 수 있으며, 이때 지구표시부(11)는 도시된 것처럼 시선유도통(7) 위에 놓인 경우는 물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시선유도통(7)이 없는 경우에도 달모형(3) 쪽으로 구멍을 내어 달모형(3)을 관찰하는 데 하등 불편이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달모양변화 관찰기(101)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 달모양변화 관찰기(101)는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달모형(103)과 복수의 시선유도통(107)으로만 구성되고, 달공전판이 생략되는 바, 상기 각각의 달모형(103)은 표면의 절반이 명부(131)로 표시되어 있고, 나머지 절반이 암부(133)으로 표시되어 있는 등 앞 실시예의 달모형(3)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각각의 시선유도통(107)도 마찬가지로 앞선 실시예의 시선유도통(7)과 유사하게 일측단에 사용자의 눈과 마주하는 대안구(171)가, 타측단에 달모형(103)과 마주하는 대물구(173)가 각각 위치하는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는 바, 각각의 시선유도통(107)은 사용자의 시선을 달모형(103)으로 모아 주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구(171)의 양측변이 인접한 시선유도통(107)의 측변과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방사상을 배열되는 복수의 시선유도통(107) 중심에 형성되는 접안공(154')을 통해 사용자가 머리를 집어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차이점을 갖는다.
특히, 각각의 시선유도통(107)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체로서 달공전판의 기능을 겸하도록 되어 있는 바, 예컨대 도시된 것처럼 8개가 동일한 각도(45°)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말단에 달모형을 배치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8개의 대표적인 달모양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각각의 시선유도통(107)은 말단의 일측변 즉, 하변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판(175)을 형성하고 있으며, 각각의 달모형(103)을 명부(131)가 가상의 태양을 향하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각각의 연장판(175) 위에 부착한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가상의 태양을 표시하는 태양표시부(109)를 채용할 수도, 채용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태양표시부(109)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시선유도통(107) 중 부착된 달모형(103)이 삭을 나타내고 있는 시선유도통(107)의 연장판(175) 말단에 태양표시부(109)를 부착 또는 표시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달모양변화 관찰기(101)도 또한 복수의 시선유도통(107) 중심에 형성되는 접안공(미도시) 위에 모자 형태의 반구형 또는 돔형 지구표시부(111)를 씌울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지구표시부(111)로 인해 달모형(103)이 가리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달모양변화 관찰기가 도 10 및 도 11에 도면부호 201과 201'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중에서 먼저 달모양변화 관찰기(20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복수의 달모형체(203), 달공전판체(205,205'), 및 복수의 시선유도통체(207)로 구성되는 바, 상기 달모형체(203)는 표면의 절반이 명부(231)로, 나머지 절반이 암부(233)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달공전판체(205,205')는 가상의 공전궤도(O) 상에 달모형체(203)를 배치하여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공전궤도(O)의 중심에서 사용자가 달모형체(203)를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달공전판체(205)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도 3의 달공전판(5)과 마찬가지로 한 쪽으로 열린 개곡선 형태의 원호로 되어 있으며, 공전궤도(O)의 중심에 사용자의 머리를 위치시킬 수 있는 안면근접부(251)가 형성되는 바, 이 안면근접부(251)는 도시된 것처럼 내주면에 접안홈(2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팔(53)과 마찬가지로 외측에지에서부터 일정한 각도간격을 두고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지지팔(253)이 연장되어 그 말단에 달모형체(203)가 하나씩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눈에서 달모형체(203)까지 적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달공전판체(205')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도 6에 도시된 달공전판(5')과 마찬가지로 폐곡선을 이루도록 링 형태로 닫혀 있으며, 공전궤도(O)의 중심에 사용자 머리를 삽입할 수 있는 안면근접부(251')가 형성되는 바, 이 안면근접부(251')는 중심부분에 접안공(254')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시선유도통체(207)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시선유도통(7)과 마찬가지로 접안홈(254) 또는 접안공(254')에 머리를 대고 있는 사용자의 시선을 각각의 달모형체(203)에 모아 주는 중공의 통체로서, 일측단 즉, 내측단에 사용자의 눈과 마주하는 대안구(271)가, 타측단 즉, 외측단에 달모형체(203)과 마주하는 대물구(273)가 각각 형성되는 바, 안면근접부(51)의 접안홈(54) 또는 접안공(54')의 에지 또는 그 근접지점으로부터 각각의 달모형(3)에 근접한 지점까지 달공전판체(205,205') 위에서 반경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또한, 달공전판체(205,20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달공전판(5,5')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달모형체(203)의 명부(231)가 향하는 쪽에 가상의 태양을 나타내는 태양표시부(209)를 구비하고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달공전판(5)과 같이 태양표시부를 생략해도 무방하다. 또,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달공전판(5,5')과 마찬가지로 접안홈(254) 또는 접안공(254') 위에 가상의 지구를 표시하는 사분구형 또는 반구형의 지구표시부(211)가 씌워지는 바, 이 지구표시부(211)는 도시된 것처럼 시선유도통체(207)가 있든, 없든 상관 없이 접안홈(254) 또는 접안공(254') 위에 배치됨에 있어 달모형체(203)을 관찰하는 사용자의 시선을 가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달모양변화 관찰기(201)는 복수의 달모형체(203), 달공전판체(205,205'), 및 복수의 시선유도통체(207)가 모두 분리되어 하나의 조립식 교재로서 제작되는 바, 조립이 완성되었을 때 달모형체(203)는 도 3 내지 도 7의 달모형(3)이 되고, 달공전판체(205,205')는 달공전판(5,5')이 되며, 시선유도통체(207)는 시선유도통(7)이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이들을 조립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달공전판체(205,205')에는 복수의 달모형체(203) 각각의 명부(231)가 가상의 태양을 향하는 동일한 방향으로 정확한 자세를 취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전궤도(O)를 따라 달위상 표지(213)가 표시되어 있다. 이때, 달모형체(203)는 달위상 표지(213)의 앞이나 뒤 또는 위에 겹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어떤 경우이든 달모형(3)이 완전한 구 형태로 관찰될 수 있도록 달공전판(5)과 달모형(3) 사이에 달모형(3) 받침을 개재시켜 부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달모양변화 관찰기(201)를 이루는 각각의 달모형체(203), 달공전판체(205,205'), 시선유도통체(207), 태양표시부(209), 및 지구표시부(211)가 모두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컴팩트한 포장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접는 선을 갖는 접이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달모양변화 관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달모양변화 관찰기(1)에 의해서 달의 모양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모양변화 관찰기(1)를 들어 달공전판(5)의 원호형 안면근접부(51)가 눈 가까이 오도록 접안홈(54) 에지부분을 안면까지 밀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육안으로 직접 또는 시선유도통(7)을 통해서 원하는 위치의 달모형(3)을 관찰하는데, 이때 시선유도통(7)을 통하면 달모형(3)을 보다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천체 상에서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태양과 지구와 달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도 4의 우측단 삭으로부터, 초승달, 상현달, 차오는 달, 보름달까지 차례로 변화하는 달모양을 실제와 같이 입체적으로 실감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근접부(51')가 링 형태로 된 경우에는 접안공(54') 안으로 머리를 집어넣어 접안공(54')의 에지부분이 눈높이에 오도록 안면에 밀착시킨다.
그 다음, 마찬가지로 시선을 돌리거나 달공전판(5')을 돌리면서 육안을 통해 직접 또는 시선유도통(7)을 통해 각각의 달모형(3)을 차례로 관찰할 수 있게 되는 바, 달공전판(5') 상의 공전궤도(O)가 완전한 원을 그리고 있으므로, 도 6의 우측단 삭으로부터, 초승달, 상현달, 차오는 달, 보름달, 기우는 달, 하현달, 그믐달까지 차례로 달의 모양 변화를 실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달공전판(5,5') 또는 시선유도통(7)의 달모형(3) 앞이나 뒤 또는 임의의 적절한 지점에 각 달모형(3)이 나타내는 달의 이름을 직접 표시하여 달모양 변화에 대한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안홈(54)이나 접안공(54') 위에 지구표시부(11)가 장착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달모형(3)을 관찰할 때 모자처럼 지구표시부(11)를 머리에 쓰도록 하여 사용편리성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취학 전 아동이나 초등학교 저학년들과 같이 지구과학에 대한 지식이 낮은 어린이들에게는 지구의 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알려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달모양변화 관찰기(101)의 경우에는 달모양을 관찰하는 데 있어서는 달모양변화 관찰기(1')와 차이가 없으나, 복수의 시선유도통(107)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고, 달공전판이 없으므로, 달모양변화 관찰기(1')보다 접이식 또는 조립식으로 제작할 때 포장이나 보관 등이 유리하다.
1 : 달모양변화 관찰기 3 : 달모형
5, 5' : 달공전판 7 : 시선유도통
9 : 태양표시부 11 : 지구표시부
13 : 달위상 표지 31 : 명부
33 : 암부 51, 51' : 안면근접부
53 : 지지팔 54 : 접안홈
54' : 접안공 71 : 대안구
73 : 대물구

Claims (5)

  1. 표면의 절반이 명부(131)로, 나머지 절반이 암부(133)로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달모형(103); 및
    사용자의 눈과 마주하는 대안구(171)가 일측단에, 상기 달모형(103)과 마주하는 대물구(173)가 타측단에 각각 위치하는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대안구(171)의 측변이 일체로 연결되어 중심부에 접안공(154')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상기 달모형(103)으로 모아 주는 복수의 시선유도통(107);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시선유도통(107)은 각각 말단의 일측변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판(175)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달모형(103)은 각각 상기 명부(131)가 가상의 태양을 향하는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연장판(175)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모양변화 관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선유도통(107) 중 달모형(103)이 삭을 나타내도록 배치되는 시선유도통(107)의 상기 연장판(175)의 말단에 부착되어 가상의 태양을 표시하는 태양표시부(109)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달모형(103)을 관찰하는 데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상기 접안공(154') 위에 씌워지되 외면에 가상의 지구가 표시된 지구표시부(111)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모양변화 관찰기.
  3. 표면의 절반이 명부(231)로, 나머지 절반이 암부(233)로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달모형체(203);
    상기 달모형체(203)를 가상의 공전궤도(O) 상에 배치하여 부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공전궤도(O)의 중심에 사용자의 머리를 위치시키고 육안으로 상기 달모형체(203)를 입체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달공전판체(205,205'); 및
    사용자의 눈과 마주하는 대안구(271)가 일측단에, 상기 달모형체(203)와 마주하는 대물구(273)가 타측단에 각각 부착되는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시선을 상기 달모형체(203)로 모아 주는 복수의 시선유도통체(207);로 이루어지며,
    상기 달공전판체(205,205')는 상기 복수의 달모형체(203) 각각을 상기 명부(231)가 가상의 태양을 향하는 동일한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달위상 표지(213)가 상기 공전궤도(O)를 따라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모양변화 관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달공전판체(205,205')는 상기 공전궤도(O)의 중심에 사용자의 머리를 위치시킬 수 있는 안면근접부(251,2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면근접부(251,251')는 개곡선을 이루는 호 또는 폐곡선을 이루는 링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모양변화 관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근접부(251)는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지지팔(253)이 연장되어 각각의 상기 지지팔(253)에 각각의 상기 달모형체(203)를 배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모양변화 관찰기.
KR1020110141128A 2011-12-23 2011-12-23 달모양변화 관찰기 KR101131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128A KR101131839B1 (ko) 2011-12-23 2011-12-23 달모양변화 관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128A KR101131839B1 (ko) 2011-12-23 2011-12-23 달모양변화 관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951A Division KR101150480B1 (ko) 2010-05-13 2010-05-13 달모양변화 관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003A KR20120011003A (ko) 2012-02-06
KR101131839B1 true KR101131839B1 (ko) 2012-03-30

Family

ID=4583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128A KR101131839B1 (ko) 2011-12-23 2011-12-23 달모양변화 관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473B1 (ko) * 2013-10-08 2014-10-13 이효정 달 운동 관측용 학습도구
CN106297532A (zh) * 2015-06-01 2017-01-04 郭冬梅 月相仪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9528A (ja) 2003-04-02 2004-11-04 Goto Optical Mfg Co ドームスクリーンにおけるビデオ画像投映装置
JP2005078031A (ja) 2003-09-03 2005-03-24 Kunio Tanabe 天球儀
KR100953860B1 (ko) 2008-01-24 2010-04-20 남명숙 달 위상변화 모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9528A (ja) 2003-04-02 2004-11-04 Goto Optical Mfg Co ドームスクリーンにおけるビデオ画像投映装置
JP2005078031A (ja) 2003-09-03 2005-03-24 Kunio Tanabe 天球儀
KR100953860B1 (ko) 2008-01-24 2010-04-20 남명숙 달 위상변화 모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003A (ko) 201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839B1 (ko) 달모양변화 관찰기
US6293800B1 (en) Educational and entertainment device
KR101150480B1 (ko) 달모양변화 관찰기
KR100953860B1 (ko) 달 위상변화 모형
CN201384484Y (zh) 一种防作弊的视力表
KR101450473B1 (ko) 달 운동 관측용 학습도구
CN202258102U (zh) 一种日月食现象演示装置
KR200463580Y1 (ko) 달 위상 변화 관찰교구
WO2013117173A1 (en) The game device
CN108492709B (zh) 月相观察仪
JP2005078031A (ja) 天球儀
KR101252804B1 (ko) 달의 위상변화와 운동 입체 학습기구
CN108257500A (zh) 用于地理教学的触摸发光式模型
KR101597031B1 (ko) 교육용 천구의
CN202636905U (zh) 可变视力表
CN107909896B (zh) 一种教学装置及其应用
KR20110007196U (ko) 달의 위상 변화 관측 모형
KR102418877B1 (ko) 애니메이션 플립 완구
CN201041707Y (zh) 一种天体运行演示系统
Widder et al. Dismantling Visual Obstacles to Comprehension of 2-D Sketches Depicting 3-D Objects.
KR101269703B1 (ko) 학습교구용 뇌 구조 모자
KR20110003014A (ko) 디스플레이장치 내장형 천체망원경
CN214595860U (zh) 一种视知觉测试仪
JP3166218U (ja) 星座学習具
CN209765899U (zh) 一种儿童认知动态星球模拟展示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