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567B1 -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 - Google Patents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567B1
KR100952567B1 KR1020080004146A KR20080004146A KR100952567B1 KR 100952567 B1 KR100952567 B1 KR 100952567B1 KR 1020080004146 A KR1020080004146 A KR 1020080004146A KR 20080004146 A KR20080004146 A KR 20080004146A KR 100952567 B1 KR100952567 B1 KR 100952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dough
drum mold
stick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1343A (ko
Inventor
안태화
Original Assignee
안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화 filed Critical 안태화
Priority to KR1020080004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567B1/ko
Publication of KR2008001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2Embossing machines
    • A21C11/04Embossing machines with cutting and embossing rollers or dru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빵·도너츠류의 밀가루반죽을 원통케이스에 부착된 드럼몰드(반죽의 여러 가지 모양을 내는 커터날)에서 쉽게 빠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럼몰드에서 반죽이 빠지지 않아 기계를 멈춤으로 해서 생기는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에 관한 것으로 드럼몰드가 일렬로 나열된 원통케이스에 드럼몰드의 모양에 따라 드럼몰드별로 1개 내지 3개의 뚫린 구멍이 형성되고, 뚫린 구멍과 같은 수의 푸쉬업핀을 긴 스틱에 용접하여 제작된 빗모양의 푸쉬업스틱이 원통케이스 안쪽에 설치되며 푸쉬업스틱이 축 방향에서 원주방향으로만 움직일수 있게끔 양 측면에 끝모양이 반원형인 긴 홈이 푸쉬업스틱의 수만큼 구비된 디스크가 장착되고 디스크 바깥쪽으로는 푸쉬업스틱을 원주방향으로 끝까지 밀려 올라가게 하여 푸쉬업핀이 최대한 드럼몰드밖으로 튀어나오게하는 반원형 미끄럼판과 푸쉬업핀을 드럼몰드밖으로 약간만 나오게 하는 직사각형 미끄럼판이 부착된 캠이 설치되며, 축의 맨 가장자리 양쪽에는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를 반죽 이송용 컨베이어에 부착 할 수 있는 고정용 조립 지지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반죽의 모양 성형시 드럼몰드 내에서 반죽이 빠지지 않음으로 해서 발생하는 전체생산라인의 멈춤을 방지 할 수 있고, 반죽이 빠지지 않는 빈도가 커서 자동화가 어려웠던 소형 육각 드럼몰드를 가진 반죽 커터기도 자동화 할 수 있게 되어 인건비절약은 물론 시간당 생산량도 향상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푸쉬업, 반죽, 미끄럼판, 디스크, 캠, 드럼몰드, 케이스, 커터기

Description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Dough auto push-up cutt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에 구비되는 푸쉬업스틱을 부착하기 위해 원통케이스에 드럼몰드 별로 구멍을 뚫은 모습을 보여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의 완성된 모습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푸쉬업스틱이 설치된 모습을 알아보기 쉽도록 표시한 세로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의 측면도,
도 7은 푸쉬업스틱의 개수에 따른 디스크와 스틱의 모양 변화 비교도, 및
도 8은 종래에 사용되었던 반죽 커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원통케이스 4 : 드럼몰드
5 : 푸쉬업핀 7 : 원기둥형 푸쉬업스틱
7a : 직사각기둥형 푸쉬업스틱 10 : 디스크
10a : 긴 홈이 많은 디스크 11 : 긴 홈
12 : 나사 20 : 캠
21 : 반원형 미끄럼판 22 : 고정나사
25 : 직사각형 미끄럼판 26 : 고정나사
30 : 축 31 : 조립용 고정 지지대
32 : 고정핀 33 : 고정핀
본 발명은 모양별로 커팅되어 드럼몰드내에 끼어있는 반죽을 드럼몰드 내에서 완전히 빠질수 있게 한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몰드들이 부착되어있는 원통케이스에 드럼몰드별로 구멍을 뚫고 원통안에 푸쉬업스틱 설치 및 원통 양 측면에 디스크, 그리고 미끄럼판이 부착된 캠을 설치하여 푸쉬업핀이 원통케이스에 뚫린 구멍으로 나왔다 들어갔다 할 수 있게 하여 밀가루반죽이 쉽게 빠지게 함으로써 반죽이 빠지지 않아 기계가 멈춰야했던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도록 하는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밀가루반죽 커터기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죽을 밀어주는 장치 없이 단순히 원통케이스에 드럼몰드만 부착되어 있고 디스크 대신 홈이 없는 단순 원통 덮개와 축만 있었다. 따라서 커팅후 드럼몰드안에 커팅된 반죽들이 반죽의 접 착성 때문에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다음에 커팅해야 할 반죽들이 중첩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기계작동을 수시로 중단시켜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빵류의 전체생산라인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현실에서 한 라인이라도 멈추면 다른 라인들도 멈춰야하기 때문에 이는 시간과 물자의 크나큰 손실을 불러왔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반죽을 드럼몰드의 모양으로 커팅시 커팅된 반죽이 드럼몰드 내에서 완전히 빠질수 있게 하기위해 푸쉬업장치를 이용하여 반죽이 드럼몰드에서 쉽게 빠질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죽이 빠지지 않아 기계가 멈춰야했던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도록 하는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드럼몰드내에서 반죽이 쉽게 빠질수 있도록 드럼몰드가 부착된 원통케이스에 드럼몰드의 모양에 따라 드럼몰드별로 1개 내지 3개의 구멍을 뚫은후 뚫린 구멍과 같은 개수의 푸쉬업핀을 긴 스틱에 용접하여 빗 모양의 푸쉬업스틱을 제작하고, 제작된 푸쉬업스틱들은 원통케이스 안에 부착되며, 푸쉬업핀이 드럼몰드에 뚫린 구멍으로 나왔다 들어가는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원통케이스의 양 옆에 긴 홈이 파인 디스크를 부착한다. 디스크는 긴 홈에서 푸쉬업스틱이 도 7의 A지점과 B지점 사이에서만 왕복운동 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데 반죽이 커팅 되는 시점에서 드럼몰드에 푸쉬업핀이 튀어나와있으면 반죽이 원하는 모양으로 커팅 되기도 전에 드럼몰드 내에서 빠지게 되므로 디스크의 바깥쪽에는 반원형 미끄럼판과 직사각형 미끄럼판이 부착된 캠을 설치하여 반죽이 커팅되고 있는 드럼몰드에는 푸쉬업핀이 원통케이스 속으로 숨게 함으로써 반죽 커팅 방해를 방지하고, 이미 커팅이 끝나 반죽이 끼어 있는 드럼몰드에는 반죽을 빠지도록 푸쉬업핀을 최대한 돌출되게 하는 방식으로 푸쉬업스틱을 제어할수 있게 하며, 축 양 끝단에 조립용 고정 지지대를 장착하여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를 반죽 이송 컨베이어에 장착할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푸쉬업스틱은 사각형 드럼몰드의 경우 디스크에 파인 긴 홈의 개수가 적으므로 홈의 폭이 넓어지게 되어 원기둥형 스틱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육각형 드럼몰드의 경우 푸쉬업스틱의 개수가 사각형 드럼몰드를 사용할 때보다 두배이상 증가하게 되어 좁은 폭을 가진 긴 홈이 파인 디스크(10a)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원기둥형 푸쉬업스틱(7)대신 직사각기둥형 푸쉬업스틱(7a)도 사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업스틱을 부착하기 위해 원통케이스에 드럼몰드별로 구 멍을 뚫은 모습을 보여준 사시도이며, 도 3은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의 완성도이고, 도 4는 푸쉬업스틱이 설치된 모습을 알아보기 쉽도록 표시한 세로방향 단면도이며, 도 5는 완성된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의 정면도 측면도이고, 도 6은 완성된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의 측면도이며, 도 7은 푸쉬업스틱의 개수에 따른 스틱의 모양 변화와 디스크의 긴 홈 수의 변화를 보여준 비교도이고, 도 8은 종래에 사용되었던 반죽 커터기를 보여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럼몰드(4)가 일렬로 부착된 원통케이스(2)에 드럼몰드(4)별로 1개 내지 3개의 뚫린 구멍이 형성되고, 뚫린 구멍수만큼의 푸쉬업핀(5)을 원기둥형 스틱에 용접한 빗모양의 원기둥형 푸쉬업스틱(7)이 형성되며, 원기둥형 푸쉬업스틱(7)이 도 7의 A지점에서 B지점으로만 움직이도록 하는 긴 홈(11)이 원기둥형 푸쉬업스틱(7)의 수만큼 구비된 디스크(10)로 형성되고, 디스크(10) 바깥쪽으로는 푸쉬업스틱(1)을 도 6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기둥형 푸쉬업스틱(7)을 디스크(10)에 파여진 긴 홈(11)의 A지점으로 밀려 올라가게 하여 푸쉬업핀(5)이 최대한 드럼몰드(4)밖으로 튀어나오게 하는 반원형 미끄럼판(21)과 도 6의 D와 같이 푸쉬업핀(5)을 드럼몰드(4) 속으로 들어가게 하는 직사각형 미끄럼판(25)이 설치된 캠(20)으로 형성되며, 축(30)의 맨 가장자리 양쪽에는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를 반죽 이송용 컨베이어에 부착할 수 있는 고정용 조립 지지대(31)가 형성된다.
상기 원통케이스(2)에는 푸쉬업핀(5)이 나왔다들어갔다 할수 있도록 하는 구멍을 드럼몰드(4)의 모양에 따라 드럼몰드(4)별로 1개 내지 3개를 뚫게 된다. 드럼몰드(4)는 밀가루반죽을 모양별로 커팅 하기 위한 커터날이며 모양은 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하트모양, 원형 등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드럼몰드 가운데에는 원형날(8)의 설치유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구멍의 수는 드럼몰드(4)의 가운데에 원형날(8)의 유무에 따라 수가 다르게 되는데, 가운데에 원형날(8)이 있는 드럼몰드의 경우, 원형날(8) 속으로 1개, 원형날(8) 양쪽으로 1개씩, 총 3개의 구멍을 뚫게 되고, 가운데에 원형날(8)이 없는 드럼몰드의 경우, 1개 내지 2개의 구멍을 뚫는다. 첨부된 도면은 가운데에 원형날(8)이 있는 사각형 드럼몰드가 부착된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를 기준으로 그린 것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몰드(4)밖으로 튀어나와있는 푸쉬업핀(5)을 보면 원통케이스(2)에 구멍이 어떻게 뚫려있는가는 상세히 알 수 있다.
상기 원기둥형 푸쉬업스틱(7)은 원통케이스(2)에 뚫린 구멍과 같은 수의 푸쉬업핀(5)을 원기둥형스틱에 용접하여 빗모양이 되도록 만들고, 도 5의 E부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기둥형 푸쉬업스틱(7)의 양 끝부분이 캠(20)에 부착된 반원형 미끄럼판(21)과 직사각형 미끄럼판(25)에 걸칠 수 있도록 원통케이스(2)보다 양쪽으로 20mm 내지 30mm정도 더 나오게끔 길게 제작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케이스(2)속에 넣어서 원통케이스(2)에 뚫린 구멍과 푸쉬업핀(5)이 일치하도록 장착 된다.
상기 푸쉬업스틱(1)의 개수가 10개 이상되는 육각형 드럼몰드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보다 긴 홈(11)의 수가 증가한 디스크(10a)를 사용함에 따라 긴 홈(11)의 폭이 줄어드는 공간상 제약을 고려하여 두께가 얇은 직사각기둥형 푸쉬업스틱(7a)을 사용한다.
상기 디스크(10)는 푸쉬업스틱(1)이 제멋대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기둥형 푸쉬업스틱(7)의 개수만큼 긴 홈(11)이 파여지고, 원기둥형 푸쉬업스틱(7)의 끝부분이 긴 홈(11)에 끼워져서 긴 홈(11)의 A지점과 B지점 사이에서 왕복운동만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원통형 케이스(2)의 양단에 나사(12)로 고정된다.
상기 긴 홈(11)은 원통케이스(2)에 뚫린 구멍과 방향이 정확이 일치하도록 파여지게 된다.
상기 반원형 미끄럼판(21)은 도 6의 C와 도 4의 F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크(10)에 걸쳐있는 원기둥형 푸쉬업스틱(7)을 긴 홈(11)의 A지점으로 밀리게하여, 푸쉬업핀(5)이 드럼몰드(4)밖으로 최대한 튀어나오게 함으로써 이미 커팅된 반죽이 드럼몰드(4)안에서 빠질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며 캔(20)에 나사(22)로 고정된다.
상기 직사각형 미끄럼판(25)은 도 6의 D와 도 4의 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크(10)에 걸쳐있는 원기둥형 푸쉬업스틱(7)을 긴 홈(11)의 B지점으로 밀리게하여 푸쉬업핀(5)이 원통케이스(2)밖으로 조금만 튀어나오게 함으로써 푸쉬업핀(5)이 반죽 커팅이 진행중인 드럼몰드(4)의 커팅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기위해 설치되며, 캠(20)에 나사(26)로 고정된다.
상기 캠(20)은 반원형 미끄럼판(21)과 직사각형 미끄럼판(25)이 부착될수 있도록 도면과 같이 일체형으로 기계가공 되고, 원통케이스(2)와 함께 회전하지 못하도록 축(30)에 핀(32)로 고정된다.
상기 축(30)은 고정축이고, 축(30)을 중심으로 원통케이스(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조립용 고정 지지대(31)는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를 반죽이송 컨베이어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며, 멋대로 회전하지 않도록 축(30)에 핀(33)으로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반죽 푸쉬업 커터기의 효과를 살펴보면, 드럼몰드 내에서 반죽이 빠지지 않는 빈도가 비교적 적은 빵류 자동화 생산라인에서는 드럼몰드 내에서 반죽이 빠지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체생산라인의 멈춤을 방지 할 수 있고, 한 변의 길이가 2cm 내지 3cm정도 되는 작은 육각형 드럼몰드의 경우 드럼몰 드 내에서 반죽이 빠지지 않는 빈도가 커서 자동화가 어려웠으나 푸쉬업장치의 발명으로 반죽이 잘 빠지지 않았던 이런 소형 드럼몰드를 가진 반죽 커터기라도 자동화가 가능하게 되어 사람이 반죽위에서 원통을 굴린 후 드럼몰드 내에 끼인 반죽을 인위적으로 털어줘야만 했었던 불편함을 해소 할 수 있게 되어 인건비절약은 물론 시간당 생산량도 늘릴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밀가루 반죽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커팅하고 반죽을 드럼몰드 내에서 쉽게 빠질 수 있도록 하는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에 있어서,
    밀가루반죽을 모양별로 커팅하기 위한 커터날인 드럼몰드가 바깥면에 부착되고 다수 개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으며 축이 내부로 관통되는 원통형 케이스;
    상기 원통형 케이스 안쪽에 설치되며 드럼몰드별로 뚫린 구멍과 같은 수의 푸쉬업핀이 용접되며 상기 푸쉬업판이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상기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빗모양의 푸쉬업스틱;
    상기 푸쉬업스틱을 디스크의 긴홈의 바깥쪽 끝단과 디스크의 긴홈의 안쪽 끝단 사이에서 왕복운동만 가능하도록 받쳐주기 위하여 상기 푸쉬업 스틱의 양 끝부분이 끼워지는 상기 긴홈이 상기 푸쉬업스틱의 개수만큼 파여져 있고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양단에 고정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푸쉬업스틱을 긴 홈의 바깥쪽 끝단으로 밀리게 하여 반죽이 쉽게 빠지도록 상기 푸쉬업핀을 상기 드럼몰드 바깥으로 최대한 돌출되게 하는 반원형 미끄럼판;
    상기 디스크의 푸쉬업스틱을 긴 홈의 안쪽 끝단으로 밀리게 하여 반죽이 커팅되는 순간에는 상기 푸쉬업핀이 반죽의 커팅을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상기 푸쉬업핀을 드럼몰드 안으로 살짝 들어가게 하는 직사각형 미끄럼판;
    상기 디스크의 바깥쪽에 상기 반원형 미끄럼판과 상기 직사각형 미끄럼판이 부착되며 상기 원통케이스와 함께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축에 고정되는 캠; 및
    상기 축의 맨 가장자리 양쪽에 형성되어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를 반죽 이송 컨베이어에 부착시키기 위한 조립용 고정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
KR1020080004146A 2008-01-14 2008-01-14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 KR100952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146A KR100952567B1 (ko) 2008-01-14 2008-01-14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146A KR100952567B1 (ko) 2008-01-14 2008-01-14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343A KR20080011343A (ko) 2008-02-01
KR100952567B1 true KR100952567B1 (ko) 2010-04-09

Family

ID=39339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146A KR100952567B1 (ko) 2008-01-14 2008-01-14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571A1 (ko) * 2015-03-27 2016-10-06 강주희 도넛 반죽 성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21510A (zh) * 2017-12-04 2018-03-23 安徽中乐食品机械有限公司 采用组合式滚刀的甜甜圈成型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763Y1 (ko) 1999-07-10 2000-02-15 양동연 반죽물응착방지장치
KR200339895Y1 (ko) 2003-10-20 2004-01-28 권혁천 자동 제면기용 야체반죽 혼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763Y1 (ko) 1999-07-10 2000-02-15 양동연 반죽물응착방지장치
KR200339895Y1 (ko) 2003-10-20 2004-01-28 권혁천 자동 제면기용 야체반죽 혼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571A1 (ko) * 2015-03-27 2016-10-06 강주희 도넛 반죽 성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343A (ko) 200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112Y1 (ko) 슬라이싱 기구 및 상기 기구를 사용하는 슬라이서
CN102958412B (zh) 用于家电设备的切割盘
KR100952567B1 (ko) 반죽 자동푸쉬업 커터기
EP2998084B1 (en) Rotary electric shaver
CN102574222B (zh) 铣刀
JP5877865B2 (ja) ヘアクリッピングデバイス
CN102079097A (zh) 食用肉切片机
EP3461605A1 (en) Cutting head for a centrifugal cutting apparatus and centrifugal cutting apparatus equipped with same
US5954279A (en) Cutting mechanism of a document shredder
FI126879B (fi) Seula
KR100907355B1 (ko) 그레이팅 롤러
EP2561780B1 (en) A cutting disc for cutting foodstuffs and corresponding appliance
US11255421B2 (en) Electric control box for control of linear movement
JP2019000932A (ja) 裁断機用カッターおよび製麺機
CN207310318U (zh) 一种切粒机拆卸式滚刀
KR200395792Y1 (ko) 테이프컷터기
KR200421105Y1 (ko) 고추 절단기
RU147009U1 (ru) Мясорубка, рабочий орган и режущий узел, включающий нож и решетку
KR101326738B1 (ko) 롤형의 테이프 커팅장치
CN210782718U (zh) 一种改进型面团挤出机构
CN203092737U (zh) 割泥装置
CN220638016U (zh) 一种食品切片装置
CN211566036U (zh) 一种海绵条切割装置
CN212635966U (zh) 剪切刀座
JPS6227051A (ja) 冷凍餌料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