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565B1 - Internal combustion engine-driven working machine - Google Patents

Internal combustion engine-driven work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565B1
KR100952565B1 KR1020047021528A KR20047021528A KR100952565B1 KR 100952565 B1 KR100952565 B1 KR 100952565B1 KR 1020047021528 A KR1020047021528 A KR 1020047021528A KR 20047021528 A KR20047021528 A KR 20047021528A KR 100952565 B1 KR100952565 B1 KR 100952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flang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24434A (en
Inventor
네모토히데키
시마다유유지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4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5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02B63/04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the engine-generator unit being placed on a frame or in an housing
    • F02B2063/045Frames for generator-engine s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02B63/04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the engine-generator unit being placed on a frame or in an housing
    • F02B63/048Portable engine-generator comb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방호 틀체로 둘러싸인 대략 직방체형상의 공간 내에 내연 기관과 이 내연 기관으로 구동되는 작업기가 좌우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이 윗쪽에 상면에서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이고 외주 측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연료 탱크가 배치되고, 연료 탱크의 플랜지가 상기 틀체의 세로틀 사이에 걸쳐 가설되어 직사각형 지지틀을 구성하는 크로스 멤버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에 있어서, 연료 탱크의 플랜지의 네 모서리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상기 크로스 멤버로부터 연장 형성됨으로써, 지지부재는 크로스 멤버에 의한 직사각형 지지틀의 네 모서리에 돌출 설치되어서, 틀체에 연료 탱크를 삽입할 때 지지부재가 제약하는 것이 적어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 work engine driven by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pace enclosed by a protective frame, and have a flange that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when viewed from the top and extends horizont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thereof.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n work machine in which a fuel tank is arranged and configured such that a flange of the fuel tank is supported between cross frames of the frame and supported by a cross member constituting a rectangular support frame,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flange of the fuel tank is supported. Since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cross member, the support member is protruded at four corners of the rectangular support frame by the cross member, so that the support member is less constrained when inserting the fuel tank into the frame, thereby facilitating the attachment work. do.

Description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INTERNAL COMBUSTION ENGINE-DRIVEN WORKING MACHIN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n work machine {INTERNAL COMBUSTION ENGINE-DRIVEN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내연 기관과, 이 내연 기관으로 구동되는 발전기 및 연료 탱크를 틀체에 방호되어 구비된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working machine provided by protecting a frame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 generator and a fuel tank driven by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기체 전체가 틀체로 둘러싸여 방호된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는, 틀체를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하기 쉬워, 옥외 작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work machine in which the whole body is enclosed and protected by the frame has the frame structure which forms a frame simple and easy to handle, and is widely used for outdoor work.

그리고 연속 운전 시간을 길게 하여 옥외의 작업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해서, 내연 기관 및 발전기의 상부 공간을 이용하여 큰 연료 탱크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And in order to make continuous operation time long and suitable for outdoor work, it is common to install a large fuel tank using the upper spa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generator.

이러한 큰 연료 탱크는, 연료 충만시의 중량이 커서 일본국 특개평 4-11153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의 플랜지 부분을 연료 탱크 지지틀 상에 재치 고정하고 있다. In such a large fuel tank, the weight at the time of fullness of fuel is large, and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4-111530, the flange portion of the fuel tank is fixed on the fuel tank support frame.

동 공보의 예에서는, 연료 탱크의 상면을 보호하는 보호 프레임을 갖지 않기때문에, 연료 탱크를 윗쪽으로부터 연료 탱크 지지틀 상에 내리도록 해서 부착할 수 있으나, 연료 탱크의 상면을 보호하는 보호 프레임이 틀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연료 탱크를 틀체에 윗쪽으로부터 재치하여 부착할 수는 없다. In the example of this publication, since it does not have a protective frame which protects the upper surface of a fuel tank, it can attach so that a fuel tank may be lowered on a fuel tank support frame from the upper side, but the protective frame which protects the upper surface of a fuel tank is framed. If it is formed in the fuel tank, the fuel tank cannot be attached to the housing from above.                 

그래서 일본국 특개평 10-169891호 공보에 기재된 예에서는, 연료 탱크의 상면을 보호하는 보호 프레임의 아래쪽의 틀체의 상부 공간에 측방으로부터 연료 탱크를 수평으로 삽입하여 부착하도록 하고 있으며, 삽입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이 좌우 방향으로 지향한 전후 지지틀에 연료 탱크의 전후 플랜지부를 지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Thus, in the exampl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69891, the fuel tank is inserted horizontally from the side to the upper space of the frame below the protective frame prot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uel tank, and the insertion direction is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flanges of the fuel tank are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support frames orien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실시예에서는 후방 지지틀을 좌우 폭 전체에 걸쳐 내측으로 연장시켜, 전방 지지틀로부터는 지지 브라켓이 내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어, 이 후방 지지틀의 연장부와 전방의 지지 브라켓에 의해 연료 탱크의 전후 플랜지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rear support frame is extended inward over the entire left and right widths, and the support bracket protrudes inward from the front support frame, and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of the fuel tank are extended by the extended support bracket and the front support bracket. The flange portion is supported.

따라서 내측으로 돌출한 후방 지지틀의 연장부와 전방의 지지 브라켓을 삽입 과정의 중량 지지에 이용할 수 있지만, 연료 탱크의 삽입 공간은, 좌우 폭 전체에 걸쳐 전후 폭이 좁아지게 되어, 부착 작업시에는 이 좁은 공간 내에 간섭을 피하도록 주의하면서 삽입을 해야만 해서, 이러한 공간의 제약으로 작업에 시간이 드는 경우가 있다.Therefore, although the extension part of the rear support frame which protruded inward and the front support bracket can be used for the weight support of an insertion process, the insertion space of a fuel tank becomes narrow front and rear width over the whole left and right widths, Insertion must be made with care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in this narrow space, which may result in time consuming work.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연료 탱크의 상면을 보호하는 연료 탱크 보호 부재가 가설되어 있는 틀체로의 연료 탱크의 삽입 공간에 삽입할 때의 제약이 적어 부착 작업이 용이한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point,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small amount of constraints when inserting the fuel tank into a space in which the fuel tank protection member for prot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uel tank is install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n work machine that is easy to work wit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방호 틀체로 둘러싸인 대략 직방 체형의 공간 내에 내연 기관과 이 내연 기관으로 구동되는 작업기가 좌우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이 윗쪽에 상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이고 외주 측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가 형성된 연료 탱크가 배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플랜지가 상기 틀체의 세로틀 사이에 걸쳐 가설되어 직사각형 지지틀을 구성하는 크로스 멤버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상부에는 연료 탱크 보호 부재가 가설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플랜지의 네 모서리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상기 크로스 멤버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연료 탱크 보호 부재의 아래쪽 공간에 측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의 네 모서리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어 부착되도록 구성된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로 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work machine driven by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spac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enclosed by a protective frame, which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in shape and viewed from above on the upper side. A fuel tank having a flang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a side thereof is disposed, wherein the flange of the fuel tank is hypothesized to be supported by a cross member constituting a rectangular support frame between the longitudinal frames of the frame. The fuel tank protection member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uel tank, and support members each supporting four corners of the flange of the fuel tank extend from the cross member, and the fuel tank is disposed below the fuel tank protection member. Inserted into the space from the side so that the four edges of the flange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work machine configured to be supported and attached to the support member.

크로스 멤버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재는, 연료 탱크의 플랜지의 네 모서리를 각각 지지하므로, 크로스 멤버에 의한 직사각형 지지틀의 네 모서리에 돌출 설치되어서, 따라서 틀체에 연료 탱크를 삽입할 때 지지부재가 제약하는 것이 적어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The support members extending from the cross members respectively support the four corners of the flange of the fuel tank, so that they are protrudingly install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rectangular support frame by the cross members, thus limiting the support members when inserting the fuel tank into the frame. There is little thing to do and it is easy to attach work.

연료 탱크를 재치 지지하는 재치 지지부와 고정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를 동일한 지지부재 상에 구비함으로써, 부품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by providing the mounting support part which mounts and supports the fuel tank on the same support member.

연료 탱크의 삽입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했을 때의 전후 방향으로 지향한 좌우 크로스 멤버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지지부재가 연장 형성됨으로써, 연료 탱크를 틀체에 삽입할 때 전후에 제약이 되는 돌출 부재가 없어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The support member extends inward from the left and right cross members orien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fuel tank is inser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that there is no protruding member that is restricted before and after the fuel tank is inserted into the frame. To facilitate.

상기 지지부재의 재치 지지부와 고정 지지부 중 적어도 재치 지지부가 연료 탱크의 플랜지 상에 있고 이 연료 탱크의 본체의 모서리부에 접하는 가상 접선 중 대략 최단이 되는 선분 상에서 지지함으로써, 연료 탱크를 그 플랜지의 모서리부로 지지함에도 불구하고, 큰 지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support and the stationary support of the support member is supported on the flange of the fuel tank and supported on the line segment which is approximately the shortest of the tangential tangents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main body of the fuel tank, thereby supporting the edge of the flange of the flange. In spite of negative support, large support strength can be obtained.

또 연료 탱크를 재치 지지하는 재치 지지부와 고정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를 서로 별체로 함으로써, 어느쪽의 지지부도 작게 할 수 있어, 틀체에 연료 탱크를 삽입할 때 지지부재가 제약하는 것이 적어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In addition, by separately placing the mounting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fuel tank and the fixed support portion for fixing the support tank, either support portion can be made small, and the support member is less constrained when inserting the fuel tank into the frame. Let's do it.

재치 지지부는, 크로스 멤버 중 연료 탱크의 삽입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했을 때의 좌우 방향으로 지향한 전후 크로스 멤버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됨으로써, 연료 탱크를 틀체에 삽입했을 때 재치 지지부가 연료 탱크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어, 그 후의 작업이 쉬워 작업성이 좋다. The mounting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extend inward from the front and rear cross members orien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e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uel tank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mong the cross members, so that when the fuel tank is inserted into the frame, the placing support portion horizontally supports the fuel tank. It is easy to maintain and work afterwards is easy.

고정 지지부는, 크로스 멤버 중 상기 연료 탱크의 삽입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했을 때의 전후 방향으로 지향한 좌우 크로스 멤버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됨으로써, 연료 탱크의 플랜지를 네 모서리로 고정 지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The fixed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extend inwardly from the left and right cross members orien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uel tank is made to the left-right direction among the cross members, so that it is easy to fix and support the flange of the fuel tank at four corners. It is possible.

연료 탱크의 삽입 방향의 선단 플랜지 부분과 후단 플랜지 부분을 팽출(膨出)시켜 상기 고정 지지부에 지지되는 고정용 플랜지가 형성됨으로써, 이 고정용 플랜지를 크게 해도 연료 탱크를 좌우 측방으로부터 틀체에 삽입할 때 방해가 되는 일은 없어, 연료 탱크 용량을 크게 하는 것 및 큰 지지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By expanding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in the fuel tank insertion direction to form the fixing flange supported on the fixed support portion, the fuel tank can be inserted into the fram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even if the fixing flange is enlarged. There is no disturbance at the tim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uel tank capacity and to secure a large support strength.

상기 재치 지지부와 상기 고정 지지부 중 적어도 재치 지지부가 상기 연료 탱크의 플랜지 상에 있고 이 연료 탱크의 본체의 모서리부에 접하는 가상 접선 중 대략 최단이 되는 선분 상에서 지지함으로써, 연료 탱크를 그 플랜지의 모서리부로 지지함에도 불구하고, 큰 지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support and the fixed support supports the fuel tank to the edge of the flange by supporting it on a line segment that is on the flange of the fuel tank and which is approximately the shortest of the tangential tangential to the edge of the main body of the fuel tank. Despite the support, a large support strength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 연료 탱크의 삽입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했을 때의 전후 방향으로 지향한 좌우 크로스 멤버 중 삽입 방향 후방의 크로스 멤버가 착탈가능하게 되고, 이 착탈가능한 크로스 멤버가 상기 연료 탱크가 부착 공간 내에 삽입된 후에 상기 세로틀 사이에 가설됨으로써, 착탈가능해진 크로스 멤버를 떼어낸 상태로, 연료 탱크를 그 떼내어진 틀체의 개구부로부터 삽입하여, 삽입 후 떼내어져 있던 착탈용 크로스 멤버를 가설함으로써, 연료 탱크의 삽입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Further, among the left and right cross members orien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uel tank is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cross member behind the insertion direction is detachable, and the detachable cross member is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space. The fuel tank is inserted by inserting the fuel tank from the opening of the removed frame and installing the detachable cross member detached after the insertion by installing the fuel tank detachably and detachably. Attachment can be performed easily.

상기 크로스 멤버 중 좌우 방향으로 지향하는 전후 크로스 멤버의 적어도 한쪽의 크로스 멤버의 상기 착탈가능한 크로스 멤버에 가까운 단부로부터 재치 지지부가 연장 형성됨으로써, 틀체에 연료 탱크를 삽입했을 때 플랜지의 적어도 세 모서리로 연료 탱크가 재치 지지되어 연료 탱크는 수평 자세가 유지되므로, 그 후의 착탈가능한 크로스 멤버의 가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The mounting support is extended from an end close to the detachable cross member of at least one cross member of the front and rear cross member which is orien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mong the cross members, thereby providing fuel to at least three corners of the flange when the fuel tank is inserted into the frame. Since the tank is supported and the fuel tank is held in a horizontal position, subsequent installation of the detachable cross member can be easily performed, and workability is go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 구동 발전기의 전체 정면도,1 is an overall front view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내연 기관 구동 발전기의 좌측면도,2 is a left side view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n generator,

도 3은 상기 내연 기관 구동 발전기의 우측면도,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n generator,

도 4는 상기 내연 기관 구동 발전기의 평면도, 4 is a plan view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n generator,                 

도 5는 상기 내연 기관 구동 발전기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generator,

도 6은 틀체 및 연료 탱크의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and the fuel tank;

도 7은 틀체의 상부를 수평으로 절단한 내연 기관 구동 발전기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generator cut horizont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7;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 구동 발전기에 있어서의 틀체의 상부를 수평으로 절단한 평면도,9 is a plan view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is horizontally cut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9;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XI of FIG. 10;

도 12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 구동 발전기에 있어서의 틀체의 상부를 수평으로 절단한 평면도,12 is a plan view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a frame is cut horizontally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generato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of FIG. 12;

도 14는 도 12의 IⅨ-Ⅸ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12;

도 15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 구동 발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에 관해 도 1 내지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FIG.

본 실시형태는, 작업기가 발전기인 내연 기관 구동 발전기(1)에 적용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generator 1 whose working machine is a generator.

이 내연 기관 구동 발전기(1)의 전체의 정면도를 도 1, 좌측면도를 도 2, 우 측면도를 도 3, 평면도를 도 4, 사시도를 도 5에 나타낸다. The front view of the who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generator 1 is shown in FIG. 1, the left side view, FIG. 2, the right side view, FIG. 3, the top view, and FIG.

도 1의 정면도에 있어서 지면 앞쪽을 전, 안쪽을 후, 좌측을 좌, 우측을 우로 한다.In the front view of Fig. 1, the front side of the page is before and after, and the left side is left and right.

기체(機體)의 전체를 틀체(20)가 둘러싸 방호하고 있고, 이 틀체(20) 내에 내연 기관(2)이 좌측에, 내연 기관(2)의 출력축에 회전축이 직결된 발전기(3)가 우측에 배치되고, 내연 기관(2)과 발전기(3)의 윗쪽 공간에 상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인 연료 탱크(4)가 매달려 있다. The frame 20 surrounds and protects the entire body, and the generator 3 in which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2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eft side and the rotation shaf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2 in the frame 20 is right. The fuel tank 4 which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ctangular shape as seen from the upper surface in the space above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2 and the generator 3 is suspended.

내연 기관(2)의 좌단에는 리코일 스타터(10)가 설치되고, 리코일 스타터(10)의 후방 위치에 에어 클리너(11)가 설치되고, 에어 클리너(11)와 내연 기관의 실린더의 사이에 기화기나 흡기관 등의 흡기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The recoil starter 10 is installed at the left end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2, and the air cleaner 11 is installed at the rear position of the recoil starter 10, and between the air cleaner 11 and the cylinder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take machine apparatuses, such as an intake pipe, are provided.

발전기(3)의 후방에는, 배기관이나 머플러(40) 등의 배기계 장치가 설치된다. Behind the generator 3, an exhaust system device such as an exhaust pipe or a muffler 40 is provided.

연료 탱크(4)는, 편평 직사각형의 탱크이고, 외주 측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5)가 둘레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5)의 높이 위치의 내면적이 가장 크고, 플랜지(5)로부터 위로 갈수록, 또 밑으로 갈수록 내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The fuel tank 4 is a flat rectangular tank, and a flange 5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is formed over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inner surface area of the height position of the flange 5 is the largest, and the flange ( 5) The inner area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upwards and downwards.

또 연료 탱크(4)의 플랜지(5)에는, 그 네 모서리에 부착구멍(5a)이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attachment hole 5a is form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flange 5 of the fuel tank 4.

연료 탱크(4)의 상면의 대략 중앙 위치에 연료 공급구가 있고, 연료 캡(6)이 나사식 부착되고, 하면의 좌측 가장자리를 따른 위치로부터 연료 콕(7)이 아래쪽으 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내연 기관(2)의 좌외측에 위치하는 연료 콕(7)으로부터 연료 호스(8)가 연장하여 상기 기화기에 연결된다. There is a fuel supply port at an approximately center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uel tank 4, the fuel cap 6 is screwed on, and the fuel cock 7 protrudes downward from the position along the left edge of the lower surface. The fuel hose 8 extends from the fuel cock 7 located on the left outer sid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2 and is connected to the vaporizer.

이상의 기기를 둘러싸서 지지하는 틀체(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프레임을 직사각형 환상(環狀)으로 연속시켜, 대향하는 장척의 프레임 부분을 ㄷ자형상으로 굴곡시켜 직방체의 틀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frame 20 which surrounds and supports the above apparatus continues a pipe frame in a rectangular annular shape, bends the opposing elongate frame part to a c-shape, and forms the fram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ming.

즉 틀체(20)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지향한 전후 1쌍의 전후 수평 프레임(21F, 21R), 이 전후 수평 프레임(21F, 21R)의 좌우 단부가 굴곡하여 윗쪽으로 연장된 4개의 수직 프레임(22F, 22F, 22R, 22R), 전후로 대향하는 수직 프레임(22F, 22R)의 상단을 연결하는 전후 수평 방향으로 지향한 좌우 1쌍의 좌우 수평 프레임(23L, 23R)으로 이루어진다.  That is, the frame 20 includes four front and rear horizontal frames 21F and 21R, which are orie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our vertical frames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frames 21F and 21R are bent and extended upward. 22F, 22F, 22R and 22R,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horizontal frames 23L and 23R which are oriented in the front-rear horizontal direction which connects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s 22F and 22R opposing back and forth.

그리고 좌우 수평 프레임(23L, 23R) 사이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지향한 보호 프레임(24F, 24R)이 전후로 2개 단부를 용접하여 가설되어 있다. And betwee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frames 23L and 23R, the protection frames 24F and 24R which were oriented in the left-right horizontal direction are hypothesized by welding two ends back and forth.

이 전후 1쌍의 보호 프레임(24F, 24R)은, 아래쪽의 전후 1쌍의 전후 수평 프레임(21F, 21R)보다 서로의 간격이 좁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탱크(4)의 윗쪽에 위치하여, 틀체(20)를 보강하는 동시에, 연료 탱크(4)의 상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The front and rear pairs of protection frames 24F and 24R have a smaller distance from each other than the front and rear pairs of front and rear horizontal frames 21F and 21R, and as shown in FIGS. 4 and 5, Located above, it has a function to reinforce the frame 20 and to protect the upper surface of the fuel tank 4.

하부의 전후 1쌍의 전후 수평 프레임(21F, 21R) 사이에 기체 지지 플레이트(25L, 25R)가 좌우로 1쌍 가설되고, 이 기체 지지 플레이트(25L, 25R)에 마운트 부재(26)를 통해 내연 기관(2) 및 발전기(3)가 지지된다. One pair of base support plates 25L and 25R are installed between left and right front and rear pairs of front and rear horizontal frames 21F and 21R, and the internal combustion is mounted on the base support plates 25L and 25R through the mounting member 26. The engine 2 and the generator 3 are supported.

틀체(20)의 좌우 1쌍의 전방 수직 프레임(22F, 22F) 사이 및 후방 수직 프레 임(22R, 22R) 사이에는 소정 높이로 전후 1쌍의 전후 크로스 멤버(27F, 27R)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지향하여 가설되어 있다. A pair of front and rear cross members 27F and 27R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s of the front vertical frames 22F and 22F and the rear vertical frames 22R and 22R of the frame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hypothesized.

전후 크로스 멤버(27F, 27R)는 직사각형 통형상을 하고 있다. The front and rear cross members 27F and 27R have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전방 크로스 멤버(27F)의 전면에는, 출력 콘센트,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배치한 컨트롤 패널(41)이 부착되어 있다. The control panel 41 which arrange | positioned an output outlet, various operation switches, etc.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ross member 27F.

또 틀체(20)의 우측의 전후 수직 프레임(22F, 22R) 사이에는, 같은 소정 높이로 직사각형 통형상의 우측 크로스 멤버(28R)가 전후 수평 방향으로 지향하여 가설되어 있다. Further,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rtical frames 22F and 22R on the right side of the frame 20, a rectangular cylindrical right cross member 28R is hypothesized at the same predetermined height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이 우측 크로스 멤버(28R)의 내면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료 탱크(4)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29, 29)이 내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The support brackets 29 and 29 which support the fuel tank 4, respectively, protrude toward the inside from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ight cross member 28R.

한편 우측 크로스 멤버(28R)에 대향하여 쌍을 이루는 좌측 크로스 멤버(28L)는, 우측 크로스 멤버(28R)와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면 양단부에 마찬가지로 지지 브라켓(29, 29)이 내측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는데, 이 좌측 크로스 멤버(28L)는 틀체(20)에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eft cross member 28L paired opposite to the right cross member 28R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right cross member 28R, and the support brackets 29 and 29 protrude inwardly in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Although this left cross member 28L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rame 20, it is provided.

이 좌측 크로스 멤버(28L)가 가설되는 좌측의 전후 수직 프레임(22F, 22R)에는, 소정 높이에 부착 브라켓(30, 30)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부착 브라켓(30, 30)에 좌측 크로스 멤버(28L)의 양 단부를 맞닿게 해 볼트(31, 31)에 의해 나사식 부착함으로써 상기 우측 크로스 멤버(28R)와 좌우 대칭 위치에 부착된다. The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22F and 22R on which the left cross member 28L is installed are provided with attachment brackets 30 and 30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left cross member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brackets 30 and 30. Both ends of the 28L are abutted and screwed by the bolts 31 and 31 to be attached to the right and left cross members 28R in a symmetrical position.

이렇게 좌우 크로스 멤버(28L, 28R)는 연료 탱크 지지틀을 형성하고 있고, 이 좌우 크로스 멤버(28L, 28R)의 각각 양 단부로부터 돌출 설치된 네 모서리의 지 지 브라켓(29)에 연료 탱크(4)의 플랜지(5)가 재치된다. The left and right cross members 28L and 28R form a fuel tank support frame, and the fuel tank 4 is provided on the four corner support brackets 29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cross members 28L and 28R. Flange 5 is mounted.

지지 브라켓(29)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수평판부(29h)와 수직판부(29v)가 직각으로 굴곡한 형상을 하고 있고, 좌우 크로스 멤버(28L, 28R)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기단(基端)측에 비해, 선단측은 다소 폭이 좁게 되어 있다. The support bracket 29 has a shape in which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29h and the vertical plate portion 29v are bent at right angles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and are welded and fixed to the left and right cross members 28L and 28R. Compared to the base side, the tip side is somewhat narrower in width.

수평판부(29h)의 기단측에는 볼트구멍(29a)이 형성되고, 수평판부(29h)의 이면에 이 볼트구멍(29a)에 너트(32)가 고착되어 있고, 선단측에는 끼워맞춤구멍에 탄성 지지체(33)가 끼움 부착되어 있다. The bolt hole 29a is formed in the base end side of the horizontal board part 29h, The nut 32 is fixed to this bolt hole 29a in the back surface of the horizontal board part 29h, and the elastic support body is fitted in the fitting hole in the front end side. 33) is fitted.

한편, 연료 탱크(4)에 있어서의 플랜지(5)의 네 모서리에 형성된 부착구멍(5a)에는, 중앙에 원통형상의 칼라(35)가 삽입된 탄성을 갖는 지지 그로멧(34)이, 각각 끼움 부착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ttachment hole 5a form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flange 5 in the fuel tank 4, the support grommets 34 which have elasticity in which the cylindrical collar 35 was inserted in the center are fitted, respectively. do.

따라서 틀체(20)의 네 모서리에 돌출 설치된 지지 브라켓(29)에 연료 탱크(4)의 플랜지(5)의 4개의 모서리부가 재치되면, 탄성 지지체(33) 및 지지 그로멧(34)을 통해 지지 브라켓(29)에 지지되고, 이 상태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5)의 지지 그로멧(34)에 삽입된 칼라(35)와 지지 브라켓(29)의 볼트구멍(29a)에 볼트(37)를 관통시켜 수평판부(29h)의 이면에 고착된 너트(32)에 나사식 결합하여 부착한다.Therefore, when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flange 5 of the fuel tank 4 are placed on the support bracket 29 protruding from the four corners of the frame 20, the support bracket is supported through the elastic support 33 and the support grommets 34. The bolt 37 is supported by the collar 29 and the collar 35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grommet 34 of the flange 5 and the bolt hole 29a of the supporting bracket 29 as shown in FIG. It penetrates and attaches to the nut 32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horizontal board part 29h.

연료 탱크(4)를 틀체(20)에 부착하는 작업 순서는, 먼저 착탈가능한 좌측 크로스 멤버(28L)가 떼내어진 틀체(20)의 좌측 개구로부터 연료 탱크(4)를, 연료 콕(7)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을 선두로 해서 대략 수평 자세로 삽입하고, 삽입 방향의 선단 플랜지부의 전후 양단을 우측 크로스 멤버(28R)로부터 돌출 설치된 전후 지지 브라켓(29, 29)에 재치한다. The work order for attaching the fuel tank 4 to the frame 20 is to first move the fuel tank 4 from the left opening of the frame 20 from which the detachable left cross member 28L is remove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ont end flange portion in the insertion direction ar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29 and 29 protruding from the right cross member 28R, with the side opposite to the provided side in the substantially horizontal posture.

이어서 좌측 크로스 멤버(28L)를 좌측 수직 프레임(22F, 22R)에 가설하여 이좌측 크로스 멤버(28L)로부터 돌출 설치된 전후 지지 브라켓(29, 29)에 후단 플랜지부의 전후 양단을 재치하여 연료 탱크(4)를 지지시킨다. Subsequently, the left cross member 28L is hypothesized to the left vertical frames 22F and 22R, a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rear flange portion are placed on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29 and 29 protruding from the left cross member 28L. Support 4).

그리고 연료 탱크(4)의 플랜지(5)의 네 모서리를 볼트(37)에 의해 지지 그로멧(34)을 통해 고정한다. The four corners of the flange 5 of the fuel tank 4 are fixed through the support grommets 34 by bolts 37.

본 틀체(20)는, 연료 탱크(4)의 윗쪽에 보호 프레임(24F, 24R)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연료 탱크(4)를 윗쪽으로부터 틀체(20) 내에 재치할 수 없으나, 그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틀체(20) 내에 측방으로부터 연료 탱크(4)를 삽입함으로써, 틀체(20) 내에 내연 기관(2) 및 발전기(3)가 장착 지지된 상태라도 연료 탱크(4)의 삽입 및 부착은 가능해진다. · Since the frame 20 is provided with protective frames 24F and 24R on the upper side of the fuel tank 4, the fuel tank 4 cannot be mounted in the frame 20 from the upper side. By inserting the fuel tank 4 from the side in the frame 20 as described above, the fuel tank 4 can be inserted and attached even whe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2 and the generator 3 are mounted and supported in the frame 20. . ·

또한, 연료 탱크(4)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연료 콕(7)은, 왼쪽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 작업시에는 내연 기관(2)과는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fuel cock 7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uel tank 4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2 at the time of insertion as mentioned above at the left side.

따라서 연료 탱크(4)의 삽입시에는, 연료 탱크(4)가 삽입되는 통로에 상당하는 전후 크로스 멤버(27F, 27R) 사이의 도중의 공간 내에는 삽입의 방해가 되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것은 없으므로, 연료 탱크(4)의 삽입은 용이하게 행해져, 부착 작업이 원활히 행해진다. Therefore,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fuel tank 4, there is no protruding inward in the way of the inser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cross members 27F and 27R corresponding to the passage into which the fuel tank 4 is inserted. Insertion of the fuel tank 4 is performed easily, and an attachment operation is performed smoothly.

또한 전후의 좌측 크로스 멤버(28L)가 떼내어진 틀체(20)의 좌측 개구에는, 부착 브라켓(30, 30)이 돌출되어 있는데, 돌출량은 근소하여, 연료 탱크(4)의 플랜지(5)가 부착 브라켓(30, 30)의 위를 통과하도록 삽입함으로써, 거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Moreover, although the attachment brackets 30 and 30 protrude in the left opening of the frame 20 from which the front-back left cross member 28L was removed, the protrusion amount is small and the flange 5 of the fuel tank 4 is By inserting it through the attachment brackets 30 and 30, it is hardly disturbed.

또한 부착 브라켓(30, 30)을 수직 프레임(22F, 22R)에 직접 형성함으로써, 이 돌출을 없앨 수도 있다. In addition, this protrusion can be eliminated by forming the attachment brackets 30 and 30 directly on the vertical frames 22F and 22R.

이상과 같이 하여 연료 탱크(4)가 틀체(20) 내에 삽입되어 네 모서리에 돌출 설치된 지지 브라켓(29)에 지지되었을 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지지체(33)에 의한 재치 지지점(P)은, 연료 탱크(4)의 플랜지(5) 상에 있고 연료 탱크 본체(4a)의 모서리부에 접하는 가상 접선 중 대략 최단이 되는 선분(t)(도 7에 나타낸 파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uel tank 4 is inserted into the frame 20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 29 protruding at four corners, as shown in FIG. 7, the mounting support point P by the elastic support 33 is shown. Is located on the line segment t (broken line shown in FIG. 7) which is on the flange 5 of the fuel tank 4 and becomes the shortest of the virtual tangential lines which contact the edges of the fuel tank main body 4a.

따라서 플랜지(5)에 작용하는 절곡 방향의 힘에 대해서도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Therefore, high strength can also be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force in the bending direction acting on the flange 5.

즉 본 연료 탱크(4)의 부착 구조는, 중량물인 연료 탱크(4)를 플랜지(5)의 네 모서리로 지지하는 것인데, 플랜지(5)의 상기 재치 지지점(P)에서 지지함으로써 충분한 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fuel tank 4 is to support the heavy fuel tank 4 at the four corners of the flange 5, and by supporting it at the mounting support point P of the flange 5, sufficient support strength is achieved. It can be secured.

다음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도 9 내지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Next,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9 to 11.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 구동 발전기는, 그 틀체 본체 및 연료 탱크는 상기 실시형태의 틀체(20) 및 연료 탱크(4)와 동일한 것이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ame body and the fuel tank are the same as the frame body 20 and the fuel tank 4 of the above embodiment, and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틀체(20) 내의 네 모서리에 있어서 전후 크로스 멤버(27F, 27R)로부터 내측으로 재치 지지 브라켓(50)이 돌출 설치되고, 좌우 크로스 멤버(28L, 28R)로부터 내측으로 고정 지지 브라켓(51)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support bracket 50 protrudes inward from the front-back cross member 27F, 27R in four corners in the frame 20, and is fixedly supported inward from the left and right cross members 28L, 28R. The bracket 51 protrudes.                 

재치 지지 브라켓(50)은, 직사각형의 수평판부(50h)와 그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굴곡한 삼각형상의 수직판부(50v, 50v)로 이루어지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측이 전후 크로스 멤버(27F, 27R)에 용접 고정되고, 수평판부(50h)의 끼워맞춤구멍에 탄성 지지체(52)가 끼움 부착되어 있다. The mounting support bracket 50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horizontal plate portion 50h and triangular vertical plate portions 50v and 50v which are bent downward from both edges thereof, and as shown in FIG. It is welded and fixed to 27F, 27R, and the elastic support body 52 is fitted in the fitting hole of the horizontal board part 50h.

한편 고정 지지 브라켓(51)도, 직사각형의 수평판부(51h)와 그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굴곡한 삼각형상의 수직판부(51v, 51v)로 이루어지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측이 전후 크로스 멤버(28L, 28R)에 용접 고정되고, 수평판부(51h)에 볼트구멍을 갖고 이면에 너트(53)가 고착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xed support bracket 51 also consists of a rectangular horizontal plate part 51h and triangular vertical plate parts 51v and 51v bent downward from both edges thereof, and as shown in FIG. It is welded and fixed to 28L and 28R, has a bolt hole in the horizontal plate part 51h, and the nut 53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이 고정 지지 브라켓(51)에 대한 연료 탱크(4)의 플랜지(5)의 부착 구조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도 11에 도시한다.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flange 5 of the fuel tank 4 to this fixed support bracket 51 is the same as that of the said embodiment, and is shown in FIG. 11 using the same code | symbol.

그리고 재치 지지 브라켓(50)의 탄성 지지체(52)의 위치 및 고정 지지 브라켓(51)의 볼트구멍의 위치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And the position of the elastic support body 52 of the mounting support bracket 50, and the position of the bolt hole of the fixed support bracket 51 are also the same as the said embodiment.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지지체(52)에 의한 재치 지지점(P)은, 연료 탱크(4)의 플랜지(5) 상에 있고 연료 탱크 본체(4a)의 모서리부에 접하는 가상 접선 중 최단이 되는 선분(t) 상에 위치하고 있어서, 연료 탱크(4)의 지지에 대해 충분한 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also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he mounting support point P by the elastic support body 52 is on the flange 5 of the fuel tank 4, and is the edge part of the fuel tank main body 4a. It is located on the line segment t which becomes the shortest among the virtual tangential which contact | connects and it can ensure sufficient support strength with respect to the support of the fuel tank 4.

그리고 연료 탱크(4)의 틀체(20) 내로의 삽입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좌측 크로스 멤버(28L)가 떼내어진 틀체(20)의 좌측 개구로부터 연료 탱크(4)를 수평 자세로 삽입하고, 플랜지(5)의 네 모서리 부분을 전후 크로스 멤버(27F, 27R)로부터 돌출 설치된 4개의 재치 지지 브라켓(50)에 재치하여 연료 탱크(4)를 지지하 고, 이어서 좌측 크로스 멤버(28L)를 좌측 수직 프레임(22F, 22R)에 가설한다. And the insertion of the fuel tank 4 into the frame 20 is also the same as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fuel tank 4 is inserted in the horizontal position from the left opening of the frame 20 from which the left cross member 28L is removed.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flange 5 are mounted on four mounting support brackets 50 protruding from the front and rear cross members 27F and 27R to support the fuel tank 4, and then the left cross member 28L is supported. It hypothesizes to the left vertical frames 22F and 22R.

연료 탱크(4)의 삽입시에 연료 탱크(4)가 삽입되는 통로에 상당하는 전후 크로스 멤버(27F, 27R)에는 삽입 방향의 안쪽(우단부)과 앞쪽(좌단부)에 재치 지지 브라켓(50)이 약간 돌출 설치되어 있으나, 그 사이의 삽입 공간 내에는 삽입의 방해가 되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것은 없으므로, 연료 탱크(4)의 삽입은 용이하게 행해져, 부착 작업이 원활히 행해진다. The front and rear cross members 27F and 27R corresponding to the passages through which the fuel tank 4 is inserted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fuel tank 4 are placed on the inside (right end) and the front (left end) in the insertion direction. ) Is slightly protruded, but since there is no protruding inwardly in the insertion space therebetween, the fuel tank 4 is easily inserted and the attachment work is performed smoothly.

또한 앞쪽(좌단부)의 재치 지지 브라켓(50)은, 삽입 개구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부착 브라켓(30)과 마찬가지로 연료 탱크(4)의 플랜지(5)가 재치 지지 브라켓(50)의 위를 통과하도록 삽입함으로써, 연료 탱크(4)를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Moreover, since the mounting support bracket 50 of the front (left end part)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insertion opening, the flange 5 of the fuel tank 4 is made of the mounting support bracket 50 similarly to the said attachment bracket 30. By inserting through the stomach,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the fuel tank 4.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도 12 내지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12 to 14.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내연 기관 구동 발전기는, 그 틀체 본체는 상기 실시형태의 틀체(20)와 동일한 것이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generator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uses the same code | symbol because the frame main body is the same as the frame 20 of the said embodiment.

연료 탱크(70)는, 상기 연료 탱크(4)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는데, 플랜지(71)가 약간 다르고, 삽입 방향의 선단(우) 플랜지 부분(71R)의 전후 소정 개소를 팽출시킨 고정용 플랜지(72R, 72R) 및 후단(좌) 플랜지 부분(71L)의 전후 소정 개소를 팽출시킨 고정용 플랜지(72L, 72L)가 형성되어 있다. The fuel tank 70 has a shap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uel tank 4, but the flange 71 is slightly different, and the fixing in which the fuel tank 70 swells the predetermined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front end (right) flange portion 71R in the insertion direction. Fixing flanges 72L and 72L in which predetermined front and rear predetermined portions of the flanges 72R and 72R and the rear end (left) flange portion 71L are expanded.

한편 틀체(20)는 네 모서리에 있어서, 전후 크로스 멤버(27F, 27R)로부터 내측으로 재치 지지 브라켓(73)이 돌출 설치되고, 좌우 크로스 멤버(28L, 28R)로부터 내측으로 고정 지지 브라켓(74)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rame 20, the mounting support bracket 73 protrudes inward from the front-back cross member 27F, 27R in four corners, and the fixed support bracket 74 is fixed inward from the left and right cross members 28L, 28R. This protrusion is installed.                 

재치 지지 브라켓(73)은, 직사각형의 수평판부(73h)와 그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굴곡한 삼각형상의 수직판부(73v, 73v)로 이루어지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측이 전후 크로스 멤버(27F, 27R)에 용접 고정되고, 수평판부(73h)의 끼워맞춤구멍에 탄성 지지체(75)가 끼움 부착되어 있다. The mounting support bracket 73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horizontal plate portion 73h and triangular vertical plate portions 73v and 73v that are bent downward from both edges thereof, and as shown in FIG. It is welded and fixed to 27F, 27R, and the elastic support body 75 is fitted to the fitting hole of the horizontal board part 73h.

고정 지지 브라켓(74)도, 직사각형의 수평판부(74h)와 그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굴곡한 삼각형상의 수직판부(74v, 74v)로 이루어지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측이 좌우 크로스 멤버(28L, 28R)에 용접 고정되고, 수평판부(74h)에 볼트구멍을 갖고 이면에 너트(76)가 고착되어 있다. The fixed support bracket 74 also includes a rectangular horizontal plate portion 74h and triangular vertical plate portions 74v and 74v bent downward from both edges thereof, and as shown in FIG. It is welded and fixed to 28L and 28R, has a bolt hole in the horizontal board part 74h, and the nut 76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본 실시형태의 경우, 재치 지지 브라켓(73)의 전후 크로스 멤버(27F, 27R)에 대한 고정 위치는 상기 도 9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동일한데, 고정 지지 브라켓(74)의 좌우 크로스 멤버(28L, 28R)에 대한 각 고정 위치는 달라 상기 도 9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비해 다소 서로 근접한 위치에 있고, 연료 탱크(70)의 선후단 플랜지 부분(71R, 71L)의 팽출한 고정용 플랜지(72R, 72L)에 대응한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fix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back cross member 27F, 27R of the mounting support bracket 73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left-right cross member 28L, 28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9, which is somewhat closer to each other, and the expanded fixing flanges 72R, 72L of the front and rear flange portions 71R, 71L of the fuel tank 70 are different. )

연료 탱크(70)의 고정용 플랜지(72R, 72L)의 고정 지지 브라켓(74)에 대한 부착 구조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 11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부착 구조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The attachment structure to the fixed support bracket 74 of the fixing flange 72R, 72L of the fuel tank 70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shown in FIG. 11, as shown in FIG. 14, and the same code | symbol in an attachment structure. Use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용 플랜지(72R, 72L)의 일부는 좌우 크로스 멤버(28L, 28R)에 지지 그로멧(34)을 통해 재치되어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a part of the fixing flanges 72R, 72L i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cross members 28L, 28R via the support grommets 34.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용 플랜지(72R, 72L)에 의한 고정 지 지점(Q)은, 재치 지지 브라켓(73)에 의한 재치 지지점(P)과 마찬가지로, 연료 탱크(70)의 플랜지(71) 상에 있고 연료 탱크 본체(70a)의 모서리부에 접하는 가상 접선 중 최단이 되는 선분(t) 상에 위치하고 있다. And as shown in FIG. 12, the fixing point Q by the fixing flange 72R, 72L is the flange 71 of the fuel tank 70 similarly to the mounting support point P by the mounting support bracket 73. As shown in FIG. ) Is positioned on the line segment t which is the shortest of the tangential tangents in contact with the corner portion of the fuel tank main body 70a.

따라서 연료 탱크(70)의 지지에 대해 보다 큰 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greater support strength can be ensur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of the fuel tank 70.

연료 탱크(70)의 삽입시에 연료 탱크(4)가 삽입되는 통로에 상당하는 전후 크로스 멤버(27F, 27R)에는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삽입 방향의 안쪽(우단부)과 앞쪽(좌단부)에 재치 지지 브라켓(73)이 약간 돌출 설치되어 있으나, 그 사이의 삽입 공간에는 삽입의 방해가 되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것은 없으므로, 연료 탱크(4)의 삽입은 용이하게 행해져, 부착 작업이 원활히 행해진다. In the front and rear cross members 27F and 27R corresponding to the passages through which the fuel tank 4 is inserted at the time of insertion of the fuel tank 70, the inside (right end) and the front (left end) of the insertion direction are the same as 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the mounting support bracket 73 protrudes slightly, the insertion space therebetween does not protrude inwardly, which hinders the insertion. Therefore, the fuel tank 4 is easily inserted and the attachment work is performed smoothly. .

또 연료 탱크(70)의 플랜지(71)에 팽출하여 형성되는 고정용 플랜지(72L, 72R)는 삽입 방향의 안쪽과 앞쪽에 있기 때문에, 고정용 플랜지(72L, 72R)의 돌출량이 커져도 연료 탱크(70)의 삽입시에는 방해가 되는 일이 없고, 그 돌출량을 크게 한만큼 연료 탱크 용량을 늘리거나, 플랜지측의 지지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flanges 72L, 72R formed by expanding to the flange 71 of the fuel tank 70 are inward and forward in the insertion direction, even if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fixing flanges 72L, 72R increases, the fuel tank ( The insertion of 70) is not hindered and the fuel tank capacity can be increased or the support strength on the flange side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protrusion.

다음에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도 1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Next,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15.

기본적으로는 상기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데, 일부 연료 탱크(4)의 플랜지(5)의 네 모서리를 지지하는 4개 지지 브라켓(29) 중 착탈가능한 좌측 크로스 멤버(28L)의 한쪽의 지지 브라켓(81)이 볼트구멍(81a)만 형성되어 있고 재치용의 탄성 지지체(33)는 구비하지 않고, 이 탄성 지지체(33)에 상당하는 것은, 후측 크로스 멤버(27R)의 좌측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설치된 재치용 지지 브라켓(82)에 끼움 부착된 탄성 지지체(83)이다. Basic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o FIG. 8 above, the removable left cross member 28L of the four support brackets 29 supporting the four corners of the flange 5 of some fuel tank 4. Of one of the support brackets 81 is provided with only the bolt holes 81a and does not include an elastic support 33 for mounting, and corresponds to the elastic support 33 for the rear cross member 27R. It is an elastic support 83 fitted to the mounting support bracket 82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left part.

이러한 점이 상기 실시형태와 다른 것이며, 그 밖은 동일하므로, 동일 부재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Since this point is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others are the same, the same member uses the same reference numeral.

연료 탱크(4)를 틀체(20)에 부착하는 작업에 있어서, 착탈가능한 좌측 크로스 멤버(28L)가 떼내어진 틀체(20)의 좌측 개구로부터 연료 탱크(4)를, 연료 콕(7)이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을 선두로 해서 대략 수평 자세로 삽입하고, 삽입 방향의 선단 플랜지부의 전후 양단을 우측 크로스 멤버(28R)로부터 돌출 설치된 전후 지지 브라켓(29, 29)에 재치하는 동시에, 후단 플랜지부의 후측을 후측 크로스 멤버(27R)로부터 돌출 설치된 재치용 지지 브라켓(82)에 재치하고, 연료 탱크(4)는 플랜지(5)의 세 모서리가 지지되어 수평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e operation of attaching the fuel tank 4 to the frame 20, the fuel cock 7 is provided with the fuel tank 4 from the left opening of the frame 20 from which the removable left cross member 28L is remove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ont end flange portion in the insertion direction are placed on the front and rear support brackets 29 and 29 protruding from the right cross member 28R, and the rear end is inserte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posture with the opposite side as the head. The rear side of the flange portion is placed on a mounting support bracket 82 protruding from the rear cross member 27R, and the fuel tank 4 can support three corners of the flange 5 to maintain a horizontal posture.

따라서 좌측 크로스 멤버(28L)를 부착할 때, 수평 자세가 유지된 연료 탱크(4)의 플랜지(5)의 하면에 지지 브라켓(29, 81)을 따라 좌측 크로스 멤버(28L)를 좌측 수직 프레임(22F, 22R)에 끼워넣어, 부착 브라켓(30, 30)에 좌측 크로스 멤버(28L)의 양 단부를 볼트(31, 31)에 의해 나사식 부착하여 가설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attaching the left cross member 28L, the left cross member 28L is placed along the support brackets 29 and 8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5 of the fuel tank 4 in which the horizontal posture is maintained. 22F, 22R, and both ends of the left cross member 28L can be screwed to the attachment brackets 30 and 30 by the bolts 31 and 31, and can be constructed.

이렇게 연료 탱크(4)는 플랜지(5)의 세 모서리가 지지되어 수평 자세가 유지되므로, 작업자가 연료 탱크(4)의 후단 플랜지부를 지탱하여 수평 자세를 유지하면서 좌측 크로스 멤버(28L)를 가설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좋다. Since the fuel tank 4 is supported by the three corners of the flange 5 to maintain a horizontal posture, the operator installs the left cross member 28L while supporting the rear flange of the fuel tank 4 to maintain the horizontal posture. There is no need to do cumbersome work, and workability is good.

또한 좌측 크로스 멤버(28L)의 가설 후, 연료 탱크(4)는 플랜지(5)의 네 모서리가 볼트(37)에 의해 지지 그로멧(34)을 통해 고정되어 지지된다.In addi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left cross member 28L, the fuel tank 4 is supported by the four corners of the flange 5 being fixed through the support grommets 34 by bolts 37.

본 발명은,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에 적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work machine.

Claims (11)

방호 틀체로 둘러싸인 대략 직방체 형상의 공간 내에 내연 기관과, 상기 내연 기관으로 구동되는 작업기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고, 이 윗쪽에 상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이고 외주 측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된 연료 탱크가 배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플랜지가 상기 틀체의 세로틀 사이에 걸쳐 가설(架設)되어 직사각형 지지틀을 구성하는 크로스 멤버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에 있어서,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work machine driven by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pace surrounded by a protective frame, and a flange extend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upper surface is viewed from above. In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work machine is formed, the fuel tank formed is arranged, the flange of the fuel tank is hypothesized across the vertical frame of the frame to be supported by a cross member forming a rectangular support frame, 상기 연료 탱크의 상부에는 연료 탱크 보호 부재가 가설되고, A fuel tank protective member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uel tank, 상기 연료 탱크의 플랜지의 네 모서리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크로스 멤버로부터 각각의 플랜지의 네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장 형성되고, Support members each supporting four corners of the flange of the fuel tank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cross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ur corners of each flange, 상기 연료 탱크는 상기 연료 탱크 보호 부재의 아래쪽 공간에 측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의 네 모서리가 상기 지지 부재에 지지되어 부착되도록 구성되며,The fuel tank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from the side into the lower space of the fuel tank protection member so that the four corners of the flange is supported and attached to the support member, 상기 각 지지부재는, 상기 연료 탱크를 재치(載置) 지지하는 재치 지지부와 고정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를 동일한 지지부재 상에 구비하고,Each said support member is equipped with the mounting support part which mounts and supports the said fuel tank on the same support member,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재치 지지부와 상기 고정 지지부 중 적어도 재치 지지부가 상기 연료 탱크의 플랜지 상에 있고 이 연료 탱크의 본체의 모서리부에 접하는 가상 접선 중 대략 최단이 되는 선분 상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The suppor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support and the fixed support is supported on a line segment which is on the flange of the fuel tank and is the shortest of the virtual tangents in contact with the corner of the main body of the fuel tank.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n work machin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크로스 멤버 중 상기 연료 탱크의 삽입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했을 때의 전후 방향으로 지향한 좌우 크로스 멤버로부터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work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extends inward from the left and right cross members that are orien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uel tank i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mong the cross member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부재는, 상기 연료 탱크를 재치 지지하는 재치 지지부와 고정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의 서로 별체의 1쌍의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n work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supporting members is composed of a pair of supporting members which are separately placed on a mounting support portion for mounting and supporting the fuel tan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치 지지부는, 상기 크로스 멤버 중 상기 연료 탱크의 삽입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했을 때의 좌우 방향으로 지향한 전후 크로스 멤버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driven work machin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ounting support portion extends inwardly from the front and rear cross members orien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uel tank is ma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mong the cross members.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는, 상기 크로스 멤버 중 상기 연료 탱크의 삽입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했을 때의 전후 방향으로 지향한 좌우 크로스 멤버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The said fixed support part is extended inwardly from the left and right cross member which was orien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whe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aid fuel tank was made to the left-right direction among the said cross members, respectively, The said fixed support part was formed, respectively.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n work machin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삽입 방향의 선단 플랜지 부분과 후단 플랜지 부분을 팽출(膨出)시켜 상기 고정 지지부에 지지되는 고정용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8.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work machin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fixing flange which is supported by the fixed supporting portion by expanding the front flange portion and the rear flange portion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uel tan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의 삽입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했을 때의 전후 방향으로 지향한 좌우 크로스 멤버 중 삽입 방향 후방의 크로스 멤버가 착탈가능하게 되고, 이 착탈가능한 크로스 멤버가 상기 연료 탱크의 부착 공간 내에 삽입된 후에 상기 세로틀 사이에 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The cross member behind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cross members orien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uel tank is in the left-right direction becomes detachable, and the detachable cross member is formed in the fuel tank. And a hypothesis between the longitudinal frames after being inserted into an attachment spa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멤버 중 좌우 방향으로 지향하는 전후 크로스 멤버의 적어도 한쪽에 재치 지지부가 설치되며, 이 재치 지지부는 상기 전후 크로스 멤버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좌우 크로스 멤버 중 착탈가능한 크로스 멤버에 가까운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 구동 작업기.12. The cross membe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 mounting suppor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cross members that are orien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mong the cross members, and the mounting support is a removable cross member of the left and right cross members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cross member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n work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from an end close to the end.
KR1020047021528A 2002-07-01 2003-06-30 Internal combustion engine-driven working machine KR1009525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92478 2002-07-01
JP2002192478 2002-07-01
PCT/JP2003/008270 WO2004003361A1 (en) 2002-07-01 2003-06-30 Internal combustion engine-driven work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434A KR20050024434A (en) 2005-03-10
KR100952565B1 true KR100952565B1 (en) 2010-04-12

Family

ID=2999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528A KR100952565B1 (en) 2002-07-01 2003-06-30 Internal combustion engine-driven working machin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246147B2 (en)
KR (1) KR100952565B1 (en)
CN (1) CN100368662C (en)
AU (1) AU2003246142A1 (en)
BR (1) BR0305250B8 (en)
WO (1) WO200400336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1905A1 (en) 2006-03-29 2009-10-01 Denso Corporation Mount structure of fuel injection valve and fuel injection system
JP2008025421A (en) * 2006-07-19 2008-02-07 Honda Motor Co Ltd Engine generator
JP6193713B2 (en) * 2013-10-03 2017-09-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Air-cooled engine
CN110040193A (en) * 2019-05-30 2019-07-23 阿特拉斯·科普柯(无锡)压缩机有限公司 Carrying platform and the beacon including it, compressor, generator and water pum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9891A (en) * 1996-12-10 1998-06-26 Honda Motor Co Ltd Protective frame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rking machine
JPH10196391A (en) * 1997-01-10 1998-07-28 Yamaha Motor Co Ltd Fuel tank attaching structure of engine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4700B2 (en) * 1997-09-09 2007-08-08 澤藤電機株式会社 Motor generator
JP4167356B2 (en) * 1999-09-03 2008-10-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Gas engine work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9891A (en) * 1996-12-10 1998-06-26 Honda Motor Co Ltd Protective frame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rking machine
JPH10196391A (en) * 1997-01-10 1998-07-28 Yamaha Motor Co Ltd Fuel tank attaching structure of engine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03361A1 (en) 2005-10-27
KR20050024434A (en) 2005-03-10
CN100368662C (en) 2008-02-13
BR0305250B1 (en) 2013-01-08
BR0305250A (en) 2004-10-05
AU2003246142A1 (en) 2004-01-19
BR0305250B8 (en) 2013-02-19
JP4246147B2 (en) 2009-04-02
CN1666016A (en) 2005-09-07
WO2004003361A1 (en) 200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2842B2 (en) Air intake for a straddle-type all terrain vehicle
JP5192539B2 (en) Work vehicle
JP3954700B2 (en) Motor generator
JP2012201158A (en) Working vehicle
KR100952565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driven working machine
JP2004098861A (en) Fuel tank mounting structure for motorcycle
JP3871124B2 (en) Protective frame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rking machine
EP1847451A1 (en) Motorcycle
JP5196113B2 (en) Intake device for vehicle engine
US20090194353A1 (en) Rear frame attachment structure for two-wheeled motor vehicle
US8517426B2 (en) Fan accessory unit for a motorcycle
JP2015017602A (en) Work vehicle
JP3731687B2 (en) Protective frame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rking machine
JPH05179926A (en) Exhausting device for soundproof type generator
JP2773242B2 (en) Radiator for motorcycles
JP4145569B2 (en) Scooter type vehicle
JP2002097963A (en) Engine generator
JPS631232B2 (en)
JPS6239993Y2 (en)
JPH0228074A (en) Intake air introducing device for motorcycle
JP2571699B2 (en) Engine generator
JP4210472B2 (en) Secondary air supply device for motorcycles
JP2002054453A (en) Engine generator
JP4050125B2 (en) Forced air cooling device
JPH0724922Y2 (en) Protective frame type engine work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