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859B1 - 적층형 캔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적층형 캔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859B1
KR100952859B1 KR1020090063009A KR20090063009A KR100952859B1 KR 100952859 B1 KR100952859 B1 KR 100952859B1 KR 1020090063009 A KR1020090063009 A KR 1020090063009A KR 20090063009 A KR20090063009 A KR 20090063009A KR 100952859 B1 KR100952859 B1 KR 100952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re
cam
molds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노석
Original Assignee
전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노석 filed Critical 전노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15Edge treatment of cans or tins
    • B21D51/2638Ne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6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having relatively-movable di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 뚜껑과 매치를 이루는 캔 몸체의 목(Neck) 부분의 플랜지를 성형하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린더 구동방식이나 캠 구동방식으로 확장이 가능한 중앙의 코어 금형(Core mold) 및 이 코어 금형의 움직임과 연계하여 외곽에서 조여주는 아우터 금형(Outer mold)을 조합한 자동화 개념의 새로운 성형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캔 몸체의 목 부분과 플랜지 부분을 거의 동시에 성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캔 몸체의 성형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캠 구동방식의 선택적인 작동 메카니즘을 통해 중앙의 코어 금형의 동작을 제어하는 새로운 형태의 성형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넥 캔(Neck can) 뿐만 아니라 노멀 캔(Normal can)도 함께 성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성형장치의 효용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0063009
캔, 2피스, 캔 몸체, 목, 플랜지, 코어 금형, 아우터 금형

Description

적층형 캔 성형장치{Forming tool for stacked can body}
본 발명은 적층형 캔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캔 뚜껑과 매치를 이루는 캔 몸체의 목(Neck) 부분의 직경을 작게 하면서 플랜지를 효과적으로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음료 용기 등으로 사용되는 금속성 캔은 가스나 빛, 물에 대한 차단력이 우수하여 음료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내용물의 장기 보존이 가능하다.
또한, 충진, 살균 등의 포장식품 제조 라인에서 고속 운용이 가능하며, 금속의 내열성, 열전도성이 우수하여 고압 살균, 급속 냉각성이 뛰어나다.
그리고, 전연성이 좋아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만들 수 있으며, 또 규격화가 쉽다.
보통 캔은 구성 부위의 수에 따라 2피스 캔(2-piece can)과 3피스 캔(3-piece can)으로 구분된다.
2피스 캔은 몸체와 바닥이 일체로 성형되고, 3피스 캔은 뚜껑, 몸체, 바닥의 3부위로 이루어진다.
통상 2피스 캔은 알루미늄 합금판이나 석도강판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3피스 캔의 경우 저탄소 강판의 일종인 석도강판(Tinplate)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캔은 각각의 제조 공정에 부합되는 세정, 건조 및 기초 도색의 과정을 거친 후, 몸체의 외면에 상업인쇄를 실시하여 최종 캔의 형태를 완성하게 된다.
예를 들면, 캔을 만드는 제조 공정에 따른 분류를 살펴보면, 바닥과 몸체가 하나로 되어 있고 내용물을 채운 다음 덮는 2피스 캔과, 몸체와 상부 뚜껑 및 하부 바닥의 3개로 나뉘어지는 3피스 캔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2피스 캔은 몸체와 바닥의 이음부가 없기 때문에 밀봉능력이 뛰어나고, 고속 생산이 가능하며, 몸체 전면에 인쇄하기 쉬운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2피스 캔의 몸체 성형 공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두루마리 형태의 코일 원단에서 프레스를 이용하여 원형 블랭크 디스크를 따내고, 이를 펀치로 드로잉(Drawing)하여 컵 형태로 가공한다.
이때, 이루어지는 두 가지의 가공이 하나의 더블 액션 프레스(Double action Press)에서 거의 동시에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후 다음 공정에서 컵의 직경을 줄이는 리드로잉(Redrawing) 공정을 거쳐 펀치와 아이어닝 다이(Ironing die)를 통과함으로써 벽면을 얇게 만든다.
이 공정 역시 수평 프레스에서 순차적으로 가공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 공정의 마지막에는 캔의 밑바닥을 캔 안쪽으로 돔(Dome) 형태로 밀어 넣어 가공이 완료된다.
이후 모든 캔의 높이가 규격화되도록 캔 상단을 절단하는 트리밍(Trimming)공정, 성형시 캔에 묻은 이물 및 윤활제 등을 세척해주는 세척(Washing) 공정, 내 외면에 인쇄 및 도료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 캔 뚜껑과 매치되도록 목(Neck)과 플렌지(flange)를 가공하는 성형 공정 등을 거쳐 최종 상품화 된다.
여기서, 캔 뚜껑과 매치되는 캔 몸체의 목 부분 및 플랜지 가공시, 캔의 용이한 적층을 위하여 목 부분의 직경을 몸체의 직경보다 작게 성형하게 되고, 캔 뚜껑과의 결속을 위한 플랜지는 소정의 형태로 절곡 성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캔 뚜껑과 매치를 이루는 캔 몸체의 목(Neck) 부분의 직경을 작게하면서 플랜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성형하는 장치를 그 안출의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실린더 구동방식이나 캠 구동방식으로 확장이 가능한 중앙의 코어 금형(Core mold) 및 이 코어 금형의 움직임과 연계하여 외곽에서 조여주는 아우터 금형(Outer mold)을 조합한 자동화 개념의 성형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캔 몸체의 목 부분과 플랜지 부분을 거의 동시에 성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캔 몸체의 성형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캠 구동방식의 선택적인 작동 메카니즘을 통해 중앙의 코어 금형의 동작을 제어하는 새로운 형태의 성형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아우터 금형을 교체하여 넥 캔(Neck can) 뿐만 아니라 노멀 캔(Normal can)도 함께 성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성형장치의 효용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하 동작되면서 코어 금형과의 접동을 통해, 예를 들면 경사면 간의 접촉을 이용하여 밀어주는 방식을 통해 코어 금형을 확장시켜주는 코어 핀 및 이 코어 핀을 작동시키는 제1실린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코어 핀을 중심으로 배치되고 코어 핀과의 접동에 의해 확장되 는 동시에 제1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면서 캔 몸체의 플랜지 부분을 성형하는 4개의 코어 금형, 상기 각 코어 금형의 외곽에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전후진 동작을 통해 캔 몸체의 목 부분을 성형하는 4개의 아우터 금형 및 이 아우터 금형을 작동시키는 제2실린더, 상기 각 코어 금형의 상면에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아우터 금형에 의한 목 부분 성형시 그 안쪽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서포트 금형 및 아우터 금형에 의한 목 부분 성형시 아우터 금형과 접하면서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밀려나는 슬라이드 금형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실린더 구동방식을 이용하여 캔 몸체의 목 부분과 플랜지 부분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포트 금형은 코어 핀과 함께 동작하는 이젝트 핀과의 접동에 의해 바깥쪽으로 확장되면서 성형이 완료된 캔 몸체의 목 부분을 바깥쪽으로 벌려줄 수 있도록 하여, 성형 후 캔 몸체를 금형측으로부터 쉽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는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코어 금형과의 접동을 통해 코어 금형을 확장시켜주는 내부 캠 및 이 내부 캠을 작동시켜주는 내부 캠 기어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내부 캠을 중심으로 그 둘레에 배치되고 내부 캠과의 접동에 의해 확장되는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면서 캔 몸체의 플랜지 부분을 성형하는 4개의 코어 금형과, 상기 각 코어 금형의 외곽에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캠 곡선을 따라 내외측으로 움직이면서 캔 몸체의 목 부분을 성형 하는 4개의 아우터 금형 및 이 아우터 금형을 지지하는 동시에 캠 홈을 따라 움직이면서 아우터 금형을 내외측으로 동작시켜주는 캠 서포터와, 상기 각 코어 금형의 하면에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아우터 금형과 함께 목 부분을 성형하는 이너 금형 및 이 이너 금형을 지지하는 동시에 캠 홈을 따라 움직이면서 이너 금형을 내외측으로 동작시켜주는 캠 서포터와, 베어링 블럭상에 축설되어 회전가능하며 캠 홈을 이용하여 캠 서포터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외부 캠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 캠의 경우 각 코어 금형의 위치에 1개씩 대응하는 3단의 단차부를 갖는 형태로 구성하고, 이때의 단차부를 이용하여 코어 금형을 순차적으로 밀어주는 방식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어 금형은 내부 캠의 작동과 연계되어 선택적으로 가동 또는 고정되면서 넥 캔과 노멀 캔을 모두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사각형 캔 몸체의 4면 내외측에 배치되는 4쌍의 코어 금형과 아우터 금형 간의 연계적인 동작을 이용하여 캔 몸체의 목 부분과 플랜지 부분을 거의 동시에 성형함으로써, 목 부분과 플랜지 부분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는 등 전반적인 성형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실린더 구동방식이나 캠 구동방식을 적용하는 자동화 개념을 도입한 동시 성형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전체적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셋째, 캠 구동방식의 경우 중앙 코어 금형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가동 또는 정지 제어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넥 캔(Neck can)과 노멀 캔(Normal can)을 적절히 혼용 생산할 수 있는 등 성형장치의 효용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넷째, 캔의 목부분이 내측으로 여유있게 성형됨으로써 캔 완성시 탑이 윗캔에 완전하게 밀착되며 적재가 매우 안정적이며, 윗캔의 하단부가 아래캔의 탑(Top)을 감싸므로 적재동안 발생되는 이물질의 유입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캔 성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코어핀의 상,하 작동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캔 성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캔 성형장치에서 코어 금형과 아우터 금형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층형 캔 성형장치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캔 몸체의 목 부분과 플랜지 부분을 내외측에서 동시 작동하는 4쌍의 코어 금형(11) 및 아우터 금형(17)으로 성형하는 장치로서, 사각형 캔 몸체의 4면에 대한 목 부분 및 플랜지 부분의 가공을 자동화 개념으로 수행함으로써, 성형의 정 밀도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중심부에는 핀 하우징(27) 내에 지지되면서 상하로 동작가능한 코어 핀(12)이 설치되고, 상기 코어 핀(12)의 하부에는 서포트 바(28)를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면에 지지되는 제1실린더(13)가 설치된다.
상기 제1실린더(13)의 로드에 코어 핀(12)이 결합되므로서, 실린더 작동시 코어 핀(12)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코어 핀(12)의 상단 둘레면은 경사면(23a)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때의 경사면(23a)을 이용한 접동을 통해 코어 금형(11)을 바깥쪽으로 밀어낼 수 있다.
즉, 코어 핀(12)의 상승 동작에 의해 코어 금형(11)이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 핀(12)의 상단부에는 헤드부 하측둘레에 경사면(24a)을 갖는 이젝트 핀(22)이 결합되며, 이때의 이젝트 핀(22)은 경사면(24a)을 이용한 접동을 통해 후술하는 서포트 금형을 바깥쪽으로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즉, 이젝터 핀(22)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서포트 금형(19)을 바깥쪽으로 밀어낼 수 있고, 그 결과 성형을 마친 캔 몸체의 플랜지 부분을 포함하는 목 부분 전체가 바깥쪽으로 벌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금형으로부터 캔 몸체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젝터 핀(22)은 나사체결 구조로 코어 핀(12)에 결합된다.
캔 몸체의 플랜지 부분 성형을 위한 4분할된 대략 사각형 형상의 코어 금 형(11)은 4개가 구비되고, 4개의 코어 금형(11)은 상기 코어 핀(12)을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를 따라 방사상의 대칭형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코어 금형(11)의 후단부, 즉 중심쪽에 위치되는 단부에는 경사면(23b)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상기 코어 핀(12)의 경사면(23a)과 접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코어 핀(12)의 상승시 4개의 코어 금형(11)은 일제히 바깥쪽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코어 금형(11)의 확장 후 복귀는 제2스프링(21)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각각의 코어 금형(11)은 제2스프링(21)에 의해 확장 후에 안쪽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의 제2스프링(21)은 코어 금형(11)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홈(30) 내에 배치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제2스프링(21)이 마련된다.
상기 코어 금형(11)은 선단부, 즉 외곽쪽에 위치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단차부(32)를 이용하여 캔 몸체의 플랜지 부분을 성형한다.
즉, 아우터 금형(17)에 의한 목 부분 성형시 이때의 아우터 금형(17)과 상하 밀착되면서 코어 금형(11)이 교차 이동하게 되면, 코어 금형(11)의 단차부(32)에 자리잡고 서 있던 끝부분은 90°수평으로 절곡 성형될 수 있다.
캔 몸체의 목 부분 성형을 위하여 윗쪽에서 바라볼 때 앞쪽 단부가 대략 V홈 모양으로 파여진 형태를 갖는 사각형의 아우터 금형(17)은 4개가 구비되고, 각 아우터 금형(17)은 각각의 4분할된 코어 금형(11)에 1개씩 배속되는 형태로 배치된 다.
이러한 4쌍의 코어 금형(11)과 아우터 금형(17)은 그 각각의 중심축선, 즉 베이스 플레이트 중심과 제2실린더 로드를 연장한 선과 일치되는 축선이 사각형 캔 몸체의 네 모퉁이와 일치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태로 조합된다.
즉, 각 쌍의 코어 금형(11)과 아우터 금형(17)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깥쪽의 아우터 금형(17)은 V홈 모양으로 사각형 캔 몸체의 네 모퉁이 바깥 부분을 수용하는 동시에 안쪽의 코어 금형은 일측 모서리 부분으로 캔 몸체의 네 모퉁이 안쪽 부분을 잡아주는 형태로 조합된다.
상기 아우터 금형(17)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설치되어 있는 양쪽의 금형 가이드(31)에 의해 안내를 받으면서 슬라이드될 수 있고, 그 뒷쪽으로 배치되는 제2실린더(18)의 로드와 연결된다.
이때, 아우터 금형(17)의 후단부와 제2실린더(18)의 로드는 로드 블럭(29)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고, 제2실린더(18)의 경우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에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아우터 금형(17)은 제2실린더(18)의 작동시 전후로 이동하면서 목 부분 성형을 위한 일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아우터 금형(17)의 선단부에는 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돌출부(33)가 후술하는 슬라이드 금형(20)에 의해 받쳐지고 있는 캔 몸체의 하단 둘레를 밀고 들어가게 되므로서, 캔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게 되는 목 부분이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캔 몸체의 목 부분 성형시 아우터 금형(17)의 가압에 대해 캔 몸체 하단부를 안쪽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서포트 금형(19)과 슬라이드 금형(20)이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금형(19)은 각 코어 금형(11)의 상면에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금형(20)은 각 서포트 금형(19)과 코어 금형(11) 사이에 1개씩 개재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의 각 서포트 금형(19)은 바깥쪽으로 확장되거나 안쪽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즉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24b)을 통해 코어 핀(12)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이젝트 핀(22)의 경사면(24a)과 접동되면서 바깥쪽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각각의 서포트 금형(19)은 제1스프링(14)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4분할된 서포트 금형(19)의 바깥쪽에는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 연결하여 당겨줄 수 있도록 된 4개의 제1스프링(14)을 개재하고, 이들의 인장력을 이용해 이젝트 핀(22)에 의해 밀려 벌어졌던 서포트 금형(19)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금형(19)은 아우터 금형(17)에 의한 목 부분 성형시 그 안쪽에서 받쳐주는 역할과 목 부분 성형 후 목 부분이 속해 있는 캔 몸체 하단부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 금형(20)은 아우터 금형(17)의 돌출부(33)와 캔 몸체 하단부를 사이에 두고 접하면서 상대적으로 내측으 로 밀려나 목 부분의 요입 성형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의 슬라이딩 금형(20)은 서포트 금형(19) 내로 절곡되는 절곡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것으로서, 서포트 금형 아래에서 자유롭게 전후 유동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서포트 금형(19)과 같이 마주보는 곳에 스프링을 탄지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도 있다.
즉, 슬라이드 금형(20)은 상기 서포트 금형(19)의 저면에 홈부(19a)를 형성하고 이 홈부(19a) 내에 슬라이드 금형(20)의 상측 돌부가 삽입 결합하도록 한 다음, 리턴스프링(14a)를 개재하여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성형 작동시 내측으로 밀렸던 슬라이드 금형(20)은 동작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금형(19)의 상면에는 커버 플레이트(25)가 설치되어 있어서 서포트 금형(19)의 움직임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5)는 베이스 플레이트(10)상에 볼트로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고, 이때의 볼트는 각 금형이 갖는 슬롯(미도시)을 관통하는 형태로 베이스 플레이트(10)상에 체결될 수 있다.
물론, 이때의 볼트는 서포트 금형, 슬라이드 금형, 코어 금형이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정도를 확보한 상태의 체결력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실린더 방식의 적층형 캔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캔 몸체의 목 부분과 플랜지 부분을 가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 성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의 서포트 금형(19), 슬라이드 금형(20) 및 코어 금형(11)과 외측의 아우터 금형(17)은 간격을 유지한 채 떨어져 있고, 그 사이로 캔 몸체의 하단부(실질적으로는 캔 몸체의 상단부)가 위치된다.
이때의 하단부 끝은 코어 금형(11)에 있는 단차부(32)의 바닥면에 닿게 되고, 하단부 전체는 그 안쪽면이 서포트 금형(19)과 슬라이드 금형(20)에 받쳐지는 상태가 된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2실린더(18)가 전진 작동되면, 각 금형들은 캔 몸체의 하단부를 사이에 두고 합체되면서 목 부분(16)과 플랜지 부분(15)을 동시에 만들어내게 된다.
상기 제2실린더(18)와 거의 동시에 제1실린더(13)가 작동하며, 이때 코어 핀(12)의 상승에 따른 코어 금형(11)과의 접동에 의해 코어 금형(11)은 바깥쪽으로 팽창되고, 이와 동시에 아우터 금형(17)의 돌출부(33)는 슬라이드 금형(20)을 밀고 들어가면서 캔의 목 부분(16)을 만들어 내게 된다.
이와 함께, 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아우터 금형(17)과 외측을 향해 이동하는 코어 금형(11)이 서로의 위아래면을 접하면서 교차하게 되므로, 단차부(32)에 있던 부분이 자연스럽게 90°수평으로 꺽이면서 플랜지 부분(15)을 만들어내게 된다.
도 4c 및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린더(13)와 제2실린더(18)가 전진 후에 후진 작동되면, 아우터 금형(17)은 바깥쪽으로 빠지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코어 핀(12)이 하강하면서 코어 금형(11) 또한 압축되었던 제1 스프링(21)의 팽창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코어 핀(12)의 하강시 이젝트 핀(22)이 경사면 간의 접동을 통해 서포트 금형(19)을 확장시켜주게 되고, 따라서 성형이 완료된 플랜지 부분(15)과 목 부분(16)을 포함하는 캔 몸체의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캔 몸체를 성형장치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실린더 1회 작동과 각 금형들의 1회 합형 및 이형 작동에 의해 하나의 캔 몸체에 대한 목 부분 및 플랜지 부분의 성형을 위한 1사이클 공정이 완료되며, 이후 캔 뚜껑과 매칭되는 성형 공정 등을 거쳐 최종 상품화 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캔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및 측면 구성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캠 구동방식을 이용하여 캔 몸체의 목 부분 및 플랜지 부분을 성형하는 형태를 보여준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조성되는 공간 내에는 캠 샤프트(260)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한 내부 캠(120)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 캠(120)의 하단부에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받아 동작하는 내부 캠 기어(130)가 장착된다.
이때의 캠 샤프트(260)는 베이스(280)에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 블럭(180)의 중심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면서 베어링의 지지를 받아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의 동력원(미도시)에 의해 내부 캠 기어(130)가 회전하면, 캠 샤프트(260)와 함께 내부 캠(120)이 회전하면서 후술하는 코어 금형(110)을 확 장시켜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내부 캠(120)은 각 코어 금형(110)의 위치에 1개씩 대응하는 3단의 단차부(230), 즉 캠 둘레를 따라 90°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의 단차부(230)를 포함하며, 이때의 단차부(230)를 이용하여 코어 금형(110)을 순차적으로 밀어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코어 금형(110)이 단차부(230)의 1단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내측 초기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2단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바깥쪽으로 1차 확장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3단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바깥쪽으로 최대한 확장되면서 아우터 금형(170)과 함께 캔 몸체를 클램핑하는 상태가 된다.
캔 몸체의 목 부분 및 플랜지 부분 성형을 위한 분할된 형태의 대략 사각형의 코어 금형(110)은 4개가 구비되고, 4개의 코어 금형(110)은 상기 내부 캠(120)을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를 따라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코어 금형(110)의 후단부, 즉 중심쪽에 위치되는 단부에는 롤러(240a)가 장착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내부 캠(120)의 단차부(230)와 접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 캠(120)의 회전시 4개의 코어 금형(110)은 일제히 바깥쪽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코어 금형(110)의 확장 후 복귀는 스프링(1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각 코어 금형(110) 간의 경계선상을 기준하여 양편으로는 스프링(140)이 배치되고, 이때의 스프링(140)의 양단부가 서로 이웃하는 각 코어 금형(110) 사이에 연결되므로서, 코어 금형 확장시 팽창되었던 스프링(140)의 인장력 에 의하여 코어 금형(110)은 최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캔 몸체의 목 부분 성형을 위하여 앞쪽 단부가 대략 V홈 모양으로 파여진 형태를 갖는 사각형의 아우터 금형(170)은 4개가 구비되고, 각 아우터 금형(170)은 각각의 코어 금형(110)에 1개씩 배속되는 형태, 즉 각 코어 금형(110)과 함께 하나의 쌍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된다.
즉, 4쌍의 코어 금형(110)과 아우터 금형(170)은 바깥쪽의 아우터 금형(170)이 V홈 모양으로 사각형 캔 몸체의 네 모퉁이 바깥 부분을 수용하는 동시에 안쪽의 코어 금형은 일측 모서리 부분으로 캔 몸체의 네 모퉁이 안쪽 부분을 잡아주는 형태로 조합된다.
이러한 아우터 금형(170)은 캠 곡선을 따라 내외측으로 움직이면서 캔 몸체의 목 부분을 성형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각 아우터 금형(170)은 하단부에 롤러(240b)를 갖는 캠 서포터(160a)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이때의 캠 서포터(160a)는 그 롤러(240b)를 통해 후술하는 외부 캠 기어(220)에 마련되어 있는 캠 홈(150a)을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서, 결국 아우터 금형(170)은 캠 곡선을 따라 이동하는 캠 서포터(160a)의 움직임에 따라 플레이트상의 직선 안내를 받으면서 내외측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아우터 금형(170)은 외부 캠 기어(220)의 작동시 전후로 이동하면서 목 부분 성형을 위한 일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아우터 금형(170)의 선단부에는 돌출부(2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돌출부(290)가 후술하는 슬라이드 금형(200)에 의해 받쳐지고 있는 캔 몸체 의 하단 둘레를 밀고 들어가게 되므로서, 캔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게 되는 목 부분이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캔 몸체의 목 부분 성형시 아우터 금형(170)의 가압에 대해 캔 몸체 하단부를 안쪽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이너 금형(190)과 슬라이드 금형(200)이 구비된다.
상기 이너 금형(190)은 각 코어 금형(110)의 하면에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금형(200)은 각 이너 금형(190)과 코어 금형(110) 사이에 1개씩 개재되는 형태, 즉 코어 금형(110)의 단부 저면에 마련되어 있는 홈부(270) 내에 하나씩 수용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의 슬라이드 금형(200)은 뒷쪽의 리턴 스프링(210)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캔 몸체의 목 부분 성형시 아우터 금형(17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목 부분 안쪽면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각 이너 금형(190)은 바깥쪽으로 확장되거나 안쪽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즉 아우터 금형(170)과 마찬가지로 이때의 이너 금형(190)은 하단부에 롤러(240b)를 갖는 캠 서포터(160b)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이때의 캠 서포터(160b)는 그 롤러(240b)를 통해 외부 캠 기어(220)에 마련되어 있는 캠 홈(150b)을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서, 결국 이너 금형(190)은 캠 곡선을 따라 이동하는 캠 서포터(160b)의 움직임에 따라 플레이트상의 직선 안내를 받으면서 내외측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너 금형(190)과 아우터 금형(170)의 경우, 외부 캠 기 어(220)의 회전시 캠 곡선을 따라 유도되어 동시에 이동되지만, 도 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금형(190)의 경우에 외측으로, 아웃터 금형(170)의 경우에 내측으로 거의 동시에 이동하여 캔의 목 및 플랜지를 성형하도록 캠 홈이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금형(190)은 선단부, 즉 외곽쪽에 위치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단차턱(300)을 이용하여 캔 몸체의 플랜지 부분을 성형한다.
즉, 아우터 금형(170)에 의한 목 부분 성형시 이때의 아우터 금형(170)과 상하 밀착되면서 이너 금형(190)이 교차 이동하게 되면, 이너 금형(190)의 단차턱(300)에 자리잡고 서 있던 끝부분은 90°수평으로 절곡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금형(190)은 아우터 금형(170)에 의한 목 부분 성형시 그 안쪽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 금형(200)은 아우터 금형(170)의 돌출부(290)와 캔 몸체 하단부를 사이에 두고 접하면서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밀려나 목 부분의 요입 성형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의 슬라이딩 금형(200)은 이너 금형(190) 내로 절곡되는 절곡면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것으로서, 위아래 코어 금형(110)과 이너 금형(190) 내에서 전후 유동되며 리턴 스프링에(210)에 의해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 금형(110)의 상면에는 커버 플레이트(250)가 설치되어 있어서 코어 금형(110)의 움직임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50)는 플레이트(100)상에 볼트로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고, 이때의 볼트는 각 금형이 갖는 슬롯을 관통하는 형태로 플레 이트(100)상에 체결될 수 있다.
물론, 이때의 볼트는 이너 금형, 슬라이드 금형, 코어 금형이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정도를 확보한 상태의 체결력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금형(170)과 인너 금형(190)을 움직여주기 위한 수단으로 외부 캠 기어(220)가 마련된다.
상기 외부 캠 기어(220)는 베이스(280)에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 블럭(180)상에 축설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윗면에는 소정의 캠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또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형성되는 2줄의 캠 홈(150a),(150b)이 구비된다.
이러한 외부 캠 기어(220)의 각 캠 홈(150a),(150b)에 아우터 금형(170)의 캠 서포터(160a)와 이너 금형(190)의 캠 서포터(160b)가 각각 수용되므로서, 외부 캠 기어(220)의 회전시 각 캠 서포터(160a),(160b)의 움직임이 캠 곡선을 따라 유도될 수 있고, 따라서 아우터 금형(170)과 이너 금형(190)이 동시에 내외측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의 외부 캠 기어 또한 도명상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의 동력원측과 치합 전동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캠 방식의 적층형 캔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캔 몸체의 목 부분과 플랜지 부분을 가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캔 성형장치의 넥 캔 성형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 일부 평면도 및 확대도이다.
먼저, 내측의 이너 금형(190), 슬라이드 금형(200) 및 코어 금형(110)과 외측의 아우터 금형(170)은 간격을 유지한 채 떨어져 있고, 그 사이로 캔 몸체의 하단부(실질적으로는 캔 몸체의 상단부)가 위치된다.
이때의 캔 몸체의 하단부 끝은 이너 금형(190)에 있는 단차부(230)의 바닥면에 닿게 된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캠(120)의 회전에 의해 단차부(230)의 2단이 코어 금형(110)의 롤러(240a)를 밀어내면 캔 몸체의 하단부 안쪽면은 코어 금형(110)에 의해 내측이 받쳐지는 상태가 된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캠(120)이 회전하여 그 단차부(230)의 3단이 코어 금형(110)의 롤러(240a)를 밀어내고, 이와 동시에 외부 캠 기어(220)의 회전에 의해 아우터 금형(170)이 내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인너 금형(190)이 외측으로 이동하면, 각 금형들은 캔 몸체의 하단부를 사이에 두고 동시에 합체되면서 목 부분과 플랜지 부분을 동시에 성형하게 된다.
즉, 코어 금형(110)은 바깥쪽으로 최대한 확장되고, 이와 동시에 아우터 금형(170)의 돌출부(290)는 슬라이드 금형(200)을 밀고 들어가면서 목 부분을 만들어 내게 된다.
이와 함께, 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아우터 금형(170)과 외측을 향해 이동하는 인너 금형(190)이 서로의 위아래면을 접하면서 교차하게 되므로, 단차턱(300)에 있던 부분이 자연스럽게 90°수평으로 꺽이면서 플랜지 부분을 만들어내게 된다.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캠(120)의 1/4 회전이 완료되고, 외부 캠 기어(220)의 1/4 회전도 완료되면, 아우터 금형(170)은 바깥쪽으로 빠지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인너 금형(190)과 코어 금형(110)도 안쪽으로 빠지면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렇게 각 금형들의 1회 합형 및 이형 작동에 의해 하나의 캔 몸체에 대한 목 부분 및 플랜지 부분의 성형을 위한 1사이클 공정이 완료되며, 이후 캔 뚜껑과 매칭되는 성형 공정 등을 거쳐 최종 상품화 된다.
도 9a 내지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캔 성형장치의 노멀 캔 성형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 일부 평면도 및 확대도이다.
노멀 캔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먼저 위 실시예에서의 아우터 금형(170)을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성형면이 민자인 아우터 금형(170)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성형시 돌출부(290)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캔의 목부분이 성형되지 않으며, 플랜지 부분만 성형된다.
즉,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멀 캔 성형시의 경우, 내부 캠(120)과 코어 금형(110)은 단차부(230)의 2단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캔 몸체의 하단부 안쪽면이 코어 금형(110)에 의해 받쳐지는 상태에서 외부 캠 기어(220)의 회전에 의해 아우터 금형(170)이 내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인너 금형(190)이 외측으로 이동하면, 각 금형들은 캔 몸체의 하단부를 사이에 두고 동시에 합체되면서 플랜지 부분을 동시에 만들어내게 된다.
즉, 코어 금형(110)은 2단 위치에서 캔 몸체 하단부 안쪽면을 받쳐주는 상태 로 고정되고, 계속해서 아우터 금형(170)이 코어 금형(110)측으로 밀착되며, 이와 동시에 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아우터 금형(170)과 외측을 향해 이동하는 인너 금형(190)이 서로의 위아래면을 접하면서 교차하게 되므로, 단차턱(300)에 있던 부분만이 자연스럽게 90°수평으로 꺽이면서 플랜지 부분을 만들어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 캠 기어(220)의 1/4 회전도 완료되면, 아우터 금형(170)은 바깥쪽으로 빠지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인너 금형(190)도 안쪽으로 빠지면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렇게 각 금형들의 1회 합형 및 이형 작동에 의해 하나의 캔 몸체에 대한 플랜지 부분의 성형을 위한 1사이클 공정이 완료되며, 이후 캔 뚜껑과 매칭되는 성형 공정 등을 거쳐 최종 상품화 된다.
이후, 캔 몸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캔 성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코어핀의 상,하 작동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캔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캔 성형장치에서 코어 금형과 아우터 금형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4a,4b,4c,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캔 성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캔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캔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캠 기어를 도시한 평면도
도 8a,8b,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캔 성형장치의 넥 캔 성형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 일부 평면도 및 확대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캔 성형장치의 노멀 캔 성형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 일부 평면도 및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적층형 캔의 적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코어 금형
12 : 코어 핀 13 : 제1실린더
14 : 제1스프링 15 : 플랜지 부분
16 : 목 부분 17 : 아우터 금형
18 : 제2실린더 19 : 서포트 금형
20 : 슬라이드 금형 21 : 제2스프링
22 : 이젝터 핀 23a,23b,24a,24b : 경사면
25 : 커버 플레이트 26 : 스프링 블럭
27 : 핀 하우징 28 : 서포트 바
29 : 로드 블럭 30 : 스프링 홈
31 : 금형 가이드 32 : 단차부
33 : 돌출부
100 : 플레이트 110 : 코어 금형
120 : 내부 캠 130 : 내부 캠 기어
140 : 스프링 150a,150b : 캠 홈
160a,160b : 캠 서포터 170 : 아우터 금형
180 : 베어링 블럭 190 : 이너 금형
200 : 슬라이드 금형 210 : 리턴 스프링
220 : 외부 캠 기어 230 : 단차부
240a,240b : 롤러 250 : 커버 플레이트
260 : 캠 샤프트 270 : 홈부
280 : 베이스 290 : 돌출부
300 : 단차턱

Claims (12)

  1.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상하 동작되면서 코어 금형(11)과의 접동을 통해 코어 금형(11)을 확장시켜주는 코어 핀(12) 및 이 코어 핀(12)을 작동시키는 제1실린더(13);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 코어 핀(12)을 중심으로 배치되고 코어 핀(12)과의 접동에 의해 확장되는 동시에 제1스프링(14)에 의해 복귀되면서 캔 몸체의 플랜지 부분(15)을 성형하는 4개의 코어 금형(11);
    상기 각 코어 금형(11)의 외곽에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전후진 동작을 통해 캔 몸체의 목 부분(16)을 성형하는 4개의 아우터 금형(17) 및 이 아우터 금형(17)을 작동시키는 제2실린더(18);
    상기 각 코어 금형(11)의 상면에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아우터 금형(17)에 의한 목 부분 성형시 그 안쪽에서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서포트 금형(19) 및 아우터 금형(17)에 의한 목 부분 성형시 아우터 금형(17)과 접하면서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밀려나는 슬라이드 금형(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금형(19)은 제2스프링(21)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되어 확장 후 복귀가 가능하게 되고, 상기 코어 핀(12)의 상단에는 이젝트 핀(22)이 설치되어, 코어 핀 하강시 서포트 금형이 이젝트 핀과의 접동에 의해 확장되면서 성형이 완료된 캔 몸체의 목 부분을 바깥쪽으로 벌려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어 핀(12)과 코어 금형(11) 간의 접동, 상기 이젝트 핀(22)과 서포트 금형(19) 간의 접동은 경사면(23a,23b,24a,24b) 간의 접촉에 의해 밀어주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4쌍의 코어 금형(11)과 아우터 금형(17)은 그 각각의 중심축선이 사각형 캔 몸체의 네 모퉁이와 일치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
  5. 플레이트(100)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코어 금형(110)과의 접동을 통해 코어 금형(110)을 확장시켜주는 내부 캠(120) 및 이 내부 캠(120)을 작동시켜주는 내부 캠 기어(130);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내부 캠(120)을 중심으로 그 둘레에 배치되고 내부 캠(120)과의 접동에 의해 확장되는 동시에 스프링(140)에 의해 복귀되면서 캔 몸체의 플랜지 부분을 성형하는 4개의 코어 금형(110);
    상기 각 코어 금형(110)의 외곽에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캠 곡선을 따라 내외측으로 움직이면서 캔 몸체의 목 부분을 성형하는 4개의 아우터 금형(170) 및 이 아우터 금형(170)을 지지하는 동시에 캠 홈(150a)을 따라 움직이면서 아우터 금형(170)을 내외측으로 동작시켜주는 캠 서포터(160a);
    상기 각 코어 금형(110)의 하면에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아우터 금형(170)과 함께 목 부분을 성형하는 이너 금형(190) 및 이 이너 금형(170)을 지지하는 동시에 캠 홈(150b)을 따라 움직이면서 이너 금형(190)을 내외측으로 동작시켜주는 캠 서포터(160b);
    베어링 블럭(180)상에 축설되어 회전가능하며 캠 홈(150a),(150b)을 이용하여 캠 서포터(160a),(160b)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외부 캠 기어(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 코어 금형(110)의 단부 저면에 하나씩 배속되면서 리턴 스프링(210)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캔 몸체의 목 부분 성형시 아우터 금형(17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목 부분 안쪽면을 받쳐주는 슬라이드 금형(2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측형 캔 성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금형(170)의 성형면은 상기 코어 금형(110) 및 이너 금형(170)의 사이에 삽입되며 슬라이드 금형(200)을 밀어내며 캔의 목부분을 성형할 수 있도록 돌출부(29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측형 캔 성형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캠(120)은 각 코어 금형(110)의 위치에 1개씩 대응하는 3단의 단차부(230)를 포함하며, 이 단차부(230)를 이용하여 코어 금형(110)을 순차적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금형(110)은 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롤러(240a)를 이용하여 내부 캠(120)과 구름접촉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캠 서포터(160a),(160b)는 하단부에 장착되는 롤러(240b)를 이용하여 외부 캠 기어(220)의 캠 홈(150a),(150b)을 따라 유도되면서 캠 서포터(160a),(160b)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4쌍의 코어 금형(110)과 아우터 금형(170)은 그 각각의 중심축선이 사각형 캔 몸체의 네 모퉁이와 일치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코어 금형(110)은 내부 캠(120)의 작동과 연계되어 선택적으로 가동 또는 고정되면서 넥 캔과 노멀 캔을 모두 성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캔 성형장치.
KR1020090063009A 2009-02-27 2009-07-10 적층형 캔 성형장치 KR100952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692 2009-02-27
KR20090016692 2009-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859B1 true KR100952859B1 (ko) 2010-04-13

Family

ID=4221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009A KR100952859B1 (ko) 2009-02-27 2009-07-10 적층형 캔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8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1890A (zh) * 2018-05-16 2018-08-21 惠州市诚业家具有限公司 扩网翻边机构
CN108515112A (zh) * 2018-05-16 2018-09-11 惠州市诚业家具有限公司 笔筒扩网装置
CN108723236A (zh) * 2018-07-18 2018-11-02 苏州华源控股股份有限公司 缩口模
CN110153313A (zh) * 2019-04-16 2019-08-23 临颍县森联机械制造有限公司 马口铁罐全自动扣底卷线机
CN110253792A (zh) * 2019-07-30 2019-09-20 哈尔滨市航科技术开发有限责任公司 风洞减重飞机模型复合材料发房部件抽芯式模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62A (ja) * 1994-06-23 1996-01-09 Toray Ind Inc 缶成形用ポリマ被覆金属積層体
JP2007307605A (ja) 2006-05-22 2007-11-29 Mitsubishi Materials Techno Corp 缶成形装置及び缶の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62A (ja) * 1994-06-23 1996-01-09 Toray Ind Inc 缶成形用ポリマ被覆金属積層体
JP2007307605A (ja) 2006-05-22 2007-11-29 Mitsubishi Materials Techno Corp 缶成形装置及び缶の成形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1890A (zh) * 2018-05-16 2018-08-21 惠州市诚业家具有限公司 扩网翻边机构
CN108515112A (zh) * 2018-05-16 2018-09-11 惠州市诚业家具有限公司 笔筒扩网装置
CN108421890B (zh) * 2018-05-16 2023-09-15 惠州市诚业家具有限公司 扩网翻边机构
CN108515112B (zh) * 2018-05-16 2023-09-15 惠州市诚业家具有限公司 笔筒扩网装置
CN108723236A (zh) * 2018-07-18 2018-11-02 苏州华源控股股份有限公司 缩口模
CN110153313A (zh) * 2019-04-16 2019-08-23 临颍县森联机械制造有限公司 马口铁罐全自动扣底卷线机
CN110253792A (zh) * 2019-07-30 2019-09-20 哈尔滨市航科技术开发有限责任公司 风洞减重飞机模型复合材料发房部件抽芯式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7509B2 (en) Tool for forming a three dimensional article or container
KR100952859B1 (ko) 적층형 캔 성형장치
US4441354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thin unitary hollow metal bodies
US9616483B2 (en) Can end with retort resistant panel, and tooling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same
JP5952804B2 (ja) 缶の製造
JP6193346B2 (ja) 深絞り紙トレイ、深絞り紙トレイ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トレイ状製品包装容器
JP2014521518A (ja) 缶製造方法および缶製造装置
US845907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closed profiles
CN105499386A (zh) 基本盖成型与卷边二合一模具及成型方法
RU2018134196A (ru) Вогнутая торцевая крышка банки
JPWO2017073699A1 (ja) 金型、ブロー成形装置、およびブロー成形方法
CN110576116B (zh) 一种啤酒罐旋口盖成型工艺
CN117299975A (zh) 一种复杂钛合金零件成形模具及工艺
CN101927563A (zh) 多门冰箱内胆的成型方法及成型机
CN109530538A (zh) 一种覆膜铁二片奶粉罐的制造系统及制造方法
US201903514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an shell using a draw-stretch process
CN205309091U (zh) 一种基本盖成型与卷边二合一模具
JP2016047542A (ja) 缶の製造方法、ボトムリフォーム機構及びこれに用いるボトム支持部材
CN111229932B (zh) 复合型盖杯成型模具及成型方法
CN210412271U (zh) 压力容器、其端盖及冲压装置
US10525520B2 (en) Polygonal can and method for forming thereof
JP6689687B2 (ja) 缶の製造方法
JP2000254736A (ja) 底部外形成形カップ成形方法及び装置
KR100284057B1 (ko) 자가 냉각용기용 3피이스 캔의 제조방법
JPH04161317A (ja) 容器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