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468B1 -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 - Google Patents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468B1
KR100951468B1 KR1020080005300A KR20080005300A KR100951468B1 KR 100951468 B1 KR100951468 B1 KR 100951468B1 KR 1020080005300 A KR1020080005300 A KR 1020080005300A KR 20080005300 A KR20080005300 A KR 20080005300A KR 100951468 B1 KR100951468 B1 KR 100951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lignment
auxiliary
conveyor belt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381A (ko
Inventor
박영환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080005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4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connecting unstripped conductors to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 cutt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에 일부가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본체의 후단과 연결되는 일체형의 보조 정렬대를 구비함으로써, 도선의 길이에 대응되게 도선을 안전하게 수납 정렬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있고, 도선의 길이에 대응되게 설치 사용가능하도록 하여 컨베이어 벨트를 벗어나는 부분의 도선이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미가공된 도선을 전,후로 이송시켜 각 기구를 통하여 절단 및 절단된 양단에 단자를 장착하여 방출기구를 통하여 방출되도록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단에 도선이 일방향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수평되어 도선을 수용가능하도록 주수용부를 형성하여 고정 구비되는 주정렬대로 이루어진 단자 장착장치에 도선을 수용하기 위한 도선용 보조 정렬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방출기구로부터 방출되는 도선의 일단을 상면 일측으로 수용가능하도록 일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후단과 연통되고, 타부는 상기 주정렬대의 후단과 연통가능하도록 보조수용부를 갖는 보조정렬대로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Figure R1020080005300
단자장착, 도선, 정렬, 보조정렬

Description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 {Arrange draw up in line of Electrical Wire for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복된 도선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도선의 일단을 박피하고 그 박피된 부분에 단자를 장착시키기 위한 단자장착 장치에서 일단이 단자로 장착되어 나온 피복된 도선들을 정연하게 배열시킬 수 있도록 한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 장착장치는 권취된 롤타입으로 제품화되어 출고된 전선을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도선의 양단에 박피시킨 후단자를 장착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즉, 상기 단자 장착장치에서는 피복된 도선의 일단이 파지수단에 의해 파지되어 가공이 완료된다. 가공완료된 도선은 종래에서는 수작업으로 파지수단에 파지된 도선을 이송받아 수납부에 일정 양을 가지런하게 수납하고 있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른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에 일부가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본체의 후단과 연결되는 일체형의 보조 정렬대를 구비함으로써, 도선의 길이에 대응되게 도선을 안전하게 수납 정렬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있도록 한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에 일부가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본체의 후단과 연결되는 일체형의 보조 정렬대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도선의 길이에 대응되게 설치 사용가능하도록 하여 컨베이어 벨트를 벗어나는 부분의 도선이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가공된 도선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이송기구와, 상기 도선의 선단측에 단자를 장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장착기구와, 상기 도선을 절단함과 아울러 상기 도선 선단 부분의 피복된 피복재를 제거하는 절단기구와, 상기 도선의 선단을 상기 장착기구에 선회시키기 위한 도선 선회기구와, 상기 절단기구에 의해 도선이 절단된 후, 상기 도선의 기단을 보관 유지하는 척 기구 및 가공 후 상기 척 기구에 의해 파지된 도선의 기단을 파지하였다가 본체의 외부측으로 이동하여 파지 해제하여서 가공된 도선을 방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방출기구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단에 도선이 일방향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수평되어 도선을 수용가능하도록 주수용부를 형성하여 고정 구비되는 주정렬대로 이루어진 단자 장착장치에 도선을 수용하기 위한 도선용 보조 정렬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방출기구로부터 방출되는 도선의 일단을 상면 일측으로 수용가능하도록 일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후단과 연통되고, 타부는 상기 주정렬대의 후단과 연통가능하도록 보조수용부를 갖는 보조정렬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정렬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벗어나는 도선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후단과 일부가 연통되고, 타부는 상기 주정렬대의 후단과 연통되는 제1,2보조수용판에 의해 보조수용부가 형성된 "V"자 단면형상의 보조수용판과, 상기 보조수용판의 저면에 일단이 고정 구비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보조수용판이 위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에 일부가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본체의 후단과 연결되는 일체형의 보조 정렬대를 구비함으로써, 도선의 길이에 대응되게 수납 정렬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에 일부가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본체의 후단과 연결되는 일체형의 보조 정렬대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도선의 길이에 대응되게 설치 사용가능하도록 하여 도선의 일단이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다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위와 같은 기본적인 개념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는 단자 장착장치(100)의 본체(101) 일측에 고정 구비되는 것으로 먼저, 단자 장착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단자 장착장치(100)는, 피복된 도선의 이송, 피복재의 제거, 단자의 장착, 도선 의 절단 및 도선의 배출을 일련의 동작으로서 실시하고 일단에 단자가 장착된 소정 길이의 도선을 연속해 생성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단자 장착장치(100)의 본체(110)는, 미가공된 도선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이송기구(111)와, 상기 도선(L)의 선단측에 단자를 장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장착기구(112)와, 상기 도선(L)을 절단함과 아울러 상기 도선(L) 선단 부분의 피복된 피복재를 제거하는 절단기구(113)와, 상기 도선의 선단을 상기 장착기구(112)에 선회시키기 위한 도선 선회기구(114)와, 상기 절단기구(113)에 의해 도선이 절단된 후, 상기 도선의 기단을 보관 유지하는 척 기구(115) 및 가공 후 상기 척 기구(115)에 의해 파지된 도선의 기단을 파지하였다가 본체(110)의 외부측으로 이동하여 파지 해제하여서 가공된 도선을 방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방출기구(11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방출기구(116)는 안내부재(1161)와 가동부재(1162) 및 파지부재(116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안내부재(1161)는 고정 상태로 상기 단자 장착장치(100)의 본체(110)에 지지되게 구비되어 진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1161)는 긴 방향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배열설치되고, 그 긴 방향의 일단이 척 기구(115)의 윗 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안내부재(1161)의 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가동부재(1162)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1161)의 일측면에는 긴 방향으로 연속한 홈부(116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1161a)에 가동부재(1162)의 일단이 삽입되어 외부로 돌 출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1162)의 선단에는 도선의 기단을 파지 가능한 파지부재(116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1162) 및 파지부재(1163)는 미도시된 동력부에 의해 구동되어 도선의 일단에 단자가 장착된 후, 이 동력부를 동작시키면 도선의 기단을 파지한 채로 척 기구(115)측으로부터 파지 해제에 따른 도선을 방출시키게 된다.
상기한 본체(110)에 구비된 상기 기구들은 본 발명의 개념을 이해시키기 위해 간략하게 설명한 것으로, 도면부호 "A"는 본체(110)의 전단부에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컨베이어 벨트로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자 장착장치(100)에 의해 가공 완료된 도선은, 방출기구(116)에 의해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주수용부(1210a)를 갖는 주정렬대(1210)로 방출되어 정렬되게 수납되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는 상기 단자 장착장치(100)를 통하여 길이변화 즉, 소정길이로 길게 절단되어 작업완료된 도선이 방출되면, 이의 도선을 보다 안정되게 수용 정렬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출기구(116)로부터 방출되는 도선의 일단을 상면 일측으로 수용가능하도록 일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A)의 후단과 연통되고, 타부는 상기 주정렬대(1210)의 후단과 연통가능하도록 보조수용부(1220a)를 갖는 보조정렬대(12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보조정렬대(1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A)를 벗어나는 도선(L)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A)의 후단과 일부가 연통되고, 타부는 상기 주정렬대(1210)의 후단과 연통되는 제1보조수용판(1221a) 및 제2보조수용판(1221b)에 의해 보조수용부(1220a)가 형성된 "V"자 단면형상의 보조수용판(1221)과, 상기 보조수용판(1221)의 저면에 일단이 고정 구비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보조수용판(1221)이 위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대(1222,12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보조수용판(1221a)은 도선(L)의 수용에 따른 상기 도선(L)이 작업자에 더 근접되어 수용되도록 제2보조수용판(1221b)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정렬대(1220)의 보조수용판(1221) 상면 일단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A)와 연통되어 도선의 수용에 따른 도선 중간부분의 피복이 손상됨을 방지가능하도록 연결판(1223)이 경사져 형성되고, 양단은 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상향 절곡된 절곡부(12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판(1223)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A)를 벗어나는 도선(L)을 수용할 때, 상기 제2보조수용판(1221b)의 외측으로 도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보조수용판(1221a)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1222,1222')는 상기 보조정렬대(1220)의 보조수용부(1220a)로 도선(L)의 수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후단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대(1222')가 전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대(1222)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222,1222') 중 후단에 구비되는 지지대(1222')에는 상기 보조정렬대(122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사용시 좌우 이동을 방지하도록 바퀴(122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를 단자 장착장치에 설치하여 장치를 구성시키게 되면,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기구(111)를 통하여 미가공된 도선이 이송되면, 각 기구 즉, 상기 도선(L)의 선단측에 단자를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기구(112)와, 상기 도선(L)을 절단함과 아울러 상기 도선(L) 선단 부분의 피복된 피복재를 제거하는 절단기구(113)와, 상기 도선의 선단을 상기 장착기구(112)에 선회시키기 위한 도선 선회기구(114)와, 상기 절단기구(113)에 의해 도선이 절단된 후, 상기 도선의 기단을 보관 유지하는 척 기구(115) 및 가공 후 상기 척 기구(115)에 의해 파지된 도선의 기단을 파지하였다가 본체(110)의 외부측으로 이동하여 파지 해제하여서 가공된 도선을 방출시키기 위한 방출기구(116)를 통하여 단자가 장착된 도선이 도선 정렬대로 방출됨에 따른 주정렬대(1210)의 주수용부(1210a)로 수용되어 진다.
이때, 길이가 가변 즉, 보다 길게 절단된 도선이 상기 기구들을 통하여 단자를 장착시켜 배출되면, 이에 대응되게 보조정렬대(1220)를 상기 컨베이어벨트(A)와 주정렬대(1210)의 후단부에 연통되게 설치시킨다.
따라서, 상기 방출기구(116)를 통하여 길이가 긴 도선이 방출되면, 상기 도선의 일부는 주정렬대(1210)의 주수용부(1210a)에 수용되고 도선의 다른 일부는 보조정렬대(1220)의 보조수용부(1220a)로 수용되어 진다.
즉, 상기 보조정렬대(1220)로 수용되는 도선의 일부는 상기 보조수용부(1220a)를 형성하는 "V"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보조수용판(1221a) 및 제2보조수용판(1221b) 중 상기 제1보조수용판(1221a)에 수용되면서 경사로 인하여 상기 제2보조수용판(1221b)측으로 흘러 내려가 수용되어 진다.
또한, 상기 도선의 중간부는 즉, 상기 주정렬대(1210)의 주수용부(1210a)와 연통되게 상기 보조정렬대(1222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판(1223)에 의해 보호되면서 수용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선 정렬대가 단자 장착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선 정렬대를 갖는 단자 장착장치의 보조정렬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자 장착장치 111 ; 이송기구
112 ; 장착기구 113 ; 절단기구
114 ; 도선 선회기구 115 ; 척 기구
116 ; 방출기구 110 ; 본체
120 ; 도선 정렬대 1210 ; 주정렬대
1220 ; 보조정렬대

Claims (5)

  1. 미가공된 도선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이송기구(111)와, 상기 도선(L)의 선단측에 단자를 장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장착기구(112)와, 상기 도선(L)을 절단함과 아울러 상기 도선(L) 선단 부분의 피복된 피복재를 제거하는 절단기구(113)와, 상기 도선의 선단을 상기 장착기구(112)에 선회시키기 위한 도선 선회기구(114)와, 상기 절단기구(113)에 의해 도선이 절단된 후, 상기 도선의 기단을 보관 유지하는 척 기구(115) 및 가공 후 상기 척 기구(115)에 의해 파지된 도선의 기단을 파지하였다가 본체(110)의 외부측으로 이동하여 파지 해제하여서 가공된 도선을 방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방출기구(116)로 구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후단에 도선이 일방향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컨베이어 벨트(A)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상기 컨베이어벨트(A)와 수평되어 도선을 수용가능하도록 주수용부(1210a)를 형성하여 고정 구비되는 주정렬대(1210)로 이루어진 단자 장착장치(100)에 도선을 수용하기 위한 도선용 보조 정렬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방출기구(116)로부터 방출되는 도선의 일단을 상면 일측으로 수용가능하도록 일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A)의 후단과 연통되고, 타부는 상기 주정렬대(1210)의 후단과 연통가능하도록 보조수용부(1220a)를 갖는 보조정렬대(12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정렬대(122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A)를 벗어나는 도선(L)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A)의 후단과 일부가 연통되고, 타부는 상기 주정렬대(1210)의 후단과 연통되는 제1보조수용판(1221a) 및 제2보조수용판(1221b)에 의해 보조수용부(1220a)가 형성된 "V"자 단면형상의 보조수용판(1221)과, 상기 보조수용판(1221)의 저면에 일단이 고정 구비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상기 보조수용판(1221)이 위치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대(1222,12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정렬대(1220)는 도선(L)이 일측으로 수용가능하도록 상기 제2보조수용판(1221b)보다 제1보조수용판(1221a)이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정렬대(1220)의 보조수용판(1221) 상면 일단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와 연통되어 도선의 수용에 따른 도선 중간부분의 피복이 손상됨을 방지가능하도 록 상향 연장 절곡된 연결판(122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22,1222')는 상기 보조정렬대(1220)의 보조수용부(1220a)로 도선(L)의 수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후단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대(1222')가 전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대(1222)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
KR1020080005300A 2008-01-17 2008-01-17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 KR100951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300A KR100951468B1 (ko) 2008-01-17 2008-01-17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300A KR100951468B1 (ko) 2008-01-17 2008-01-17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381A KR20090079381A (ko) 2009-07-22
KR100951468B1 true KR100951468B1 (ko) 2010-04-07

Family

ID=4129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300A KR100951468B1 (ko) 2008-01-17 2008-01-17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4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527B1 (ko) 2014-01-09 2016-01-22 한국기계연구원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093582B (zh) * 2021-11-05 2024-04-12 安徽聚虹电子有限公司 用于电磁线的线芯生产的衬纸加样装置
KR102481085B1 (ko) * 2022-03-08 2022-12-26 김희락 기능이 개선된 전선 가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0934A (ja) * 1992-03-06 1993-09-28 Amp Japan Ltd ハーネス製造装置
KR930020496A (ko) * 1992-03-17 1993-10-19 장규문 터미널압접전선의 자동성형시스템
JPH05307916A (ja) * 1992-04-28 1993-11-1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の成形方法と、それに用いるワイヤハーネス用成形プロテクタ
JPH11219628A (ja) 1992-09-11 1999-08-10 Yazaki Corp 電線の端末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0934A (ja) * 1992-03-06 1993-09-28 Amp Japan Ltd ハーネス製造装置
KR930020496A (ko) * 1992-03-17 1993-10-19 장규문 터미널압접전선의 자동성형시스템
JPH05307916A (ja) * 1992-04-28 1993-11-1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の成形方法と、それに用いるワイヤハーネス用成形プロテクタ
JPH11219628A (ja) 1992-09-11 1999-08-10 Yazaki Corp 電線の端末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381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244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wiring harness
CN103415898B (zh) 线束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KR100951468B1 (ko)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대
JP2007123190A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10918000B2 (en) Component supply device
US10854358B2 (en) Wire harness manufacturing method and wire harness manufacturing device
CN108134298B (zh) 端子压接装置
EP3422491A1 (en) Terminal cassette assembly
CN109155170B (zh) 部件供给装置
KR100913612B1 (ko) 피복된 도선의 양단을 가공하는 방법
EP3307040B1 (en) Device for holding tool for component feeding
JP2022112824A (ja) 端子圧着装置
KR100831221B1 (ko) 정렬기구
KR100920916B1 (ko) 단자 장착장치용 도선 정렬기구
CN214291811U (zh) 装配系统
CN210723909U (zh) 自动化卡板装配专机
KR102398568B1 (ko) 기판 이송 시스템
JP5613035B2 (ja) 電線搬送装置及び電線搬送方法
JP6747861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ライン
JP4467245B2 (ja) 電線受け渡し装置
CN214069059U (zh) 一种端子供给装置
CN218836748U (zh) 一种铅酸电池自动剪脚加锡机
US11942745B2 (en) Crimping machine
JP5222760B2 (ja) 電線排出シュート、それを有する端子圧着電線製造機及び端子圧着電線製造方法
CN210837613U (zh) 卡板装配专机用卡板安装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