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102A - 일식과 월식의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 Google Patents

일식과 월식의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102A
KR20160074102A KR1020140182922A KR20140182922A KR20160074102A KR 20160074102 A KR20160074102 A KR 20160074102A KR 1020140182922 A KR1020140182922 A KR 1020140182922A KR 20140182922 A KR20140182922 A KR 20140182922A KR 20160074102 A KR20160074102 A KR 20160074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plate
model
lunar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윤
이영란
박소희
박철종
Original Assignee
박성윤
박소희
박철종
이영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윤, 박소희, 박철종, 이영란 filed Critical 박성윤
Priority to KR1020140182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4102A/ko
Publication of KR2016007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G09B27/02Tellurions; Orr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삼구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모형과; 지구태양연결부에 의해 상기 태양모형과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기 태양모형을 중심으로 공전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구의와; 상기 지구의와 달공전축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지구의를 중심으로 공전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달모형과; 상기 지구의의 하부에 배치되는 달위상변화판과; 상기 달위상변화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구측날짜변환판과; 상기 지구측날짜변환판과 상기 지구의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세차운동눈금이 표시되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서로 다른 두 시점 사이의 세차운동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세차운동회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구의는 상기 세차운동회전판에 지구자전축에 의해 자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달위상변화판, 상기 지구측날짜변화판 및 상기 세차운동회전판은 회전판회전축에 의해 동축상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달공전축은 상기 회전판회전축에 황도면에 대해 5°기울어지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식과 월식의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SOLAR-EARTH-MOON ASSEMBLY TO DEMONSTRATE SOLAR AND LUNAR ECLIPSES}
본 발명은 삼구의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일식과 월식, 계절의 변화를 눈으로 확인하며 학습할 수 있는 삼구의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삼구의는 태양-지구-달의 상관관계를 학습하기 위하여 만들어진다. 삼구의는 태양모형과, 태양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전하는 지구의와,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달 모형으로 구성된다.
삼구의는 태양-지구-달의 위치에 따라 지구의 낮과 밤이 생기는 원리를 설명하며, 달이 차고 기우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종래 삼구의는 등록특허 제10-1027871호 "레이저삼구의", 공개실용신안 제2013-0002799호 "스크린이 부착된 삼구의"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삼구의는 지구 및 달 모형이 자전 및 공전하도록 하여 일식 및 월식의 원리를 알 수 있게는 하나, 달의 위치에 따라 관측 가능한 시간, 날짜에 따른 계절의 변화, 위경도에 따른 계절, 시간의 변화, 계절별 별자리의 변화 등을 다양하게 학습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차운동을 이해할 수 있고, 일식과 월식의 원리 뿐만 아니라, 일식과 월식이 매달 일어나지 않는 이유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학습할 수 있는 삼구의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달의 공전에 따른 달의 위상변화를 정확한 이미지로 학습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삼구의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삼구의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삼구의조립체는, 태양모형과; 지구태양연결부에 의해 상기 태양모형과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기 태양모형을 중심으로 공전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구의와; 상기 지구의와 달공전축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지구의를 중심으로 공전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달모형과; 상기 지구의의 하부에 배치되는 달위상변화판과; 상기 달위상변화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구측날짜변환판과; 상기 지구측날짜변환판과 상기 지구의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세차운동눈금이 표시되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서로 다른 두 시점 사이의 세차운동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세차운동회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구의는 상기 세차운동회전판에 지구자전축에 의해 자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달위상변화판, 상기 지구측날짜변화판 및 상기 세차운동회전판은 회전판회전축에 의해 동축상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달공전축은 상기 회전판회전축에 황도면에 대해 5°기울어지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차운동눈금은 원주방향을 따라 36칸으로 나눠지며, 1칸은 720년의 단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달위상변화판은 상기 달모형의 공전에 따른 달의 위상변화에 따른 형상이 이미지로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태양모형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태양모형과 상기 지구의의 날짜를 맞추는 태양측날짜변환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구측날짜변환판, 상기 태양측날짜변환판은 각각 12개월가 외주면에 표시되며, 관측하고자 하는 날짜가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지구의와 상기 태양모형의 위치를 조절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황도 12궁의 별자리를 나타내는 별자리 카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는 세차운동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달공전축이 5°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일식과 월식의 원리는 물론이고, 매달 일식과 월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원리까지 학습자가 실험을 통해 습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는 지구의, 태양모형, 달모형의 상대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달의 위상을 해당 이미지로 표시하여 학습자가 달의 위상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를 이용해 달의 위상변화를 관측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를 이용해 달의 위치에 따라 관측가능한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를 이용해 일식과 월식의 원리를 알아보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를 이용해 날짜에 따른 계절의 변화를 알아보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를 이용해 위도와 경도에 따른 계절과 시간의 변화를 알아보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와 황도카드를 이용해 황도12궁을 학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와 황도카드를 이용해 계절별 별자리를 관찰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와 황도카드를 이용해 세차운동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1)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삼구의조립체(1)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1)는 지구의(100), 태양모형(200), 달모형(300)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태양모형(200)을 중심으로 지구의(100)가 공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달모형(300)이 지구의(100)를 중심으로 공전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지구의(100)의 하부에는 달위상변화판(400), 지구측날짜변환판(500), 세차운동회전판(600)이 동축상으로 적층되게 배치된다. 또한, 태양모형(200)의 하부에는 태양측날짜변환판(210)이 구비된다. 태양모형(200)은 지구의(100)와 지구태양연결부(230)에 의해 연결되고, 달모형(300)은 달공전축(320)에 의해 지구의(100)와 연결된다.
지구의(100)는 구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세계 지도가 그려져 있다. 지구의(100)를 관통하여 지구자전축(110)이 삽입되는 자전축삽입공(150)이 형성된다. 지구자전축(110)은 세차운동회전판(600)에 결합된다. 지구자전축(110)은 수직축에 대해 23.5°기울어지게 구비된다. 지구자전축(110)의 하부에는 수직하게 구비된 회전판삽입축(120)이 구비된다. 회전판삽입축(120)은 세차운동회전판(600)의 삽입축결합공(6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자전축삽입공(150)의 내경보다 지구자전축(110)의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지구의(100)는 지구자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자전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지구의(100)가 지구자전축(110)을 중심으로 자전하는 효과는 학습자는 수동으로 지구의(100)를 회전시켜 확인할 수 있다.
회전판삽입축(120)은 삽입축결합공(620)에 돌기와 홈의 요철형상에 의해 끼워맞춤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지구의(100)의 외주면에는 관찰자인형(140,140a)이 삽입되는 관찰자삽입공(130)이 복수개 관통형성된다. 관찰자삽입공(1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구의(10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다른 위도와 경도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삼구의조립체(1)는 한국의 위치에 대응되는 북위 37도에 구비된 제1관찰자삽입공(131), 제1관찰자삽입공(131)과 정반대의 경도에 형성되는 제2관찰자삽입공(135), 적도에 위치되는 제3관찰자삽입공(132), 제3관찰자삽입공(132)과 반대되는 대척점인 제4관찰자삽입공(136), 남위 37도의 위치로 제2관찰자삽입공(135)과 대척점인 제5관찰자삽입공(133)과, 제1관찰자삽입공(131)과 경도가 정반대인 방향에 위치된 제6관찰자삽입공(137)을 포함한다.
이렇게 복수개의 관찰자삽입공(130)에 선택적으로 관찰자인형(140,140a)을 삽입하고, 태양모형(200)과의 관계를 보면서 계절과 시간을 관찰할 수 있다. 이 때, 관찰자인형(140,140a)은 복수개로 구비되므로, 서로 다른 두 위치의 관찰자삽입공(130)에 관찰자인형(140,140a)을 각각 삽입하고, 두 위치에서 계절과 시간의 차이를 학습할 수 있다.
여기서, 관찰자인형(140,140a)의 표면에 일정 길이 돌출된 결합돌기(141)가 관찰자삽입공(130)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태양모형(200)은 지구의(10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태양모형(20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태양지지축(220)에 결합된다. 태양지지축(220)은 태양측날짜변환판(210)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태양측날짜변환판(210)은 지구태양연결부(230)에 의해 달위상변화판(400)에 결합된다.
태양측날짜변환판(210)은 가운데 영역에 지지축삽입공(211)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외주면에 12개월에 대응되는 태양측날짜변환력(213)이 표시된다. 태양측날자변환력(213)은 지구측날짜변환력(530)과 함께 지구의(100)와 태양모형(200)의 날짜를 동일하게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태양측날자변환력(213)은 지구측날짜변환력(530)은 36칸으로 구획되며, 12개월이 표시된다. 또한, 12개월로 표기된 중간중간에 해당하는 4절기(춘분, 하지, 추분, 동지)가 포함되게 형성된다.
태양지지축(220)은 태양모형(200)을 태양측날짜변환판(210)에 수직하게 지지한다. 태양지지축(22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태양모형(200)이 삽입되는 태양삽입고리(22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구태양연결부(230)의 제1삽입공(231a)에 삽입되는 삽입축결합단(223)이 구비된다.
지구태양연결부(230)는 태양모형(200)과 지구의(100)를 서로 연결하며, 지구의(100)가 태양모형(20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공전하도록 지지한다. 지구태양연결부(230)는 태양모형(200)과 결합되는 제1연결대(231)와, 달위상변화판(400)과 결합되는 제2연결대(233)와, 제1연결대(231)와 제2연결대(233)를 서로 결합하는 길이조절연결부(235)를 포함한다.
제1연결대(231)와 제2연결대(233)는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제1연결대(231)의 태양모형측 단부에 형성된 제1삽입공(231a)에는 삽입축결합단(223)과 변환판삽입축(225)이 함께 결합된다. 제1연결대(231)의 타측에 형성된 제2삽입공(231b)는 길이조절연결부(235) 내부에 결합된다.
제2연결대(233)의 일측에 형성된 제3삽입공(233a)는 길이조절연결부(235)와 결합되고, 타측에 형성된 제4삽입공(233b)는 변환판결합축(237)의 연결대삽입축(237b)가 삽입된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측날짜변환판(210)의 지지축삽입공(211)에 변환판삽입축(225)이 삽입되고, 변환판삽입축(225)의 상부가 제1연결대(231)의 제1삽입공(231a)에 삽입된다. 또한, 제1삽입공(231a)의 상부에 태양지지축(220)이 수직하게 결합되고, 태양지지축(220)의 상단에는 태양모형(200)이 고정된다.
제1연결대(231)과 제2연결대(233)는 길이조절연결부(235)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길이조절연결부(235)는 상부연결커버(235a)와 하부연결커버(235b)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제2연결대(233)의 제4삽입공(233b)에는 변환판결합축(237)이 결합된다. 변환판결합축(237)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대삽입축(237b)는 제4삽입공(233b)에 삽입되고, 변환판결합축상부(237a)는 달위상변화판(400)의 연결대결합공(460)에 삽입된다.
이 때, 제1연결대(231)의 제1삽입공(231a)은 변환판삽입축(225)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변환판삽입축(22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지구태양연결부(230)가 태양측날짜변환판(2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지구의(100)가 태양모형(200)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달모형(300)은 지구의(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지구의(100)를 중심으로 공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달모형(300)은 달지지축(310)에 의해 지지되며, 달공전축(320)에 의해 달위상변화판(400)에 결합된다.
달모형(300)은 지구의(100) 보다 작은 구 형태로 형성된다. 달지지축(310)은 상단은 달모형(300)에 고정되고 하단(311)은 달공전축(320)의 제5삽입공(321)에 삽입고정된다. 달공전축(320)의 제6삽입공(323)은 달지구결합링크(325)의 결합리브(325b)에 결합된다. 달지구결합링크(325)의 제7삽입공(325a)는 회전판회전축(423)의 하부축(423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즉, 달지구결합링크(325)의 제7삽입공(325a)이 회전판회전축(423)에 결합되어 회전판회전축(423)을 중심으로 달공전축(320)이 회전하여 달모형(300)이 지구의(100)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여기서, 달공전축(320)은 회전판회전축(423)에 황도면에 대해 5도 기울어지게 결합된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공전축(320)은 황도면(C)에 대해 5°(θ)만큼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달공전축(320)의 기울기에 의해 일식과 월식이 매달 일어나지 않는 원리가 설명될 수 있다. 일식과 월식에 대해 학습하는 과정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달위상변화판(400)은 지구의(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구의(100)와 달모형(300)의 위치에 따른 달모형(300)의 위상변화를 학습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달위상변화판(400)은 원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지구태양연결부(230)와 결합된다. 또한, 달위상변화판(400)은 가운데에 삽입된 회전판회전축(423)에 의해 지구측날짜변환판(500) 및 세차운동회전판(600)과 결속된다.
세차운동회전판(600)의 상면에는 지구의(100)가 회전판삽입축(12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지구의(100), 달위상변화판(400), 지구측날짜변환판(500) 및 세차운동회전판(600)이 모두 일체로 결속되어 태양모형(200)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달위상변화판(400)의 가운데에는 회전판회전축(423)이 삽입되는 하부결합축삽입공(410)이 관통형성된다. 하부결합축삽입공(410)의 일측에는 지구태양연결부(230)의 변환판결합축(237)이 삽입되는 연결부결합공(440)이 구비된다. 연결부결합공(440)은 하부결합축삽입공(410)을 중심으로 복수개가 구비되어 학습자가 선택적으로 변환판결합축(237)을 삽입할 수 있다.
결합축부(420)는 달위상변화판(400), 지구측날짜변환판(500) 및 세차운동회전판(600)에 동시에 결합되어 달위상변화판(400), 지구측날짜변환판(500) 및 세차운동회전판(600)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결합축부(420)는 달위상변화판(400)의 상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판(421)과, 베이스판(421)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회전판회전축(423)과, 세차운동회전판(6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는 고정핀(425)을 포함한다.
베이스판(421)은 달위상변화판(400)의 상면에 배치되고, 베이스판(421)과 회전판회전축(423) 사이에 달지구결합링크(325)의 제7삽입공(325a)이 배치된다. 회전판회전축(423)의 상부에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이 배치되고, 세차운동회전판(600)의 상부에서 하부로 고정핀(425)이 삽입된다. 회전판회전축(423)의 하부축(423a)는 제7삽입공(325a)에 삽입되고, 상부축(423b)는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된다. 사부축(423b)는 지구측날짜변환판(500)과 세차운동회전판(600)을 동시에 관통하여 세차운동회전판(600)에 삽입된다.
고정핀(425)은 세차운동회전판(600)의 상부회전축삽입공(610)에 삽입된 상부축(423b)에 결합된다. 고정핀(425)이 상부축(423b)에 삽입되면, 물리적인 걸림결합에 의해 세차운동회전판(600)의 회전은 저지된다. 세차운동을 확인하는 과정에서는 고정핀(420)을 제거한 후 세차운동회전판(600)을 회전하게 된다.
한편, 달위상변화판(40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지면고정축(450)이 삽입되어 지면과 일정높이 이격되게 달위상변화판(400)을 지지한다.
한편, 달위상변화판(400)의 외주면에는 달모형(300)과 지구의(100)의 위치변화에 따른 달위상변화를 이미지로 나타낸 달위상변화이미지(430)가 형성된다. 달위상변화이미지(4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모형(300)과 지구의(100) 사이의 위치에 따라 관찰자가 보는 달모형(300)을 실제 사진으로 나타낸다.
달모형(300)은 삭에서 초승달,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그믐달의 순서로 정확한 형상의 사진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학습자가 달의 위상변화에 대응되는 달의 사진을 눈으로 보며 정확하게 학습할 수 있다.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은 태양측날짜변환판(210)과 함께 관측시점을 설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기능한다.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은 달위상변화판(400)과 세차운동회전판(600) 사이에 배치된다.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의 가운데에는 회전판회전축(423)이 삽입되는 중간결합축삽입공(510)이 관통형성되고, 중간결합축삽입공(510)의 외측으로 하부삽입축결합공(520)이 관통형성된다. 하부삽입축결합공(520)은 학습자가 세차운동회전판(600)을 제거하고, 지구측날짜변환판(500) 상에 지구의(100)를 결합할 때 사용된다. 즉, 지구의(100)의 지구자전축(110)에 결합된 회전판삽입축(120)이 하부삽입축결합공(5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의 외주면에는 12개월에 해당하는 지구측날짜변환력(530)이 형성된다. 지구측날짜변환력(530)은 눈금의 형태로 형성되고, 학습자가 본인이 희망하는 날자로 지구의(100)를 회전시켜 관측날짜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지구측날짜변환판(500)과 태양측날짜변환판(210)이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조절한다. 일례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춘분점에서 달의 위치를 관측하고자 할 때,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의 춘분점에 관찰자가 위치되도록 조절하고, 태양측날짜변환판(210)의 춘분점이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의 춘분점과 마주보도록 지구태양연결부(230)를 위치시킨다.
세차운동회전판(600)은 세차운동을 학습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세차운동은 1)지구의 자전축이 2만5천765년을 주기로 회전하는 것과, 2) 항성년(365.25636042일:365일 6시간 9분 9초)과 회귀년(춘분~춘분) 태양년(365.24219878일:365일 5시간 48분 46초)이 차이(1년에 20분 23초=0.01416164일)가 나는 것에서 정의할 수 있다. 이 차이를 세차운동이라고 하고, 영어로는 Precession of the Equinoxes(춘분점의 진행운동)라고 한다.
회귀년은 현재 사용하는 달력의 기준이 되고 있다. 그러나, 항성년(태양보다 멀리 떨어진 별을 기준으로 하는 1년)과의 차이로 인해 분점(천문의 좌표계에 기준이 되는 춘분점)이 매년 약 0.0138도씩(=72년에 1도) 앞으로 나가 있다. 이는 지구 자전축의 방향이 조금씩 변하는 것에 의해 일어나는 천문 현상이다.
세차운동은 진행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학습자가 실험적인 관찰로 이 운동을 확인하기 매우 어려우며, 우주적 관점의 관찰이 필요한 부분이므로 학생은 물론, 교사,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이를 증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에 종래기술에서도 언급했듯이 세차운동에 대한 학습은 중학교, 고등학교 및 대학과정에 이르기까지 계속 되는 내용인데 반해 정확하게 이해를 하지 못하고 단순히 암기로만 학습하는 실정이다.
한편, 세차운동과 관련하여 일반인에게 널리 퍼져있는 점성술, 즉 별점으로의 황도 12궁(회귀 황도대)에 이르러서는 그 차이가 커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일례로, 양자리의 경우 점성술의 날짜는 3월 21일~4월 20일인데 반해, 현재 실제 양자리의 날짜는 4월 19일~5월 13일이다. 황소자리는 점성술의 날짜가 4월 21일~5월 21일데 반해 실제 날짜는 5월 14일 ~6월 19일이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점성술의 황도 12궁은 약 3000년 전에 중동~유럽을 거쳐 만들어진 것으로 현재의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황도 12궁과는 약 한 달의 차이가 나고 있다. 이 차이에 대한 것을 정확히 기술하는 자료는 흔하지 않으며 또한 이를 이해할 수 있는 학습 교재도 전무하다. 이에 교육현장에서는 이 차이를 단순히 세차운동에 의한 것이라고 말은 하지만 이를 실증해내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삼구의조립체(1)는 세차운동회전판(600)과 별자리카드(700)를 이용해 세차운동, 춘분점의 변화에 대해 명확히 설명할 수 있다.
세차운동회전판(600)은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지구의(100) 회전판삽입축(120)과 결합된다. 여기서, 세차운동회전판(600), 지구측날짜변환판(500) 및 달위상변화판(400)은 크기가 점차 크게 형성되어, 상부에서 보았을 때 세차운동회전판(600)의 외부로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의 지구측날짜변환력(530)이 노출되고,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의 외부로 달위상변화이미지(430)가 노출될 수 있다.
세차운동회전판(600)의 가운데에는 고정핀(425)이 회전판회전축(423)과 고정핀(425)이 삽입되는 상부회전축삽입공(610)이 구비된다. 상부회전축삽입공(610)의 외측으로 삽입축결합공(620)이 복수개 구비된다. 세차운동회전판(600)의 외주연에는 세차운동눈금(630)이 형성된다. 세차운동눈금(630)은 원주방향을 따라 36칸으로 나눠지며, 1칸은 720년의 단위를 나타낸다.
학습자는 세차운동눈금(63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서로 다른 두 시점 사이의 세차운동을 확인하게 된다. 세차운동 확인과 관련해서는 뒤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별자리카드(700)는 삼구의조립체(1)와 함께 제공되어, 학습자에게 별자리와 세차운동을 학습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1)를 이용한 다양한 학습과정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삼구의조립체(1)를 이용해 지구-달 위치에 따른 달의 위상모향변화를 관찰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달위상변화판(400)에는 지구의(100)에서 보이는 달모형(300)의 모습을 표시한 달위상변화이미지(430)가 구비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공전축(320)을 지구의(100)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달의 공전방향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모형(200)과 지구의(100)가 마주보는 상태에서 달모형(300)이 태양모형(200)으로부터 45°정도로 이동되면 태양모형(200)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에 비해 초승달로 보인다. 달모형(300)의 달공전축(320)이 위치되는 곳의 달위상변화이미지(430)가 초승달을 가리키므로 학습자는 해당 위치에서의 달위상이 초승달인 것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모형(300)이 태양모형(200)의 반대방향, 즉, 달모형(300), 지구의(100), 태양모형(200)이 일직선인 상황에서 달모형(300)은 보름달로 보이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현달의 위치, 도 2의 (e)에서와 같이 그믐달의 위치까지 모두 이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삼구의조립체(1)를 이용해 달의 위치에 따라 관측 가능한 시간을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지구측날짜변환력(530)과 태양측날짜변환력(213)을 동일하게 일치시킨다. 일례로, 춘분점으로 날짜를 동일하게 변화하고, 관찰자인형(140,140a)을 춘분점의 위치로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지구의(100)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고, 달모형(300)은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한다. 도 4의 (a) 내지 (c)는 상현(음력 7-8일)일 때 달의 관측 가능한 시간을 알아보는 과정이고, 도 4의 (d) 내지 (f)는 보름달(음력15일)일 때 관측 가능한 시간을 알아보는 과정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자 기준으로 정오 12시, 태양이 남중에 있을 때, 상현달은 동쪽에서 떠오른다. 따라서, 해가 지기 전까지 관찰자가 관측이 가능하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구의(100)의 자전에 의해 관찰자 기준으로 오후 6시가 되면, 태양이 서쪽으로 진다. 이 때, 상현달은 남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구의(100)가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여 관찰자 기준으로 자정(밤 12시)가 되면, 상현달은 서쪽으로 진다.
한편, 보름달일 경우,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자 기준으로 오후 6시에 태양이 서쪽으로 질 때, 보름달은 동쪽에서 떠오른다.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자 기준으로 자정(밤 12시)이 되면 보름달은 남중한다. 그리고, 도 4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자 기준으로 아침 6시, 태양이 동쪽에서 떠오를때, 보름달은 서쪽으로 진다.
즉, 태양모형(200), 달모형(300), 지구의(100)의 위치와, 관찰자인형(140,140a)의 위치에 따라 상현달, 보름달, 그믐달 등의 달이 어디서 떠서 어디서 지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삼구의조립체(1)를 이용해 일식과 월식의 원리를 학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식은 달모형(300)이 지구의(100)와 태양모형(200) 사이에 위치되면서 달모형(300)이 태양빛을 전부 또는 일부를 가리는 현상이다. 통상 음력으로 삭 일 때 일어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식은 태양 빛을 반사하며 빛나는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들어오면서 태양 빛을 반사하지 못해 달이 어두워지는 현상이다. 음력으로 보름 때 발생된다.
여기서, 도 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회전면(백도면, B)이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회전면인 황도면(C)과 나란할 때는 매달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야한다.
그러나, 실제로 일식과 월식이 매달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도 5의 (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삼구의조립체(1)와 같이 달공전축(320) 황도면(C)에 대해 5°만큼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다.
달모형(300)이 지구의(100)와 태양모형(200) 사이에 위치되어 일식의 위치에 있지만, 지구의(100) 보다 달모형(300)이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일식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달모형(300)이 태양모형(200)과 반대방향에 있는 월식의 위치에 있지만, 달모형(300)이 지구의(100) 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월식이 일어나지 않는다.
학습자는 직접 이러한 실험을 하게 되면서 일식과 월식의 원리 뿐만 아니라 달공전축(320)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매달 월식과 일식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삼구의조립체(1)를 이용해 날짜에 따른 계절의 변화를 학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날짜에 따른 계절의 변화는 지구자전축(110)이 23.5°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발생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모형(200)을 중심으로 지구의(100)를 공전시키면서 계절과 날짜에 따라 지구자전축(110)의 기울기의 모습을 관찰하며 학습하게 된다. 지구의(100)의 공전에 의해 태양모형(200)을 중심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 변화를 겪게 된다. 학습자는 지구태양연결부(230)를 회전하여 태양측날짜변환판(210)을 맞추고, 이와 동시에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을 돌려 날짜를 맞춘다.
즉,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이 춘분점을 가리키면 태양측날짜변환판(210)이 춘분점을 가리키도록 조절하고, 지구측날짜변환판(530)이 동지점을 가리키면 태양측날짜변환판(210)도 동지점을 가리키도록 조절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봄(춘분점)의 경우, 황도의 수직선(X)에 대해 지구자전축(110)이 23.5°기울어져 있다. 지구자전축(110)이 태양모형(200)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름(하지점)의 경우, 지구자전축(110)이 태양모형(200)을 향해 기울어지기 때문에 낮의 길이가 길고 일조량이 많아진다. 이에 따라 기온이 오르게 되는 것을 학습할 수 있다.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을(추분점)의 경우, 지구자전축(110)이 태양모형(200)과 평행하므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겨울(동지점)의 경우, 지구자전축(110)이 태양모형(200)의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낮의 길이가 짧고 일조량이 적어진다. 이에 따라 기온이 내려가게 되는 것을 학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삼구의조립체(1)를 이용해 위도, 경도에 따른 계절과 시간의 변화를 학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지구의(10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찰자삽입공(130)에 학습자가 임의로 두 개의 관찰자인형(140,140a)을 삽입한다. 한 개의 관찰자인형(140)은 북위 37도의 한국의 위치인 제1관찰자삽입공(131)에 삽입하고, 나머지 하나(140a)는 임의의 위치에 삽입하여 태양모형(200)과의 관계를 보면서 두 곳의 계절과 시간을 비교하여 학습한다.
도 7의 (a)는 한 개의 관찰자인형(140)은 제1관찰자삽입공(131)에 삽입하고, 나머지 한 개의 관찰자인형(140a)은 한국과 경도가 정반대인 제2관찰자삽입공(135)에 삽입한 경우이다. 이 경우, 제2관찰자삽입공(135)에 해당하는 대서양은 동일한 위도에 있으므로 계절은 동일하다. 그러나, 경도가 정반대이므로 한국이 낮 12시일 때, 제2관찰자삽입공(135) 측은 밤 12시가 된다.
도 7의 (b)는 한 개의 관찰자인형(140)은 한국의 위치인 제1관찰자삽입공(131)에 삽입하고, 나머지 관찰자인형(140a)은 남위 37도인 제5관찰자삽입공(133)에 삽입한다. 이 경우, 제5관찰자삽입공(133)에 해당하는 호주는 동일한 경도이므로 시간은 동일하게 낮 12시이지만, 북위의 한국과 다르게 일조량이 작기 때문에 계절은 정반대가 된다. 즉, 한국이 여름일 경우 이 곳은 겨울이 된다.
도 7의 (c)는 한 개의 관찰자인형(140)은 한국의 위치인 제1관찰자삽입공(131)에 삽입되고, 나머지 관찰자인형(140a)은 한국과 경도와 위도가 정반대인 제6관찰자삽입공(137)에 삽입된다. 제6관찰자삽입공(137)에 해당하는 우르과이는 위도와 경도가 반대이므로 시간과 계절이 모두 반대이다. 즉, 한국이 낮일 때 우르과이는 밤이고, 한국이 여름일 때 우르과이는 겨울이다.
도 7의 (d)는 한 개의 관찰자인형(140)은 한국의 위치인 제1관찰자삽입공(131)에 삽입되고, 나머지 관찰자인형(140a)은 한국과 동일한 경도이고, 적도(0도)의 위치인 제3관찰자삽입공(132)에 삽입된다. 제3관찰자삽입공(132)에 해당하는 인도네시아는 동일한 시간대이지만 적도에 위치하므로 태양으로부터의 일조량이 많아 항상 열대기후를 유지한다.
학습자는 두 개의 관찰자인형(140,140a)이 위치한 지역이 태양모형(200)과의 위치관계에서 시간과 계절이 어떻게 상이한지를 눈으로 비교확인하면서 학습하게 된다. 따라서, 학습효율이 현저히 높아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삼구의조립체(1)를 이용해 황도12궁의 별자리를 학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황도 12궁은 지구가 1년동안 태양을 공전하는 동안 태양과 함께 움직이는 12개의 별자리를 의미한다. 일반인들은 황도 12궁의 별자리가 자신이 태어난 날의 밤에 관측할 수 있다고 잘못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발명의 삼구의조립체(1)를 이용해 황도 12궁에 대한 확실한 개념을 정립할 수 있다.
황도 12궁의 학습을 위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도 12궁 별자리 카드(700)를 지구의(100)와 태양모형(200) 주변에 돌려서 놓는다. 이 때, 황도12궁 카드에는 기준위치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학습자는 표시된 기준위치를 보고 그에 맞게 각 카드를 배치한다.
이 실험에서 달모형(300)은 필요가 없으므로 제거하고 실험을 행한다.
지구측날짜변환판(500)과 태양측날짜변환판(210)을 모두 학습자가 태어난 날에 맞춘다. 이 때, 태양모형(200) 측으로 보이는 별자리가 자신이 태어난 날 밤에 관측된 별이다. 일례로, 7월로 날짜를 맞춘 경우, 관찰자가 마주보는 별자리(730)의 쌍둥이자리가 자신의 별자리이다. 이 때, 태양모형(200)과 반대자리에 있는 별자리(720)가 관측가능한 별자리이다.
여기서, 도 8의(a)에서와 같이 별자리카드(700)는 삼구의조립체(1)의 주변으로 펼쳐서 실험을 수행할 수도 있고, 도 8의 (b)에서와 같이 별자리카드(700)를 세워서 조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다 입체적이고 직관적으로 별자리를 관찰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계절별 별자리의 변화를 학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즉, 본 발명의 삼구의조립체(1)를 이용해 계절에 따라 관측할 수 있는 별자리가 어떻게 바뀌는지 그 원리를 실험으로 학습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봄의 밤하늘 별자리를 학습하기 위해 황도 12궁 별자리 카드(700)를 지구의(100), 태양모형(200)의 주위로 돌려서 놓는다. 태양측날짜변환판(210)과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을 모두 춘분으로 맞추어 놓는다. 해진 후 서쪽하늘에서는 겨울 하늘의 별자리, 쌍둥이자리와 게자리, 오리온 자리(750) 등을 관측할 수 있다. 밤중에는 봄하늘의 대표적인 별자리인 목동자리, 처녀자리, 사자 자리(760) 등을 관측할 수 있다. 자정이후 새벽까지 동쪽하늘에서는 여름의 별자리인 전갈자리, 사수자리, 백조자리(770)을 관측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름, 도 9의 (c)에 도시된 가을, 도 9의 (d)에 도시된 겨울의 별자리를 각각 관측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서 회색으로 표시된 부분의 별자리는 초저녁에 관측할 수 있는 이전 계절의 주요 별자리, 파란색 지역은 밤중에 관측할 수 있는 해당 계절의 주요 별자리, 주황색 지역은 새벽에 관측할 수 있는 다음 계절의 주요 별자리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삼구의조립체(1)를 이용해 세차운동에 관해 학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구측날짜변환판(500)과 태양측날짜변환판(210)을 춘분점에 맞춘다. 점성술의 춘분 별자리는 양자리로 3월 21일~4월 20일로 알려져 있고, 현재 천문학의 춘분점 별자리는 물고기 자리(3월 12일~4월 18일)이다. 현재 천문학에서 양자리의 황도 기간은 4월 19일~5월 13일로, 점성술의 별자리와 약 한달의 차이가 난다. 세차운동에 대한 이해가 없는 학습자의 경우, 점성술과 천문학의 별자리이 차이가 커 혼동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성술의 황도 별자리에 지구의(100)를 맞추어 돌리면 5월에 위치하게 된다. 즉, 회귀년과 맞기 않게 된다.
세차운동을 확인하기 위해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425)을 세차운동회전판(600)으로부터 제거한다. 그리고, 점성술의 별자리가 정해졌던 2880년 전으로 돌아가는 실험을 수행한다. 점성술의 별점의 시기가 현재와 다르다면, 약 3천년 전에는 춘분점과 양자리가 일치해야 한다는 가설이 나온다. 이를 증명하기 위한 실험이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차운동회전판(600)의 춘분점을 시계반대방향으로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의 4칸 뒤로 회전시킨다. 세차운동의 방향은 시계방향이므로 과거로 가기 위해서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해야 한다.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은 현재의 날짜이고, 1칸은 720년의 단위를 나타낸다. 세차운동주기가 26000년이므로 이를 36칸으로 나누면 1칸은 720년을 나타낸다. 4칸은 1칸이 720년을 나타내므로 총2880년 전을 의미한다.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4칸 회전한 세차운동회전판(600)이 가리키는 지구측날짜변환판(500)의 날짜를 확인(5월1일)하고, 이를 지구태양연결부(230)에 일치시키고 태양측날짜변환판(210)의 날짜도 동일하게 5월 1일로 맞춘다.
이는 춘분점이란 태양에 대해 지구자전축의 기울기 방향이 정확이 옆에 위치하며, 이를 정확히 맞추기 위한 과정이다.
그리고,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측날짜변환판(2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춘분점에 지구태양연결부(230)를 맞춘다. 이는 세차운동의 차이는 1년에 0.014161일인데, 현재 과거 2880년으로 돌아 왔으므로 시간을 되돌려야 한다. 즉, 0.014161*2880년=약41일을 뒤로 돌려야 하는 것이다(5월 1일=41일 전=3월 20일 경).
그리고,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자리카드(700)의 별자리를 확인한다. 춘분점에 양자리(Aries)가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차운동을 확인할 수 있고, 그 의미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1과 도 12의 과정을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세차운동에 기인한 미래의 별자리도 예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는 달공전축이 5°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일식과 월식의 원리는 물론이고, 매달 일식과 월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원리까지 학습자가 실험을 통해 습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삼구의조립체는 지구의, 태양모형, 달모형의 상대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달의 위상을 해당 이미지로 표시하여 학습자가 달의 위상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삼구의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삼구의조립체 100 : 지구의
110 : 지구자전축 120 : 회전판삽입축
130 : 관찰자삽입공 140 : 관찰자인형
150 : 자전축삽입공 200 : 태양모형
210 : 태양측날짜변환판 211 : 지지축삽입공
215 : 태양측날짜변환력 220 : 태양지지축
221 : 태양삽입고리 223 : 삽입축결합단
225 : 변환판삽입축 230 : 지구태양연결부
231 : 제1연결대 231a : 제1삽입공
231b : 제2삽입공 233 : 제2연결대
233a : 제3삽입공 233b : 제4삽입공
235 : 길이조절연결부 235a : 상부연결커버
235b : 하부연결커버 237 : 변환판결합축
237a : 변환판결합축상부 237b : 연결대삽입축
300 : 달모형 310 : 달지지축
311 : 공전축결합단 320 : 달공전축
321 : 제5삽입공 323 : 제6삽입공
325 : 달지구결합링크 325a : 제7삽입공
235b : 결합리브 400 : 달위상변화판
410 : 하부결합축삽입공 420 : 결합축부
421 : 베이스판 423 : 회전판회전축
423a : 하부축 423b : 상부축
425 : 고정핀 430 : 달위상변화이미지
440 : 연결부결합공 450 : 지면고정축
500 : 지구측날짜변환판 510 : 중간결합축삽입공
520 : 하부삽입축결합공 530 : 지구측날짜변환력
600 : 세차운동회전판 610 : 상부회전축삽입공
620 : 삽입축결합공 630 : 세차운동눈금
700 : 별자리카드

Claims (5)

  1. 태양모형과;
    지구태양연결부에 의해 상기 태양모형과 이격되게 결합되며, 상기 태양모형을 중심으로 공전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구의와;
    상기 지구의와 달공전축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지구의를 중심으로 공전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달모형과;
    상기 지구의의 하부에 배치되는 달위상변화판과;
    상기 달위상변화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구측날짜변환판과;
    상기 지구측날짜변환판과 상기 지구의의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세차운동눈금이 표시되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서로 다른 두 시점 사이의 세차운동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세차운동회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구의는 상기 세차운동회전판에 지구자전축에 의해 자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달위상변화판, 상기 지구측날짜변화판 및 상기 세차운동회전판은 회전판회전축에 의해 동축상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달공전축은 상기 회전판회전축에 황도면에 대해 5°기울어지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구의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차운동눈금은 원주방향을 따라 36칸으로 나눠지며, 1칸은 720년의 단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구의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달위상변화판은 상기 달모형의 공전에 따른 달의 위상변화에 따른 형상이 이미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구의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모형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태양모형과 상기 지구의의 날짜를 맞추는 태양측날짜변환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구측날짜변환판, 상기 태양측날짜변환판은 각각 12개월이 외주면에 표시되며, 관측하고자 하는 날짜가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지구의와 상기 태양모형의 위치를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구의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황도 12궁의 별자리를 나타내는 별자리 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구의조립체.
KR1020140182922A 2014-12-18 2014-12-18 일식과 월식의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KR20160074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922A KR20160074102A (ko) 2014-12-18 2014-12-18 일식과 월식의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922A KR20160074102A (ko) 2014-12-18 2014-12-18 일식과 월식의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102A true KR20160074102A (ko) 2016-06-28

Family

ID=5636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922A KR20160074102A (ko) 2014-12-18 2014-12-18 일식과 월식의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41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7878A (zh) * 2016-06-29 2016-11-09 李雅瑾 一种地理天体教学演示仪及其演示方法
CN109697928A (zh) * 2019-03-06 2019-04-30 张嘉焜 一种四季演示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7878A (zh) * 2016-06-29 2016-11-09 李雅瑾 一种地理天体教学演示仪及其演示方法
CN109697928A (zh) * 2019-03-06 2019-04-30 张嘉焜 一种四季演示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501B1 (ko) 천구의 및 지구본 자동 구동장치
US6722890B2 (en) Interactive astronomical system and method
KR101709912B1 (ko) 세차운동 확인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KR101450473B1 (ko) 달 운동 관측용 학습도구
KR20160074102A (ko) 일식과 월식의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KR20160074103A (ko) 관찰자의 위경도 위치에 따른 시간과 계절 변화 설명이 가능한 삼구의조립체
KR100704702B1 (ko) 다기능 학습용 천구의
CN203288164U (zh) 透明四色经纬度天球仪
Ibragimova et al. DIURNAL APPEARANCE MOVEMENTS OF LUMINAIRES. METHODOLOGY OF TEACHING THE SUBJECT" CONSTELLATIONS
KR101252804B1 (ko) 달의 위상변화와 운동 입체 학습기구
KR101482884B1 (ko) 달 일주 관측용 학습도구
KR101150998B1 (ko) 달 일주운동판
US6524112B1 (en) Interactive astronomical system and method
US2358075A (en) Training aid
KR102449814B1 (ko) 교육용 천구의
TWI506603B (zh) Three - dimensional stereoscopic motion of the moon
US20020182576A1 (en) Interactive astronomical system and method
KR100461693B1 (ko) 표면에 개구부를 가진 천구의
KR200412786Y1 (ko) 다기능 학습용 천구의
KR20090064621A (ko) 천체 학습용 공간시계 및 이를 이용한 천체운동 학습장치
KR200301316Y1 (ko) 표면에 개구부를 가진 천구의
SU1693628A1 (ru) Астрономическа планисфера Р.И.Цветова
CN203882542U (zh) 地球晨昏仪教学仪器
JP2533338Y2 (ja) 天体観測装置
Iafrate et al. The Constellations of the Zodia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